KR100714806B1 -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806B1
KR100714806B1 KR1020070027995A KR20070027995A KR100714806B1 KR 100714806 B1 KR100714806 B1 KR 100714806B1 KR 1020070027995 A KR1020070027995 A KR 1020070027995A KR 20070027995 A KR20070027995 A KR 20070027995A KR 100714806 B1 KR100714806 B1 KR 10071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frame
center
road
circula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to KR102007002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어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도로를 진행방향별로 구획해주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RP소재의 원기둥형상의 포스트 외주면에 탄성을 갖는 고무재의 원형완충틀이 다수열 적층형성된 구조로서, 도로 중앙선의 필요한 부분에 분리 설치가 가능하여, 중앙분리대의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절에 상관없이 항시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어 항시 인명피해나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에 도로의 지면에 앵커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고정플레이트가 형성되고, 하단면에 배수요홈이 형성되며, 상단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덮개체결홈이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 원형배수홈과 그 원형배수홈의 바닥면으로 부터 상기 배수요홈과 연통되는 수직상의 하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기둥형상의 중앙분리대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다수층으로 적층되는, 동일한 단면적과 서로다른 내경을 갖는 원형링상의 소형고무틀과, 중형고무틀과 대형고무틀의 완충틀과; 하단부 둘레에 완충틀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단면 중앙에 체결볼트가 돌출 내입되어 상기한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이 함몰되어 바닥면에 배수통공이 형성된 식재함안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가 배수통공과 연통되고 하부가 상기한 원형배수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상배수공이 형성된 중앙분리대 덮개와; 상기 식재함안착홈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걸름망과, 그 걸름망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식재함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로, 중앙분리대, 완충, 충격흡수

Description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It is a safety zone according to the shock absorbing form cause that used a model rubber torr}
도 1은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 2 : 앵커
10 : 포스트 11 : 고정플레이트
12 : 고정공 13 : 배수요홈
14 : 덮개체결홈 15 : 원형배수홈
16 : 하배수공 20 : 완충틀
21 : 소형고무틀 22 : 중형고무틀
23 : 대형고무틀 24 : 제1완충공간부
25 : 제2완충공간부 30 : 덮개
31 : 완충틀지지홈 32 : 체결볼트
33 : 직재함안착홈 34 : 배수통공
35 : 상배수공 40 : 식재함
41 : 통공 42 : 날개부
43 : 걸름망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어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도로를 진행방향별로 구획해주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분리대의 외주면에 다수의 탄성을 갖는 원형완충틀을 구비하므로서 차량충돌시 충격흡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안전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교통표지와 더불어 충돌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설물 중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도로를 차량의 진행방향별로 완전히 양분하여 구획된 중앙분리대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주로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마주 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 로의 종류나 지역여건 등에 따라 화단형이나 철제펜스형 또는 블록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고속도로에서는 제한속도가 상당히 높고 U턴 등의 횡단이 금지되어 있는바, 도로의 중앙을 확실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주행하던 차량이 부딪치더라도 반대 차도로 침범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철제펜스와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철제펜스와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는 상당히 큰 부피와 중량을 가지므로 시공도 매우 번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강도는 우수하지만 탄성이 없거나 미약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차량이 크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충격에너지가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치명적인 상해를 당할 우려가 대단히 높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강도 합성수지를 소정형태로 성형한 후 그 속에 물을 채워두는 중앙분리대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 또한 동계(冬季)에 충전된 물이 결빙되어 차량충돌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FRP소재의 원기둥형상의 포스트 외주면에 탄성을 갖는 고무재의 원형완충틀이 다수열 적층형성된 구조로서, 도로 중앙선의 필요한 부분에 분리 설치가 가능하여, 중앙분리대의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완충작용에 의 해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절에 상관없이 항시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어 항시 인명피해나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하단부에 도로의 지면에 앵커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고정플레이트가 형성되고, 하단면에 배수요홈이 형성되며, 상단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덮개체결홈이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 원형배수홈과 그 원형배수홈의 바닥면으로 부터 상기 배수요홈과 연통되는 수직상의 하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기둥형상의 중앙분리대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다수층으로 적층되는, 동일한 단면적과 서로다른 내경을 갖는 원형링상의 소형고무틀과, 중형고무틀과 대형고무틀의 완충틀과;
하단부 둘레에 완충틀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단면 중앙에 체결볼트가 돌출 내입되어 상기한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이 함몰되어 바닥면에 배수통공이 형성된 식재함안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가 배수통공과 연통되고 하부가 상기한 원형배수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상배수공이 형성된 중앙분리대 덮개와;
상기 식재함안착홈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걸름망과, 그 걸름망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식재함으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분해사시이고, 도 2는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1)의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적층형성되는 완충틀(20)과,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30)와, 상기덮개에 안착되는 걸름망(43)과 식재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10)는, 장형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재질로는 FRP소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하부에는 하단부에 도로(1)의 지면에 앵커(2) 고정키위한 고정공(12)을 갖는 원형판상의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에는 원뿔형상의 배수요홈(13)이 형성된 것이며,
그 상부에는 상단면 중앙에 하기하는 덮개(30)를 결합키위한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덮개체결홈(14)이 형성되고, 그 덮개체결홈(14)의 주연부에는 원형링형상의 원형배수홈(15)이 형성되며, 그 원형배수홈(15)의 바닥면에는 상기한 배수요홈(13)과 연통되는 수직상의 하배수공(16)이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완충틀(20)은, 단면상 원형을 갖는 링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포스트(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의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과 대형고무틀(23)이 동일한 두께의 단면적과 서로다른 내경을 가지며 구성되며, 포스트(10)의 고정플레이트(11)의 상부면으로부터 포스트(10)의 상부까지 다수열 적층형성된 것이다.
이때,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배열하되, 소형고무틀(21)의 외경과 대형고무틀(23)의 내경은 중형고무틀(22)의 두께를 벗어나지 않게 형성하여 그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 사이의 상부에 중형고무틀(22)이 적층 배열되게 상부로 연속 구성된 것으로,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된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과 대형고무틀(23)의 면접부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부(24)가 형성되고, 포스트(10)의 외주면과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의 면접부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부(25)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덮개(30)는, 상기한 포스트(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부가 둥근 반구형으로 구성되며, 그 재질로는 포스트(10)와 동일한 FRP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하부에는 하단부 둘레에 상기한 완충틀(20)의 중형고무틀(22)이 지지되는 완충틀지지홈(31)이 형성되고, 하단면 중앙에는 체결볼트(32)가 하부로 돌출되게 그 상부 일부가 덮개(30)에 내입되게 제작되어 그 체결볼트(32)에 의해 포스트(10) 의 상부면에 형성된 덮개체결공()에 체결 결합되는 것이며,
그 상부에는 상부 중앙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함몰된 식재함안착홈(33)이 형성되고, 그 식재함안작홈()의 바닥면에는 배수통공(34)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부가 배수통공(34)과 연통되고 하부가 상기한 포스트(10)의 원형배수홈(15)과 연통되는 방사형으로 다수의 상배수공(3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걸름망(43)은, 비교작 낮은 높이의 원뿔형의 망판으로 구성되며, 그 재질로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한 덮개(30)의 식재함안착홈(33)에 삽입되어 배수통공(34)의 상부에서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식재함(40)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원형함 형상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한 덮개(30)의 상부에 지지되는 날개부(42)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용 통공(41)이 형성된 것으로, 덮개(30)의 식재함안착홈(33)에 삽입되어 걸름망(43)의 상부에 안착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설치상태와 이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어 차량이 반대차선으로의 칩범으로 인한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그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중앙분리대를 도로(1)의 중앙선상에 고 정키위해서는 포스트(10)를 그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의 바닥면이 지면에 면접되게 배열 시키고, 그 고정플레이트(11)에 형성된 고정공(12)에 의해 별도 구비되는 앵커(2)를 이용하여 도로(1)의 중앙선상에 고정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10)가 도로(1)의 중앙선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포스트(10)의 외주면에 완충틀(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완충틀(20)은 먼저 그 소형고무틀(21)이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시 대형고무틀(23)이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와 같이 포스트(10)에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이 삽입된 상태에서 중형고무틀(22)이 삽입되어 상기한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의 사이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 중형고무틀(22)은 포스트(10)를 따라 다수열 적층되게 포스트(10)의 상부까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틀(20)이 설치된 상태에서 포스트(10)의 상부에 덮개(30)가 결합되는 것으로, 그 결합은 덮개(3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체결볼트(32)와 포스트(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덮개체결공()에 의해 포스트(10)의 상부에 체결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되는 덮개(3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완충틀지지홈(31)의 포스트(10)의 상부까지 적층된 완충틀(20)의 중형고무틀(22)의 상부에 안착되어 완충틀(20)의 이탈없이 고정 지지되는 것이며, 덮개(30)의 내부에 형성된 상배수공(35)은 포스트(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배수홈(15)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덮개(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름망(43) 및 식재함(40)이 결합되는 것으로, 걸름망(43)은 식재함안착홈(33)에 삽입되어 배수통공(34)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는 것이며, 식재함은 걸름망(43)의 상부에 안찹되게 식재함안착홈(33)에 삽입되며, 그 상부에 형성된 날개부(42)는 덮개(30)의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식재함(40)에는 도로의 환경을 개선키 위한 꽃등의 식물이 식재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선상에 다수개 설치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형화된 철제팬스나 콘크리트 구조물과는 달리 조립식 구조로 설치가 매우 간편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본 발명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전기와 같이 결합되어 도로(1)의 중앙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며, 상부 덮개(30)의 식재함안착홈(33)에는 식재함(40)이 삽입 안착되고, 그 식재함(40)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로의 환경을 친환경적인 효과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재함(40)에 식재된 식물을 식생키 위해서는 일정량의 수분이 필요한 것인바. 식생토에 물을 주거나 자연적인 빗물에 의해 식물의 식생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식재함에 물을 주입시키게 되면 일반적인 식생과정과 같이 식생토에 는 식물이 식생하기에 알맞는 양의 수분이 함유되고, 그 외의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그 수분은 식재함(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4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배출시 걸름망(43)에 의해 식재함(40)내에서 유실되는 식생토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식생토 및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순수한 수분만이 덮개(30)에 형성된 배수통공(34)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분은 상배수공(35)에 의해 분산되어 포스트(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배수홈(15)으로 유입되며, 다시 유입된 수분은 원형배수홈(15)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배수공(16)을 통해 포스트(10)의 하단면에 형성된 배수요홈(13)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수분은 도로의 지면을 통해 지중으로 유입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이 진행중 진행중인 차량이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본 발명 중앙분리대에 충돌시, 도 3의 도시와 같이 탄성고무재의 완충틀(20)의 외부 대형고무틀(23)에 의해 1차적으로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는 것이고,
그 1차적인 충격흡수력을 넘어서게되면 대형고무틀(23)의 압축과 함께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과 대형고무틀(23)의 사이에 형성된 제1완충공간부(24)의 압축과 함께 2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는 것이며,
또한 그 2차적인 충격흡수력을 넘어서게되면 대형고무틀(23)과 중형고무틀(22)의 압축과 함께 포스트(10)와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의 사이에 형성된 제2완충공간부(25)의 압축과 함께 3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3차에 걸친 충격흡수에 의해 차량 및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차량이 충돌시 차량은 중앙분리대와의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회전력이 발생되어 차량의 정면 및 측면까지 그 충격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인바. 완충틀(20)은 포스트(10)를 중심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는 것으로, 중앙분리대에 충돌된 차량은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또다른 중앙분리대에 측면 충돌시 완충틀(20)에 의해 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FRP소재의 원기둥형상의 포스트 외주면에 탄성을 갖는 고무재의 원형완충틀이 다수열 적층형성된 구조로서, 도로 중앙선의 필요한 부분에 다수 설치가 가능하여, 중앙분리대의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차량충돌시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계절에 상관없이 항시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어 항시 인명피해나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어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도로를 진행방향별로 구획해주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하단부에 도로(1)의 지면에 앵커(2)고정되는 고정공(12)을 갖는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하단면에 배수요홈(13)이 형성되며, 상단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덮개체결홈(14)이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 원형배수홈(15)과 그 원형배수홈(15)의 바닥면으로 부터 상기 배수요홈(13)과 연통되는 수직상의 하배수공(16)이 다수 형성된 기둥형상의 중앙분리대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다수층으로 적층되는, 동일한 단면적과 서로다른 내경을 갖는 원형링상의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과 대형고무틀(23)로된 충격흡수용 완충틀(20)과;
    하단부 둘레에 완충틀지지홈(31)이 형성되고, 하단면 중앙에 체결볼트(32)가 돌출 내입되어 상기한 포스트(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이 함몰되어 바닥면에 배수통공(34)이 형성된 식재함안착홈(33)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가 배수통공(34)과 연통되고 하부가 상기한 원형배수홈(15)과 연통되는 다수의 상배수공(35)이 형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부 덮개(30)와;
    상기 식재함안착홈(33)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걸름망(43)과, 그 걸름망(43)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날개부(4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식재함(4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 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스트(10)를 감싸는 완충틀(20)은, 그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배열하되, 소형고무틀(21)의 외경과 대형고무틀(23)의 내경은 중형고무틀(22)의 두께를 벗어나지 않게 형성하여 그 소형고무틀(21)과 대형고무틀(23) 사이의 상부에 중형고무틀(22)이 연속으로 적층 배열되게 구성하되,
    적층된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과 대형고무틀(23)의 면접부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부(24)가 형성되고, 포스트(10)의 외주면과 소형고무틀(21)과 중형고무틀(22)의 면접부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부(25)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1020070027995A 2007-03-22 2007-03-22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10071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995A KR100714806B1 (ko) 2007-03-22 2007-03-22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995A KR100714806B1 (ko) 2007-03-22 2007-03-22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806B1 true KR100714806B1 (ko) 2007-05-04

Family

ID=3826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995A KR100714806B1 (ko) 2007-03-22 2007-03-22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4036B (zh) * 2008-08-04 2011-06-01 青岛新道交通器材有限公司 吸收冲击装置用罐装置
CN110735412A (zh) * 2019-10-31 2020-01-31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安全护栏
CN111441272A (zh) * 2020-04-07 2020-07-24 周华明 一种市政减速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57A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프린터 급지장치
KR20050063505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57A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프린터 급지장치
KR20050063505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25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63505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4036B (zh) * 2008-08-04 2011-06-01 青岛新道交通器材有限公司 吸收冲击装置用罐装置
CN110735412A (zh) * 2019-10-31 2020-01-31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安全护栏
CN111441272A (zh) * 2020-04-07 2020-07-24 周华明 一种市政减速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56B2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KR20110074837A (ko) 울타리용 연결 브라켓의 각도조절 및 완충장치
KR100714806B1 (ko)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100797771B1 (ko) 집수기능을 구비한 친환경적인 울타리형 방음벽
AU2009202987B2 (en) Energy Absorbing Buffer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CN111945633A (zh) 山区公路防坠崖交通保护结构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KR100582022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CN101070695A (zh) 生态绿化型缓冲接触交通隔离带及建造方法
KR10062077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KR101872725B1 (ko) 화분모듈, 이를 구비한 도로용 중앙분리대 및 그 설치방법
KR20120059876A (ko) 생태조경을 위한 가드레일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355864Y1 (ko) 식생가능한 완충용 가드레일
KR200405953Y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1325944B1 (ko)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분산 흡수하는 가드레일
CN208981233U (zh) 一种急转弯护栏
KR100752147B1 (ko)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JP6929727B2 (ja) 多段樹脂製マウントブロック及び車線区分柵
JP2001011828A (ja) 緩衝式防護柵、その構築方法、それのための躯体及び緩衝体
CN202705957U (zh) 带有绿化槽护栏板
KR100872038B1 (ko) 화분형 중앙분리대
KR100515503B1 (ko)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방호벽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