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147B1 -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 Google Patents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147B1
KR100752147B1 KR1020070028537A KR20070028537A KR100752147B1 KR 100752147 B1 KR100752147 B1 KR 100752147B1 KR 1020070028537 A KR1020070028537 A KR 1020070028537A KR 20070028537 A KR20070028537 A KR 20070028537A KR 100752147 B1 KR100752147 B1 KR 10075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vehicle
buffer
coupled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riority to KR102007002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고가도로의 교각 하부 즉, 차량의 충돌부위에 승강 가능한 충격흡수시설을 설치하므로서, 차량이 교각에 충돌시 교각으로 전해지는 충격에 따른 외력을 흡수 및 완화시켜 교각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로인한 교각의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충돌시 발생되는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교각과 차량, 탑승자 모두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교각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부로 넓어지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원판형 오름판과;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며, 중앙이 수직관통되어 교각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하부와 연장되는 수직부가 형성된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의 경사부는 교각삽입공을 중심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물수용부를 갖는 다수의 저수통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하나의 저수통에는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구(29a)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통의 물수용부와 연통되는 물수용부가 형성된 완충승강구와; 상기 완충승강구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각에 결착되며,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의 외측면에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외주면 중간부에 식재함이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로 플랜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시 링을 이루는 분할된 다수의 결착구와; 상단에 스프링지지홈과 힌지공이 형성되어 결착구의 플랜지부에 볼트를 축으로 스프링 탄설 결합되며, 하단에 롤러가 축설되어 상기한 완충승강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압바와; 상기 완충승강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바의 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이 절곡되어 완충승강구에 볼트 체결되는 절곡링형의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고가도로, 교각, 충격흡수, 승강

Description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A car shock absorption institution of an elevated road supporting beam}
도 1은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각 2 : 교각기초
10 : 오름판 11 : 안착면
12 : 교각삽입공 13 : 경사면
20 : 완충승강구 21 : 몸체
22 : 교각삽입공 23 : 경사부
24 : 수직부 25 : 완충부재
26,26' : 가이드홈 27,27' : 저수통
28,28' : 물수용부 29 : 마개
29a : 물주입구 30,30' : 결착구
31,31' : 플랜지부 32 : 지지돌기
33 : 식재함 34 : 볼트
35 : 너트 40,40' : 가압바
41 : 스프링지지홈 42 : 힌지공
43 : 스프링 44 : 롤러
50 : 이탈방지캡 51 : 볼트
본 발명은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는 고가도로의 교각의 하부 주위에 승강 가능한 충격흡수시설이 설치된 구조로서, 차량이 교각에 충돌시 교각에 전해지는 외력을 흡수 및 완화시켜 교각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돌시 발생되는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도시내의 교통흐름은 지속적으로 혼잡화 되고 있는 것으로, 한정된 도로의 규모에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세가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해결방안의 하나로서, 도심구간을 가로지르거나 우회하도록 설계된 고가도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고가도로는 지속적으로 증설이 불가피한 실성이다.
이러한, 고가도로는 지상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것인바, 고가도로가 도심을 지나기 위해서는 지상의 도로 위에 고가도로를 지지키 위한 교각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각은 본래의 역할과는 달리 지상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위험요소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서 전방시야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나, 교통사로를 피하기 위한 위급상황 또는 도로의 연건에 의한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교각충돌 사고는 사고 발생시 교각 구조물의 균열이나 파손을 가져오며, 빈번히 발생시 차량소통에 따른 잦은 진동과 기후적인 요건에 의해 가속화 되어 교각의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충돌 사고로 인한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상해가 발생되는 등 생명의 위험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가도로의 교각 하부 즉, 차량의 충돌부위에 승강 가능한 충격흡수시설을 설치하므로서, 차량이 교각에 충돌시 교각으로 전해지는 충격에 따른 외력을 흡수 및 완화시켜 교각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로인한 교각의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충돌시 발생되는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교각과 차량, 탑승자 모두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상부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교각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부로 넓어지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원판형 오름판과;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며, 중앙이 수직관통되어 교각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하부와 연장되는 수직부가 형성된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의 경사부는 교각삽입공을 중심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물수용부를 갖는 다수의 저수통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하나의 저수통에는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구(29a)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통의 물수용부와 연통되는 물수용부가 형성된 완충승강구와;
상기 완충승강구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각에 결착되며,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의 외측면에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외주면 중간부에 식재함이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로 플랜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시 링을 이루는 분할된 다수의 결착구와;
상단에 스프링지지홈과 힌지공이 형성되어 결착구의 플랜지부에 볼트를 축으로 스프링 탄설 결합되며, 하단에 롤러가 축설되어 상기한 완충승강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압바와;
상기 완충승강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바의 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이 절곡되어 완충승강구에 볼트 체결되는 절곡링형의 이탈방지캡으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은 교각(1)에 삽입되어 교각기초(2)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오름판(10)과, 상기 오름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완충승강구(20)와, 상기 완충승강구(20)와 상부로 이격되어 교각(1)에 결착되는 결착구(30)(30')와, 완충승강구(20)와 결착구(30)(30')를 연결하는 가압바(40)(40')와, 상기 완충승강구(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캡(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름판(10)은, 원판 형상으로 그 재질로는 플라스토머재의 특수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부에 평평한 안착면(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11)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교각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11)의 외둘레는 안착면(1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점차 넓어지는 완만한 경사면(13)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일정한 중량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완충승강구(20)는, 상기한 오름판(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는 나팔형 원통형으로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를 감싸는 고무재의 링형 완충부재(25)로 구성된 것으로,
몸체(21)는, 중앙이 수직관통되어 교각삽입공(22)이 형성되고,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좋아지는 경사부(23)와 상기 경사부(23)의 하부와 연장되는 수직부(24)로 구성된다,
여기서, 경사부(23)는 교각삽입공(22)을 중심으로 몸체(21)의 외둘레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6)(26')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26)(26')에 의해 4등분 구획되어 내부에 물수용부(28)가 형성된 다수의 저수통(27)(27')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통(27)(27')중 어느 하나에는 물을 주입키위한 물주입구(29a)가 마개(29)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수직부(24)는 교각삽입공(22)을 중심으로 둘레 내부에 물수용부(28')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경사부(23)의 저수통(27)(27')에 형성된 물수용부(28)와 수직부(24)에 형성된 물수용부(28')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경사부(23)의 저수통(27)(27')의 물수용부(28)에 물을 주입시 수직부(24)의 물수용부(28')까지 물이 충전되는 것이다.
완충부재(25)는, 상기한 몸체(2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링형으로 몸체(21)의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착구(30)(30')는, 완충승강구(20)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각(1)에 결착되는 4분할된 호형 판으로 그 재질로는 금속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각각의 결착구(30)(30') 양단에는 플랜지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31)(31')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32)가 돌출형성되며, 외주면 중간부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식재함(33)이 형성되며, 볼트(34)와 너트(35)로 각각의 결착구(30)(30')의 플랜지부(31)(31')에 의해 교각(1)에 결합되며, 서로 결합된 결착구(30)(30')는 링을 이루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볼트(34)는 일측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34)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바(40)(40')는, 봉상으로 상기한 완충승강구(20)와 결착구(30)(30')를 연결하며, 그 재질로는 금속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상단에 수직절개되어 스프링지지홈(41)이 형성되고, 수평상으로 힌지공(42)이 형성되어 결착구(30)(30')가 서로 결합시 플랜지부(31)(31')의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34)와 너트(35) 체결시 볼트(34)를 축으로 스프링(43) 탄설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롤러(44)가 축설되어 상기한 완충승강구(20)의 가이드홈(26)(26')에 삽입되어 경사부(23)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볼트(34)에 삽입되는 스프링(43)은, 그 일단이 전기한 결착구(30)(30')의 지지돌기(32)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가압바(40)(40')의 스프링지지홈(41)에 지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캡(50)은, 완충승강구(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외측이 하향 절곡되어 완충승강구(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며 볼트(51) 체결되고, 상부는 몸체(21)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롤러(44)가 축설된 가압바(40)(40')의 하부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설치상태와 이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은 고가도로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교각(1)에 차량이 충돌시 그 파손이나 차량의 손상 및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그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충격흡수시설을 교각(1)의 하부에 설치키 위해서는 먼저, 오름판(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오름판(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교각(1)에 삽입후 그 교각(1)의 하부 교각기초(2)의 상부에 안착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름판(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완충승강구(20)가 설치되는 것으 로, 먼저, 몸체(21)의 하부로 부터 완충부재(25)를 삽입 결합하면 되는 것이며, 완충부재(25)가 결합된 완충승강구(20)는 교각(1)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되어 오름판(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완충승강구(20)의 물수용부(28)(28')에는 일정량의 물이 충전되는 것으로, 완충승강구(20)가 일정량의 중량을 가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승강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결착구(30)(30')가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결착구(30)(30')는 그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1)(31')에 의해 볼트(34)와 너트(35)로 체결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한 완충승강구(20)의 상부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각(1)의 둘레에 결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결착구(30)(30')에 형성된 식재함(33)에는 주변 환경을 개선키 위한 꽃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결착구(30)(30')의 설치와 동시에 가압바(40)(40')의 설치가 이루어 지는 것으로, 가압바(40)(40')는 그 상단에 형성된 힌지공(42)에 의해 각각의 결착구(30)(30') 결합시 그 플랜지부(31)(31')의 사이에서 스프링(43)과 함께 볼트(34)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가압바(40)(40')의 하단부는 전기한 완충승강구(20)에 형성된 가이드홈(26)(26')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축설된 롤러(44)에 의해 가이드홈(26)(26') 내에서 이동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스프링(43)은 일단이 결착구(30)(30')의 지지돌기(32)에 지지되고 타단이 가압바(40)(40')의 스프링지지홈(41)에 지지되므로 가압바(40)(4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외력을 부여하여 그 가압바(40)(40')에 의해 완충승강구(20)에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이 작용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착구(30)(30')와 가압바(40)(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한 완충승강구(2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캡(50)이 결합되는 것으로, 완충승강구(20)의 상부 외측면에 볼트(51) 결합되며, 그 상부면은 완충승강구(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바(40)(40')의 하단부 롤러(44)의 이탈을 방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본 발명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의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 충격흡수시설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전기와 같이 결합되어 교각(1)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결착구(30)(30')의 식재함(33)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로 환경의 개선 시설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차량이 진행중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교각(1)에 충돌시에는, 차량은 하단부에 형성된 오름판(10)의 경사면(13)을 타고 그 진행 방향이 상향 경사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차량은 완충승강구(20)의 경사부(23)에 충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경사부(23)에 충돌시 그 충돌에 따른 외력이 상부로 향하는 것인바, 1차적으로 완충부재(25)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고, 완충승강구(20)는 교각(1)을 중심으로 상승 슬라이딩 되면서 차량의 운동에너지의 감소와 함께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 되는 것이다.
이때, 완충승강구(20)에 충전된 물에 의해 그 완충승강구(20)가 일정한 중량 을 가지므로, 차량 충돌시 완충승강구(20)의 급속한 상승을 막아줌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압바(40)(40')는 완충승강구(20)에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을 가하며 지지되는 것으로, 완충승강구(20)가 승강시 롤러(44)에 의해 완충승강구(20)의 경사부(23)를 따라 스프링(43)의 압축과 함께 가이드홈(26)(26')을 따라 내측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완충승강구(20)의 원만한 상승을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진행중인 차량이 교각(1)에 충돌시 본 발명 충격흡수시설에 의해 교각(1)과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가도로의 교각 하부 즉, 차량의 충돌부위에 승강 가능한 충격흡수시설을 설치하므로서, 차량이 교각에 충돌시 교각으로 전해지는 충격에 따른 외력을 흡수 및 완화시켜 교각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로인한 교각의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충돌시 발생되는 차량의 파손 및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교각과 차량, 탑승자 모두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가도로의 하중을 지지하며, 교각기초(2)가 지중에 매설된 교각(1)에 있어서,
    상부에 안착면(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11)의 중앙에는 수직 관통된 교각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1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부로 넓어지는 완만한 경사면(13)을 갖는 원판형 오름판(10)과;
    상기 안착면(11)에 안착되며, 중앙이 수직관통되어 교각삽입공(22)이 형성되고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경사부(23)와 상기 하부와 연장되는 수직부(24)가 형성된원통형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부재(25)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21)의 경사부(23)는 교각삽입공(22)을 중심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6)(26')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물수용부(28)를 갖는 다수의 저수통(27)(27')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하나의 저수통(27)(27')에는 마개(29)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구(29a)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4)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통(27)(27')의 물수용부(28)와 연통되는 물수용부(28')가 형성된 완충승강구(20)와;
    상기 완충승강구(20)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각(1)에 결착되며, 양단에 플랜지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31)(31')의 외측면에 지지돌기(32)가 돌출형성되며, 외주면 중간부에 식재함(33)이 형성되고, 볼트(34)와 너트(35)로 플랜지부(31)(31')에 의해 서로 결합시 링을 이루는 분할된 다수의 결착구(30)(30')와;
    상단에 스프링지지홈(41)과 힌지공(42)이 형성되어 결착구(30)(30')의 플랜지부(31)(31')에 볼트(34)를 축으로 스프링(43) 탄설 결합되며, 하단에 롤러(44)가 축설되어 상기한 완충승강구(20)의 가이드홈(26)(26')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압바(40)(40')와;
    상기 완충승강구(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바(40)(40')의 이탈을 방지하며, 외측이 절곡되어 완충승강구(20)에 볼트(51) 체결되는 절곡링형의 이탈방지캡(5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KR1020070028537A 2007-03-23 2007-03-23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KR10075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7A KR100752147B1 (ko) 2007-03-23 2007-03-23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7A KR100752147B1 (ko) 2007-03-23 2007-03-23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47B1 true KR100752147B1 (ko) 2007-08-27

Family

ID=3861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37A KR100752147B1 (ko) 2007-03-23 2007-03-23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171A (zh) * 2020-11-29 2021-01-22 温州因非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桥墩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888505A (zh) * 2024-03-06 2024-04-16 中国水利水电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桥梁墩柱防护结构及防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809A (ja) * 1988-07-25 1990-0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カップラ
JPH0357786A (ja) * 1989-07-25 1991-03-13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ー等の収容装置
JPH0584094A (ja) * 1991-09-27 1993-04-06 Chisso Corp 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809A (ja) * 1988-07-25 1990-0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カップラ
JPH0357786A (ja) * 1989-07-25 1991-03-13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ー等の収容装置
JPH0584094A (ja) * 1991-09-27 1993-04-06 Chisso Corp 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3480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77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4094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171A (zh) * 2020-11-29 2021-01-22 温州因非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桥墩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888505A (zh) * 2024-03-06 2024-04-16 中国水利水电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桥梁墩柱防护结构及防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8325A2 (en) Impact attenuator
US6604888B2 (en) Energy absorbing safety barrier
KR20060065554A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209815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US20170081815A1 (en) Crash barrier system with different intervals
KR100752147B1 (ko) 고가도로 교각의 차량 충격 흡수시설
KR101359181B1 (ko) 능동형 방호울타리
KR101894561B1 (ko) 충격흡수장치를 강화한 도로 가이드레일
KR100712676B1 (ko) 가드레일 충격완화장치
KR101131438B1 (ko) 단부용 충격흡수시설물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714806B1 (ko)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20140037490A (ko) 차도의 안전용 가이드 레일
CN210597123U (zh) 一种城市道路用防撞吸能柱结构
KR20120038050A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017704B1 (ko) 완충형 교명주
KR20090102263A (ko) 도로설치용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KR200283318Y1 (ko) 충격흡수형 피.이 주름블록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249073Y1 (ko) 탄성봉을 이용한 차도 콘크리트 방호벽의 완충구조
KR200347251Y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