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88A -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88A
KR20090004988A KR20087025279A KR20087025279A KR20090004988A KR 20090004988 A KR20090004988 A KR 20090004988A KR 20087025279 A KR20087025279 A KR 20087025279A KR 20087025279 A KR20087025279 A KR 20087025279A KR 20090004988 A KR20090004988 A KR 20090004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terminal device
receive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2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673B1 (ko
Inventor
히로노리 이또
가즈노리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가 송신되면,DTMF 검출부(1O6)는, DTMF 신호를 검출해서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수신한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면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하고,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부, 화상 데이터 변환부, 절환기, DTMF 검출부, 제어 모듈, 축적 장치, 데이터 송신부

Description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MOVING IMAGE STORAGE SYSTEM, MOVING IMAGE STORAGE METHOD, AND MOVING IMAGE STORAGE PROGRAM}
본 발명은, 입력된 동화상을 변환해서 축적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회선 교환망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영상 전화 서비스나 동화상 배신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앞으로는, 회선 교환망이나 IMS(IP Multimedia Subsystem)/NGN(Next Generation Network) 망에서,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화상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고, 서버가 동화상 데이터를 배신하는 서비스가 보급되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제3세대(3GPP)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동화상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4(ISO/IEC 14496-2: 2003 "Information Technology Coding of Audio and Video Visual Objects-Part2: Visual")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MPEG-4에서는, 현 프레임의 화상만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인트라 모드와 과거의 프레임의 화상을 참조해서 부호화하는 인터 모드가 있다. 인트라 모드에서는, 입력 화소에 대하여 "매크로 블록"이라고 불리는 단위마다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가 행해진 후, DCT 계수가 가변 길이 부호화된다. 인터 모드에서는, 입력 화소와 과거의 프레임의 복호 화소 사이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한 차분 화소가 구해진다. 차분 화소에 대하여 DCT가 행해진 후, 움직임 벡터나 DCT 계수 등이 가변 길이 부호화된다.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경우, 단말 장치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송신되는 동화상 데이터에서의 지정된 구간의 데이터를 동화상 축적 장치에 축적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때, 축적 화상의 선두 프레임은, 재생시에 전 프레임의 화상을 참조할 수 없으므로, 선두 프레임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수신부(901)는, 단말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 데이터(900)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900)는, 화상 부호화에 관한 정보인 제어 데이터(902), 화상 데이터(903) 및 음성 데이터(904)를 포함한다. 제어 데이터(902)와 화상 데이터(9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905)에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905)는, 제어 데이터(902)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화상 데이터(903)의 선두 프레임을 인트라 모드의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를 절환기(906)에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904)는, 절환기(906)에 입력된다.
절환기(906)는, 변환 지시 신호(909)에 의해 변환 개시가 통지된 경우, 변환 지시 신호(909)에 의해 변환 종료가 통지될 때까지,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904)를 데이터 축적부(908)에 입력한다.
그런데, 동화상 축적 시스템이, 단말 장치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송신되는 동화상을 축적하는 경우, 단말 장치로부터 동화상 축적 시스템에, 축적의 개시나 종료의 지시를 송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말 장치의 조작자는, 축적의 개시나 종료의 지시 방법을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2002-232847호 공보(단락 0002-0005, 도 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축적의 개시나 종료에 대한 조작 방법에 관한 가이던스 화상을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송신되는 동화상을 축적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축적 시스템은,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해서 출력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출력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할 때에, 축적 개시 통지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혹은 음성, 또는 영상 및 음성을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축적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수신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 예를 들면, 패킷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패킷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수신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예를 들면, 다중화 신호)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동화상 축적 시스템은, 변환부에 의한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동기를 조정하는 동기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동화상 축적 시스템은, 인트라 모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동화상 축적 시스템은, 변환부에 의한 변환 후의 부호량이 변환 전의 부호량과 동일한 부호량으로 되도록 인트라 모드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장치로부터 동화상 축적 시스템에 축적의 개시나 종료의 지시를 송신하기 위해서, 동화상 축적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장치에 축적의 개시나 종료의 지시 방법을 제시하므로,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송신되는 동화상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1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A는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동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B는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동기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3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화상 데이터 변환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4 동작예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5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화상 데이터 변환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6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7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8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9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1O 동작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1)은, 패킷 교환망(5)에서의 동화상 축적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4)의 일예로서의 휴대 단말기와 동화상 축적 시스템(1) 사이에서, IETF RFC3261/RFC2327로 규정된 SIP/SDP에 기초하는 능력 교환을 행함으로써, 음성/화상 부호화에서의 파라미터 등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동화상 축적 시스템(1)은, 단말 장치(4)를 향해서 동화상 축적의 개시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축적 개시/종료 통지 방법)을 제시하는 가이던스를 송신한다. 동화상 축적 시스템(1)은, 단말 장치(4)로부터 수신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4)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축적한다. 또한,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신호로서, 예를 들면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가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1)은, 단말 장치(4)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수신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부(10)에 축적할 때에, 예를 들어 축적 개시를 통지하는 방법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던스의 영상과 예를 들어 축적 개시를 통지하는 방법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던스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 장치(4)에 송신하는 송신부(14)와, 단말 장치(4)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6)와, 검출부(16)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축적 개시시의 화 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이던스는, 단말 장치(4)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축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2)은, 회선 교환망(6)에서의 ITU-T의 규격인 H.324M에 기초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4)의 일예로서의 휴대 단말기와 동화상 축적 시스템(2) 사이에서, H.245에 기초하는 능력 교환을 행함으로써, H.223에 기초하는 제어/음성/화상 데이터의 다중화/분리와, 음성/화상 부호화에서의 파라미터 등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동화상 축적 시스템(2)은, 단말 장치(4)를 향해서 동화상 축적의 개시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가이던스를 송신한다. 동화상 축적 장치(2)는, 단말 장치(4)로부터 수신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4)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축적한다. 또한, 단말 장치(4)로부터의 지시 신호로서 DTMF 신호가 사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2)은, 단말 장치(4)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수신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부(10)에 축적할 때에, 예를 들어 축적 개시를 통지하는 방법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가이던스의 영상과 예를 들어 축적 개시를 통지하는 방법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가이던스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 장치(4)에 송신하는 송신부(24)와, 단말 장치(4)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6)와, 검출부(16)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축적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이던스는, 단말 장치(4)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게 된다.
동작예
제1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축적 시스템(동화상 축적 장치)의 제1 동작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1 실시예(도 2 참조)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예 및 제2∼제5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 신호로서,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수신부(11)에 상당하는 데이터 수신부(101)는, 단말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1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수신 음성 데이터(104) 및 DTMF 데이터(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102)는 제어 모듈(1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도 2에 도시된 변환부(15)에 상당하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DTMF 데이터(116)는, 도 2에 도시된 검출부(16)에 상당하는 DTMF 검출부(106)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1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호접속 및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SIP/SDP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를, 도 2에 도시된 송신부(14)에 상당하는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107)은, 수신 화상 데이터(103)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수신부(101)에 출력하고, 송신 화상 데이터(112)와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송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도 2에 도시된 축적부(10)에 상당하는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114)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송신 패킷(115)을 출력한다.
또한, 동화상 축적 장치를, 서버 장치 등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한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부(101)에서의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는 기능, 데이터 송신부(114)에서의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하는 기능,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 DTMF 검출부(106), 및 제어 모듈(107)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CPU로 실현된다.
단말 장치는,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로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 화 종료 지시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로서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부(101)는, DTMF 데이터(116)를 DTMF 검출부(106)에 출력한다. DTMF 검출부(106)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DTMF 데이터(116)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로서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제2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동작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1 실시예(도 2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부(1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1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수신 음성 데이터(104) 및 DTMF 데이터(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102)는 제어 모듈(1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DTMF 데이터(116)는 DTMF 검출부(106)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1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호접속 및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ETF RFC3261/RFC2327로 규격된 SIP/SDP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107)은, 수신 화상 데이터(103)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수신부(101)에 출력하고, 송신 화상 데이터(112)와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송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 모듈(1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 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114)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결과적인 송신 패킷(115)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로서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부(101)는, DTMF 데이터(116)를 DTMF 검출부(106)에 출력한다. DTMF 검출부(106)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DTMF 데이터(116)를 해석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 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음성 데이터와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시각정보를 부여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이 때, 녹화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은,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것에 의해, 변환 전의 부호량보다도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변환 개시 시각에서 화상과 음성을 동기시키면, 화상이 지연되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A에서의 프레임 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뒤로 시프트하여, 화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도록 조정한다. 즉,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에 의한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이 변환 전의 부호량에 대하여 변화한 경우에,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각에 관한 정보를 조정한다. 이 때, 화상의 선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재생시에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의 선두에 대응시켜서 무음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3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동작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1 실시예(도 2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부(1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1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수신 음성 데이터(104) 및 DTMF 데이터(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102)는 제어 모듈(1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DTMF 데이터(116)는 DTMF 검출부(106)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1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호접속 및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ETF RFC3261/RFC2327로 규격된 SIP/SDP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107)은, 수신 화상 데이터(103)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수신부(101)에 출력하고, 송신 화상 데이터(112)와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송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114)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송신 패킷(115)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로서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수신을 하면, 데이터 수신부(101)는, DTMF 데이터(116)를 DTMF 검출부(106)에 출력한다. DTMF 검출부(106)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DTMF 데이터(116)를 해석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여기에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 사이즈를 미리 정한 목표값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화상 복호부(701)와, 부호량 제어 모듈(705)과, 화상 부호화부(70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복호부(701)는, 복호시에 얻어진 복호시의 양자화 정밀도인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와, MPEG-4 방식으로 부호화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에서의 프레 임 단위, 혹은 매크로 블록 단위, 또는 매크로 블록의 집합인 비디오 패킷 단위의 수신 부호량(703)을 부호량 제어 모듈(705)에 출력한다.
부호량 제어 모듈(705)은,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 수신 부호량(703) 및 목표 부호량(704)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시의 양자화 정밀도(706)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화상 부호화부(707)에 출력한다. 화상 부호화부(707)는, 양자화 정밀도(706)에 따라서 양자화를 행하여, 화상 부호화를 실행한다.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는, 화상 복호부(701)가 복호를 행할 때에 얻어지는 파라미터이며, 부호화후의 부호량이 목표 부호량(704)에 근접하도록 부호화를 제어할 때에 유효한 정보로 된다.
예를 들면, 수신 부호량(703)이 목표 부호량(704)보다도 큰 경우에는, 부호량 제어 모듈(705)은,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보다도 부호화시 양자화 정밀도(706)를 거칠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부호화시의 양자화 정밀도(706)를 가장 거친 레벨로 설정해도 목표 부호량(704)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호화시에 DCT 계수의 고차의 값 중 몇 개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출력하는 부호량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목표 부호량(704)을 설정함으로써, 화상 부호화부(707)가 부호화한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이 크게 변동되는 것을 막는다.
도 7에 도시하는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 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제4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동작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1 실시예(도 2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부(1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1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수신 음성 데이터(104) 및 DTMF 데이터(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102)는 제어 모듈(1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DTMF 데이터(116)는 DTMF 검출부(106)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1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호접속 및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ETF RFC3261/RFC2327로 규격된 SIP/SDP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107)은, 수신 화상 데이터(103)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수신부(101)에 출력하고, 송신 화상 데이터(112)와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송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114)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송신 패킷(115)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로서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수신을 하면, 데이터 수신부(101)는, DTMF 데이터(116)를 DTMF 검출부(106)에 출력한다. DTMF 검출부(106)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DTMF 데이터(116)를 해석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에 예시 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된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음성 데이터와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시각정보를 부여하고, 이 데이터들을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이 때, 녹화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은,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것에 의해, 변환 전의 부호량보다도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변환 개시 시각에서 화상과 음성을 동기시키면, 화상이 지연되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A에서의 프레임 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뒤로 시프트하여, 화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도록 조정한다. 이 때, 화상의 선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재생시에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무음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5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동작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는,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1 실시예(도 2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부(1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패킷(100)을 해석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1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수신 음성 데이터(104) 및 DTMF 데이터(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102)는 제어 모듈(1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DTMF 데이터(116)는 DTMF 검출부(106)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1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호접속 및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ETF RFC3261/RFC2327로 규격된 SIP/SDP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107)은, 수신 화상 데이터(103)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수신부(101)에 출력하고, 송신 화상 데이터(112)와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송신하는 포트 번호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114)는, 송신 제어 데이터(1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송신 패킷(115)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로서 IETF RFC2833에 기초하는 DTMF 신호를 수신을 하면, 데이터 수신부(101)는, DTMF 데이터(116)를 DTMF 검출부(106)에 출력한다. DTMF 검출부(106)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DTMF 데이터(116)를 해석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1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1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1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여기에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 사이즈가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과 동일해지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화상 복호부(701)와, 부호량 제어 모듈(805)과, 화상 부호화부(70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복호부(701)는,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와, MPEG-4 방식으로 부호화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에서의 프레임 단위, 혹은 매크로 블록 단위, 또는 매크로 블록의 집합인 비디오 패킷 단위의 수신 부호량(703)을 부호량 제어 모듈(805)에 출력한다.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는, 화상 복호부(701)가 복호를 행할 때에 얻어지는 파라미터이며, 부호화 후의 부호량이 수신 부호량(703)에 근접하도록 부호화를 제어할 때에 유효한 정보로 된다.
부호량 제어 모듈(805)은, 복호시 양자화 정밀도(702)와 수신 부호량(70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시의 양자화 정밀도(706)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화상 부호화부(707)에 출력한다. 부호량 제어 모듈(805)은, 변환 후의 부호량(화상 부호화부(707)가 부호화했을 때의 부호량)이 변환 전의 부호량(화상 복호부(701)가 복호 하기 전의 부호량)과 동일한(어느 정도의 오차는 허용되는) 부호량으로 되도록 양자화 정밀도(706)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서도, 화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제6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동작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선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2 실시예(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또한, 본 동작예 및 제7∼제10 동작예에서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지시 신호로서 DTMF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수신부(21)에 상당하는 데이터 분리부(2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중화된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로부터 수신 제어 데이터(2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및 수신 음성 데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202)는 제어 모듈(2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도 3에 도시된 변환부(15)에 상당하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도 3에 도시된 검출부(16)에 상당하는 DTMF 검출부(206)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2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TU-T 규격인 H.245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를, 도 3에 도시된 송신부(24)에 상당하는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202)에 포함되는 다중화에 관한 능력 정보(다중화 테이블이나 다중 AL-SDU 사이즈 다중화 및 분리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최대값 등)를 데이터 분리부(201)와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리부(201)는,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의 분리를 행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중화를 행한다.
또한, 동화상 축적 장치를, 서버 장치 등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한 경우에는, 데이터 분리부(201)에서의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능, 데이터 다중화부(214)에서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기능,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 DTMF 검출부(206), 및 제어 모듈(207)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CPU로 실현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2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도 3에 도시된 축적부(10)에 상당하는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화하고, 송신 다중화 데이터(215)를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가 송신 되면,DTMF 검출부(206)는, 수신 음성 데이터(104)로부터 얻어진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DTMF 신호를 검출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2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2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 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2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제7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선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2 실시예(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분리부(2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중화된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로부터 수신 제어 데이터(2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및 수신 음성 데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202)는 제어 모듈(2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 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DTMF 검출부(206)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2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TU-T 규격인 H.245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202)에 포함되는 다중화에 관한 능력 정보(다중화 테이블이나 다중 AL-SDU 사이즈 다중화 및 분리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최대값 등)를 데이터 분리부(201)와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리부(201)는,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의 분리를 행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중화를 행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2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수신한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화하고, 송신 다중화 데이터(215)를 출력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가 송신 되면,DTMF 검 출부(206)는, 수신 음성 데이터(104)로부터 얻어진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DTMF 신호를 검출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2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2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2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로부터 출력된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음성 데이터와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시각정보를 부여하고, 이 데이터들을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이 때, 녹화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은,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것에 의해, 변환 전의 부호량보다도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변환 개시 시각에서 화상과 음성을 동기시키면, 화상이 지연되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A에서의 프레임 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뒤로 시프트하여, 화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도록 조정한다. 이 때, 화상의 선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재생시에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무음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8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동작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회선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2 실시예(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분리부(2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중화된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로부터 수신 제어 데이터(2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및 수신 음성 데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202)는 제어 모듈(2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DTMF 검출부(206)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2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TU-T 규격인 H.245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202)에 포함되는 다중화에 관한 능력 정보(다중화 테이블이나 다중 AL-SDU 사이즈 다중화 및 분리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최대값 등)를 데이터 분리부(201)와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리부(201)는,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의 분리를 행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 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중화를 행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2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화하고, 송신 다중화 데이터(215)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가 송신되면,DTMF 검출부(206)는, 수신 음성 데이터(104)로부터 얻어진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DTMF 신호를 검출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2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2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2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입력된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절환기(108)는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제9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 동작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회선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2 실시예(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분리부(2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중화된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로부터 수신 제어 데이터(2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및 수신 음성 데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202)는 제어 모듈(2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DTMF 검출부(206)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2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TU-T 규격인 H.245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202)에 포함되는 다중화에 관한 능력 정보(다중화 테이블이나 다중 AL-SDU 사이즈 다중화 및 분리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최대값 등)를 데이터 분리부(201)와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리부(201)는,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의 분리를 행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중화를 행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2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화하고, 송신 다중화 데이터(215)를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녹화 개시 지시 또는 녹화 종료 지시가 송신되면,DTMF 검출부(206)는, 수신 음성 데이터(104)로부터 얻어진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함으 로써 DTMF 신호를 검출하고, DTMF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어 모듈(207)에 출력한다.
제어 모듈(207)은,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개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 개시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DTMF 신호의 검출 결과가 녹화 종료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모듈(207)은 녹화 종료 지시를,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와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면 그 시각에서의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절환기(108)에 출력한다. 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05)는, 입력으로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103)를 항상 복호해 놓고,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으로서 수신되었을 때에, 복호 화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는, 제3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2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미디어 동기 모듈(109)에 출력한다.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음성 데이터와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시각정보를 부여하고, 이 데이터들을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이 때, 녹화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은,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것에 의해, 변환 전의 부호량보다도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변환 개시 시각에서 화상과 음성을 동기시키면, 화상이 지연되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A에서의 프레임 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뒤로 시프트하여, 화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도록 조정한다. 이 때, 화상의 선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재생시에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동기 모듈(109)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무음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10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 동작예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예는, 회선 교환망에서 이용되는 제2 실시예(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데이터 분리부(201)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중화된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로부터 수신 제어 데이터(202), 수신 화상 데이터(103) 및 수신 음성 데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수신 제어 데이터(202)는 제어 모듈(207)에 출력된다. 수신 화상 데이터(103)는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수신 음성 데이터(104)는 DTMF 검출부(206)와 절환기(108)에 출력된다.
제어 모듈(207)은, 통신 개시시에 단말 장치와 동화상 축적 장치 사이의 능력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ITU-T 규격인 H.245에 기초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하고, 수신 제어 데이터(202)에 포함되는 다중화에 관한 능력 정보(다중화 테이블이나 다중 AL-SDU 사이즈 다중화 및 분리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최대값 등)를 데이터 분리부(201)와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리부(201)는, 수신 다중화 데이터(200)의 분리를 행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는, 송신 제어 데이터(211),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중화를 행한다.
능력 교환이 종료하면, 제어 모듈(207)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축적 장치(110)는, 가이던스 동화상 송신 지시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가이던스 동화상에 대응하는 송신 화상 데이터(112) 및 송신 음성 데이터(113)를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가이던스 동화상은, 예를 들면, "녹화를 개시할 때에는 '0'번을, 녹화를 종료할 때는 '1'번을 눌러 주십시요"라고 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제5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 사이즈가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과 동일해지도록 제어한다. 즉,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는, 제5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제5 동작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화상 데이터 변환부(135)로부터 출력되고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녹화 개시 시각부터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화상 데이터(103)를 계속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또한, 절환기(108)는, 녹화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녹화 종료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수신 음성 데이터(104)를 축적 장치(11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회선 교환망이나 패킷 교환망에서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전화 서비스나 동화상 배신 서비스로부터 수신한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배신하는 것과 같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해서 적절히 적용된다.

Claims (11)

  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축적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해서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출력으로서 제공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할 때에, 축적 개시 통지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혹은 음성, 또는 영상 및 음성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축적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
    를 구비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 의한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동기를 조정하는 동기 모듈을 더 구비한 동화상 축적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모드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량이 미리 정해진 값으로 되도록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 모듈을 더 구비한 동화상 축적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 의한 변환 후의 부호량이 변환 전의 부호량과 동일한 부호량으로 되도록 인트라 모드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구비한 동화상 축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통지 신호로서 송신된 DTMF 신호를 검출하는 동화상 축적 시스템.
  8.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축적하는 동화상 축적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 는 신호를 수신해서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출력으로서 제공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할 때에, 축적 개시 통지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혹은 음성, 또는 영상 및 음성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얻은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축적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동화상 축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축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축적 방법.
  1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화상을 축적하는 동화상 축적 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 는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할 때에, 축적 개시 통지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혹은 음성, 또는 영상 및 음성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검출하는 처리와,
    검출된 통지 신호에 따라서 축적 개시시의 화상 데이터를 인트라 모드로 변환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기 위한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
KR20087025279A 2006-03-27 2006-12-08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972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86582 2006-03-27
JP2006086582 2006-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88A true KR20090004988A (ko) 2009-01-12
KR100972673B1 KR100972673B1 (ko) 2010-07-27

Family

ID=3854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5279A KR100972673B1 (ko) 2006-03-27 2006-12-08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7772B2 (ko)
EP (1) EP2012539A4 (ko)
JP (1) JP4662085B2 (ko)
KR (1) KR100972673B1 (ko)
CN (1) CN101401423A (ko)
CA (1) CA2643495A1 (ko)
WO (1) WO2007111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148A (ko) * 2014-09-22 2016-03-31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3877B1 (fr) * 2009-03-24 2014-04-04 Streamwide Procede et dispositif de stockage d'une partie d'un flux video
CN101646058B (zh) * 2009-08-25 2012-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视电话业务中传送视频、音频或图片的方法和系统
KR101328173B1 (ko) * 2009-12-11 2013-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감 통신 방법
JP6056124B2 (ja) * 2011-09-05 2017-0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427A (ja) 1993-03-23 1994-09-30 Sony Corp 動画像音声制御装置
DE69422960T2 (de) 1993-12-01 2000-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ditieren oder zur Mischung von komprimierten Bildern
JP3188081B2 (ja) * 1993-12-01 2001-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JP3300561B2 (ja) * 1995-02-28 2002-07-08 株式会社東芝 可変レート圧縮装置及び可変レート伸長装置
JPH10164556A (ja) * 1996-12-02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コーダ、エンコーダ、および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JPH10243399A (ja) 1997-02-25 1998-09-11 Sharp Corp 符号量制御装置及び該符号量制御装置を含む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0078531A (ja) * 1998-04-28 2000-03-14 Hitachi Ltd オ―ディオデ―タ編集方法、編集システム
US6339760B1 (en) * 1998-04-28 2002-01-15 Hitachi, Ltd.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ecoded audio and video by adding dummy data to compressed audio data
JP2000206994A (ja) * 1999-01-20 2000-07-28 Victor Co Of Japan Ltd 音声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4029525B2 (ja) * 1999-08-20 2008-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1339460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送受信装置
JP2002016924A (ja) * 2000-06-27 2002-01-18 Nec Corp トランスコーダ装置およびトランスコード方法
JP3671842B2 (ja) * 2000-12-28 2005-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圧縮化/データ変換装置及び符号圧縮化/データ変換方法
JP3857057B2 (ja) 2001-02-05 2006-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2300528A (ja) 2001-03-30 2002-10-11 Toshiba Corp ビデオストリーム編集方法及び装置
JP3749216B2 (ja) * 2002-10-31 2006-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映像音声記録装置
JP4385317B2 (ja) * 2003-10-31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電話装置
JP2005229547A (ja) 2004-02-16 2005-08-25 Hiroyasu Mikabe 録画方法、録画システム、再生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
US20050232497A1 (en) * 2004-04-15 2005-10-20 Microsoft Corporation High-fidelity transcoding
WO2006016437A1 (ja) * 2004-08-11 2006-02-16 Ginganet Corporation テレビ電話交番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148A (ko) * 2014-09-22 2016-03-31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1423A (zh) 2009-04-01
EP2012539A4 (en) 2011-05-11
KR100972673B1 (ko) 2010-07-27
JPWO2007111006A1 (ja) 2009-08-06
US8237772B2 (en) 2012-08-07
US20090207317A1 (en) 2009-08-20
EP2012539A1 (en) 2009-01-07
WO2007111006A1 (ja) 2007-10-04
CA2643495A1 (en) 2007-10-04
JP4662085B2 (ja)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224B1 (ko) 영상 통신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66446B1 (ko) 버퍼 제어 방법, 중계 장치, 통신 시스템
US66148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l macroblock coding for intra-frame data in video conferencing systems
JP2016026426A (ja) 適応可変長符号化
KR20100122518A (ko) 게이트웨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ZA200304086B (en) Switching between bit-streams in video transmission.
JP4983917B2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変換装置および動画像配信方法
JP5365805B2 (ja) 動画像変換装置、動画像変換方法、および動画像変換プログラム
KR100922119B1 (ko) 제어 정보의 변환 장치 및 제어 정보의 변환 방법
KR100972673B1 (ko)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77923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pseudo-coded reference data
US8229000B2 (en) Moving image conversion method, moving image conversion apparatus, moving image conversion system, and server apparatus, and program
KR101100458B1 (ko) 콘텐츠 배신 시스템, 변환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콘텐츠 배신 방법
WO2002005558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multimedia
KR100798162B1 (ko) 동화상 압축 부호화 방식 변환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시스템
JP2005192073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装置
WO2010027082A1 (ja) カンファレンスサーバとビデオカンファレンスシステムと方法並びプログラム
KR20060057007A (ko) 동화상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20033798A (ko)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
JP2007336260A (ja) 映像監視装置
MX2008010599A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imagen movil, metodo de almacenamiento de imagen movil, y programa de almacenamiento de imagen movil
Murugan Multiplexing H. 264 video with AAC audio bit streams, demultiplexing and achieving lip synchronization during playback
JP2007267124A (ja) 画像符号化データ伝送装置
JP2002118850A (ja)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