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98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98A
KR20090004698A KR1020080064150A KR20080064150A KR20090004698A KR 20090004698 A KR20090004698 A KR 20090004698A KR 1020080064150 A KR1020080064150 A KR 1020080064150A KR 20080064150 A KR20080064150 A KR 20080064150A KR 20090004698 A KR20090004698 A KR 2009000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isplay
image
ope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로 하마기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크로스토크 영역의 발생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제1과 제2 방향의 각각에, 제1 및 제2 화상을 표시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셀과 제2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셀이 소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제1 및 제2 표시 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개구부를 갖는 광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수단은,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표시 셀로부터의 광을 각각 제1과 제2 방향으로 출사한다. 제1 및 제2 표시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셀의 각각은, 제2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구획하고, 또한,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을 셀 간격보다도 좁게 제한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있다. 제1 표시 셀의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은, 제2 표시 셀의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과 서로 다르다.
표시 셀, 표시 패널, 크로스토크 영역, 차광 영역, 색 변환 셀, 광원 셀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의 각각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의 전면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배리어(이미지 스플리터)를 배치하고, 액정 패널의 좌우의 2개의 관찰 위치의 각각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분리함으로써, 단일의 액정 패널에 의해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8-136909호 공보
그러나, 액정 패널의 전면 부근에는 2개의 화상이 분리되지 않고, 2개의 화상이 서로 겹쳐서 표시되는 영역(「크로스토크 영역」이라고 불림)이 발생한다. 이 크로스토크 영역은, 2개의 화상의 각각의 시인에 적합한 적시 위치와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 영역이 액정 패널의 전면 부근으로부터 벗어나면, 2개의 화상의 각각 적시 위치도 크로스토크 영역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그 때문에, 크로스토크 영역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없었다. 이 문제는, 2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뿐만 아니라, 복수의 화상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일반에 공통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화상의 각각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크로스토크 영역의 발생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제1 방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는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셀을 갖는 복수의 표시 셀을 구비하고, 소정의 셀 간격으로 상기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표시 셀이 소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표시 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표시 셀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표시 셀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의 각각은,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을 상기 셀 간격보다도 좁게 제한하는 차광 영 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은, 상기 제2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과 서로 다른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제1 표시 셀의 제2 개구부의 개구폭을, 제2 표시 셀의 제2 개구부의 개구폭과 서로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제1 화상과 제2 화상과의 표시 범위의 폭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1 화상과, 제2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2 화상이 중복하는 크로스토크 영역의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의 각각에서,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소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제2 표시 셀로서의 제1 셀, 상기 제1 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표시 셀로서의 제2 셀, 상기 제2 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표시 셀로서의 제3 셀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제1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2 화상과 제2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1 화상과의 크로스토크 영역의 폭을, 제2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1 화상과 제3 셀에 의해 표시되는 제2 화상과의 크로스토크 영역의 폭보다도 좁게 할 수 있 다.
[적용예 3]
적용예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크로스토크 영역의 폭이 제1 개구부의 소정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되므로, 크로스토크 영역을 양호하게 축소할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셀은, 상기 화상 광을 생성하기 위한 1차광을 사출하는 광원 셀과, 상기 광원 셀보다도 상기 광학 수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광을 상기 화상 광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셀을 갖고 있고, 상기 셀 간격은, 상기 광원 셀에서 상기 1차광의 변조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광원 셀의 구조 상의 간격인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1차광을 사출하는 광원 셀의 변조 영역을 결정하는 광원 셀의 구조 상의 간격이 소정의 셀 간격으로 유지되므로, 광원 셀의 변조 영역을 결정하는 구조의 제조가 보다 용이해진다.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차량 탑재용의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차량의 운전수에게 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 른 폭은, 상기 제2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제시하는 제1 화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운전자측으로 축소된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정면측에서, 운전자에게 제시하는 화상과는 다른 제2 화상만을 시인 가능한 영역이 넓어져, 차량의 동승자가 제2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적용예 6]
제1과 제2 화상의 각각을, 분리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부화소와,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부화소가, 상기 분리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제1 부화소와 상기 복수의 제2 부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사출되는 화상 광을, 각각 대응하는 상기 2개의 관찰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화소의 각각의 상기 분리 방향의 유효폭은, 상기 복수의 제2 부화소의 각각의 유효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제1 부화소의 유효폭이 제2 부화소의 유효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화상의 표시 범위는, 제2 화상의 표시 범위보다도 좁아진다. 그 때문에,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겹쳐서 표시되는 크로스토크 영역이 좁아진다.
[적용예 7]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화상의 각각을, 분리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N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분리 방향으로 소정의 셀 간격으로 배치된 표시 셀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분리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N개의 표시 셀로 이루어지는 표시 셀 열로부터의 N개의 화상 광을, 각각 대응하는 상기 N개의 관찰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 개구부를 각 표시 셀 열마다 갖는 배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셀은, 상기 표시 셀의 상기 분리 방향의 개구폭을 상기 셀 간격보다도 좁게 제한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표시 셀 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셀의 개구폭은, 다른 표시 셀의 개구폭과 서로 다른 화상 표시 장치.
이 적용예에 따르면, 적어도 1개의 특정한 표시 셀의 개구폭을 다른 표시 셀의 개구폭과 서로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특정한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범위의 폭을, 다른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범위폭과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특정한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과, 특정한 표시 셀에 인접하는 인접 표시 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 중복하는 크로스토크 영역의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양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 그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한 컴퓨터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그 밖의 표시 장치 등의 양태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 다.
A. 제1 실시예:
B. 제2 실시예:
C. 변형예:
A.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10)는, 광원으로서의 백라이트(100)와, 액정 패널(200)과, 액정 패널(20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액정 패널(200)의 중심부를 액정 패널(200)의 상측(지면 상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0)에서, 액정 셀 PX1, PX2가, 가로 방향(지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액정 패널(200)의 중심 부근의 일부분의 액정 셀 PX1, PX2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러(500)에는, 제1 화상 IMG1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IMG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컨트롤러(500)는, 입력된 2개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액정 패널(200)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액정 패널(200)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0)가 차량에 탑재되는 구성에서는, 제1 화상 IMG1로서는, 텔레비전 수상 화상 등이 상정되고, 제2 화상 IMG2로서는, 운전자에게 제시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화상 등이 상정된다.
액정 패널(200)은, 제1 글래스 기판(210)과, 액정층(220)과, 필터층(230)과, 제2 글래스 기판(240)과, 배리어(250)를 이 순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200)에는, 2매의 편광판이 형성되어 있지만, 편의상 그 도시를 생략한다.
제1 글래스 기판(210)의 액정층(220)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화소 전극이, 가로 방향(지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액정층(220)의 개개의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액정층(220)의 영역(액정 셀) PX1, PX2에서는, 컨트롤러(500)로부터 화소 전극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서,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되고, 액정 셀 PX1, PX2에서의 편광면의 회전량이 변화된다. 컨트롤러(500)로부터는, 액정 셀 PX1에 대해서는, 제1 화상 IMG1에 기초하여 생성된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액정 셀 PX2에 대해서는, 제2 화상 IMG2에 기초하여 생성된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이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셀 PX1, PX2의 간격은, 액정 셀 PX1, PX2에 의한 편광면의 변조 범위를 결정하는 화소 전극의 간격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2 글래스 기판(240) 상에 형성되는 필터층(230)은, RGB의 3색의 컬러 필터를 갖고 있다. 필터층(230)에서는, 이들 RGB의 3색 중의 어느 하나의 색의 필터가, 액정층(220)의 개개의 액정 셀 PX1, PX2에 대응지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개개의 액정 셀 PX1, PX2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필터를 「필터 요소」라고도 부른다.
배리어(250)는, 광을 투과하지 않는 차광층(252)을 글래스 기판(254) 상에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배리어(250)에서, 차광층(252)이 형성된 영역을 「차광부」라고도 부르고, 차광층(2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개구부」라고도 부른다.
백라이트(100)로부터 액정 패널(200)에 입사한 백색광은, 도시하지 않은 2매의 편광판과 액정층(220)을 거침으로써, 액정 셀 PX1, PX2에서의 편광면의 회전량에 따라서 강도가 변조된다. 또한, 필터층(230)에서, 개개의 필터 요소를 통과함으로써 백색광은, RGB의 3색의 화상 광으로 변환된다. 3색의 화상 광은, 배리어(250)를 통하여 액정 패널(200)의 외부에 사출된다. 또한, 이와 같이 액정 셀과 그 액정 셀에 대응지어진 필터 요소에 의해, 화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화상 광이 사출되므로, 액정 셀과 그 액정 셀에 대응지어진 필터 요소를 아울러 「표시 셀」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한, 액정 셀은, 화상 광을 생성하기 위한 백색광(1차광)을 사출한다고도 할 수 있으므로, 액정 셀을 「광원 셀」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한, 필터 요소는, 백색광을 RGB의 3색의 화상 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색 변환 셀」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0)에서, 액정층(220)과 필터층(230)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화상 광을 사출하는 표시 셀을 갖고 있으므로, 액정층(220)과 필터층(230)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표시 패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에서는, 액정 패널(200)로부터 사출되는 화상 광이 배리어(250)의 개구부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제1 화상 IMG1과 제2 화상 IMG2가 가로 방향(분리 방향)으로 분리하여 표시된다. 그리고, 제1 적시 위치 XM1의 관찰자 OBS1은 제1 화상 IMG1을 관찰할 수 있고, 제2 적시 위치 XM2의 관찰자 OBS2는 제2 화상 IMG2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시 위치란, 설계상, 대응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최적 위치를 의미한다.
도 2는, 액정 패널(200)(도 1)의 배리어(250)와 액정층(220)과 필터층(230)과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e)는, 액정 패널(200)의 중심부를, 백라이트(100)측(이하, 「광원측」이라고도 부름)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e)에서, 일점쇄선은, 액정 패널(200)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세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고, 이점쇄선은, 액정 패널(200)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가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 중심선과 가로 중심선과의 교점 CP는, 액정 패널(200)의 중심 위치이다.
도 2의 (a)는, 배리어(2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예의 배리어(250)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개구부 APL, APM, APR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 위치 CP 상의 개구부 APM은, 액정 패널(200)의 중심 위치 CP와 개구부 APM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개구부의 간격은, 가로 피치 P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의 개구부 APL, APM, APR을 갖는 배리어는, 일반적으로, 「스트라이프 배리어」라고 불린다.
도 2의 (b)는, 액정층(220)에 형성되는 액정 셀 PX1, PX2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c)는, 중심 위치 CP 근방의 2개의 액정 셀의 확대도이다. 도 2의 (b) 및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중심선의 근방에서, 액정 셀은,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액정 셀의 경계가 세로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중심선 상의 액정 셀의 중심은, 가로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액정 셀은, 가로 방향의 간격이 가로 피치 H로 설정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간격이 세로 피치 V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액정 셀 PX1, PX2의 가로 피치 H와, 개구부의 가로 피치 P는, 배리어(250)와 필터층(230)과의 거리나, 2개의 화상 IMG1, IMG2(도 1)의 적시 위치 XM1, XM2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액정 셀 PX1, PX2의 세로 피치 V는, 적시 위치 XM1, XM2에서 관찰되는 화상 IMG1, IMG2의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중심선에 인접하는 2개의 액정 셀을 거친 광은, 모두 세로 중심선 상의 개구부 APM을 통과하여 액정 패널(200)로부터 사출된다. 또한, 중심부의 액정 셀의 지면 우측(이하, 간단히 「우측」이라고 함)에 위치하는 2개의 액정 셀을 거친 광은, 세로 중심선 상의 개구부 APM보다도 우측의 개구부 APR을 통과하여 액정 패널(200)로부터 사출된다. 마찬가지로, 지면 좌측(이하, 간단히 「좌측」이라고 함)에 위치하는 2개의 액정 셀을 거친 광은, 세로 중심선 상의 개구부 APM보다도 좌측의 개구부 APL을 통과하여 액정 패널(200)로부터 사출된다. 이와 같이, 액정층(220) 내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 셀은, 도 2의 (b)에서 태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 APL, APM, APR의 각각에 대응한 액정 셀의 조(액정 셀 열)로 나눌 수 있다.
도 2의 (d)는, 필터층(2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d)에서, 태선은, 도 2의 (c)에 도시하는 개개의 액정 셀 PX1, PX2에 대응하는 필터 요소 FE1, FE2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e)는, 중심 위치 CP 근방의 2개의 필터 요소 FE2, FE1의 확대도이다. 도 2의 (d) 및 도 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중심선의 근방에서, 필터 요소는,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필터 요소의 경계가 세로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중심선 상의 필터 요소의 중심은, 가로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필터 요소의 가로 방향의 간격과 세로 방향의 간격은, 모두, 도 2의 (c)에 도시하는 액정 셀과 동일한 간격(가로 피치 H, 세로 피치 V)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필터 요소와 액정 셀은 서로 겹친다. 따라서, 필터 요소와 액정 셀로 이루어지는 표시 셀은, 액정 셀 열에 대응하여 표시 셀의 조(표시 셀 열)를 형성한다.
개개의 필터 요소 FE1, FE2의 주위에는, 「블랙 매트릭스」라고 불리는 차광성의 영역 BM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블랙 매트릭스 BM은, 필터 요소에 대응지어지는 액정 셀에 인접하는 인접 액정 셀로부터의 광(누광)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인접 액정 셀로부터의 누광을 차단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한다. 필터 요소 중, 블랙 매트릭스 BM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RGB의 3색 중 어느 하나의 색광을 투과하는 필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 BM을 형성함으로써, 필터 요소의 개구폭은, 가로 피치 H보다도 좁아진다.
도 2의 (c) 및 도 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셀 PX1에 대응하는 필터 요소 FE1의 블랙 매트릭스 BM과, 액정 셀 PX2에 대응하는 필터 요소 FE2의 좌측의 블랙 매트릭스 BM과의 폭은, 각각 제1 폭 WB1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필터 요소 FE2의 우측의 블랙 매트릭스 BM은, 그 폭이 제1 폭 WB1보다도 넓은 제2 폭 WB2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BM의 상하 방향의 폭은, 2개의 필터 요소 FE1, FE2의 어느 하나에서도, 제1 폭 WB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은, 넓게 함으로써 인접 액정 셀로부터의 누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필터 요소를 통과하는 광량이 저하한다. 블랙 매트릭스 BM의 제1 폭 WB1은,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한편, 블랙 매트릭스 BM의 제2 폭 WB2는, 제1 폭 WB1보다도 넓게 설정된다. 또한, 제2 폭 WB2의 구체적인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필터층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도 2의 (d) 및 도 2의 (e)와 동일한 도면이며, 제1 실시예에서의 필터층(2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c) 및 도 3의 (d)는, 비교예로서의 종래의 필터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d)는, 액정 패널의 중심부를, 광원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d)에서, 일점쇄선은, 액정 패널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세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고, 이점쇄선은, 액정 패널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가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 중심선과 가로 중심선과의 교점 CP는, 액정 패널의 중심 위치이다. 또한, 필터층의 구성을 제외하고, 비교예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의 필터 요소 FE1, FE2a의 배치는, 제1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1, FE2의 배치와 동일하다. 한편,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의 필터 요소 FE2a는,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이 모두 동일한 폭 WB1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2와 서로 다르다.
도 4는, 비교예의 액정 패널(200a)에 의해, 제1 화상 IMG1과 제2 화상 IMG2가 가로 방향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액정 패널(200)에 의해, 제1 화상 IMG1과 제2 화상 IMG2가 가로 방향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중심부의 개구부 APM을 통하는 중심부의 2개의 액정 셀 PX1, PX2로부터의 화상 광의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의 일점쇄선은, 액정 셀 PX1로부터 필터 요소 FE1을 통과하여 사출되는 제1 화상 IMG1을 표시하는 제1 화상 광의 광로를 나타내고, 2점쇄선은, 액정 셀 PX2로부터 필터 요소 FE2, FE2a를 통과하여 사출되는 제2 화상 IMG2를 표시하는 제2 화상 광의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상 광 중, 필터 요소 FE1의 블랙 매트릭스 단부 EL1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개구부 APM의 우단 AER을 통하여, 적시 위치 XM1, XM2를 포함하는 관찰면 PO 상의 위치 XR1에 도달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단부 ER1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개구부 APM의 좌단 AEL을 통하여, 관찰면 PO 상의 위치 XL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관찰면 PO의 위치 XL1, XR1 사이의 영역(제1 화상 IMG1의 관찰 위치)에는, 좌상으로부터 우하 방향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제1 화상 IMG1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2 화상 광 중, 필터 요소 FE2a의 블랙 매트릭스 단부 EL2로부 터 사출되는 광은, 개구부 APM의 우단 AER을 통하여, 관찰면 PO 상의 위치 XR2에 도달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단부 ER2a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개구부 APM의 좌단 AEL을 통하여, 관찰면 PO 상의 위치 XL2a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관찰면 PO의 위치 XL2a, XR2 사이의 영역(제2 화상 IMG1의 관찰 위치)에는, 우상으로부터 좌하 방향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제2 화상 IMG2가 표시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상 IMG1의 표시 영역의 우단 XR1은, 제2 화상 IMG2의 표시 영역의 좌단 XL2a보다도 우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관찰면 PO의 위치 XL2a와 위치 XR1 사이의 영역에서는, 제1 화상 IMG1과 제2 화상 IMG2가 서로 겹쳐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2개의 화상이 서로 겹쳐서 표시되는 영역은, 크로스토크 영역이라고 불린다.
제1 실시예의 액정 패널(20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요소 FE2의 우측의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 WB2가, 필터 요소 FE2의 좌측 및 필터 요소 FE1의 좌우 양측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 WB1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요소 FE2의 블랙 매트릭스 단부 ER2는, 도 4에 도시하는 비교예에서의 필터 요소 FE2a의 블랙 매트릭스 단부 ER2a보다도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에서는, 블랙 매트릭스 단부 ER2로부터 사출되고, 개구부 APM의 좌단 AEL을 통한 화상 광은, 관찰면 PO 상에서 위치 XL2a보다도 우측의 위치 XL2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필터 요소 FE2로부터 사출된 광이 비교예보다도 좁은 관찰면 PO의 위치 XL2, XR2 사이의 영역에 도달하기 때문에, 액정 패 널(200)의 정면 방향에서의 크로스토크 영역이 좁아진다. 그리고, 크로스토크 영역을 좁게 해도, 제1 화상 IMG1의 적시 위치 XM1과 제2 화상 IMG2의 적시 위치 XM2는, 모두 비교예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필터 요소 FE2의 우측의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 WB2는, 필터 요소 FE1의 좌측의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 BW1과의 합(WB2+WB1), 즉 필터 요소 FE1, FE2에 걸쳐서 연속하는 블랙 매트릭스의 폭(연속폭)이 배리어(250)의 개구부 APL, APM, APR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영역의 폭이 거의 배리어(250)의 개구부 APL, APM, APR의 폭으로 되어, 액정 패널(200)의 정면에서의 위치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BM의 연속 폭이 배리어(250)의 개구부 APL, APM, APR의 폭에 대하여 ±10%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더라도, 액정 패널(200)의 정면에서의 위치의 크로스토크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 BM의 연속 폭이 배리어(250)의 개구부 APL, APM, APR의 폭에 대하여 ±10%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더라도, 이들 폭이 거의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에 대응하는 표시 셀 열의 2개의 필터 요소 중 좌측의 필터 요소 FE2에 대해서, 우측의 필터 요소 FE1에 인접하는 측(우측)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인접하지 않는 측(좌측)보다도 넓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화상 IMG1, IMG2의 적시 위치 XM1, XM2를 바꾸는 일 없이 액정 패널(200)의 정면 방향의 크로스토크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0)를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 필터 요소 FE2의 우측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제1 화상 IMG1만을 시인 가능한 영역이 화상 표시 장치(10)의 정면측으로 넓어진다. 그 때문에, 차량의 동승자가 텔레비전 수상 화상 등의 제1 화상 IMG1을 시인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B. 제2 실시예: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필터층(230b)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액정 패널의 중심부를, 광원측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서, 일점쇄선은, 액정 패널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세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고, 이점쇄선은, 액정 패널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가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 중심선과 가로 중심선과의 교점 CP는, 액정 패널의 중심 위치이다. 제2 실시예는, 필터층(230)(도 2)이 필터층(230b)으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서로 다르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1, FE2b는, 제1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1, FE2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의 간격이 가로 피치 H로 설정되고, 세로 방향의 간격이 세로 피치 V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실시예의 필터 요소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정 셀과 서로 겹친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2b에서는, 가로 방향의 2개의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은, 모두, 필터 요소 FE1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 WB1과 제1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1(도 2의 (e))의 우측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 WB2와의 중간의 폭 WB3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2와 서로 다르 다.
제2 실시예의 필터 요소 FE2b에서는, 이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을 좌우 양방향에서 동일한 폭 WB3으로 함으로써, RGB의 3색 중 어느 하나의 색광을 투과하는 필터(이하에서는, 「필터 요소의 개구부」라고도 부름)는, 필터 요소 FE2b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필터 요소 FE2b의 좌우의 블랙 매트릭스 BM의 폭 WB3은, 필터 요소 FE1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 WB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필터 요소의 조 중 필터 요소 FE2b의 개구폭은, 다른 한쪽의 필터 요소 FE1의 개구폭보다도 좁아진다. 이와 같이, 필터 요소 FE2b의 개구폭을 좁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제2 화상 IMG2의 표시 영역은, 적시 위치 XM2의 방향으로 균등하게 좁혀진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정면측과 액정 패널의 우방향으로 생기는 크로스토크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의 정면측과 액정 패널의 우방향으로 생기는 크로스토크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좁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보다도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실시예는, 액정 패널의 정면측의 크로스토크 영역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보다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필터 요소 FE2b의 개구부를 필터 요소 FE2b의 중심에 배치하고 있지만, 필터 요소 FE2b의 개구부의 위치는 반드시 중심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필터 요소 FE2b의 개구부는, 좁게 하는 크로스토크 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적절히 그 배치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취할 수 있다. 즉, 화상 표시 장치(10)의 액정 패널(200)은, 2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과 제2 부화소(표시 셀)가 가로 방향으로 가로 피치 H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과 제2 부화소 중, 좌측의 부화소의 유효폭, 즉 좌측의 필터 요소의 개구부의 가로 폭은, 우측의 부화소의 유효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배리어(250)에 의해, 제1과 제2 부화소로부터 사출되는 화상 광은,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관찰 위치에 유도된다.
C.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양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C1. 변형예 1: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250)로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개구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배치한 스트라이프 배리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배리어를 서로 다른 형상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배리어로서는, 예를 들면, 사각형의 개구부가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스텝 배리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화상 IMG1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셀(즉, 액정 셀 PX1 필터 요소 FE1)과, 제2 화상 IMG2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셀(즉, 액정 셀 PX2와 필터 요소 FE2)은, 개구부의 배치에 대응하여, 액정 패널(2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개구부에 대응한 표시 셀 열은, 우측에 제1 표시 셀이 배치되고, 좌측에 제2 표시 셀이 배치된 표시 셀의 조로 된다.
C2. 변형예 2: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층(230)에서, 세로 방향으로 동일색의 필터가, 좌로부터 우로 RGB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필터층을 서로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의 배열은, 배리어의 형상이나 액정 셀 PX1, PX2의 배열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C3. 변형예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액정 패널(200)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10)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2개의 화상의 각각을 2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화상 광을 생성하기 위한 1차광을 생성하는 광원 셀과, 광원 셀로부터의 광을 화상 광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셀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면, 임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EL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EL 표시 장치로서는, 백색 발광체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필터에 의해 색광으로 변환하는 EL 표시 장치나, 청 혹은 청보다 단파장의 발광체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형광체에 의해 색광으로 변환하는 EL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EL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체가 1차광을 사출하는 광원 셀에 대응하고, 필터 혹은 형광체가 색 변환 셀에 대응한다. 그리고, 변조 영역은, 발광체의 형상, 발광체에 접속되는 전극선, 발광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에 의해 결정된다.
C4. 변형예 4: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표시 셀은, 1차광을 사출하는 광원 셀과, 1차광을 화상 광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셀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과는 상이한 표시 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광으로 되는 색광을 직접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종류의 것을 표시 셀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 셀로서는, 플라즈마 발광 소자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이 이용 가능하다.
C5. 변형예 5: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10)는, 2개의 화상 IMG1, IMG2의 각각을 액정 패널(200)의 좌우의 2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화상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화상의 각각을,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리어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표시 셀 열은, N개의 표시 셀로 구성된다. 그리고, N개의 표시 셀 중 적어도 1개의 표시 셀에서, 표시 셀 열 내의 다른 셀에 인접하는 측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이 남은 표시 셀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보다도 넓게 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N개의 화상의 적시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크로스토크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액정 패널의 배리어와 액정층과 필터층과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필터층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비교예의 액정 패널에 의해, 제1과 제2 화상이 가로 방향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액정 패널에 의해, 제1과 제2 화상이 가로 방향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필터층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표시 장치
100 : 백라이트
200, 200a : 액정 패널
210 : 제1 글래스 기판
220 : 액정층
230, 230a, 230b : 필터층
240 : 제2 글래스 기판
250 : 배리어
252 : 차광층
254 : 글래스 기판
500 : 컨트롤러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제1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셀을 갖는 복수의 표시 셀을 구비하고, 소정의 셀 간격으로 상기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표시 셀이 소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표시 셀과 상기 제2 표시 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표시 셀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표시 셀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의 각각은,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을 상기 셀 간격보다도 좁게 제한하는 차광 영역
    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은, 상기 제2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개구폭과 서로 다른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의 각각에서,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소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표시 셀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제2 표시 셀로서의 제1 셀, 상기 제1 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표시 셀로서의 제2 셀, 상기 제2 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표시 셀로서의 제3 셀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셀의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소정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은,
    상기 화상 광을 생성하기 위한 1차광을 사출하는 광원 셀과,
    상기 광원 셀보다도 상기 광학 수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광을 상기 화상 광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셀을 갖고 있고,
    상기 셀 간격은, 상기 광원 셀에서 상기 1차광의 변조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광원 셀의 구조 상의 간격인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차량 탑재용의 화상 표시 장치이고,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차량의 운전수에게 제시하는 것이고,
    상기 제1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폭은, 상기 제2 표시 셀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소정 방향을 따른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1과 제2 화상의 각각을, 분리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부화소와,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부화소가, 상기 분리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제1 부화소와 상기 복수의 제2 부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사출되는 화상 광을, 각각 대응하는 상기 2개의 관찰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화소의 각각의 상기 분리 방향의 유효폭은, 상기 복수의 제2 부화소의 각각의 유효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7.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화상의 각각을, 분리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관찰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N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분리 방향으로 소정의 셀 간격으로 배치된 표시 셀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분리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N개의 표시 셀로 이루어지는 표시 셀 열로부터의 N개의 화상 광을, 각각 대응하는 상기 N개의 관찰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 개구부를 각 표시 셀 열마다 갖는 배리어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셀은, 상기 표시 셀의 상기 분리 방향의 개구폭을 상기 셀 간격보다도 좁게 제한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표시 셀 열 중 적어도 1개의 표시 셀의 개구폭은, 다른 표시 셀의 개구폭과 서로 다른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0064150A 2007-07-04 2008-07-03 화상 표시 장치 KR20090004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6496A JP2009014996A (ja) 2007-07-04 2007-07-04 画像表示装置
JPJP-P-2007-00176496 2007-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98A true KR20090004698A (ko) 2009-01-12

Family

ID=3976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150A KR20090004698A (ko) 2007-07-04 2008-07-03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09451A1 (ko)
EP (1) EP2012171A3 (ko)
JP (1) JP2009014996A (ko)
KR (1) KR20090004698A (ko)
CN (1) CN1013393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469B2 (ja) * 2009-09-16 2013-10-23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JP5403623B2 (ja) * 2010-03-10 2014-0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2画面表示装置
TWI461794B (zh) 2011-08-18 2014-11-21 Innolux Corp 顯示模組與使用其之顯示裝置
CN102955292B (zh) * 2011-08-18 2015-07-0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模块与使用该显示模块的显示装置
JP5745979B2 (ja) * 2011-09-16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プルビュー液晶表示装置
JP2013140277A (ja) * 2012-01-05 2013-07-18 Sony Corp 表示装置
WO2013151030A1 (ja) * 2012-04-06 2013-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CN104570372B (zh) * 2015-02-11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电子设备
WO2017057387A1 (ja) * 2015-09-30 2017-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632540B (zh) * 2018-01-15 2018-08-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切換顯示視角的方法
CN109067942B (zh) * 2018-08-03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和具有其的电子装置
DE102018215264A1 (de) * 2018-09-07 2020-03-12 Audi Ag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selbstleuchtenden Bildschirmelement, Kraftfahrzeug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sowie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US10840391B1 (en) * 2019-04-26 2020-11-17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Light filte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069B2 (ja) 1994-09-02 2001-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813433B2 (ja) * 2000-10-16 2006-08-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0430804B1 (ko) * 2001-11-15 2004-05-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개구율 향상구조 액정표시장치
KR100878280B1 (ko) * 2002-11-20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GB2405043A (en) * 2003-08-13 2005-02-16 Sharp Kk Compensation for refraction effects in an autostereoscopic display
GB2405546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Dual view directional display providing images having different angular extent.
KR101117582B1 (ko) * 2003-09-20 2012-02-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미지의 상이한 시야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0445613B1 (ko) * 2003-11-29 2004-08-26 (주)파버나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65228A (ja) * 2003-12-05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00728777B1 (ko) * 2004-04-07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4934975B2 (ja) * 2005-03-17 2012-05-2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7147816A (ja) * 2005-11-25 2007-06-14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
JP4957177B2 (ja) * 2006-01-20 2012-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4548379B2 (ja) * 2006-03-31 2010-09-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三次元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4996A (ja) 2009-01-22
EP2012171A3 (en) 2011-10-05
CN101339325A (zh) 2009-01-07
EP2012171A2 (en) 2009-01-07
US20090009451A1 (en) 2009-01-08
CN101339325B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698A (ko) 화상 표시 장치
US9159883B2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373808B2 (en) Liquid crystal parallax barrier,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09589B2 (ja) 液晶表示装置
CN108681121B (zh) 显示装置
RU27217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JP6170421B2 (ja) 有機el表示装置
JP2013242574A (ja)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
KR20080074757A (ko) 지향성 표시 디스플레이
JP4246247B2 (ja) 表示装置
US8243126B2 (en) Increase of perceived resolution for a dual view display device
WO2016135929A1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50062109A1 (en) Display Panel and 3D Display Device
JP7481885B2 (ja) 表示装置
JP2008242055A (ja) 画像表示装置
KR2008006292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N113056780B (zh) 显示装置
JP200900891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ための画像表示用遮光基板
KR101374109B1 (ko) 듀얼 뷰 액정 표시 장치
JP2019090980A (ja) 液晶表示パネル
JP5181582B2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7009716A (ja) 表示装置
JP2011186373A (ja) 視差バリア、画像表示装置、及び視差バリアの製造方法
WO2019198375A1 (ja) 表示装置
JP5252815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