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17A -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17A
KR20090004517A KR1020080056986A KR20080056986A KR20090004517A KR 20090004517 A KR20090004517 A KR 20090004517A KR 1020080056986 A KR1020080056986 A KR 1020080056986A KR 20080056986 A KR20080056986 A KR 20080056986A KR 20090004517 A KR20090004517 A KR 2009000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isplay
map data
scree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005B1 (ko
Inventor
유이치 가고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0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표시부(DP)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판별한 결과,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를 소정의 축척으로는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표시부(DP)를 2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따로따로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판별한 결과,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가 표시 가능한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표시부(DP)의 1개의 화면내에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1개의 지도데이터를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시킨다.
위치정보, 축적, 지도데이터, 제어부, 통합화면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S A PROGRAM}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및 이 전자기기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보행자 지원용으로서, 자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양자의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네비게이션 기능에 의해서 양자의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으로서는 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따로따로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술 이외에,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1개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술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7-1529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의 선행기술은 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와 상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따로따로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지도를 개별적으로 확대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와 상대의 근방의 상세를 각각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후자의 선행기술은 양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 도를 1개의 화면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자기와 상대의 위치의 거리관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기술은 자기와 상대의 위치의 거리관계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며, 후자의 기술은 자기와 상대의 근방의 상세한 모습을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이, 어느 한쪽만의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사항을 확인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특별한 조작을 부과시키는 일 없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각각의 근방의 상세 및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위치관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 가능한 표시부를 갖고, 이 표시부를 복수로 분할한 각 분할화면으로서 사용할지, 각 분할화면을 합친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할지의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기기로서,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취득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분할제어 및,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따로따로의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통합제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전환하는 제 1 전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특별한 조작을 부과시키는 일 없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각각의 근방의 상세 및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위치관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를 휴대전화장치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1), 기지국(2), 교환기(3), 통신망(4), 인터넷(5), GPS위성(6), 위치정보관리서버(7),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8)를 구비한다.
휴대전화장치(1)는 통화기능, 전자메일기능, 인터넷접속기능(Web 액세스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일반적인 다기능 휴대전화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을 갖는다.
네비게이션 기능은 예를 들면, 보행자 지원용의 기능으로서, 자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양자의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안내 표시하도록 한 것으로서, 서로 접근하여 만나기로 약속한 상대와 마주치는 바와 같은 경우 등에 활용되거나 하지만, 그 활용 방법은 임의이다. 여기서, 「자기의 위 치정보」는 자기의 휴대전화장치(1)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6)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산출되어도 좋고, 통신망(4)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위치정보관리서버(7)로부터 취득되어도 좋으며, 더 나아가서는 인터넷(5), 통신망(4)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8)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또, 「상대의 위치정보」는 예를 들면, 만나기로 약속한 상대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전화장치(1)의 현재위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통신망(4)을 통해 상대의 휴대전화장치(1)로부터 취득되어도 좋고, 통신망(4)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위치정보관리서버(7)로부터 취득되어도 좋으며, 더 나아가서는 인터넷(5), 통신망(4)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8)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위치정보관리서버(7)는 휴대전화장치(1)의 위치를 관리하고 있는 서버이다.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8)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휴대전화장치(1)의 위치를 관리하고, 또 휴대전화장치(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도데이터를 요구원의 휴대전화장치(1)에 송신하는 장치이다. 또한, 지도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8)로부터 다운로드 수신된 것이어도 좋고, 착탈 가능한 기록미디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특정 지역의 지도데이터가 입수된 것이어도 좋으며, 지도데이터의 입수 방법은 임의이다.
도 2는 회전 2축형의 휴대전화장치(1)의 개략 외관도이다.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1A, 1B)는 힌지부(1C)를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2개의 케이스(1A, 1B)는 힌지부(1C)의 회전축(종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장치(1)를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a)는 2개의 케이스(1A, 1B)를 열었을 때의 휴대전화장치(1)의 모습을 나타내는 오픈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b)는 오픈 스타일로부터 케이스(1A)를 180도 회전시켜, 케이스(1B)에 중첩한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의 휴대전화장치(1)의 모습을 나타내는 뷰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픈스타일의 상태로부터 케이스(1A)를 케이스(1B)에 중첩된 상태가 클로즈 스타일이다. 케이스(1A)는 표시부 케이스이며, 그 내면측(클로즈 스타일로서 케이스(1B)와 서로 마주 보는 면측)에는 고정세(高精細))의 액정 혹은 유기 EL을 사용한 표시부(DP)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B)는 조작부 케이스이며, 그 내면측에는 누름 버튼식의 각종 키를 구비한 조작부(K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KB)는 표시패널의 위에 투명 터치센서를 적층 배치한 터치스크린(터치패널 표시부)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 ROM(12), RAM(13), 무선통신부(14), 음성신호 처리부(15), 진동발생부(16), RTC(17), 스타일 검출부(18), GPS 수신부(19), 표시부(DP), 및 조작부(KB)로 구성된다.
제어부(11)는 ROM(Read Only Memory)(12)내의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12)에는 후술하는 동작수순에 따라, 본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1)는 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각종 동작을 순차 실행한다. 또, ROM(12)에는 지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13)은 리드/라이트 가능한 메모리이다. RAM(13) 에는 후술하는 위치정보 M1과, 설정정보 M2가 데이터 테이블로서 기억된다.
무선통신부(14)는 안테나에 접속된 송수신부(베이스밴드부)의 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여 수신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한 후, 음성신호 처리부(15)를 통해 수화 스피커 SP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또, 무선통신부(14)는 송화마이크 MC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부(15)로부터 받아들이고, 이것을 송신 베이스밴드 신호로 부호화한 후, 이 부호화신호를 무선통신부(14)에 설치된 안테나로부터 출력시킨다.
진동발생부(16)는 소형의 진동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진동발생부(16)가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하면, 이 진동에 의해 휴대전화장치(1)가 진동한다.
RTC(Real Time Clock)(17)는 현재일시(연월일 시분초)를 계수한다. 또, RTC(17)는 제어부(11)의 요구에 따라 시각정보를 송신한다.
스타일 검출부(18)는 자기센서 혹은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스타일 검출부(18)는 휴대전화장치(1)의 2개의 케이스(1A 및 1B)의 위치관계로부터, 클로즈 스타일, 오픈 스타일, 뷰 스타일 또는 그 밖의 스타일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을 검출한다.
GPS 수신부(19)는 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GPS위성(6)으로부터 수신한다.
표시부(DP)는 그 전체가 장방형인 화면을 갖는다. 이 화면에는 화면 전체를 그 종방향의 중심부분을 경계로 복수의 화면(예를 들면, 2개의 화면)으로 논리적으로 분할한 분할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화면이 분할되지 않고 1개의 화면(통합화면)이 표시된다. 제어부(11)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의해 지도데이터를 표시부(DP)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표시부(DP)의 전체 화면을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할지, 2개의 화면으로 분할한 분할화면으로서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그 표시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표시부(DP)의 화면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거리적으로 양자가 떨어져 있어,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를 소정의 축척으로는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표시부(DP)의 화면을 2개로 분할하여, 이들을 따로따로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따로따로 분할한 화면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시킨다.
또, 자기와 상대가 각각 근접하는 것에 의해서,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소정 축척의 지도데이터를 통합화면내에 표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표시부(DP)의 화면을 통합화면으로서 표시시키도록 제어하고,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내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시킨다.
이하, 위치마다 그 주변의 지도데이터를 각 분할화면에 축척을 변경하여 확대한 지도를 표시시키는 제어를 “개별표시(별도의 화면표시)”로 호칭한다. 또, 자기와 상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통합화면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시키는 제어를 “동시표시(1화면표시)”로 호칭한다.
제어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자의 거리와 지도축척의 관계로부터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축척의 지도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자동적으로 전환한 다. 이와 같이 제어부(11)는 자기와 상대의 거리관계 등에 따라 “개별표시”와 “동시표시”의 자동 전환을 실행하는 것 외에, 후술하는 전환타이머에 따라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정기적으로 전환한다(타이머 전환).
조작부(KB)는 키패드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KB)로부터 입력된 조작에 따라 각종 처리한다.
다음에, 위치정보 M1과 설정정보 M2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정보 M1은 정기적(예를 들면, 30초마다)으로 취득된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가 대응지어져 기억되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위치정보 M1은 「일시」, 「자기의 위치정보」, 「상대의 위치정보」의 각 항목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일시」는 위치정보를 취득한 일시를 나타내고, 「자기의 위치정보」, 「상대의 위치정보」는 자기 및 상대의 현재의 위치에 있어서의 경도 위도를 나타낸다. 또한, 만나기로 한 상대와 마주치기 위해 서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자기 및 상대의 휴대전화장치(1)는 이동체로 되지만, 목적지를 향해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대(목적지)의 위치는 변하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11)는 상대의 위치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대의 위치정보」의 항목에는 최초로 취득한 위치정보만이 기억된다.
설정정보 M2는 휴대전화장치(1)가 갖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관한 각종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설정정보 M2는 미리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된 정보가 기억된다. 설정정보 M2는 「축척」, 「취득타이머」, 「전환타이머」에 대응하는 「내용」이 기억되는 구성으로 한다.
「축척」은 표시부(DP)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여 지도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 그 지도의 축척(예를 들면, 1/500 등)이다. 「취득타이머」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하기 위한 시간을 계측하는 감산타이머의 설정값이다. 도 5에서는 “30초”마다 각 위치정보를 취득해야 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취득타이머」의 「내용」이 예시되어 있다. 「전환타이머」는 정기적으로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전환하기 위한 시간을 계측하는 감산타이머의 설정값이다. 도 5에서는 “10초”마다 표시전환을 실행해야 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전환타이머」의 「내용」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의 (a) 및 (b)는 뷰 스타일에서의 네비게이션 표시예이다. 도 6의 (a)에는 자기의 위치와 상대의 위치에 대응시켜, 그 주변의 지도를 각 분할화면에 축척을 변경하여 확대한 지도를 표시하는 “개별표시”의 구체예가 나타나고, 그리고 도 6의 (b)에는 자기 및 상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통합화면에 표시하는 “동시표시”의 구체예가 나타나 있다.
또, 도면 중, ‘●’는 자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고, ‘★’는 상대의 위치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개별표시의 예에 있어서, 표시부(DP)의 화면 전체를 2개로 분할한 각 분할화면 중, 그 하측의 분할화면에는 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가 그 화면 사이즈로 확대되어 표시된다. 또, 상측의 분할화면에는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가 그 화면 사이즈로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동시표시의 예에 있어서, 표시부(DP)의 화면 전체를 통합화면으로 한 경우이며, 자기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가 설정정보 M2의 「축척」에 따라 표시된다.
다음에,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을 도 7∼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의 메인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부(11)로의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다. 그러면, 제어부(11)는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하며, 전원을 온하는 조작의 유무의 판별을 반복한다(스텝 A1).
사용자가 조작부(KB)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하면, 제어부(11)는 이것을 검출하고(스텝 A1의 Yes), 대기처리를 실행하며, 통신대기상태로 된다(스텝 A2). 이 대기 상태시에,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정보 M2의 내용을 변경하는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스텝 A3의 Yes),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설정정보 M2의 「내용」을 변경하는 설정처리를 실행한다(스텝 A4).
대기 상태시에, 휴대전화장치(1)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동작시키는 지시가 사용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경우(스텝 A5의 Yes),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처리가 개시된다(스텝 A6).
도 8의 (a)에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처리가 개시하면, 우선, 제어부(11)는 RAM(13)에 저장되어 있는 ”동시표시 플래그”를 0으로 하는 리세트를 실행한다(스텝 B1).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부(KB)를 조작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상대를 지정하면(스텝 B2),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문의하고, 각각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스텝 B3). 그리고, 제어부(11)는 RTC(17)로부터 현재시각 정보를 입수하여, 이 시각정보와,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RAM(13)의 위치정보 M1에 저장한다(스텝 B4).
그리고, 제어부(11)는 스타일 검출부(18)에 문의하여, 현재의 스타일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B5). 제어부(11)는 취득한 스타일의 정보에 의거하여, ”뷰 스타일”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B6). 제어부(11)에 의해서 판별된 결과, 현재의 스타일이 ”뷰 스타일”이면(스텝 B6의 Yes), 표시제어 A의 처리로 이행한다(스텝 B7). 현재의 스타일이 ”뷰 스타일”이 아니면(스텝 B6의 No), 표시제어 B의 처리(스텝 B8)로 이행한다.
도 9에 나타내는 표시제어 A의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제어부(11)가 RAM(13)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 M2를 참조하여, 「축척」에 대응하는 축척값을 판독한다(스텝 C1). 다음에, 제어부(11)는 RAM(13)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 M1을 참조하여, 「일시」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각각 판독한 위치정보로부터 쌍방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이 산출된 거리가, 스텝 C1에서 판독한 축척값으로 작성되는 지도가 통합화면으로서 표시부(DP)의 화면에 표시될 때, 쌍방의 위치 모두 화면내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거리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C2).
제어부(11)에 의해서, 이 축척의 지도상에 쌍방의 위치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C2의 No), 제어부(11)는 표시부(DP)의 화면을 논리 분할하여, 한쪽의 화면에, 위치정보 M1로부터 판독한 자기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자기의 위치 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자기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시킨다(스텝 C7). 또, 제어부(11)는 다른 한쪽의 화면에, 위치정보 M1로부터 판독한 상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대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상대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시킨다(스텝 C8).
이 분할 표시의 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부(DP)의 하측의 화면에 표시된다. 또, 상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부(DP)의 상측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동시표시 플래그」는 “1”인지, 즉, “동시표시” 의 상태에서 “개별표시” 상태로 전환된 경우인지를 판별한다(스텝 C9). 네비게이션 기능이 기동된 시점에서는 「동시표시 플래그」가 “0”으로 세트되어 있으므로(스텝 C9에서 NO), 이 표시제어 A처리가 종료한다. 「동시표시 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 있으면(스텝 C9에서 YES), “동시표시” 상태에서 “개별표시” 상태로 전환된 경우이기 때문에, 제어부(11)는 진동발생부(16)에 지시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그 전환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스텝 C10), 「동시표시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한다(스텝 C11).
한편, 제어부(11)에 의해서, 이 축척의 지도상에 쌍방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C2의 Yes), 제어부(11)는 RAM(13)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 M1을 참조하여, 「일시」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스텝 C1에서 판독한 축척값에서의 지도에, 위치정보 M1로부터 판독한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가 대응하도록 각각의 마크를 추가한 지도를 작성하여, 표시부(DP)의 화면에 표시시킨다(스텝 C3).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가 나타나고 있는 1개의 지도가, 통합화면으로서 표시부(DP)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 때, 제어부(11)는 RAM(13)에 저장되어 있는 「동시표시 플래그」를 참조하여, ”1”이면(스텝 C4의 No), 표시제어 A는 종료한다.
「동시표시 플래그」가 ”0”이면(스텝 C4의 Yes), 제어부(11)는 진동발생부(16)에 지시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제어부(11)는 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소리데이터를 판독하고, 음성신호 처리부(15)의 마이크 MC로부터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 C5).
다음에, 제어부(11)는 RAM(13)에 저장되어 있는 「동시표시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스텝 C6).
도 8a에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처리로 되돌아가, 제어부(11)가 스타일 검출부(18)로부터 취득한 스타일의 정보가 ”뷰 스타일” 이외인 경우(스텝 B6의 No),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처리 B가 개시한다.
표시처리 B가 개시하면, 우선, 제어부(11)는 RAM(13)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 M1을 참조하여, 「일시」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표시부(DP)의 화면을 논리 분할하여, 한쪽의 화면에, 위치정보 M1로부터 판독한 자기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자기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시킨다(스텝 D1). 또, 제어부(11)는 다른 한쪽의 화면에, 위치정보 M1로부터 판독한 상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대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상대의 주변의 지도를 표시시킨다(스텝 D2). 그리고, 제어부(11)는 RAM(13)에 저장되어 있는 「동시표시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스텝 D3), 표시제어 B가 종료한다.
표시제어 A(스텝 B7) 또는 표시제어 B(스텝 B8)가 종료하면, 도 8a에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처리로 되돌아간다.
표시제어 A(스텝 B7) 또는 표시제어 B(스텝 B8)가 종료한 후, 제어부(11)는 설정정보 M2로부터 「취득타이머」,「전환타이머」의 설정값을 판독하여, 대응하는 취득타이머, 전환타이머의 초기값으로서 세트하고, 이 취득타이머, 전환타이머의 계측동작을 개시시킨다(도 8a의 스텝 B9, B10).
그 후, 도 8b의 흐름도로 이행하여, 취득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었는지(스텝 B11), 전환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B12). 현재, 취득타이머의 타임아웃을 검출했다면(스텝 B11에서 YES), 도 8a의 스텝 B3으로 돌아가, 자기 및 상대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현재일시와 함께 위치정보 M1에 기억시킨 후(스텝 B3, B4), 이하, 상술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 전환타이머의 타임아웃을 검출하면(도 8b의 스텝 B12에서 YES),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표시중인지 아닌지, 즉, “동시표시”중인지, “개별표시”중인지를 판별한다(스텝 B13). “개별표시”중이 면, “개별표시”에서 “동시표시”로 전환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처리는 스텝 B14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표시부(DP)를 통합화면으로서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고,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통합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축척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화면에 표시시킨다.
또, “동시표시”중이면(스텝 B13), “동시표시”에서 “개별표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11)는 표시부(DP)를 2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는 확대 축척으로 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근방의 지도데이터를 한쪽의 분할화면에 확대 표시시키는 동시에(스텝 B15), 확대 축척으로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다른쪽의 분할화면에 확대 표시시킨다(스텝 B16). 그리고, 전환타이머를 재기동시킨 후(스텝 B17), 네비게이션 처리는 상술한 스텝 B11로 되돌아간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동시표시”와 “개별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도(스텝 B18에서 YES), 제어부(11)는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표시중인지를 판별한다(스텝 B13). 그 결과, 제어부(11)는 “개별표시”에서 “동시표시”로의 전환(스텝 B14) 혹은 “동시표시”에서 “개별표시”로의 전환을 실행한다(스텝 B15, B16). 이하, 네비게이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종료조작이 실행될 때까지(스텝 B19에서 YES), 상술한 스텝 B11로 되돌려,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네비게이션 종료 조작이 실행되면(스텝 B19에서 YES), 제어부(11)는 화면표시를 소거하는 등의 네비게이션 종료 처리를 실행한 후(스텝 B20), 네비게이션 처리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대기상태에 있어서 제어부(11)는 무선통신부(14)로부터 착신 유무를 체크하거나(스텝 A7), 전원 오프 조작의 유무(스텝 A9), 그 밖의 조작 유무를 체크한다(스텝 A11). 여기서, 착신있음을 검출하면(스텝 A7에서 YES), 제어부(11)는 그 상대와의 회선접속에 응답하여 통화처리를 실행하도록 처리한다(스텝 A8). 또, 사용자에 의해 전원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스텝 A9에서 YES), 제어부(11)는 전원 오프 처리한다(스텝 A10). 그 밖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경우에는(스텝 A11에서 YES),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대응한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발신처리, 메일작성처리 등이다(스텝 A12).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1)는 자기와 상대의 거리와 지도 축척과의 관계로부터 양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축척의 지도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판별결과에 따라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에게 특별한 조작을 부과시키는 일 없이, 지도 표시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와 상대의 위치마다 그 근방의 모습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자기와 상대의 위치관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등, 실용 효과가 높은 것이 된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된 「축척」이 설정정보 M2에 기억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표시부(DP)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제어부(11)는 설정정보 M2로부터 「축척」을 판독하여, 자기와 상대의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에 해당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 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축척으로 지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1)는 자기와 상대의 거리와 지도 축척과의 관계로부터 양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전환한다. 또, 전환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될 때마다, 제어부(11)는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정기적으로 전환한다. 또, 사용자로부터의 전환조작이 실행될 때마다, 제어부(11)는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자기와 상대의 거리와 지도 축척과의 관계로부터 양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전환한 경우에, 그 전환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개별표시”에서 “동시표시”로 전환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사용자는 양자가 임의의 일정한 거리보다 가깝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시표시”에서 “개별표시”로 전환된 것이 통지되므로, 사용자는 양자가 임의의 일정한 거리보다 멀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개별표시”와 “동시표시”를 사용자가 오인하거나 잘못 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1)는 스타일 검출부(1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현재의 스타일을 판별한 결과, 뷰 스타일이면, 표시제어 A처리를 실행하여, 자기와 상대의 거리와 지도축척의 관계로부터 양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 가능한지 아닌지의 판별결과에 따라 “개별표시”와 “동시표시”의 전환을 실행한다. 뷰 스타일 이외의 스타일이면, 제어부(11)는 표시제어 B처리를 실행하고, “개별표시”와 “ 동시표시”의 전환을 실행하지 않고, “개별표시”인 채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뷰 스타일 이외의 스타일과 같이 조작하기 쉬운 스타일(대부분의 조작키가 노출되어 있는 스타일)에서는 조작에 의해서 그 전환을 실행할 수 있고, 뷰 스타일과 같이 조작이 곤란한 스타일(조작키의 대부분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스타일)에서는 자동 전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또, 제어부(11)가 취득타이머의 타임아웃을 검출하면, 제어부(11)는 자기 및 상대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현재일시와 함께 이들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M1에 기억시키도록 했으므로, 정기적으로 최신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비게이션 기능의 활용예로서, 사용자와 상대가 서로 접근하여 마주치는 바와 같은 경우를 예시했지만, 사용자가 목적지에 나가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목적지의 위치는 불변이기 때문에,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치정보 M1의 「상대의 위치정보」의 항목에는 최초로 취득한 위치정보만이 기억되도록 하면 좋다. 또, 제어부(11)가 위치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동속도에 따라 취득주기를 가변으로 하도록 해도 좋으며, 취득하는 타이밍은 임의이다. 또, 자기의 위치정보와 상대의 위치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를 포함하지 않은 2자(者)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전자기기로서는 휴대전화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전자카메라, 전자손목시 계, 음악재생기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또, 차량탑재용의 카 네비게이션 장치여도 좋다.
다양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이 그것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청구범위로부터 이탈되는 일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에서는 아닌,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동등한 목적의 범위내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간주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의 (a)와 (b)는 휴대전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휴대전화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위치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설정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의 (a)는 뷰 스타일에서의 네비게이션 표시예로서의 개별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b)는 뷰 스타일에서의 네비게이션 표시예로서의 동시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와 도 7b는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흐름도.
도 8a와 도 8b는 네비게이션 처리(도 7a의 스텝 A6)를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뷰 스타일에서 실행되는 표시제어 A처리를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뷰 스타일 이외의 스타일에서 실행되는 표시제어 B처리를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1)

  1.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 가능한 표시부를 갖고, 이 표시부를 복수로 분할한 각 분할화면으로서 사용할지, 각 분할화면을 합친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할지의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기기로서,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취득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분할제어 및,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따로따로의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를 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통합제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전환하는 제 1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분할제어 및 표시제어를 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통합제어 및 표시제어를 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통합제어 및 표시제어를 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분할제어 및 표시제어를 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축척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된 축척이고,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표시부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에 상기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제 어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전환하는 제 2 전환수단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환수단은 소정시간마다 제어의 전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환수단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의 전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전환한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기기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케이스의 배치상태를 바꾸는 것에 의해 해당 기기 본체를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기기 본체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을 추가로 설치하며,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스타일이 특정 스타일이면, 상기 제 1 전환수단에 의한 제어의 전환을 실행하고, 그 이외의 스타일이면, 해당 제어의 전환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취득수단은 제 1 위치정보, 제 2 위치정보 중, 적어도 그 어느 한쪽의 위치정보를 일정시간마다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컴퓨터에 대해,
    제 1 위치정보와 제 2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표시부를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분할제어 및,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따로따로의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를 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부를 통합화면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통합제어 및, 상기 제 1 및 제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해당 통합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를 하는 기능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기능과,
    상기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분할제어 및 상기 분할화면에 지도데이터를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와, 상기 통합제어 및 상기 통합화면에 지도데이터를 표시시키 는 표시제어를 전환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056986A 2007-06-19 2008-06-17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98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1117A JP4433002B2 (ja) 2007-06-19 2007-06-19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7-00161117 2007-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17A true KR20090004517A (ko) 2009-01-12
KR100998005B1 KR100998005B1 (ko) 2010-12-03

Family

ID=4013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986A KR100998005B1 (ko) 2007-06-19 2008-06-17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6162B2 (ko)
JP (1) JP4433002B2 (ko)
KR (1) KR100998005B1 (ko)
CN (1) CN101329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381A1 (ja) * 2009-07-13 201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130102B2 (ja) * 2012-04-27 2017-05-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EP2728312B1 (en) * 2012-11-01 2019-04-03 BlackBerry Limited Reference-point based static-scale mapping application
US9569059B2 (en) 2012-11-01 2017-02-14 Blackberry Limited Reference-point-based static-scale mapping application
JP6314183B2 (ja) * 2016-08-10 2018-04-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7147146B2 (ja) 2017-09-27 2022-10-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時計、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835B2 (ja) 1987-08-25 1995-09-13 東急建設株式会社 トンネルの覆工型枠
JPH07103777A (ja) 1993-10-04 1995-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走行位置表示装置
JP3651735B2 (ja) 1996-08-21 2005-05-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1094028A (ja) 1996-09-12 1998-04-10 Nec Corp 移動端末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6133853A (en) * 1998-07-30 2000-10-17 American Calcar, Inc.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JP2000028390A (ja) 1998-07-15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案内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0348286A (ja) * 1999-06-04 2000-12-15 Sharp Corp 相互通信手段を持つ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0348288A (ja) * 1999-06-07 2000-12-15 Omron Corp ビーコン情報送信装置
US6311180B1 (en) * 2000-03-28 2001-10-30 Linx Data Terminals, Inc. Method for mapping and formatting information for a display device
JP3904942B2 (ja) * 2002-02-21 2007-04-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AU2003253436A1 (en) * 2002-08-29 2004-03-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3868468B2 (ja) 2003-07-31 2007-01-1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
US7053780B1 (en) * 2003-09-30 2006-05-30 Garmin Lt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location specific alerts
US7814419B2 (en) * 2003-11-26 2010-10-12 Nokia Corporation Changing an orientation of a user interface via a course of motion
JP4421928B2 (ja) 2004-04-07 2010-02-24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321268A (ja) 2004-05-07 2005-11-17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093954A (ja) 2004-09-22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機器
JP4313792B2 (ja) 2005-08-11 2009-08-1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7844301B2 (en) *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JP4251653B2 (ja) * 2006-09-13 2009-04-0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005B1 (ko) 2010-12-03
JP2009002664A (ja) 2009-01-08
JP4433002B2 (ja) 2010-03-17
US8386162B2 (en) 2013-02-26
CN101329179A (zh) 2008-12-24
CN101329179B (zh) 2011-12-07
US20080319662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943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4963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일정 알림 방법
EP2327270B1 (en) Orientation based control of mobile device
EP2474168B1 (en) Remote phone manager
CN103222319B (zh) 一种用于移动计算设备的方法及移动计算设备
CN102281348B (zh) 使用增强现实引导路线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KR1016048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998005B1 (ko)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080186196A1 (en) Non-time based snooze
US20090170479A1 (en) Virtual room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9026178B2 (en) State based mobile phone with a first display module and a second display module
JP2009134409A (ja) リマインダ装置、リマインダ方法、リマインダ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CN106506797B (zh) 一种界面自适应显示装置及方法
KR201200004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216992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of
KR20090065939A (ko)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CN105282723A (zh) 紧急呼叫控制方法和装置及紧急呼叫方法和装置
CN106357886A (zh) 智能手表闹铃管理方法及装置
CN104219625A (zh) 位置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611041A (zh) 闹钟提醒方法及装置
JP5408689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408258A (zh) 响铃提醒方法和装置
CN105872179A (zh) 一种来电显示方法和装置、以及移动终端
KR20140000566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JP2006005863A (ja) 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