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79A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79A
KR20090004479A KR1020080049594A KR20080049594A KR20090004479A KR 20090004479 A KR20090004479 A KR 20090004479A KR 1020080049594 A KR1020080049594 A KR 1020080049594A KR 20080049594 A KR20080049594 A KR 20080049594A KR 20090004479 A KR20090004479 A KR 2009000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member
guided
gui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171B1 (ko
Inventor
히데히로 츠쿠모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흡착 부재에 의해 가압 부재의 피흡착면에 상방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가압 부재가 변위되지 않아, 안정적인 흡착을 실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가압 부재 (4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적어도 1 종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가압 부재 (40) 의 이동에 수반하여 단자 (20) 와 협동하는 축부 (43) 를 갖고 있고, 그 축부 (43) 는, 가압 부재 (40) 의 이동시에 회전을 수반하여 단자 (20) 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부 (43A) 와, 열림 위치에서 흡착 부재 (B) 로부터 압력을 피흡착면 (41) 에 받았을 경우에 단자 (20) 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피지지면 (43B-1) 이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 (43B) 를 갖고, 적어도 1 종의 단자 (20) 는, 축부의 피안내부 (43A) 를 안내하는 안내부 (26A) 와, 상기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닿음부 (43B) 의 피지지면 (43B-1) 을 지지하는 지지부 (26B) 를 갖는다.
Figure P1020080049594
전기 커넥터, 평형 도체.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그 회로 기판과 평형 도체,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는,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 개폐 조작되는 가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형식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가압 부재가 그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 축 주위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어, 그 회전 운동에 의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덮개상의 가압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전기 커넥터에서는,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그 가압 부재의 양단에, 동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 외로 돌출되는 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 홈부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또, 단자 배열 범위 내에서는, 각 단자의 접촉자에 형성된 볼록 원호상의 회전 운 동 지지부와, 가압 부재에 형성된 오목 원호상의 회전 운동 홈부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 있다. 그 회전 운동 홈부는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걸어맞춰 있을 뿐으로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는, 상기 단자 배열 범위에 있어서의 양단에서는 하우징의 걸림 홈부로, 단자 배열 범위 내에서는 단자의 회전 운동 지지부에 의해 회전 운동 지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자동 조립 장치의 흡착 부재의 하단 개구가 흡착되기 위한 피흡착면이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의 상면에 수평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5256
그러나, 특허 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범위 외인 양단부에서는 지지되어 있지만 단자 배열 범위 내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흡착 반송에 의한 자동 실장시에, 흡착 부재의 하단 개구가 피흡착면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을 가했을 때, 특히,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가압 부재의 폭 치수가 큰 경우에 상기 하중을 가했을 때, 가압 부재가 변위 (이동이나 변형) 되어, 흡착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흡착 부재에 의해 가압 부재의 피흡착면에 상방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가압 부재가 변위되지 않아, 안정적인 흡착을 실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바닥면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평형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그 개구부에 접촉부가 위치되어 그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개구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평형 도체를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를 갖고, 그 가 압 부재는, 상기 열림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작용하는 흡착 부재에 대한 피흡착면을 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면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적어도 1 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가압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단자와 협동하는 축부를 갖고 있고, 그 축부는, 가압 부재의 이동시에 회전을 수반하여 단자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부와, 상기 열림 위치에서 흡착 부재로부터 압력을 받았을 경우에 단자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피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를 갖고,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축부의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닿음부의 피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흡착 반송에 의한 자동 실장에 있어서의 흡착 부재의 커넥터 흡착시에,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의 피흡착면에 흡착 부재의 하단 개구가 상방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을 가한 경우여도, 가압 부재 축부의 맞닿음부에 형성된 피지지면은, 단자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가압 부재가 변위되는 경우는 없다. 즉, 가압 부재의 위치나 자세는 변함없이 안정적이다. 또, 열림 위치에 있어서, 맞닿음부의 피지지면이 단자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압 부재가 잘못하여 닫힘 위치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경우는 없다.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가압 부재의 소정의 닫힘 위치를 넘어 버리는, 과도한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이것 에 대응하여, 가압 부재의 축부는, 닫힘 위치에서 단자의 상기 규제부와 맞닿는 피규제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가압 부재의 닫힘 조작시에 그 가압 부재에 과도한 조작력이 가해져도, 가압 부재의 피규제면이 단자의 규제부에 맞닿아, 가압 부재는 소정의 닫힘 위치에서 멈춘다. 이 결과, 가압 부재의 과도한 이동에 의한 그 가압 부재, 나아가서는 커넥터 자체의 파손이 방지된다.
가압 부재의 축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각각의 단면에서, 피안내부와 맞닿음부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축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각각의 단면에서 피안내부와 맞닿음부를 분리한 부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피안내부와 맞닿음부를 서로 연속시켜 형성함으로써, 축부를 단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축부 나아가서는 가압 부재의 설계가 용이해짐과 함께, 축부와 맞닿음부가 서로 보강되어 강도가 향상된다.
단자는, 상이한 형상의 복수종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따라서, 타종의 단자는 1 종의 단자의 형상에 구속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단자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단자는 적어도 1 종의 단자 외에 이종의 단자도 혼재되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 종의 단자의 안내부가 가압 부재 축부의 피안내부를 상하 방향에서 규제하고 있어,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이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축부를 갖고, 그 부축부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피안내 부와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종의 단자는, 가압 부재의 부축부를 수평 방향으로 규제하는 2 개의 규제 안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부축부의 양측에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단자 배열 방향으로 1 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가압 부재는, 단자의 안내부에 의해 축부의 피안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규제됨과 함께, 타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단자의 규제 안내 아암부에 의해 부축부가 수평 방향에서 규제된다. 따라서, 이들 2 종의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동위치에 있는 피안내부 및 부축부는 그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단자에 의해 안내된다. 이 결과, 이들 2 종 단자의 안내에 의해 어느 방향에서나 가압 부재가 탈락되는 것도 방지된다.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지지부가 수평부를 갖고 있고, 안내부가 지지부로부터 변향되어 연장되고, 축부의 피안내부는, 열림 위치에서 단자의 안내부에 접촉 되고, 닫힘 위치에서 단자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가압 부재의 이동 시에, 상기 피안내부의 접촉면이 상기 단자의 안내부 및 지지부에 안내되고, 상기피안내부는 상기 안내부를 따른 그 피안내부의 회전 운동 중심의 선이동과 함께 그 회전 운동 중심 주위의 회전 운동을 수반하고 있어도 된다. 즉, 가압 부재의 이동은 고정된 회전 운동 축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한 이동에는 한정되지 않아,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축부의 피안내부는 접촉면에 볼록 만곡부를 갖고 있고, 단자의 안내부는 열림 위치에서 상기 볼록 만곡부에 그리고 닫힘 위치에서 상기 피안내부의 단부에 걸 어맞추는 제 1 오목 만곡부를 갖고, 단자의 지지부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볼록 만곡부에 걸어맞추는 제 2 오목 만곡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해, 열림 위치에서는 단자의 제 1 오목 만곡부에 축부의 볼록 만곡부가 걸어맞춰지고, 닫힘 위치에서는 단자의 제 1 오목 만곡부에 축부의 단부가, 단자의 제 2 오목 만곡부에 축부의 볼록 만곡부가 걸어맞춰지므로,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의 쌍방에서 축부 나아가서는 가압 부재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축부의 맞닿음부에 형성된 피지지면이 단자에 형성된 지지면에 지지되므로, 흡착 반송에 의한 자동 실장시에, 흡착 부재가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을 가압 부재의 피흡착면에 가한 경우에도, 상기 지지면에 의한 지지에 의해 가압 부재가 변위되는 경우는 없다. 즉, 흡착 부재에 의한 상기 하중을 받아도, 가압 부재의 위치나 자세가 변함없이 안정적이므로, 확실한 흡착이 가능해진다. 또, 열림 위치에 있어서, 맞닿음부의 피지지면이 단자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닫힘 위치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 부재가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오조작에 의해 상기 반대의 방향으로의 힘이 가압 부재에 가해져도, 가압 부재, 나아가서는 커넥터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이하,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그 바닥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고, 띠상의 평형 도체 (도시 생략) 를 수용하여, 그 평형 도체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커넥터 (1) 는,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상이한 형상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와,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가압 부재 (40) 를 갖는다. 이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총칭하여, 단순히 「단자」라고도 한다.
외형이 대략 직육면체상인 하우징 (10) 은, 전기 절연재인 합성 수지를 몰드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평형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11) 가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20, 30) 는, 각각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의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여 하우징 (10) 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교대로 배치되어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데, 단자 (20, 30) 의 배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자 배열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가압 부재 (4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개구부 (11) 에 대 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그 개구부 (11) 에 삽입된 평형 도체를 단자 (20, 30) 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상태로 개구부 (11)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가압 부재 (4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낮은 수평면으로서 형성된 피흡착면 (41) 을 상면에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그 피흡착면 (41) 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는 적어도 피흡착면 (41) 의 범위에서 혼재되어 배열되고 있다.
도 2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며, 2(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2(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가압 부재 (40) 가 도 2 의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며, 3(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3(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개구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 구부 (11) 는, 단자 배열 방향, 즉 지면(紙面)에 직각인 방향으로 단자는 배열 범위에서 연통되어 있고, 평형 도체 (F)(도 2(A), 2(B) 에서 2 점 쇄선으로 도시) 를 하우징 (10) 의 상방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삽입구 (11A) 를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 (10) 은, 상기 개구부 (11) 보다 좌방의 영역에는,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를 유지하는 제 1 단자 수용홈 (13), 제 2 단자 수용홈 (14)(총칭하여 「단자 수용홈」이라고도 한다)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수용홈 (13, 14) 은, 지면에 평행, 즉, 단자 (20, 30) 의 판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단자 수용홈 (13, 14) 은, 금속판의 평면을 유지하여 형상화된 단자 (20, 30) 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홈 폭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폭) 을 갖고 있고, 양단자 (20, 30) 에 대응하여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 1 단자 수용홈 (13) 과 제 2 단자 수용홈 (14) 이 교대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양단자 수용홈 (13, 14) 모두 단자 (20, 30) 각각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방에 개구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는, 기부 (2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제 1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에 제 1 단자 수용홈 (13) 에 압입되는 피부착부 (22), 기부 (21) 의 하방으로부터 우측으로 그리고 더욱 하방으로 크랭크상으로 굴곡되는 접속부 (23), 접속부 (23) 보다 상방 위치에서 기부 (21) 의 우측으로 계속 돌출되고 만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 (24), 기부 (21) 의 좌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25), 피부착부 (22) 의 상부 가장자리의 좌방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계속 돌출되어 우측 가장자리에 오목 만곡부가 형성된 회전 운동 지지부 (26) 을 갖는다.
피부착부 (22) 는, 우측 가장자리부에 돌기 (22A)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가 하방으로부터 제 1 단자 수용홈 (13) 내에 압입된 때에, 그 돌기 (22A) 가 제 1 단자 수용홈 (13) 의 내면에 박혀 단단히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 (23) 는, 하우징 (10) 외에 위치하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A)(도 2(A) 에서 2 점 쇄선으로 도시) 에 실장될 때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 (23A) 가 회로 기판 (A)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접촉 아암 (24) 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선단부가 좌방으로 굴곡된 돌출형상의 접촉부 (24A) 를 형성하고 있고, 그 접촉부 (24A) 가 개구부 (11) 내의 우측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구 (11A) 로부터 개구부 (11) 내로 삽입된 평형 도체 (F)(도 2(A) 에서 2 점 쇄선으로 도시) 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에 의해서도 안내되면서, 피부착부 (22) 와 접촉 아암 (24) 사이에 진입하고, 그 평형 도체 (F) 에 형성된 접속 회로부 (도시 생략) 가 접촉 아암 (24) 의 접촉부 (24A) 와 가볍게 접촉된다.
기부 (21) 의 좌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 (25) 는, 제 1 단자 (20) 의 피부착부 (22) 가 제 1 단자 수용홈 (13) 에 압입된 때에, 하우징 (10) 의 대응 가장자리에 맞닿아 제 1 단자 (20) 를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가압 부재 (40) 는, 도 2(A),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수평면을 형성하여 흡착 반송을 위한 흡착 부재 (B) 에 의해 흡착되는 피흡착면 (41) 을 갖는다. 이 피흡착면 (41)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가압 부재 (40) 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 그 가압 부재 (4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그 피흡착면 (41) 의 하방에, 제 1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6) 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 (4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 (42) 의 하부에는 그 홈부 (42) 의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축부 (43) 가 도상(島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2 단자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그 피흡착면 (41) 의 하부에 제 2 단자 (30) 일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 (44)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 (44) 의 하부에는 그 홈부 (44) 의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부축부 (45) 가 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 부재 (40) 와 제 1 단자 (20) 의 관계를,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 부근의 개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4(A)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 4(B) 는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6) 는, 대략 C 자 형상으로 만곡된 내측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안내부 (26A), 그 안내부 (26A) 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 (26B), 안내부 (26A)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규제부 (26C) 를 각각 상기 내측 가장자리에 갖고 있다.
안내부 (26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때에, 그 가압 부재 (40) 의 회전 운동의 중심이 되는 축부 (43) 의 피안내부 (43A) 를 슬라이딩 접촉 안내한다. 또, 안내부 (26A) 는, 그 상하측 가장자리에서, 가압 부재 (40) 의 상기 축부 (43) 를 상하 방향에서 규제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지지부 (26B) 및 규제부 (26C) 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가압 부재 (40) 와 관련하여 제 2 단자 (30) 에 대해 설명하면,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는, 기부 (3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제 2 단자 (3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에 제 2 단자 수용홈 (14) 에 압입되는 피부착부 (32), 기부 (31) 의 하방 그리고 좌방으로 크랭크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33), 기부 (31) 의 우방 그리고 계속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 (34), 상기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를 사이에 두도록 피부착부 (32)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으로 그 부축부 (45) 의 양측에 위치하는 2 개의 아암상의 규제 안내부 (35) 를 갖는다.
피부착부 (32) 는, 우측 가장자리부에 돌기 (32A) 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가 하방으로부터 제 2 단자 수용홈 (14) 내에 압입되었을 때에, 그 돌기 (32A) 가 제 2 단자 수용홈 (14) 의 내면에 박혀 단단히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 (33) 는, 하우징 (10) 외에 위치하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A)(도 2(B) 에서 2 점 쇄선으로 도시) 에 실장될 때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 (33A) 가 회로 기판 (A)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접촉 아암 (34) 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선단부에 좌방으로 굴곡된 돌출형상의 접촉부 (34A) 를 형성하고 있고, 그 접촉부 (34A) 가 개구부 (11) 내의 우측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구 (11A) 로부터 개구부 (11) 내에 삽입된 평형 도체 (F)(도 2(B) 에서 2 점 쇄선으로 도시) 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서도 안내되면서, 피부착부 (32) 와 접촉 아암 (34) 사이에 진입하고, 그 평형 도체 (F) 에 형성된 접속 회로부 (도시 생략) 가 접촉 아암 (34) 의 접촉부 (34A) 와 가볍게 접촉된다.
2 개의 규제 안내부 (35) 는, 원호상으로 만곡된 내측 가장자리를 바닥부에 갖는 홈을 형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때에, 그 규제 안내부 (35) 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회전 운동의 중심이 되는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를 안내한다. 2 개의 규제 안내부 (35)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때, 그 규제 안내부 (35)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를 수평 방향에서 규제한다.
다음으로, 단자 (20, 30) 와 관련하여, 가압 부재 (40) 의 축부 (43) 와 부축부 (45) 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 부재 (40) 의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축부 (43) 는,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6) 에 형성된 안내부 (26A) 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외부 가장자리를 이루는 부분을 갖고, 그 안내부 (26A) 에 걸어맞추는 피안내부 (43A) 와, 그 피안내부 (43A) 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맞닿음부 (43B) 를 갖고 있다. 피안내부 (43A)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2 단자 (30)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와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축부 (43) 의 피안내부 (43A) 와 부축부 (45) 는 동위치에 공통되는 회전 운동 축선을 갖고 있다. 맞닿음부 (43B)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하면에서 형성되는 피지지면 (43B-1) 과, 상면에서 형성되는 피규제면 (43B-2) 을 갖고 있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피지지면 (43B-1) 은 단자의 지지부 (26B) 와 맞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안내부 (43A) 와 맞닿음부 (43B) 는 양자가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양자가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형상이 단순화됨과 함께, 양자가 서로 보강하여 전체 강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조립되고, 자동 실장되어 사용된다.
<조립>
(1) 먼저, 하우징 (10), 소정수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가압 부재 (40) 가 준비된다.
(2) 제 1 단자 (20) 를 하우징 (10) 의 제 1 단자 수용홈 (13) 에 하방으로부터 삽입 장착한다. 제 1 단자 (20) 의 피부착부 (22) 는 제 1 단자 수용홈 (13) 에 압입되고, 돌기 (22A) 가 그 제 1 단자 수용홈 (13) 의 내면에 박혀, 제 1 단자 (20) 누락의 방지가 도모된다.
(3) 다음으로, 가압 부재 (40) 를 장착한다. 이 장착은, 가압 부재 (40) 를 열림 위치가 되도록 상방으로 일어난 상태에서, 제 1 단자 (20) 의 안내부 (26A) 에 가압 부재 (40) 의 축부 (43) 의 피안내부 (43A) 를 걸어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4) 그 후, 제 2 단자 (30) 를 하우징 (10) 의 제 2 단자 수용홈 (14) 에 하방으로부터 삽입 장착한다. 제 2 단자 (30) 의 피부착부 (32) 는 제 2 단자 수용홈 (14) 에 압입되고, 돌기 (32A) 가 그 제 2 단자 수용홈 (14) 의 내면에 박혀, 누락의 방지가 도모된다. 이 제 2 단자 (30) 의 2 개의 규제 안내부 (35) 사이에,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가 수용된다.
또, 이와 같이 조립된 커넥터 (1) 에 있어서,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는, 가압 부재 (40) 의 피안내부 (43A) 는 제 1 단자 (20) 의 안내부 (26A) 에 의해 상하 방향 및 좌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는, 가압 부재 (40) 인 부축부 (45) 는 제 2 단자 (30) 의 규제 안내 아암부 (35) 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들 단자 (20, 30) 를 사용함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동위치에 있는 상기 피안내부 (43A) 및 상기 부축부 (45) 는, 더불어 양단자의 협동에 의해 그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이 결과, 가압 부재 (40) 의 어느 방향으로도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동 실장>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흡착 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 상에 반송되는 자동 실장에 바람직하다. 커넥터 (1) 의 흡착시에는, 도 2(A), 2(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흡착 부재 (B) 의 하단 개구를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 (40) 의 수평 상면인 피흡착면 (41) 을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접근하여 그 피흡착면 (41) 에 접촉시켜, 혹은 피흡착면 (41) 근방에 위치시켜 커넥터 (1) 를 흡인한다. 커넥터 (1) 는 흡착 부재 (B) 에 흡착되어 회로 기판 상으로 이동된 후, 흡인력의 해제에 의해 회로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흡착 부재 (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상, 피흡착면 (41) 에 접촉 혹은 근접한 때에, 그 흡인력으로 커넥터를 흡인하여 들어올리므로, 커넥터는 흡착 부재 (B) 로부터 하방으로의 하중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흡인 반송 조건, 환경 조건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흡착 부재 (B) 의 하단 개구가 커넥터 (1) 의 피흡착면 (41) 에 접촉되었을 때에, 그 피흡착면 (41) 에 상방으로부터 하중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축부 (43) 의 피지지면 (43B-1) 은 단자 (20) 의 지지부 (26B) 와 맞닿아 그 지지부 (26B) 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압 부재 (40) 가 상기 하중을 받은 경우에도, 축부 (43) 의 피지지면 (43B-1) 이 단자의 지지부 (26B) 로부터의 반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흡착 반송에 의한 자동 실장에 있어서의 커넥터 흡착시에,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의 피흡착면에 흡착 부재의 하단 개구가 상방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을 가한 경우여도, 가압 부재 축부의 맞닿음부에 형성된 피지지면이 단자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가압 부재가 변위되는 경우는 없다. 즉, 흡착 부재에 의한 하중을 받아도, 가압 부재의 위치나 자세는 변함없이 안정적이므로, 확실한 흡착이 가능해진다.
<사용>
(1) 이러한 커넥터의 사용시에는, 먼저,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로 되어 있는 그 커넥터를 도 2(A), 2(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준비한다.
(2) 도 2(A), 2(B) 에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10) 의 개구부 (11) 에 그 삽입구 (11A) 로부터 삽입한다. 평형 도체 (F) 는, 제 1 단자 (20) 의 피부착부 (22) 와 접촉 아암 (24) 사이, 및 제 2 단자 (30) 의 피부착부 (32) 와 접촉 아암 (34)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4A) 및 제 2 단자의 접촉부 (34A) 가 평형 도체 (F) 의 각각의 대응 접속 회로부와 가볍게 접촉된다.
(3) 다음으로, 도 3(A), 3(B) 에 나타나는 닫힘 위치에까지 가압 부재 (40) 를 회전 운동한다.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압 부재 (40) 는 그 가압부 (40A) 에서 평형 도체 (F) 를 강하게 눌러, 이로 인해,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4A) 및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4A)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회로부의 접압이 높아지므로,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해지게 된다.
가압 부재 (40) 를 회전 운동시켜 닫힘 위치로 했을 때,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3) 의 피규제면 (43B-2) 의 일부와 제 1 단자 (20) 의 규제부 (26C) 의 일부가 맞닿아, 가압 부재 (40) 의 과잉 회전 운동이 규제된다. 즉, 가압 부재 (40) 를 닫힘 위 치에 가도록 조작할 때에 그 가압 부재 (40) 에 과도한 조작력이 가해져도, 가압 부재 (40) 는 소정의 닫힘 위치에서 멈춘다. 이 결과, 가압 부재 (40) 의 과도한 이동에 의한 그 가압 부재 (4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자체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의 규제부 (26C) 의 일부에 축부 (43) 의 피규제면 (43B-2) 의 일부가 맞닿는 것으로 하였는데, 변형예로서, 제 1 단자 (20) 의 규제부 (26C) 의 전체면에 축부 (43) 의 피규제면 (43B-2) 이 맞닿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피규제면 (43B-2) 이 규제부 (26C) 와 넓은 면에서 맞닿도록, 예를 들어, 도 4(B) 에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 (26C') 의 면을,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피규제면 (43B-2) 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형상의 2 종의 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변형예로서, 상이한 형상의 3 종 이상의 단자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은 정위치에서의 축부의 회전 운동만으로 실시되어 있었는데,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가압 부재의 이동 에 있어서, 그 회전 운동 중심 주위의 회전 운동뿐만 아니라, 그 가압 부재 축부의 피안내부가 단자의 안내부를 따른 그 피안내부의 회전 운동 중심의 선이동을 수반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의 축부 및 그 축부와 걸어맞추는 제 1 단자의 대응 부분에서의 구성만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축부 및 제 1 단자의 대응 부분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대응하는 부재 그리고 부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호에 50 을 더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5, 6, 7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 3, 4 에 대응하여,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가압 부재 (9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51) 의 단면도이며, 5(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7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5(B) 는 제 2 단자 (8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6 은, 도 5 의 커넥터에 대해, 가압 부재 (9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51) 의 단면도이며, 6(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7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6(B) 는 제 2 단자 (80)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70) 의 위치 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 (90) 의 축부와 제 1 단자 (70) 의 걸어맞춤 부분 부근의 개략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7(A) 는 가압 부재 (9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 7(B) 는 가압 부재 (9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A),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70) 는, 피부착부 (72) 의 좌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계속해서 우측으로 굴곡되는 이동 지지부 (76) 를 갖고 있다. 그 이동 지지부 (76) 는, 대략 갈고리상으로 굴곡된 그 내부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오목부의 바닥부 영역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안내부 (76A), 안내부 (76A) 의 하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서 형성된 지지부 (76B), 안내부 (76A)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규제부 (76C) 를 갖고 있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70) 의 안내부 (76A) 는, 하부에 위치되고 지지부 (76B) 에 인접하는 제 1 오목 만곡부 (76A-1) 와, 그 상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직선 형상부 (76A-2) 를 갖고 있고, 지지부 (76B) 는 중간부에 제 2 오목 만곡부 (76B-1) 와 그 양측의 제 2 직선 형상부 (76B-2) 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오목 만곡부 (76A-1) 와 제 2 오목 만곡부 (76B-1) 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가압 부재 (90) 의 축부 (93) 는, 도시와 같이, 가압 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대략 L 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 축부 (93) 의 피안내부 (93A) 는, 그 가압 부재 (9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단자 (70) 의 제 1 오목 만곡부 (76A-1) 와 걸어맞추는 볼록 만곡부 (93A-1) 와, 단자 (70) 의 안내부 (76A)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부 (76A-2) 와 접촉되는 접촉면 (93A-2) 을 갖는다. 또, 열림 위치를 나타내는 도 7(A) 에서, 피안내부 (93A) 의 상부를 이루는 단부 (93A-3) 는 상기 볼록 만곡부 (93A-1) 에, 닫힘 위치로 왔을 때에 제 1 오목 만곡부 (76A) 에 적합되는 형상, 즉 합치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압 부재 (90) 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피안내부 (93A) 의 접촉면 (93A-2) 이 단자 (70) 의 안내부 (76A) 그리고 이어서 지지부 (76B) 에 안내된다. 그 때, 상기 피안내부 (93A) 는, 그 회전 운동 중심 (O) 주위의 회전 운동을 실시하면서, 그 회전 운동 중심 (O) 이 안내부 (76A) 를 따른 하방으로의 선이동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가압 부재 (90) 가 닫힘 위치에 오게 되면,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안내부 (93A) 의 단부 (93A-3) 가 단자 (70) 의 제 1 오목 만곡부 (76A-1) 와 걸어맞추고, 피안내부 (93A) 의 볼록 만곡부 (93A-1) 가 단자 (70) 의 제 2 오목 만곡부 (76B-1) 에 걸어맞춘다. 이로 인해, 닫힘 위치에서, 축부 (93) 나아가서는 가압 부재 (90) 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닫힘 위치에 있어서, 맞닿음부 (93B) 의 피규제면 (93B-2) 이 단자 (70) 의 규제부 (76C) 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가압 부재 (90) 의 닫힘 위치를 초과하는 과잉 이동이 규제부 (76C) 에 의해 규제된다. 즉, 가압 부재 (90) 의 닫힘 조작시에 그 가압 부재 (90) 에 과도한 조작력이 가해져도, 가압 부재 (90) 는 소정의 닫힘 위치에서 멈춘다. 이 결과, 가압 부재 (90) 의 과도한 이동에 의한 그 가압 부재 (90), 나아가서는 커넥터 (51) 자체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 (90) 의 피안내부 (93A) 의 접촉면에 볼록 만곡부 (93A-1) 를 형성하고, 단자 (70) 의 안내부에 제 1 오목 만곡부 (76A-1), 지지부에 제 2 오목 만곡부 (76B-1)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변형예로서, 피안내부의 접촉면 및 단자 지지부의 양자를 평탄부로 하여 형성하고, 단자 (70) 의 안 내부에 제 1 만곡부 (76A-1)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열림 위치에 있어서, 맞닿음부의 피규제면은 완전하게 평탄한 지지부에 의해 넓은 범위에서 지지되므로, 흡착시에 흡착 부재로부터 과도한 하중을 받아도, 보다 확실하게, 가압 부재가 변위되는 경우는 없어, 더욱 안정적인 흡착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닫힘 위치에 있어서, 단부가 제 1 오목 만곡부에 걸어맞추므로,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축부 (93) 나아가서는 가압 부재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을,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2(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2(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가압 부재가 도 2 의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도 1 및 도 2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3(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3(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난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 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 도 4(B) 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가압 부재가 도 5 의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도 5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6(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B) 는 제 2 단자의 위치 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A) 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 도 7(B) 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 커넥터 43B 맞닿음부
10 하우징 43B-1 피지지면
11 개구부 43B-2 피규제면
20 제 1 단자 45 부축부
24 접촉 아암 70 단자
24A 접촉부 76A 안내부
26A 안내부 76A-1 제 1 오목 만곡부
26B 지지부 76B 지지부
26C 규제부 76B-1 제 2 오목 만곡부
30 제 2 단자 90 가압 부재
34 접촉 아암 93 축부
34A 접촉부 93A 피안내부
35 규제 안내부 93A-2 접촉면
40 가압 부재 A 회로 기판
41 피흡착면 B 흡착 부재
43 축부 F 평형 도체
43A 피안내부

Claims (7)

  1. 바닥면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평형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그 개구부에 접촉부가 위치되어 그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개구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평형 도체를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 부재를 갖고, 그 가압 부재는, 상기 열림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작용하는 흡착 부재에 대한 피흡착면을 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면에서 형성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적어도 1 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가압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단자와 협동하는 축부를 갖고 있고, 그 축부는, 가압 부재의 이동시에 회전을 수반하여 단자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부와, 상기 열림 위치에서 흡착 부재로부터 압력을 받은 경우에 단자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피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를 갖고,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축부의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맞닿음부의 피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가압 부재의 닫힘 위치를 초과하는 과잉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가압 부재의 축부는, 닫힘 위치에서 단자의 상기 규제부와 맞닿는 피규제면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의 축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각각의 단면에서, 피안내부와 맞닿음부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는 상이한 형상의 복수종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단자는 적어도 1 종의 단자 외에 이종의 단자도 혼재되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 종의 단자의 안내부가 가압 부재의 축부의 피안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규제하고 있고, 가압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이종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축부를 갖고, 그 부축부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피안내부와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종의 단자는, 가압 부재의 부축부를 수평 방향에서 규제하는 2 개의 규제 안내부를 수평 방향에서 부축부의 양측에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종의 단자는 지지부가 수평부를 갖고 있고, 안내부가 지지부로부터 변향되어 연장되어 있고, 축부의 피안내부는 열림 위치에서 단자의 안내부에 접촉되고, 닫힘 위치에서 단자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가압 부재의 이동 시에, 상기 피안내부의 접촉면이 상기 단자의 안내부 및 지지부에 안내되고,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안내부를 따른 그 피안내부의 회전 운동 중심의 선이동과 함께 그 회전 운동 중심 주위의 회전 운동을 따르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축부의 피안내부는 접촉면에 볼록 만곡부를 갖고 있고, 단자의 안내부는 열림 위치에서 상기 볼록 만곡부에 그리고 닫힘 위치에서 상기 피안내부의 단부에 걸어맞추는 제 1 오목 만곡부를 갖고, 단자의 지지부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볼록 만곡부에 걸어맞추는 제 2 오목 만곡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080049594A 2007-07-06 2008-05-2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98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8893 2007-07-06
JP2007178893A JP4390821B2 (ja) 2007-07-06 2007-07-06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79A true KR20090004479A (ko) 2009-01-12
KR101098171B1 KR101098171B1 (ko) 2011-12-23

Family

ID=4014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94A KR101098171B1 (ko) 2007-07-06 2008-05-2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2135B2 (ko)
JP (1) JP4390821B2 (ko)
KR (1) KR101098171B1 (ko)
CN (1) CN101340031B (ko)
DE (1) DE102008031180B4 (ko)
TW (1) TW2009039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8582B2 (ja) 2009-01-28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568791B1 (ja) *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31261B2 (ja) * 2010-02-03 201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82384B2 (ja) * 2010-02-05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48591B2 (ja) * 2011-06-16 2015-01-07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DE102014112389B3 (de) 2014-08-28 2015-10-2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 eine Leiterplatte ansetzbares Ansaugelement mit einer Ansaugfläche
JP6777688B2 (ja) 2018-06-15 2020-10-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用ハンドおよびハンドシステム
KR102670772B1 (ko) * 2018-11-22 202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삽입 장치 및 방법
CN113889824B (zh) * 2020-07-01 2024-03-15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扣合装置及扣合方法
JP2022122144A (ja) * 2021-02-09 2022-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385B2 (ja) 1995-01-17 2001-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513751B2 (ja) * 2000-06-27 2004-03-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167829A (ja) * 2000-11-15 2001-06-2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771457B2 (ja) * 2001-04-17 2006-04-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JP2005078878A (ja) * 2003-08-29 2005-03-24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317811B2 (ja) * 2004-11-16 2009-08-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196356A (ja) * 2005-01-14 2006-07-27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コネクタ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7178893A (ja) 2005-12-28 2007-07-12 Lg Philips Lcd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171B1 (ko) 2011-12-23
CN101340031B (zh) 2012-05-23
TWI339922B (ko) 2011-04-01
TW200903917A (en) 2009-01-16
JP2009016266A (ja) 2009-01-22
DE102008031180A1 (de) 2009-01-22
US7632135B2 (en) 2009-12-15
CN101340031A (zh) 2009-01-07
JP4390821B2 (ja) 2009-12-24
US20090011634A1 (en) 2009-01-08
DE102008031180B4 (de)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171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0972501B1 (ko) 커넥터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9614321B2 (en) Magnetic connector
US20040002254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EP2330688A1 (en) FPC connector
EP1881563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359568B2 (ja) コネクタ
US20070093122A1 (en) Connector improved in dust tightness
KR100740415B1 (ko) 플렉서블 기판용 커넥터
EP1835569A1 (en)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EP2840660A1 (en) Electric connector
JP2004063081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KR101302844B1 (ko) 커넥터
EP2884827A2 (en) Socket
US20060141852A1 (en) Connector
KR20060051140A (ko)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KR101120908B1 (ko) 연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041833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WO1998009345A1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KR20180122307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WO2008143997A1 (en) Cable connector
KR20210058650A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용의 베이스보드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KR20160146107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