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22U - 흑마늘 제조기 - Google Patents

흑마늘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22U
KR20090004322U KR2020070017790U KR20070017790U KR20090004322U KR 20090004322 U KR20090004322 U KR 20090004322U KR 2020070017790 U KR2020070017790 U KR 2020070017790U KR 20070017790 U KR20070017790 U KR 20070017790U KR 20090004322 U KR20090004322 U KR 200900043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garlic
main body
he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식
Original Assignee
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식 filed Critical 정영식
Priority to KR2020070017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322U/ko
Publication of KR20090004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단일 장치로 간편하게 깐 생마늘을 숙성시켜 흑마늘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체(50) 내부의 바닥부와 측면에 열선 또는 열전도판과 온도센서를 구비한 가열부(40)와 온도와 시간을 제어하고 각 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0)를 가지는 본체(50)와; 배기구멍(12)이 있는 외부 뚜껑(10)과; 외부뚜껑(10)과 본체(5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공의 수증기배출구(13)를 가지는 내부뚜껑(11)과; 아랫부분이 수납용기(20)와 동일한 곡면을 가지고 그 위의 측면부분은 사각기둥 형이며 본체(50)의 가열부(40)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안착돌기를 가지는 가열용기(30)와; 가열용기(30)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망사 또는 다공의 원기둥형으로 제작된 수납용기(20)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용기(20)는 가열용기(30) 내부에서 원기둥의 양면이 지면에 수직인 형태로 회전하도록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생마늘 자체의 수분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숙성 및 당화시킨 후, 저온에서의 숙성과정과 건조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마늘 고유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유효성분을 증가시키고,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매운맛을 제거하고, 단맛이 발생한 흑마늘을 가정에서도 쉽게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류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흑마늘, 전기 가열용기, 증숙기, 찜기, 숙성

Description

흑마늘 제조기{Red garlic making system}
찌거나, 삶거나 또는 일정온도에서 증숙등의 방법을 통하여 숙성 또는 발효시킴으로써, 식품의 보존성과 유효성 및 섭취의 용이성 등이 향상되는데, 이러한 결과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찜기, 청국장제조기, 홍삼제조기 등 여러 가지 전기가열용기들이 있다.
생마늘이 일정한 온도와 시간 등의 조건에서 숙성시키면 갈색으로 변하게 되고, 점차 갈색이 짙게 되어 검게 보이게 되는바, 홍마늘 또는 숙성마늘로도 불리나 흔히 흑마늘로 불리고 있다.
흑마늘은 마늘특유의 냄새와 매운맛이 제거되고 당화되어 단맛이 나는 등 섭취가 용이하게 되고, 항산화력이 증가하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짐으로써 마늘의 약리작용이 크게 향상되어 양념 수준의 이용에서 인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서의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흑마늘 또는 숙성 마늘 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738427호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원단으로 포장된 마늘을 70℃~90℃에서 24~60시간 동안 고온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치고, 다시 30 ℃~50℃에서 360~480시간 동안 저온 숙성한 다음 45~70℃에서 48~72시간 동안 수분공급을 하고 다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63168호는 생마늘의 싹을 발아시키고, 별도의 추출액 또는 배양액 등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60℃~100℃에서 230~270시간 동안 고온 열풍처리 및 30℃~40℃ 40~89시간 동안 저온 열풍 처리하고 난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발아 홍마늘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30386호는 생마늘을 40℃~90℃에서 280~320시간 동안 열풍 숙성하여, 이를 38~42시간 동안 자연 건조한 후, 다시 20℃~30℃에서 열풍으로 30~50시간 숙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숙성시간 동안 수분공급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마늘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방법으로는 흑마늘 제조에 장기간의 제조 기일이 소요되고 복잡한 공정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제조시설이 필요하게 되므로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기일을 단축하며, 단일의 기기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흑마늘을 제조,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흑마늘 제조를 위해 필요한 적정온도 및 시간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화 하여 제공하고, 또한 현존하는 찜기 또는 전기가열용기 등으로는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마늘 엑기스에 투입된 생마늘이 골고루 침잠되지 않음으로 해서 균질 하게 숙성 및 당화(단맛이 나는 것)되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해결하는 데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마늘은 특유의 냄새와 매운맛을 제외하고는 100가지의 이로움이 있다 하여 일해 백리의 식품으로 불리고 있고, 세계 10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지만, 마늘의 매운맛과 냄새로 인하여 주로 양념으로 쓰여 왔으며, 최근에 생마늘을 일정온도와 시간 등을 조건으로 숙성하여, 마늘의 매운맛과 냄새를 제거하고 자체 당화되어 단맛이 나며, 항산화력이 크게 증가되어 생마늘보다 약리작용이 향상된 흑마늘이 제조, 시판되어 건강보조식품으로 복용 되고 있다.
그러나 유통되고 있는 흑마늘은 비교적 복잡하고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 공정으로 인하여, 대량생산 제품만 시판되고 있고 비교적 고가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흑마늘을 가정에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만들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인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한 본 고안에 따른 흑마늘 제조기의 구조와 구성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제조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분해사시도, 도 3은 결합 정면 단면도, 도 4는 결합 측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흑마늘 제조기는,
숙성 공정중 과도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일정수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기구멍(12)을 가지고, 밑면의 입구를 가열용기(30)의 입구 크기로 하여 사각뿔형태로 만들어진 내부공간에 수증기가 머물 수 있는 구조의 외부뚜껑(10)과; 숙성공정 중에는 발생하는 수증기가 부딪혀 물방울로 다시 회수되거나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숙성공정 종료 후 외부뚜껑(10)을 열어 분리시키고 실시하는 건조화공정중에는 어느 정도의 수분증발을 허용하는 역할을 하는 여러 개의 수증기 배출구(13)를 가지고, 이들 수증기 배출구(13)는 외부뚜껑(10)의 입구 내에 위치하며, 밑면의 입구는 가열용기(30)의 입구와 같은 크기로, 본체(50)와 외부뚜껑(1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뚜껑(11)과; 투입된 깐 생마늘이 숙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마늘엑기스에 골고루 침잠되어 균질한 숙성과 당화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망사 또는 다공의 원기둥 형으로 제작하고, 가열용기(30) 내부에서 원기둥의 양면이 지면에 수직이 되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시킬 수 있게 제작한 수납용기( 20)와, 수납용기(20)는 마늘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해 수납용기의 한 면을 탈 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수납용기 뚜껑(22)과 수납용기 몸체(21)로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며; 아랫부분은 수납용기(20)와 같은 곡면이며 그 위의 측면부분은 사각기둥 형으로 제작하여 수납용기(20)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체(5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를 가지는 가열용기(30)와; 가열용기(30)를 가열하기 위하여 본체(50) 내부의 바닥부와 측면부에 열선 또는 열전도판이 구비되고 온도센서(41)를 가지는 가열부(40)와; 고온 및 저온 숙성과 건조화 공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공정을 위해 적정한 온도 및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각 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0)가 장착된 본체(50)로 구성된다.
콘트롤부(70)는 숙성모드와 건조모드및 증감모드로 구성된다.
콘트롤부(70)의 숙성모드는 고온 숙성과 저온숙성을 차례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각각의 숙성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정온도와 시간이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화 되어 설정되어 있다.
콘트롤부(70)의 건조모드는 건조화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적정온도와 시간이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부(70)의 증가(+)모드와 감소(-)모드는 계절에 따라 숙성공정및 건조공정에서 시간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숙성 및 건조공정은 열풍공급에 의한 방식이 아니고, 가열용기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간접 열에 의해 숙성되고 자연 증발 건조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깐 생마늘 약 1,500g을 수납용기 몸체(21)에 넣고 수납용기 뚜 껑(22)을 닫은 다음, 가열용기(30) 내에 장착하고, 내부뚜껑(11)과 외부뚜껑(10)을 차례로 장착한 다음 콘트롤부(70)에서 숙성모드를 선택하여 흑마늘제조기를 작동시킨다.
깐 생마늘 1,500g은 보통크기의 통마늘 40~50통으로써, 한 사람이 1일 2통 정도 섭취할 경우 약 20여 일을 섭취할 수 있는 양이며, 본 고안에 의한 흑마늘 제조기의 수납용기(20)는 약 1,500g의 깐 생마늘을 가공할 수 있도록 40L의 용적으로 제작하여 가정용으로서 적정한 크기가 되도록 하였다.
콘트롤부(70)의 숙성모드는 가열용기(30) 내부온도 95~99℃ 유지 및 30시간의 수행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고온숙성 공정을 수행한 후, 내부온도 45~50℃와 수행시간 48시간으로 설정된 저온숙성공정이 수행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증가(+)모드와 감소(-)모드가 콘트롤부(70)에 설계되어 계절 또는 취향에 따라 시간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숙성 공정 중 12시간마다 수납용기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적재된 마늘의 위 아랫부분을 뒤집어 주어 마늘이 엑기스에 골고루 침잠되도록 한다.
숙성 공정이 종료되면, 외부뚜껑(10)을 몸체에서 분리시키고 콘트롤부(70)에서 건조모드를 선택하여 건조화 공정을 수행토록 한다.
콘트롤부(70)의 건조모드는 70℃에서 10시간의 건조 공정을 수행토록 설계되어 있다.
건조 공정 중에서는 3시간마다 수납용기를 180도 회전시켜 적재된 마늘의 위 아랫부분이 골고루 건조되도록 한다.
증가(+)모드와 감소(-)모드를 사용하여 계절 또는 취향에 따라 건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열용기와 수납용기를 회전에 적합토록 제작하여, 숙성공정과 건조공정에서 수납용기(20)를 회전시키는 것이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인 바, 상기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였으나, 도 5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톱니바퀴의 회전장치(60)를 내부뚜껑(11)에 장착하고 모터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0)측면에 설치하여, 숙성공정은 3~6시간마다 건조공정은 1시간마다 자동으로 수납용기(20)의 180도 회전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망사 또는 다공 판으로, 분리 가능하게 수납용기(20)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 제작한 분리판(23)을, 수납용기(20) 내부에 수납용기의 양면과 직각을 이루게 삽입하고 인삼 또는 콩이나 식품 등을 분리판(23) 위에 얹어 수납용기 뚜껑(22)을 닫은 후, 삽입된 분리판(23)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수납용기(20)를 가열용기(30) 내에 장착한 다음, 가열용기(30) 내에 내용물이 잠기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고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켜 증삼하거나 증숙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증삼또는 증숙된 내용물을 수납용기(20)에서 꺼내어 가열용기(30)내에 넣거나, 수납용기(20)를 180도 회전시켜 내용물을 바닥에 놓이게 하고, 물을 부어 다리거나 끓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흑마늘 제조를 위해 숙성공정과 건조화공정에 적합한 온도와 시간을 프로그래밍화하여 제공하고, 망사 또는 다공의 원기둥형으로 제작한 수납용기(20)와; 수납용기(20)가 회전하기 적합하도록 밑면을 곡면으로 하고, 수납용기(20)를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측면을 사각기둥 형으로 제작된 가열용기(30)를 특징으로 하며, 수납용기(20)를 가열용기(30) 내에서 일정시간마다 회전시켜 줌으로써, 숙성공정 중 깐 생마늘이 고르게 숙성과 당화가 이루어지고 갈변화가 되며, 이후 건조화 공정을 거침으로써 갈변화가 쌓여 짙어지게 되어 마치 흑화가 된 것처럼 보이고, 단맛이 나며 유효성분이 증가한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기의 결합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기의 결합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회전장치를 장착한
흑마늘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회전장치를 장착한
흑마늘 제조기의 결합 정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회전장치를 장착한
흑마늘 제조기의 결합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서 분리판을 장착한 수납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 뚜껑 11 내부 뚜껑 12 배기구멍 13 수증기 배출구
20 수납용기 21 수납용기의 몸체 22 수납용기의 뚜껑 23 수납용기의 분리판 30 가열용기
40 가열부 41 온도센서 50 본체
60 톱니바퀴의 회전장치 61 모터
70 콘트롤부

Claims (3)

  1. 과도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일정수준의 압력을 유지 위한 배기구멍(12)이 있는 외부뚜껑(10)과;
    본체(50)와 외부뚜껑(10) 사이에 분리 가능하고 장착하며, 다공의 수증기배출구(13)를 가지는 내부뚜껑(11)과;
    본체(50) 내부의 바닥부와 측면부에 열선 또는 열전도판이 구비되고 온도센서(41)를 가지는 가열부(40)와, 고온숙성과 저온숙성 및 건조화 공정을 위하여 온도와 시간을 제어하고 각각의 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0)를 가지는 본체(50)와;
    아랫부분이 수납용기(20)와 동일한 곡면을 가지고 그 위의 측면부분은 사각기둥 형이며, 본체(5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를 가지는 가열용기(30)와;
    상기의 가열용기(30)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망사 또는 다공의 원기둥형으로 제작하고, 마늘 투입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납용기의 한쪽 면을 탈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수납용기(20)를, 수납용기의 양면이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장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기
  2. 청구항 1항 있어서, 수납용기(20)의 원둘레와 맞물리는 톱니바퀴의 회전장치(60)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기
  3.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망사 또는 다공의 분리판(23)을 수납용기(20)의 양면에 수직이 되고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한 수납용기(20)를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기
KR2020070017790U 2007-11-03 2007-11-03 흑마늘 제조기 KR200900043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90U KR20090004322U (ko) 2007-11-03 2007-11-03 흑마늘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90U KR20090004322U (ko) 2007-11-03 2007-11-03 흑마늘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22U true KR20090004322U (ko) 2009-05-08

Family

ID=4129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90U KR20090004322U (ko) 2007-11-03 2007-11-03 흑마늘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32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79B1 (ko) * 2010-03-22 2013-07-26 유충일 전기밥솥용 흑마늘 제조기
CN109953300A (zh) * 2017-12-25 2019-07-02 佛山市皮皮虾电器模具有限公司 一种家用黑蒜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79B1 (ko) * 2010-03-22 2013-07-26 유충일 전기밥솥용 흑마늘 제조기
CN109953300A (zh) * 2017-12-25 2019-07-02 佛山市皮皮虾电器模具有限公司 一种家用黑蒜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60083U (zh) 隔层烹饪锅具
AU4798199A (en) Heating, cook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CN209403478U (zh) 一种黑蒜酱料蒸炒设备
KR20090004322U (ko) 흑마늘 제조기
CN110367833A (zh) 一种饭煲及其控制方法
KR101715029B1 (ko) 건조기용 숙성용기
CN108618565A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CN108669554B (zh) 一种饼干
CN110881840A (zh) 蒸汽加热式电饭煲的烹饪控制方法
CN209826258U (zh) 一种新型蒸饭保温电饭煲
CN106387678B (zh) 熟制豆产品的加工方法
CN215900413U (zh) 热循环茯苓蒸煮装置
CN106983376A (zh) 自动控制的滚筒式电烤红薯装置
KR101946810B1 (ko) 흑우엉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흑우엉
CN205993941U (zh) 一种带有活动喷嘴的烹饪餐台
CN103976446B (zh) 一种红参液的加工方法
CN211380742U (zh) 烹饪器具
CN107361180A (zh) 一种桑叶除臭脱涩处理工艺
CN114468229A (zh) 一种耐储存风味豆腐乳的制作工艺
CN208988449U (zh) 一种竹笋蒸煮设备
CN213719815U (zh) 一种蒸汽熏制花生加工装置
CN214595479U (zh) 一种自循环可均匀蒸煮装置
CN111700507B (zh) 一种有效去除杂粮饭异味的烹饪方法及烹饪器具
CN218245486U (zh) 一种温度可控的绿茶生产用翻炒装置
CN205338596U (zh) 一种电力米饭蒸烤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