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80U -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80U
KR20090002180U KR2020070014505U KR20070014505U KR20090002180U KR 20090002180 U KR20090002180 U KR 20090002180U KR 2020070014505 U KR2020070014505 U KR 2020070014505U KR 20070014505 U KR20070014505 U KR 20070014505U KR 20090002180 U KR20090002180 U KR 20090002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unroof
frame
rear frame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924Y1 (ko
Inventor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2020070014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100)는, 베이스(2)상에 전후면 프레임(4)(6)이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전후면 프레임(4)(6)의 상부수평바 간에는 분리가능한 수평지지바(8)들이 걸림지지 및 체결 고정되게 구성하며, 전후면프레임(4)(6)의 내벽에는 다단의 받침편(10a)을 갖는 적재대(10)가 좌우에 고정설치되고, 각 전후면 프레임(4)(6)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다수의 끼움홈 블록(12a)들을 갖는 상하요동방지대(12)가 축회전가능케 직립 설치되며, 전후면 프레임(4)(6)중 일면 프레임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에 형성된 설치홈(72)에 끼워지는 끼움날(14a)이 형성된 전후요동방지대(14)가 분리가능케 조립 구성하여서 적재된 선루프를 상하 또는 좌우 요동이 없도록 잡아줄 수 있다.
파렛트, 선루프, 요동방지대

Description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PALLET FOR SUNROOF OF CARS}
본 고안은 자동차용 선루프나 후드 등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전용 파렛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선루프나 후드 등은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서, 이들을 적재하여 운반토록하는 전용파렛트는 이제껏 베이스와 전후좌우의 사방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고 또 전후프레임 내벽에는 여러개의 받침편이 서로간에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적재대가 고정설치되어 최하부로부터 제품을 차례로 적재해주도록 하고 적재 후 상부프레임을 결합하여 운반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는 선루프들을 적재한 후 지게차로 운반할 때 적재된 선루프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요동을 치게 되지만 이에 대한 대비책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된 선루프를 상하 또는 좌우 요동이 없도록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에 있어서, 베이스(2)상에 전후면 프레임(4)(6)이 절첩 가능케 연결되게 구성하며, 전후면프레임(4)(6)의 내벽에는 다단의 받침편(10a)을 갖는 적재대(10)가 좌우에 고정설치되고, 각 전후면 프레임(4)(6)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다수의 끼움홈 블록(12a)들을 갖는 상하요동방지대(12)가 축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전후면 프레임(4)(6)중 일면 프레임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에 형성된 설치홈(72)에 끼워지는 끼움날(14a)이 형성된 전후요동방지대(14)가 분리가능케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에 자동차선루프들을 적재하여서 운반도중 외부 충격이 있더라도 상하나 전후좌우로의 요동이 거의 없게 되어 적재된 자동차선루프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100)는, 사각형태의 베이스(2)상의 전후면 프레임(4)(6)이 절첩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전후면 프레임(4)(6)의 상부수평바 간에는 분리가능한 수평지지바(8)들이 걸림지지되며 체결구(9)로 체결 고정되게 구성한다.
전후면프레임(4)(6)의 내벽에는 다단의 받침편(10a)을 갖는 적재대(10)가 좌우에 각각 고정설치되게 구성하고, 각 전후면 프레임(4)(6)의 좌우 적재대(10)간에는 다수의 끼움홈 블록(12a)들을 갖는 상하요동방지대(12)가 축회전가능케 직립 설치되며, 전후면 프레임(4)(6)중 일면 프레임의 좌우 적재대(10)간에는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에 형성된 설치홈(72)에 끼워지는 끼움날(14a)이 형성된 전후요동방지대(14)가 분리 가능케 조립구성된다.
적재대(10)에 축설치된 다단의 받침편(10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10)의 양측 수직지지간(48)에 축연결된 회전축(40)의 후미에 무게추(42)가 일체로 형성되게하고 회전축(40)의 선두에는 "ㄴ"형상의 안착부(44)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그래서 받침편(10a)의 안착부(44)에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을 적재하지 않 을 시에는 후단 무게추(72)의 무게로 인해 받침편(10a)의 안착부(44)가 위로 접혀져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는 선두 안착부(44)가 수직지지간(48)에 나사봉형태로 설치된 스토퍼(46)에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을 적재하기 위해서 받침편(10a) 선두의 안착부(44)를 당겨내려 받침편(10a)이 펼쳐진 상태가 되는데 이때 별도의 지그를 이용해 받침편(10a)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서 작업자가 받침편(10a)의 안착부(44)에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을 안착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 때에는 후미 무게추(72)가 상기 스토퍼(46)에 걸려지게 된다.
도 1에서, 상하요동방지대(12)는 적재대(10)의 받침편(10a)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하로 요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후면프레임(4)(6) 각각에 축설치된 지지대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하요동방지대(1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상하요동방지대(12)의 축연결상태 및 자동선루프 프레임(70)의 끼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요동방지대(12)는 전후면프레임(4)(6)의 벽면에서 좌우 적재대(10)사이에 축회전 가능케 직립 설치된다. 상하요동방지대(12)에는 적재대(10)의 받침편(10a)들의 갯수만큼의 끼움홈 블록(12a)들이 체결 구성되게 하되, 끼움홈블록(12a)들 각각에는 받침편(10a)의 안착부(44)상에 안착된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에 끼워지는 끼움홈(20)이 형성된다. 끼움홈블록(12a)은 합성수지재질이나 우레탄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홈블록(12a)의 끼움홈(20) 에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되어서 끼움홈(20)으로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이 쉽게 끼워질 수 있게 안내해준다.
상하요동방지대(12)의 상하단부에는 축관(24)이 용접설치되게 하되, 전후면프레임(4)(6)의 하부 수평지지바(60)의 축핀(62)에 하단부의 축관(24)이 끼워지게 하고 전후면 프레임(4)(6)의 상부 수평지지바(64)의 축공(65)에 끼워진 축볼트(66)에 상단부의 축관(24)이 끼워지게 축연결함으로써 상하요동방지대(12)가 축회전되게 해준다. 전후면 프레임(4)(6)의 하부 수평지지바(60)의 상부와 상부 수평지지바(64)의 하부 각각에는 상하요동방지대(12)의 끼움홈블록(12a)이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을 끼움홈(20)에 끼워진 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는 멈춤편(63)(68)이 용접고정된다.
상하요동방지대(12)는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100)에 자동차선루프들을 모두 적재시킨 후 축회전시키게 된다. 상하요동방지대(12)의 축회전으로 끼움홈블록(12a)의 끼움홈(20)에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을 끼워넣은 후에는 상단 체결구(22)의 작동봉을 상부수평지지바(64)의 체결공(23)에 끼워넣어서 상하요동방지대(12)가 체결고정되게 한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면, 전후요동방지대(14)는 적재대(10)의 받침편(10a)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후좌우로 요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면프레임(6)의 좌우 적재대(10)사이에 직립되게 조립설치되는 지지대이다. 전후요동방지대(14)는 상하요동방지대(12)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선루프 전용파렛트(100)에 자동차선루프들을 모두 적재시킨 후 조립 체결되어진다.
도 4는 도 1의 전후요동방지대(14)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전후요동방지대(14)의 체결상태 및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의 끼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전후요동방지대(14)는 대체로 긴 판체로서 끼움날(14a)이 형성되고 상하 측판면에는 체결구(30)가 각각 결합고정된다.
전후면프레임(4)(6)의 상하부 수평지지바(64)(60) 각각에는 안내돌편(82)(75)을 용접고정하되, 운반전용 파렛트(100)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내 형성된 설치공(72)으로 전후요동방지대(14)의 끼움날(14a)이 끼움유도될 수 있도록 안내돌편(82)(75)를 용접고정한다. 또 상하부 수평지지대(64)(60)의 안내편(82)(75) 부근에는 체결공(80)(76)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전후요동방지대(14)의 상하 체결구(30)의 돌봉이 끼움체결됨과 동시에 안내돌편(82)(75)에 지지됨으로써 전후요동방지대(14)가 견고하게 조립고정되게 해준다.
한편 본 고안의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파렛트(100)의 베이스(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적재판(50)과, 적재판(50) 저면에 용접되며 예비판재를 프레스 절곡하여 사방으로 지게차포크 안내통로(54)들이 형성된 안내접합체(52)로 구성한다. 일체형으로 사방으로 안내통로(54)들이 형성된 안내접합체(52)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2)의 제작이 용이하고 그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의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100)에 자동차선루프를 적재하는 작업순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작업자가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파렛트(100)에 자동차선루프를 적재하기 위 해서는 상부 수평지지바(8)들이 모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 적재대(10)들의 받침편(10a)들은 후부 무게추(42)의 무게에 의해서 모두 상부로 접혀져 있는데, 작업자가 최하위에 있는 받침편(10a)을 지그나 손을 이용해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자동차선루프를 적재한다. 그에 따라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은 펼쳐진 상태로 있는 받침편(10a)의 안착면(44)에 안착되어지게 된다. 최하위단에 자동차선루프를 적재한 후 바로 그 상위단의 받침편(10a)에 자동차선루프를 같은 방법으로 차례대로 계속 적재해 가며 최상위단의 받침편(10a)까지 자동차선루프를 적재할 수 있다.
최상위단까지 자동차 선루프 적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프레임(4)(6)에 축설된 상하요동방지대(12)를 회전시켜서 상하요동방지대(12)의 다수 끼움홈블록(12a)의 끼움홈(20)에 각 단 받침편(10a)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이 끼워지게 한다. 그후 상하요동방지대(12)를 상단에 있는 체결구(22)를 이용해서 상하요동방지대(12)가 회전되지 않도록 체결고정한다.
그 다음에는 전후요동방지대(12)를 이용하여 적재된 다수의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들의 끼움홈(72)에 전후요동방지대(12)의 끼움날(14a)이 끼워지게 하고, 그 상태에서 전후요동방지대(12)의 상하단에 있는 체결구(30)를 후면프레임(6)의 상하 수평바에 체결 고정한다.
도 10의 요부 평단면도에서는 적재대(10)의 받침편(10a)들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들 각각이 상하요동방지대(12)와 전후요동방지대(14)에 의해서 견고하게 끼워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하요동방지대(12)와 전후요동방지대(14)에 의해서 체결고정된 후에는 전후면 프레임(4)(6)의 상부수평바 간에 수평지지바(8)들을 걸림지지되게 하고 수평지지바(8)의 체결구(9)로 전면프레임(4)의 상부수평바에 체결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100)에 적재된 자동차선루프들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요동방지되게 구현함으로써 자동차선루프 파렛트는 외부 충격에도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고안은 적재용 파렛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상하요동방지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후요동방지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하요동방지대의 축연결 상태 및 자동차선루프 프레임 끼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전후요동방지대(14)의 체결상태 및 자동차선루프 프레임 끼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적재대 부분 분리 사시도,
도 9는 상하요동방지대의 끼움홈블록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평단면도,
도 10은 자동차선루프 프레임을 적재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 (4)(6)-- 전후면 프레임
(8)-- 수평지지바 (10)-- 적재대
(10a)-- 받침편 (12)-- 상하요동방지대
(12a)-- 끼움홈 블록 (14)-- 전후요동방지대
(14a)-- 끼움날 (20)-- 끼움홈
(22)(30)-- 체결구 (50)-- 적재판
(52)-- 안내접합체 (54)-- 지게차포크 안내통로
(70)-- 자동차선루프 프레임 (72)-- 설치홈
(100)--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Claims (3)

  1.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에 있어서,
    베이스(2)상에 전후면 프레임(4)(6)이 절첩 가능케 연결되게 구성하며, 전후면프레임(4)(6)의 내벽에는 다단의 받침편(10a)을 갖는 적재대(10)가 좌우에 고정설치되고, 각 전후면 프레임(4)(6)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다수의 끼움홈 블록(12a)들을 갖는 상하요동방지대(12)가 축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전후면 프레임(4)(6)중 일면 프레임의 좌우 적재대(10) 사이에는 자동차선루프 프레임(70)에 형성된 설치홈(72)에 끼워지는 끼움날(14a)이 형성된 전후요동방지대(14)가 분리가능케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요동방지대(12) 및 전후요동방지대(14)에는 전후면프레임(4)(6)에 체결고정되게 하는 체결구(22)(30)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는, 사각형태의 적재판(50)과, 적재판(50) 저면에 용접되며 예비판재를 프레스 절곡하여 사방으로 지게차포크 안내통로(54)가 형성된 안내접합체(5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KR2020070014505U 2007-08-30 2007-08-30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KR200443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05U KR200443924Y1 (ko) 2007-08-30 2007-08-30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05U KR200443924Y1 (ko) 2007-08-30 2007-08-30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80U true KR20090002180U (ko) 2009-03-04
KR200443924Y1 KR200443924Y1 (ko) 2009-03-24

Family

ID=4134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505U KR200443924Y1 (ko) 2007-08-30 2007-08-30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9659A (zh) * 2012-12-31 2014-02-12 浙江吉利汽车有限公司 一种顶盖混线生产自动输送装置
CN108751073A (zh) * 2018-07-05 2018-11-06 恩坦华汽车零部件(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的马达安装操作台
CN109205008A (zh) * 2017-07-07 2019-01-15 江苏六维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汽车外饰件物流专用托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9659A (zh) * 2012-12-31 2014-02-12 浙江吉利汽车有限公司 一种顶盖混线生产自动输送装置
CN103569659B (zh) * 2012-12-31 2015-12-02 浙江吉利汽车有限公司 一种顶盖混线生产自动输送装置
CN109205008A (zh) * 2017-07-07 2019-01-15 江苏六维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汽车外饰件物流专用托盘
CN108751073A (zh) * 2018-07-05 2018-11-06 恩坦华汽车零部件(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的马达安装操作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924Y1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966B2 (ja) 貨物用ラック
CN1787936B (zh) 运送人员的军用汽车
ES2426326T3 (es) Contenedor plegable y método de transporte de contenedores plegados
KR200443924Y1 (ko) 자동차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US6557917B1 (en) Pick-up truck rack
JP2012530016A (ja) 輸送システム
US6314893B1 (en) Table frame for cutting machine
CA2573846A1 (en) Storage structure
KR100829160B1 (ko) 부품 운반용 카트
US20020139798A1 (en) Shipping pallet
KR100725656B1 (ko) 자동차 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US9016490B1 (en) Modular container system
US5915497A (en) Working platform
JP2006291473A (ja) 先行手摺枠及び緊結式枠組足場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GB2273281A (en) Collapsible pallet
JP4812062B2 (ja) 組立棚
WO2014083659A1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構造
JP4807510B2 (ja) 折り畳み自在搬送用台車の荷支持台係止装置
JP3232384U (ja) 荷台作業時転落防止装置
KR200454573Y1 (ko) 차량 엔진 적재용 팔레트
KR200438590Y1 (ko) 적재용 팰릿
JP4487187B2 (ja) ラック
JPH09328133A (ja) パレット
CN219317976U (zh) 一种转运方便的空压机安装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