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028U -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028U
KR20090000028U KR2020070010622U KR20070010622U KR20090000028U KR 20090000028 U KR20090000028 U KR 20090000028U KR 2020070010622 U KR2020070010622 U KR 2020070010622U KR 20070010622 U KR20070010622 U KR 20070010622U KR 20090000028 U KR20090000028 U KR 200900000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ircuit board
locking
switch
eleva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839Y1 (ko
Inventor
오부현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2007001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표시판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조립하기 위하여, 문자판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표시판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측 내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중간 프레임; 외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이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하부 프레임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비 및 조립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스위치, 하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저부 프레임, 체결수단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주요부인 하부 프레임과 회로기판의 상호 결합 상태를 다양한 실시예별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400, 500...하부 프레임 310, 410, 510....중간 프레임
320, 420...저부 프레임 330, 430...체결수단
520...볼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부 프레임을 체결수단으로 상호 결합되는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으로 분할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하부 프레임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비 및 조립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엘리베이터 스위치는 문자판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이 하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이 하부프레임 상부측에서 장착되어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다양한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0-2001-0010823호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의, 도 1(b)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3-68350호의 '엘리베이터용 스위치'의, 도 1(c)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5-96831호의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의, 도 1(d)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2006-24764호의 '엘리베이터 스위치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상술한 선행기술의 구성 및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상기 명세서를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복잡한 구조의 하부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일체로 제작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들과 같이 복잡한 형상의 하부 프레임을 성형할 경우에 금형 내로 수지가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거나 하여 성형 제품의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들은 일체 성형된 하부 프레임에 회로기판을 안착시키고 상부 프레임 및 기타 부품을 안착하여 상호 결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좁고 한정된 공간을 구비한 하부 프레임 내에 작고 미세한 부품을 투입하여 배치하고 상호 결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비가 소요되는 바, 신속하고 대량으로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생산하고자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하부 프레임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비 및 조립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문자판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표시판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한 중간 프레임; 외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문자판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표시판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외면상에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과,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 돌편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걸림 돌편으로 고정되는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저부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문자판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표시판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외면상에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과,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며 제1 체결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 돌편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걸림 돌편 하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제2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고안은 문자판(102)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100) 하부측에 십자형의 완충부재(11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00)에 의하여 완충부재(110)가 가압 접촉되는 텍트 스위치(202)를 구비한 회로기판(200)이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300)을 각각 각각 체결수단(330)이 구비된 중간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20)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100)에는 복수개의 결합걸이(104)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310)의 하부측에 절개 형성된 결합골(311)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00)은 저부 프레임(320)에 구비된 고정 보스(321)에 장착되는 스프링(120)으로 탄성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상단부는 중간 프레임(310) 내면에 단차 형성된 단턱(313)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부재(110)를 탄성 변형시켜 텍트 스위치(202)에 누름 접촉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주요부인 하부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다양한 실시예별로 살펴 보기로 하며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의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서 완충부재(110), 스프링(120) 및 상부 프레임(100)을 포함한 구성부는 공통이므로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300, 400, 500)은 도 2와 같이 원통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하부 프레임에 적용 가능함도 당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적절히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한 범주 내의 것이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300)은 중간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20) 사이에 회로기판(200)이 장착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20) 각각에 구비된 체결수단(330)의 결합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중간 프레임(31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312)이 형성된 것이며, 저부 프레임(320)은 외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322, 322')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회로기판(20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걸림편(322, 322')은 본 출원인의 기출원건인 10-2005-96831호의 것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두께의 표시판(S)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며, 상기 제1, 2 걸림편(322, 322')의 단부는 역시 본 출원인의 기출원건이 20-2001-0010823호의 것과 같이 계단 형상으로 복수개의 단차부를 부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는 도 2를 참고하면 더욱 명확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330)은 상기 중간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20)을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합홈과 돌기의 조합이나 볼트의 결합으로써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330)은 상기 중간 프레임(310)의 외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홈(332)과, 상기 저부 프레임(320) 가장자리의 상기 걸림홈(3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되는 걸림후크(334)가 상호 결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부 프레임(320) 상부측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310) 하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회로기판(200)이 안착되게 된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330)은 저부 프레임(320) 하부측 내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는 걸림 돌판(324)에 형성된 제1 체결공(321)과, 상기 제1 체결공(321)과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된 제2 체결공(221)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334')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걸림돌판(324)의 하부측에 장착되도록 하며, 이는 상기 걸림 돌판(324)과의 결합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프레임(300)은 상기 걸림턱(312)과 제1, 2 걸림편(322, 322') 사이에 표시판(S)이 배치되게 되며, 더욱 상세히는 상기 표시판(S)의 다양한 두께에 따라 적절히 제1 걸림편(322) 또는 제2 걸림편(322') 과 걸림턱(312) 사이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S)의 미세한 두께 차이에 대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걸림편(322, 322') 단부의 단차부(미도시)에 걸림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400)은 중간 프레임(410)에 제1, 2 걸림편(414, 414')을 구비하고 저부 프레임(420) 상에 회로기판(200)을 안착시켜 상기 중간 프레임(410) 및 저부 프레임(420) 각각에 구비된 체결수단(430)으로써 상호 결합시킨 다음, 표시판(S)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간 프레임(41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412)을 형성하고, 외면상에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414, 414')을 구비하며,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414, 4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중간 프레임(410)의 외면과 수직을 이루는 걸림 돌편(416)이 복수개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저부 프레임(420)은 상기 걸림 돌편(416)으로 고정되는 회로기판(200)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수단(430)은 이러한 상기 중간 프레임(410)과 저부 프레임(420) 상호간을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걸림턱(412)과 제1, 2 걸림편(414, 414') 사이에 표시판(S)이 배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430)은 상기 제1, 2 걸림편(414, 414') 사이의 외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홈(432)과, 상기 저부 프레임(420)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432)에 대응 결합하는 걸림후크(43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도 6과 같은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500)은 제1, 2 걸림편(514, 514')을 구비한 중간 프레임(510)의 걸림돌편(516) 하부측에 볼트(520)로 회로기판(200)을 고정시킨 다음, 표시판(S)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간 프레임(51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512)이 형성되고, 외면상에 제1, 2 걸림편(514, 514')이 복수개 ㅎ형성되며,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514, 5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며 제1 체결공(516')이 각각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 돌편(516)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볼트(520)는 상기 걸림 돌편(516) 하부측에 장착되는 회로기판(2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결공(516')과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된 제2 체결공(216)을 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회로기판(200)과 중간 프레임(510) 상호간을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걸림턱(512)과 제1, 2 걸림편(514, 514') 중 일측 사이에 표시판(S)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하부 프레임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비 및 조립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일체로 성형하기 힘들만큼 복잡한 형상인 종래의 하부 프레임을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으로 나누어 간소화된 형태로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금형 제작 및 설계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의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줄인 구성으로 기존의 하부 프레임과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성형 불량의 여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다양한 두께의 표시판에 대응가능하도록 한 제1, 2 걸림편을 중간 프레임 또는 저부 프레임에 구비토록 하고 회로기판을 저부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장착되도록 하는 다양한 조립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조립과 구성부품의 안착과 조립이 용이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의 측면에서 제조 시간 및 노동비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문자판(102)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100)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202)를 구비한 회로기판(200)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표시판(S)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30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312)을 구비한 중간 프레임(310);
    외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322, 322')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저부 프레임(320); 및
    상기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S)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30)은,
    상기 중간 프레임(310)의 외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홈(332)과, 상기 중간 프레임(310) 하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회로기판(200)이 안착되는 상기 저부 프레임(320)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후크(334)가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30)은,
    상기 저부 프레임 하부측 내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는 걸림 돌판(324)에 형성된 제1 체결공(321)과,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제2 체결공(221)을 통하여 볼트(334')로 체결되며,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걸림 돌판 하부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4. 문자판(102)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100)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202)를 구비한 회로기판(200)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400)을 포함하여 표시판(S)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412)과, 외면상에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414, 414')과,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 돌편(416)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410);
    상기 걸림 돌편으로 고정되는 회로기판(200)이 안착되는 저부 프레임(420); 및
    상기 중간 프레임과 저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수단(430);을 포함하 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S)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30)은,
    상기 제1, 2 걸림편(414, 414') 사이의 외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홈(432)과, 상기 저부 프레임(420)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 결합하는 걸림후크(43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6. 문자판(102)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100)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가압 접촉하는 텍트 스위치(202)를 구비한 회로기판(200)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500)을 포함하여 표시판(S)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500)은,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512)과, 외면상에 상향 경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분리 형성된 복수개의 제1, 2 걸림편(514, 514')과, 하부측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2 걸림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외면과 수직을 이루며 제1 체결공(516')이 각각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 돌편(516)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510); 및
    상기 걸림 돌편 하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된 제2 체결공(216)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2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과 제1, 2 걸림편 사이에 표시판(S)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70010622U 2007-06-28 2007-06-28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446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0622U KR200446839Y1 (ko) 2007-06-28 2007-06-28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0622U KR200446839Y1 (ko) 2007-06-28 2007-06-28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8U true KR20090000028U (ko) 2009-01-07
KR200446839Y1 KR200446839Y1 (ko) 2009-12-03

Family

ID=4127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0622U KR200446839Y1 (ko) 2007-06-28 2007-06-28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846B1 (ko) * 2009-07-17 2010-09-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콜 버튼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505Y1 (ko) * 1992-08-27 1995-11-03 지주현 엘리베이터 조작용 버튼
JPH07223781A (ja) * 1994-02-04 1995-08-2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押しボタン
JP2006331813A (ja) * 2005-05-25 2006-12-07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0731313B1 (ko) * 2005-10-14 2007-06-21 (주)이엘에스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846B1 (ko) * 2009-07-17 2010-09-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콜 버튼 어셈블리
WO2011007937A1 (en) * 2009-07-17 2011-01-20 Otis Elevator Company Call button assembly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39Y1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534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キーボード
KR20060128106A (ko) 플라스틱 파스너
KR102458792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JP4294611B2 (ja) 縫製不要の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46839Y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JP2018156928A (ja) キーボードのキー用パンタグラフ構造
US7601925B1 (en) Fixing device for button
JP2019072938A (ja) 部品取付治具
JP2014087455A (ja) バンド
JP4336956B2 (ja) 部品取付クリップ
KR101350031B1 (ko) 자동차 매트 후크
US7525793B2 (en) Peripheral fastening structure for fastening both cases of an electronic device
JP4597000B2 (ja) バンパーラバーおよびバンパーラバーの製造方法
KR200315701Y1 (ko) 조립식 테이블 연결구조
KR20070047172A (ko) 버튼의 일체화 구조
KR100732993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체
KR101846570B1 (ko) 변속노브 조립체
KR101035385B1 (ko) 수지사출성형 일체형 채널간판
CN107701547B (zh) 一种卡扣结构及卡扣连接装置
KR100751329B1 (ko) 섀시베이스 조립체
JPH0562380U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
KR0131209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700696B1 (ko)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
KR100499935B1 (ko) 탁자
KR20070029493A (ko) 일체형 버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