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26A -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26A
KR20080114526A KR1020080057865A KR20080057865A KR20080114526A KR 20080114526 A KR20080114526 A KR 20080114526A KR 1020080057865 A KR1020080057865 A KR 1020080057865A KR 20080057865 A KR20080057865 A KR 20080057865A KR 20080114526 A KR20080114526 A KR 2008011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ating film
drying zone
wind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784B1 (ko
Inventor
토모후미 야마다
노부오 하마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라인 속도를 고속화해도 도포 직후의 초기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얼룩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도포막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건조존 내에 건조풍을 공급해서 도포막을 건조하는 건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건조존에서는 장척상 지지체의 폭방향으로 0.5m/s보다 큰 풍속의 건조풍을 공급함으로써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켜서 건조하고, 제 2 건조존에서는 건조풍의 풍속을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 이하로 함으로써 장척상 지지체에 동반하는 동반풍에 의해 건조하며, 제 2 건조존에서는 지지체의 온도가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아지도록 건조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이다.
Figure P1020080057865
도포막의 건조 방법

Description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ING FILM}
본 발명은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학 보상 시트 등의 제조에 있어서 장척상 지지체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해서 형성한 길고 광폭의 도포막 면을 건조하는 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쌍의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에 위상차판으로서 광학 보상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장척상의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법으로서는 장척상의 투명 필름의 표면에 배향막 형성용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나서 러빙처리를 행해서 배향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배향막 위에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도포한 도포막을 건조하는 방법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의 건조 방법은,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discotic compound)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나서 정규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할 때까지 실내 공조(空調) 조건하에서 초기 건조를 행해서 주로 도포액 중의 유기용제를 증발시켜 건 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광학 보상 시트에는, 초기 건조 과정에 있어서 도포막(101) 면 상에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브로드(broad)한 얼룩(A)(가는 선으로 나타낸다)과 샤프(sharp)한 얼룩(B)(굵은 선으로 나타낸다)의 2종류의 얼룩(A, B)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제품의 득율을 낮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2종류의 얼룩(A, B)을 해석한 결과, 브로드한 얼룩(A)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막(102)의 층의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0의 부호 103은 장척상 지지체, 104는 배향막 층이다. 한편, 샤프한 얼룩(B)이 발생되어 있는 배향부(105)(농색부)의 배향 방향(106)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정상인 배향 방향(107)의 배향부(108)와 비교해서 벗어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초기 건조에서 발생하는 얼룩(A, B)에 대하여 유효한 대책으로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방법으로서는, 도포액을 고농도화하거나, 증점제를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도포액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도포 직후의 도포막 면의 건조풍에 의한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별도의 방법으로서는 고비점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도포 직후의 도막면의 건조풍에 의한 유동이 발생해도 레벨링 효과가 생김으로써 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도포액의 농도를 고농도화하거나, 증점제를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도포액의 점도를 증가하는 방법은, 고속 도포에 의해 초박층인 도포막을 형성하는 초 박층 정밀 도포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포액 점도가 증가한 만큼 한계 도포 속도(안정 도포할 수 있는 도포 속도의 한계)가 저하하므로, 점도의 증가와 함께 고속 도포가 불가능해지므로 생산 효율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고비점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은 건조 시간의 증대, 및 도포막 중에 잔류하는 잔류 용제량의 증대를 초래하고, 그만큼 건조 시간이 걸리므로 생산 효율이 악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 기재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를 제안했다. 이 도포 방법 및 장치는 도포 직후에 건조존을 형성하고,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의 건조되는 도포막 면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건조존에 상기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측에서 다른쪽 끝측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킴으로써 도포액의 점도 등의 물성이나 용매의 종류를 변경하는 일없이 도포막을 균일하게 건조하는 것이다. 이 건조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상기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 9-7308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1-170547호 공보
그러나, 광학 보상 시트의 품질로서 점점 고품질인 것이 요구되고 있는 작금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2의 도포 방법 및 장치에 의한 얼룩의 억제로는 충분하지 않게 되어, 더나은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광학 보상 시트의 생산 라인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주행 속도(라인 속도 또는 도포 속도라고도 한다)를 고속화할 필요가 있고, 고속화해도 얼룩의 발생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인 속도를 고속화해도 도포 직후의 초기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얼룩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도포액의 점도 등의 물성이나 용매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고 도포막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해서 형성한 도포막의 도포 직후에 건조존을 형성해서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의 건조되는 도포막 면을 둘러싸고, 상기 건조존 내에 건조풍을 공급해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전단(前段)의 제 1 건조존에서 실시되고,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0.5m/s보다 큰 풍속의 건조풍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포막 면 상에 상기 폭방향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켜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1 건조 공정과, 상기 건조존 후단(後段)의 제 2 건조존에서 실시되고, 상기 건조풍의 풍속을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도포막 면에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되는 동반풍을 발생시켜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2 건조 공정과, 상기 제 2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아지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지지체 온도 조정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에 의하면, 도포막 면을 둘러싸는 건조존 중의 제 1 건조존에 있어서는,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의 일방향의 건조풍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흐름의 건조풍)에 의해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1 건조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도포막 면을 건조존으로 둘러싸고, 또한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의 일방향 흐름의 규칙적인 건조풍을 발생시킴으로써 도포막 면 근방의 유기용제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도포막의 건조를 행할 수 있으므로, 건조시에 있어서의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척상 지지체가 주행함으로써 도포막 면에는 동반풍이 발생하므로, 상기한 일방향 흐름의 규칙적인 건조풍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건조풍의 풍속을 0.5m/s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반대로 풍속이 지나치게 크면 얼룩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동반풍을 이겨내어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일방향의 건조풍을 흐르게 할 수 있는 풍속의 건조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건조존에 있어서 도포막의 건조가 진행된 후는, 같은 풍속의 건조풍이여도 건조 속도가 현저하게 변동하기 쉽고, 이 변동이 얼룩 발생의 요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건조 공정의 뒤에 제 2 건조 공정을 실시하도록 했다. 즉 제 2 건조존에서는 건조풍의 풍속을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함으로써 도포막 면에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되는 동반풍을 발생시켜서 도포막을 건조한다. 또한 지지체 온도 조정 공정에 있어서, 제 2 건조존에서의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게 되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정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건조풍의 풍속을 최대한 작게 해서 도포막 면에 흐르는 바람의 주체를 동반풍으로 하고, 이 동반풍과 장척상 지지체와 도포막 면의 온도차만으로 도포막을 건조함으로써 건조 속도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얼룩의 발생을 한층더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라인 속도를 고속화 할수록 큰 동반풍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고속화에 알맞은 건조 방법이라 말할 수가 있다. 또한, 건조풍의 공급량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으로도 된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가 0.4∼1.2m/초(24∼72m/분)의 고속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라인 속도)를 0.4∼1.2m/초(24∼72m/분)의 고속 영역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더 발휘되기 쉽기 때문이다.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중의 상기 제 1 건조존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체류시간이 0.3∼1.0초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건조존을 상기 제 1 건조존과 상기 제 2 건조존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은,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의 경계 위치의 바람직한 구획을 나타낸 것이며, 장척상 지지체가 건조존에 도입되어서 건조가 개시되고나서 0.3∼1.0초의 체류시간의 부분을 제 1 건조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0.3∼1.0초의 체류시간을 경과해서 건조한 후의 도포막에 있어서, 건조 속도가 현저하게 변동하기 쉽기 때문이다.
청구항 4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중의 제 1 건조존이 상기 도포막의 항률 건조기(乾燥期)이며, 상기 제 2 건조존이 상기 도포막의 감률 건조기이며, 상기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을 상기 항률 건조기로부터 상기 감률 건조기의 건조 변화점의 위치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는 전단부와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의 경계 위치의 바람직한 구획을 청구항 3과는 다른 방법으로 구획한 것이며, 항률 건조기로부터 감률 건조기의 건조 변화점을 경계로 해서, 항률 건조기측을 제 1 건조존으로 하고, 감률 건조기측을 제 2 건조존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건조 변화점의 근방의 도포막에 있어서 건조 속도가 현저하게 변동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건조 변화점은 도포막의 고형분 양을 미리 측정해 둠으로써 건조존 내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고, 고형분 양으로 60∼80%까지 건조된 위치로 하면 좋다.
청구항 5는 청구항 1로부터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는 상기 건조풍 을 전혀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건조존에서는 건조풍의 풍속을 장척상 지지체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감속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건조풍을 전혀 공급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6은 청구항 1로부터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온도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2℃이상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은,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지지체 온도와 막면 온도의 바람직한 온도차를 규정한 것이며,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2℃이상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체의 온도와 도포막의 막면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건조를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다.
청구항 7은 청구항 1로부터 6에 있어서, 상기 도포막의 두께는 웨트 두께로 8㎛이하이며, 상기 장척상 지지체 두께의 1/10이하의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은 본 발명에 알맞은 도포막의 두께를 규정한 것이며, 도포막의 두께가 웨트 두께로 8㎛이하인 박막 쪽이 제 2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동반풍에서의 건조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포액의 두께를 지지체 두께와의 관계로 보았을 경우에는, 장척상 지지체 두께의 1/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액의 두께와 지지체의 두께를 1/10이하로 함으로써 지지체의 열을 도포액의 건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8은 청구항 1로부터 7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 있어서의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가 20℃이상 2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은, 제 2 건조존에 있어서의 도포막의 바람직한 막면 온도를 규정한 것이며, 도포막의 막면 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 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도포막의 막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9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기로 도포해서 형성한 도포막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의 도포막 면을 둘러싸는 건조존을 형성하는 건조 장치 본체와, 상기 건조존 중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키는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을 구비한 제 1 건조존과, 상기 건조존 중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동반해서 발생하는 동반풍에 의해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2 건조존과, 상기 도포기의 바로 앞에 설치되어 도포되기 전의 상기 장척상 지지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청구항 9는 본 발명을 장치로서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0은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는 도포막으로부터 휘발된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은, 제 2 건조존에서의 동반풍의 건조에 의해 도포막으로부터 휘발된 용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 2 건조존 내에 용제 가 충만해서 건조를 저해하는 일이 없다. 회수 수단으로서는 휘발된 용제를 결로 시키는 응축판이나, 용제를 흡착하는 흡착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 에 의하면, 제 2 건조존에 있어서 건조풍의 풍속을 지지체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하고, 장척상 지지체의 막면 온도가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아지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하는 동반풍과, 지지체와 도포막 면의 온도차에 의해 도포막을 건조할 수 있으므로, 건조풍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건조시에 있어서의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포막의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또한 도 2는 도 1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막의 건조 장치(10)는, 주로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12)(이하, 「웨브(12)」라고 한다)를 통과시켜서 도포막의 건조가 행하여지는 건조존(14)을 형성하는 건조 장치 본체(16)와, 건조존(14) 내에 웨브(12) 폭방향의 한쪽 끝측에서 다른쪽 끝측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키는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18)으로 구성된다. 이 건조 장치(10)는 주행하는 웨브(12)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기(20)의 바로 뒤에 설치된다.
도포기(20)로서는, 예를 들면 와이어 바(20A)를 구비한 바 도포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백업 롤러(22, 24, 26)에 지지되어서 주행하는 웨브(12)의 하면에 도포액이 도포되어서 도포막이 형성된다.
건조 장치 본체(16)는 도포기(20)의 바로 뒤에 설치되고, 주행하는 웨브(12)의 도포막 면측(웨브의 하면측)을 따른 직사각의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자체의 각 변 중의 도포막 면측의 변(상자체의 윗변)이 절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행하는 웨브(12)의 건조되는 도포막 면을 둘러싸는 건조존(14)이 형성된다. 건조존(14)은 건조 장치 본체(16)를, 웨브(12)의 주행방향에 직교한 복수의 칸막이판(28, 28 …)으로 칸막이를 함으로써 복수의 분할존(14A, 14B, 14C, 14D, 14E, 14F, 14G)(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분할존)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4A∼14C가 제 1 건조존(35)을, 14D∼14G가 제 2 건조존(36)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건조존(14)을 분할하는 칸막이판(28)의 상단과, 웨브(12)에 형성된 도포막 면의 거리는 0.5㎜∼1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의 범위이다. 또한 제 1 건조존(35)에는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18)(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2 건조존에 있어서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의 건조풍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 2 건조존 내에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 2 건조존은 무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분할존(14A∼14C)을 제 1 건조존(35), 다음 4개의 분할존(14D∼14G)을 제 2 건조 존(36)으로 하고 있지만, 도포액의 종류, 건조의 용이함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의 건조풍의 풍향이 같지만,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에서 다른 풍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18)은, 주로 건조 장치 본체(16)의 양 측변의 한쪽 측에 형성된 흡입구(18A, 18B, 18C)와, 다른쪽 측에 흡입구(18A∼18C)에 대향해서 형성된 배기구(18D, 18E, 18F)와, 배기구(18D∼18F)에 접속된 배기 수단(18G, 18H, 18I)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배기 수단(18G∼18I)을 구동시킴으로써 흡입구(18A∼18C)로부터 분할존(14A∼14C)에 흡입된 에어가 배기구(18D∼18F)로부터 배기되므로, 각 분할존(14A∼14C)에는 웨브(12) 폭방향의 한쪽 끝측(흡입구측)으로부터 다른쪽 끝측(배기구측)을 향해서 일방향으로 흐르는 건조풍이 발생한다. 그리고, 각분할존(14A∼14C)은 칸막이판(28)에 의해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할존의 건조풍이 별도의 분할존에 공급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하나의 분할존 내에서 공급된 에어는 동일한 분할존 내에서 배기되기 때문에 건조풍은 일방향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18)은 배기 수단(18G∼18I)에 의해 분할존(14A∼14C)마다 개별적으로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입구(18A∼18C)로부터 흡입되는 건조풍으로서는 온도·습도가 공조된 공조풍이 바람직하다.
제 1 건조존(35)의 길이는 제 1 건조존의 장척상 지지체의 체류시간이 0.3∼1.0초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200㎜이상 6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건조존은 도포막 면의 건조 상태가 항률 건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항률 건조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건조존(35)의 길이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제 1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를 충분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브로드한 얼룩(A)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건조 공정의 건조가 짧으면 건조가 불충분해서 건조 속도가 늦어진다. 또한 제 1 건조 공정이 길면 초기 건조가 종료되어 건조 속도가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기 때문에 브로드한 얼룩(A)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제 1 건조존 및 제 2 건조존의 길이란, 복수의 분할존에 의해 각 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존을 합친 길이를 말한다.
또한 제 1 건조존(35)의 건조풍의 풍속은 0.5m/s보다 큰 풍속으로 공급한다. 장척상 지지체가 주행함으로써 도포막 면에는 동반풍이 발생하므로, 건조존(14) 내에 일방향 흐름의 규칙적인 건조풍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건조풍을 상기 속도 이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2 건조존의 건조풍의 풍속은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풍을 공급하지 않는 무풍 상태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건조존의 건조풍의 공급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하는 동반풍에 의해 건조를 행할 수 있고, 미풍의 건조풍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건조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건조 장치 본체(16)의 폭은 웨브(12)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하고, 건조존(14)의 양측의 개방 부분을 정풍판(32)으로 뚜껑을 덮은 정풍 부분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 정풍 부분은 흡입구(18A∼18C)로부터 도포막 끝까지의 거리와, 도포막 끝으로부터 배기구(18D∼18F)까지의 거리를 확보함과 아울러, 건조풍이 흡입구(18A∼18C)만으로 건조존(14) 내에 흡입되기 쉽게 하는 것으로, 건조존(14)에 급격한 건조풍의 흐름을 만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정풍 부분, 즉 정풍판(32)의 길이로서는 흡입구측 및 배기구측 모두 50㎜이상 150㎜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각 분할존(14A∼14G) 중, 특히 도포기에 제일 가까운 분할존(14A)은 웨브(12)에 도포액이 도포된 직후에, 건조존(14) 밖의 신선한 공기, 예를 들면 상기한 공조풍이 건조존(14)에 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포기(20)에 인접하도록 분할존(14A)을 배치하는 것이나 상기한 정풍판(32) 이외에 도포기(20)의 와이어 바(20A)의 위치와, 백업 롤러(24)의 위치를 조정하고, 웨브(12)가 분할존(14A)의 바로 근처를 주행하도록 하고, 웨브(12)로 분할존(14A)의 개방부를 마치 뚜껑을 덮는 것처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브(12)를 사이에 두고 건조 장치 본체(16)의 반대측 위치에는 상기 공조풍 등의 바람에 의해 웨브(12)의 안정 주행이 저해되지 않도록 차폐판(34)이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조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웨브(12)는 미리 도포된 배향막 형성용 수지를 러빙 처리해서 배향막이 되는 층을 갖는 것임과 아울러, 도포액은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용제성 도포액의 예에서 설명한다.
백업 롤러(22, 24, 26)에 지지되어 주행하는 웨브(12)에 도포기(20)의 와이 어 바(20A)로 도포액을 도포한 직후, 건조 장치(10)에 의해 도포막 면의 초기 건조가 행하여진다. 이 초기 건조는 도포 직후, 늦어도 5초 이내의 도포 직후에 건조풍에 의한 건조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건조존에 있어서의 초기 건조에 있어서, 도포 직후의 도포막 면은 유기용제가 충분하게 함유된 상태에 있고, 특히 유기용제를 용매로 하는 도포액을 도포한 직후의 초기 건조에서는 유기용제의 증발의 분포(요동)에 의해 도포막 면에 온도 분포가 발생한다. 이것이 원인으로 표면장력의 분포가 발생하고, 도포막 면 내에서 도포액의 유동이 일어나고, 건조가 느린 부분의 도포막이 얇아져서 브로드한 얼룩(A)이 된다. 이 브로드한 얼룩은 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해소되기 때문에 제 1 건조존에 있어서의 건조풍을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항률 건조기로부터 감률 건조기로 변화되는 건조 변화점 근방의 도포막에 있어서는 건조 속도가 현저하게 변동하기 쉬우므로, 건조풍의 속도가 크면 브로드한 얼룩(A)이 발생한다. 따라서, 건조 변화점을 경과하기 전에 건조풍을 미풍, 또는 무풍으로 함으로써 건조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정성 디스코틱 화합물의 배향 방향은 배향막 형성용 수지의 표면을 러빙 처리해서 정하고 있지만, 초기 건조에 있어서 러빙 방향과 다른 풍향의 풍속이 빠를 경우, 바람이 합류할 경우, 바람의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있을 경우 등의 바람이 도포막 면에 접촉함으로써 도포막 면의 일부에 배향 방향의 어긋남을 발생시키고, 이것이 샤프한 얼룩(B)의 원인이 된다.
이 것으로부터, 초기 건조시에 있어서의 도포막 면의 얼룩(A, B)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포하고나서 도포막 면에 있어서의 도막액의 유동이 정지할 때까지의 초기 건조 동안, 외부로부터의 불균일한 바람이 도포막 면에 접촉되는 것을 저지함과 아울러, 도포막 면 근방의 유기용제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도포장치에 있어서는, 건조 속도를 빨리하고 싶은 제 1 건조존에서는 0.5m/s보다 큰 풍속의 건조풍을 공급하여 건조를 행한다. 이에 따라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하는 동반풍의 영향이 적어지기 때문에 일방향의 건조풍에 의해 건조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 2 건조존에 있어서는 건조풍의 속도를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동반풍에 의해 건조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건조기(乾燥期)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세한 것은 화학공학편람의 건조장에 기재하고 있는 바와 같다. 도 4에 건조 시간에 대한 막면 온도의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가로축이 건조 시간, 세로축이 막면 온도이다. 일정한 풍속과 풍온으로 도포막을 건조시켰을 경우,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으로부터 습구 온도인 막면 온도가 상승한다. 상승 전을 항률 건조기라고 칭하고, 습구 온도인 동안은 막 내의 휘발분의 막 내 이동이 충분히 빠르고, 표면으로부터 휘발하는 액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승하기 시작하는 감률 건조기에는 막 내의 휘발분이 표면에 부족되어서 동일한 풍을 주어도 건조 속도가 느린 상태가 된다. 이 임계점인 건조 변화점 은 고형분 양이 60∼80%가 되는 점이다.
여기에서 하는 고형분 양이란
고형분 양(%)=고형분/(휘발분+고형분)×100
이다. 고형분 및 (휘발분+고형분)은, 중량 측정에 의해 이하의 식(1) 및 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고형분=[A : 건조 종료한 막의 중량]-[B:도포 전의 지지체의 중량] …(1)
휘발분+고형분=[C : 소정 건조존에서 샘플한 막의 중량]-[B : 도포 전의 지지체의 중량] …(2)
따라서, 소정 존에서 샘플을 채취했을 때에
A : 휘발분의 비점 이상으로 절대건조시킨 중량,
B : A를 탈막해서 측정한 중량,
C : 샘플해서 즉시 측정한 중량,
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고형분 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건에서 무풍 존의 샘플의 고형분 양을 측정하면 어느 것이나 60∼80%의 사이이었다.
또한 제 2 건조존에 있어서,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아지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지지체의 온도와 막면 온도의 온도차는 2℃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2℃이상 높게 함으로써 지지체의 온도와 막면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건조존에 있어서의 도포막의 막면 온도는 20℃이상 2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막의 막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도포막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포막의 막면 온도가 낮으면 건조 속도가 늦어진다. 또한, 막면 온도가 높으면 지지체의 온도를 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비싸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온과 막면 온도의 차가 큰 건조 초기의 항률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가 촉진된다. 또한, 막면 온도가 상승하여 풍온과 막면 온도의 차가 작아지는 건조 후반의 감률 건조기에서는 건조 속도가 늦어지고 있다. 따라서, 풍온과 막면 온도의 차(ΔT)가 클수록 건조가 촉진되고, 또한 건조풍의 풍속이 클수록 건조가 촉진된다. 본 발명과 같이 후반의 바람이 작은 상태에서는 건조는 완만해져 버린다. 그러나, 증발의 때, 도포액은 증발 잠열을 빼앗기므로 남은 도막의 온도는 저하된다. 그리고, 도막의 온도는 인접하는 지지체의 온도와의 평균으로 되지만, 도막에 대하여 지지체의 열용량이 클 경우, 즉 도막보다 지지체 쪽이 충분히 두꺼울 경우에는 도포 직후의 초기 건조시의 막면 온도는 도포되기 전의 지지체 온도에 지배된다. 이것을 열역학적으로 설명하면 이하가 된다.
현재, H:증발 잠열, ρL:액밀도, δL:액두께, Mw:MEK 분자량, ρB:베이스 밀도, δB:베이스 두께, Cp:베이스 비열, ΔT: [도포전 베이스 온도]-[최종 막면 온도],로서 증발 잠열의 모두가 도막에 흡수될 경우, 즉 도막과 지지체가 외기로부터 단열되어 있을 경우를 상정해서 열수지를 취하면,
LδL/(Mw/1000)=ρBδBCpΔT …1)
1)식을 정리하면,
△T=1000H×(ρLδLBδB)/(MwCp) …2)
예를 들면 MEK 용매를 이용하여 5㎛ 두께의 도포막을 8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형성할 경우에 대해서 계산하면, H=35000(J/㏖), ρL=1000(㎏/㎥), δL=5(㎛), Mw=72.1(g/㏖) ; MEK 분자량, ρB:1300(kg/㎥), δB=80(㎛), Cp=1764(J/㎏·k)로부터,
ΔT=1000×35000×(1000×5/1300/80)/(72.1×1764)=13(℃) …3)
이 된다.
즉, 「건조가 진행될수록 증발 잠열이 빼앗겨 막면 온도가 낮아진다. 막면 온도가 낮아지면 주위의 온도와 막면의 온도차(ΔT)가 커진다. 따라서, 건조풍이 약해도 건조가 진행된다」라고 하는 바와 같이, 막면 온도를 낮은 온도로 하고, 주위의 온도와 막면의 온도차(ΔT)를 크게 함으로써 건조를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유기용제의 박층 도포에서 건조풍의 어지러움에 기인하는 얼룩을 대책할 경우에는, 제 2 건조존의 건조풍의 풍속을 0.5m/s이하의 미풍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건조풍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에 기여하는 영향은 적다. 즉, 막면 온도는 도포하기 전의 지지체 온도에 지배되어 얼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도 5에, 도포기 앞에 가열 수단을 장착하는 공정도를 나타낸다. 가열 수단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가열 롤러(81)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으로서는 도포 전의 장척상 지지체를 가열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롤러(81)에 의해 장척상 지지체를 가열한 후,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제 2 건조존까지 지지체가 온도를 유지하고, 지지체의 온도를 막면 온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무풍 상태」란, 도포막 근방의 바람이 지지체 동반풍보다 충분히 작은 상태를 말한다. 도포시에는 라인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웨브에 동반되는 바람이 웨브의 진행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라인 정지시에 풍속을 측정했을 때에 지지체 주행속도의 1/10이하의 풍속이 검지되어도 본 발명에서는 「무풍」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 도 7에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건조 장치는, 제 2 건조존에 도포막으로부터 휘발된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구비한 건조 장치이다. 제 1 건조존에 있어서는 건조풍을 공급해 건조를 행하고 있고, 건조풍에 의해 용제가 휘발하기 때문에 회수 수단은 제 2 건조존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포면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측이 되는 구성이다. 건조 장치(60)는 웨브(12)와 소정 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형상 부재인 응축판(62)과, 응축판(62)의 전후 변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늘어뜨려 설치되는 측면판 등으로 구성되고, 웨브(12)의 도포면을 둘러싸고 있다. 이에 따라 도포막의 도포액 중의 용매가 휘발했을 때에 휘발한 용매가 응축판(62)에 응축되어 회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응축판(62)을 응축시키는 면에 사용하는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액 중의 유기용매에 내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또는,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판(62)에 응축된 용매를 회수시키는 수단은, 예를 들면, 응축판(62)의 응축면에 홈을 형성하고, 모관력을 이용해서 용매를 회수시킨다. 홈의 방향은 웨브(12)의 주행 방향이어도 좋고,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이어도 좋다. 도 6과 같이, 응축판(62)이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용매를 회수시키기 쉽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판(62) 대신에,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 예를 들면, 다공판, 망, 발, 롤 등을 사용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건조 장치(60) 내에는 복수의 응축판을 설치할 수 있고, 웨브(12)와 응축판(62)의 거리를 웨브(12)의 주행 방향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응축판(62)과 웨브(12)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응축판에 단차를 형성하여 계단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응축판(62)을 웨브(12)의 주행 방향을 향해서 소정 각도 경사시켜 응축판(62)과 웨브(12)의 거리를 웨브(12)의 주행 방향에서 테이퍼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7에 건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건조 장치(70)는 도포면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포기(20), 응축판(72)이 웨브(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포액 중의 용매의 증발, 응축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웨브(12) 및/또 는 도포막을 가열하거나, 응축판(62, 72)을 냉각하거나, 또는 그 양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막의 건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온도 관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결 건조 방식의 건조 장치로서는, 상술한 건조 장치 이외에 일본 특허공개 2003-1701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건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 7에서는 회수 수단으로서 응축판을 사용한 예를 기재했지만, 응축판 대신에 흡착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웨브(12)로서는, 일반적으로 폭 0.3∼5m, 길이 45∼10000m, 두께 5∼2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의 플라스틱필름,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탄소수가 2∼10의 α-폴리올레핀류를 도포 또는 라미네이트한 종이, 알루미늄, 동, 주석 등의 금속박 등, 또는 띠상 기재의 표면에 예비적인 가공층을 형성시킨 것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웨브(12)에는 광학 보상 시트 도포액, 자성 도포액, 사진 감광성 도포액, 표면 보호 대전방지 혹은 활성용 도포액 등이 그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된 후, 소망하는 길이 및 폭으로 재단되는 것도 포함되고, 이들의 대표예로서는 광학 보상 시트, 각종 사진 필름, 인화지, 자기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한 바 코팅법 외에, 커튼 코팅법, 익스트루 젼(extrusion) 코팅법, 롤 코팅법, 딥 코팅법, 스핀 코팅법, 인쇄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및 슬라이드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 코팅법, 익스트루젼 코팅법, 슬라이드 코팅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시에 도포되는 도포액의 도포층의 수는 단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동시 다층 도포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실질적인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의 실시예 1∼7, 비교예 1∼6의 조건으로 건조를 행하고, 도포막의 얼룩의 발생을 확인했다. 풍속은 라인 정지 상태에서 풍속형을 360도 회전시켜서 최대가 되는 값으로 측정했다.
우선,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송출기(40)로 송출된 웨브(12)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42, 42 …)에 의해 지지되면서 러빙 처리 장치(44), 도포기(20) 그리고, 초기 건조를 행하는 본 발명의 건조 장치(10), 본 건조를 행하는 건조존(46), 가열존(48), 자외선 램프(50)를 통과해서 권취기(52)로 권취된다.
웨브(12)로서는, 두께 80㎛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후지탁, 후지샤신필름(주) 제)를 사용했다. 그리고, 웨브(12)의 표면에 장쇄 알킬 변성 포발(MP-203, 쿠라레(주) 제)의 2중량% 용액을 필름 1㎡당 25ml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시켜서 만들어진 배향막용 수지층을 형성한 웨브(12)를, 30m/분으로 반송 주행시키면서 수지층 표면에 러빙 처리를 행해서 배향막을 형성했다.
그리고, 배향막용 수지층을 러빙 처리해서 얻어진 배향막 상에 도포액으로서는 디스코틱 화합물 TE-8의 (3)과 TE-8의 (5)의 중량비로 4:1의 혼합물에, 광중합개시제(일가큐아 907, 니혼치바가이기(주) 제조)를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1중량% 첨가한 혼합물의 40중량% 메틸에틸케톤 용액으로 하는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사용했다. 웨브(12)를 각 도포 속도 조건으로 주행시키면서, 이 도포액을 배향막 상에 도포액 양이 웨브 1㎡당 5ml∼7ml가 되도록 와이어 바(20A)로 도포했다. 그리고, 도포 직후에 건조 장치(10)를 사용해서 초기 건조를 행했다.
또한 건조존(14)을 7분할하는 칸막이판(28)의 상단과 도포막 면의 간격은 5∼9㎜의 범위로 설정하여 행했다. 또한, 건조 장치(10)에서 초기 건조된 웨브(12)는 100℃로 조정된 건조존(46) 및 130℃로 조정된 가열존(48)을 통과시켜서 네마틱상을 형성한 후, 이 배향막 및 액정성 화합물이 도포된 웨브(12)를 연속 반송하면서 액정층의 표면에 자외선 램프(50)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얼룩의 발생 상황, 종합 평가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얼룩의 발생 상황)
○…얼룩이 발생하지 않았다
△…얼룩은 약간 발생하지만 품질상 문제가 안되는 레벨의 얼룩이다
×…얼룩의 발생이 보여졌다
(종합 판정)
○…제품으로서 허용할 수 있고 매우 좋은 면상이다
△…제품으로서 허용할 수 있다
×…제품으로서 허용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건조존의 풍속을 0.5m/s보다 크게 하고, 제 2 건조존의 풍속을 도포 속도의 1/10이하로 행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제품으로서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의 필름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 2 건조존에 있어서 건조풍의 공급 속도가 빠른 비교예 1, 6은 감률 건조기에 있어서도 건조풍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샤프한 얼룩(B)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 지지체의 온도와 막면의 온도차가 작은 실시예 7에 대해서는 건조 얼룩의 발생이 확인되었지만, 품질상 문제가 안되는 레벨의 얼룩이었다.
이상에서 제 1 건조존의 건조풍 속도를 0.5m/s보다 크게 하고, 지지체의 동반풍을 상쇄하도록 건조를 행하여 제 2 건조존에 있어서 건조풍을 미풍으로 하거나, 또는 무풍으로 함으로써 브로드한 얼룩, 샤프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제 1 건조존의 길이, 막면과 지지체의 온도차, 도포 속도, 제 1 건조존의 건조풍의 속도를 적정한 범위로 건조시킴으로써, 더욱 양호한 품질의 도포막을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 공정에, 본 발명의 건조 장치를 도입한 공정도이다.
도 4는 건조 시간에 대한 막면 온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포기의 앞에 가열 수단을 장착한 공정도이다.
도 6은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건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건조 방식에서 발생한 얼룩 발생 상황도이다.
도 10은 브로드한 얼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샤프한 얼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60, 70 : 건조 장치 12 : 장척상 지지체(웨브)
14 : 건조존 14A∼14G : 분할존
16 : 건조 장치 본체 18 :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
18A∼18C : 흡입구 18D∼18F : 배기구
18G∼18I : 배기 수단 20 : 도포기
22, 24, 26 : 백업 롤러 28 : 칸막이판
32 : 정풍판 35 : 제 1 건조존
36 : 제 2 건조존 62, 72 : 응축판
81 : 가열 롤러 A : 브로드한 얼룩
B : 샤프한 얼룩

Claims (10)

  1.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해서 형성한 도포막의 도포 직후에 건조존을 형성해서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의 건조되는 도포막 면을 둘러싸고, 상기 건조존 내에 건조풍을 공급해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전단의 제 1 건조존에서 실시되고,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0.5m/s보다 큰 풍속의 건조풍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포막 면 상에 상기 폭방향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켜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1 건조 공정;
    상기 건조존 후단의 제 2 건조존에서 실시되고, 상기 건조풍의 풍속을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의 1/10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도포막 면에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에 동반되는 동반풍을 발생시켜서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2 건조 공정; 및
    상기 제 2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높아지도록 지지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지지체 온도 조정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주행속도는 0.4∼1.2m/초(24∼72m/분)의 고속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중의 상기 제 1 건조존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체류시간이 0.3∼1.0초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건조존을 상기 제 1 건조존과 상기 제 2 건조존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 중의 제 1 건조존은 상기 도포막의 항률 건조기이며, 상기 제 2 건조존은 상기 도포막의 감률 건조기이며, 상기 제 1 건조존과 제 2 건조존을 상기 항률 건조기로부터 상기 감률 건조기의 건조 변화점의 위치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는 상기건조풍을 전혀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온도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장척상 지지체의 온도가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보다 2℃이상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막의 두께는 웨트 두께로 8㎛이하이며, 상기 장척상 지지체 두께의 1/10이하의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 있어서의 상기 도포막의 막면 온도가 20℃이상 2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방법.
  9.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기로 도포해서 형성한 도포막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의 도포막 면을 둘러싸는 건조존을 형성하는 건조 장치 본체;
    상기 건조존 중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척상 지지체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흐르는 일방향 흐름의 건조풍을 발생시키는 일방향 기류 발생 수단을 구비한 제 1 건조존;
    상기 건조존 중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주행하는 장척상 지지체에 동반해서 발생하는 동반풍에 의해 상기 도포막을 건조하는 제 2 건조존; 및
    상기 도포기의 바로 앞에 설치되어 도포되기 전의 상기 장척상 지지체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존에는 도포막으로부터 휘발된 용제를 회 수하는 회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의 건조 장치.
KR1020080057865A 2007-06-27 2008-06-19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 KR101379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9339 2007-06-27
JP2007169339A JP5114108B2 (ja) 2007-06-27 2007-06-27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26A true KR20080114526A (ko) 2008-12-31
KR101379784B1 KR101379784B1 (ko) 2014-03-31

Family

ID=4032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865A KR101379784B1 (ko) 2007-06-27 2008-06-19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14108B2 (ko)
KR (1) KR101379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5A (ko) * 2013-09-24 2015-04-0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47377B1 (ko) * 2019-08-09 2020-08-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투명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5513A (ja) * 2010-08-30 2012-03-08 Takubo Engineering Co Ltd 塗装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CN110702931A (zh) * 2019-09-19 2020-01-17 广州欧蒙未一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一种带有风干系统的生物检测分析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20145907A (ko) * 2020-04-06 2022-10-3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공막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7370B2 (ja) * 1999-12-17 2008-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631242B2 (ja) * 2001-09-27 2011-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2003170102A (ja) * 2001-09-27 2003-06-17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369773B2 (ja) * 2003-03-07 2009-1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
JP4513293B2 (ja) * 2003-09-09 2010-07-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
JP2005081257A (ja) * 2003-09-09 2005-03-31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5A (ko) * 2013-09-24 2015-04-0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47377B1 (ko) * 2019-08-09 2020-08-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투명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14491B2 (en) 2019-08-09 2023-11-14 Sk Innovation Co., Ltd. Transparent film, optical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784B1 (ko) 2014-03-31
JP2009006248A (ja) 2009-01-15
JP5114108B2 (ja)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1395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4147370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101230387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KR101379784B1 (ko) 도포막의 건조 방법 및 장치
US20080206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US7727594B2 (en) Method for drying coated fil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10954B1 (ko) 도포막의 건조 방법
JP5147291B2 (ja) 乾燥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513293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4716036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68947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01909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9243734A (ja) 塗布膜の乾燥装置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5081257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178300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5224658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8173589A (ja) 塗布膜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
JP2010069443A (ja) 塗布膜の乾燥装置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光学フィルム
JP4881749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3968505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7245091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7245090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926754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8136949A (ja) 乾燥方法及び装置
US20080187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