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224A -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224A
KR20080108224A KR1020087019024A KR20087019024A KR20080108224A KR 20080108224 A KR20080108224 A KR 20080108224A KR 1020087019024 A KR1020087019024 A KR 1020087019024A KR 20087019024 A KR20087019024 A KR 20087019024A KR 20080108224 A KR20080108224 A KR 2008010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rying
adsorbent
compresso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899B1 (ko
Inventor
바트 에티엔 아그네스 반더스트라에텐
레이노우드 루크 헤르위그 니프스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ublication of KR2008010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77Direction of flow
    • B01D2259/40081Counter-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6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using a purge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7Compressed air water remov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압축기(2)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건조될 상기 가스는 공기 수용기(6)와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가 마련된 로터 형태의 건조 요소(9)로 주로 구성되는 유형의 건조기(5)를 통과하여 안내되고,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은 상기 가스를 건조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건조 영역(7)을 통해 그리고 재생 영역(8)에서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재생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상기 재생 영역(8)을 통해 교대로 안내되며, 건조될 상기 가스는 상기 건조 영역(7)의 입구(15)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출구(22)까지 안내되어 출구(22)에 연결된 사용자 네트워크(24)에 공급하는 것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동안에, 가스 유동이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즉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입구(15)로의 유동 방향(P)으로 안내된다.

Description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RYING A GAS}
본 발명은 가스, 특히 압축기로부터의 가스를 건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로부터 나오는 압축된 가스를 먼저 냉각하고 후속하여 이 가스를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갖는 건조 요소를 통과하여 안내함으로써 건조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과 함께, 이러한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소위, 건조 영역 및 소위, 재생 영역을 교대로 통과시켜 건조기로 주입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는데, 이로써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는 재생 영역에서 재생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건조될 가스의 일부가 사용되어, 가스를 먼저 냉각시키지 않고서, 재생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거쳐 안내되는데, 이로써 그것은 습기를 흡수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의 단점은, 압축기에 휴지 기간 후 또는 공전(idle running) 기간 후에 다시 스위치가 켜질 때, 건조된 가스가 일시적으로 상승된 습도 레벨, 즉, 상승된 압력하 노점(露點)(pressure dew point)을 갖는다는 것이다.
건조된 공기의 적용 분야에 따라, 건조기 뒤에 있는 사용자 네트워 크(network)에서의 압력하 노점의 상승 피크(peak)는 용인될 수 없다.
이러한 압력하 노점 피크가 지닌 문제점은 특히 하나의 건조기 및 하나의 압축기를 갖는 설비에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압축기는 전부하(full load)에서 일정하게 작동하지 않고,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압축기/건조기 조합을 갖는 설비에서도 발생하는데 이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는 전부하에서 항상 운행되지는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하나 또는 여러 압축기에 휴지 또는 공전 기간 후에 다시 스위치가 켜질 때의 압력하 노점의 일시적인 상승은 이하의 현상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압축기가 전부하에서 작동할 때, 평형 상태는 말하자면 건조 요소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함수량(moisture content) 사이에서 형성되므로, 건조 요소는 출구측보다 입구측에서 더 많은 습기를 포함한다.
이어서 압축기의 스위치가 꺼지거나 압축기가 무부하로 구동될 때, 따라서 건조기를 통과하여 흐르는 가스가 미량이거나 전혀 없을 때, 상기 평형은 교란되어 건조 요소의 습기찬 내부측으로부터 건조한 출구측으로의 습기의 확산이 있게 된다.
더욱이, 압축기의 스위치가 꺼지거나 압축기가 무부하로 구동될 때, 재생 영역의 입구측과 건조 영역의 출구측 사이의 압력 차는 줄어들어, 뜨겁고, 습한 공기의 유동이 재생 영역으로부터 건조 영역으로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건조 요소의 출구측과 심지어 사용자 네트워크에 있거나 사용자 네트워크의 접합부에 있는 건조 요소 뒤의 가용한 건조된 공기 내에서도 습기가 증가한다.
이후에 압축기에 다시 스위치가 켜질 때, 잠시후 평형이 회복될 때까지, 형성된 불평형 때문에 건조된 가스의 압력하 노점의 일시적인 상승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과 다른 단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될 가스가 공기 수용기와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가 마련된 로터 형태의 건조 요소로 주로 구성되는 유형의 건조기를 통과하여 안내되고,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는 가스를 건조하도록 공기 수용기의 건조 영역을 통해 그리고 재생 영역에서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재생하도록 공기 수용기의 재생 영역을 통해 교대로 안내되며, 건조될 가스는 건조 영역의 입구를 경유하여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여 건조 영역의 출구까지 안내되어 출구에 연결된 사용자 네트워크에 공급하고, 압축기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동안에, 가스 유동이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는 대향류(counterflow)로, 즉, 건조 영역의 출구로부터 입구로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압축기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동안에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는 가스를 대향류로 안내함으로써, 이 기간 중에 어떠한 습기의 확산도 방지되어, 이미 건조된 가스가 건조기 뒤에서 습기를 흡수하려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만약 그렇지 않으면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이후에 압축기에 다시 스위치가 켜졌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하 노점 피크가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된다.
거기에 관련된 또 다른 장점은 압축기가 사용될 때, 건조된 가스의 노점이 특히 일정하게 남아있어, 결과적으로 변동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건조된 가스는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하는데,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가 압축기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건조되어서, 압축기의 스위치가 다시 켜진 바로 직후에, 건조된 가스의 압력하 노점이 압축기가 부하 하에서 작동할 때보다 훨씬 더 낮다는 점이다.
건조 가스는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안내되는데, 이 건조 가스는 언급된 사용자 네트워크로부터 예컨대, 건조 영역을 대기로 간단히 연결시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 압력하에서의 사용자 네트워크로부터의 건조된 가스는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거쳐 대기로 자동적으로 흐른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공기 수용기와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가 마련된 로터 형태의 건조 요소로 구성되는 유형의 건조기로 주로 구성되고,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는 가스를 건조하도록 공기 수용기의 건조 영역을 통해 그리고 재생 영역에서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재생하도록 공기 수용기의 재생 영역을 통해 교대로 안내되고, 이 건조 영역에 가스용 입구 및 출구가 마련되며, 압축기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가스 유동을 건조 영역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즉, 건조 영역의 출구로부터 입구로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수단이 이 장치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제로서 주어지는데, 이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압축기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압축기의 휴지 기간 중에서의 도 1의 장치의 개략도.
도 1은 압축기(2)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를 도시한다.
압축기(2)의 출구는 압축 공기 라인(3) 및 이 공기 라인에 설치된 후냉각기(4)를 경유하여, 장치(1)에 연결되는데, 이 장치(1)는 벨기에 특허 제1,005,764호에 개시된 유형의 건조기(5)로 주로 구성되고 이 건조기(5)는 건조 영역(7) 및 재생 영역(8)으로 나눠지는 공기 수용기(6)로 구성되며, 건조기(5)는 관형 로터로 제조된 회전가능한 건조 요소(9)를 갖고, 건조 요소(9) 내로 이를 통하여 흘려질 수 있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가 제공되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는 구동부(11)에 의하여 건조 영역(7) 및 재생 영역(8)을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재생 영역(8)은 파티션(12, 13, 14)에 의해 건조 영역(7)으로부터 칸막이 되어 있는 건조 용기(6)의 구역으로 형성된다.
건조 영역(7)의 입구(15) 및 압축 공기 라인(3) 사이에는 이 경우에 공기 수용기(6)에 통합되어진 가스용 혼합 장치(16)가 마련된다.
주어진 예에서, 이러한 혼합 장치(16)는 배출기로 구성되는데, 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제트 파이프(17) 및 혼합 파이프(18)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는 재생 영역(8)으로부터의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부(19)가 마련된다.
도 1로부터 설명된 건조기(5)에서, 혼합 장치(16)는 관형, 회전식 건조 요소(9)를 관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경우 혼합 장치(16)는 건조 요소(9)용 구동 축으로서 이용되는데, 구동 축의 단부에는 혼합 파이프(18)가 축(20)에 의해 구동부(11)에 연결된다.
액체 분리기(21)가 혼합 장치(16) 및 구동 요소(9) 사이의 건조 영역(7)에 선택적으로 마련된다.
건조 영역(7)의 출구(22)는 출구 라인(23)을 경유하여 압축 건조된 가스의 사용자 네트워크(24)에 연결된다.
재생 영역(8)의 입구(25)는 압축기(2) 및 후냉각기(4) 사이에 위치한 압축 공기 라인(3)의 분기 라인(26)을 경유하여 압축기(2)의 출구로 직접 연결되어서 압축기(2)로부터의 미냉각된 압축 가스가 재생 영역(8)을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 다.
이러한 유형의 건조기(2)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압축 공기 라인(3) 및 출구 라인(23)은 바이패스 밸브(27)가 마련된 바이패스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 바이패스 밸브(2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정상 작동 중에는 차단된다.
또한, 압축 공기 라인(3) 및 출구 라인(23)에는 밸브(28, 29)가 각각 마련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바이패스 밸브(27)가 차단되어 있을 때 개방된다.
재생 영역(8)의 출구(30)는 배관(canalisation)(31) 및 거기에 설치된 냉각기(32)를 경유하여 혼합 장치(16)의 흡입 개구부(19)에 연결된다.
상기 배관(31)의 하부에는 응축물 분리기(33)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1)에는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동안에, 가스 유동을 건조 영역(7)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즉, 건조 영역(7)의 출구(22)로부터 입구(15)로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수단(34)이 마련된다.
도 1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실링가능한 배출 개구부(35)로 형성되어, 공기 수용기(6) 내에 건조 영역(7)의 건조 요소(9)와 입구(15) 사이의 위치에 마련된다.
배출 개구부(35)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박스에 연결되는 전자 밸브(36) 수단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데, 이 제어 박스는 압축기(2)의 스위치가 꺼 지거나 압축기(2)가 무부하로 구동되자마자 전자 밸브(36)를 개방한다.
배출 개구부(35)에는 교정식 개방 밸브(37) 및 흡음기(38)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작동은 간단하며 다음과 같다.
건조기(1)의 정상 부하, 즉, 압축기(2)가 작동하여 압축 가스를 생성할 때, 전자 밸브(36)는 차단된다.
건조될 압축 가스는 이후에 압축 공기 라인(3) 및 냉각기(4)를 경유하여 건조기(5)로 안내되는데, 여기서 가스는, 도 1의 화살표 G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장치(16)를 통과하여 운반되고 후속하여 상기 액체 분리기(21) 및 가스로부터 습기를 흡수하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에 의해 건조된다.
건조된 가스는 후속하여 출구 라인(23)을 통과하여 사용자 네트워크(24)에 안내된다.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재생할 수 있기 위하여, 건조 요소(9)는 낮은 회전 속도로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은 건조 영역(7) 및 재생 영역(8)을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분기 라인(26)을 경유하여, 정격 압축기 유동(rated compressor flow)의 주요 퍼센트, 예컨대, 35%는 압축기(2)의 출구로부터 직접 분기되고, 이러한 미냉각된 가스 유동은, 도 1의 화살표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영역(8)의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여 안내되어, 그 결과 이러한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불포화된 가스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로부터 습기를 흡수한다.
가스가 재생 영역(8)을 떠날 때, 이러한 가스는 혼합 장치(16)에 있는 흡입 개구부(19)를 통해 흡입되기 전에, 냉각기(32)에서 먼저 냉각되어 압축 공기 라인(3)으로부터 나오는 건조될 가스와 혼합된다.
냉각기(32)에서의 가스의 냉각의 결과로서 형성된 응결물은 응결물 분리기(33)에 의해 방출된다.
압축기(2)의 스위치가 꺼지거나 압축기(2)가 무부하로 구동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밸브(36)가 개방되어 건조 영역(7)이 대기에 연결된다.
이때에 압축기(2)는 출력이 없으며, 그 결과 압축기(2)로부터 건조기(5)를 통하는 유동은 어느 쪽에서도 전혀 없다.
사용자 네트워크(24) 및 배출 개구부(35)에서의 대기압 사이의 압력차로 인해, 건조된 가스의 가스 유동은 자동적으로 형성되는데, 도 2의 화살표 P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네트워크로부터 건조 영역(7)의 흡착 매체(10)를 통과하고 배출 개구부(35)를 경유하여 외부 공기로 대향류로 흐른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습기가 건조 영역(7)의 입구측으로부터 건조 영역(7)의 출구측으로 확산되어 건조 요소(9)의 뒤에 있는 건조 가스가 그 결과로 인해 습해지므로, 결과적으로 압축기(2)에 스위치가 다시 켜질 때 건조된 가스의 압력하 노점의 갑작스런 상승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건조 영역(7)의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흐르는 건조된 가스 유동은 `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결정되고 그것은 예컨대 정격 압축기 유동의 2%에 상 당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건조 요소(7)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가스를 안내하는 수단(34)은 상기 설명된 유형인 종래의 건조기 상에 단지 배출 개구부(35)를 제공하는 아주 단순한 방법으로, 즉, 어떠한 부가적인 파이프 및/또는 분기부 또는 어떠한 다른 설비 없이 구현되었다.
당연히, 상기 수단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압축기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건조 요소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안내되는 세정 가스(rinsing gas)는 축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건조 요소를 통과하여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 가스가 이 길이의 단지 일부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대기로의 배출 개구부(35)는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어서 사용자 네트워크로부터 건조 요소에 걸친 가스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 개구부는 예컨대, 압축 공기 라인(3) 또는 배관(31)에 또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 결코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반대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여전히 있으면서 상이한 변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압축기(2)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건조될 상기 가스는 공기 수용기(6)와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가 마련된 로터 형태의 건조 요소(9)로 주로 구성되는 유형의 건조기(5)를 통과하여 안내되고,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은 상기 가스를 건조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건조 영역(7)을 통해 그리고 재생 영역(8)에서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재생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상기 재생 영역(8)을 통해 교대로 안내되며, 건조될 상기 가스는 상기 건조 영역(7)의 입구(15)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출구(22)까지 안내되어 출구(22)에 연결된 사용자 네트워크(24)에 공급하는 것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동안에, 가스 유동이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즉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입구(15)로의 유동 방향(P)으로 안내되는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안내되는 상기 가스는 건조 가스인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안내되는 상기 가스는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24)로부터 분기된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24)로부터 분기된 상기 가스 유동은 상기 건조 영역(7)을 대기에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24)로부터 분기된 상기 가스 유동은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건조 요소(9)와 상기 입구(15) 사이의 상기 건조 영역(7)의 공간을 대기에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7)은 상기 공기 수용기(6)의 밀폐가능한 배출 개구부(35)를 경유하여 대기에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폐가능한 배출 개구부(35)는 상기 압축기(2)의 스위치가 꺼지거나 상기 압축기(2)가 무부하로 구동되자마자 상기 배출 개구부(35)를 개방하는 제어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특징인 것인 가스를 건조하는 방법.
  8. 압축기(2)로부터 나오는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공기 수용기(6)와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가 마련된 로터 형태의 건조 요소(9)로 구성되는 유형의 건조기(5)로 주로 구성되고,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은 상기 가스를 건조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건조 영역(7)을 통해 그리고 재생 영역(8)에서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재생하도록 상기 공기 수용기(6)의 상기 재생 영역(8)을 통해 교대로 안내되고, 상기 건조 영역(7)에는 상기 가스용 입구(15) 및 출구(22)가 마련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2)의 휴지 또는 공전 기간 중에, 가스 유동을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흡착제 및/또는 흡착 매체(10)를 통과하는 대향류로, 즉,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입구(15)로의 유동 방향(P)으로 안내 가능한 수단(34)이 상기 장치(1)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단(34)은 상기 공기 수용기(6)의 밀폐가능한 배출 개구부(35)로써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개구부는 개방시,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24)를 상기 건조 요소(9)를 거쳐 대기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35)는 상기 공기 수용기(6) 내에 상기 건조 영역(7)의 상기 건조 요소(9)와 상기 입구(15) 사이의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35)는 전자 밸브(36)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2)의 스위치가 꺼지거나 상기 압축기(2)가 무부하로 구동되자마자 상기 전자 밸브(36)를 개방하는 제어 박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35)는 교정식 개방 밸브(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35)는 흡음기(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스의 건조에 적용가능한 장치.
KR1020087019024A 2006-01-12 2007-01-04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 KR101083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6/0025 2006-01-12
BE2006/0025A BE1016939A3 (nl) 2006-01-12 2006-01-12 Verbeterde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gas en inrichting daarbij toegepa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224A true KR20080108224A (ko) 2008-12-12
KR101083899B1 KR101083899B1 (ko) 2011-11-15

Family

ID=3693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024A KR101083899B1 (ko) 2006-01-12 2007-01-04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789942B2 (ko)
EP (1) EP1973631B1 (ko)
JP (1) JP5063614B2 (ko)
KR (1) KR101083899B1 (ko)
CN (1) CN101370565B (ko)
AT (1) ATE511910T1 (ko)
AU (1) AU2007204610B2 (ko)
BE (1) BE1016939A3 (ko)
BR (1) BRPI0706534B8 (ko)
CA (1) CA2635007C (ko)
DK (1) DK1973631T3 (ko)
ES (1) ES2365816T3 (ko)
MX (1) MX2008008993A (ko)
NO (1) NO340460B1 (ko)
NZ (1) NZ569326A (ko)
PL (1) PL1973631T3 (ko)
RU (1) RU2408414C2 (ko)
UA (1) UA92198C2 (ko)
WO (1) WO20070795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83B1 (ko) * 2011-05-26 2014-03-13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재생공정 중 직렬계통으로 이루어진 냉각탱크와 가열탱크 구조와 흡착용 흡착탱크로 이루어져 재생에너지를 반 이상으로 줄이더라도 본래의 성능을 유지하는 에너지절감 공기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7187B4 (de) * 2005-04-13 2007-06-21 Lindauer Dornier Gmbh Durchlauftrockner in Mehretagenbauweise, insbesondere für plattenförmige Produkte
KR100966481B1 (ko) * 2008-01-29 2010-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무빙베드식 휘발성유기물질 연속농축시스템 및연속농축방법
BE1018586A3 (nl) 2009-08-11 2011-04-05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BE1018587A3 (nl) * 2009-08-11 2011-04-05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BE1018854A3 (nl) * 2009-08-11 2011-10-04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en werkwijze daarbij toegepast.
US8118912B2 (en) * 2009-09-05 2012-02-21 Felix Rodriguez Low power atmospheric water generator
EP2332631B1 (de) * 2009-12-03 2012-11-14 Kaeser Kompressoren GmbH Adsorptionstrocknungsvorrichtung sowie Adsorptionstrocknungsverfahren
US20120152116A1 (en) 2010-12-16 2012-06-21 Prometheus Technologies, Llc Rotary fluid process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2229641A (ja) * 2011-04-26 2012-11-22 Anest Iwata Corp 空気圧縮装置
CN103055663A (zh) * 2013-01-07 2013-04-24 刘立文 一种二氧化硫的干燥装置与方法
EP2845638B1 (de) 2013-09-09 2018-08-22 Kaeser Kompressoren S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dsorptionsvorrichtung, sowie Steuerungseinrichtung
DE202014007507U1 (de) 2013-09-18 2014-12-12 Atlas Copco Airpower N.V. Trockner für verdichtetes Gas und mit einem Trockner ausgestattete Verdichteranlage
KR101602380B1 (ko) * 2014-01-08 2016-03-10 (주) 아이씨케이 흡착식 압축 공기 건조 시스템 및 방법
US10995995B2 (en) 2014-06-10 2021-05-04 Vmac Global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oling and separating a mixture of hot gas and liquid
BE1022637A9 (nl) 2014-12-16 2016-10-06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gas
DE102015101297A1 (de) * 2015-01-29 2016-08-0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trocknerüberwachung über die CO2-Konzentration
US9643121B2 (en) 2015-08-07 2017-05-09 Akgk Pty Ltd Rotary adsorbent dryers for compressed gas
WO2017024341A1 (en) * 2015-08-07 2017-02-16 Akgk Pty Ltd Rotary adsorbent dryers for compressed gas
CN105148689A (zh) * 2015-08-24 2015-12-16 王新建 一种压缩空气干燥吸附塔
BE1024396B1 (nl) 2016-10-25 2018-02-13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mpressorinstallatie met drooginrichting voor samengeperst gas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BE1027361B1 (nl) * 2019-06-12 2021-01-20 Atlas Copco Airpower Nv Compressor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het leveren van samengeperst gas
WO2020217156A1 (en) * 2019-04-24 2020-10-29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mpressed gas
RU204731U1 (ru) * 2021-02-12 2021-06-0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МАЗ" Блок подготовки воздух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563A (en) * 1968-12-30 1971-07-13 Westinghouse Air Brake Co Filter purging apparatus
DE3203152A1 (de) * 1982-01-30 1983-08-0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luftanlage
US4549888A (en) * 1984-11-07 1985-10-29 Allied Corporation Automatic control for an external air supply
US4714483A (en) * 1986-06-13 1987-12-22 Allied Corporation Air dryer purge control for turbocharged compressors
US5145495A (en) * 1991-06-13 1992-09-08 Allied-Signal Inc. Air dryer purge cycle timing control
BE1005764A3 (nl) * 1992-04-15 1994-01-18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voor het drogen van een gas.
US5286283A (en) * 1993-05-17 1994-02-15 Alliedsignal Inc. Air dryer for compressed air system having a serviceable oil filter
US6074462A (en) * 1997-12-18 2000-06-13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Air dryer reservoir module components
US6425935B1 (en) * 2000-05-03 2002-07-30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Trailer air dryer with purge during park feature
US7326277B1 (en) * 2004-04-14 2008-02-05 Uop Llc Brake air drying using low pressure desiccant wheel
BE1016149A3 (nl) * 2004-08-04 2006-04-04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gas en inrichting daarbij toegepast.
US7608132B2 (en) * 2006-02-24 2009-10-27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Vehicle air system and method with forced pur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83B1 (ko) * 2011-05-26 2014-03-13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재생공정 중 직렬계통으로 이루어진 냉각탱크와 가열탱크 구조와 흡착용 흡착탱크로 이루어져 재생에너지를 반 이상으로 줄이더라도 본래의 성능을 유지하는 에너지절감 공기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11910T1 (de) 2011-06-15
NZ569326A (en) 2010-10-29
ES2365816T3 (es) 2011-10-11
US7789942B2 (en) 2010-09-07
CA2635007A1 (en) 2007-07-19
CN101370565A (zh) 2009-02-18
DK1973631T3 (da) 2011-09-19
PL1973631T3 (pl) 2011-11-30
NO340460B1 (no) 2017-04-24
AU2007204610B2 (en) 2012-04-26
AU2007204610A1 (en) 2007-07-19
MX2008008993A (es) 2009-01-07
RU2008133042A (ru) 2010-02-20
EP1973631A1 (en) 2008-10-01
RU2408414C2 (ru) 2011-01-10
BE1016939A3 (nl) 2007-10-02
EP1973631B1 (en) 2011-06-08
CA2635007C (en) 2011-11-22
BRPI0706534A2 (pt) 2011-03-29
KR101083899B1 (ko) 2011-11-15
WO2007079553A1 (en) 2007-07-19
JP2009523063A (ja) 2009-06-18
US20090007784A1 (en) 2009-01-08
BRPI0706534B8 (pt) 2018-06-12
UA92198C2 (ru) 2010-10-11
NO20083474L (no) 2008-08-12
BRPI0706534B1 (pt) 2017-12-05
JP5063614B2 (ja) 2012-10-31
CN101370565B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899B1 (ko) 가스 건조용 방법 및 장치
JP4917033B2 (ja) 気体を乾燥させる方法と該方法に使用する装置
RU2690351C2 (ru) Осушитель сжатого газа,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оборудованная таким осушителем, и способ осушки газа
KR101473537B1 (ko) 가스 건조 방법 및 장치
JP5031816B2 (ja) 圧縮ガスを乾燥する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方法
KR100989883B1 (ko) 압축기 장치의 작동 방법
CN106268199B (zh) 用于干燥压缩气体的装置和设置有这种装置的压缩机设备
KR100825391B1 (ko) 흡착탑 전환시 노점헌팅을 방지하고 초저노점을 약-100℃로 유지할 수 있는 넌 퍼지 방식의 흡착식제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3190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용 방향절환 밸브
JPH0351799A (ja) 原子力プラントの計装用圧縮空気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