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393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393A
KR20080106393A KR1020080042344A KR20080042344A KR20080106393A KR 20080106393 A KR20080106393 A KR 20080106393A KR 1020080042344 A KR1020080042344 A KR 1020080042344A KR 20080042344 A KR20080042344 A KR 20080042344A KR 20080106393 A KR20080106393 A KR 2008010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bmarine
hull
lin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644B1 (ko
Inventor
마틴 리브슈바거르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submerged exha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63G8/12Propulsion us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63H21/34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having exhaust-gas defl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ps Or Cock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선체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가스 라인이 상기 선체를 통과하고,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은 상기 선체의 외측에서 두 개의 라인 분기들로 분기된다.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밸브가 제공되었으며, 상기 밸브는 하나의 라인 분기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은 밸브에 의하여 제 1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1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고, 제 2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2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칭 위치에서는 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BOA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하나 또는 다수의 연소 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잠수함은 통상적으로 잠수함 선체로부터 유도되어 나오는 배출 가스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통해서 상기 연소 엔진에 의해 발생하는 배출 가스가 잠수함 선체로부터 잠수함의 외부 주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공지된 잠수함은 선체 외부에서 두 개의 라인 분기들로 분기되는 배출 가스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라인 분기들 중에서 하나의 라인 분기는 잠수함의 탑 안에 배치된 배출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 분기는 잠수함 외피에서 상갑판 영역에 있는 배출 가스 배출 개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여, 배출 가스는 탑에서의 스노클링 항해시에 그리고 수상에서의 항해시에 상갑판에 제공된 배출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해 잠수함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노클링 항해시에는, 상갑판에 연결되는 라인 분기를 폐쇄할 필요가 있다. 그와 달리 수상 항해시에는 배출 가스가 스노클을 통해 배출되어서는 안 된 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두 개의 라인 분기 내에는 개폐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장치에 의하여 각각 이용되지 않는 라인 분기를 통과하는 유동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지된 잠수함의 경우에는 배출 가스 라인 안에서 직접 잠수함 외측에 추가의 개폐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장치에 의하여 배출 가스 라인은 스노클링 항해 깊이 아래에서의 수중 항해시에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개폐 장치를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의 밸브 바디들은 각각 선체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개폐 장치를 상황에 따라 선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기 위해서 이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의 단점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선체에서 필요한 관통구들이 선체 구조를 약화시키고, 누설 장소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의 추가의 한 가지 단점은, 비교적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개폐 장치를 선체와 외피 사이의 제한된 공간 안에 제공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DE 33 21 782 C2호에는 수상함을 위한 배출 가스 설비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가스 설비에서는 배출 가스 라인이 두 개의 라인 분기들로 분할된다. 상기 라인 분기 영역에는 조절된 상태의 편향 밸브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편향 밸브에 의하여 배출 가스 라인은 선택적으로 상기 편향 밸브의 제 1 위치에는 제 1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편향 밸브의 제 2 위치에서는 제 2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다. 상기 DE 33 21 782 C2호에 공지된 배출 가스 설비는 잠수함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상기 배출 가스 설비에서는 언제나 하나의 라인 분기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잠수 항해시에는 상기 개방된 라인 분기를 통해 물이 잠수함 선체 안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배출 가스 개폐 장치가 가급적 단순하고도 공간 절약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종래 방식에 따른 잠수함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아래의 상세한 설명부 그리고 도면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가스 라인이 통과하는 선체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은 상기 선체의 외측에서 적어도 두 개의 라인 분기들로 분기된다.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하나의 라인 분기를 형성하는 밸브가 제공되었다. 상기 밸브에 의하여, 배출 가스 라인은 제 1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1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고, 제 2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2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칭 위치에서는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와 함께 또 하나의 개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개폐 장치에 의해서는 배출 가스 라인이 정상적인 잠수 항해시에, 즉 스노클링 항해 깊이 아래에서의 잠수 항해시에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장치는 또한 방향 전환 장치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방향 전환 장치에 의해서는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의 유동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의 유동 배출구에서 시작되는 두 개 이상의 라인 분기들 중에 하나의 라인 분기까지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가 만들어질 수 있는 한편, 나머지 라인 분기(들)는 상기 밸브에 의해서 폐쇄된다. 상기 밸브를 수동으로 선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작동시킬 수 있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체를 통과하는 또 하나의 관통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밸브를 스위칭하기 위한 작동 수단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다.
배출 가스 라인을 폐쇄하기 위한 밸브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 분기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의 한 상갑판에 제공된 배출 가스 배출구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라인 분기는 잠수함의 탑 안에 배치된 배출구에 연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배출 가스 라인은 상기 상갑판 아래의 한 영역에서 선체를 통과하게 되고, 밸브는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폐쇄하기 위하여 선체와 상갑판 사이의 한 중간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잠수함의 잠수 항해시에 물이 선체 안으로 침투할 가능성을 막기 위하여, 선체 외측에서 밸브까지 뻗는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의 부분은 압력 밀봉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잠수함의 뱃전에 배출 가스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구동 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장치들 각각에는 선체를 통과하는 별도의 배출 가스 라인이 할당되어 있다. 그 경우 선체 외부에서 각각의 배출 가스 라인 안에는 전술된 방식으로 형성된,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폐쇄하기 위한 밸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바람직하게 회전 슬라이드 밸브(rotary slide valve)로서 형성 되었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밸브는 밸브 하우징 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된 밸브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바디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밸브의 유동 유입구로부터 두 개 이상의 유동 배출구들 중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유동 배출구까지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가 만들어지거나, 또는 상기 밸브의 유동 유입구가 폐쇄되도록, 하나의 유동 채널이 상기 밸브 바디를 통과한다. 상기 밸브 바디는 실질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에 제공된 유동 배출구들은 밸브 하우징에서 바람직하게 동일한 각도로 상기 유동 유입구의 중심축 쪽으로 꺾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상응하게,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동 채널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꺾인 상태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유동 채널은 바람직하게 유동 유입구의 중심축이 상기 유동 배출구들 중에서 한 유동 배출구의 중심축과 형성하는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형성한다. 밸브가 하나의 유동 유입구 및 두 개의 유동 배출구를 구비하면,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동 채널은 특히 바람직하게 120°의 각도로 꺾여져 있다.
상기 밸브의 회전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 잠수함 선체를 통과하는 작동 로드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 로드는 회전 슬라이드 상에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의 회전축의 연장부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상기 작동 로드에 맞물리는 구동 장치, 예컨대 전자식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회전 슬라이드는 본 실시예에서 작동 로드를 통해 전술된 세 가지 스위칭 위치들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가 고장인 경우에, 밸브는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수동으로도, 예를 들어 상기 작동 로드에 배치 된 핸드 휠에 의하여 선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작동될 수 있다.
배출구 영역에서 밸브의 밸브 바디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압축 응력을 받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 바람직하게 압력 스프링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밀봉 부재를 밸브 바디와 함께 밀봉 시트(sealing seat) 안으로 프레스 하는 방식으로 밸브 하우징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들은 자신의 세로 팽창 방향으로 응력을 받을 수 있는 보상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밀봉 부재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 부재가 필요치 않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 부재는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연성 소재 밀봉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비교적 뜨거운 배출 가스로 인해, 밀봉 부재는 바람직하게 수랭 방식으로 냉각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밸브 하우징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 근처에 냉각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밸브 스위칭 시에 또는 밸브 바디의 작동 중에 밸브의 유동 배출구 영역에 배치된 밀봉 부재 및 특히 연성 소재 밀봉부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수단에 의해 밀봉 부재는 밸브 바디에 인접하는 한 밀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단에 의해서는 밀봉 수단이 밸브의 스위칭 전에 상기 밸브 바디로부터 떨어져 있는 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밸브 바디와 밀봉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마모가 피해진다.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 제어 디스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디스크는 선체를 통과하는 한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어 디스크가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어 디스크에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섹션들은 유동 배출구에서 스프링 압축 응력을 받는 두 개의 밀봉 부재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고, 회전이 더욱 진행되면서 밸브 바디에 있는 밀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밀봉 부재가 밸브 바디로부터 떨어지자마자, 밸브는 밀봉 부재의 마모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스위칭 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어 디스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작동 로드는 밸브 바디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공 샤프트를 통과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선체에는 밸브 바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로드와 제어 디스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샤프트가 공통으로 통과하는 단 하나의 관통부만 제공된다.
중공 샤프트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다시 말해 중공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실린더가 제공되었다. 이 경우 상기 유압식 실린더의 선형의 인출 동작 및 삽입 동작은 기어를 통해서, 예를 들어 톱니 래크-톱니 휠-쌍을 통해서 상기 중공 샤프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밸브 바디를 스위칭하기 위한 작동 로드의 회전은 바람직하게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작동 로드는 회전 구동 장치, 바람직하게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회전 모터와 운동 결합되어 있다.
유동 유입구의 영역에서 밸브 바디는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경성 소재(hard material) 밀봉부에 의해서 밀봉된다. 상기 경성 소재 밀봉부는 밸 브의 하우징 측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바디의 외부 윤곽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밀봉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경금속 또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잠수함 선체(2)의 벽의 한 섹션이 매우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체(2)의 벽 섹션 안에는 관통부(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4)는 배출 가스 라인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통해서는 선체(2)의 내부에 배치된 연소 엔진에 의해 발생하는 배출 가스가 잠수함의 외부 주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선체(2) 외측에서 상기 관통부(4) 바로 위에서는,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로 구부러진 파이프 섹션(6)이 상기 파이프 섹션(6)에 형성된 플랜지(8)를 통해 선체(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섹션(6)은 배출 가스 라인의 내압 부분을 형성한다.
선체(2)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파이프 섹션(6)의 단부에서 그곳에 형성된 한 플랜지(10)에 밸브(1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섹션(6) 및 상기 밸브(12)의 유동 유입구(4)는 서로 유동 결합되어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12)는 라인 분기를 형성하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밸브는 유동 유입구(14) 외에 제 1 유동 배출구(16) 및 제 2 유동 배출구(18)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12)의 제 1 유동 배출구(16)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의 제 1 라인 분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라인 분기는 잠수함의 상갑판 영역에 제공된 배출 가스 배출 개구 내부와 통한다. 상기 유동 배출구(18)에는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의 제 2 라인 분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라인 분기는 잠수함 탑 안에 배치된 스노클까지 뻗는다. 도 2 내지 도 5는 또한 상기 유동 유입구(14) 그리고 유동 배출구(16 및 18)가 각각 120°의 각도로 상호 변위 배치되어 있다는 내용도 보여주고 있다.
밸브(12)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로서 형성되었다. 밸브 하우징(20) 안에 형성된 한 밸브 챔버(22) 안에서는 밸브 바디(24)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가 되어 있다. 상기 밸브 바디(24)는 실질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볼 모양의 캡이 상기 밸브 바디(24)의 회전축(A)의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밸브 바디는 회전축(A)의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평탄한 정면을 형성하게 된다. 밸브 바디(24)는 자신의 회전축(A)에 대하여 가로로 하나의 유동 채널(26)에 의해서 관통된다. 상기 유동 채널(26)은 한 평면에서 상기 회전축(A)에 대하여 수직으로, 120°의 각도로 꺾인 모양으로 형성되었다(도 2 내지 도 5).
밸브(12)를 스위칭하기 위하여 또는 밸브 바디(2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동 로드(28)가 제공되었다. 상기 작동 로드(28)는 도 1에서 밸브(12) 아래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기 선체(2)의 벽의 한 관통부를 통과한다. 작동 로드(28)는 밸브 바디(24)의 회전축(A)에 대하여 동심으로 상기 밸브 바디에 고정되어 있다. 선 체(2)의 내부에 있는 상기 작동 로드(28)의 한 단부에는 유압식 회전 모터(30)가 맞물리며,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서 밸브 바디(24)는 상기 작동 로드(28)를 통해 세 가지 상이한 스위칭 위치들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에서 밸브 바디(24)는, 상기 밸브 바디가 밸브(12)의 유동 유입구(14) 그리고 그와 더불어 배출 가스 라인을 선체(2)의 방향으로 폐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위치는 특히 잠수함이 스노클링 항해 깊이 아래에서 잠수하는 경우에 필요한데, 그 이유는 상기 스위칭 위치에 의하여 물이 배출 가스 라인을 통해 선체(2) 안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잠수함의 수상 항해시에는 밸브(12)가 도 3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 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에서 밸브 바디(24)는, 상기 밸브 바디(24)에 형성된 유동 채널(26)이 유동 유입구(14)로부터 제 1 유동 배출구(16)까지 뻗는 유동 연결부를 만들도록 설계되었다. 그와 동시에 밸브 바디(24)는 제 2 유동 배출구(28)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배출 가스는 압력 바디(2)로부터 상기 유동 배출구(16)에 연결되는 배출 가스 라인의 한 라인 분기를 거쳐 상갑판 영역에 제공된 배출 가스 배출 개구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밸브(12)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로도 보내질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칭 위치에서 밸브 바디(24)는 상기 밸브 바디가 제 1 유동 배출구(16)를 폐쇄하도록 그리고 유동 유입구(14)로부터 제 2 유동 배출구(18)까지 뻗는 유동 연결부를 만들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위치는 스노클링 항해시에 배출 가스를 배출할 의도로 존재하며, 상기 스노클링 항해시에 배출 가스는 밸브(12)의 유 동 배출구(18)에 연결되는 배출 가스 라인의 한 라인 분기를 거쳐 탑에 제공된 배출구로 가이드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밸브 바디(24)가 밸브 챔버(22)에 대하여 또는 밸브 하우징(20)에 대하여 유동 유입구(14) 영역에서는 밀봉 부재(32)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고, 제 1 유동 배출구(16) 영역에서는 밀봉 부재(34)에 의해서 그리고 제 2 유동 배출구(18) 영역에서는 밀봉 부재(36)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밀봉 부재들(32, 34 및 36)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었고, 밸브 바디(24)의 볼 모양에 상보적인 밀봉면을 형성한다. 상기 밀봉부(32)는 밸브 챔버(22)의 내벽에 통합된 경성 소재 밀봉부로서 형성되었다. 상기 밀봉부(32)에는 밸브 바디(24)가 같은 높이로 인접한다. 상기 밀봉부(34 및 36)는 연성 소재 밀봉부로서 형성되었으며, 압축 응력을 받은 압축 스프링 부재(38)에 의하여 밸브 바디(24)에 있는 밀봉 시트 안으로 프레스 된다. 밀봉 부재(34 및 36)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밸브(12)의 밸브 하우징(20)에는 냉각 챔버(40 및 42)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챔버를 통해 냉각수가 펌핑 될 수 있다.
연성 소재 밀봉부로서 형성된 밀봉 부재(34 및 36)가 밸브(12)의 스위칭 중에, 즉 밸브 바디(24)의 회전 중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부재(34 및 36)는 압축 스프링 부재(38)의 추가 압축 작용하에서 밸브 바디(24)에 있는 밀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제어 디스크(44)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디스크는 밸브 바디(24) 아래에서, 즉 선체(2) 쪽을 향하고 있는 상기 밸브 바디(24)의 측에서 상기 밸브 바디(24)의 회 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어 디스크(44)는 실질적으로 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어 디스크는 이 제어 디스크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과 동시에 밀봉 부재(34 및 36)와 접촉하도록 그리고 밸브 바디(24)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프레스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5).
상기 제어 디스크(44)의 동작은 중공 샤프트(46)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도 1). 상기 중공 샤프트(46)는 밸브 바디(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로드(28)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공 샤프트(46)의 외부 둘레에는 톱니 림(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 림은 톱니 로드(50)와 맞물린다. 톱니 로드(50)는 유압식 실린더(52)의 선형으로 진행할 수 있는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톱니 림(48) 및 톱니 로드(50)에 의해서 형성된 기어 쌍을 통해, 상기 유압식 실린더(52)의 선형으로 진행할 수 있는 부분의 선형 동작은 중공 샤프트(46)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된다.
도 1은 잠수함 선체를 통과하는 배출 가스 라인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의 라인 분기를 형성하는 밸브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고,
도 2는 배출 가스 라인을 폐쇄하는 한 가지 스위칭 위치에 있는 밸브를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며,
도 3은 배출 가스 라인의 제 1 라인 분기에 대한 라인 접속부를 만들어주는 한 가지 위치에 있는 밸브를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고,
도 4는 배출 가스 라인의 제 2 라인 분기에 대한 라인 접속부를 만들어주는 한 가지 위치에 있는 밸브를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며,
도 5는 도 1의 절단선 Ⅴ-Ⅴ를 따라 밸브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선체 4: 관통부
6: 파이프 섹션 8, 10: 플랜지
12: 밸브 14: 유동 유입구
16, 18: 유동 배출구 20: 밸브 하우징
22, 24: 밸브 챔버 26: 유동 채널
28: 작동 로드 30: 회전 모터
32, 34, 36: 밀봉 부재 38: 압축 스프링 부재
40, 42: 냉각 챔버 44: 제어 디스크
46: 중공 샤프트 48: 톱니 림
50: 톱니 로드 52: 유압식 실린더
A: 회전축

Claims (11)

  1. 선체(2)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이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가스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은 상기 선체(2)의 외측에서 두 개 이상의 라인 분기들로 분기되며,
    상기 선체(2)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을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한 밸브(12)를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상기 밸브(12)는 하나의 라인 분기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 가스 라인은 상기 밸브(12)의 제 1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1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고, 제 2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 2 라인 분기에 라인 접속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칭 위치에서는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2)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꺾어진, 바람직하게는 120°의 각도로 꺾어진 유동 채널(26)이 상기 밸 브(12)의 밸브 바디(24)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2)의 밸브 바디(24)는 상기 선체(2)를 통과하는 작동 로드(28)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24)는 밸브 하우징(20)에 대하여 유동 배출구(16, 18) 영역에서는 스프링 압축 응력을 받는 밀봉 부재(34, 36)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연질 소재 밀봉부에 의해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34, 36)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에 의하여 밀봉 부재(36, 36)는 상기 밸브 바디(24)에 인접하는 밀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어 디스크(44)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디스크는 선체(2)를 통과하는 샤프트(46)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6)는 중공 샤프트(46)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밸브 바디(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로드(28)가 상기 중공 샤프트(46)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6)는 유압식 실린더(52)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로드(28)는 회전 구동 장치, 바람직하게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회전 모터(30)와 운동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24)는 상기 밸브 하우징(20)에 대하여 상기 유동 유입구(14)의 영역에서는 경성 소재 밀봉부(32)에 의해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080042344A 2007-06-02 2008-05-07 잠수함 KR101017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5844A DE102007025844B3 (de) 2007-06-02 2007-06-02 Unterseeboot
DE102007025844.7 2007-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93A true KR20080106393A (ko) 2008-12-05
KR101017644B1 KR101017644B1 (ko) 2011-02-25

Family

ID=3976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344A KR101017644B1 (ko) 2007-06-02 2008-05-07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97729B1 (ko)
KR (1) KR101017644B1 (ko)
DE (1) DE102007025844B3 (ko)
ES (1) ES2386210T3 (ko)
PT (1) PT1997729E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70B1 (ko) * 2013-04-30 2014-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배기경로 조절장치
WO2017086521A1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보고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2157B4 (de) * 2010-03-20 2023-03-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Abgasstroms
DE102015213276A1 (de) * 2015-07-15 2017-01-19 Zf Friedrichshafen Ag Regelbare Abgasleitvorrichtung
CN106594329A (zh) * 2016-11-30 2017-04-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水下变深度气体排放系统出口侧阀门保护系统
CN113501119B (zh) * 2021-07-20 2022-06-0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负压的魔术球折纸式仿生喷射推进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55959A (fr) * 1905-07-07 1905-11-17 Simon Lake Cheminées télescopiques pour bateaux sous-marins
GB106330A (en) * 1916-05-19 1917-05-21 Scotts Shipbuilding And Eng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bmarine or Submersible Boats.
DE3321782A1 (de) * 1983-06-16 1984-12-20 Blohm + Voss Ag, 2000 Hamburg Abgasanlage fuer verbrennungskraftmaschinen eines wasserfahrzeugs
HU210511B (en) * 1989-02-15 1995-04-28 Viktoria Elsoe Magyar Gabona R Fitting-set mainly for pipes used at milling industry
DE4103976A1 (de) * 1990-02-10 1991-07-25 Desch Kurt Michael Vierwege kugelhahn mit kugel mit doppel-l-bohrung und integriertem membranventil in einem abgang
KR100558907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항해중의 배기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FR2882802B3 (fr) * 2005-03-02 2007-06-08 Michel Emin Dispositif de fermeture et d'etancheite a passage integral et etancheite a sie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70B1 (ko) * 2013-04-30 2014-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배기경로 조절장치
WO2017086521A1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보고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7729A1 (de) 2008-12-03
DE102007025844B3 (de) 2008-12-04
ES2386210T3 (es) 2012-08-13
PT1997729E (pt) 2012-08-30
EP1997729B1 (de) 2012-06-20
KR101017644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644B1 (ko) 잠수함
US7186157B2 (en) Turning propeller drive for a boat
JPH06100290B2 (ja) 海面下管路系用弁
CA2684935A1 (en) Branching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KR101388480B1 (ko) 잠수함
JP5320518B1 (ja) 船舶
KR101292567B1 (ko) 디젤기관 잠수함의 배기장치
KR101302217B1 (ko) 펀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556400B1 (ko) 선상 차단밸브
KR101323445B1 (ko) 선박 스러스터의 립씰
JP2720786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船の推力計測装置
CN113251167B (zh) 一种集成舷侧阀
JP2009250419A (ja) 給気用プラグ及び弁駆動用電動機
KR101272451B1 (ko) 스러스터의 립씰 유닛 압력제어장치 및 압력제어방법
US20130113163A1 (en) Maintenance and Emergency Run Secondary Seal
KR20210149302A (ko) 로프를 이용한 무장사출장치
KR20140078651A (ko) 유압 작동기 유닛을 포함하는 해상 쉘 도어
WO2011051233A3 (de) Rudermaschine
US738160A (en) Exhaust-muffler for engines.
CN115492952A (zh) 一种双阀芯集成式快关舷侧阀
SU1718733A3 (ru) Аварийно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9202490A1 (en) Emergency seal
ES2261005B1 (es) Bulbo propulsor para buque.
KR101466070B1 (ko) 잠수함의 배기경로 조절장치
GB14292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operating hinged or similar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