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480B1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480B1
KR101388480B1 KR1020110132052A KR20110132052A KR101388480B1 KR 101388480 B1 KR101388480 B1 KR 101388480B1 KR 1020110132052 A KR1020110132052 A KR 1020110132052A KR 20110132052 A KR20110132052 A KR 20110132052A KR 101388480 B1 KR101388480 B1 KR 10138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ine
propulsion engine
recoil propulsion
submarine
re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259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말레츠첵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6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emergency propellers, e.g. arranged at the side of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6Propellers having a shrouding ring attached to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5/1252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the ability to move being conferred by gearing in transmission between prime mover and propeller and the propulsion unit being other than in a "Z"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emergency propellers, e.g. arranged at the side of the vessel
    • B63H5/2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emergency propellers, e.g. arranged at the side of the vessel movable from a working position to a non-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6Propellers having a shrouding ring attached to blades
    • B63H2001/165Hubless propellers, e.g. peripherally driven shrouds with blades projecting from the shrouds' insid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63H2005/1258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with electric power transmission to propellers, i.e. with integrated electric propelle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잠수함은 구동장치로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포함한다.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잠수함의 내압선각과 이 내압선각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 사이의 중간공간 내의 보관위치로부터 외피 외부의 선형 단부위치로, 내압선각의 밖에 배치된 선형구동기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그 단부위치에서 선형 이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 구동기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관련된 것이다.
잠수함은 독일 특허출원 DE 10 2009 019 539에 알려져 있고, 프로펠라 주 구동기를 제외하고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갖는 보조 구동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 보조 구동기는, 프로펠라 주 구동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또는 프로펠라 주 구동기가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구동될 때, 가능한 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잠수함을 기동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보조 구동기가 요구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잠수함의 내압선각과 거기에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 내에 배치된다. 만약 보조 구동기가 적용되는 때에는, 그것의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피봇 메카니즘에 의해 그로부터 외피의 외부의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내압선각 및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보관위치로부터 외피 외부의 작동위치로 약 90°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탑재대에 배치된다. 작동위치에 있어서, 탑재대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축방향, 즉 그 추력방향은, 회전 구동기에 의해, 잠수함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평면 내에 180°각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알려진 잠수함에는 보조 구동기가 비교적 복잡한 설계구조를 갖고, 그리고 보관위치가 내압선각과 외피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더욱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보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개구가 비교적 크다. 따라서, 보조 구동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개구가 폐쇄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을 둘러싸는 외피 사이에 비교적 긴 갭이 잠수함의 외피 상에 형성된다. 이 갭은 군용잠수함들에 있어서 원하지 않는 흐름 소음을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위와 같은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선각과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보관위치가 지금까지 잠수함들에 적용된 보조 구동기들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외피의 개구를 통해 외피 밖의 작업위치로 이송되는데, 이 개구가 가능한 한 작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구비한 보조 구동기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특정된 구성들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의 다른 이점적 구성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종속항들에 특정된 구성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 의미를 갖는 조합으로 본 발명 및 청구항 1에 따른 해결책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전형적으로 일반 잠수함에 꼭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군용 잠수함에 바람직한 것으로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포함한다.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구동장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특수한 전개력(deployment forces)을 수행할 때, 잠수함을 교묘하게 운전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또는 해류에서 잠수함을 조용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조 구동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는, 프로펠라 구동기가 주 구동기로 제공되고 잠수함의 선미에 통상적으로 배치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사용되지 않을 때, 내압선각과 이 내압선각으로부터 떨어져서 내압선각의 바깥측에 배치된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중간 공간은 잠수함의 선실상의 용골(keel)의 영역내에 또는 그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내압선각의 외부에 배치된 선형구동기에 의해 내압선각과 외피 사이의 중간공간 내의 보관위치로부터 선형 단부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단부위치에서 회전구동기에 의해 그 선형 이동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다. 즉, 보관위치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이미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회전자 회전축의 배열이 단부위치, 즉 잠수함의 외피의 외부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작동위치로의 배열에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보관위치로부터 그것의 정의된 즉, 잠수함의 잠수함 본체에 일정거리를 갖는, 이전에 고정된 단부위치로 양방향(translatory)으로 또는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거기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배열 및 이에 수반된 추력방향은 회전 구동기에 의해 직선 연장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보관위치에서 그 단부위치로 선형으로 이동됨으로써, 보관위치에서 연장 방향에 가로의 최대 필요공간은 연장방향에 수직한 평면의 최대 단면적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이에 관한 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내압선각과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에 있어서 지금까지 알려진 회동될 수 있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들보다 현저히 더 적은 장소를 요구한다. 더욱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보관위치로부터 단부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되게 하는 외피의 개구 및 이에 수반되어 이 개구를 폐쇄하는 케이싱은 유체역학에 있어서 지금까지 요구되었던 것들보다 현저히 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위한 선형구동기는 기본적으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선형구동기일 수 있다.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기어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러한 선형구동기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동기들은 누수로 인해 해수가 구동기들내로 그리고 거기로부터 잠수함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시스템으로 침투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위한 선형구동기는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형구동기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구동기들과 비교하여 전자기 구동기가 바람직하고, 단지 전기리드들만이 잠수함의 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안내되고, 이것은 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안내된 압축공기 도관들 또는 유압 도관들보다 현저히 더 간단한 방식의 압력-밀폐식으로 밀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기에 연동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선형 모터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그것의 보관위치로부터 외피의 바깥 단부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 선형구동기는 전기 모터 및 거기에 체결된 기어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회전구동 모터들이 사용될 수 있고, 구동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움직임이 기어에 의해 선형 움직임으로 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내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핀들 구동기의 스핀들 너트에 연동되도록 체결된다. 이 스핀들 구동기로 특히 공간-절약을 실현할 수 있고,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위한 선형구동기를 좁게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스핀들 구동기의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은 직접 회전자에 연동되도록 체결되고, 즉 회전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은 전형적으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확장방향으로 배열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에 나사결합되고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연결되는 스핀들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의 길이방향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확장방향 또는 되돌아오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에 대항하여 결합된다.
비록 잠수함의 외피 외부의 단부위치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통상 선형 확장방향에서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구동기가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지만, 회전 구동기의 설계는 전기적으로 작동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회전 샤프트를 형성하는 부품은 전기 모터의 회전자에 직접 회전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 그 자체가 전기 모터의 회전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회전 각도는 전기 모터로 무한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위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회전 구동기의 사용은 그것의 선형구동기가 또한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계될 때 특히 장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안내되는 선형구동기 및 회전 구동기를 위한 단지 하나의 공통 전기공급리드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회전 구동기에 의해 360°각도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그것의 선형 확장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그 회전축에 대하여 적어도 완전히 회전가능하고, 따라서 어떤 무한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반대의 추진(thrust reversal)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가로지르는 또는 비스듬한 어떤 방향으로도 추진력을 생산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선형구동기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확장 마스트(extension mast)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그 선형 확장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형성한다. 이 확장 마스트는 이를 위해 필요한 회전 구동기의 회전자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회전 구동기의 회전자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선형구동기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360°각도 범위로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 구동기에 연동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 구성으로 이것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선형구동기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선형 확장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구동기와 선형구동기의 연동결합으로 바람직하게는 회전 구동기는 내압선각 및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내에 고정 배치된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핀들 구동기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선형구동기를 형성하는 구조로, 유용하게는 전체 선형구동기, 즉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전기 모터는 물론 스핀들 구동기의 스핀들 너트와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은 내압선각과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다.
만약 회전구동기는 물론 선형구동기가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식으로 설계된다면, 선형구동기는 회전 구동기에 전압-접속(도전적 접속)할 수 있고 또는, 그 역으로, 회전 구동기가 선형구동기에 전압-접속(도전적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구동기 및 선형구동기는 서로 전기공급리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회전 구동기 및 선형구동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설계로, 이 공급리드는 360°회전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매우 길게 설계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선형구동기는 슬라이딩 접촉들, 예를 들어 슬립 링 시스템을 통해 회전 구동기의 전기 에너지 공급원에 도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회전 구동기에 대하여 선형구동기의 무한한 회전에서도 회전 구동기를 통한 선형구동기의 전압 공급이 보장된다.
더욱 유리한 형태로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에 도전(導電)적으로 접속된 정지 플러그 접속소자의 플러그 접속 및 선형구동기의 스핀들 너트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플러그 접속소자의 플러그 접속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전압공급을 위하여 제공된다. 유용하게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에 도전적으로 접속된 플러그 접속소자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그 단부위치에 또는 잠수함의 외피 외부의 작동위치에 위치될 때, 스핀들 너트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플러그 접속소자에 의해 접촉되도록 정지상태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너트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플러그 접속소자는 슬라이딩 접촉(contact)들을 통해 회전 구동기의 전기 공급원에 도전적으로 연결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탑재되는 내압선각과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은 물로 충수된다(flooded). 바람직하게는 보관위치에 있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은, 특히 매우 잠수된 깊이에서 우세한 수압으로부터 인라인 반동추진엔진 및 그 구동기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압력-밀폐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내압선각 및 외피 사이의 중간 공간 내에 하우징이 배치되고, 이 하우징은 그것의 선형구동기 및 회전 구동기와 함께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수납하고 압력-밀폐식으로 물 환경으로부터 그것을 밀폐한다. 전형적으로, 이 하우징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그 단부위치 또는 외피 외부의 작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개구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하우징 내의 보관위치에 위치될 때 커버에 의해 압력-밀폐식으로 폐쇄된다.
본 내용에 있어서, 케이싱소자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고정자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보관위치에서 하우징을 폐쇄하여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보관위치에서 압력-밀폐식으로 배치되는 설계가 이점이 있다. 유용하게는, 이 케이싱소자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위하여, 외피 상에 형성된 확장 개구를 폐쇄하는 식으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상에 배치되고, 또한 잠수함의 외피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른 이점으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확장위치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보관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폐쇄하는 케이싱소자가 또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확장될 때, 소용돌이와 이에 수반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저장하기 위한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올라오는 흐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외부 물체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고정자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은 내압선각과 잠수함의 외피 사이의 보관위치가 지금까지 잠수함들에 적용된 보조 구동기들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외피의 개구를 통해 외피 밖의 작동위치로 이송되는데, 이 개구가 가능한 한 아주 작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구비한 보조 구동기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수함은 비교적 간단한 설계구조를 갖고 비교적 작은 공간의 보관위치를 차지하는 보조 구동기를 제공한다. 또한, 흐름 소음을 저감하는 잠수함을 제공한다.
도 1은 개략적으로 단순화시킨 잠수함의 절개된 측면도,
도 2는 개략적으로 단순화시킨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이 그 안에 탑재된 하우징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하우징의 제2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선 III-III을 따라 절개된 도 2의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확장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구비한 도 2에 따른 묘사도,
도 7은 확장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묘사도,
도 8은 도 6의 선 A-A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원부분에 대한 확대도, 및
도 11은 도 8의 원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잠수함은 외피(4)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내압선각(2)을 포함한다. 이 내압선각(2) 및 외피(4) 사이의 중간 공간은 물로 충수된다(flooded). 프로펠라 구동기(6)가 잠수함의 선미에 배치되고 정상 항해 동작으로 잠수함을 구동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형태에서 보조 구동기는 직접 내압선각(2)의 선수측 잠수함의 선실(8) 안에 배치된다.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내압선각(2) 및 외피(4) 사이의 중간 공간 내 압력-밀폐식 하우징(12) 내에 보관되고, 거기로부터, 잠수함의 용골 상에서, 외피(4) 외부의 작동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하우징(12)은 보관위치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수납하는 직육면체 기저체(14)를 구비한다. 이 기저체(14)의 외부에 보강리브들(16)이 배치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선형구동기에 의해 하우징(12)의 기저체(14)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이 선형구동기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위한 확장 개구로부터 반대쪽에서 기저체(14)에 연결되는 하우징 부분(18) 내에 필수적으로 배치되고, 이 확장개구는 기저체(14)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이 기저체(14) 속으로 들어가 있을 때, 하우징(12)의 확장개구는 케이싱소자(20)에 의해 압력-밀폐식으로 폐쇄되고, 이 케이싱소자(20)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이 기저체(14) 밖으로 확장될 때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고정자 하우징(22)의 외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영역은 확장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다. 기저체(14)에 들어가 있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에서, 케이싱소자(20)는 잠수함의 외피(4)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 케이싱소자(24)가 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확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2)의 확장개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이 제2 케이싱소자는, 고정자 하우징(22)의 외측에 케이싱소자(20)와 지름방향으로 정반대에 직접 놓이도록 배치된다(도 8 및 도 9).
도 10 및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스핀들 구동기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선형구동기를 형성한다. 이 스핀들 구동기는 전기 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26)을 갖는다. 이 전기 모터(28)는 기저체(14)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우징부(18)의 단부영역에 배치된 기초대(30)에 배치된다. 하우징(12)은 잠수함의 구조상에서 기초대(30)를 통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에 체결된다. 스핀들 너트(32)가 나사산 형성 스핀들(26)에 나사결합된다. 이 스핀들 너트(32)는 회전에 대항하여 체결되고,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26) 상에서 전기 모터(28)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기 모터(28)로부터 달아나는 또는 전기 모터(28)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에 연결되는 확장 마스트(34)가 전기 모터(28)로부터 떨어져서 스핀들 너트(32)에 체결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26)상에서 전기 모터(28)로부터 달아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핀들 너트(32)에 의해 그 단부위치로 또는 잠수함의 외피 외부의 작동위치로 하우징(12)으로부터 확장된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그 선형 확장 방향에 수직한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26)의 길이방향의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단부위치에서 또는 작동위치에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전기 모터(36)가 제공된다. 이 전기 모터(36)는 전기 모터(28)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영역의 하우징부(18) 내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이 전기 모터(36)는 회전자(40)가 회전하도록 탑재되는 하나의 고정자(38)를 포함한다. 회전자(40)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확장 마스트(34)에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이 전기 모터(36)에 의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360°각도 범위로 그리고 확장 마스트(34)의 길이방향 축에 의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더 크게 회전 가능하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에 있어서, 전체 선형 구동기는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부(18) 내의 선형구동기는 내부 하우징(42) 안에 배치된다. 이 내부 하우징(42)은 필수적으로 튜브 식으로 설계되고 그것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내부 하우징(42)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베어링 부쉬(44)에 의해 폐쇄된다. 이 베어링 부쉬(44)는 일정 동작으로 기초대(30)의 개구 속으로 결합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26)의 구동을 위한 전기 모터(28)는 베어링 부쉬(44) 내에 배치된다.
전기 모터(36)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기 공급 리드를 통해 내압선각(2)내에 배치된 전압원에 도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기 모터(28)의 전압 공급은 전기 모터(36)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을 위해 슬립 링(46)이 하우징부(1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충분하진 않지만, 슬립 링(46)은 방사상 방향으로 둘로 나누어져 있고 이와 같은 식으로 하우징부(18) 내에 정지되어 배치되는 튜브식 외부 슬라이딩 접촉(contact)과, 외부 슬라이딩 접촉내에 배치되고 내부 하우징(42)에 결합되어 외부 슬라이딩 접촉에 대해 내부 하우징(42)과 함께 회전가능한 튜브식 내부 슬라이딩 접촉을 형성한다. 이처럼 회전 가능한 전기 모터(28)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 슬라이딩 접촉에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전압 공급은 전기 모터(36)를 통해 이루어진다. 플러그 접속소자(48)가 하우징부(18) 내에 전기 모터(36)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미도시된 전기공급리드를 통해 플러그 접속소자(48)에 접속된다. 제2 플러그 접속소자(50)가 전기 모터(36)를 향하는 측면에서 스핀들 너트(32)상에 배치되어 있다.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이 그 단부위치 또는 작동위치로 확장할 때, 스핀들 너트(32)와 함께 이 제2 플러그 접속소자(50)가, 이 플러그 접속소자(50) 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가 플러그 접속소자(48)상에 형성된 환형 요홈과 접속할 때까지, 제1 플러그 접속소자(48)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접속소자(50)는 슬립 접촉들을 통해 슬립 링(46)에 전기적으로 도전적으로 접속되고 따라서 전기 모터(36)의 전압 공급이 가능하다.
2: 내압선각 4: 외피
6: 프로펠라 구동기 8: 선실
10: 인라인 반동추진엔진 12: 하우징
14: 기저체 16: 보강리브
18: 하우징부 20: 케이싱소자
22: 고정자 하우징 24: 케이싱소자
26: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 28: 전기 모터
30: 기초대 32: 스핀들 너트
34: 확장 마스트 36: 전기 모터
38: 고정자 40: 회전자
42: 내부 하우징 44: 베어링 부쉬
46: 슬립 링 48, 50: 플러그 접속소자

Claims (12)

  1. 구동장치로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내압선각(2)의 외부에 배치된 선형 구동기에 의해 잠수함의 내압선각(2)과 이 내압선각(2)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4) 사이의 중간공간 내의 보관위치로부터 외피(4) 외부의 선형 단부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단부위치에서 선형 이동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 구동기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선형 구동기는 상기 회전 구동기에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항에 있어서, 선형 구동기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항에 있어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상기 선형 구동기로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핀들 구동기의 스핀들 너트(32)에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기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회전 구동기에 의해 내압선각과 외피 사이의 보관위치에서 외피 외부로 이동되는 확장방향으로의 축에 대해서 360°각도 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구동기는 슬립 접촉들을 통해 회전 구동기의 전기 에너지 공급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5항에 있어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슬립 접촉들을 통해 회전 구동기의 전기 에너지 공급원에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1항에 있어서,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에 도전적으로 접속된 정지 플러그 접속소자(48) 및 선형 구동기의 스핀들 너트(32)에 연동되도록 체결된 플러그 접속소자(50)의 플러그 접속이, 인라인 반동추진엔진의 전압 공급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위치에 있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은 압력-밀폐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소자(20)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고정자 하우징(22)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소자(20)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상기 보관위치에서 수납하는 하우징(12)을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보관위치에서 압력-밀폐식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소자(24)가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의 고정자 하우징(22)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소자(24)는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을 상기 보관위치에서 수납하는 하우징(12)을 인라인 반동추진엔진(10)이 보관위치로부터 외피 외부로 이동된 확장위치에서 압력-밀폐식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110132052A 2010-12-10 2011-12-09 잠수함 KR101388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4124.9 2010-12-10
DE102010054124A DE102010054124B4 (de) 2010-12-10 2010-12-10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59A KR20120065259A (ko) 2012-06-20
KR101388480B1 true KR101388480B1 (ko) 2014-04-29

Family

ID=4521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052A KR101388480B1 (ko) 2010-12-10 2011-12-09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63195B1 (ko)
KR (1) KR101388480B1 (ko)
DE (1) DE102010054124B4 (ko)
ES (1) ES2408807T3 (ko)
PT (1) PT2463195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E20120075A1 (it) * 2012-10-30 2014-05-01 Lombardini Srl Dispositivo per la propulsione di imbarcazioni
EP2781449B1 (de) * 2013-03-22 2022-07-13 Technische Universität Hamburg-Harburg Mechanisch angetriebener nabenloser Schiffspropulsor
CN103448890B (zh) * 2013-04-19 2015-11-25 天津深之蓝海洋设备科技有限公司 小型自主运动海洋观测平台壳体
JP6097705B2 (ja) * 2014-01-10 2017-03-15 信吉 森元 主プロペラ及び追加プロペラを装備する船の運航方法
CN107985536B (zh) * 2017-11-30 2020-07-07 吉林大学 一种配备空间并联机构矢量推进器的潜航器
FR3119833A1 (fr) * 2021-02-18 2022-08-19 Bluenav Système de propulsion destiné à être intégré à un bateau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610A (en) * 1995-12-01 2000-05-02 Guy Fontanille Retractable boat or ship thruster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pivoting
JP2000272590A (ja) * 1999-03-29 2000-10-03 Hitachi Zosen Corp 船舶用スラスタ装置
US20010029133A1 (en) 2000-02-15 2001-10-11 Breems Martinus Van Electric propuls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910A (en) * 1960-06-29 1962-04-24 Leslie E Alsager Emergency ship propulsion equipment
DE10353566A1 (de) * 2003-11-14 2005-06-23 Reinhard Gabriel Strahlantrieb
GB0702791D0 (en) * 2007-02-14 2007-03-28 Rolls Royce Plc Linear actuator
DE102009019539B3 (de) * 2009-04-30 2010-11-2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610A (en) * 1995-12-01 2000-05-02 Guy Fontanille Retractable boat or ship thruster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pivoting
JP2000272590A (ja) * 1999-03-29 2000-10-03 Hitachi Zosen Corp 船舶用スラスタ装置
US20010029133A1 (en) 2000-02-15 2001-10-11 Breems Martinus Van Electric propuls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3,030,910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463195E (pt) 2013-05-24
KR20120065259A (ko) 2012-06-20
ES2408807T3 (es) 2013-06-21
EP2463195A1 (de) 2012-06-13
EP2463195B1 (de) 2013-02-20
DE102010054124A1 (de) 2012-06-14
DE102010054124B4 (de)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480B1 (ko) 잠수함
KR101258542B1 (ko) 잠수함
US7641526B1 (en) Vessel and underwater mountable azimuthing thruster
US10766586B2 (en) Retractable thruster and drive shaft for retractable thruster
US5108323A (en) Deployment system for secondary propulsor unit
EP1876094A2 (en) Retractable thruster for vessels
KR20130107395A (ko) 수납식 스러스터를 구비한 잠수함
US3030910A (en) Emergency ship propulsion equipment
US9796462B2 (en) Assembly for retractable thruster
US5257952A (en) Deployment system for secondary propulsor unit
RU2721035C1 (ru) Подру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движения плавучего средства
EP2987719B1 (en) A vessel comprising a propulsion unit
JP2014193708A (ja) 発電装置及び船舶
CN110626486B (zh) 一种执行机构内置于舵叶的无舵轴舵系
CN210618431U (zh) 一种永磁电机同转式吊舱推进器
KR101400152B1 (ko)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24159B1 (ko) 선박 스러스터 시스템
ES2261005B1 (es) Bulbo propulsor para buque.
CN110871879B (zh) 舵板及船舶
JPS61200096A (ja) 潜水船の油圧駆動装置
CN220010062U (zh) 一种无轴径向磁通电机驱动的推进器
CN214776482U (zh) 一种喷水推进器
KR200446070Y1 (ko) 잠수정용 추진장치
EP3992074A1 (en) Equipment for utilize various types of flange mounted electrical motor variants in self-supporting steerable structure
KR102629447B1 (ko)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