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152B1 -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152B1
KR101400152B1 KR1020120059343A KR20120059343A KR101400152B1 KR 101400152 B1 KR101400152 B1 KR 101400152B1 KR 1020120059343 A KR1020120059343 A KR 1020120059343A KR 20120059343 A KR20120059343 A KR 20120059343A KR 101400152 B1 KR101400152 B1 KR 10140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rotating shaft
mov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614A (ko
Inventor
권혁
이성주
안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152B1/ko
Priority to DE112013002735.6T priority patent/DE112013002735B4/de
Priority to PCT/KR2013/004800 priority patent/WO2013180507A1/ko
Priority to JP2015512590A priority patent/JP5967683B2/ja
Priority to CN201380027879.2A priority patent/CN104334450B/zh
Publication of KR2013013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1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interengaging clut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1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more than one propulsion power unit
    • B63H23/1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more than one propulsion power unit for alternative use of the propulsion pow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는 제 1 회전축과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제 2 회전축이 제 1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제 1 회전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로서, 제 1 회전축의 일단부 및 제 1 회전축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제 2 회전축의 일단부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제 1 회전축의 일단부를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제 2 회전축에 위치되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축; 및 이동축이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축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회전축에 형성되는 이동축 결합홈; 및 이동축이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동축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Structure for connecting shafts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두개의 엔진에 각각 추진기를 장착하고 있는 쌍축선에서는 실제로 한 개의 추진기만 가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한 개의 추진기만 가동하고자 할 경우, 보통 가동하지 않는 추진기를 메인 엔진과 연결된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두기도 하지만 가동하지 않는 추진기가 메인 엔진과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을 해제하여 추진기가 회전할 수 있도로 하면 저항 성능이 좋아져 전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쌍축선에서 메인 엔진에 추진기가 연결되는 구조는 메인 엔진에 결합된 제 1 회전축이 추진기에 연결된 제 2 회전축의 중공축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축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커플링 기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었다.
이와 같은 쌍축선의 추진기 결합 구조에서는 메인 엔진이 가동되지 않는 경우 커플링 기어를 해제하여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함께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도 추진기 측 제 2 회전축 내의 중공축이 제 1 회전축과 상대 회전하게 되므로 베어링에 심한 마찰이 발생하고 베어링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2-299494호(1987.12.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축의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회전축과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제 2 회전축이 상기 제 1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 및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를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제 2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이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축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에 형성되는 이동축 결합홈 및 상기 이동축이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이동축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축기어;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기어에 대향하는 제 2 축기어; 및 상기 제 1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축기어 및 제 2 축기어 중 어느 하나의 외주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어느 다른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일측과 체결될 수 있는 커플링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는 외주부에 외접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기어는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접 기어부에 대응하는 내접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축 이동 수단은, 상기 이동축을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로 연결되는 유체 도관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실링부 및 상기 유체 도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유체 도관 상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추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메인 엔진에 연결된 구동축 상에 전술한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선박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2개의 추진기 및 상기 2개의 추진기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2 개의 메인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메인 엔진에 연결된 상기 구동축에 각각 상기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형성되므로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의 상대 회전으로 인하여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서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때, 제 2 회전축에 설치된 이동축이 제 1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 1 회전축에 제 2 회전축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의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분리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의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의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분리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의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는 두개의 회전축, 예를 들어 제 1 회전축(20)과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제 2 회전축(30)이 제 1 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회전축(30)을 제 1 회전축(2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체이다. 이 때 제 2 회전축(30)을 제 1 회전축(2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제 2 회전축(30)이 제 1 회전축(20)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그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제 1 회전축(20)은 선박의 동력 발생부, 예를 들어 메인 엔진(10)에 연결되어 메인 엔진(10)을 구동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구동축일 수 있으며, 제 2 회전축(30)은 제 1 회전축(20)과 동심축 상으로 형성되며, 일 단부에 추진기(60)를 구비한 회전축일 수 있다. 이 때,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베어링(56 및 52, 24)에 의하여 지지되어 선박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두 개의 메인 엔진(10)을 가지며 두개의 메인 엔진(10)에 각각 추진기(60)를 구비한 쌍축선일 수 있으며, 두 개의 메인 엔진(10)에 연결된 구동축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쌍축선의 메인 엔진(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추진기(60), 즉 프로펠러를 메인 엔진(10)과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는 회전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는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에 형성되는 결합부(21), 제 2 회전축(30)에 설치되는 이동축(34) 및 상기 이동축(34)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회전축(20)에 형성되는 이동축 결합홈(23) 및 상기 이동축(34)을 이동시키도록 제 2 회전축(30)에 설치되는 이동축 이동 수단(40)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을 연결하는 결합부(21)는 제 1 축기어(22), 제 2 축기어(32) 및 커플링 기어(3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제 1 축기어(22)는 메인 엔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전축(20)의 일단부에 1 회전축(20)과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되는 관형 부재로서, 외주부에 외접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 1 축기어(22)의 중심축 상에는 후술하는 이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이동축 결합홈(23)이 형성된다.
제 2 축기어(32)는 제 1 회전축(20)과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제 2 회전축(30)의 일단부에 제 1 회전축(20)의 일단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관형 부재로서, 제 1 축기어(22)와 유사하게 외주부에 외접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 2 축기어(32)의 외주부에는 커플링 기어(36)가 설치된다. 커플링 기어(36)는 내주면에 상기 제 1 축기어(22) 및 제 2 축기어(32)의 외접 기어부와 대응하는 내접 기어부가 형성된 관형 부재로 형성된다.
커플링 기어(36)는 제 1 축기어(22)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커플링 기어(36)는 제 2 축기어(32) 외주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일 단부가 제 1 축기어(22)의 외접 기어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플링 기어(36)의 일 단부가 제 1 축기어(22)의 외접 기어부에 체결되면 제 1 축기어(22) 및 제 2 축기어(32)는 제 1 회전축(20)이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플링 기어(36)가 제 1 축기어(22) 및 제 2 축기어(32)와 동시에 체결되면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21)의 구조로서 제 1 회전축(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 축기어(22), 제 2 회전축(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2 축기어(32) 및 커플링 기어(36)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는 그 이외의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회전축(30)에는 이동축(34) 및 이동축 이동 수단(40)이 설치되며, 제 1 회전축(20)에는 이동축 결합홈(23)이 형성된다.
이동축(34)은 제 2 회전축(30)의 외주부 내측에 위치되는 원기둥형 부재로서,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축(34)은 제 2 회전축(30)에 제 2 축기어(32)를 관통하여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이동축(34)의 돌출된 단부는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축(34)의 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이동축(34)이 도 1에서 볼 때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축 결합홈(23)에 수용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동축(34)이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회전축(30)에는 이동축 이동 수단(40)이 설치된다.
이동축 이동 수단(40)은 유압 실린더(42) 및 유압 펌프(44)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42)는 제 2 회전축(30)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 실린더(42)의 실린더 로드(43)가 제 2 회전축(30) 내부에서 이동축(34)의 타단부와 결합된다.
유압 펌프(44)는 제 2 회전축(30) 외부, 예를 들어 선박의 선체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 실린더(42)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유체를 공급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압 펌프(44)로부터 나온 작동 유체는 유체 공급 도관(45)을 통하여 제 2 회전축(30) 내부의 유압 실린더(42) 내부로 공급되거나 유압 실린더(42)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유압 펌프(44)로부터 나온 작동 유체를, 회전하는 제 2 회전축(30) 상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 2 회전축(30) 외주부에는 실링부(7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70)는 실링 하우징(72), 베어링(74) 및 실링 부재(7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하우징(72)은 제 2 회전축(30) 외주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링형 판재 형상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하우징(72)의 외주부 일측에는 유체 공급 도관(45)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유체 공급 도관(45)을 통하여 작동 유체가 실링 하우징(72) 내부로 공급된다.
실링 하우징(72)의 내부에는 제 2 회전축(30)의 외주부에 베어링(74)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실링 하우징(72)은 베어링(74)과 함께 제 2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베어링(74) 및 실링 하우징(72)의 내측면에는 실링 부재(76)가 설치되어 실링 하우징(72) 내부와 제 2 회전축(30) 틈 사이로부터 작동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하우징(72)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 2 회전축(30) 내부로 유입된 후 유압 실린더(4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유체 공급 도관(45)에는 개폐 밸브(80)가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42) 내부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1)는 제 1 회전축(20)과 제 2 회전축(30)이 동시에 회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20)과 제 2 회전축(30)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20)과 제 2 회전축(30)이 동시에 회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란 메인 엔진(10)이 작동하지 않아 제 2 회전축(30)이 회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이다.
이 때에는 제 2 회전축(30)에 설치된 이동축(34)이 도 1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후퇴되어 제 1 회전축(20)의 이동축 결합홈(23)으로부터 분리되며, 제 2 축기어(32)에 설치된 커플링 기어(36)도 도 1 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축기어(22)와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 2 회전축(30)은 제 1 회전축(20)의 회전에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회전축(30)의 회전에 따라 제 1 회전축(20)이 영향을 받거나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만일 제 2 회전축(30)을 제 1 회전축(20)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42)를 작동시켜 제 2 회전축(30)의 이동축(34)을 도 1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축(34)을 제 1 회전축(20)의 이동축 결합홈(23)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축(34)이 제 1 회전축(20)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축 결합홈(23)에 결합되면 제 2 회전축(30)과 제 1 회전축(20)이 동심축 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20)과 제 2 회전축(30)이 동심축 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커플링 기어(36)를 제 1 회전축(20) 방향, 즉 도 1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플링 기어(36)의 내접 기어부가 제 1 축기어(22)의 외접 기어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기어(36)가 제 1 축기어(22)에 결합되면 제 1 회전축(20)이 회전할 때 제 2 회전축(30)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20)이 제 2 회전축(30)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 메인 엔진(10)을 구동하면 제 1 회전축(20) 및 제 2 회전축(30)이 회전하여 추진기(60)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선박이 메인 엔진(10)의 구동에 따른 추진기(60)의 회전에 의하여 전진하게 된다.
제 1 회전축(20)과 제 2 회전축(30)이 분리되는 과정은 결합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에서는 제 1 회전축 상에 이동축 결합홈을 형성하고 제 2 회전축에 이동축 및 이동축 이동 수단을 설치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이 변경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회전축에 이동축 및 이동축 이동 수단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기어가 제 2 축기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축기어에 체결되도록 하였으나, 커플링 기어가 제 1 축기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축기어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회전축 연결 구조체 10 메인 엔진
20 제 1 회전축 22 제 1 축기어
23 이동축 결합홈 30 제 2 회전축
32 제 2 축기어 34 이동축
36 커플링 기어 42 유압 실린더
44 유압 펌프 45 도관
52 54 56 74 베어링 60 추진기
70 실링부 72 실링 하우징
76 실링 부재 80 개폐 밸브

Claims (7)

  1. 제 1 회전축과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제 2 회전축이 상기 제 1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 및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를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제 2 회전축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이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축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회전축에 형성되는 이동축 결합홈; 및
    상기 이동축이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동축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축기어;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기어에 대향하는 제 2 축기어; 및
    상기 제 1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축기어 및 제 2 축기어 중 어느 하나의 외주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일측과 체결될 수 있는 커플링 기어;를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는 외주부에 외접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기어는 상기 제 1 축기어 및 상기 제 2 축기어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접 기어부에 대응하는 내접 기어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 이동 수단은,
    상기 이동축을 상기 제 1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로 연결되는 유체 도관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실링부 및
    상기 유체 도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유체 도관 상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축 연결 구조체.
  6. 추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메인 엔진에 연결된 구동축 상에 제 1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2개의 추진기 및 상기 2개의 추진기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2 개의 메인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메인 엔진에 연결된 상기 구동축에 각각 상기 회전축 연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
KR1020120059343A 2012-06-01 2012-06-01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0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43A KR101400152B1 (ko) 2012-06-01 2012-06-01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E112013002735.6T DE112013002735B4 (de) 2012-06-01 2013-05-31 Verbindungsstruktur einer Welle und diese umfassendes Schiff
PCT/KR2013/004800 WO2013180507A1 (ko) 2012-06-01 2013-05-31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5512590A JP5967683B2 (ja) 2012-06-01 2013-05-31 回転軸連結構造体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CN201380027879.2A CN104334450B (zh) 2012-06-01 2013-05-31 旋转轴连接结构和包括该旋转轴连接结构的船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43A KR101400152B1 (ko) 2012-06-01 2012-06-01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14A KR20130135614A (ko) 2013-12-11
KR101400152B1 true KR101400152B1 (ko) 2014-05-27

Family

ID=4967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343A KR101400152B1 (ko) 2012-06-01 2012-06-01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67683B2 (ko)
KR (1) KR101400152B1 (ko)
CN (1) CN104334450B (ko)
DE (1) DE112013002735B4 (ko)
WO (1) WO2013180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28B1 (ko) * 2015-07-31 2017-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클러치 모듈
KR102095379B1 (ko) * 2018-06-29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044U (ko) * 1978-04-24 1979-10-30
JPS6174941A (ja) * 1984-09-18 1986-04-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嵌脱装置
JPS6164525U (ko) * 1984-10-03 1986-05-01
JPS62299494A (ja) * 1986-06-18 1987-12-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複数の機関を有する動力伝達系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6254B (da) 1966-05-11 1969-12-22 Burmeister & Wains Mot Mask Selvspærrende konisk friktionskobling.
DE3516614A1 (de) 1985-05-06 1986-11-06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Zahnkupplung fuer schiffsantriebsanlagen
JPS62171396U (ko) * 1986-04-23 1987-10-30
JP2513183B2 (ja) * 1986-06-11 1996-07-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系
JPH0526796U (ja) * 1991-03-11 1993-04-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推進装置
JPH04128998U (ja) * 1991-05-16 1992-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機多軸式舶用推進装置
JP3106604B2 (ja) * 1991-10-22 2000-11-06 株式会社明電舎 回転軸の結合装置
DE19727801C2 (de) * 1997-06-30 2002-01-10 Renk Ag Schaltbare Scheibenkupplung oder Scheibenbremse
US6009609A (en) * 1998-02-26 2000-01-04 Warn Industries, Inc. Drive line conversion process
DE19840084A1 (de) * 1998-09-03 2000-03-0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iffsgetriebe
DE19854570C1 (de) 1998-11-26 2000-09-21 Man B & W Diesel As Kupplung
AT503798B1 (de) * 2006-06-01 2008-01-15 Brain Automotive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wasserfahrzeug
US8393926B2 (en) * 2009-02-12 2013-03-12 Twin Disc, Inc. Hybrid marine power trai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044U (ko) * 1978-04-24 1979-10-30
JPS6174941A (ja) * 1984-09-18 1986-04-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嵌脱装置
JPS6164525U (ko) * 1984-10-03 1986-05-01
JPS62299494A (ja) * 1986-06-18 1987-12-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複数の機関を有する動力伝達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14A (ko) 2013-12-11
DE112013002735B4 (de) 2020-06-18
JP2015517433A (ja) 2015-06-22
DE112013002735T5 (de) 2015-03-19
CN104334450B (zh) 2017-03-29
WO2013180507A1 (ko) 2013-12-05
JP5967683B2 (ja) 2016-08-10
CN104334450A (zh)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152B1 (ko) 회전축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90856B1 (ko) 선박용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KR101445716B1 (ko) 선박용 추진장치의 선미 결합구조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1444292B1 (ko) 선박의 클러치 모듈
KR10144433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447862B1 (ko) 선박용 추진기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4433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51654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8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4433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8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9848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4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78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4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1380667B1 (ko) 선박용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KR10145462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8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4433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9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984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4432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8766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5461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9850B1 (ko) 선박의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