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86521A1 -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 Google Patents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86521A1
WO2017086521A1 PCT/KR2015/012722 KR2015012722W WO2017086521A1 WO 2017086521 A1 WO2017086521 A1 WO 2017086521A1 KR 2015012722 W KR2015012722 W KR 2015012722W WO 2017086521 A1 WO2017086521 A1 WO 20170865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ew
submersible
chamber
seawate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7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고
Publication of WO20170865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865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4Automatic depth adjustment; Safety equipment for increasing buoyancy, e.g. detachable ballast, floating bod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and-dry hybrid submersible, and more particularly, the entire submersible crew chamber can be utilized as a single pressure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s such as a crew chamber function, a lockout chamber function, and a ballast tank function.
  • a wet and dry hybrid submersible that can grea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crew to enter and exit the submersible.
  • submersibles used for sea exploration or military use are used for exploration activities and military operations under water based on electric motors driven by batteries, which have shortcoming distances and short moving speeds. have.
  • the exploration and operation area is fixed to a submersible in a fast floating vessel to move, and after reaching the exploration and operation area, the submersible separates the exploration and operation activities.
  • the conventional submersibl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ressure-resistant structure, a battery, a ballast tank, an exploration equipment and a research equipment mounted therein, a stern portion having a propeller coupled to a propulsion motor formed at the rear of the hull, in front of the hull Navigation system for detecting the direction and underwater obstacles, and a fore part in which a sound wave detector is formed, and a crew room in which the crew can board the upper portion of the hull.
  • the submersible as described above may be classified into a dry submersible in which sea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hip, and a wet submersible in which seawater can flow into the ship.
  • the dry submersible is provided with a lockout chamber separately from the crew room, and the crew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lockout chamber.
  • the lockout chamber is a separate pressure hull in the submarine and is connected to the submarine's crew compartment via a hatch, an example of the connection and configuration of which is shown in FIG. 1.
  • the first and second hatches 1 and 2 are opened and the lockout chamber is opened while the third hatch 3 is closed.
  • the first and second hatches 1 and 2 are closed and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ckout chamber through a separate seawater inflow means (not shown) so that the pressure and the external pressure in the lockout chamber are equally adjusted.
  • the third hatch (3) is opened and put into the water, at this time, the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allast tank for the weight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crew member went out of the submersible.
  • the wet submersible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on the number of crew members (2 to 3 persons) who can enter at one time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the lockout chamber, so that many crew members or team members cannot enter and leave at once.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enter and exi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impair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ntire crew room of the submersible as a single pressure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s, such as the crew room function, lockout chamber function, ballast tank func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ng for a certain time in the depth of the crew to enter the crew room of the submersible to decompress through the decompression process through the decompression process to be able to work underwater for a long time to provide a wet and dry hybrid submersible that can be used as a pressure reducing chamber.
  • the hull unit is provided with a crew cabin for the boarding of the crew and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proofed equipment; A hatch part which is opened or closed in the crew compart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crew compartment so that the crew can enter and exit when the crew member is opened and is provided under the hull part; And a valve unit allowing seawater to flow into the crew chamber or allowing the seawater of the crew chamb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control unit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w chamber and the hul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to open the valve compartment and the outside of the hull unit in communication with the valve portion to control the opening; Can be.
  • control unit opens the hatch portion by control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s the valve portion is opened to allow the seawater to flow into the crew chamber. You can let this be as possible.
  • control uni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room by opening the high-pressure oxygen tank provided in the hull part in a stat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can be controlled to be higher.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unit.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to be increased by opening the high pressure oxygen tank provided in the hull portion, or through the pump unit of the crew chamber.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may be controlled to be lowered.
  • the fixing means including a winding mean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ull portion, the wire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and the weight provided on the end of the wir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 At least one of the hatch portion and the valve portion is open,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depth of the water in which the hull portion is located by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wound on the winding means.
  • the bottom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landing support.
  • the entire submersible crew room can be utilized as a single pressure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s, such as the crew room function, lockout chamber function, ballast tank function, as well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crew's entry and ex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greatly reduced.
  • the crew can be used as a decompression chamber to allow a long time underwater operation by diving into a submersible crew room after div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deep water and then diving again after decompression treatment through a decompression process.
  • the submersible can be fixed by the fixing unit consisting of a winding means, a wire, a weigh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ompress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submersible in which the submersible is located.
  • the hatch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ubmersible by using a mating flange (mating flang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NATO when other submersibles can be combined with the hatch of the stranded submersible when used to rescue the crew members.
  • the advantage is that it is possibl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ubmersible.
  • FIG. 2 and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ubmer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nvenient in the operation of the lockout chamber (restriction of personnel, time required, complexity of the procedure) used in the input / recovery of the crew in the existing submarine and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chamber for diver lockout and incidental thereto It is a hybrid dry / wet submersible designed to address the structural and manufacturing equipment (ballast tank) complexity and the hypothermia suffered by crew members when operating existing wet submersibles for extended periods.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ubmarine body, the lockout chamber and the ballast tank are implemented as a single pressure hull, which allows divers in the dry mode from the remote place to the destination (infiltration area).
  • the transfer protects divers from hypothermia,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submersible, and when it arrives near the destination,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lockout chamber by opening the hatch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hull to switch to the wet mode.
  • the crew chamber itself can also function as a ballast system for weight compensation,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one pressure hull crew chamber to satisfy the three functions.
  • the government 500 and the control unit 60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 the hull unit 100 is a part forming the overall shape of the submersible, the crew member room 100S which is a space for the crew crew boarding is formed inside the hull portion 100.
  • a system for allowing the crew to breathe underwater such as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submersible such as a control console, navig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thermostat, etc. All of these systems are waterproofed and configured to be protected even if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rew chamber 100S.
  • the hatch unit 200 is a part for opening or closing the crew chamber 100S, an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rew chamber 100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ull unit 100, and the hatch unit 200 When opened, the crew member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between the crew room (100S) and the submersible outside.
  • the valve unit 300 is a portion for allowing seawater to naturally flow into the crew chamber 100S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or to allow the seawater of the crew chamber 100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naturall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t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so that the seawater naturally flows in or ou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crew room 100S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100.
  • the pump unit 400 is a pumping operation so that the seawater flows into the crew chamber 100S or a pumping operation so that the seawater of the crew chamber 100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Exhausted.
  • the fixing part 500 is a winding means 51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ull portion 100, a wire 520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510, and a weight weight provided at an end of the wire 520. 530, and allows the position of the submersible to be fixed in a certain body of water.
  •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alve unit 300, the pumping operation control of the pump unit 400,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winding unit 510 of the fixing unit 500.
  •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valve unit 300 to be opened so that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outside of the hull uni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valve unit 300. As it is controlled to be closed can be controlled to block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rew room 100S and the hull portion 100.
  • the controller 600 opens the valve unit 300 so that seawater flows into the crew chamber 100S, and thu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seawater outside the hull unit 100. As the difference in pressure is controll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hatch 200 may be opened.
  • control unit 600 the high pressure provided in the hull portion 100 in a stat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opening of the hatch 200 may be facilitated by opening the oxygen tank 110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to be higher than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art 100. .
  • control unit 6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unit 400, forcibly discharging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crew room 100S to the outside of the hull portion 100 or the hull portion Seawater outside of the 100 may be forced into the crew room 100S.
  • the control unit 600 opens the high pressure oxygen tank 110 provided in the hull unit 100 in a state where the hatch unit 200 and the valve unit 300 are closed.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rol unit may be increased o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room 100S may be controlled to be lowered by forcibly discharging the seawater or gas of the crew room 100S through the pump unit 400 to the outside. have.
  • controller 600 may adjust the depth of water in which the hull portion 100 is located by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520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510.
  • the navigation equipment and sonar provided in the hull of the submersible to search for stranded ships or missing persons, and to recover the submerged in water.
  • the crew may not move to the stranded ship, but when using this submersible, the crew can be transported to the stranded ship so that a smooth search structure is possible.
  • the Doppler flow rate sensor flow rate sensor
  • the Doppler flow rate sensor flow rate sensor
  • the Doppler flowmeter flow rate sensor
  • the Doppler flowmeter which is an underwater sensor
  • the minimum distance can be secured at all times and the submersible can be kept underwater.
  • the wet-and-dry hybrid submersible including the hull part 100, the hatch part 200, the valve part 300, the pump part 400, the fixing part 500, and the control part 600.
  • the dry mode, wet mode, and reduced pressure chamber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dry mode of the wet-dry hybrid submersib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ried state in which the seawater does not flow into the crew room 100S of the hull unit 100, and the crew members are dried because the interior of the crew room 100S is dry. Since it is not exposed to cold seawater, it is possible to operate underwater for a long time.
  • Such a dry mode may be achieved by discharging the seawater inside the crew chamber 100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mp unit 400 in a state where the hatch unit 200 is closed, wherein the valve unit ( 300), the pump unit 400, the high pressure oxygen tank 110 can be adjusted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room 100S to an appropriate level. That i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is low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the high-pressure oxygen tank 110 is opened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is higher than the proper level, the valv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100S may be lowered by discharging the gas in the crew 100S through the unit 300 or the pump 400.
  • the dry mode as described above enables long-term underwater operation from a remote area to the vicinity of a destination (penetration area).
  • the wet mode of the wet and dry hybrid submersible of this embodiment is to maintain the seawater in the crew room 100S of the hull part 100 so that the crew members in the crew room 100S go out or the crew room 100S It is in a state of being able to come in and out.
  • the valve unit 300 In order to switch from a dry mode to a wet mode, the valve unit 300 is opened through the control unit 600 or the pump unit 400 is pumped to allow seawater to flow into the crew chamber 100S. When the seawater is almost full inside the crew room 100S,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unit 400 is stopped. At this tim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hatch 200 is opened.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300 and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unit 400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a crew member in the crew room 100S.
  •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unit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chamber 100S and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unit 100.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rew room 100S is only slightly higher than the seawater pressure outside the hull portion 100 If so controlled, opening of the hatch 200 can be made more smoothly.
  • the dry mode as described above is a state in which the crew members who board the crew room 100S inside the submersible can go out or enter the crew room 100S in the water near the infiltration area. ) Can be used as the entire lockout chamber.
  • the crew members are conventionally configured to go out or enter only through a separate lockout chamber,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the lockout cha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crew members who can enter and exit at one time (2 to 3 persons), Although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eight compensation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crew member went out of the submersible through a separate ballast device, the wet and dry hybrid submersib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crew room 100S in the state where the hatch 200 is open.
  • the time required for the crew's entry and exit can be shortened, and also by using the landing support 120
  • the submersible may be placed on the sea floor or the weight may be fixed to the sea bottom to keep the submersible at a certain depth.
  • the crew can easily enter and exit through the hatch 200 and maintain the height of the Doppler flowmeter at a certain level so that the function of the Doppler flowmeter can be made smoothly.
  • the crew members go out or enter the crew room (100S) and the seawater inside and outside the crew room (100S) is compensated by itself in response to the volume of the crew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make a separate weight compensation.
  • Decompression chamber mode of the wet and dry hybrid submersib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d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thermostat, breath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submersible by entering the crew of the submersible crew 100S of the submersible In order to receive various support during decompression, such as communication devices.
  • the weight 530 of the fixing part 500 is located on the sea bottom, and in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valve part 300 of the submersible in the wet mode, the crew member 100S of the submersible submersible 100S After entering), the inner pressure of the submersible and the pressure outside the submersible as the depth of the submersible is gradually changed to 12m, 6m, 3m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520 through the winding means 510. It becomes similar to the same to induce decompression of the crew. During the decompression process, the crew can receive various support through a thermostat, a breathing apparatus, a communication apparatus, etc. provided in the submersible.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정의 승조원실 전체를 승조원실 기능, 락아웃 챔버 기능, 밸러스트 탱크 기능과 같이 다수의 기능을 갖는 하나의 압력챔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잠수정의 잠수시 승조원의 출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은, 승조원의 탑승과 방수처리된 장비의 설치를 위한 승조원실이 구비된 선체부; 상기 승조원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 시 승조원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조원실과 연통되어 상기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해치부; 및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본 발명은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정의 승조원실 전체를 승조원실 기능, 락아웃 챔버 기능, 밸러스트 탱크 기능과 같이 다수의 기능을 갖는 하나의 압력챔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잠수정의 잠수시 승조원의 출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탐사용이나 군용으로 사용되는 잠수정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를 기반으로 수중에서 탐사활동 및 군의 작전수행에 사용되는데,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짧고 이동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탐사 및 작전지역까지는 속도가 빠른 부양 선박에 잠수정을 고정하여 이동시키고, 탐사 및 작전지역에 도달한 후 잠수정을 분리하여 탐사 및 작전활동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수정은 내압구조로 구성되고, 내부에 배터리, 밸러스트 탱크, 탐사장비 및 연구장비 등이 탑재되는 선체, 상기 선체 후방에 형성된 추진모터에 프로펠러가 결합된 선미부, 상기 선체 전방에 진행방향과 수중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항법체계와 음파탐지기가 형성된 선수부 및 상기 선체 중앙 상부에 승조원이 탑승할 수 있는 승조원실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잠수정은 선내에 해수가 유입되지 않는 건식 잠수정과, 선내에 해수가 유입가능한 습식 잠수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건식 잠수정은 승조원실과 별개로 락아웃 챔버가 구비되며, 승조원들은 상기 락아웃 챔버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아웃 챔버는 잠수함에 있는 별도의 압력 선체로서 잠수함의 승조원실과는 해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 및 구성의 예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승조원실에 승선한 승조원이 잠수정의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는, 먼저, 제3해치(3)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1, 2해치(1, 2)를 열어 락아웃 챔버로 들어가고, 다음으로, 상기 제1, 2해치(1, 2)를 닫고 별도의 해수유입수단(미도시)를 통해 해수가 락아웃 챔버로 유입되도록 하여 락아웃 챔버 내의 압력과 외부 압력이 동일하게 맞춰주며, 다음으로, 상기 제3해치(3)를 열어 수중으로 투입하게 되고, 이때, 잠수정의 외부로 나간 승조원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무게보상을 위해 발라스트 탱크에 해수를 유입하게 된다.
외부의 승조원이 잠수정의 승조원실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상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습식 잠수정은, 락아웃 챔버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1회에 출입 가능한 승조원 인원수(2~3명)에 제한이 있어 다수의 승조원이나 팀원들이 모두 한 번에 출입하지 못하고 여러번에 나누어 출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출입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운용상의 효율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하는 승조원 인원의 몸무게에 맞춰서 중량을 보상하여야 하기 때문에 발라스팅을 위한 탱크, 펌프, 밸브 등이 필수로 구성되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잠수정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켜 운용시간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수정의 승조원실에는 각종 전자장비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중 해치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제작상, 운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0995호(2004년09월20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정의 승조원실 전체를 승조원실 기능, 락아웃 챔버 기능, 밸러스트 탱크 기능과 같이 다수의 기능을 갖는 하나의 압력챔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잠수정의 잠수시 승조원의 출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조원이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 일정 시간 다이빙한 후 잠수정의 승조원실로 들어가 감압과정을 통해 감압치료를 한 후 다시 다이빙을 하도록 함에 따라 장시간 수중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감압용 챔버로 활용할 수 있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은, 승조원의 탑승과 방수처리된 장비의 설치를 위한 승조원실이 구비된 선체부; 상기 승조원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 시 승조원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조원실과 연통되어 상기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해치부; 및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과 상기 선체부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거나 상기 밸브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과 상기 선체부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부를 개방시켜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해치부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부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펌핑작동하거나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동하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부의 펌핑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치부와 밸브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체부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펌프부를 통해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 또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에 귄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치부 및 밸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에 권치된 와이어를 풀거나 감아서 상기 선체부가 위치한 수심 깊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부의 하부 외측에는 착저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잠수정의 승조원실 전체를 승조원실 기능, 락아웃 챔버 기능, 밸러스트 탱크 기능과 같이 다수의 기능을 갖는 하나의 압력챔버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승조원의 출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조원이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 일정 시간 다이빙한 후 잠수정의 승조원실로 들어가 감압과정을 통해 감압치료를 한 후 다시 다이빙을 하도록 함에 따라 장시간 수중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감압용 챔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권취수단, 와이어, 중량추로 이뤄진 고정부를 통해 잠수정을 고정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정부를 이용하여 잠수정이 위치한 수심 깊이를 조절하여 감압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잠수정의 선저에 구비된 해치부를 NATO의 규격에 맞는 매이팅 플렌지(mating flange)로 제작함으로써 다른 잠수정이 좌초될 경우 좌초된 잠수정의 해치와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승조원들을 구조하는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숙련되지 않은 운용자의 실수, 제조상의 결함, 외부충격으로부터 인한 손상으로 인해 잠수정의 승조원실 내부가 침수되더라도 잠수정 내부의 모든 전자장비가 방수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침수상태에서도 모든 전자장비가 재기능을 할 수 있어 운항, 비상 탈출, 통신이 가능하여 이중의 안전장치를 갖출 수 있으며, 만일, 재운항이 불가능하더라도 침수된 잠수함을 건져냈을 시, 고가의 센서 장비, 배터리 등을 침수로부터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잠수정 본체 기능, 락아웃 챔버 기능 및 발라스트 탱크 기능)을 하나의 선체로 구현함으로써, 잠수정의 전체적인 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수중에서의 표면 저항이 작아지고, 이를 통해 동일 용량의 배터리를 활용하더라도 더욱 먼 수중항해가 가능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수면으로 부상하는 회수가 줄어들어 잠수함의 가장 큰 성능인 은밀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잠수정 전체의 체적이 줄어듦에 따라서, 얕은 수심의 연안까지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다이버들이 육상으로 헤엄쳐야 하는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임무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잠수정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정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잠수함에서 승조원의 투입/회수에 사용되는 락아웃 챔버(lockout chamber)의 운용상(인원 제한, 시간 소요, 절차 복잡성)의 불편함 및 다이버 락 아웃을 위한 전용 챔버 설치와 이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구조적, 제작상의 장비(발라스트 탱크) 복잡성과 기존 습식 잠수정을 장기간 수중에서 운용시 승조원들이 겪는 저체온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하이브리드 건식/습식 잠수정이다.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잠수함 본체, 락아웃 챔버 및 발라스트 탱크로 나눠져 있던 구조와 기능을 하나의 압력선체로 구현하며, 이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목적지(침투 지역)까지는 건식 모드에서 다이버들을 이송함으로써 잠수정의 단점인 저체온증으로부터 다이버들을 보호하고, 목적지 근처에 도착해서는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해치부를 개방하여 습식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락아웃 챔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승조원실 자체로 무게 보상을 위한 발라스트 시스템 기능도 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압력선체인 승조원실을 이용하여 3가지 기능을 충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부(100), 해치부(200), 밸브부(300), 펌프부(400), 고정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체부(100)는 잠수정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선체부(100)의 내부에는 승조원들이 탑승을 하기 위한 공간인 승조원실(100S)이 형성된다.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는 조종콘솔, 항법장치, 통신장치, 컨트롤러 등과 같은 잠수정의 운항을 위한 시스템, 수중호흡장치, 보온장치 등과 같이 승조원들이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모두 방수처리되어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치부(200)는 상기 승조원실(100S)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선체부(100)의 하부에 상기 승조원실(100S)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해치부(200)의 개방 시 승조원이 승조원실(100S)과 잠수정 외부 간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밸브부(300)는 상기 승조원실(100S)로 해수가 압력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조원실(100S)의 해수가 압력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승조원실(100S)의 압력과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의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승조원실(100S)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펌핑작동하거나 상기 승조원실(100S)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동하는 부분으로서, 펌핑작동에 의해 강제로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선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권취수단(510), 상기 권취수단(510)에 귄취된 와이어(520) 및 상기 와이어(520)의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잠수정의 위치가 일정 수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밸브부(300)의 개방 또는 폐쇄의 제어, 상기 펌프부(400)의 펌핑작동 제어, 상기 고정부(500)의 권취수단(510)의 작동제어를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밸브부(3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과 상기 선체부(100)의 외부가 연결되어 통하는 연통상태되도록 하거나 상기 밸브부(3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과 상기 선체부(100)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밸브부(300)를 개방시켜 상기 승조원실(100S)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해치부(20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부(100)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110)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상기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해치부(200)의 개방이 수월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펌프부(400)의 펌핑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강제로 선체부(100)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선체부(100)의 외부에 있는 해수를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해치부(200)와 밸브부(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부(100)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110)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펌프부(400)를 통해 상기 승조원실(100S)의 해수 또는 기체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권취수단(510)에 권치된 와이어(520)를 풀거나 감아서 상기 선체부(100)가 위치한 수심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잠수정의 선체부(100) 하부에 구비된 해치부(200)를 NATO mating flange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다른 잠수함이 좌초될 경우에 좌초된 잠수함의 해치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승조원들을 구조하는 목적으로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잠수정의 선체부에 구비된 항법 장비와 소나 등을 활용하여 좌초된 선박이나 실종자를 찾는 수중수색 및 익수자를 수중에서 회수하는 구조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조류가 거셀 상황에서 좌초된 선박의 수색 구조 시 승조원은 좌초 선박까지 이동할 수 없지만, 본 잠수정을 이용할 시 좌초된 선박까지 승조원을 운송할 수 있어 원활한 수색구조를 할 수 있다.
한편, 잠수정에 구비된 도플러 유속측정기(유속측정센서)는 “핑”(신호)을 보내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가지고 정보를 처리하는데, 정보처리를 위해서 센서와 해저 사이에는 최소 50cm에서 약 1m의 공간이 있어야 하지만, 기존의 잠수정은 해저에 착저하면 작동하지 않아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잠수정은 하부에 착저지지대(12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 센서인 도플러 유속측정기의 작동 최소 거리를 항시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수중에서 잠수정의 위치를 해저면에 위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부(100), 해치부(200), 밸브부(300), 펌프부(400), 고정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의 건식 모드, 습식 모드, 감압챔버 모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식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 습식 잠수정의 경우에는, 선내에 해수가 유입되어 승조원들이 항상 해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호흡장치를 통해서만 호흡이 가능하고, 수중으로 투입/회수에 별도의 락아웃 챔버 또는 발라스트 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이지만, 승조원들이 항시 해수에 노출되어 있어 장기간 수중 운항시 저체온증으로 오는 체력적 피로도가 높아 장시간 또는 장거리 운항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의 건식 모드는 상기 선체부(100)의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지 않은 건조된 상태로서, 승조원실(100S)의 내부가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승조원들이 차가운 해수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수중 운항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건식 모드는, 상기 해치부(2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부(400)를 통해 승조원실(100S) 내부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밸브부(300), 펌프부(400), 고압산소탱크(110)를 통해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적정 수준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적정 수준보다 낮으면 고압산소탱크(110)를 열어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을 높이고,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적정 수준보다 높으면 상기 밸브부(300) 또는 펌프부(400)를 통해 승조원실(100S)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켜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식 모드는, 원거리 지역에서 목적지(침투 지역) 근방까지 장시간 수중 운항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습식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의 습식 모드는 상기 선체부(100)의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해수가 유지되도록 하여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있는 승조원들이 밖으로 나가거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올 수 있도록 출입이 가능한 상태이다.
건식 모드에서 습식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600)를 통해 상기 밸브부(300)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상기 펌프부(400)를 펌핑작동시켜 해수가 승조원실(100S)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해수가 거의 가득 차게 되면 상기 펌프부(400)의 펌핑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는,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됨에 따라 상기 해치부(20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밸브부(300)의 개폐, 펌프부(400)의 펌핑작동 등은 승조원실(100S)에 탑승한 승조원에 의해 수동으로 이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승조원실(100S)의 내부에 해수가 거의 가득 찬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30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면 자연스럽게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이 서로 동일한 상태가 될 때까지 해수가 승조원실(100S)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 또는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과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이 서로 동일한 상태가 된 경우에, 상기 선체부(100)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110)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상기 선체부(100) 외부의 해수압력보다 조금만 높아지도록 제어하면, 상기 해치부(200)의 개방이 더욱 원할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식 모드는, 침투 지역 근방의 수중에서 잠수정의 내부에 있는 승조원실(100S)에 탑승한 승조원들이 밖으로 나가거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상태로서, 상기 승조원실(100S) 전체를 락아웃 챔버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락아웃 챔버를 통해서만 승조원들이 나가거나 들어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락아웃 챔버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1회에 출입 가능한 승조원 인원수(2~3명)에 제한이 있는 문제와, 별도의 발라스트 장치를 통해 잠수정의 외부로 나간 승조원의 몸무게에 대응하여 무게보상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은 해치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조원실(100S)에 탑승한 많은 인원의 승조원들이 한 번에 밖으로 나가거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올 수 있음에 따라 승조원들의 출입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을 단축될 수 있고, 또한, 착저지지대(120)를 이용하여 잠수정을 해저면에 안치시키거나, 중량추를 해저면에 고정시켜 잠수정을 일정 수심에 체류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착저지지대(120)를 통해 잠수정이 해저면에 착저하였을 때 승조원이 해치부(200)를 통해 쉽게 입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플러 유속측정기의 높이를 일정 수준 높이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도플러 유속측정기의 기능이 원할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승조원들이 밖으로 나가거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옴과 함께 승조원의 체적에 대응하여 승조원실(100S) 내부와 외부의 해수가 저절로 보상되어 별도의 무게보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감압챔버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승조원이 10m 이상 수심에서 감압 잠수시간을 초과하여 장시간 수중 작업 후 낮은 수심으로 이동 또는 수면으로 이동할 경우 수중에서 압력하에 체내에 녹아있던 질소가 기포로 변하여 근육 또는 혈관을 따라 뇌와 폐로 이동하여 감압병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가 무갑압 한계시간을 초과하였을 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수심 12m, 6m, 3m에서 정해진 시간을 체류 후 체내에 과다하게 녹아있던 질소를 공기호흡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면서 서서히 수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원활한 가스공급과 체온유지를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부가적인 장치가 없다면 수면으로 이동한 후 육상용 재압챔버에서 치료를 통해 감압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정해진 수심에서 감압을 하려면 많은 준비와 인원이 따라야 하고 겨울철에는 차가운 수중 온도로 인하여 치료중인 승조원의 고통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의 감압챔버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모드로서, 감압을 요하는 승조원이 잠수정의 승조원실(100S) 내부로 진입하여 잠수정에 구비된 보온장치, 호흡장치, 통신 장치 등 감압을 하는 동안에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500)의 중량추(530)를 해저면에 위치시키고, 습식 모드 상태인 잠수정의 밸브부(300)를 개방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조원이 잠수정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오고 난 후, 상기 권취수단(510)을 통해 와이어(520)를 감거나 풀어서 잠수정이 위치하는 수심을 점차 12m, 6m, 3m로 변경함에 따라 상기 잠수정의 내부압력이 잠수정 외부의 압력과 유사 내지 동일해지도록 하여 승조원의 감압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압과정 중에서 상기 승조원은 잠수정 내부에 구비된 보온장치, 호흡장치, 통신 장치 등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승조원의 감압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잠수정의 습식 모드 상태에서 승조원이 잠수정의 승조원실(100S)로 들어오도록 한 후 펌프부(400)를 통해 승조원실(100S) 내부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식 모드로 전환하되, 이때, 건식 모드로 전환되는 중에 상기 선체부(100)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110)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펌프부(400)를 통해 상기 승조원실(100S)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밸브부(300)를 통해 기체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100S)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함에 따라 감압에 적절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승조원의 감압이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Claims (9)

  1. 승조원의 탑승과 방수처리된 장비의 설치를 위한 승조원실이 구비된 선체부;
    상기 승조원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 시 승조원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조원실과 연통되어 상기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해치부; 및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과 상기 선체부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거나 상기 밸브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과 상기 선체부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부를 개방시켜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해치부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과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가 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부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상기 선체부 외부의 해수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조원실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펌핑작동하거나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동하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부의 펌핑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부와 밸브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체부에 구비된 고압산소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펌프부를 통해 상기 승조원실의 해수 또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승조원실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에 귄취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부 및 밸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수단에 권치된 와이어를 풀거나 감아서 상기 선체부가 위치한 수심 깊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의 하부 외측에는 착저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PCT/KR2015/012722 2015-11-18 2015-11-25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WO20170865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79 2015-11-18
KR1020150161779A KR101732496B1 (ko) 2015-11-18 2015-11-18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521A1 true WO2017086521A1 (ko) 2017-05-26

Family

ID=5871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722 WO2017086521A1 (ko) 2015-11-18 2015-11-25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2496B1 (ko)
WO (1) WO20170865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4080A (zh) * 2018-08-31 2019-01-04 华中科技大学 水下航行器艏艉联合操舵深度控制策略及其pid控制器
CN111413896A (zh) * 2020-03-17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远程救援设备的远程操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572A (ko) * 2005-05-02 2005-05-24 (주)우남마린 잠수정
KR20080106393A (ko) * 2007-06-02 2008-12-05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20110018116A (ko) * 2009-08-17 2011-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KR20120076786A (ko) * 2010-12-30 2012-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KR20150082115A (ko) * 2014-01-04 2015-07-15 이정용 부력으로 방향조정이 되는 잠수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988A (ja) * 2000-10-26 2002-05-09 Yuji Takemoto 海流発電潜水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572A (ko) * 2005-05-02 2005-05-24 (주)우남마린 잠수정
KR20080106393A (ko) * 2007-06-02 2008-12-05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20110018116A (ko) * 2009-08-17 2011-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KR20120076786A (ko) * 2010-12-30 2012-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KR20150082115A (ko) * 2014-01-04 2015-07-15 이정용 부력으로 방향조정이 되는 잠수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4080A (zh) * 2018-08-31 2019-01-04 华中科技大学 水下航行器艏艉联合操舵深度控制策略及其pid控制器
CN111413896A (zh) * 2020-03-17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远程救援设备的远程操控系统
CN111413896B (zh) * 2020-03-17 2022-10-25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远程救援设备的远程操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96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4650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EP0850830A2 (en) A submarine
KR20140020970A (ko)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RU2479463C1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RU2280586C2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WO2017086521A1 (ko)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KR100730809B1 (ko) 잠수함
KR20140014971A (ko) 구조잠수정용 접합해치를 구비한 소형 수중운항체
RU2059524C1 (ru) Съемная наделк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пасательных подводных снарядов на подводных лодках
RU2764140C1 (ru) Водолаз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глубоководный аппарат
US10730596B2 (en) Submarine support ship
US1864837A (en) Submarine or submersible boat
RU2229419C2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при аварии в подводном положении
RU2679381C1 (ru) Самоходный телеуправляем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локол
RU2333864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удно
CN111634391A (zh) 一种封闭式可升降救援航行器
RU2248301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подводного судна
RU2282554C2 (ru) Коллективное судов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WO2024024991A1 (ko) 원격드론조종에 의한 밧데리가 탑재된 서핑보드
RU2746069C1 (ru)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аварийного подводного объекта
WO2016093530A1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RU2173282C2 (ru) Съемное декомпре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го комплекса
RU2788465C1 (ru) Водолазный полуколокол упроще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WO2017051983A1 (ko) 잠수선박
RU2781649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8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8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