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164A - 누설 전력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전력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64A
KR20080099164A KR1020080041899A KR20080041899A KR20080099164A KR 20080099164 A KR20080099164 A KR 20080099164A KR 1020080041899 A KR1020080041899 A KR 1020080041899A KR 20080041899 A KR20080041899 A KR 20080041899A KR 20080099164 A KR20080099164 A KR 2008009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frequency band
transmission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349B1 (ko
Inventor
아츠시 후쿠다
히로시 오카자키
쇼이치 나라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9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되며, 안테나(30)에서 반사되어 다시 송신기측으로 되돌아 온 송신 신호를 서큘레이터(110)에 의해 꺼내고, 이 꺼낸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있어서 조정하여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 누설된 송신 신호에 대하여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등진폭 역위상이 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상쇄 신호와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를 합성기(140)에 있어서 합성함으로써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송신기, 안테나, 수신기, 송신 신호, 누설 전력 저감 장치, 서큘레이터, 듀플렉서, 진폭 위상 조정기, 합성기

Description

누설 전력 저감 장치{LEAKAGE POWER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인접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주파수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할당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사용하는, 송신기측에서 수신기측으로의 누설 전력을 저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접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주파수를 송신용(송신 주파수(f1))과 수신용(수신 주파수(f2))으로 할당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플렉서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송수신의 두 주파수에서 공용한다.
도 14의 구성을 설명한다. 송신기(10)는 전력 증폭기(PA)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기(20)는 저잡음 증폭기(LNA)를 포함하며 원하는 신호를 검파한다. 안테나(30)는 송신 신호가 급전되어 이것을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함과 아울러 공간으로부터 원하는 수신 신호의 전파를 포착한다. 서큘레이터(110)는 안테나(30)에서의 반사 등에 의해 송신 전력의 일부가 송신기의 출력측으로 입력됨으로써 발생하는 PA의 고장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서큘레이터는 비가역 특성을 갖는 3개의 포트를 구비하는 소자이며, 제1 포트(P1)로부터의 입력 전력 은 제2 포트(P2)로는 이상적으로는 무손실로 전송되는 한편, 제2 포트(P2)로부터의 입력 전력은 제1 포트(P1)로는 전송되지 않고, 제3 포트(P3)로 이상적으로는 무손실로 전송된다.
듀플렉서(120)는 3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도 15과 같은 내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고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충분히 억압하는 송신 대역 통과 필터(BPF)(121)와,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고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충분히 억압하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1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단자(#1)과 제2 단자(#2)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2 단자(#2)와 제3 단자(#3) 사이에서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1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억압한다. 또한 제1 단자(#1)에는 서큘레이터(110)를 통하여 송신기(10)가, 제2 단자(#2)에는 안테나(30)가, 제3 단자(#3)에는 수신기(20)가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제1 단자(#1)로부터 입력된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는 제2 단자(#2)를 거쳐 안테나(30)를 향하여 출력되고, 제2 단자(#2)로부터 입력된 안테나(30)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는 제3 단자(#3)를 거쳐 수신기(20)를 향하여 출력된다. 종단기(710)는 통상 50옴의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서큘레이터의 제3 포트(P3)에 출력된 신호를 흡수(열로 변환하여 소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신 신호는 저손실로 안테나에 급전되어 전파로서 공 간에 방사되는데,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는 안테나의 반사 특성에 의해 듀플렉서측으로 반사되어 듀플렉서에 재입력되고, BPF1을 저손실로 통과해 버린다. 다만, 이 반사 신호는 서큘레이터에 있어서 제3 포트(P3)로 전송되어 종단기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이 반사 신호에 의한 송신기(PA)에의 악영향에 대해서는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 전력은 BPF2측에도 전송되며, BPF2에 의해 대부분은 억압되지만, 반사 전력의 매우 일부는 수신기측에 누설된다. 특히, 안테나에의 입력 신호 전력이 커서 그에 따라 반사 전력의 절대값도 큰 경우에는 이 수신기측에의 누설 전력이 LNA를 왜곡시킬 수가 있다.
또한 듀플렉서가 송수신기와 접속되는 단자간(#1→#3)에 있어서도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가 수신기측에 누설됨으로써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가 수신기측에 누설되는 문제의 가장 단순한 해결법으로서, 듀플렉서를 구성하는 BPF1, BPF2의 대역외 억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단자간의 결합도를 내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송수신 주파수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다른 해결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누설 전력 저감 장치(80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누설 전력 저감 장치(800)는 분배기(810), 서큘레이터(820), 레벨 조정기(830), 이상기(840) 및 합성기(140)로 구성된다. 분배기(810)는 송신기(10)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 전력을 2분배하여 출력한다. 서큘레이터(820)는 비가역 특성을 갖는 소자이며, 제1 포트(P1)로부터의 입력 전력은 제2 포트(P2)로는 이상적으로는 무손실로 전송되는 한편, 제2 포트로부 터의 입력 전력은 제1 포트로는 전송되지 않고, 제3 포트(P3)로 이상적으로는 무손실로 전송된다. 또한 제1 포트에는 분배기(810)가, 제2 포트에는 안테나(30)가, 제3 포트에는 합성기(140)가 접속된다. 레벨 조정기(830)는 분배기(81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이상기(840)를 향하여 출력한다. 이상기(840)는 레벨 조정기(83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합성기(140)에 제공한다. 합성기(140)는 서큘레이터(820)의 제3 포트와 이상기(840)의 양자와 접속되며, 양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수신기(20)에 제공한다.
다음 이 구성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분배기(810), 서큘레이터(820)를 거쳐 안테나(30)로부터 방사되는데,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는 안테나(30)에서 반사하고, 서큘레이터(820)의 제3 포트로부터 수신기측에 누설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를 미리 분배기(810)로부터 꺼내고, 이 꺼낸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누설 신호와 등진폭 역위상이 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상쇄 신호와 누설 신호를 합성기(140)에서 합성함으로써 누설 전력을 억압한다.
또 다른 해결법으로서, 특허 문헌 2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누설 전력 저감 장치(90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누설 전력 저감 장치(900)는 서큘레이터(110), 서큘레이터(820), 증폭기(910) 이상기(840) 및 합성기(140)로 구성된다. 서큘레이터(110)는 앞에서 설명한 도 14의 구성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며, 서큘레이터(820), 이상기(840) 및 합성기(140)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도 16의 구성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7에서 도 14, 도 16과 동일한 명칭·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의 도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증폭기(910)는 서큘레이터(110)의 제3 포트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상기(840)에 제공한다.
다음 이 구성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10), 서큘레이터(820)를 거쳐 안테나(30)로부터 방사되는데,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는 안테나(30)에서 반사하고, 서큘레이터(820)의 제3 포트로부터 수신기측에 누설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안테나(30)에서 반사한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의 더 일부가 서큘레이터(820)의 제2 포트로부터 제1 포트에 누설되는 것을 이용하여 이 누설 전력을 서큘레이터(110)의 제3 포트로부터 꺼내고, 이 꺼낸 신호를 상쇄 신호의 생성에 이용한다. 다만, 이 꺼낸 신호의 전력은 서큘레이터(820)의 아이솔레이션 작용에 의해 미약해져 있으므로, 증폭기(910)에서 증폭한 후에 위상을 조정하여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누설 신호와 등진폭 역위상이 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상쇄 신호와 누설 신호를 합성기(140)에서 합성함으로써 누설 전력을 억압한다.
특허 문헌 1의 해결법에서는 상쇄 신호의 생성을 위하여 송신 전력의 일부를 분배기(810)에 의해 꺼내기 때문에 장치의 전력 이용 효율이 저하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해결법에서는 송신 전력 자체의 낭비는 회피할 수 있지만, 서큘레이터(110)로부터의 누설 전력을 이용하므로 전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증폭기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증폭기의 전력 소비가 발생하며, 결국은 장치의 전력 이용 효율이 저하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2-15113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9-11645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인접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주파수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할당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전력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송신기측으로부터 수신기측에의 누설 전력을 억압 가능한 누설 전력 저감 장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기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안테나에서의 반사를 거쳐 수신기측에 누설된 송신 신호를 억압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는,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가지며,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를 제2 포트로부터 출력하고, 제2 포트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3 포트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와,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가지며, 제1 단자가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접속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2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1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억압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3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서큘레이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로서 출력하는 진폭 위 상 조정기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에 의해 억압한 신호를 출력하는 합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의 제2 단자는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는 단자가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력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송신기측으로부터 수신기측에의 누설 전력을 저감 가능한 누설 전력 저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주파수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할당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발생하는 송신기측으로부터 수신기측에의 송신 신호의 누설 전력을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100)의 기능 구성예이다. 또한 도 11은 처리 흐름이다.
본 발명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100)는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진 폭 위상 조정기(130) 및 합성기(140)로 구성되며, 서큘레이터(110)와 듀플렉서(120)는 앞에서 설명한 도 14의 구성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며, 합성기(140)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도 16의 구성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진폭 위상 조정기(130)는 서큘레이터(110)의 제3 포트(P3) 단자와 접속되며, 서큘레이터(11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합성기(140)에 제공한다.
다음 제1 실시예에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를 거쳐 안테나(30)로부터 방사되는데,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는 안테나(30)에서 반사하여 듀플렉서(120)의 제2 단자에 입력되고, 제3 단자로부터 수신기측에 누설됨과 아울러, 제1 단자로부터 송신기측에 역류한다. 다만, 듀플렉서(120)의 특성에 의해,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2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억압되는 한편, 제2 단자와 제1 단자 사이에서는 통과되므로, 제3 단자로부터 누설되는 전력보다 제1 단자로부터 송신기측에 역류하는 전력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제1 단자로부터의 역류 신호를 서큘레이터(110)에 의해 꺼내고(S1),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서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누설 신호에 대하여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등진폭 역위상이 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S2). 그리고, 이 상쇄 신호와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누설 신호를 합성기(140)에 있어서 합성함으로써 누설 전력을 억압한다(S3).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특허 문헌 1의 구성과 같이 송신 전력의 일부를 소비하지 않고, 또한 특허 문헌 2의 구성과 같이 증폭기를 삽입하지 않고 누설 전력을 억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전력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진폭 위상 조정기(130)는 그 일례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쇄기(131a), 이상기(132a), 지연기(133a)의 직렬 접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의 입력 신호를 감쇄기(131a)에 있어서 진폭을 감쇄 조정하고, 이상기(132a)에서 이상량을 조정함으로써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누설 신호와 등진폭 역위상이 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 신호가 광대역 변조 신호인 경우에는, 상대적인 지연 시간을 제로로 하기 위하여, 지연기(133a)를 통하여 지연량을 더 조정한다.
또한, 감쇄기(131a), 이상기(132a)(및 지연기(133a))는 어떠한 순서로 배열하여도 좋다.
다만,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에 입력된 송신 신호의 제3 단자에의 누설은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제2 단자→안테나(30)→제2 단자→제3 단자라는 안테나에 의한 반사 경로로부터뿐만 아니라, 단자간 결합에 의해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제3 단자라는 직접적인 경로로부터도 발생한다. 이러한 2개의 경로로부터의 누설 신호는 각각 진폭, 위상(및 지연량)이 다르므로 감쇄기, 이상기(및 지연기)를 상기 2개의 경로로부터의 누설 신호에 대하여 공용한 경우, 감쇄량, 이상량(및 지 연량)의 설정을 부득이하게 절충적인 값으로 할 수밖에 없어, 각각 적합한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입력된 신호를 분배기(134)에 있어서 2분배하고, 감쇄기(131b), 이상기(132b)(및 지연기(133b))에 의해 반사 경로에 의한 누설 신호에 대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이와 별도로 감쇄기(131c), 이상기(132c)(및 지연기(133c))에 의해 직접적인 경로에 의한 누설 신호에 대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기(135)에서 합성한다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사 경로와 직접적 경로 각각으로부터의 누설 신호의 진폭·위상에 따른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 경로와 직접적 경로 이외에 누설 신호의 경로가 있는 경우에는,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입력된 신호를 그 경로 수개로 분배하고, 누설 신호에 대한 상쇄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한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안테나의 설치 환경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안테나의 임피던스는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반사 신호의 위상이나 진폭이 변화하기 때문에 감쇄기, 이상기(및 지연기)의 설정값이 고정인 경우, 누설 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설정값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의 진폭 위상 조정기(130)의 상기한 감쇄기(131a, 131b, 131c), 이상기(132a, 132b, 132c)(및 지연기(133a, 133b, 133c))에 각각 가변 감쇄기, 가변 이상기(및 가변 지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변 감쇄기, 가변 이상기 및 가변 지연기를 이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입력하는 신호의 상태를 파악한 후에 적절히 가변 감쇄기(136), 가변 이상기(137) 및 가변 지연기(138)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진폭 위상 조정기(130)의 전단에 분배기(150)를 삽입하고, 모니터(160)에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동일한 취지에서 최종적으로 수신기(20)에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신기(20)의 전단에 분배기(170)를 삽입하고, 모니터(180)에 상태를 표시한다. 모니터(180)의 표시를 관찰하면서 누설 신호가 최소 레벨이 되도록 감쇄기(136), 이상기(137), 지연기(138)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력 저감 장치(200)의 제2 실시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통상은 변조 신호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주파수 대역의 성분뿐만 아니라, 수신 주파수 대역의 성분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송신 신호가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수신기(20)측에의 누설을 억압할 수 있는데,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에 입력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많은 전력은 듀플렉서(120) 내의 송신 대역 통과 필터(121)(도 15 참조)에서 반사해 버리기 때문에 이 반사 신호가 서큘레이터(110), 진폭 위상 조정기(130), 합성기(140)를 거쳐 수신기(20)에 도달함으로써 원하는 수신 신호에 간섭하여 수신 성능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와 종단기(220)가 더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진폭 위상 조정기(130) 및 합성기(140)의 기능은 제1 실시예의 대응하는 것과 동일하다.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는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와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와의 접속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종단기(220)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입력된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이외는 반사시킨다. 종단기(220)는 통상 50옴의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고, 이것을 흡수(열로 변환하여 소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대부분은 입력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가 아니라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유입한다. 따라서 듀플렉서(120)에서 반사하는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절대량이 억제됨과 아울러,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유입된 신호도 종단기(220)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진폭 위상 조정기(130) 등을 통하여 수신기측으로 돌아서 들어오는 간섭 신호의 절대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 대신, 입력된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반사시켜 나머지 성분을 통과 출력하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BEF)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력 저감 장치(300)의 제3 실시예의 기능 구성 예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종단기(220) 대신 감쇄기(310)와 반사기(320)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진폭 위상 조정기(130), 합성기(140)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의 기능은 제2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감쇄기(310)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와 반사기(320) 사이에 접속되며,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감쇄시켜 출력한다. 반사기(320)는 예컨대 일정한 길이의 선단 개방 전송 선로나 선단 단락 전송 선로 등을 이용하여, 감쇄기(31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일정한 위상차를 주어 반사하여 다시 감쇄기(310)에 제공된다.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대부분의 전력은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유입된다. 그러나, 소량이지만 듀플렉서(120)를 투과하여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도 수신기측에 누설되기 때문에 이 누설 신호가 원하는 수신 신호에 간섭하여 수신 성능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이 누설 신호를 억압하기 위하여,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측에 유입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제2 실시예와 같이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 신호 성분을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대역의 누설 신호에 대한 상쇄 신호의 생성원으로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기측으로부터 입력되어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를 통과 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그 후단에 접속된 감쇄기(310)를 거쳐 반사기(320)에서 반사시키고, 이 반사시킨 신호를 감쇄기(310),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 서큘레이터(110), 진폭 위상 조정기(130)를 거쳐 합성기(140)에 입력한다. 여기서, 이 합성기(140)에 입력되는 신호가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대역의 누설 신호에 대하여 합성기(140)에서의 합성시에 등진폭 역위상의 상쇄 신호가 되도록 경로 상에 있는 감쇄기(310)에 의해 진폭을, 반사기(320)에 의해 위상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합성기(140)에 있어서 듀플렉서(120)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 대신 입력된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반사시켜 나머지 성분을 통과 출력하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BEF)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력 저감 장치(400)의 제4 실시예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는 신호 처리 흐름이다.
본 발명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400)는 도 7에 도시한 제3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감쇄기(310)와 반사기(320) 대신 제2 진폭 위상 조정기(420)와 제2 합성기(430)를 설치하고,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의 서큘레이터(110)와 반대측의 단자에 진폭 위상 조정기(420)의 일단이 접속되고, 진폭 위상 조정기(420)의 타단의 출력과 진폭 위상 조정기(130)의 출력을 합성기(430)에서 합성하여 합성 결과를 합 성기(14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의 기능은 제3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진폭 위상 조정기(130)와 합성기(140)에 대해서도 각각 제3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진폭 위상 조정기(130)와 합성기(140)와 동일하기 때문에 기능의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도 7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측에 유입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진폭과 위상을 감쇄기(310)와 반사기(320)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합성기(140)에 있어서 상쇄하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였다. 그에 대하여, 도 8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진폭과 위상을 진폭 위상 조정기(420)에 의해 조정하고, 합성기(430)를 경유하여 합성기(140)에 제공하고, 듀플렉서(120)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 성분을 상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10)를 통과하고, 송신 신호 전력의 일부는 듀플렉서(120)를 통과하여 직접 송신 신호 전력의 더 일부는 안테나(30)에서의 반사를 거쳐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 수신기측에 누설한된. 따라서, 이 누설 신호에는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동시에,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성분의 대부분의 전력은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유입 된다(S1).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의 출력은 진폭 위상 조정기(420)에 입력되고 진폭·위상이 조정되어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하여 합성기(140)에 있어서 상쇄하도록 상쇄 신호(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생성된다(S2).
또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은 대부분이 듀플렉서(120)를 통하여 안테나(30)로부터 출사되는데, 일부가 안테나(30)에서 반사되어 역류하고, 서큘레이터(110)의 제3 포트(P3)로부터 꺼내진다(S3). 그 반사된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은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입력되고, 합성기(140)에 있어서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상쇄하는 상쇄 신호(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되도록 진폭과 위상이 조정된다(S4).
또한 합성기(430)에 있어서 진폭 위상 조정기(420)로부터의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와 진폭 위상 조정기(130)로부터의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합성되고(S5), 마지막으로 이 합성한 상쇄 신호와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누설 신호가 합성기(140)에서 합성됨으로써 양 주파수 대역 성분의 누설 신호가 억압된다(S6).
또한, 진폭 위상 조정기(130, 420)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진폭 위상 조정기(130)와 마찬가지로, 내부 구성으로서 도 2, 도 3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도 3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에는 안테나(30)에 의한 반사 경로와 듀플렉서(120)에 의한 직접적 경로의 쌍방으로부터의 누설 신호의 진폭·위상에 따른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3의 구성에 가변 감쇄기, 가변 이상기, 및 가변 지연기를 적용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따라 설정값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적인 누설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수신 대역 통과 필터(BPF)(210) 대신 입력된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반사시켜 나머지 성분을 통과 출력하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BEF)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500)의 기능 구성예이다. 또한 도 13은 처리 흐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의 변형이며, 도 8에서는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로부터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서 추출하고, 수신 주파수 대역 누설 신호에 대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였으나,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를 설치하지 않으면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대부분의 전력은 듀플렉서(120)에 의해 반사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듀플렉서(120) 내의 송신 대역 통과 필터(121)(도 15 참조)에 의해 반사되고,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로부터 제3 포트(P3)로 보내진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서큘레이터(110)의 제3 포트(P3)에 신호 분리기(520)를 접속하고, 제3 포트의 출력 중의 안테나(30)로부터 반사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듀플렉서(120)에서 반사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그들 성분을 각각 진폭 위상 조정기(130, 420)를 통하여 신호 결합기(530) 에서 결합하고, 결합 신호를 합성기(140)에 제공한다.
이 제5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500)는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신호 분리기(520), 진폭 위상 조정기(130, 420), 신호 결합기(530) 및 합성기(140)로 구성된다. 서큘레이터(110), 듀플렉서(120), 진폭 위상 조정기(130, 420) 및 합성기(140)는 제4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신호 분리기(520) 및 신호 결합기(530)의 구성은 모두 듀플렉서(120)와 동일하며,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고, 전자는 안테나(30)로부터의 반사 송신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으로 분리하고, 후자는 진폭 위상 조정된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즉, 송신 주파수 대역 상쇄 신호)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즉, 수신 주파수 대역 상쇄 신호)을 결합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한 상쇄 신호의 생성원 신호로서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에 접속한 수신 대역 통과 필터(210)에 의해 추출한 신호를 사용하였으나,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듀플렉서(120) 내부의 송신 대역 통과 필터(BPF)(121)에서 반사되어,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로부터 제3 포트(P3)로 보내지는 신호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10)를 통과하고, 일부는 듀플렉서(120)를 통과하여 직접 또는 안테나(30)에서의 반사를 거쳐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 수신기(20)측에 누설된다.
동시에,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일부는 안테나(30)에서 반사 되고, 또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일부는 듀플렉서(120) 내부의 수신 대역 통과 필터(121)에서 반사되고, 모두 다시 서큘레이터(110)의 제2 포트(P2)에 입력되어 제3 포트(P3)로부터 출력된다(S1). 계속하여, 이 출력 신호가 신호 분리기(520)의 제2 단자에 입력되고,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으로 분리되고, 각각 제1 단자와 제3 단자로부터 출력되어, 각각 진폭 위상 조정기(130 및 420)에 입력된다(S2). 각각의 입력 신호는 각 진폭 위상 조정기에 있어서 진폭과 위상이 조정되고, 각각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한 상쇄 신호(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와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한 상쇄 신호(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생성된다(S3, S4). 생성된 각 상쇄 신호는 각각 신호 결합기(530)의 제1 단자, 제3 단자에 입력되고, 제2 단자로부터 그들이 사실상 합성된 상쇄 신호가 출력된다(S5). 그리고, 이 상쇄 신호와 듀플렉서(120)의 제3 단자로부터의 누설 신호를 합성기(140)에서 합성함으로써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S6).
〔변형 실시예〕
제1∼제5 실시예의 각각의 구성에 있어서, 듀플렉서(120)와 합성기(140) 사이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연기(610)를 더 삽입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누설 신호와 상쇄 신호와의 상대적인 지연량의 차이를 없애는 조정을 보다 유연하고 정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듀플렉서(120)와 안테나(30) 사이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기(620)를 삽입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로부터 제3 단자 에 직접 누설되는 신호와 제1 단자로부터 안테나에서의 반사를 거쳐 제3 단자에 누설되는 신호가 역위상이 되도록 위상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인 누설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폭 위상 조정기(130, 420)에서 실시할 진폭 조정량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지연 시간이 다른 경우에는 별도로 지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연기(610)와 이상기(620)는 어느 하나를 삽입할 수도 둘 모두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각각 독립된 효과를 가져온다.
〔누설 전력 저감의 구체적인 예〕
송신기(10)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이 신호의 일부가 수신기(20)측에 누설된 경우에 있어서, 수신기(20)의 전단에서 누설 전력을 제로로 하는 설계의 구체적인 예를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의 구성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도 3의 구성(단, 지연기(133b, 133c)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계산의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전제 조건
(a)송신기(1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전력 30dBm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전력 -20dBm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도 6 참조).
(b)서큘레이터(110)에서는 제1 포트로부터 제2 포트 및 제2 포트로부터 제3 포트를 향하는 신호는 무손실로 통과하는 것으로 한다.
(c)듀플렉서(120) 및 BPF(210)는 통과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 무손실로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신호에 대하여 통과 손실 60dB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d)안테나의 반사 감쇄량은 10dB로 한다.
(e)분배기(134) 및 합성기(135)의 분배 손실 및 합성 손실은 모두 3dB, 합성기(140)에서의 합성 손실은 누설 신호에 대해서는 0dB, 상쇄 신호에 대해서는 20dB로 한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10의 각 경로를 따라 화살표로 송신 신호의 전파 방향과 그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전력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전력을 각각 Tx, Ry로 나타내고, x, y는 전력값을 dBm의 단위로 나타내기로 한다.
먼저,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10)를 거쳐 듀플렉서(120)와 BPF(210)에 각각 입력된다.
듀플렉서(120)에 입력되어 안테나(30)에 도달한 신호는 10dB의 감쇄를 받아 반사되는데,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로부터 제2 단자에 통과할 때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은 이미 60dB 감쇄해 있기 때문에 안테나(30)에서 반사한 송신 신호 전력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은 2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은 -90dBm이다.
이들 반사 신호 전력이 다시 듀플렉서(120)의 제2 단자에 입력되면, 제1 단자로부터 송신 대역 주파수 성분이 2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150dBm의 전력이 송신기측에 역류한다. 또한 제3 단자로부터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4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90dBm의 전력이 수신기측에 누설된다.
또한 송신 신호가 듀플렉서(120)의 제1 단자에 입력되었을 때, 안테나에서 반사되는 상기한 전력 이외에, 듀플렉서(120)에서 60dB의 감쇄를 받아, 송신 주파 수 대역 성분이 -3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80dBm의 전력이 직접 제3 단자로부터 수신기측에 누설된다. 여기에서는, 듀플렉서(120)의 제2 단자(#2)로부터 제3 단자(#3)로 누설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위상은 제1 단자(#1)로부터 직접 제3 단자(#3)로 누설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위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BPF(210)에 입력된 송신 신호는 감쇄기(310)에서 왕복 10dB(감쇄량의 결정 방법은 후술), BPF(210)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만이 왕복 120dB의 감쇄를 받아 반사되고,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10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30dBm의 전력이 송신기측에 역류한다.
다음 상기한 안테나(30)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누설 전력과 듀플렉서(120)를 통한 직접적인 누설 전력을 듀플렉서(120)로부터 송신기(10)측에 역류한 전력에 의해 상쇄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다음과 같이 생성하여 누설 전력을 억압한다.
듀플렉서(120)로부터 송신기(10)측에 역류한 전력은 안테나(30)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전력분과 반사기(320)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전력분이 있는데,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해서는 안테나(30)로부터의 반사 전력분이 압도적으로 크고,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에 대해서는 반사기(320)로부터의 반사 전력분이 압도적으로 크므로, 상쇄 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는 역류 전력은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2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30dBm이 된다.
이 역류 전력이 서큘레이터(110)를 거쳐, 진폭 위상 조정기(130)에 입력되고, 분배기(134)에 의해 2개의 경로에 분배되며, 각각 안테나(30)에서의 반사에 의 한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와 직접적인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감쇄기(131b와 131c)에서 진폭이 조정되는데, 각각의 설정 감쇄량은 합성기(140)에서의 합성 시점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각 누설 신호 전력과 등진폭이 되도록 결정된다. 본 사례에 있어서는, 감쇄기(131b)에 의한 손실이 34dB, 감쇄기(131c)에 의한 손실이 24dB가 된다. 이 설정 상태에 있어서, 합성기(140)에서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누설 신호 전력과 등진폭이 되도록 감쇄기(310)가 조정된다. 본 예에서는 감쇄기(310)에 의한 손실은 5dB가 된다.
이 결과, 감쇄기(131b)로부터는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 -17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 -67dBm, 감쇄기(131c)로부터는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 -7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 -57dBm이 출력된다.
또한 이상기(132b 및 132c)에 있어서 각각 안테나(30)에서의 반사에 의한 누설 전력과 직접적인 누설 전력에 대하여 각각 역위상이 되도록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안테나(30)에서의 반사에 의한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와 직접적인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가 생성되고, 이들을 합성기(135)에서 합성한다.
이 합성 신호의 전력은 상기 조건 (e)에 의한 합성기(140)에서의 상쇄 신호에 대한 합성 손실 20dB가 가미되어 있기 때문에, 각 누설 전력보다 20dB 큰 값으로 되어 있다(안테나(30)에서의 반사에 의한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은 -2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은 -70dBm, 직접적인 누설 전력에 대한 상쇄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은 -10dBm,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전력은 -60dBm이다).
마지막으로, 합성기(140)에 있어서 누설 신호와 상쇄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수신기(20)의 전단에 있어서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 모두 0으로 할 수 있다. 듀플렉서(120)에 있어서 제2 단자(#2)로부터 제3 단자(#3)로 누설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위상이, 제1 단자(#1)로부터 직접 제3 단자(#3)로 누설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위상과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도 10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30)와 듀플렉서(120)의 사이에 이상기(620)를 설치하고, 상기 2개의 누설된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의 위상이 동상으로되도록 설정해 두면 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진폭 위상 조정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진폭 위상 조정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가변 수단을 적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제2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송신 신호 스펙트럼의 개념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제4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제5 실시예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누설 전력 저감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기 위한 누설 전력 저감 장치 블럭도,
도 11은 제1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
도 12는 제4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
도 13은 제5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
도 14는 인접한 서로 다른 두 주파수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할당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의 기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듀플렉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6은 종래의 누설 전력 저감 장치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종래의 다른 누설 전력 저감 장치예를 도시한 블럭도.

Claims (15)

  1. 송신기측으로부터 직접 또는 안테나에서의 반사를 거쳐 수신기측으로 누설된 송신 신호를 억압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로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가지며,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를 제2 포트로부터 출력하고, 제2 포트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3 포트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와,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가지며, 제1 단자가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접속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2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함과 아울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1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억압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3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서큘레이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로서 출력하는 진폭 위상 조정기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에 의해 억압한 신호를 출력하는 합성기를 포함 하며,
    상기 듀플렉서의 제2 단자는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성분을 감쇄시키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타단에 접속되며, 신호를 흡수하는 종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감쇄시키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와,
    상기 송신 대역 저지 필터의 타단에 접속되며, 신호를 흡수하는 종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성분을 감쇄시키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며,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 는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의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감쇄기의 출력 신호를 반사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로서 출력하는 반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는 상기 감쇄기,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서큘레이터 및 상기 진폭 이상 조정기를 통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되고,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감쇄시키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와,
    상기 송신 대역 저지 필터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며,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의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감쇄기의 출력 신호를 반사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로서 출력하는 반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는 상기 감쇄기, 상기 송신 대역 저지 필터, 상기 서큘레이터 및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를 통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되고,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와 상기 합성기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조정하는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제2 단자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접속되며, 신호의 이상량을 조정하는 이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는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이상량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는,
    입력된 신호를 2분배하여 출력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서 2분배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고,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1 감쇄 수단과,
    상기 제1 감쇄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이상량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1 이상 수단과,
    상기 분배기에서 2분배된 나머지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며,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2 감쇄 수단과,
    상기 제2 감쇄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이상량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2 이상 수단과,
    상기 제1 이상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이상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며, 이들을 합성하여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로서 출력하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2 단자와의 사이에 제3 이상 수단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3 이상 수단은, 상기 듀플렉서의 제2 단자로부터 제3 단자로 누설된 상기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로부터 직접 제3 단자로 누설된 상기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이 동상으로 되도록 이상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성분을 감쇄시키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타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하는 또 하나의 진폭 위상 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에 의해, 상기 듀 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1 단자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며,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감쇄시키는 송신 대역 저지 필터와,
    상기 송신 대역 저지 필터의 타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하는 또 하나의 진폭 위상 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에 의해,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단자를 가지며, 제2 단자가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3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3 포트의 출력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 성분과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1 및 제3 단자에 출력하는 신호 분리기와,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의 일단은 상기 신호 분리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며, 그에 따라 상기 신호 분리기를 통하여 상기 서큘레이터의 상기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분리기의 제3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며, 입력된 신호의 진폭과 위 상을 조정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하는 또 하나의 진폭 위상 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에 의해 상기 듀플렉서의 제3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누설된 송신 신호의 수신 주파수 대역 성분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위상 조정기와 상기 또 하나의 진폭 위상 조정기로부터의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와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용 상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합성기에 제공하는 신호 결합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기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2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억압하고, 제1 단자와 제3 단자 사이에서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억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력 저감 장치.
KR1020080041899A 2007-05-07 2008-05-06 누설 전력 저감 장치 KR101004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2490 2007-05-07
JP2007122490A JP4879083B2 (ja) 2007-05-07 2007-05-07 漏洩電力低減装置および低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64A true KR20080099164A (ko) 2008-11-12
KR101004349B1 KR101004349B1 (ko) 2010-12-28

Family

ID=3968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899A KR101004349B1 (ko) 2007-05-07 2008-05-06 누설 전력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6191B2 (ko)
EP (1) EP1990925B1 (ko)
JP (1) JP4879083B2 (ko)
KR (1) KR101004349B1 (ko)
CN (1) CN1013042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63B1 (ko) * 2011-09-09 2014-09-23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KR20150001065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007B1 (ko) 2009-05-27 2015-09-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송신 누설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083531B1 (ko) 2009-09-01 2011-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송수신 신호 분리를 위한 결합장치 및 제어방법
JPWO2011111219A1 (ja) * 2010-03-12 2013-06-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反射波取得方法
KR101553010B1 (ko) * 2010-06-03 2015-09-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송신누설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JP5236711B2 (ja) * 2010-09-30 2013-07-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複数周波数同時通信方法
CN103238275B (zh) * 2010-11-30 2015-04-08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无线电收发机及其控制方法
US10284356B2 (en) 2011-02-03 2019-05-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19B2 (en) 2011-02-03 2019-03-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daptive technique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9331737B2 (en) * 2012-02-08 2016-05-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cancelling interference using multiple attenuation delays
CN103229438A (zh) * 2011-02-22 2013-07-31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传送设备、无线传送方法和无线传送程序
US10243719B2 (en) 2011-11-09 2019-03-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MIMO radios
JP5637321B2 (ja) * 2011-12-27 2014-1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波回路、およびrf回路モジュール
US9325432B2 (en) 2012-02-08 2016-04-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full-duplex signal shaping
US20140011461A1 (en) * 2012-07-03 2014-01-09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a Signal in a Radio Frequency System
JP5944813B2 (ja) * 2012-11-08 2016-07-05 太陽誘電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およびモジュール
KR102222353B1 (ko) 2013-08-09 2021-03-03 쿠무 네트웍스, 아이엔씨. 비선형 디지털 자기 간섭 제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163050B2 (en) 2013-08-09 2021-11-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estimation using progressive self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36749B2 (en) 2013-08-09 2015-05-1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independent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98860B2 (en) 2013-08-09 2017-07-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interference canceller tuning
US9054795B2 (en) 2013-08-14 2015-06-0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US10177836B2 (en) 2013-08-29 2019-01-08 Kumu Networks, Inc. Radio frequency self-interference-cancelled full-duplex relays
US10673519B2 (en) 2013-08-29 2020-06-02 Kuma Networks, Inc. Optically enhanc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520983B2 (en) 2013-09-11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delay-match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22B2 (en) 2013-12-12 2019-03-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ied frequency-isolatio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77421B1 (en) 2013-12-12 2015-07-07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74405B2 (en) 2013-12-12 2017-09-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isol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12312B2 (en) 2014-03-26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b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209536B2 (en) 2014-05-02 2021-12-2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tion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WO2015179874A1 (en) 2014-05-23 2015-11-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rate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05585B2 (en) 2014-09-25 2019-02-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og cancellation for division free duplexing for radios using MIMO
US9521023B2 (en) 2014-10-17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analog phase shifting
US9712313B2 (en) 2014-11-03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multi-peak-filter-bas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73854B2 (en) 2015-01-29 2017-06-06 Kumu Networks, Inc. Method for pilot signal based self-inteference cancellation tuning
US9634823B1 (en) 2015-10-13 2017-04-25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integr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666305B2 (en) 2015-12-16 2020-05-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earized-mixer out-of-band interference mitigation
US9800275B2 (en) 2015-12-16 2017-10-2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 band-interference mitigation
US9742593B2 (en) 2015-12-16 2017-08-2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tun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EP3391459B1 (en) 2015-12-16 2022-06-15 Kumu Networks, Inc. Time delay filters
US10135476B2 (en) * 2016-02-01 2018-11-20 Apple Inc. Noise cancellation
US10454444B2 (en) 2016-04-25 2019-10-2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WO2017189592A1 (en) 2016-04-25 2017-11-0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GB2551346B (en) * 2016-06-13 2020-05-06 Toshiba Kk Technique for full duplex with single antenna
US10338205B2 (en) 2016-08-12 2019-07-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communication among commodity WiFi radios
CN107867308B (zh) * 2016-09-23 2023-10-10 河南蓝信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轮对设备及其方法
JP2020509618A (ja) 2016-10-25 2020-03-26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ー 後方散乱周囲ismバンド信号
CN108242940A (zh) * 2016-12-26 2018-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本振泄漏的装置及方法
WO2018183384A1 (en) 2017-03-27 2018-10-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tund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JP6837573B2 (ja) 2017-03-27 2021-03-03 クム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umu Networks, Inc. 線形性強化ミキサ
KR102234970B1 (ko) 2017-03-27 2021-04-02 쿠무 네트웍스, 아이엔씨. 튜닝가능 대역 외 간섭 완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00076B1 (en) 2017-08-01 2019-02-05 Kumu Networks, Inc.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s for CMTS
KR20210152573A (ko) 2018-02-27 2021-12-15 쿠무 네트웍스, 아이엔씨. 구성가능한 하이브리드 자기-간섭 소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766840B2 (ja) * 2018-03-26 2020-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ルチプレクサ
US10868661B2 (en) 2019-03-14 2020-12-15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transform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644763B1 (en) 2019-03-21 2020-05-05 Kabushiki Kaisha Toshiba Technique for single antenna full duplex
US11722162B1 (en) * 2022-02-02 2023-08-08 Psemi Corporation RF circuit protection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6459A (ja) 1988-10-21 1990-05-01 Hitachi Metals Ltd 硬脆材の研削方法
JPH02151130A (ja) 1988-12-02 1990-06-11 Antenna Giken Kk アンテナ共用器
JP3024196B2 (ja) * 1990-10-18 2000-03-21 ソニー株式会社 デュアルモード通信機の送受信回路
JPH09116459A (ja) * 1995-08-17 1997-05-02 Fujitsu Ltd 送受信間干渉除去装置
JPH09312587A (ja) 1996-05-22 1997-12-02 Sony Corp 無線通信装置
JP3189794B2 (ja) 1998-07-27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受信装置と送信スプリアス防止方法
US6313713B1 (en) * 1999-09-28 2001-11-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atched pair circulator antenna isolation circuit
KR100365108B1 (ko) 2000-07-05 2002-12-16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JP2002158599A (ja) * 2000-11-20 2002-05-31 Kenwood Corp 送受信回路
JP2003273770A (ja) 2002-03-19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妨害波抑圧回路、アンテナ共用器、送受信回路、及び通信装置
FR2853784A1 (fr) 2003-04-08 2004-10-15 France Telecom Equipement terminal pour liaison hertzienne bidirectionnelle
DE10337417B3 (de) * 2003-08-14 2005-05-19 Siemens Ag Kommunikationsendgerät für Mehrfachempfang und Echokompensation
WO2006023319A1 (en) * 2004-08-24 2006-03-02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Duplexer fo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radar systems
US8364092B2 (en) * 2005-04-14 2013-01-29 Ecole De Technologie Superieure Balanced active and passive duplexers
KR101406401B1 (ko) * 2006-11-10 2014-06-13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선형성 성능이 개선된 콤팩트 저손실 고주파수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63B1 (ko) * 2011-09-09 2014-09-23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US9041485B2 (en) 2011-09-09 2015-05-26 Taiyo Yuden Co., Ltd. High frequency electronic component
KR20150001065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9083B2 (ja) 2012-02-15
EP1990925B1 (en) 2017-08-09
KR101004349B1 (ko) 2010-12-28
CN101304259B (zh) 2014-01-29
US20080279122A1 (en) 2008-11-13
EP1990925A2 (en) 2008-11-12
US8086191B2 (en) 2011-12-27
EP1990925A3 (en) 2009-09-30
JP2008278417A (ja) 2008-11-13
CN101304259A (zh)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349B1 (ko) 누설 전력 저감 장치
US8364092B2 (en) Balanced active and passive duplexers
US78947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radio signals over a single antenna
US200702988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reception in a system with multiple transmitters and receivers operating on a single antenna
US9577683B2 (en) Systems, transceivers, receivers, and methods including cancellation circuits having multiport transformers
US8942658B2 (en) Directional notch filter fo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of wideband signals
JP2015504283A (ja) 干渉消去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フィルタ装置
US10158392B2 (en)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WO2014061443A1 (ja) 送受信装置
WO2012043761A1 (ja) 移動通信端末、複数周波数同時通信方法
JP2012089995A (ja) 移動通信端末用モジュール、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269182B1 (ko) 레이다 시스템의 표적모의 시험장치
EP3821536B1 (en) Radio frequency front end for a full duplex or half duplex transceiver
WO2014061444A1 (ja) 送受信装置
KR101375723B1 (ko)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고주파 전단장치
Laughlin et al. Tunable duplexers: downlink band isolation requirements for LTE user equipment
WO2019110082A1 (en) Radio frequency front e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Palaniappan et al. A spectral shaper based two-tap RF self-interference canceller for full-duplex radios
WO2016187782A1 (zh) 一种双工器和无线收发系统
Ginzberg et al. Pre-PA Delay-Line Based FIR Filter fo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in Full Duplex Wireless Systems
JP2022076338A (ja) 高周波信号送受信回路
KR20070002827A (ko) 싱글톤으로 인한 수신감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20053598A (ko) 감쇠기를 사용하는 무선전송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2007000640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s―gps 구현 장치 및 방법
JP2012054878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