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108B1 -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108B1
KR100365108B1 KR1020000038157A KR20000038157A KR100365108B1 KR 100365108 B1 KR100365108 B1 KR 100365108B1 KR 1020000038157 A KR1020000038157 A KR 1020000038157A KR 20000038157 A KR20000038157 A KR 20000038157A KR 100365108 B1 KR100365108 B1 KR 10036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duplexer
power amplifier
low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344A (ko
Inventor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Priority to KR102000003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1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종단 듀플랙서에서 큰 송신 전력, 안테나 및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동 소자에 의한 상호 변조 왜곡 성분(passive intermodulation product)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신호에 의해 듀플랙서에서 발생된 수신 대역내의 상호 변조 성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력 증폭부, 커플러, 듀플랙서, 필터, 가변 이득 조절부, 위상 조절부, 저잡음 증폭부, 신호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AN IMPROVEMENT OF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WITH COUPLING LOOP}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듀플랙서에서 큰 송신 전력, 안테나 및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이 수신 대역내에 발생하여 간섭 신호로 작용함으로써 수신 감도의 저하 및 가입자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플랙서에서 발생하는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의 레벨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듀플랙서의 입출력단의 콘넥터에 도금을 함으로써 상호 변조 특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새로운 도금 기술이 필요하게 되고, 부품의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상호 변조 특성이 만족할 정도로는 개선되지는 못하고 있다.
상호 변조 성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또 하나의 종래 기술로는, 듀플랙서를 사용함이 없이 송/수신용 필터와 안테나를 각각 사용함으로써 송신단 필터에서 발생하는 수신 대역의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성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성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송/수신 필터를 분리하여 사용하게 됨으로 인하여,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및 그에 따르는 급전(power feeding) 케이블도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듀플랙서에서 발생하는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을 일종의 궤환 루프(feedback loop) 및 위상 조절부(phase shifter)를 사용함으로써 상호 변조 성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듀플랙서에서 큰 송신 전력, 안테나 및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이 수신 대역내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지국과 중계기의 설치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부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력 증폭부
20 : 커플러
30 : 필터
40 : 가변 이득 조절부
50 : 위상 조절부
60 : 저잡음 증폭부
70 : 신호 결합부
80 : 듀플랙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력 증폭기로 구성된 전력 증폭부(10), 증폭된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20),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30),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40),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50),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기로 구성된 저잡음 증폭부(60),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70),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80)를 포함한 것으로서, 전력 증폭부의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거나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부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최종적으로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를 커플러(20)로 추출한 후, 이어서 필터(30)를 이용하여 수신 대역내의 상호 변조 신호만을 남기고 다른 신호를 모두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전력 증폭부(10) 및 커플러(20)를 통과한 신호는 듀플랙서(80)에 입력되고, 이 듀플랙서(80)와 안테나에 의해 발생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성분은 저잡음 증폭부(60)에 입력된다. 이 저잡음 증폭부(60)를 통과한 신호는 신호 결합부(70)에서 결합된다. 상기 필터(30)를 통과한 신호는 저잡음 증폭부(60)에서 증폭된 신호와 그 크기가 같도록 가변 이득 조절부(40)에서 그 크기가 조절되고, 이어서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40)에서 조절된 상기 신호는 상기 저잡음 증폭부(60)를 통과한 신호와의 위상차가 180。 차이가 나도록 위상 조절부(50)에서 위상이 조절된다. 이러한 두 개의 신호가 신호 결합부(70)로 입력되면, 신호 결합부(70)의 출력단에서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차가 180。인 두 개의 신호가 서로 상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듀플랙서에 의해 발생된 수신 대역내의 상호 변조 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위상 조절부(50)와 가변 이득 조절부(40)의 위치가 서로 치환되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조절부(50)에서 신호의 위상이 180。로 바뀐 후, 가변 이득 조절부(40)에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조절부(50)를 듀플랙서(80) 및 저잡음 증폭부(60) 뒤에 위치시켜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듀플랙서(80)에서 발생된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 신호를 커플러(20)로 추출한 후, 필터(30)를 이용하여 수신 대역내의 상호 변조 신호만을 남기고 다른 신호를 모두 제거한다. 이 필터링된 신호는 듀플랙서(80)에서 발생하여 저잡음 증폭부(60)로 입력되어 증폭되는 신호와는 그 크기가 같고 위상이 180。 차이가 나도록 가변 이득 조절부(40)에서 그 크기가 조절되고 위상 조절부(50)에서 그 위상이 조절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호 결합부(70)에서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차가 180。인 두 개의 신호가 서로 상쇄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위상 조절부(50)와 가변 이득 조절부(40)의 위치가 서로 치환되어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조절부(50)에서 신호의 위상이 180。로 바뀐 후, 가변 이득 조절부(40)에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조절부(50)를 듀플랙서(80) 및 저잡음 증폭부(60) 뒤에 위치시켜도 좋다.
전술한 내용은 당업자가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기재되고, 특허 요건에 합치되게 기재되었다. 당업자는 예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일반적인 윈리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도록 의도한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원리 및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듀플랙서에서 큰 송신 전력, 안테나 및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동 소자의 상호 변조 성분이 수신 대역내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지국과 중계기의 설치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 증폭된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커플러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위상 조절부 및 저잡음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부의 출력단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2.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 증폭된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위상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커플러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 및 저잡음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부의 출력단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3.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증폭부에서 증폭된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커플러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저잡음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 및 위상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부의 출력단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4.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위상 조절부 및 저잡음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5.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위상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 및 저잡음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6.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결합한 것인 듀플랙서와,
    상기 듀플랙서 및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신호 중 일부의 양을 추출하여 주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 주파수 대역외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 이득 조절부와,
    상기 듀플랙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수신 신호의 잡음 특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저잡음 증폭부와,
    상기 위상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다른 신호와의 원하는 위상 차이가 나도록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와,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 및 위상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경로의 두 개의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경로로 결합시키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듀플랙서 출력단의 상호 변조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결합부의 두 개의 입력단의 신호는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180。차이가 나도록 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의 출력단에서 상호 변조 성분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KR1020000038157A 2000-07-05 2000-07-05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KR10036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57A KR100365108B1 (ko) 2000-07-05 2000-07-05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57A KR100365108B1 (ko) 2000-07-05 2000-07-05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44A KR20020004344A (ko) 2002-01-16
KR100365108B1 true KR100365108B1 (ko) 2002-12-16

Family

ID=1967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57A KR100365108B1 (ko) 2000-07-05 2000-07-05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7B1 (ko) * 2001-11-16 2004-08-04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imd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9083B2 (ja) 2007-05-07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漏洩電力低減装置および低減方法
KR101537416B1 (ko) * 2009-03-18 2015-07-1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2548871B1 (ko) * 2016-11-30 2023-06-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동상호변조왜곡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7B1 (ko) * 2001-11-16 2004-08-04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imd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44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5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US20170279589A1 (en) Co-time, co-frequency full-duplex terminal and system
US92316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Doherty ampl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JP3662552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CN202495912U (zh) 一种基于前馈技术的功率放大器装置
KR100365108B1 (ko)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US6954624B2 (en) Transmit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ow power bypass branch
WO2018143043A1 (ja) 無線機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8205821A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送信装置
CN113472299B (zh) 一种信号收发前端电路
KR20100008290A (ko)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안테나 분리형 무선 시스템
KR20000074437A (ko) 위상 보상 회로를 갖는 간섭 제거 장치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US8238848B2 (en) Feed forward noise reduction in a transmitter
KR100581732B1 (ko) Tdd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중계기의 피드백신호감소장치
KR20050009345A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저출력 스위치를 이용한무선 송수신 스위칭 회로
KR100742993B1 (ko) 간섭신호 억제를 위한 기지국의 프런트 앤드 유닛장치
JP2000156657A (ja) 近接妨害波除去装置
KR200400111Y1 (ko) 피드 포워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용 중계기
KR100618092B1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용 무선중계기
KR1007375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 간섭 제어 장치
JP2004312363A (ja) 無線通信用高周波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KR100522749B1 (ko) 시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대역 잡음 제거장치
KR100422388B1 (ko) 보상필터를 사용하는 간섭제거 중계 방법과 장치
KR20040023892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품질 개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