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579A - 부유 기구 - Google Patents

부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579A
KR20080096579A KR1020087021279A KR20087021279A KR20080096579A KR 20080096579 A KR20080096579 A KR 20080096579A KR 1020087021279 A KR1020087021279 A KR 1020087021279A KR 20087021279 A KR20087021279 A KR 20087021279A KR 20080096579 A KR20080096579 A KR 2008009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ainer
bag
wat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267B1 (ko
Inventor
피터 제프리
Original Assignee
멜로우그래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멜로우그래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멜로우그래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2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the surfacing of the buoy being assisted by a gas released or generated on submergence of the buo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44B15/005F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ag Fram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Toys (AREA)

Abstract

물에 떨어졌을 때 거기에 부착된 물품(예컨대 열쇠, 휴대폰, 지갑)을 위한 부유기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기구는, 공기가 침투하지 않고 대체로 방수 재질로 된 팽창백(14)과, 압축가스의 용기(12)와, 용기(12)에 피결합되고 기구가 물에 잠길 때 용기(12)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가스가 용기(12)로부터 나와 백(14)을 팽창시키는 트리거(trigger) 수단(16, 30, 32)을 구비한다. 트리거 수단은 용기(12)에 장착되고 용기를 팽창백(14)에 연결시키는 밸브(16)와, 상기 밸브(16)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끔 작동하는 유지수단(30), 및 물과 접촉할 때 유지수단(30)을 릴리즈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기능하는 물에 반응하는 수단(32)을 구비한다. 물에 반응하는 수단은 적어도 일부분이 물에 반응하는 재료(32)의 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유지수단은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하여 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밸브(16)에 직접 작용하는 스프링(30)을 구비할 수 있고 물에 반응하는 밴드(32)는 릴리즈될 때까지 압축상태로 스프링(30)을 보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지수단은 릴리즈될 때까지 물에 반응하는 밴드가 밸브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하여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판 또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수단은 물에 반응하는 밴드에 의해 압축상태로 유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스프링은 릴리즈될 때 닫힌 상태로의 밸브의 스프링 바이어스를 극복한다. 백(14), 용기(12) 및 트리거 수단은 케이싱(10)에 수용되고 다른 물품에 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37)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용기(12)에 일체로 제공된다.
스프링, 밸브, 개방상태, 팽창백

Description

부유 기구 {FLOTATION DEVICE}
본 발명은 열쇠, 지갑 및 휴대폰(이 물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등의 다른 물품들에 부착가능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고로 또는 다른 이유로 상기 물품들을 물에 떨어뜨린 경우 그러한 물품들을 위한 부유기(float)로서 기능하는 자동 팽창백을 포함한다. 이런 방법으로 상기 물품들의 회수가 용이해진다.
코르크 기구들이 수년간 열쇠와 같은 물품들에 부착되어 예컨대 항구나 선착장에서 물에 떨어뜨렸을 때 이 물품들이 떠있게 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왔다. 이 코르크 기구들은 비교적 부피가 크며 그리고 무거운 물품들을 지지할 만큼 충분한 부양성을 갖지 않는다.
최근에, 여러 제안들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FR2733482호, US2004/0137810호 및 GB2406265A호에는 이를 위하여 부유기로서 기능하는 자동 팽창백을 포함하는 기구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구들은 모두 경제적으로 생산하기에 비실용적이거나 또는 동작상 안전하지 않거나 신뢰성이 없다. 예를 들어 FR2733482호는 칼슘 카바이드가 물과 접촉할 때 화학반응에 의해 아세틸렌 가스가 그 안에 생성되는 실린더를 제안한다. 이 반응이 신뢰성 있게 달성된다고 하여도 아세틸렌은 가연성이므로 사용하기에 명백히 안전하지 않다. US2004/0137810호에 제안되어 있는 것은 팽창 풍선 내의 2개의 격실 사이의 장벽의 물에서의 파괴를 포함하는데, 실제로 가장 신뢰성이 없을 것이다. GB2406265A호에 제안되어 있는 것 및 다른 공지의 기구들은 압축 이산화탄소 통 및 이 통의 밀봉부를 뚫는 것에 관여하는 트리거(trigger) 장치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트리거 장치는 물과 접촉할 때 재료가 파괴되는 것에 의존한다. 이들은 제조하기에 고가인데 그 이유는 압축 이산화탄소 통이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하며 가스를 포함하는데 요구되는 고압을 견딜만큼 충분히 튼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 기구들은 물 분해성 재료를 향하는 물 통로에 자주 공기 폐색(air lock)이 일어나며 또한 그러한 밀봉을 뚫는데 요구되는 힘은 상당하고 달성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사용상 일부분 신뢰성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되거나 이전에 제안된 기구들 중 어느 것보다 제조하기에 비용적인 면에서 더 효과적이고 사용에 있어서 더 신뢰성 있는 일반 타입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체로 방수이고 공기가 침투할 수 없는 재료로 된 팽창백과, 압축가스의 용기와, 용기에 피결합되고 기구가 물에 잠길 때 용기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가스가 용기로부터 나와 백을 팽창시키는 트리거(trigger) 수단과, 백과 용기와 트리거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싱, 및 기구를 다른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트리거 수단은 용기에 장착되고 용기를 팽창백에 연결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끔 작동하는 유지수단, 및 물과 접촉할 때 유지수단을 릴리즈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기능하는 물에 반응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부유기구가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릴리즈되는 상기 밸브의 작동은 고도로 신뢰성이 있다.
밸브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방상태로 스프링 가압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닫힌 상태로 스프링 가압될 수 있다. 여러 장치들이 제1 실시예에서는 개방상태로의 스프링 바이어스(bias)에 대하여 밸브를 유지시키거나 반대로 제2 실시예에서는 닫힌 상태로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는 유지수단의 릴리즈를 위하여 제안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그 자체는 유지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임의의 장치에 있어서 물에 반응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물에 반응하는 재료의 밴드(스트립)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질(starch based) 폴리머가 이러한 밴드에 적절한 재료이다.
유리하게는,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압축가스는 적절하게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 화합물일 수 있다. 이 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낮은 압력에서 압축을 요구하며, 종래의 값싼 담배 라이터의 하우징과 유사한 플라스틱 재료로 된 저가의 용기에 안전하고도 적절하게 담길 수 있다. 또한 사용하기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유해하지 않다.
기구가 일단 물에 잠긴 경우 기구로 향하는 물 통로에 전개되는 공기 폐색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측벽을 구비하며 이들 측벽들 중 적어도 2개의 측벽에는 복수의 기다란 개구들이 형성된다. 추가로 또는 이와 달리 케이싱은 기다란 개구들의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열을 구비하는데, 적어도 한 열은 그 안에 물에 반응하는 수단의 위치 위에 제공되고, 적어도 한 열은 그 안에 물에 반응하는 수단의 위치 아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태양을 추가로 발전시킴에 있어서, 조명기구가 유리하게는 팽창백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적절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밧데리에 의해 전원공급되는 광방출 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데, 밧데리는 백이 팽창될 때 LED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이는 밧데리 또는 밧데리들과 LED 사이에 처음에 위치된 절연 재료의 스트립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스트립은 백의 목부에도 연결되어 백이 팽창할 때 밧데리 또는 밧데리들과 LED 사이에서 뻗어있는 것으로부터 자동으로 후퇴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팽창백 내부에 조명기구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는 조명기구 상에 돌출부를 제공하여 바람직하게는 백의 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백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돌출부 위로 끼워 맞춰지는 오링이나 클립에 의해 팽창백 내부에 부착함으로써 적절히 달성된다. 추가 가능성은 팽창시에 기구의 회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팽창가능한 루프를 구비한 클립 또는 오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유리한 특징들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예를 들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 기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동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2의 B-B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A-A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라인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기구의 중앙영역의 확대도이다.
도8은 백이 팽창된 도1 내지 도7의 기구를 나타내는 축소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팽창된 백 상태의 기구의 케이싱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 기구의 제2 실시예를 확대 축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5와 비교되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 기구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10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 기구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10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 기구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10과 유사한 도면이다.
먼저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 부유기구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가스 용기(12)와 팽창백(14)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대체로 사각형상의 케이싱(10)을 구비하는데, 용기(12)는 참조번호(16)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밸브를 이용하여 백(14)의 목부(15)에 연결된다.
팽창백(14)은 최근의 콘돔에 사용되는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 등의 대체로 방수이고 물이 침투할 수 없으며 고도로 유연하고 강한 재질로 되어 있다. 가스용기(12)는 플라스틱 재료, 전형적으로는 아세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데, 저가의 담배 라이터의 가스탱크와 비슷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내부의 가스는 약 40 psi의 압력하에 있을 수 있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HCFC)이다.
용기(12)는 케이싱(10)의 하부영역에 끼워지고 백(14)은 케이싱(10)의 상부영역의 작은 체적 내에 접혀져 있다.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6)는 용기(12)의 상부벽(13)에 장착된 컵 형상의 본체(26)를 구비한다. 이 본체(26)는 밀봉판(17)이 장착되는 베이스에서 우물형상부를 규정한다. 본체는 용기(12)의 내부와 소통하는 측면 개구(18)도 갖는다.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관형상 밸브 부재(19)가 그 사이에 밀봉 링(29)을 구비한 본체(26)의 우물형상부에 위치된다. 이 관형상 부재(19)는 백(14)의 목부(15)가 부재(19)의 상부에서 쐐기 형상의 플랜지(28) 아래에 끼워 맞춰지는 링(24)에 연결됨에 따라 가스 용기(12)의 내부와 팽창백(14)의 내부 사이에 도관을 제공한다. 본체(26) 내부에서 관형상 부재(19) 주위에 위치된 나선형 스프링(22)은 바닥 단부가 밀봉판(17)으로부터 들어올려진 (도8, 도9 참조) 밸브 개방상태로 관형상 부재(19)를 가압하기 위하여 밀봉판(17)과 칼라(collar; 27) 사이에서 관형상 부재에 작용한다.
그러나, U자 형상의 스프링(30)과 밴드(32) 형태의 유지수단은 스프링의 가압에 대하여 관형상 부재(19)를 밸브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밸브폐쇄상태에서는 부재(19)의 바닥 단부가 밀봉판(17)에 대하여 견고하게 눌려진다.
U자 형상의 스프링(30)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의 베이스 주위로 뻗어있다. 용기(12)의 측벽들과 베이스는 U자 형상 스프링(30)의 중앙 부분과 다리부들을 수용하여 위치시키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데, 도4와 도5에 도시되 어 있다. U자 형상 스프링(30)의 상단부는 설명한 것처럼 하부의 폐쇄상태로 부재(19)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형상 밸브 부재(19)의 추가 중간 플랜지 또는 칼라(25) 후방에 끼워 맞춰지는 안쪽을 향하는 대향 파지 아암(31)들을 갖는다. U자 형상의 스프링(30)은 스프링(30)의 각각의 다리부와 용기(12)를 둘러싸는 밴드(32)에 의해 파지 아암(31)들이 더 멀어지게 이동하는 상태로 튀어나오려는 그 자연적인 성향에 대하여 압축상태로 유지된다. 이 밴드(32)는 잠시 물에 담그면 분해되거나 파괴되는 점에서 물과 반응한다. 밴드는 바닷물이나 민물에 담그면 부드러워지거나 및/또는 분해되는 전분질(starch based) 폴리머 등의 재료로 전체 또는 일부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밴드는 물에 반응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등의 재료로 된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닷물이나 민물에 재빨리 용해되는 칼슘 카보네이트와 같은 재료에 의해 함께 고정된 단부를 갖는다.
걸쇠 돌출부(23) 쌍이 용기(12)의 각 측면에서 상부벽(13)을 넘어 위로 뻗어서 판(35)을 유지하는데, 이 판은 백(14)의 목부(15)가 삽입되는 중앙개구(36)를 갖는다. 이는 장치를 제조하는 동안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밸브의 신뢰성 있는 작동과 백(14)의 팽창을 촉진시킨다.
개구(39)와 함께 형성된 원형 탭(37)은 가스 용기(12)의 베이스로부터 일체화된 연장부로서 제공되며 케이싱(10)의 대응응하는 개구를 통해 뻗어있다. 이는 열쇠고리나 또는 열쇠, 지갑 또는 다른 물품 등의 유사한 물품을 이용하여 장치의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가스용기(12)에 직접 물품을 부착시키면 케이싱을 이용하여 부착한 경우 종종 일어날 수 있는, 기구가 잠겼을 때 전개된 부유기로부터 분리될 위험성이 최소화되고, 케이싱은 팽창백과 거기에 연결된 가스공급 용기로부터 분리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만 도4 및 도5에도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도 제조되는 케이싱(10)은 그 각 측벽에 기다란 개구(38)의 2개의 열을 구비하는데, 하나의 열은 밴드(32)의 레벨 위에서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열은 밴드(32)의 레벨 아래에 배치된다. 이는 이전의 기구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물의 침투를 지연시키는 공기 폐색의 위험성 없이 요구되는 것처럼 릴리즈(release)될 수 있도록, 기구가 물에 빠지면 물이 밴드(32)에 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침투하는 것을 보장한다.
상부에서, 접혀진 백(14) 위에서 케이싱(10)은 단부 캡(40)에 의해 닫혀진다. 단부 캡(40)은 각 측면 에지에 인접하는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러그(42)들을 가지며, 이 러그(42)들은 케이싱(10)의 대응하는 대향 측벽들의 상부 근방에 제공된 그루브(44)에 스냅 조임으로 결합가능하다. 이는 백(14)이 부유기로서 전개되지 않는 정상 상태의 경우 단부 캡(40)이 케이싱(10)에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또한 장치가 잠길 때 백(14)이 팽창하면 단부 캡(40)의 즉각적인 방출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러한 즉각적인 방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추가 안쪽 판(46)이 백(14)과 단부 캡(40) 사이에 제공된다. 이 안쪽 판(46)은 단부 캡(40)의 안쪽 면의 대응하는 중앙 노치에 끼워 맞춰지는 비드(bead) 방식의 중앙 돌출부(48)를 갖는다. 백(14)이 팽창을 시작하는 경우, 압력이 백(14)으로부터 안쪽 판(46)으로 전달되며 압력이 단부 캡(40)에 전달됨에 따라 비드(48)의 중앙 위치에 집중된다. 이는 단부 캡(40)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게 하여 각 측면에서의 각각의 러그(42)들이 동시에 릴리즈되고 단부 캡(40)은 전체적으로 안쪽 판(46)과 함께 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들어 올려진다.
상술한 기구의 작동방식이 이제 명백해 질 것이다. 기구가 물에 떨어지면, 물은 다수의 개구(38)를 통해 케이싱(10)에 침투되고 밴드(32)가 파열되어, U자 형상 스프링(30)을 릴리즈시켜서 파지 아암(31)들이 관형상 밸브 부재(19)의 플랜지(25)로부터 떨어져 멀리 이동한다. 관형상 부재(19)는 따라서 릴리즈되어 나선형 스프링(22)에 의해 위쪽으로 즉시 가압되어, 밸브(16)를 개방시키고 가스가 용기(12)로부터 백(14)으로 통과하여 백을 팽창시킨다. 단부 캡(40)은 방금 서술한 방식으로 케이싱(10)에서 떠밀려진다. 팽창백(14)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완전히 전개된 부유기를 가진 기구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약 10 내지 15 cm3의 가스 용량을 갖는 용기(12)를 포함하여, 전체 체적이 약 20 cm3인 작은 기구로부터, 적어도 1.5 리터 (그리고 통상 1.75 내지 2 리터)의 용량을 갖는 팽창백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팽창백은 약 1kg까지의 중량을 갖는 물품을 뜨기 쉽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보이도록 수면 위에 충분한 풍선부분을 남긴다.
이상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다양한 변형예가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능하다.
하나의 특별한 수정 실시예의 경우, 이 실시예는 다른 관점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데, U자형상의 스프링이 인장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의해 칼라(25) 후방에서 결합되어 밸브(16)를 그 하부의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 파지 아암들을 서로를 향하여 가압시키는 경향을 통상 갖는 다른 타입일 수 있다. 밴드(32)는 다른 밴드로 대체되거나 또는 패드 또는 다리부들과 용기(12) 사이에서 U자형상의 스프링의 다리부들의 안쪽으로 장착된 하나 이상의 패드로 대체되는데, 이 밴드나 패드(들)는 물이 들어가면 부풀어서 다리부들과 파지 아암들을 강제로 떨어뜨려 놓고 백(14)의 팽창을 위해 밸브(16)를 릴리즈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기구에 물품을 부착하는 다른 또는 추가적인 수단은 케이싱(10)에 장착된 고접착성 접착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이런 기구들 다수가 배에 싣고 내릴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등의 무거운 물품들을 위한 부력 부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기구들 몇개는 부력 안전성을 요구하는 물품에 이격된 위치들에서 부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중량이 10kg 까지의 물품들이 이런 타입의 복수의 부유기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무거운 물품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큰 부유기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관된 진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빠르고 확실한 물의 침투를 보장하는데 필요한 케이싱의 개구들을 가리거나 덮지 않고 (이는 백의 빠른 팽창과 부유기의 전개를 위해 필요함) 접착 재료의 패드 또는 패드들의 부착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케이싱 둘레에 장착된 추가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피는 케이싱에 확고하게 클립고정되거나 걸림고정될 수 있지만, 케이싱의 적 어도 일부 개구 열에 접근가능하게 내버려 두기 위하여 케이싱 둘레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이와 달리 케이싱의 개구를 통해 케이싱에 물이 들어가게 갭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페이서 수단이 외피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10은 기구의 특별한 변경예를 나타내는데, 이 변경예에서는 전개된 부유기가 어둡거나 빛이 약한 상태에서 눈에 띄도록 하기 위하여 작은 LED 유닛(50)의 형태를 갖는 조명기구가 팽창백(14')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유닛(50)은 하우징(56)에 장착된 3개의 버튼 셀(button cell) 밧데리(54)와 고강도 LED(52)를 구비한다. 하우징(56)은 백(14')의 바깥으로부터 비드(58) 위로 끼워맞춰진 오링(59)에 의해, 백(14')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팽창하는 동안 가스가 인입되는 목부(15')로부터 떨어져서 그리고 목부(1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게 하는 비드 형상의 돌출부(58)와 함께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하지 않은 유리한 변경예에 있어서, 탄성 재료로 된 오링은 커다란 추가 루프(loop)와 함께 형성되는데, 이 루프는 처음 상태에서 기구의 케이싱(10')에 적절히 접혀져 넣어질 수 있다. 이 커다란 루프는 일단 단부 캡(40')이 벗겨지면 자동적으로 펼쳐질 것이고 선박 갈고리(boat hook) 등을 사용하여 전개된 부유기구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LED 유닛(50)에 대해서는, 회로를 끊기 위하여 LED(52)와 밧데리(54)들을 위한 접점들 사이에서 초기에 돌출하는 절연재료(53)의 스트립이 제공된다. 이 스트립(53)의 일단은 또한 장착판(35')을 통해 뻗어있는 백(14')의 목부(15')에 설치되 어 있다. 따라서, 백(14')이 팽창함에 따라 스트립(53)이 자동으로 접점들 사이에서부터 물러난다. 밧데리(54)와 LED(52) 사이의 회로가 완결되고 LED에 불이 들어온다. 임의선택사항으로서, 적절한 회로수단이 LED(52)의 간헐적인 조사를 위해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가능한 밧데리 수명을 크게 연장시킨다.
다른 모든 점에서 도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1 내지 도9의 실시예와 같고 같은 참조번호가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추가 수정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전송기가 LED 유닛은 물론 LED 유닛을 대신하여 팽창백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11, 도12 및 도13은 3개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각각은 닫힌 상태로 밸브(16)를 보지하기 위한 다른 유지수단과,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밸브(16)가 개방되도록 하는 다른 릴리즈 수단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유지수단의 릴리즈를 가져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물에 반응하는 재료 밴드를 사용한다.
도11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22)에 의해 개방위치로 가압되는 관형상 밸브부재(19)를 갖지만, U자형 스프링(30)에 의해 유지되는 대신에 이 밸브부재(19)는 판(60)에 의해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해 유지되며, 판은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용기(12) 주위로 연장되는 2개의 물에 반응하는 밴드(62)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이 밴드(62)들은 이전 실시예의 밴드(32)들에 대해 전술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치는 이전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제조하는 동안 조립 목적을 위하여 더 간단하고, 특별한 U자형 스프링의 사용을 피하지만 작동에 있어서 동등하게 효과적이다.
도12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22)에 의해 개방위치로 가압되는 관형상 밸브부재(19)도 갖는다. 이 경우에, U자형 스프링(30)은 일단이 용기(12)의 벽에 (65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플랜지나 칼라(25) 후방의 밸브부재(19) 주위로 맞물리는 레버(lever; 64)로 대체된다. 레버(64)는 물에 반응하는 단일한 밴드(66)에 의해 스프링(22)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유지되는데, 밴드(66)는 다시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용기(12) 주위로 뻗어있다. 이는 도11의 실시예보다 조립 목적에 대하여 더 간단하다. 기구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밸브(16)가 일측에 위치되고, 밴드(66)가 중심 근방에 위치된다.
다른 가능성은 레버(64)가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다른 쪽에서, 즉 밸브(16)의 위치에 근접하여 용기(1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데, 밴드(66)는 그 자유단에 더 근접하여 레버(64)를 유지한다. 이런 점에서, 밸브부재(19)는 백(14)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하여 매우 작은 거리를 상승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11과 도12의 실시예는 도10의 실시예와 같고 같은 참조번호가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 사용된다.
도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 모두에 비하여 상당히 다른 배치를 갖는데, 관형상 밸브부재(19)가 닫힌 상태로 가압된다. 이는 부재(19)의 단부 근처의 플랜지(27')와 컵 형상의 밸브본체(26)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22')에 의해 달성된다. 레버(68)는 일단이 용기(12)의 벽에 (69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다. 밸브(16)가 도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측에 위치된다. 도13에 있어서, 밸브(16)는 레버 부착물(69)에 근접해서 도시되어 있다. 레버(68)는 백(14')에 연결되는 링(24) 아래에서 또는 임의의 적절하게 제공된 다른 플랜지 아래에서 밸브부재(19)와 맞물린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선형 스프링(70)은 용기(12)의 윗벽(13)과 레버(68) 사이에 장착된다. (A, B)로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프링(70)은 상부와 하부의 장착판(71, 72) 사이에 위치된다. 상세도(A)에는 이 판들(71, 72)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물에 반응하는 밴드(74)에 의해 압축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유닛으로서, 밴드(74)에 의해 둘러싸인 이 압축된 스프링(70)은 기구를 조립할 때 윗벽(13)과 레버(68) 사이에 위치된다. 기구가 물에 잠기면 밴드(74)가 상세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되고 스프링(70)이 레버(68)를 위쪽으로 밀어서 스프링(22)의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밸브(16)를 개방시킨다.
다른 모든 점에서 다시 도13의 실시예는 도10의 실시예와 같고 같은 참조번호가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변형예들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특히, 컴퓨터 등의 커다란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및 비례하여 커다란 팽창백과 커다란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도시된 실시예들에 비하여 상당히 큰 기구가 제조되어 10kg 이상의 무게가 물에 잠길 때 하나의 기구에 의해 물에 떠있게 지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예제, 임의의 특별한 태양과 연계되어 설명된 특징들이 그 사이에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와 예제, 다른 태양으로 응용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5)

  1. 부유기구로서,
    대체로 방수이고 공기가 침투할 수 없는 재료로 된 팽창백과, 압축가스의 용기와, 용기에 피결합되고 기구가 물에 잠길 때 용기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가스가 용기로부터 나와 백을 팽창시키는 트리거(trigger) 수단과, 백과 용기와 트리거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싱, 및 기구를 다른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 수단은 용기에 장착되고 용기를 팽창백에 연결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끔 작동하는 유지수단, 및 물과 접촉할 때 유지수단을 릴리즈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기능하는 물에 반응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부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되어 있고 압축가스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인, 부유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에 반응하는 수단은 적어도 일부분이 물에 반응하는 재료의 밴드를 구비하는, 부유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개방상태로 스프링 가압 되는, 부유기구.
  5.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밸브로부터 떨어져 용기의 끝 주위에 뻗어있으며 밸브와 맞물리는 대향하는 파지 아암을 갖는 U자 형상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부유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물에 반응하는 수단은 그 아암들이 밸브와 맞물린 상태로 용기 주위의 제위치에 U자형 스프링을 유지하는, 부유기구.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레버를 구비하는 부유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재료의 밴드는 용기 주위로 뻗어있고 개방상태로 밸브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작용에 대하여 레버를 유지하는, 부유기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밸브를 닫힌 상태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보유기구.
  10. 제3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재료의 밴드가 릴리즈될 때까지 압축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 스프링 주위에 뻗어있으며, 상기 제2 스프링은 릴리즈될 때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극복하여 밸브가 개방되도록 작용하게 배치된, 부유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제2 스프링과 밸브 사이에 제공되는, 부유기구.
  12.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에 반응하는 수단은 전분질 폴리머 재료를 구비하는, 부유기구.
  13.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은 가스 용기에 일체로 형성된 탭을 구비하는, 부유기구.
  14.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은 케이싱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고접착성 접착 패드를 구비하는, 부유기구.
  15.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기다란 개구들의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열들을 구비하는, 부유기구.
  16.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기구가 팽창백 내부에 장착되는, 부유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조명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밧데리로 전원공급되는 광방출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상기 밧데리는 백이 팽창시에 LED에 자동으로 연결되 는, 부유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절연재료의 스트립이 초기에는 밧데리 또는 밧데리들과 LED 사이에 위치되고, 백이 팽창할 때 밧데리 또는 밧데리들과 LED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부터 자동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스트립은 백의 목부에도 연결되는, 부유기구.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기구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백 외부로부터 상기 돌출부 위로 끼워 맞춰지는 오링 또는 클립에 의해 팽창백 내부에 부착되는, 부유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또는 오링은 추가 루프를 구비하여 기구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부유기구.
  21.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팽창백위에 겹쳐지며 백이 팽창할 때 분리가능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케이싱에 장착되는 단부 캡 형태의 폐쇄부를 갖는, 부유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팽창백과 단부 캡 사이에 장착된 릴리즈 판을 포함하고, 이 릴리즈 판은 단부 캡의 중앙 위치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부유기구.
  23.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을 부분적으로만 둘러싸고 그리고 그 위에 다른 물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장착되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부유기구.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케이싱 주위에 장착되며 그 위에 다른 물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장착되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부유기구.
  25. 상술한 바와 같고 도1 내지 도9에 도시되거나 도10 내지 도13 중 하나에서 수정된 바와 같은 부유기구.
KR1020087021279A 2006-02-02 2007-02-01 부유 기구 KR101442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02087.9 2006-02-02
GB0602087A GB2434777B (en) 2006-02-02 2006-02-02 Automatically inflatable flotation device
PCT/GB2007/000315 WO2007088347A1 (en) 2006-02-02 2007-02-01 Flot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579A true KR20080096579A (ko) 2008-10-30
KR101442267B1 KR101442267B1 (ko) 2014-09-23

Family

ID=3610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279A KR101442267B1 (ko) 2006-02-02 2007-02-01 부유 기구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430704B2 (ko)
EP (2) EP2420437B1 (ko)
JP (1) JP5603015B2 (ko)
KR (1) KR101442267B1 (ko)
CN (1) CN101378954B (ko)
AT (1) ATE541779T1 (ko)
AU (1) AU2007210903B2 (ko)
CA (1) CA2642006C (ko)
CY (1) CY1112801T1 (ko)
DK (2) DK2420437T3 (ko)
ES (2) ES2379496T3 (ko)
GB (1) GB2434777B (ko)
MX (1) MX2008010052A (ko)
PL (1) PL1979226T3 (ko)
PT (2) PT2420437E (ko)
SI (1) SI1979226T1 (ko)
WO (1) WO2007088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43B1 (ko) * 2017-11-17 2018-06-15 대한민국 이동성이 향상된 구명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2031D0 (en) * 2010-02-08 2010-03-24 Seatriever Internat Holdings L An attachment device
CN102556287B (zh) * 2010-12-16 2016-04-27 上海摩西海洋工程有限公司 非机械式浮潜标浮沉结构
US8636383B2 (en) * 2011-02-10 2014-01-28 Juan Carlos Casas Laser signaling buoy and method of using
US20150157073A1 (en) * 2012-06-04 2015-06-11 Switlik Parachute Company, Inc. Neck Seal Tension Relief 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GB2507292B (en) * 2012-10-24 2018-09-05 Seatriever International Holdings Ltd An immersion sensitive automatic floatation device
US8961250B2 (en) * 2013-03-13 2015-02-24 Otter Products, Llc Self-inflating device
GB2525394A (en) * 2014-04-22 2015-10-28 Seatriever Int Holdings Ltd Self Inflating Balloon
US10253954B2 (en) 2015-11-16 2019-04-09 Banner Engineering Corp. Longitudinal stress mitigation for elongate LED luminaires
US9487279B1 (en) 2016-05-12 2016-11-08 Richard Sadu Frehm Signaling apparatus for coupling to an emergency flotation device
FR3065196B1 (fr) * 2017-04-14 2019-12-13 Thales Bouee
FR3065197B1 (fr) * 2017-04-14 2020-04-03 Thales Bouee
CN108327868B (zh) * 2018-01-15 2019-09-24 山西大学 一种用于水下设备水面回收的发光示位装置
US10236930B1 (en) * 2018-07-25 2019-03-19 Donald M. Ferraro Automatically activated flotation device for use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9878660A (zh) * 2019-04-04 2019-06-14 北京九天利建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沉水自动浮离定位装置
US11465549B2 (en) * 2019-09-18 2022-10-11 Usa Products Group Floating load tension assembly with high visibility
US11958585B1 (en) 2020-11-25 2024-04-16 Ltag Systems Llc Midair deployment of aerostats
US11964748B1 (en) 2021-01-27 2024-04-23 Ltag Systems Llc Remote generation of lifting gas
US11866196B1 (en) * 2021-06-03 2024-01-09 Ltag Systems Llc Payload deployment from aerostats
US20230018323A1 (en) * 2021-07-07 2023-01-19 Alan Rex Norris Fishing rod and reel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system
US20230286623A1 (en) * 2022-03-09 2023-09-14 Thomas Ellis Stanley Haskins Anti-sink instant flotation device for boats, ships, barges, airplanes, etc.
CN115092979B (zh) * 2022-06-17 2024-06-07 陕西赛尔斯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水环境治理的水质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9303A (en) 1949-06-11 1952-11-25 Martin Harry Martin Signal buoy balloon
US2821725A (en) * 1956-08-20 1958-02-04 James T Harper Flotation device
US2994892A (en) * 1959-10-02 1961-08-08 Jean B O Paradis Automatic outboard motor guard
US3390409A (en) 1965-09-13 1968-07-02 Hydro Space Corp Lifesaving buoy
JPS5125917Y1 (ko) * 1969-09-01 1976-07-01
JPS5221445Y2 (ko) * 1971-12-01 1977-05-17
JPS547126Y2 (ko) * 1974-08-16 1979-04-04
JPS5125917A (ja) 1974-08-28 1976-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oroidarugatahenkoyooku
AU8734582A (en) * 1981-06-04 1982-12-07 Pharmasol Corp., The Dispensing system
JPS6043800U (ja) * 1983-08-31 1985-03-27 日研化工株式会社 ガス取出部材支持装置
US4586456A (en) * 1984-06-01 1986-05-06 Forward Ross M Inflatable balloon distress marker having small article containing compartment therein
US4578041A (en) * 1984-08-20 1986-03-25 Trip-Saver Inc. Water actuated inflatable float device
DE3518062A1 (de) * 1985-05-20 1986-11-20 Rainer 8963 Waltenhofen Achterholt Schluesselanhaenger
DE3702448A1 (de) * 1987-01-28 1988-08-11 Juergen Boffer Vorrichtung zur anzeige von im wasser schwimmenden objekten
JPS6445599A (en) 1987-08-12 1989-02-20 Hitachi Ltd Method of boring green sheet
JPS6445599U (ko) * 1987-09-17 1989-03-20
JP2787106B2 (ja) * 1989-06-29 1998-08-13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ドアの解放機構
US4970242A (en) * 1989-08-18 1990-11-13 Nationwide Industries, Inc. Anhydrous, nonflammable tire sealer and inflator
JPH0414595U (ko) * 1990-05-29 1992-02-05
JPH0640377A (ja) * 1991-11-15 1994-02-15 Isamu Oomuta 浮き袋付き救命用自動発光装置とスイッチ
US5210525A (en) * 1992-01-08 1993-05-11 Lennon Geoffrey B Floating key finder
US5199374A (en) * 1992-01-23 1993-04-06 Paul Blanchette Aerial location self-actuating emergency sea surface marker for capsized vessels
FR2733482B1 (fr) * 1995-04-28 1997-07-04 Maffre Etienne Dispositif de reperage et/ou de renflouement en milieu liquide
US6036559A (en) * 1998-10-16 2000-03-14 Arnold; David R. Flotation device for a submerged article
US6482065B1 (en) * 2000-03-09 2002-11-19 John A. Blackman Inflatable object that contains a module that is inaccessible from the outside but which becomes powered in response to inflation of the object
DE20020776U1 (de) 2000-12-07 2001-02-22 Shen Julian S Tragbare Notrufvorrichtung und Schwimmweste mit derselben
KR20020027295A (ko) * 2001-12-13 2002-04-13 주식회사 나은텔레콤 휴대단말기의 자동 부상장치
JP3091738U (ja) * 2002-07-29 2003-02-14 方舟防護科技股▲ふん▼有限公司 水との接触によりエアバッグに自動的に気体を充填する装置
JP4118656B2 (ja) * 2002-11-19 2008-07-1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膨脹救命胴衣
US6755708B1 (en) 2002-12-18 2004-06-29 Mclarty L. Scott Flotation device
NL1022235C2 (nl) 2002-12-20 2004-06-22 Jeroen Vincent Van Mil Drijf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GB2406265A (en) * 2003-09-23 2005-03-30 Richard Taylor A buoyant keyring or key fob
CN2690287Y (zh) * 2004-04-06 2005-04-06 陈庆富 溺水救生器
US7261606B2 (en) * 2005-12-14 2007-08-28 Eric Mickelson Flot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43B1 (ko) * 2017-11-17 2018-06-15 대한민국 이동성이 향상된 구명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420437E (pt) 2013-10-17
PT1979226E (pt) 2012-03-27
EP2420437B1 (en) 2013-07-17
DK1979226T3 (da) 2012-05-07
JP5603015B2 (ja) 2014-10-08
EP1979226A1 (en) 2008-10-15
AU2007210903B2 (en) 2011-09-22
WO2007088347A1 (en) 2007-08-09
ES2379496T3 (es) 2012-04-26
CA2642006C (en) 2013-07-02
CN101378954A (zh) 2009-03-04
AU2007210903A1 (en) 2007-08-09
US20110104967A1 (en) 2011-05-05
ATE541779T1 (de) 2012-02-15
US8430704B2 (en) 2013-04-30
GB2434777B (en) 2010-11-24
MX2008010052A (es) 2009-02-06
SI1979226T1 (sl) 2012-05-31
CA2642006A1 (en) 2007-08-09
JP2009525226A (ja) 2009-07-09
DK2420437T3 (da) 2013-10-28
CN101378954B (zh) 2011-09-07
EP2420437A1 (en) 2012-02-22
EP1979226B1 (en) 2012-01-18
GB0602087D0 (en) 2006-03-15
CY1112801T1 (el) 2016-02-10
KR101442267B1 (ko) 2014-09-23
ES2428728T3 (es) 2013-11-11
GB2434777A (en) 2007-08-08
PL1979226T3 (pl)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6579A (ko) 부유 기구
US7261606B2 (en) Flotation apparatus
KR20080090604A (ko) 개인 휴대용 구명정
KR100691313B1 (ko) 수상 구명 장치
KR20170003144U (ko)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KR101914230B1 (ko) 기체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팽창형 구명 장치
US10757238B1 (en) Cell phone attachment
US10343751B2 (en) Water rescue device for personal items
KR102153627B1 (ko) 투척용 팽창 구명볼
GB2507292A (en) An immersion sensitive automatic floatation device
KR100763511B1 (ko) 수상 구명용 격발 장치
KR101982685B1 (ko) 조난용 구명동의
KR102153628B1 (ko) 탄성 팽창 부력체
WO2004063003A1 (en) Release mechanism
KR200184284Y1 (ko) 손목시계식 수난 구조용 부구
KR20120001481U (ko) 휴대용 수난구조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