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103A - 도어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103A
KR20080096103A KR1020070041084A KR20070041084A KR20080096103A KR 20080096103 A KR20080096103 A KR 20080096103A KR 1020070041084 A KR1020070041084 A KR 1020070041084A KR 20070041084 A KR20070041084 A KR 20070041084A KR 20080096103 A KR20080096103 A KR 2008009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ixed hook
hook
movable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브 filed Critical (주)비브
Priority to KR102007004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103A/ko
Publication of KR2008009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공(334)이 형성된 하우징(332)을 구비하며, 관통공(211)과 하나 이상의 고정홀(215)이 형성된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관통공(211)을 통하여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걸림돌기(223), 하부걸림부(225), 하단부(227)를 구비하는 고정후크(220)와; 상기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동로드(235)와;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을 통하여 삽입된 가동로드(235)에 가동로드(23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수단(260)에 의하여 고정되며 록킹부(243)를 구비하는 록킹레버(240)와; 일단은 고정후크(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210)에 연결되는 제1탄성수단(250)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록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220)의 하부걸림부(225)에는 요홈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226)에는 분리편(228)이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편(228)을 요홈부(226)에 밀착시키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수단(22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에 관한 것으로; 고정후크(220)가 언록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고정후크(220)와 조작암(50) 사이에 간섭이 감소하고 잠금 시 조작암(50)에 의한 모멘트가 분리편(228)에 의하여 고정후크(220)로 전달되어 조작암(50)의 회전만으로 고정후크(220)가 록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록킹레버(240)의 회전으로만 고정후크(220)가 자동으로 언록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별도로 고정후크(220)를 조작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고정후크(220)를 록킹 상태로 회전시키면 록킹레버(240)가 잠김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별도의 잠금 동작 없이도 고정후크(220)가 자동 잠김이 되며,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간단하게 가동로드(235)의 회전 각도를 한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고정후크, 록킹레버, 분리편

Description

도어록킹 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s Carrying Materials}
도 1은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의 도어잠금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킹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로서,
도 3a는 록킹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b는 언록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c는 스프링의 상태 모드에 따른 변화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정면도로서,
도 4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록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되는 언록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고정후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가동로드와 고정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본체의 하우징을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잠김 해제 상태로 작동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잠김 해제 상태로 작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잠김 상태로 작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에서 제1 탄성수단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도어록킹 장치 210 : 몸체부
211 : 관통공 213 : 격벽
215 : 고정홀 220 : 고정후크
221 : 힌지축 222 : 회전축
223 : 상부걸림돌기 224 : 돌출편
225 : 하부걸림부 226 : 요홈부
227 : 하단부 228 : 분리편
229 : 제2 탄성수단
231 : 돌출부 233 : 턱부
235 : 가동로드 237 : 돌기부
250 : 제1 탄성수단 261 : 고정캡
262 : 나사 332 : 하우징
334 : 안내공 336 : 단턱부
338 : 안내홈부
본 발명은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잠금 및 고정후크 자동 개방 기능을 구비하며, 고정후크 자동 개방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또는 냉동상태가 유지되어야 할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이나 이삿짐 운반용 차량 등 탑차라고 불리는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가 물품운반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적재함은 일반적으로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특장차의 폐쇄형 적재함은 여닫이방식으로 적재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후방에 경첩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좌우의 두 도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라 하겠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형 적재함(5)을 개폐하는 좌우의 두 도어(1, 2)는 폐쇄시 서로 인접하게 되는 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할 수 있는 잠금봉(30)을 구비하여 도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적재함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도어(1)를 먼저, 닫은 상태에서 우측 도어(2)를 그 가장자리가 좌측 도어(1)의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형태로 닫도록 하고, 각 도어의 잠금봉(30)을 선회시켜 각 잠금봉(30)의 하단 또는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도어후크(35)가 대응하는 적재함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도어후크 수용부(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좌우의 도어(1, 2)가 적재함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잠금봉(30)에는 일정 높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며 그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조작암(50)을 구비하여 잠금봉(30)의 선회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조작암(50) 자체의 잠금봉(30)에 대한 일정각도 범위(α)에서의 선회를 위하여, 조작암(50)은 잠금봉(3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잠금봉(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조작암(50)은 일정각도 이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A)에서 도어의 수직평면을 향해 미는 방식으로 잠금봉(30)을 선회시킴으로써 잠금봉에 구비된 도어후크(35)가 대응하는 도어후크 수용부(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좌우의 도어가 적재함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져 도어록킹 장치(100)에 의한 구속상태(B)에 이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작암(50)은 잠금봉(30)과 직각인 상태, 다시 말해 수평으로 위치함과 더불어 도어에 밀착되어 도어 평면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록킹 장치(100)에 의한 구속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도어록킹 장치(100)는 열쇠를 통해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잠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없는 한 조작암(50)이 구속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도록 하고, 이와 같은 조작암(50)의 구속으로 잠금봉(30)을 선회시키는 조작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1, 2)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적재함(5) 내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10)와, 수평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후크(120)와, 고정후크(120)를 열림 또는 잠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어셈블리(1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후크(1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하여, 양측방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힌지축(121)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상단부에서 몸체부(110)를 향해 돌출하는 상부걸림돌기(123) 및 상부걸림돌기(123) 아래로 일정 거리의 위치에서 역시 몸체부(110)를 향해 돌출하는 하부걸림돌기(125)를 구비하며,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일 때 상부걸림돌기(123)와 하부걸림돌기(125) 사이의 공간에 이상에서 설명한 조작암(50)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키 어셈블리(130)는 열쇠(180)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에 내장되어 열쇠 조작과 더불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는 가동로드(135) 및 가동로드(135)의 단부에 고정되어 가동로드(135)와 함께 회전하는 록킹레버(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록킹레버(140)는 수직면(141)과 수평면(143)이 'ㄱ'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수직면(141)은 가동로드(135)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위치하게 되고, 수평면(143)은,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상기의 고정후크(120) 하단부(127)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여 고정후크(120)의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록킹레버(140)는 열쇠(180)를 삽입하여 가동로드(135)를 회전시킬 때 함께 회전함으로써,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수평면(143)이 고정후크(120)의 개방을 차단하는 상태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후크(120)가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개방됨으로써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록킹레버(140)은 가동로드(135) 말단에 삽입하고 고정클립(160)을 말단에 끼워 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쇠(180)를 이용하여 가동로드(135)를 회전시키 면, 가동로드(135)와 함께 고정후크(1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있는 록킹레버(14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고정후크(120)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후크(120)의 상부를 당기거나(도 3a에서 우측으로 당김), 고정후크(120)의 하부를 미는 경우 고정후크(120)는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상태로 회전하여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150)은 도 3c에 도시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스프링(150)은 상하 양단이 각각 고정부(151)와 설치부(153)에 고정되는바, 최초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힘 상태 즉, (a)상태에서 고정후크(120)가 회전함에 따라 (b)상태로 점차 압축되어 간다. (b)상태에서 스프링(150)의 반발력은 최대가 되며, 곧이어 고정후크(120)가 도 3b에 도시된 열림 상태로 된 때, 압축스프링(150)은 (c)상태로 부분 복원되면서 고정후크(120)를 가압하여 고정후크(12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후크(120)의 측면이 록킹레버(140)에 걸리므로 록킹레버(140)는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록킹레버(140)와 함께 회전하는 가동로드(135)도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암(50)을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우측 도어(2)를 개방하고, 이어서 좌측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되고, 도어(2 및/또는 1)를 개방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내리게 된다. 열림 상태에서 적재 또는 하차 작업을 하는 도중에 가동로드(135)에 삽입된 열쇠(180)는 파손되거나 손상을 받을 염려가 있으므로, 열림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열림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좌우측 도어(1, 2)를 차례로 닫고, 우측 도어(2)에 설치되는 조작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후크(120)의 상부걸림돌기(123)와 하부걸림돌기(125) 사이에 위치시키고, 고정후크(120)를 원위치(도 3b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열쇠(180)를 가동로드(135)에 삽입하고, 록킹레버(140)와 함께 가동로드(135)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잠김 상태로 다시 회전시키고 가동로드(135)로부터 열쇠(180)를 인출하여, 잠금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록킹 장치(100)는, 잠김 상태에서 열쇠(180)로 가동로드(135)와 함께 록킹레버(140)를 회전시켜 도 4b와 같은 잠김 해제 상태로 한 후 고정후크(120)를 수동으로 도 3a 상태에서 도 3b 상태로 회전시켜야 하였으며, 고정후크(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하부걸림돌기(125)의 상면(125a)과 조작암(5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였으며, 따라서 고정후크(120)를 회전시키는데 큰 외력이 필요하여 자동 회전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을 완료하고 도어를 다시 닫을 때에는 조작암(50)을 고정후크(120) 내부에 구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열쇠(180)를 다시 삽입하여 조작해야만 도어를 잠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고, 따라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잠김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물의 낙하나 도난 우려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 명은 고정후크가 언록 상태로 회전할 때 고정후크와 조작암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며, 가동로드와 함께 록킹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고정후크를 언록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작업 완료 후에 고정후크를 록킹 상태로 회전하기만 하면 자동 잠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관통공과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을 통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걸림돌기, 하부걸림부, 하단부를 구비하는 고정후크와; 상기 하우징의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동로드와; 하우징의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된 가동로드에 가동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록킹부를 구비하는 록킹레버와; 일단은 고정후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에 연결되는 제1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후크의 하부걸림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분리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편을 요홈부에 밀착시키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부걸림부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편은 상기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록킹레버는 가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열림 방향으로 록킹 레버가 회전할 때 고정후크가 언록 상태로 회전하도록 고정후크의 일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에 연결되어 록킹레버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제3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동로드는 열쇠에 의하여 출몰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안내공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며 단차면을 가지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가동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상기 끝단에 삽입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통공을 통과하여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종래 기술과 동등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적인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록킹 장치에서 고정후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록킹 장치에서 가동로드, 나사, 고정캡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배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6은 잠김 해제 상태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잠금 상태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2는 제1 탄성수단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는 몸체부(210)와, 고정후크(220)와, 가동로드(235)와, 록킹레버(240)와, 제1 탄성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가동로드(235)가 삽입 설치되는 안내공(334)이 형성된 하우징(33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후크(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후크(220)의 일측이 몸체부(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몸체부(210)를 적재함 등에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홀(2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후크(2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몸체부(210)의 외측으로, 일부는 몸체부(210)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몸체부(210)의 관통공(211)에 설치되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221)은 몸체부(210)에 고정 설치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221)을 몸체부(2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브랭킷(290)을 몸체부(2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서 291은 브랭킷(290)을 몸체부(210)에 고정 설치하게 위한 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후크(2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걸림돌기(223), 하부걸림부(225), 하단부(227)를 구비하며, 조작암(50)은 상기 상부걸림돌기(223)의 하면(223a)과 하부걸림부(225)의 상면(225a) 사이에 위치하여 잠김 상태로 유지되며, 잠김 상태에서 상기 록킹레버(240)가 하단부(227)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정후크(2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에서 고정후크(220)의 하부걸림부(225)에는 요홈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226)에 분리편(22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리편(228)은 요홈부(226)의 좌 우측으로 삽입되어 분리편(228)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걸림부(225)의 상면(225a)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편(228)의 일부는 상면(225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226)와 분리편(228) 사이에는 분리편(228)을 요홈부(226)의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수단(229)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탄성수단(229)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2)에 설치되며 일측은 요홈부(226)의 측면과 접하고, 타측은 분리편(228)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수단(250)의 일측은 고정후크(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부(210)에 연결 고정된다. 브랭킷(290)을 본체부(210)에 설치하여 고정후크(22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수단(250)의 타측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랭킷(29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랭킷(290)에 고정하는 경우 브랭킷(290)에 구멍(253)을 형성하고 타측을 구멍(253)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후크(220)에 고정부(251)를 형성하고 제1 탄성수단(250)의 일측을 고정부(251)에 고정 연결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고정부(251)는 회전축(221)과 일치하지 않도록 형성한다.
제1 탄성수단(250)의 작동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힌지축(221)과 구멍(253) 사이에 고정부(251)가 위치하는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도 22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경우 압축스프링을 사용한다. 고정후크(220)가 록킹 상태에서 제1 탄성수단(250)은 (a)에 위치하며, 록킹 해제를 위하여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탄성수단(250)은 일측은 구멍(253)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부(251)와 함께 (a)위치에서 (b)위치를 지나 (c)위치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변하게 된다. (a)위치에서 (b)위치로 회전하면서 길이가 감소하여 압축되면서 회전을 억제하며, (b)위치에 이르면 최소 길이로 압축되고 (b)위치에서 (c)위치로 회전하면서 다시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탄성수단(250)은 고정후크(220)가 록킹 상태 또는 언록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구멍(253)과 고정부(251) 사이에 힌지축(221)이 위치하는 경우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키면 제1 탄성수단(250)의 길이는 증가였다가 감소하므로 인장스프링을 사용한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에서 가동로드(235)는 몸체부(210)에 구비되는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에 삽입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열쇠에 의하여 출몰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31)와, 탄성적으로 출몰 가능한 돌기부(237)를 구비한다. 그리고 하우 징(332) 안내공(334)에는 상기 돌출부(231)에 대응하도록 안내공(334)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부(338)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32) 말단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단턱부(336)를 형성한다. 하우징(332)에 가동로드(235)를 삽입할 때 탄성적으로 출몰 가능한 돌기부(237)를 가압한 상태에서 삽입하며, 삽입되는 가동로드(235)의 돌기부(237)가 단턱부(336)에 위치하면 돌기부(237)는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단턱부(336)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237)가 돌출 연장된 상태에서 가동로드(235)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돌기부(237)가 단턱부(336)의 단턱면(336a)에 접하는 경우 가동로드(235)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가동로드(235)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하우징(332)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가동로드(235)에 고정 설치된다.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240)를 가동로드(235)의 끝단(232)에 삽입하고, 차례로 플랜지(261b)를 구비하는 고정캡(261)을 삽입하고 고정캡(261)에 형성된 통공(261a)을 통하여 끝단(232)에 형성된 나사홈(232a)에 나사(262)를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고정캡(261)은 와셔(Washer)와 같이 플랜지 없이 평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에서 끝단(232)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232b)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면을 록킹레버(240)에 형성함으로써 록킹레버(240)와 가동로드(235)를 확실하게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 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고정클립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의 록킹레버(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김 상태에서 고정후크(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243)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24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김 상태에서 고정후크(220)의 하단부(227)에 위치하여 고정후크(220)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록킹레버(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부(243)와 소정 각도 회전한 방향에 형성되는 가압부(2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280)는 록킹레버(240)가 회전하는 경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0)와 고정후크(220)의 하단부(227) 사이로 경로가 형성되도록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부(280)의 높이는 도 5에서 좌측을 낮게, 그리고 우측을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80)로 제1 탄성수단(250)이 도 22에서 (b)위치를 지나도록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키면, (b)위치를 지나면서 제1 탄성수단(250)에 의하여 고정후크(220)는 가압부(280)의 작용 없이도 (c)위치로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록킹레버(240)와 본체부(210) 사이에는 제3 탄성수단(2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탄성수단(270)은 일측이 하우징(33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격벽(213)에 형성되는 몸체고정부(273)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332)을 1회 이상 감고, 타단은 록킹레버(240)에 형성되는 고정홈(247)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열쇠(180)를 가동로드(235)에 삽입하고(도 3a 참조), 가동로드(235)를 하우징(332) 내에서 회전시키면, 가동로드(235)와 함께 록킹레 버(240)도 회전하고, 록킹레버(240)가 회전하면서 고정후크(220)의 하단부(227)에 위치하고 있던 록킹부(24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220)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로 회전하고, 가압부(280)는 본체부(210)와 하단부(227)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가압부(280)의 좌측보다 우측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므로 가압부(280)가 회전할 때 하단부(227)를 들어올리게 되며,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상태까지 회전하는 경우 고정후크(22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록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조작암(50)은 잠김 해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는 고정후크(220)의 개구부(22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편(228)을 구비하므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언록 상태로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에서 고정후크(220) 상부걸림돌기(223)의 하면(223a)과 하부걸림부(225)의 상면(225a) 사이에 조작암(50)이 위치하며,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키면 상면(225a)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어 설치되는 분리편(228)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분리편(228)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220)가 회전하여도 분리편(228)은 조작암(50)에 일측이 접촉하면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록 상태로 회전한 상태에서 조작암(50)을 들어올리면 분리편(228)은 제2 탄성수단(229)에 의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26)로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록킹 상태에서 언록 상태로 고정후크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고정후크에 의하여 조작암이 소정 높이 들어 올려지므로 고정후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암을 들어올리는데 소요되는 외력도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분리편(228)을 구비하므로 고정후크(220)와 조작암(50)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록킹레버(240)에 구비되는 가압부(280)를 열쇠(180)로 가동로드(235)와 함께 회전시켜 고정후크(220)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 상태로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에 화물 적재 작업이나 하차 작업을 완료한 후에 언록 상태의 고정후크(220)로 조작암(50)을 하강하는 경우 조작암(50)은 고정후크(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편(228)에 접하면서 분리편(228)을 통하여 고정후크(220)에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록킹 방향으로 모멘트를 발생시켜 고정후크(220)를 록킹 방향(도 1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암(50)에 의한 모멘트에 의하여 고정후크(220)가 록킹 방향으로 회전하면 개구부(226)에 의하여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편(228)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225는 브랭킷(290)에 의하여 고정후크(220)가 확실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돌출편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233은 가동로드(235)를 본체부(210)의 하우징(332) 안내공(334)에 삽입할 때 본체부(210)에 걸리도록 형성된 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록킹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잠김 상태에서 가동로드(235)에 열쇠를 삽입하면, 가동로드(235)에 형성되며 하우징(332)의 안내홈부(338)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31)는 가동로드(235) 내로 후퇴하면서 가동로드(235)는 하우징(332)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가동로드(235)를 회전시키면, 가동로드(235)와 함께 록킹레버(240)도 회전한다. 록킹레버(240)가 회전하면 록킹레버(240)에 구비되는 록킹부(243)와 가압부(280)도 회전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43)가 고정후크(220) 하단부(227)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서 가압부(280)는 하단부(227)와 본체부(210) 사이로 삽입되면서 하단부(227)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하단부(227)에 외력을 발생시킨다(도 13 참조). 록킹레버(240)가 회전하면서 가압부(280)에 의하여 고정후크(220)를 회전시킬 때, 고정후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편(228)에 의하여 고정후크(220)와 조작암(50)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이 최소화된다. 계속해서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240)를 회전시켜 도 22에서 제1 탄성수단(250)이 (b)위치를 지나면 제1 탄성수단(250)에 의하여 고정후크(220)는 언록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도 14 및 도 15 참조).
이때 가동로드(235)에 가하는 회전력을 제거하면 제3 탄성수단(270)에 의하여 록킹레버(240)는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43)의 측면이 하단부(227)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잠김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작업 중 열쇠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상태에서도 열쇠가 인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이 완료되어 도어록킹 장치(200)를 잠김 상태로 하는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암(50)을 하강시키고, 하강하는 조작암(50)은 분리편(228)에 접촉하면서 고정후크(220)에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모멘트를 발생시켜 고정후크(220)를 록킹 상태로 회전시킨다. 이때 분리편(228)은 고정후크(220)와 함께 회전하면서 도 19 내지 도 21과 같은 상태로 된다. 한편, 제3 탄성수단(270)에 의하여 일측이 하단부(227)와 접하는 록킹부(243)는 고정후크(220)가 회전하면서 접촉이 소멸하여 록킹레버(240)는 도 5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가동로드(235)의 돌출부(231)가 안내홈부(338)로 위치하여 돌출되면서 잠김 상태로 되어, 고정후크(220)의 회전만으로 자동 잠김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도어록킹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 잠김에 의하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정후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편(228)을 구비함으로써 잠김 해제시 고정후크(220)가 언록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고정후크(220)와 조작암(50) 사이에 간섭이 감 소하고, 잠금 시 고정후크(220)가 록킹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조작암(50)에 의한 모멘트가 분리편(228)에 의하여 고정후크(220)로 전달되어 조작암(50)의 회전만으로 고정후크(220)가 록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록킹레버(240)에 가압부(280)가 구비되어 록킹레버(240)가 잠김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고정후크(220)가 언록 상태로 회전하므로 록킹레버(240)의 회전으로만 고정후크(220)가 자동으로 언록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별도로 고정후크(220)를 조작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제3 탄성수단(270)을 구비함으로써, 고정후크(220)를 록킹 상태로 회전시키면 록킹레버(240)가 잠김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별도의 잠금 동작 없이도 고정후크(220)를 록킹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잠김이 되며; 가동로드(235)의 일측에 돌기부(237)를 구비하고 하우징(332)에 단턱부(336)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간단하게 가동로드(235)의 회전 각도를 한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내공(334)이 형성된 하우징(332)을 구비하며, 관통공(211)과 하나 이상의 고정홀(215)이 형성된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관통공(211)을 통하여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걸림돌기(223), 하부걸림부(225), 하단부(227)를 구비하는 고정후크(220)와; 상기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동로드(235)와;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을 통하여 삽입된 가동로드(235)에 가동로드(23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수단(260)에 의하여 고정되며 록킹부(243)를 구비하는 록킹레버(240)와; 일단은 고정후크(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210)에 연결되는 제1탄성수단(250)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록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220)의 하부걸림부(225)에는 요홈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226)에는 분리편(228)이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편(228)을 요홈부(226)에 밀착시키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수단(22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림부(225)의 상면(225a)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편(228)은 상기 상면(225a)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240)는 가압부(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280)는 잠김 해제 방향으로 록킹레버(240)가 회전할 때 고정후크(220)가 언록 상태로 회전하도록 고정후크(220)의 일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4.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2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210)에 연결되어 록킹레버(24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제3 탄성수단(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을 통하여 삽입되는 가동로드(235)는 열쇠에 의하여 출몰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31)와, 돌기부(237)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32)의 안내공(334)에는 상기 돌출부(231)와 대응하는 안내홈부(338)가 형성되고, 하우징(332)의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237)와 대응하며 단차면(336a)을 가지는 단턱부(3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60)은 가동로드(235)의 끝단(232)에 형성되는 나사홈(232a)과, 상기 끝단(232)에 삽입되며 통공(261a)이 형성되는 고정캡(261)과, 상기 고정캡(261)의 통공(261a)을 통과하여 나사홈(232a)에 나사 결합 되는 나사(2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200).
KR1020070041084A 2007-04-27 2007-04-27 도어록킹 장치 KR20080096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84A KR20080096103A (ko) 2007-04-27 2007-04-27 도어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84A KR20080096103A (ko) 2007-04-27 2007-04-27 도어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03A true KR20080096103A (ko) 2008-10-30

Family

ID=4015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084A KR20080096103A (ko) 2007-04-27 2007-04-27 도어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57A (ko) * 2017-01-12 2018-07-20 윈텍정보(주)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57A (ko) * 2017-01-12 2018-07-20 윈텍정보(주)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9458B2 (ja) ロックユニットおよびロックユニットを備えるトレーボックス
KR20100000831A (ko)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KR20190043256A (ko) 차량용 루프박스의 잠금장치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20080096103A (ko) 도어록킹 장치
US20020000728A1 (en) Box lock that is releasable from inside and outside of box
KR100945079B1 (ko) 다이얼식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러기지 박스 조립체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JP6524287B1 (ja) 収納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
KR20080092066A (ko)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KR100727348B1 (ko) 트럭 적재함용 잠금장치
KR101349045B1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KR101095230B1 (ko) 러기지 박스용 커버의 잠금장치
KR20080059876A (ko)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KR102634623B1 (ko)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0666364B1 (ko) 차량의 2단 센터콘솔 잠금장치
KR102128290B1 (ko) 박스 리드의 록킹구조
KR20040065919A (ko) 적재함의 잠금구조
KR101198668B1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JP3214086U (ja) ハンドル装置
KR100439886B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3917810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格納箱
JPH0518451Y2 (ko)
KR19990011119U (ko) 화물차용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KR200180927Y1 (ko) 트럭의 게이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