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066A -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066A
KR20080092066A KR1020070035439A KR20070035439A KR20080092066A KR 20080092066 A KR20080092066 A KR 20080092066A KR 1020070035439 A KR1020070035439 A KR 1020070035439A KR 20070035439 A KR20070035439 A KR 20070035439A KR 20080092066 A KR20080092066 A KR 2008009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tate
locking lever
hoo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브 filed Critical (주)비브
Priority to KR102007003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066A/ko
Publication of KR2008009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8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with elongated bars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잠금 및 후크 자동 개방 기능을 구비한 도어에 의해 적재공간의 개폐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폐쇄형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록킹 장치(400)는 몸체부(410), 상기 몸체부(410) 상에서 수평의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고정후크(420), 열쇠(460)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가동로드(435)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430), 상기 고정후크(4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킹레버(440), 및 상기 록킹레버(440)를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450)을 포함하는 도어록킹 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430)는 상기 가동로드(435)와 상기 하우징(43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록킹레버(440)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하우징(431)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로드가 원상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복원수단(370), 및 상기 고정후크(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잠김 해제 상태로 고정후크(420)가 회전할 때 고정후크(420)를 열림 상태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회전밀대(4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후크가 잠금 해제시에는 열쇠 조작만으로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잠금 시에는 열쇠를 조작할 필요없이 조작암을 고정후크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하강동작만으로 자동으로 잠금 상태에 이르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적재함 내 부의 물건을 낙하와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고정후크, 록킹레버, 고리형 스프링, 회전밀대,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Description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s Carrying Special Materials}
도 1은 폐쇄형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의 도어잠금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압축스프링을 채용한 도 2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닫힘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c는 압축스프링의 상태 모드에 따른 변화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간섭구조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인장 스프링을 채용한 도 2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닫힘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c는 인장스프링의 상태 모드에 따른 변화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잠금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c는 압축스프링의 상태 모드에 따른 변화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간섭구조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포함되는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잠금 해제 상태의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b는 잠금 상태의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c는 인장스프링의 상태 모드에 따른 변화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간섭구조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잠금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1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회전밀대가 록킹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 9a와 동등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측 도어 2 : 우측 도어
5 : 폐쇄형 적재함 30 : 잠금봉
35 : 도어후크 40 : 도어후크 수용부
50: 조작암 310 : 몸체부
320 : 고정후크 321 : 힌지축
323 : 상부걸림돌기 325 : 하부걸림돌기
329 : 상면 330 : 키 어셈블리
331 : 하우징 335 : 가동로드
340 : 록킹레버 350 : 압축스프링
360 : 열쇠 370 : 고리형 스프링
450 : 인장스프링 480 : 회전밀대
490 : 접촉돌기
본 발명은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잠금 및 후크 자동 개방 기능을 구비한 도어에 의해 적재공간의 개폐가 보다 용이 하게 이루어지는 폐쇄형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또는 냉동상태가 유지되어야 할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이나 이삿짐 운반용 차량 등 탑차라고 불리는 폐쇄형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가 물품운반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장차의 폐쇄형 적재함은 여닫이방식으로 적재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후방에 경첩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좌우의 두 도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라 하겠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형 적재함(5)을 개폐하는 좌우의 두 도어(1, 2)는 폐쇄시 서로 인접하게 되는 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할 수 있는 잠금봉(30)을 구비하여 도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적재함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도어(1)를 먼저, 닫은 상태에서 우측 도어(2)를 그 가장자리가 좌측 도어(1)의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형태로 닫도록 하고, 각 도어의 잠금봉(30)을 선회시켜 각 잠금봉(30)의 하단 또는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도어후크(35)가 대응하는 적재함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도어후크 수용부(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좌우의 도어(1, 2)가 적재함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잠금봉(30)에는 일정 높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며 그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조작암(50)을 구비하여 잠금봉(30)의 선회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조작암(50) 자체의 잠금봉(30)에 대한 일정각도 범위(α)에서의 선회를 위하여, 조작암(50)은 잠금봉(3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잠금봉(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조작암(50)은 일정각도 이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A)에서 도어의 수직평면을 향해 미는 방식으로 잠금봉(30)을 선회시킴으로써 잠금봉에 구비된 도어후크(35)가 대응하는 도어후크 수용부(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좌우의 도어가 적재함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져 도어록킹 장치(100)에 의한 구속상태(B)에 이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작암(50)은 잠금봉(30)과 직각인 상태, 다시 말해 수평으로 위치함과 더불어 도어에 밀착되어 도어 평면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록킹 장치(100)에 의한 구속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도어록킹 장치(100)는 열쇠를 통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없는 한 조작암(50)이 구속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도록 하고, 이와 같은 조작암(50)의 구속으로 잠금봉(30)을 선회시키는 조작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1, 2)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적재함(5) 내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10)와, 수평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후크(120)와, 고정후크(120)를 열림 또는 잠금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어셈블리(1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후크(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하여, 양측방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힌지축(121)을 구비한다. 그리 고 그 상단부에서 몸체부(110)를 향해 돌출하는 상부걸림돌기(123) 및 상부걸림돌기(123) 아래로 일정 거리의 위치에서 역시 몸체부(110)를 향해 돌출하는 하부걸림돌기(125)를 구비하며,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일 때 상부걸림돌기(123)와 하부걸림돌기(125) 사이의 공간에 이상에서 설명한 조작암(50)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키 어셈블리(130)는 열쇠(1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에 내장되어 열쇠 조작과 더불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는 가동로드(135) 및 가동로드(135)의 단부에 고정되어 가동로드(135)와 함께 회전하는 록킹레버(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록킹레버(140)는 수직면(141)과 수평면(143)이 'ㄱ'자 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수직면(141)은 가동로드(135)의 회전축과 직각으로 위치하게 되고, 수평면(143)은,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상기의 고정후크(120) 하단부(127)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여 고정후크(120)의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록킹레버(140)는 열쇠(160)를 삽입하여 가동로드(135)를 회전시킬 때 함께 회전함으로써,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수평면(143)이 고정후크(120)의 개방을 차단하는 상태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후크(120)가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개방됨으로써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쇠(160)를 이용하여 가동로드(135)를 회전시키면, 가동로드(135)와 함께 고정후크(1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있는 록킹레버(14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고정후크(120)는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후크(120)의 상부를 당기거나(도 3에서 우측으로 당김), 고정후크(120)의 하부를 미는 경우 고정후크(120)는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상태로 회전하여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스프링(150)은 도 3c에 도시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압축스프링(150)은 상하 양단이 각각 선회핀(151)과 피벗핀(153)에 걸려 고정되는바, 최초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힘 상태 즉, (a)상태에서 고정후크(120)가 회전함에 따라 (b)상태로 점차 압축되어 간다. (b)상태에서 스프링(150)의 반발력은 최대가 되며, 곧이어 고정후크(120)가 도 3b에 도시된 열림 상태로 된 때, 압축스프링(150)은 (c)상태로 부분 복원되면서 고정후크(120)를 가압하여 고정후크(12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후크(120)의 측면이 록킹레버(140)에 걸리므로 록킹레버(140)는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록킹레버(140)와 함께 회전하는 가동로드(135)도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암(50)을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우측 도어(2)를 개방하고, 이어서 좌측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되고, 도어(2 및/또는 1)를 개방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내리게 된다. 열림 상태에서 적재 또는 하차 작업을 하는 도중에 가동로드(135)에 삽입된 열쇠(160)는 파손되거나 손상을 받을 염려가 있으므로, 열림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열림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좌우측 도어(1, 2)를 차례로 닫고, 우측 도어(2)에 설치되는 조작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후크(120)의 상부걸림돌기(123)와 하부걸림돌기(125) 사이에 위치시키고, 고정후크(120)를 원위치(도 3b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열쇠(160)를 가동로드(135)에 삽입하고, 록킹레버(140)와 함께 가동로드(135)를 잠금 상태로 다시 회전시키고 가동로드(135)로부터 열쇠(160)를 인출하여, 잠금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20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록킹 장치(200)도 도 3의 도어록킹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의 중앙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후크(220)와, 고정후크(220)를 열림 또는 잠금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키 어셈블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압축스프링(150) 대신에 인장스프링(250)을 사용하여 고정후크(220)를 고정하고 있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고정후크(220)는 도 5a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릴 때 도 5c에 도시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인장스프링(250)은 상단이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는 선회핀(251)에, 하단이 피벗핀(253)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바, 고정후크(220)가 닫혀 있는 도 5a의 (a)상태에서 고정후크(2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b)상태로 점차 인장된다. (b)상태에서 인장스프링(250)은 최대로 인장되며, 곧이어 고정후크(220)가 열림 위치에 왔을 때 (c)상태로 되면서 고정후크(220)를 잡아당겨 열림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는, 작업을 완료하고 도어를 다시 닫을 때에는 조작암(50)을 고정후크(120) 내부에 구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열쇠(160)를 다시 삽입하여 조작해야만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잠금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물의 낙하나 도난 우려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조작암(50)을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당겨, 상부로 개방된 열림 상태의 고정후크(12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고정후크(120)의 하부걸림돌기(125)의 상면에 힘을 가해 고정후크(120)가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후크(120)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조작암(50)을 구속하도록 하지만, 조작암(50)을 아래로 당기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고정후크(120)의 하부걸림돌기(125)의 상면에 강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고정후크(120)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정후크(120)가 몸체부에 밀착되어 닫힘 상태에 이르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인위적으로 고정후크(120)의 상부를 눌러줘야만 고정후크(120)가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때, 조작암을 아래로 당겨 고정후크 내부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고정후크가 자동으로 몸체부에 밀착되어 닫힘 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고정후크가 닫힘 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열쇠 조작을 하지 않더라고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닫혀 있는 도어를 열림 상태로 전환할 때에도 키 어셈블리의 가동로드에 돌출되어 있는 개방돌기가 열쇠와 함께 회전하면서 고정후크의 하단부를 안쪽으로 밀도록 하여 키 어셈블리에 삽입한 열쇠를 돌리는 것만으로 고정후크를 잡아당기지 않고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는 도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몸체부, 몸체부 상에서 수평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몸체부를 향해 연장되어 둘 사이에 조작암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걸림돌기 및 하부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고정후크, 몸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어 열쇠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 가동로드 단부에 고정되어 가동로드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고정후크를 강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킹레버, 및 일단부는 고정후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몸체부에 지지되어 상기 록킹레버를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록킹레버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로드가 원상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1회전 이상의 고리형 몸통부와, 몸통부의 양단에서 각각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고정단부를 구비하는 고리형 스프링이며, 두 개의 고정단부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로드 또는 록킹레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고정후크의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상기 고정후크의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작아 지도록 위치결정된 선회핀과 피벗핀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이며, 상기 고정후크의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상기 고정후크의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작아 지도록 위치설정된 선회핀과 피벗핀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한다.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록킹레버 또는 가동로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록킹레버가 잠김 해제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후크를 열림 상태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회전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밀대와 접하는 상기 고정후크의 하단부 빗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후크는 하단부의 내측면 중앙에 단차를 형성하기 위한 접촉돌기가 부착되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록킹레버 수평면의 단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후크는 하단부의 하단면이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후크를 열림 상태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단면과 접촉하는 상기 회전밀대의 내측면은 빗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밀대는 록킹레버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로드와 록킹레버 사이에는 유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닫힘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c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고정후크와 압축스프링 사이의 역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고정후크와 압축스프링의 상태 변화를 과장하여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간섭구조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 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포함되는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잠금 해제 상태의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b는 잠금 상태의 고리형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닫힘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c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고정후크와 인장스프링 사이의 역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고정후크와 압축스프링의 상태 변화를 과장하여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의 고정후크와 록킹레버의 간섭구조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록킹레버가 고정후크의 개방을 차단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록킹레버가 열쇠 조작과 더불어 회전하여 고정후크가 개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닫힘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b는 열림 상태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3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몸체부(310), 이 몸체부(310) 상에서 수평의 힌지축(3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몸체부(310)를 향해 연장되어 둘(323)(325) 사이에서 조작암(50)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걸림돌기(323) 및 하부걸림돌기(325)를 구비하는 고정후크(320), 몸체부(310)에 고정되는 하우징(331)과 하우징(331)에 내장되어 열쇠(360)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가동로드(335)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330), 가동로드(335) 단부에 고정되어 가동로드(335)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고정후크(320)를 강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킹레버(340), 및 일단부는 고정후크(3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몸체부(310)에 지지되어 록킹레버(340) 잠금 해제시 고정후크(320)를 쉽게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3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키 어셈블리(330)는 록킹레버(340)의 잠금 해제시 열쇠(360)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동로드(335)를 하우징(331)을 기준으로 원상복귀시켜 록킹레버(340)가 잠금 상태로 자동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복원수단으로 고리형 스프링(370)을 포함한다.
고리형 스프링(37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전 이상의 고리형 몸통부(365)와 이 몸통부(365)의 양단에서 각각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고정단부(363)(367)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리형 스프링(370)은 장착되기 전 상태에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단부(363)(367)가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형성되고 잠금 상태에서도 도 8b와 같은 상태로 장착되지만, 장착된 후 회전하여 열림 상태로 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단부(363)(367)가 서로 이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리형 스프링(37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고리형 몸통부(365)가 가동로드(335)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두 개의 고정단부(363)(367) 중 하나(363)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다른 하나(367)는 가동로드(335) 또는 록킹레버(34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고리형 스프링(370)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고정단부(363)(367)가 서로를 향해 오므려진 최초 설치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열쇠(360)의 조작으로 가동로드(335)가 록킹레버(340)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해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 스프링(370)은 가동로드(335)의 회전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가동로드(335)에 고정되는 고정단부(367)가 서로 이격하게 되어 가동로드(335)를 원상복귀시키는 방향으로 더욱 강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지만, 록킹레버(340)의 잠금 해제로 인해 압축스프링(350)에 의해 고정후크(320)가 자동적으로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서 록킹레버(340)가 고정후크(320)의 하단부 일측면에 형상적으로 차단되게 되어, 가동로드(335)는 강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이지만 잠금 해제 상태의 위치에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도 작업 중 열쇠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쇠는 인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압축스프링(350)은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선회핀(351)과 피벗핀(353)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고정후크(320)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고정후크(320)의 힌지축(32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선회핀(351)은 압축스프링(350)이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상태 모드를 갖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즉, (a)상태에서 압축스프링(350)은 중간 정도로 압축되면서 고정후크(320)를 닫힘 상태로 가압하며, (b)상태에서는 피벗핀(353), 선회핀(351), 힌지축(321)을 잇는 선이 일직선이 되면서 최대로 압축되고, (c)상태에서는 최소로 압축되어 고정후크(320)를 열림 상태로 가압, 유지한다. 상기 스프링(350)은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짧게 되도록 설치하여 보다 쉽게 고정후크(320)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400)는 제1 실시 예의 도어 록킹장치(30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410), 고정후크(420), 키 어셈블리(430), 록킹레버(440), 및 스프링(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몸체부(410)는 록킹장치(400)의 기부로서 도어에 고정된다. 고정후크(420)는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조작암을 구속하는 상부걸림돌기(423) 및 하부걸림돌기(425)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후크(420)는 또한, 록킹레버(440)와 마주하는 하단부(427) 내측면(426)에 접촉돌기(490)가 부착되어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후크(420)가 닫혀 있을 때 록킹레버(440)의 수평면(443) 단면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접촉돌 기(490)는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횡폭이 고정후크(420)의 폭보다 작게 되어 단차를 이루고 있으므로, 록킹레버(440)가 회전할 때 고정후크(420)가 록킹레버(440)의 구속으로부터 좀 더 빨리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 고정후크(420)는 열쇠(460)에 의한 키 어셈블리(430)의 회전 조작 시 시차를 두고 동시에 개방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를 위해 키 어셀블리(430)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10)에 고정되는 하우징(431)과 이 하우징(431) 내부에 장착된 가동로드(435) 외에 가동로드(435)의 외주면에서 하우징(431)을 관통하여 길게 연장된 회전밀대(4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밀대(480)가 가동로드(435)의 외주면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전밀대(480)는 열쇠(4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동로드(435)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후크(420) 하단부(427)의 빗면(428)과 접촉하면서 하단부(427)를 안쪽으로 밀어 고정후크(420)를 열림 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밀대(480)와 접촉하는 고정후크(420) 하단부(427)의 빗면(428)은 도 10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예를 들면 하단부(427)의 우측 부분의 두께가 좌측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되도록 빗면(428)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면(428)이 회전밀대(480)와 접하면서 고정후크(420)에 열림방향으로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회전밀대(480)는 록킹레버(440)가 접촉돌기(490)를 벗어나는 순간 빗면(428)과 접촉할 수 있도록 록킹레버(440)와 적절한 각도를 두고 있다.
또한, 회전밀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도 11에 도면부호 58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이 가능한바, 내측면이 위쪽으로 좁아지는 직각삼각형 모양으 로 경사진 빗면(581)으로 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회전밀대(580)의 빗면(581)과 접촉하는 고정후크(520)의 하단부(527)는 빗면(581)에 의해 쉽게 밀려 내려가도록 하단면(528)이 둥글게 되어 회전밀대(580)에 의해 쉽게 열림 상태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회전밀대(4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44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밀대(480)를 록킹레버(44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440)와 가동로드 (435) 사이에 소정의 각도 범위로 유격부( 601)을 형성하는 가능하다. 유격부(601)를 형성함으로써 도 7a의 잠금 상태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가동로드(435)를 회전시키고 따라서 록킹레버(440)를 회전시켜 도 7b의 잠금 해제 상태로 한 후, 가동로드(435)만 도 7a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도 7a 상태에서 가동로드(435)에 삽입된 열쇠를 가동로드(435)로부 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킹 장치는 모두 도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420, 520)를 지지하는 스프링으로서 인장스프링(450, 550)을 채용하고 있는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잠금을 해제할 때 열쇠(430, 530)의 회전과 함께 고정후크(420, 520)도 쉽게 회전 개방되도록 스프링(450, 550)의 상단을 고정하는 선회핀(451, 551)의 위치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스프링(450)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350)과 마찬가지로 3가지의 상태 모드를 가지는데, 먼저 (a)상태에서는 중간 정도로 인장되어 고정 후크(420)를 당김으로써 닫힘 상태로 유지하며, (b)상태에서는 피벗핀(453), 선회핀(451), 힌지축(421)을 잇는 선이 일직선이 되면서 최대로 인장되고, (c)상태에서는 최소로 인장되면서 고정후크(42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450)은 고정후크(420)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짧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 회전밀대(480)의 회전각도가 약간만 변해도 고정후크(450)는 쉽게 중립 상태(b)를 지나 열림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를 상기와 같이 구간을 설정하는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에서 압축스프링(350)과 인장스프링(450)으로 한정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스프링 ( Bar Spring ) 다양한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들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 예의 도어록킹 장치(300)는 도 6a 및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조작암(50)을 안정적으로 구속하여 적재함 내부의 물건을 낙하와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b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쇠(360)의 조작으로 가동로드(335)를 회전시켜 록킹레버(340)가 고정후 크(320)의 개방을 형상적으로 차단하는 상태로부터 이탈하도록 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350)에 의해 고정후크(320)가 자동으로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암(50)을 구속으로부터 해방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어를 닫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암(50)을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당겨 열림 상태의 고정후크(32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조작암(50)이 고정후크(320)의 하부걸림돌기(325)의 상면(329)에 가하는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리고 원활하게 고정후크(320)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고정후크(320)의 닫힘 상태 전환과 동시에 고정후크(320)의 하단부(327) 측면에 형상적으로 차단되어 있던 록킹레버(340)가 고리형 스프링(370)에 의한 강한 탄성복원력의 작용을 받는 상태로 위치하는 가동로드(335)와 함께 원상복귀하게 되어 자동으로 잠금 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잠금 해제시에는 열쇠 조작만으로 고정후크(320)가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강제 잠금시에는 열쇠(360)를 조작할 필요없이 조작암(50)을 고정후크(320)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하강동작만으로 자동으로 잠금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킹 장치(400)의 경우에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고정후크(420)를 내려 닫는 것만으로 열쇠(460)를 돌리지 않고도 록킹레버(44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후크(420)를 자동 잠금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도어록킹 장치(400)를 해제할 때도 록킹레버(440)를 돌려 빼내기 위한 열쇠(460) 조작 과정에서 추가 조작 없이도 고정후크(4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a 및 10a의 닫힘 상태에서 고정후크(420)는 인장스프링(450)의 탄력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키 어셈블리(430)에 열쇠(460)를 꽂아 가동로드(435)를 돌리면, 록킹레버(440)가 회전하면서 접촉돌기(490)의 구속에서 벗어나게 되며, 뒤이어 회전밀대(480)가 고정후크(420) 하단의 빗면(428)을 누르기 시작하면서 고정후크(420)는 점차 안쪽으로 눌려 들어간다. 종국에, 고정후크(420)는 도 9b 및 10b에 도시된 것처럼, 록킹레버(440)의 구속에서 완전히 벗어나 인장스프링(450)의 탄력에 의해 열림 상태로 개방된다. 이후, 조작암(50)으로 고정후크(420)를 내리눌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고정후크(420)를 잠금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도어록킹 장치(300)에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3 실시 예의 록킹장치(500)의 경우에도 고정후크(520)를 안쪽으로 가압하는 회전밀대(580)에 빗면(581)이 형성되고, 가압되는 고정후크(520) 하단부(527)가 끝이 둥근 판 형태로 형성되어 빗면의 위치가 맞바뀐 것을 제외하면 위 록킹장치(400)와 동일하게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잠금 해제시에는 회전밀대에 의해 열쇠 조작만으로 고정후크가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바로 조작암을 통한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강제 잠금 시에는 열쇠를 조작할 필요없이 조작암을 고정후크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하강동작만으로 자동으로 잠금 상태에 이르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 어, 작업자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적재함 내부의 물건을 낙하와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도어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에서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몸체부를 향해 연장되어 둘 사이에 조작암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걸림돌기 및 하부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고정후크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열쇠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와; 상기 가동로드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로드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후크를 강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킹레버와; 일단부는 상기 고정후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어 상기 록킹레버를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록킹레버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록킹레버가 원상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1회전 이상의 고리형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서 각각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고정단부를 구비하는 고리형 스프링이며, 상기 두 개의 고정단부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로드 또는 록킹레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고정후크의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상기 고정후크의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작아 지도록 위치결정된 선회핀과 피벗핀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이며, 상기 고정후크의 닫힘 상태에서 중립 상태에 이르는 구간(a~b)이 상기 고정후크의 중립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이르는 구간(b~c)보다 작아 지도록 위치설정된 선회핀과 피벗핀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록킹레버 또는 가동로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록킹레버가 잠김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후크를 열림 상태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회전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밀대와 접하는 상기 고정후크의 하단부 빗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하단부의 내측면 중앙에 단차를 형성하기 위한 접촉돌기가 부착되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록킹레버 수평면의 단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하단부의 하단면이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후크를 열림 상태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단면과 접촉하는 상기 회전밀대의 내측면은 빗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밀대는 록킹레버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로드와 록킹레버 사이에는 유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장치.
KR1020070035439A 2007-04-11 2007-04-11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KR20080092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439A KR20080092066A (ko) 2007-04-11 2007-04-11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439A KR20080092066A (ko) 2007-04-11 2007-04-11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066A true KR20080092066A (ko) 2008-10-15

Family

ID=4015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439A KR20080092066A (ko) 2007-04-11 2007-04-11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5B1 (ko) * 2010-04-08 2010-09-17 형제산업(주) 윙바디 잠금장치
KR20170016218A (ko) * 2015-08-03 2017-02-13 (주)상전정공 화물차량의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5B1 (ko) * 2010-04-08 2010-09-17 형제산업(주) 윙바디 잠금장치
KR20170016218A (ko) * 2015-08-03 2017-02-13 (주)상전정공 화물차량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9458B2 (ja) ロックユニットおよびロックユニットを備えるトレーボックス
US5303971A (en) Tailgate release handle security device
JPH0155136B2 (ko)
KR20080092066A (ko)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KR200461340Y1 (ko) 도어개폐장치가 이중으로 설치된 박스형 화물적재함
EP2914792A1 (en) Locking system for storage container
KR101461234B1 (ko)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US6742818B2 (en) Box lock with safety device
KR20080059876A (ko)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KR102440831B1 (ko)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KR20080096103A (ko) 도어록킹 장치
KR20180083157A (ko)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KR102647827B1 (ko) 자동차 루프박스용 잠금장치
AU2019226122A1 (en) Roll Cage and Locking and Unlocking methods thereof
JP7221660B2 (ja) 箱型荷台用ドアストッパー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01719987B1 (ko) 화물차량의 잠금장치
KR102634623B1 (ko)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BE1012859A3 (nl) Laadklepsluiting.
CN216333944U (zh) 安全盖组件、桶盖组件以及衣服处理设备
KR100223110B1 (ko) 트럭의 화물칸 자동잠금장치
JP2006281879A (ja) 車両用開閉体の位置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