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299A -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299A
KR20080094299A KR1020070038535A KR20070038535A KR20080094299A KR 20080094299 A KR20080094299 A KR 20080094299A KR 1020070038535 A KR1020070038535 A KR 1020070038535A KR 20070038535 A KR20070038535 A KR 20070038535A KR 20080094299 A KR20080094299 A KR 2008009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omposition
acrylate
di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120B1 (ko
Inventor
박규엽
김장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7003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1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요변성(thixotropy),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경화, 도료, 조성물,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

Description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A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COATING}
본 발명은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요변성(thixotropy),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플라스틱 성형품, 전기/전자용품, 기타 산업용 용품에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 진공증착 하도로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우수한 생산성, 부착성, 내수성 등으로 인하여 광경화형, 즉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이 열경화형에 비하여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헤드램프 성형물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소재가 다양해지면서,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한 일반적인 경화물성 이외에 우수한 요변성, 내열성 및 부착성 등을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추가적으로 지닐 것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도료의 요변성이 부족할 경우 도막편차가 발생되어 부착성, 내열성, 내수성 등의 물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도장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증가하 는 등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고, 또한 도료가 보다 높은 수준의 내열성 및 난부착 소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내어야 다양한 소재에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화물성 이외에 우수한 요변성, 내열성 및 부착성을 자외선 경화형 도료에 부여하고자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도 통상의 광경화형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이 예컨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3183호 및 제74985호; 미국특허 제3,782,061호, 제3,850,770호, 제3,891,523호, 제3,907,574호, 제3,932,356호 및 제4,301,209호; 및 일본특허 소59-117,561호 및 소63-221,1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문헌에 개시된 도료 조성물들은 내수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부족하며, 특히 보다 우수한 요변성, 내열성 및 부착성을 요구하는 플라스틱 성형품에는 실제로 적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과 같은 자동차용 플라스틱 성형품, 전기/전자용품 및 기타 산업용 용품에 코팅될 경우 성형품의 미관,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변성,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10~6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 5~3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 1~20중량부,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1~10중량부, 광개시제 0.1~10중량부 및 용제 10~60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각 구성성분 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는 도료 조성물에 요변성과 부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예컨대 유지방, 지방산, 다가산, 산무수물 및 2가 이상의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 등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노블락 에폭시와 같은 에폭시로 변성하여 얻어지고,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최종 산가가 바람직하게는 20 mgKOH/g 이하(통상 1~20 mgKOH/g)이고,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0~25000 cps(25℃ 브룩필드 점도계)이며,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0000~30000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10중량부 미만이면 요변성 및 부착성이 떨어지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경도 및 레벨링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의 제조에는 통상의 에폭시 변성 수지 제조방법이 제한없이 사용가능한 바, 예컨대, 먼저 유지방, 지방산, 다가산, 산무수물 및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 등으로부터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산가가 약 20~40 mgKOH/g 정도인 프리폴리머 100중량부를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5~20중량부로 변성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의 구체적인 제조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의 제1단계는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1종 이상의 오일 내지 지방산 40~60중량부, 1종 이상의 2가 이상 지방족 및 방향족산 10~30중량부, 1종 이상의 2가 이상 글리콜 20 ~40중량부 및 틴 촉매, 바람직하게는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모노부틸 틴 옥사이드, 디부틸 틴 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틴 촉매 0.1~1.0중량부를 포함하며, 산/알코올의 당량비가 1:1.2~1.5로 조정된 혼합물을, 질소가스 투입하에 약 22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축합수를 제거하며 반응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약 20~40 mgKOH/g의 산가 및 약 10000~25000 cps(25℃ 브룩필드 점도계)의 점도를 나타낸다.
상기 2가 이상 지방족 및 방향족산으로는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산, 무수프탈산, 메틸 테트라 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터셔리-부틸 이소프탈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시산, 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메틸-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및 무수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가 이상 글리콜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6-헥산 디올, 1,4-사이클로 헥산 디메틸올,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글리세린, 펜타 에리트리톨 및 카프로락톤 중합 유도체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의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한 프리폴리머를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로 변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산가 20~40 mgKOH/g의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노블락 에폭시 5~20중량부를 약 180~200℃에서 반응시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노블락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의 산가는 바람직하게 약 1~20 mgKOH/g이고, 점도는 바람직하게 약 10000~25000 cps(25℃ 브룩필드 점도계)이다. 상기 노볼락 에폭시는 일반적으로 크레졸 및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로는 YDCN-701, 701P, 702, YDPN-631, 638, 638P(이상 국도화학), N8470, N8460(이상 KCC社) 등과 같은 제품을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변성 반응에서 에폭시의 양을 프리폴리머 100중량부당 20 중량부 보다 많이 사용하면, 높은 가교도의 형성으로 겔화의 위협이 있으며 내후성 및 수지의 외관특성인 레벨링을 나쁘게 할 우려가 있다.
(2)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3관능 모노머,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4관능 이상의 다관능 모노머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5중량부 미만이면 도막경도, 내열성 및 경화성이 떨어지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도막이 깨어지기 쉽고 부착성 및 요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3)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로는 1,6-헥산다이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 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모노머를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1중량부 미만이면 도막경도, 내열성 및 경화성이 떨어지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요변성이 떨어지며 경화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4)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70~80℃이며,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비율이 8/2 ~ 9/1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의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요변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고, 50000을 초과하면 취급성이 떨어져 불리하다. 상기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1중량부 미만이면 요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및 레벨링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5)광 개시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광개시제로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을 띠는 통상의 중합개시제가 사용되며, 특히 벤조페논계, 벤질 디메틸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산톤계,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계, 아미노 알킬페논계, 하이드록시 알킬페논계, 디알콕시 아세토페논계, 벤질 케탈계 등의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하이드록시 1,2-디퍼페닐 에타논, 2-에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이소프로필 1,2-페닐 에타논, 2-부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이소부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2-디메톡시 1,2-디페닐에타논, 2,2-디부톡시 1-페닐 에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디메톡시 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 2-메틸 프로파논, 2-메틸 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 프로파논, 2-벤질 2-디메틸아미노 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 3,6-비스〔2-메틸-2-모르폴리노(프로파노닐)-부틸카바졸,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0.1중량부 미만이면 광경화가 충분치 않게 되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도막이 깨지기 쉽고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6) 용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용제로는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장방법에 따라 아 세테이트류와 방향족 용제류를 혼합하여 적절한 점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10중량부 미만이면 작업성 및 레벨링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요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도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습윤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습윤제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상기 레벨링제로는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나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은 전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5중량부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과 같은 자동차용 플라스틱 성형품, 전기/전자용품 및 기타 산업용 용품에 코팅될 경우 성형품의 미관,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증착층 및 금속증착 전에 형성된 하도 도막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도 도막층이 본 발명의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용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예 1
대두유 지방산 280g, 무수프탈산 155g, 글리세린 60g, 펜타에리트리톨 70g 및 자일렌 30g을 질소 가스관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칼럼, 교반기, 온도계,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서서히 승온시켰다. 온도가 150℃에 이르렀을 때 축합수가 유출되었고, 이때부터 축합수 내의 글리콜 함량을 관리하면서 약 22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키며 축합수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35 mgKOH/g 이하가 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을 200℃ 이하로 냉각한 뒤, 노블락 에폭시(N8470, KCC 사) 50g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13 mgKOH/g이 되었을 때 반응을 종료하고, 자일렌 550g을 넣고 희석하여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분석한 결과, 산가는 13 mgKOH/g, 유장(Oil Length)은 50%, 불휘발분은 49%,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은 약 12000이었다.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예 2
아마인유 지방산 300g, 무수프탈산 140g, 글리세린 80g, 펜타에리트리톨 70g 및 자일렌 30g을 질소 가스관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칼럼, 교반기, 온도계,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서서히 승온시켰다. 온도가 150℃에 이르렀을 때 축합수가 유출되었고, 이때부터 축합수 내의 글리콜 함량을 관리하면서 약 22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키며 축합수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35 mgKOH/g 이하가 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을 200℃ 이하로 냉각한 뒤, 노블락 에폭시(N8470, KCC 사) 60g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8 mgKOH/g이 되었을 때 반응을 종료하고, 자일렌 585g을 넣고 희석하여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분석한 결과, 산가는 8 mgKOH/g, 유장(Oil Length)은 49%, 불휘발분은 50%,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은 약 15000이었다.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예 3
어유 지방산 250g, 무수프탈산 80g, 글리세린 90g, 펜타에리트리톨 20g 및 자일렌 30g을 질소 가스관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칼럼, 교반기, 온도계,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서서히 승온시켰다. 온도가 150℃에 이르렀을 때 축합수가 유출되었고, 이때부터 축합수 내의 글리콜 함량을 관리하면서 약 22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키며 축합수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35 mgKOH/g 이하가 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을 200℃ 이하로 냉각한 뒤, 노블락 에폭시(N8470, KCC 사) 55g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9 mgKOH/g이 되었을 때 반응을 종료하고, 자일렌 430g을 넣고 희석하여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분석한 결과, 산가는 9 mgKOH/g, 유장(Oil Length)은 55%, 불휘발분은 50%,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은 약 17000이었다.
실시예 1~3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45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상품명:PETA) 15중량부,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상품명:HDDA) 10중량부,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DOW사, 상품명:VYNS-3) 5중량부, 광개시제(Ciba-Geigy사, 상품명:IR184) 0.5중량부, 소지습윤제(BYK사, 상품명:BYK306) 0.5중량부 및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 혼합용제(혼합중량비: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 = 2/1) 20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완전히 교반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상품명:PETA) 15중량부를 대신 하여 15관능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신나카무라사, 상품명:NK-15HA) 1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두유 지방산 280g, 무수프탈산 155g, 글리세린 60g, 펜타에리트리톨 70g 및 자일렌 30g을 질소 가스관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칼럼, 교반기, 온도계,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서서히 승온시켰다. 온도가 150℃에 이르렀을 때 축합수가 유출되었고, 이때부터 축합수 내의 글리콜 함량을 관리하면서 약 220℃까지 승온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키며 축합수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산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산가가 15 mgKOH/g 이하가 되었을 때 반응을 종료하고, 자일렌 510g을 넣고 희석하여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알키드 수지의 불휘발분 함량은 50%이었고, 수평균분자량은 약 7000이었다.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45중량부를 대신하여 상기 제조된 알키드 수지 4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DOW사, 상품명:VYNS-3) 5중량부를 대신하여 아크릴 수지(ICI사, 상품명:B728) 5중량부를 사용 한 것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의 금속진공증착용 하도로 적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헤드램프 반사경 소재인 섬유강화 플라스틱 시편에, 하도로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20㎛ 두께로 스프레이 도장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5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경화에너지 1500 mJ/㎠로 UV경화(UV조사장치:한국 포스램사 제품)한 후, 여기에 진공도 10-4 Torr에서 알루미늄을 진공증착(진공증착기:대한진공사 제품)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항목들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29849957-PAT00001
[상기 표 1에서 시험후 도막외관이 양호한 것은 ○; 시험후 도막에서 잔 크랙현상이 발생한 것은 △; 시험후 도막에서 크랙현상 및 백화현상이 발생한 것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각 항목의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내열성: 180℃ 오븐 내에서 9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측정.
부착성: JIS D 0202 시험법으로 측정.
침수부착성: 40℃ 온수 내에 24시간동안 방치한 후 부착성 측정.
내산성: 상온에서 1% 황산 용액에 10분간 침적후 측정.
내알카리성: 상온에서 1%수산화나트륨 용액에 10분간 침적후 측정.
내염수성: 상온에서 3% 염화나트륨 용액에 10분간 침적후 측정.]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알키드 수지 대신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를 사용하고, 이와 함께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4), 부착성, 내열성, 내처짐(Sagging)성 및 내약품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이상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부착성, 요변성, 내열성 및 내수 부착성 등을 나타내기 때문에 플라스틱, 특히 자동차 부품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광경화용 도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당 (1)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10~60중량부, (2)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 5~30중량부, (3)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 1~20중량부, (4)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1~10중량부, (5) 광개시제 0.1~10중량부 및 (6) 용제 10~60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는 하이드록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에폭시로 변성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는 산가가 20 mgKOH/g 이하이고, 점도가 10000~25000 cps이며, 분자량이 10000~3000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반응성 모노머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모노머가 1,6-헥산다이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비반응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80℃이며, 폴리비닐크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비율이 8/2 ~ 9/1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8. 금속증착층 및 금속증착 전에 형성된 하도 도막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도 도막층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용 성형품.
KR1020070038535A 2007-04-19 2007-04-19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140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535A KR101400120B1 (ko) 2007-04-19 2007-04-19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535A KR101400120B1 (ko) 2007-04-19 2007-04-19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99A true KR20080094299A (ko) 2008-10-23
KR101400120B1 KR101400120B1 (ko) 2014-05-26

Family

ID=4015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535A KR101400120B1 (ko) 2007-04-19 2007-04-19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5667A (zh) * 2014-06-29 2016-02-03 江苏飞翔涂料实业总公司 车灯内装饰涂料
KR101865833B1 (ko) * 2014-10-30 2018-07-13 애경화학 주식회사 내식성이 우수한 수용성 에폭시, 알키드 하이브리드 아크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61B1 (ko) * 1994-12-30 1998-04-14 김충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H08325359A (ja) * 1995-05-30 1996-12-10 Lion Corp アルキド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含有する塗料及び該塗料を用いる塗膜の形成方法
KR100506141B1 (ko) * 1996-12-31 2005-11-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5667A (zh) * 2014-06-29 2016-02-03 江苏飞翔涂料实业总公司 车灯内装饰涂料
KR101865833B1 (ko) * 2014-10-30 2018-07-13 애경화학 주식회사 내식성이 우수한 수용성 에폭시, 알키드 하이브리드 아크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120B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711B1 (ko) 겔 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의 저 voc 열경화성 조성물
CN102040903A (zh) 紫外线固化型硬质涂层树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硬质涂层薄膜以及硬质涂层成形物
KR20160077580A (ko) 그래핀 코팅 조성물, 그래핀 코팅 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5086604A (zh) 一种油墨组合物、其应用及印刷电路板
JP534479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
KR20080097319A (ko) 에폭시 변성 알키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TWI483963B (zh) 阻燃性聚酯
KR101210903B1 (ko)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CN109476775B (zh) 活性能量线固化型树脂组合物和金属薄膜用底涂剂
KR20080094299A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340545B1 (ko)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JP5076076B2 (ja) 紫外線硬化型組成物
JP6116577B2 (ja) グリセロールジエステルを含有する被覆剤および多層塗膜における当該被覆剤の使用
TW201610028A (zh) 活性能量線硬化型組成物
US6255444B1 (en) Aromatic ester (meth)acrylate dendrimers and curable resin composition
JP2018178071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152179B1 (ko) 플라스틱 성형품 하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 조성물
US6787581B2 (en) Radio hardenable powder paints
KR100506141B1 (ko) 내열성및부착성이우수한광경화형도막조성물
CN110922603B (zh) 一种不同链段改性的光固化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171154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8201955A (ja) 多官能(メタ)アクリレートを含有する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3726210B2 (ja) 新規な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法及び塗料用樹脂組成物
JP5610470B2 (ja) 多官能モノマー、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