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903B1 -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903B1
KR101210903B1 KR1020110017187A KR20110017187A KR101210903B1 KR 101210903 B1 KR101210903 B1 KR 101210903B1 KR 1020110017187 A KR1020110017187 A KR 1020110017187A KR 20110017187 A KR20110017187 A KR 20110017187A KR 101210903 B1 KR101210903 B1 KR 10121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coating composition
curable coating
molded article
ultraviolet cu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769A (ko
Inventor
김강수
김장욱
박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1001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9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6관능기 이상의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수성, 내습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냉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headlamp) 성형품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USEFUL AS PRIMARY COATING FOR METALLIC OR PLASTIC SUBSTRATE AND MOLDED ARTICLE COMPRISNG A CURED CO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6관능기 이상의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수성, 내습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냉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headlamp) 성형품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성형품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성형품에 있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에 있어서, 진공증착용 하도로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은 우수한 생산성, 부착성, 내수성 등이 요구된다. 또한, 자동차 부품용의 경우, Air Spray 도장 방법으로 도장이 가능하여야 우수한 외관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헤드램프와 같은 성형물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요구에 의하여, Air Spray 방법뿐만 아니라 Showering 방법, Curtain Flow coating 방법, Spin coating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도장이 가능하면서 우수한 내열성 및 부착성을 가지는 금속 및 플라스틱 성형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39742호는 광경화형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선행문헌에서와 같이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도막 조성물의 경우 도막내 분자간의 수축응력으로 도막의 건조 도막의 두께가 12㎛ 이상이 되면 도막의 크랙 및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도막의 외관 손상 및 부착성 저하 등을 야기한다. 또한 이 선행문헌에서는 도료 조성물의 유기 용제 함량을 30% 미만으로 하고 있는데, 이 경우 도료의 점도, 퍼짐성 및 흐름성 등의 이유로 Air Spray 도장 방법 외의 Showering, Curtain 등 다양한 도장방법의 적용이 어렵다. 또한, 이와 같은 도료 조성물은 부착성 및 내열성이 부족하여 금속 및 플라스틱 성형품에 적용하는 진공증착용 하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금속 기재 (예컨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주물) 또는 플라스틱 기재(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타디엔 테레프탈레이트(PBT), 불포화폴리에스터 성형품(BMC(Bulk Molding Compound)),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등)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수성, 내습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냉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향상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headlamp) 성형품, 전기/전자용품 및 기타 산업용품에 있어서 진공증착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A) 6개 이상의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D)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E)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내수성, 내습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냉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12㎛ 및 25㎛ 도막두께 모두에서 부착성이 양호하므로 금속 및 플라스틱 성형품에 있어서,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진공증착용 하도로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6관능 이상의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6개 이상(예컨대 6 내지 15개) 가지며, 도막의 내열성 및 경도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다. 올리고머 (A) 한 분자 내의 중합성 관능기 수가 6미만이면 경화후 도막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고, 내열물성 시험 후 도막 외관이 불량(예컨대 무지개 현상 및 기포발생)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로는, 예컨대, 2관능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합물(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분자당 3개 이상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예를 들어,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와의 반응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A)의 중량평균분자량으로는 1000~2000 이 바람직하다. 성분(A)의 구체적인 예로는 미원상사㈜의 PU610, SK-Cytec 社의 Ebecryl 1290, Bayer 社의 U400, Double Bond Chemical 社의 DM 87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A)가,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내 성분(A)의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이면 경화도막의 형성이 어렵고, 경화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며, 반대로 60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경화밀도에 의해 도막에 크랙이 유발될 수 있다.
(B)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부타디엔 디올,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생성된 것으로서, 도막의 유연성, 도막의 화학결합을 통한 부착성, 그리고 도막의 탄성을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다. 도막의 유연성, 탄성 및 기재의 부착성을 고려하였을 때, 성분(B)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4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로는, 예컨대, 2관능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합물(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분자당 2개 이하로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와의 반응생성물인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폴리부타디엔 디올과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B)의 합성 원료 중 폴리부타디엔 디올의 경우, 부착성, 유연성, 특히 상용성을 고려하였을 때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4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분자량 범위를 벗어나는 폴리부타디엔 디올을 시용할 경우, 경화성 및 도료 조성물에서의 상용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B)가,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내 성분(B)의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이면 도막이 후막으로 도장될 경우 도막이 Brittle해지며 부착성이 저하되기 쉽고, 반대로 15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성이 떨어지며 경도 및 소재 부착성, 도막의 투명성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C)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개시제를 통한 라디칼 반응을 통해 아크릴릭 비닐 폴리머를 형성하여 도막에 부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100mgKOH/g 이상(예컨대 100 내지 150mgKOH/g)의 산가를 나타낸다. 성분 (C)의 산가가 100mgKOH/g 미만이면 소재 부착이 불량해질 수 있다. 성분 (C)의 산가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도 내수물성 후 소재 부착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성분 (C)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5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는, 무수말레인산, 푸마릭산, 이타코닉산 무수물 등의 산 화합물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C)가,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내 성분(C)의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기재에의 부착성이 떨어지며, 반대로 30 중량%를 초과하면 내수 물성 후 도막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D)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도료의 유동성, 도막의 부착성 및 유연성을 위해, 그리고 수지 조성물과 반응하여 경화물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위해 사용하는 성분으로,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함유한다.
상기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D)로는, 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노볼락 페놀 에톡시 모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D)가,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내 성분(D)의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이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고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지며, 반대로 3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성 및 도막강도의 저하, 그리고 자외선 경화시 미반응물 존재에 따른 장기적인 도막 물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E)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중합 개시제는 도막 형성 성분을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예컨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페논, 1-하이드록시싸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싸이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 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 2-하이드록시 2-메틸 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판 1-온, α,α-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1-페닐 에타논,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E)가,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3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내 성분(E)의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조성물 성분 총합을 기준으로 0.5 중량% 미만이면 경화성 저하와 미경화로 인한 백화, 무지개 현상 및 부착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반대로 3 중량%를 초과하면 미반응된 광중합개시제로 인한 오염, 저중합도에 의한 부착성 저하,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도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용제, 습윤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성분들은 도료의 작업성 및 도막의 평활성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용제로는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용제 단독 또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장방법에 따라 아세테이트류와 방향족 용제류를 혼합하여 적절한 점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함량이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해서 30 중량% 미만이면 작업성 및 레벨링이 떨어질 수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 형성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습윤제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소포제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레벨링제로는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나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사용량은 전체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서 1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성분 (A) 내지 (E)를, 필요에 따라 희석용제, 표면조절용 첨가제 등과 함께 디졸버, 교반기 등과 같은 혼합용 장비에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예컨대 상온)에서 혼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이 적용가능한 성형품의 재질로는 금속 기재 (예컨대 Al, Mg 주물) 또는 플라스틱 기재(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타디엔 테레프탈레이트(PBT), 불포화폴리에스터 성형품(BMC(Bulk Molding Compound)),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이러한 재질의 성형품 표면에 진공증착용 하도로서 도포, 건조된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하도코팅층을 형성하며, 그 위에 알루미늄 등이 진공증착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성형품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비교예 1~7
하기 표 1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진공증착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1013962276-pat00001
Figure 112011013962276-pat00002
(2)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자동차 헤드램프 반사경의 금속 진공증착용 하도로 적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헤드램프 반사경 소재인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BMC) 시편에, 하도로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12㎛와 25㎛ 두께로 스프레이 도장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의 온도 조건에서 약 300초간 열풍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180mW/㎠의 고압 수은등으로 공기 중 약 20cm위치에서 3500mj/㎠의 에너지로 조사시켜 경화한 후, 여기에 진공도 10-4 Torr에서 알루미늄을 진공증착하였다. 그 후 5㎛ 두께로 AT835-9000(KCC, 열건조형 아크릴 상도)을 도포하고 80℃의 온도 조건에서 약 20분간 열풍 건조시켜 물성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항목들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부착성 시험: ASTM D3359에 의거 크로스 컷 테이프 테스트(cross cut tape test)를 시행하여 평가
2) 내습성 시험: 시험온도 및 상대습도가 50 ± 2 ℃, 98 ± 2%인 조건에서 240시간 방치 후, 꺼내어 1시간 방치 후, 도막에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
3) 내수성 시험: 시편을 수돗물(TAP WATER, 시험온도 40℃) 중에 24시간 침적시킨 후 꺼내어 Air blow에 의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 후 알루미늄 증착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
4) 내열성 시험: 시험온도 (180 ± 2℃) 조건 하에서 240 시간 방치 후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알루미늄 증착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
5) 내약품성 시험: 1%의 황산 용액, 1%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 3%의 염화나트륨 용액에 10분간 침적 후 물로 세정 후 알루미늄 증착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
6)내냉열 Cycle 시험: 시편을 (80 ± 2 ℃, 95 % RH 에서 4h 방치 → 온도조건을 -40 ± 2 ℃, 95 % RH로 변경후 4h 방치)*10회 반복 후 실온 1h 방치 후 알루미늄 증착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
[표2]
Figure 112011013962276-pat00003

Claims (8)

  1. (A) 6개 이상의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D)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E)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가 2관능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합물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분자당 3개 이상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반응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부타디엔 변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가 2관능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합물과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그룹을 분자당 2개 이하로 함유하는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반응생성물인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폴리부타디엔 디올과 반응시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산작용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가 100mgKOH/g 내지 150mgKOH/g의 산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D)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노볼락 페놀 에톡시 모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7. 제6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8. 제6항에 있어서, 자동차 헤드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10017187A 2011-02-25 2011-02-25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121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87A KR101210903B1 (ko) 2011-02-25 2011-02-25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87A KR101210903B1 (ko) 2011-02-25 2011-02-25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69A KR20120097769A (ko) 2012-09-05
KR101210903B1 true KR101210903B1 (ko) 2012-12-11

Family

ID=4710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187A KR101210903B1 (ko) 2011-02-25 2011-02-25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92B1 (ko) * 2014-01-24 2015-05-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98174B1 (ko) 2020-04-20 2021-09-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광학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CN117545810A (zh) * 2021-06-09 2024-02-09 巴斯夫涂料有限公司 可辐射固化涂料组合物和用所述涂料组合物涂敷的基材
CN114133861B (zh) * 2021-12-27 2023-01-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耐候防覆冰的复合绝缘子伞裙护套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460A (ja) 1998-06-01 1999-12-14 Mitsubishi Gas Chem Co Inc 熱成形性に優れた硬化性塗料
JP2005298619A (ja) 2004-04-09 2005-10-27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紫外線硬化型塗料
JP2006063162A (ja) 2004-08-26 2006-03-09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紫外線硬化型塗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460A (ja) 1998-06-01 1999-12-14 Mitsubishi Gas Chem Co Inc 熱成形性に優れた硬化性塗料
JP2005298619A (ja) 2004-04-09 2005-10-27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紫外線硬化型塗料
JP2006063162A (ja) 2004-08-26 2006-03-09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紫外線硬化型塗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102419836B1 (ko) 2020-03-19 2022-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69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30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JP5017131B2 (ja)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反射体、照明器具カバーおよび照明器具
KR101210903B1 (ko)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용 하도로서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19245B1 (ko)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N1228358C (zh) 涂布塑料模制品的方法、用以蒸发金属的可紫外光固化底漆及塑料模制品
KR101540657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JP2012017404A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
KR101777553B1 (ko) 자외선경화형 도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부품
TWI724177B (zh) 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金屬薄膜用底塗劑
CN106433254B (zh) 汽车零部件用紫外线固化型涂料组合物
JP5014862B2 (ja) 紫外線硬化性上塗り被覆組成物およびその塗装品
JP4915042B2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光硬化型フィルム
KR20060098147A (ko) 옻칠을 이용한 황옻칠의 제조방법
JP7100038B2 (ja) 低カールの実現が可能な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フィルム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1540078B1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JP2002348498A (ja) 金属蒸着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アンダーコート組成物
KR101152179B1 (ko) 플라스틱 성형품 하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 조성물
JP3621533B2 (ja) 多官能エステルアクリレートを用いた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400120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JP5309273B1 (ja) クリヤー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複層塗膜の形成方法
JP6688893B2 (ja) 高耐スクラッチ性の一液型塗料組成物
KR20170030106A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190119895A (ko) 도료 조성물
CN108603048A (zh) 活化能射线固化性组合物及层积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