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35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3356A KR20080093356A KR1020070093284A KR20070093284A KR20080093356A KR 20080093356 A KR20080093356 A KR 20080093356A KR 1020070093284 A KR1020070093284 A KR 1020070093284A KR 20070093284 A KR20070093284 A KR 20070093284A KR 20080093356 A KR20080093356 A KR 200800933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unit
- height
- fixing
- form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fixing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을 구비한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상기 제 1 몸체 상단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을 노광하는 노광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부담없이 책상 위에 화상형성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작업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량 인쇄 및 복사 작업 위주로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에게 특화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 복합기, 소형, 초소형, 탁상용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위에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초소형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사용 가능한 용지의 규격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는데, 업무용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대용량 급지카세트와 네트워크 프린트 기능 및 다양한 규격의 용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반면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시 출력되는 인쇄물의 양이 많지 않으며, 사용 빈도 역시 업무용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 고기능성에 비해 소형 및 저소음성이 제품선택에 있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캐닝 유닛과 인쇄유닛을 구비한 복합기(MFP)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유닛이 설치된 제 1 몸체(10)와 스캐닝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20)를 포함한다.
제 1 몸체(10)는 일반적인 프린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고,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몸체(10)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급지카세트(11), 픽업유닛(12), 이송유닛(13), 현상유닛(14), 전사유닛(15), 정착유닛(16), 배지유닛(17) 및 노광유닛(18)를 포함한다.
제 2 몸체(20)는 상기 제 1 몸체(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캐닝 유닛으로, 원고가 올려지는 평판(21), 상기 평판(21)의 저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CCD모듈(22) 및 상기 평판(21)을 덮는 평판커버(23)를 포함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합기는 소형화를 염두에 두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사용자의 책상 위에 올려 두고 쓰기에는 장치의 폭, 넓이 및 높이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합기를 설치할 별도 공간을 따로 마련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픽업유닛(12)에서 픽업된 용지는 급지카세트(11)에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픽업 되어 상측으로 이송이 되고, 또한 상측으로 이송되는 용지는 다시 도면상 90도 정도 좌측으로 방향이 변경되면서 이송유닛(13)으로 이송 된다. 이렇게 픽업유닛(12)에서 이송유닛(13) 사이에 두 번 정도의 용지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이유는,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거의 180도 정도 방향을 전환할 경우 용지의 휨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자면 픽업유닛(12)에서 이송된 용지는 이송유닛(13)으로 이송되는 동안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용지 휨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휨이 발생된 용지는 전사유닛(15)를 거쳐 화상이 형성되면서 용지의 후단이 현상유닛(14)의 하단부를 치거나 혹은, 전사유닛(15) 근처의 용지이송경로 하측단을 긁으면서 이송됨으로써 전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정착유닛(16)을 거치며 열과 압력을 받은 용지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지유닛(17) 쪽으로 180도 정도 방향이 다시 역전되면서 이송이 되기 때문에 용지의 부분부분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정착유닛(16)을 지난 이후 정착유닛의 열과 압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의 휨을 갖는 상태로 배지가 된다. 이는 용지의 역전이 급지부와 배지부 두군데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기기의 높이를 높게 하는 주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용지의 휨 문제를 발생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책상 위에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용지의 휨 현상이 개선된 초소형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의 이송과정 중 급격하게 용지의 이송방향이 역전되는 부분이 최소화 되도록 각종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용지의 휨 문제를 포함한 급지성능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 이송유닛 부근에서의 급격한 경로 역전으로 인해 휨 현상이 발생한 용지를 상대적으로 정착유닛 부근까지의 훨씬 더 긴 이송경로로 휨을 펴주는 방향으로 용지경로를 구비함으로 인해, 기존에 발생하던, 휨 문제가 발생한 용지를 펴주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설치함으로 인한 역 휨 문제(Re-Curl문제)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배지부를 상측방향으로 마련하여 배지부 상측에 인쇄된 용지를 적재하는데 효율적이고, 배지부 하측의 급지유닛의 탈착이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지되는 용지의 적재방향과 급지유닛의 탈착방향이 동일한 전면(前面)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용지의 취급이 훨씬 용이해지며, 용지의 급지 및 배지에 대한 인식 또한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용지의 배지부를 미리 마련해 두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을 구비한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상기 제 1 몸체 상단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을 노광하는 노광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몸체에는 스캐닝 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보다 2~3배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25mm를 넘지 않으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합한 높이는 165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10~125mm이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의 합은 160~170mm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상기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적어도 1.5~2.5배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개방각도가 40~80도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몸체는, 급지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지유닛에서 픽업된 용지가 상기 현상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이송방향이 전환된 후, 방향전환 없이 인쇄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급지유닛의 배출(eject) 방향과, 상기 배지유닛의 용지배출(paper discharge)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몸체는, 스캐닝 유닛을 포함하며, 원고가 올려지는 평판; 상기 평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평판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스캐닝 모듈; 및 회동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평판을 덮도록 힌지결합되는 평판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제 2 몸체와 평판덮개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점의 타측에 초기위치(initial position)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몸체는,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출면에 용지받침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지받침 부재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최적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과 현상유닛을 구비한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상기 제 1 몸체 상단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을 노광하는 노광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유닛의 장착 및 탈착방향, 상기 급지유닛에 수용된 인쇄용지의 이송방향 및 상기 스캐닝 유닛의 이동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10~125mm이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의 합은 160~17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상기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적어도 1.5~2.5배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개방각도가 40~80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2 몸체에서 스캐닝 유닛이 삭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유닛; 급지유닛에서 급지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실질적으로 전사하는 전사영역; 전사영역에서 전사된 화상을 실질적으로 고착하는 정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에서 전사영역까지 및/또는 전사영역에서 정착영역까지의 경로가 상기 이송롤러에서 반전되는 용지 경로와 실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용지가 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이송롤러의 부근에서 용지가 거의 반대방향으로 역전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과 상기 전사영역의 사이의 구간에 상기 정착영역이 위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이 상기 전사영역이나 상기 정착영역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착영역 이후에 설치된 배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 지부는 상기 전사영역에서 상기 정착영역으로 이송되는 용지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사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는 감광매체와 전사유닛 중 상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가 하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보다 크며, 또한, 상기 정착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는 히팅장치와 가압장치 중 상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가 하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보다 큰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착영역 이후에 이송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배지유닛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지받침부재가 연결 및 분리 가능한 삽입홈을 가진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지받침부재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삽입홈을 폐쇄하고, 상기 용지받침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진 것이 좋으며, 특히 개폐장치의 부근에 탄성수단을 구비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부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유닛;급지유닛에서 급지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상에 화상을 실질적으로 전사하는 전사영역; 전사영역에서 전사된 화상을 실질적으로 고착하는 정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이 상기 전사영역이나 상기 정착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정착영역이 상기 전사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부담없이 책상 위에 화상형성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작업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량 인쇄 및 복사 작업 위주로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에게 특화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형 인쇄 및 복사작업을 진행할 때, 인쇄되는 용지의 급지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용지의 휨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지의 이송과정 중 급격하게 용지의 이송방향이 역전되는 부분이 최소화 되도록 각종 부품을 배치함으로서 용지의 휨문제를 포함한 급지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최초 이송유닛 부근에서의 급격한 경로 역전으로 인해 휨 현상이 발생한 용지를 상대적으로 정착유닛 부근까지의 훨씬 더 긴 이송경로로 휨을 펴주는 방향으로 용지경로를 구비함으로 인해, 기존에 발생하던, 휨 문제가 발생한 용지를 펴주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설치함으로 인한 역 휨 문제(Re-Curl문제)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지부를 상측방향으로 마련하여 배지부 상측에 인쇄된 용지를 적재하는데 효율적이고, 배지부 하측의 급지유닛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구나 배지되는 용지의 적재방향과 급지유닛의 탈착방향이 동일한 전면(前面)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용지의 취급이 훨씬 용이해지며, 용지의 급지 및 배지에 대한 인식 또한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지의 배지부를 미리 마련해 두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상형성장치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포함한다.
제 1 몸체(100)는 내부에 인쇄유닛이 설치된다. 인쇄유닛은 급지유닛(110),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30), 정착유닛(140) 및 배지유닛(15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111)의 누름동작에 의해 제 1 몸체(100)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 매의 인쇄용지를 수납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높이를 낮추기 위해 100매 내외의 인쇄용지가 수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급지유닛(110)에 수납되는 인쇄용지는 A4나 Letter등의 표준사이즈의 용지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111)은 누름형식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나 이와 유사하게 로킹기능을 담당하는 부재로 변형된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
현상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몸체(100)에 고정 설치된 전사유닛(130)과 함께 맞물려 회전하면서, 픽업된 인쇄용지 표면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120)에 설치된 감광매체(121)는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통상 사용하는 30mm의 지름보다 작은 20mm의 지 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120)은 착탈 가능하게 실시하였으나, 그 변형된 실시예로서 제 1 몸체(100)에 고정식으로 구비된 형태도 가능하다. 이는 기기전체의 수명과 현상유닛(120)의 수명을 동일하게 가져가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130)은 제 1 몸체(100)에 고정되게 실시하였으나, 그 변형된 실시예로서, 현상유닛(120)의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전사유닛(130)은 전사롤러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중간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샤프트를 가지고 외주면에 NBR, EPDM, NR, Slicon, Urethane 등의 재질로 고무형상 혹은 스펀지 형상으로 구성이 되며, 필요에 따라 표면에 튜빙을 하거나 코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121)는 현상유닛(120)의 일부에 포함되도록 실시하였으나, 그 변형된 실시예로서, 현상유닛(120)이 현상롤러를 포함한 유닛과 감광매체를 포함한 유닛으로 분리되는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감광매체(121)가 20mm의 지름을 가진 원통형 형상으로 실시하였으나, 그 변형된 실시예로서, 무한회전이 가능한 벨트타입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현상롤러 또한 무한회전이 가능한 벨트타입이나 튜빙 타입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런 벨트타입이나 튜빙타입 회전체의 경우는 기기의 높이방향상의 곡률과 타방향상의 곡률을 서로 다르게 가져갈 수 있고, 특히 높이방향상 곡률을 더 크게 가져간다면, 기기의 높이를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정착유닛(140)은 히팅장치(141)와 가압장치(142)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120)과 전사유닛(130)을 통과한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시화상을 인 쇄용지 표면에 고착시킨다. 정착유닛(140)의 상측면에는 방출되는 열이 상기 제 2 몸체(2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 차단부재(143)가 설치된다. 상기 정착유닛(140)은 히팅장치(141)와 가압장치(142)를 포함하는, 즉 두 롤러를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하였으나, 그 변형된 실시예로서 두 롤러 중 최소 하나는 무한회전하는 벨트타입이나 튜빙타입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현상유닛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보다는 벨트나 튜빙타입으로서, 서로 곡률을 다르게 가져갈 경우 원통형 형상(롤러타입)보다 기기의 높이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배지유닛(150)은 상기 정착유닛(140)과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유닛(151)을 포함하며,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한 용지를 상기 제 1 몸체(100)의 전면(前面, Front)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 1 몸체(100)의 전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유닛(110)이 탈착되고,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면을 의미한다.
배출된 인쇄용지는 상기 제 1 몸체(100)가 설치된 바닥면에 그대로 떨어질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용지받침 부재(152)에 배출되는 인쇄용지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지받침 부재(152)는 상기 제 1 몸체(100)의 전면에 마련된 용지받침 부재 삽입홈(101, 도 2 참조)에 결합된다.
상기 용지받침 부재(152)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의 외장 프레임(1)부 전방에 마련된, 상기 용지받침 부재 삽입홈(101)에 용지받침 부재(152)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01)의 입구에는 탄 성적으로 삽입홈을 개폐하는 개폐커버(10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커버(102)의 탄성적인 움직임은 개폐커버(102)와 연결된 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03)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다.
만일 도 7a 및 도 7b와 같이 탄성부재(103)가 개폐커버(102)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는, 용지받침 부재(152)는 도면상 상측 좌측에서 하측 우측 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탄성부재(103)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개폐커버(102)의 자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구조가 가능하다. 물론 이럴 경우 개폐커버의 회전을 위한 힌지중심(h)은 상측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도 7c 및 도 7d와 같이 탄성부재(103)가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는, 개폐커버(102)가 자중에 의해 복귀가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탄성부재(103)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30), 정착유닛(140) 및 배지유닛(150)은 상기 급지유닛(110)의 상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인쇄용지가 상기 제 1 몸체(100)의 전면(前面)으로 배출될 때까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는 "C"자형 용지이송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급지유닛(110)의 배출(eject) 방향과, 상기 배지유닛(140)의 용지배출(paper discharge) 방향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몸체(100)의 내부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높이(H1)를 줄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추가적인 발명의 사상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픽업유닛에 의해 급지된 인쇄용지는 이송롤러(115)를 타 고 이송되면서 용지의 진행방향이 거의 180도로 역전을 하게 된다. 이송롤러상의 상측 용지접촉부(115a)를 빠져 나온 인쇄용지는 감광매체(121)와 전사유닛(130)이 접촉하는 전사영역(130a)를 거쳐서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고, 다시 정착유닛(140)의 정착영역(140a)를 거쳐서 가시적인 화상이 인쇄용지상에 고착되게 된다. 이때, 이송롤러(115)를 타고 거의 180도의 반대방향으로 역전이 되면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인쇄용지는 휨 현상(Curl)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는 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인쇄매체 경로상의 역전이 급격할수록 나타나는 문제점으로서, 만일 이송롤러(115) 주위에서 180도 정도가 아닌 일부각도만 급지경로가 꺽이고 천천히 만곡이 되도록 설계한다면 상기의 휨 현상(Curl)은 훨씬 개선이 되게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 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어렵기 때문에,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과 같이 이송롤러(115) 주위로 거의 180도의 용지 역전이 발생하여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한 휨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이송롤러 상단면(115a)에서 전사영역(130a)까지 혹은 전사영역(130a)에서 정착영역(140a)까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곡률을 가진 용지이송경로를 가질 경우, 이송롤러(11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발생된 용지 휨 현상이 개선 되게 된다. 이때 이송롤러 상단면(115a)에서 정착영역(140a)까지의 시계방향 휨을 가지는 경로는 많을수록 좋으나, 이 역시 장치의 높이와 관계가 되는 치수이다. 즉, 정착영역(140a)의 위치가 높을수록 휨은 개선이 되나 이는 다시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높이로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이송롤러 상단면(115a)과 전사영역(130a)사이의 구간인 도면의 A와 B 사이의 구간에 정착영역(140a)이 위치하는 것이 용지의 휨 현상의 개선과 더불어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130)과 감광매체(121)의 대향하는 부분인 전사영역(130a)에 용지가 진입할 경우, 용지는 다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전사영역은 주로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파이프상에 코팅이 된 감광매체(121)와 고무나 스펀지 형태의 전사유닛(130)이 대향하기 때문에 도면상 전사유닛(130)이 일정부분 후퇴하는 전사닙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동이 된다. 즉, 전사영역(130a)에서의 감광매체(121)의 표면이 전사유닛(130)의 표면의 경도보다 높기 때문에, 용지의 휨 방향은 이송롤러(115)에 의해 만들어지는 반시계 방향 휨의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만들어 지게 되어 다시 반시계방향의 휨을 일정부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롤러(115)와 더불어 용지의 휨 현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 정착유닛(140)을 통과할 시점에서이다. 정착유닛(140)에서는 고온이나 높은 가압력으로 용지를 가열하거나 가압하기 때문에 용지의 휨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대비하여, 정착유닛(140)의 가압장치(142)와 히팅장치(141)의 표면 경도를 다르게 하고, 경도가 높을 쪽을 상측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즉 도면상 표면의 경도가 더 높은 히팅장치(141)를 상측에 배치하고 경도가 낮은 가압장치(142)를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서, 정착영역(140a)에서의 닙 형상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만들어지게 함으로서, 이송롤러(115)에서의 용지의 휨 현상을 다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히팅장치(141)는 통상 표면이 코팅된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며 내측에 할로겐 램프와 같은 열원이 하나 혹은 복수개 구비되어 가열을 한다. 혹은 히팅장치는 필름이나 튜빙타입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내측에 세라믹 등을 포함한 열원을 사용하여 가열을 하기도 한다. 또한 가압장치(142)는 통상 표면이 코팅되거나 튜빙된 압축가능한 롤러를 사용하며 고무나 스펀지 계통의 재질을 사용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착영역(140a)에서의 두 대향하는 롤러간의 경도 차이가 중요하며, 이는 히팅장치(141)의 표면이 금속파이프나 세라믹 등의 강체로 지지되기 때문에 히팅장치(141) 표면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가압장치(142) 표면의 경도보다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정착영역(140a) 이후의 인쇄용지 이송경로 상에서도, 도면상 좌측 상방향으로 용지를 배지함으로서 이전에서의 시계방향의 이송경로의 연장선이 될 수 있게 하여 용지의 휨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지부의 용지받침 부재(152)가 상측 방향으로 설치가 됨으로 인하여 용지받침 부재(152)상에 적재되는 인쇄 완료된 용지의 취출이 용이하며, 또한 용지받침 부재(152) 하측으로 급지유닛(110)의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더구나 배지되는 용지의 적재방향과 급지유닛(110)의 탈착방향이 동일한 전면(前面)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용지의 취급이 훨씬 용이해지며 용지의 급지 및 배지에 대한 인식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최초 급지유닛(110) 부근에서 발생한 용지의 휨 문제를, 정착이후에 반대방향으로 역전시킴으로서 개선하고자 하였지만, 이는 다시 용지의 부분부분이 반대방향으로 휘게되는 역 휨 문제(Re-curl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최초 급지유닛(110) 부근에서 발생한 용지의 휨 문제는, 훨씬 더 킨 용지이송경로를 통해 서서히 반대방향으로 휨을 줌으로서, 역 휨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용지의 휨 개선을 위한 배치구조는 도 6과 같은 제 2 몸체(200)가 복사 및 스캐닝 기능을 제거한 인쇄유닛만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서 적용하는 것도 발명의 사상에 비추어 자명한 사실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는 이송롤러(115)는 외경 14.2mm를 사용하였으며, 감광체(121)와 전사유닛(130)은 20mm와 15mm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 2 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210), 스캐닝 모듈(220) 및 평판덮개(230)를 포함하는 스캐닝 유닛과 노광유닛(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200)는, 상기 제 1 몸체(100)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1 몸체(100)에 대해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평판(210)은 유리와 같이 광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스캐닝 모듈(220)은 상기 평판(210) 저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덮개(230)는 상기 제 2 몸체(200)와 힌지점(231)에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캐닝 모듈(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점(231)의 타측에 초기위치(initial position)가 마련되어, 상기 평판(210)에 올려진 원고의 이미지를 스캐닝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캐닝 모듈(220)의 초기 위치는 상기 제 2 몸체(200)의 전면(前面)에 마련되고, 상기 힌지점(231)은 제 2 몸체(200)의 후면(後面)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스캐닝 모듈(220)의 초기위치가 제 2 몸체(200)의 전면에 형성되면, 평판덮개(230)의 힌지점(231)이 단순하게 구성되더라도, 평판(210)위에 올려지는 원고가 상기 제 2 몸체(200)의 앞쪽에 배치되므로, 평판덮개(230)가 상기 원고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평판(210)과 평판덮개(230)가 이루는 각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노광유닛(240)은 상기 제 2 몸체(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몸체(100)에 장착된 현상유닛(120)의 감광매체(121)를 노광한다. 이처럼, 노광유닛(240)이 제 2 몸체(200)의 여유 공간부에 설치되면, 제 1 몸체(100)에 노광유닛(240)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제 2 몸체(200)의 상기 정착유닛(140)과 마주보는 면은 상기 정착유닛(14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정착유닛(140)은 열 차단부재(143) 등의 설치로 인해, 제 1 몸체(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제 2 몸체(200)는 상기 정착유닛(14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250)가 상기 정착유닛(1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제 2 몸체(200)의 상기 제 1 몸체(100)에 대한 개방각도는 40~80도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은데, 개방각도가 45도가 되도록 오픈되는 것이 가장 좋다. 개방각도가 너무 작을 경우, 사용자가 손을 넣어 용지 걸림을 해제하는데 불편하고, 상기 개방각도가 너무 클 경우, 상기 제 2 몸체(20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0)(2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5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몸체(200)를 개방할 때, 상기 제 2 몸체(200)의 무게에 의한 관성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몸체(100)의 높이(H1)는 상기 제 2 몸체(2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몸체(100)의 높이는 상기 제 2 몸체(200)의 높이보다 2~3배 높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몸체(100)의 높이(H1)는 125mm를 넘지 않으며, 상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합한 높이(H2)는 165mm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몸체(100)의 높이(H1)는 114mm이고, 상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합한 높이(H2)는 163mm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 1 몸체(100)의 무게는 상기 제 2 몸체(200)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100)의 무게는 제 2 몸체(200)의 무게보다 적어도 1.5~2.5배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유닛(110)의 장착 및 탈착 방향과, 상기 급지유닛(110)에 수용된 인쇄용지의 이송방향 및 스캐닝 유닛(220)의 왕복 이동방향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고를 스캐닝하거나 복사할 때, 이면지 사용 등을 할 경우, 혼동됨 없이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복사 및 스캐닝 기능을 제거한 인쇄유닛만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몸체(200)가 제거된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급지유닛(320), 현상유닛(330), 전사유닛(340), 정착유닛(350), 배지유닛(360) 및 잼 제거 및 메인터넌스를 위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37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370)에는 노광유닛(38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310)의 높이는 125mm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며, 세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몸체(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유닛이 설치된 제 1 몸체(100)와 스캐닝 모듈(220)이 설치된 제 2 몸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몸체(200)는 제 1 몸체(1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합기의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몸체(100)는 높이를 줄이기 위해 용지이송경로를 1 회만 변경하는 "C"형 용지이송경로를 구비하며, 급지유닛(110)의 상측면에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30), 정착유닛(140) 및 배지유닛(15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몸체(100)의 높이는 125mm를 넘지 않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측에 설치된 제 2 몸체(200)의 높이를 포함하더라도 165mm를 넘지 않기 때문에, 별도 설치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책상 위에 바로 설치할 수 있다.
이처럼 높이가 낮은 화상형성장치는 책상 위에 바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복사, 스캐닝 또는 출력을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설치위치로 이동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전면으로 배출된 인쇄용지는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출력되므로, 인쇄결과물을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용지받침 부재(153)를 용지받침 부재 삽입홈(101)에 설치하여 인쇄용지를 스태킹 할 수도 있고, 인쇄량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된 인쇄용지가 책상 위에 그대로 쌓이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쇄 또는 복사 중에 용지 잼이 발생 되거나, 현상유닛(120) 또는 정착유닛(140)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제 2 몸체(200)를 오픈하여, 상기 현상유닛(120)과 정착유닛(140)을 노출시켜 잼 제거 또는 상기 현상유닛(120) 또는 정착유닛(140)의 교체 및/또는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 1 몸체(100)는 제 2 몸체(200)에 비해 부품의 높이가 높으며, 무게 또한 무겁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제 2 몸체(200)를 개방하더라도, 제 2 몸체(200)의 회전에 따른 관성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뒤집힐 우려가 없다.
또한, 제 2 몸체(200)는 개방각도는 대략 45도 정도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 손쉽게 현상유닛(120)의 교체 또는 잼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과도한 개방에 따른 제 2 몸체(200) 또는 제 1 및 제 2 몸체(100)(200)의 연결힌지부(2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몸체(200)의 구성을 삭제한 것으로, 본체(310)의 높이는 125mm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부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몸체(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 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받침부재의 착탈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 1 몸체 110; 급지유닛
120; 현상유닛 130; 전사유닛
140; 정착유닛 150; 배지유닛
152; 용지받침부재 200; 제 2 몸체
210; 평판 220; 스캐닝 유닛
230; 평판덮개 231; 힌지점
240; 노광유닛
Claims (31)
- 현상유닛을 구비한 제 1 몸체; 및상기 제 1 몸체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상기 제 1 몸체 상단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을 노광하는 노광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보다 2~3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25mm를 넘지 않으며,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합한 높이는 165mm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상기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적어도 1.5~2.5배 무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개방각도가 40~80도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급지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을 포함하며,상기 급지유닛에서 픽업된 용지가 상기 현상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이송방향이 전환된 후, 방향전환 없이 인쇄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급지유닛의 배출(eject) 방향과, 상기 배지유닛의 용지배출(paper discharge)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배출된 용지가 상기 제 1 몸체가 설치된 바닥면에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유닛은,원고가 올려지는 평판;상기 평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평판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스캐닝 모듈; 및회동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평판을 덮도록 힌지결합되는 평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상기 제 2 몸체와 평판덮개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점의 타측에 초기위치(initial position)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10~125mm이고,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의 합은 160~1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출면에 용지받침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지받침 부재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급지유닛과 현상유닛을 구비한 제 1 몸체; 및상기 제 1 몸체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상기 제 1 몸체 상단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을 노광하는 노광유닛과 스캐닝 유닛이 설치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며,상기 급지유닛의 장착 및 탈착방향, 상기 급지유닛에 수용된 인쇄용지의 이송방향 및 상기 스캐닝 유닛의 이동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높이는 110~125mm이고,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의 높이의 합은 160~1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상기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몸체의 무게는 제 2 몸체의 무게보다 적어도 1.5~2.5배 무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개방각도가 40~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유닛;상기 급지유닛에서 급지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상에 화상을 실질적으로 전사하는 전사영역; 및상기 전사영역에서 전사된 화상을 실질적으로 고착하는 정착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이송롤러에서 전사영역까지 및/또는 상기 전사영역에서 정착영역까지의 경로가 상기 이송롤러에서 반전되는 용지경로와 실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용지가 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롤러의 부근에서 용지가 거의 반대방향으로 역전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과 상기 전사영역의 사이의 구간에 상기 정착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이 상기 전사영역이나 상기 정착영역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착영역 이후에 설치된 배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지부는 상기 전사영역에서 상기 정착영역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전사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는 감광매체와 전사유닛 중 상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가 하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정착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는 히팅장치와 가압장치 중 상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가 하측에 위치한 부재의 경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정착영역 이후에 이송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배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용지받침부재가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용지받침부재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삽입홈을 폐쇄하고, 상기 용지받침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장치의 부근에 탄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유닛;상기 급지유닛에서 급지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상에 화상을 실질적으로 전사하는 전사영역; 및상기 전사영역에서 전사된 화상을 실질적으로 고착하는 정착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지점이 상기 전사영역이나 상기 정착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상기 정착영역이 상기 전사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049,487 US8200117B2 (en) | 2007-04-16 | 2008-03-17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able upper body |
EP08153198.0A EP2028569B1 (en) | 2007-04-16 | 2008-03-25 | Image forming apparatus |
CN2008100926264A CN101290490B (zh) | 2007-04-16 | 2008-04-16 | 成像设备 |
CN201310020729.0A CN103092026B (zh) | 2007-04-16 | 2008-04-16 | 成像设备 |
US13/470,974 US9141075B2 (en) | 2007-04-16 | 2012-05-14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able upper bod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7140 | 2007-04-16 | ||
KR20070037140 | 2007-04-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3356A true KR20080093356A (ko) | 2008-10-21 |
KR101443282B1 KR101443282B1 (ko) | 2014-09-26 |
Family
ID=4003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3284A KR101443282B1 (ko) | 2007-04-16 | 2007-09-13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2028569B1 (ko) |
KR (1) | KR101443282B1 (ko) |
CN (3) | CN1030920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02328B2 (ja) * | 2019-06-26 | 2023-07-04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48183B2 (ja) * | 1991-07-09 | 2004-07-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H0615870A (ja) * | 1992-06-30 | 1994-01-25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6156757A (ja) * | 1992-11-30 | 1994-06-03 | Mita Ind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3432096B2 (ja) * | 1996-12-25 | 2003-07-2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レーザー記録装置 |
JPH11153893A (ja) * | 1997-11-20 | 1999-06-08 | Fujitsu Ltd | 画像形成装置 |
JP2001350391A (ja) * | 2000-06-07 | 2001-12-21 | Murata Mach Ltd | 原稿読取り記録装置 |
JP4009744B2 (ja) * | 2000-09-14 | 2007-11-21 | 株式会社リコー | 原稿トレイ |
JP2004069884A (ja) * | 2002-08-05 | 2004-03-04 | Brother Ind Ltd | 画像読み取り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KR100553909B1 (ko) * | 2003-12-17 | 2006-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캐너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
JP4437536B2 (ja) * | 2004-06-17 | 2010-03-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0580217B1 (ko) * | 2004-12-29 | 2006-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기기 |
KR20060076573A (ko) * | 2004-12-29 | 2006-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기기 |
KR101297178B1 (ko) * | 2006-09-12 | 201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
2007
- 2007-09-13 KR KR1020070093284A patent/KR1014432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3-25 EP EP08153198.0A patent/EP202856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8-04-16 CN CN201310020729.0A patent/CN10309202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4-16 CN CN2008100926264A patent/CN10129049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4-16 CN CN200810092625XA patent/CN10129048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92026B (zh) | 2017-05-10 |
EP2028569B1 (en) | 2018-08-08 |
CN101290489B (zh) | 2013-01-30 |
CN103092026A (zh) | 2013-05-08 |
KR101443282B1 (ko) | 2014-09-26 |
CN101290490A (zh) | 2008-10-22 |
EP2028569A3 (en) | 2016-04-27 |
EP2028569A2 (en) | 2009-02-25 |
CN101290490B (zh) | 2013-03-06 |
CN101290489A (zh) | 2008-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62605B2 (ja) |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CN101533241B (zh) | 图像形成装置 | |
JP420707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185747B2 (ja) | シート排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915210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3216419A (ja) |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20080199241A1 (en) |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914107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able upper body | |
US7815304B2 (en) | Print medium sta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 |
KR101443282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2022015037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585342B2 (ja) |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905331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8081246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5038006A (ja) |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4037296B2 (ja) | 原稿給送装置 | |
JP3589973B2 (ja) | 排紙トレイ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3981756B2 (ja) | 排紙装置 | |
JP3627950B2 (ja) | 給紙装置 | |
JP200426484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168859A (ja) |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
KR20060112126A (ko) |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2006188336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5242167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50122520A (ko) | 스캐너 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