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126A -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126A
KR20060112126A KR1020050034565A KR20050034565A KR20060112126A KR 20060112126 A KR20060112126 A KR 20060112126A KR 1020050034565 A KR1020050034565 A KR 1020050034565A KR 20050034565 A KR20050034565 A KR 20050034565A KR 20060112126 A KR20060112126 A KR 2006011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se
support
loaded
pape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126A/ko
Publication of KR2006011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에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지카세트는,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체가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텐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용지카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구비된 용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용지카세트에 포함된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은 용지카세트에 용지가 소량 적재된 경우를, 도 7은 용지카세트에 용지가 다량 적재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현상기
120 ...감광매체 135 ...전사롤러
137 ...정착기 144 ...용지정렬기
150 ...광주사기 155 ...용지트레이
160 ...용지카세트 165 ...결합홈
170 ...녹업플레이트 178, 180 ...지지체
190 ...결합돌기 193 ...텐션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유닛으로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라 하면,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이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으로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용지카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카세트(10)는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힌지 결합된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5)를 구비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5)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그 위에 적재되는 용지의 선단부를 픽업롤러(미도시)를 향해 탄성바이어스한다. 상기 베이스(11)의 양 측부에는 용지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되어 베이스(11)에 적재될 수 있게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체들(18, 2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체들(18, 20) 중 적어도 하나(20)는 용지의 규격에 따라 베이스(11) 상에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위치 세팅된 상태에서 적재된 용지들의 측단을 다른 지지체(18)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용지들을 폭방향으로 보다 세밀하게 정렬하는 텐션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텐션플레이트(22)는 비교적 고가인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지고, 이를 지지체(20)의 지지프레임(21)에 부착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추가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녹업플레이트(15)의 승강에 기인하여 그에 적재된 용지들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텐션플레이트(22)가 용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1)과 텐션플레이트(22)의 결합부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플레이트 없이 적재된 용지의 세밀한 정렬이 가능한 용지카세트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텐션플레이트를 제거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용지카세트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체가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텐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카세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록킹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레버에 상기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의 텐션부는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에 반(反)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션부의 수직 높이는 2 내지 5mm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카세트는,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체가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텐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 고, 도 3a는 도 2에 구비된 용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용지카세트에 포함된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은 용지카세트에 용지가 소량 적재된 경우를, 도 7은 용지카세트에 용지가 다량 적재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소위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인쇄유닛으로 광주사기(150), 현상기(110), 전사롤러(135), 및 정착기(137)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10)는 케이스(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현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감광매체(120), 대전롤러(122), 폐토너 클리너(124), 현상롤러(127), 닥터 블레이드(128), 공급롤러(130), 및 애지테이터(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하우징(112) 내부에는 상기 폐토너 클리너(124)가 감광매체(120) 외주면에서 긁어낸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보관공간(123)과,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공간(125)이 마련된다. 상기 현상기(110)는 토너 저장공간(125)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상기 감광매체(120)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 물질층이 형성된 감광드럼이다. 상기 감광매체(120)는 대전롤러(122)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그 외주면에 광주사기(150)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27)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20)에 토너를 전송(傳送)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롤러(130)는 현상롤러(127)에 토너를 공급해주는 것이며, 상기 애지테이터(132)는 토너 저장공간(1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닥터 블레이드(128)는 공급롤러(130)로부터 공급되어 현상롤러(127)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것이며, 상기 폐토너 클리너(124)는 용지(P)에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매체(120) 외주면에 잔류한 폐토너를 긁어내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폐토너 보관공간(123)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전사롤러(135)는 상기 감광매체(120)의 외주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매체(120)의 외주면에 현상된 가시화상은 전사 바이어스 또는 감광매체(120)와 전사롤러(135)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35)와 감광매체(120)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된다.
상기 정착기(137)는, 히트롤러(138),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39)를 구비하여, 화상이 전사된 용지(P)가 히트롤러(138)와 가압롤러(139)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압착에 의해 상기 화상이 용지(P)에 정착된다.
또한,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01) 하측부에 용지트레이(155)와 용지카세트(160)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트레이(155)와 용지카세트(160)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는 픽업롤러(141, 142)를 각각 구비하며, 픽업된 용지(P)에 이송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용지(P)가 감광매체(120)와 전사롤러(135)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 사될 수 있도록 용지(P)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기(144)를 구비한다. 또한, 정착기(137)를 통과하여 소정의 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145)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매체(120)는 대전롤러(122)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기(150)에서 주사된 광(L)에 감응하여 그 외주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110)의 토너 저장공간(125) 내부의 토너는 애지테이터(162)에 의해 교반되고, 공급롤러(130) 및 현상롤러(127)를 통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20)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매체(120)의 외주면에 가시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상기 용지트레이(155) 또는 용지카세트(160)의 가장 위에 적재되어 있던 용지(P)는 픽업롤러(141 또는 142)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정렬기(144)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상기 감광매체(120)과 전사롤러(135)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용지(P)의 감광매체(120) 대향면에 상기 감광매체(120) 외주면에 현상되었던 가시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용지(P)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기(137)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45)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용지카세트(1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케이스(101, 도 2 참조)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카세트 프레임(161)과, 용지(P)가 적재되는 베이스(162)와, 상기 베이스(162)에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힌지 결합된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70)를 구비한다. 상기 녹업플레 이트(170)는 스프링(173, 도 2 참조)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그 위에 적재되는 용지(P)의 선단부를 픽업롤러(142, 도 2 참조)를 향해 탄성바이어스한다. 카세트 프레임(161)의 일측에 한 쌍의 핑거부재(172)는 녹업플레이트(170)에 비스듬히 기울어져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를 압착 지지하여 적재된 용지(P)가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상기 픽업롤러(142)의 회전시 상기 녹업플레이트(170)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에 컬(curl)을 발생시켜, 그 용지(P)를 인쇄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62)의 양 측부에는 용지(P)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되어 베이스(162)에 적재될 수 있게 용지(P)의 측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체(178)와 제2 지지체(18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지지체(178)는 용지 측단 정렬의 기준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62)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없게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2 지지체(180)는 용지(P)의 폭에 따라 제1 지지체(178)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6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 지지체(180)는 베이스(16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프레임(18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82)은 베이스(162)에 적재되는 용지(P)의 측단을 돌출되지 않게 지지하는 측벽부(183)와, 상기 베이스(162)에 용지(P)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홈(1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184)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카세트(160)는 상기 제2 지지체(180)를 용지(P)의 폭에 맞춰 조정하고, 베이스(162) 상에 그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82)의 측벽부(183)의 배면에 결합된 록킹레버(18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185)의 베이스(162) 대면(對麵)에 형성된 결합돌기(190)와, 상기 결합돌기(190)를 수용할 수 있게 베이스(162)에 형성된 결합홈(165)을 구비한다. 용지카세트(160)에 다양한 크기의 용지(P)가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165)은 베이스(162) 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90)가 상기 결합홈(165)에 삽입 결합되면 상기 제2 지지체(180)는 베이스(162) 상에서 고정되고, 상기 결합돌기(190)가 결합홈(165)에서 이탈되면 상기 제2 지지체(180)는 고정이 해제되어 베이스(162)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록킹레버(185)의 상단부를 측벽부(183)를 향해 밀면 결합돌기(190)가 결합홈(165)에서 이탈되어 상기한 고정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록킹레버(185)를 미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록킹레버(185)가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돌기(190)가 결합홈(165)에 다시 삽입 결합되어 고정 상태가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90)는 록킹레버(185)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나온 돌출부(191)와, 상기 돌출부(191)에서 적재된 용지(P)에 반(反)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텐션부(193)를 구비한다. 베이스(162)에 용지(P)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텐션부(193)는, 그 일단부(193a)가 결합홈(165)의 제1 내면(166)에 접하고 그 타단부(193b)가 결합홈(165)의 제2 내면(167)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텐션부(193)는 베이스(162)에 적재되는 용지 (P)들의 적재량과 폭 방향의 정렬정도에 따라 상기 용지(P)들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부(193)의 수직 높이(h)는 2 내지 5mm 정도이다.
상기 베이스(162)에 소량의 용지(P)가 적재되거나, 다량의 용지(P)가 적재되더라도 폭 방향으로 가지런하여 정렬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제2 지지체(180)가 용지(P)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193)의 일단부(193a)가 결합홈(165)의 제1 내면(166)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는 지지프레임(182)의 측벽부(183)에 의해 용지(P)의 측단에 가해지는 힘도 약하지만 그 정도의 힘만으로도 소량의 용지(P)나 정렬상태가 양호하게 적재된 용지(P)의 폭 방향 정렬상태를 보정하기에는 충분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62)에 폭 방향의 정렬상태가 불량한 다량의 용지(P)가 적재된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82)의 측벽부(183)가 용지(P)에 의해 가압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193)의 일단부(193a)가 결합홈(165)의 제1 내면(166)에서 이격된다. 그 이격량(w)은 텐션부(193)의 크기가 몰드물인 록킹레버(185)의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략 0.5mm 정도이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는 텐션부(19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돌기(190)가 상기 제1 내면(166)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182)의 측벽부(183)에 의해 적재된 용지(P)의 측단에 가해지는 힘도 커지므로 정렬상태가 불량하게 적재된 용지(P)라 하더라도 그 폭 방향 정렬상태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카세트는 적재되는 용지의 폭 방향의 정렬상태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어 화상이 용지상에 형성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폭 방향 정렬 불량으로 인한 잼(jam)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적용된 텐션플레이트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지 픽업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체가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텐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카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록킹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레버에 상기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카세트.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텐션부는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에 반(反)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카세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의 수직 높이는 2 내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카세트.
  5.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카세트는,
    용지가 적재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체가 베이스에 적재된 용지의 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텐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34565A 2005-04-26 2005-04-26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60112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565A KR20060112126A (ko) 2005-04-26 2005-04-26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565A KR20060112126A (ko) 2005-04-26 2005-04-26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126A true KR20060112126A (ko) 2006-10-31

Family

ID=3762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565A KR20060112126A (ko) 2005-04-26 2005-04-26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29B1 (ko) * 2008-08-19 201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29B1 (ko) * 2008-08-19 201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8448938B2 (en) 2008-08-19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um suppl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US6409165B1 (en) Sheet holder and sheet trailing edge restriction member therefor
JP3957416B2 (ja) シート送給用カセットトレー機構
US7699306B2 (en)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773267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scanner function
CN110668214A (zh) 供纸装置以及具备其的图像形成装置
US8038359B2 (en)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613538B2 (ja) 画像形成装置
US7815304B2 (en) Print medium sta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2017146502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5722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112126A (ko)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70052466A (ko) 인쇄매체 카세트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476135B2 (ja) 給紙カセット
JP2007217156A (ja) シート排出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7215511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22815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WO2014192395A1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4872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500247B1 (ko)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7308253A (ja) 給紙装置
JP3826026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10030697A (ja) 分離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分離給紙装置
JPH04333433A (ja) 画像形成装置の手差し給紙装置
JP2005298166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