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247B1 -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247B1
KR100500247B1 KR10-2003-0047348A KR20030047348A KR100500247B1 KR 100500247 B1 KR100500247 B1 KR 100500247B1 KR 20030047348 A KR20030047348 A KR 20030047348A KR 100500247 B1 KR100500247 B1 KR 10050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tray body
separation guid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752A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2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지를 공급하도록 용지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공급롤러를 갖는 용지공급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용지를 수용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용지공급측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와 접촉하는 분리가이드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수용된 용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가압부재가 용지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APER SUPPL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
본 발명은,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수용하여 공급하는 공급구조를 개선한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문서나 그림과 같은 화상을 형성시키는 팩시밀리,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기와 같은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용지를 화상형성부로 공급하기 위해 용지공급유닛과,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유닛 등을 마련하여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게 된다.
이러한 용지공급유닛은 다수의 용지를 수용하며, 인쇄시 낱장의 용지를 화상형성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용지공급유닛은 최근에 용지를 자주 보충시켜야하는 번거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대량의 용지를 한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댐(DAM)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댐방식을 적용한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용지공급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지공급유닛(101)은 다수의 용지(103)를 수용하는 트레이본체(110)와,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지(103)를 공급하도록 용지(103)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공급롤러(105)와, 트레이본체(110)의 용지공급측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급롤러(105)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103)와 접촉하는 분리가이드(115)와, 트레이본체(110)에 용지(103)의 공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지(103)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조절가이드(111)와, 트레이본체(110)에 용지(103)의 공급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지(103)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조절가이드(113)를 포함한다.
트레이본체(110)는 대량의 용지(10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시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수용부로 장착가능하게 된다.
공급롤러(105)는 화상형성장치(미도시)의 트레이수용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트레이본체(110)에 수용된 용지(103)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용지(103)를 분리가이드(115)방향으로 이송시켜 화상형성영역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롤러(105)는 트레이수용부(미도시)의 상측에 롤러지지대(107)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롤러지지대(107)의 단부에는 힌지축(108)이 마련되어 롤러지지대(107)가 트레이수용부로부터 회동가능하게 되며, 롤러지지대(107)의 내측에는 기어(109) 및 공급롤러(105)의 회전축(106)과 연결된 벨트(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트레이수용부의 상측에 마련된 구동수단에 의해 공급롤러(105)를 회전시키게 된다.
분리가이드(115)에는 공급롤러(105)에 의해 이송된 용지(103)와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패드(116)가 마련된다.
마찰패드(116)는 이송되는 용지(103)와 접촉하여 용지(103)가 2장 이상 중복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조절가이드(111,113)는 트레이본체(110)에 수용되는 용지(103)의 치수에 따라 폭 조절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용지공급유닛(101)은 대량의 용지(103)를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된 용지(103)를 화상형성부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지공급유닛은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지만, 용지의 종류 즉, 용지의 거칠기나 두께 등에 따라 분리가이드만으로는 다양한 용지의 중복이송 방지에 충분히 대응할 수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지를 공급하도록 용지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공급롤러를 갖는 용지공급유닛에 있어서, 다수의 용지를 수용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용지공급측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와 접촉하는 분리가이드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수용된 용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가압부재가 용지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지가압부재는 상기 분리가이드의 양측면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분리가이드와 접하는 용지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가이드의 양측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상승된 상기 용지가압부재를 걸림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용지가압부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트레이본체에 결합된 스파이럴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이 감긴 상태로 지지되는 제1스프링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트레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가압부재는 용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압부와, 상기 용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분리가이드의 측면을 수용하도록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과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승된 상기 용지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되도록 하는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가이드부의 양측단부 및 상기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본체에 용지의 치수에 따라 폭 조절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용지공급유닛과, 상기 용지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대량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댐방식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문서나 그림과 같은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팩시밀리,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기와 같은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3)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미도시)와, 용지(3)를 화상형성부로 공급하기 위해 용지공급유닛(1)과,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화상형성부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현상제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유닛과,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켜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전사롤러 등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이 바람직하나,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형성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인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유닛(1)은 다수의 용지(3)를 수용하는 트레이본체(10)와,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지(3)를 공급하도록 용지(3)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공급롤러(5)와, 트레이본체(10)의 용지공급측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급롤러(5)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3)와 접촉하는 분리가이드(15)와, 트레이본체(10)에 수용된 용지(3)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용지가압부재(20)와, 용지가압부재(20)와 트레이본체(10) 사이에 마련되어 용지가압부재(20)가 용지(3)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지공급유닛(1)은 분리가이드(15)의 양측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상승된 용지가압부재(20)를 걸림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재(40)를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지공급유닛(1)은 트레이본체(10)에 용지(3)의 치수에 따라 폭 조절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본체(10)는 대량의 용지(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시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수용부(미도시)로 장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본체(10)는 적어도 수백장의 용지(3)를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롤러(5)는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수용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트레이본체(10)에 수용된 용지(3)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용지(3)를 분리가이드(15)방향으로 이송시켜 화상형성영역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롤러(5)는 트레이수용부의 상측에 롤러지지대(7)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롤러지지대(7)의 단부에는 힌지축(8)이 마련되어 롤러지지대(7)가 트레이수용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되며, 롤러지지대(7)의 내측에는 기어(9) 및 공급롤러(5)의 회전축(6)과 연결된 벨트(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트레이수용부의 상측에 마련된 구동수단에 의해 공급롤러(5)를 회전시키게 된다.
분리가이드(15)에는 공급롤러(5)에 의해 이송된 용지(3)와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패드(16)가 마련된다.
마찰패드(16)는 이송되는 용지(3)와 접촉하여 용지(3)가 2장 이상 중복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가이드는 트레이본체(10)에 한 쌍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가이드는 용지(3)의 공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지(3)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조절가이드(11)와, 용지(3)의 공급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지(3)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조절가이드(13)를 포함한다.
용지가압부재(20)는 분리가이드(15)의 양측면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며, 분리가이드(15)와 접하는 용지(3)의 상부면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지가압부재(20)는 용지(3)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압부(21)와, 용지(3)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3)와, 분리가이드(15)의 측면을 수용하도록 분리가이드(15)의 배면과 접하는 가이드부(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부(21)와 가이드부(25) 사이에는 분리가이드(15)의 측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분리가이드수용부(2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지가압부재(20)와 분리가이드(15) 사이에는 용지가압부재(20)가 분리가이드(15)의 양측면를 따라 승강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수단은 분리가이드(15)의 양측단부 및 가이드부(25)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이드돌기(17)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가이드돌기(17)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2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17)가 분리가이드(15)의 양측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돌기수용부(28)는 가이드부(25)에 마련된다.
탄성부재는 일측이 용지가압부재(20)에 결합되며, 타측이 트레이본체(10)에 결합된 스파이럴스프링(Spiral Spring)(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럴스프링(30)은 제1단부(31)가 트레이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 제1스프링지지부(19)에 장착되며, 제2단부(33)가 용지가압부재(20)의 가이드부(25)에 마련된 제2스프링지지부(27)에 장착된다. 그리고. 스파이럴스프링(30)은 제1스프링지지부(19)에 감긴 상태로 마련되어 용지가압부재(20)가 상승할 때 풀려나게 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지지부(19)는 트레이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용지가압부재(20)가 상승할 때 스파이럴스프링(30)의 제2단부(33)가 같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제1스프링지지부(19)에 감긴 스파이럴스프링(30)이 풀리면서 제1스프링지지부(19)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용지가압부재(20)는 승강된 높이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가압력으로 용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트레이본체(10)에 수용된 용지(3)의 량이 많거나 적음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가압력으로 용지(3)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걸림부재(40)는 일측이 분리가이드(15)의 배면에 결합되며, 타측이 분리가이드(15)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승된 용지가압부재(20)를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되도록 하는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부재(40)의 타측단부는 분리가이드(15)의 판면에 형성된 걸림부재수용부(18)에 탄성적으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걸림부재(40)의 타측은 용지가압부재(20)가 상승할 때 가이드부(25)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부재수용부(18)로 삽입되므로 용지가압부재(20)를 상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40)의 타측은 용지가압부재(20)가 하강할 때 가이드부(25)와 접촉하여 용지가압부재(20)의 하강을 저지하므로 걸림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용지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트레이본체(10)에 용지(3)를 수용시키기 위해 용지가압부재(20)를 상승시켜 걸림부재(40)에 걸림유지 시킨다(도 5참조). 그런 후, 다수의 용지(3)를 트레이본체(10)에 수용한다. 그리고, 걸림부재(40)에 걸림유지된 용지가압부재(20)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걸림부재(40)를 통과시켜 용지(3)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한다(도 6참조). 그런 후, 트레이본체(10)를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수용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공급롤러(5)를 회전시켜 용지(3)를 분리가이드(15)방향으로 이송시키면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장치(1)는 용지가압부재(20)가 용지(3)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가압력과 분리가이드(15)에 의해 공급롤러(5)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송되는 용지의 거칠기나 두께에 관계없이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장치(1)는 스파이럴스프링(30) 및 트레이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스프링지지부(19)를 사용함으로써 용지가압부재(20)가 트레이본체(10)에 수용된 용지(3)의 양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가압력으로 용지(3)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본체(10)에 수용된 용지(3)의 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용지(3)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지의 중복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본체에 수용된 용지의 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용지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지공급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용지공급유닛의 용지가압부재가 장착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용지공급유닛의 탄성부재가 장착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용지공급유닛에 마련된 용지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Ⅴ-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지공급유닛 5 : 공급롤러
10 : 트레이본체 11 : 제1조절가이드
13 : 제2조절가이드 15 : 분리가이드
17 : 가이드돌기 18 : 걸림부재수용부
19 : 제1스프링지지부 20 : 용지가압부재
21 : 가압부 23 : 지지부
25 : 가이드부 26 : 제2스프링지지부
27 : 돌기수용부 30 : 스파이럴스프링
40 : 걸림부재

Claims (10)

  1.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용지를 공급하도록 용지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공급롤러를 갖는 용지공급유닛에 있어서,
    다수의 용지를 수용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용지공급측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와 접촉하는 분리가이드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수용된 용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용지가압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가압부재가 용지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압부재는 상기 분리가이드의 양측면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분리가이드와 접하는 용지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이드의 양측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상승된 상기 용지가압부재를 걸림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용지가압부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트레이본체에 결합된 스파이럴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이 감긴 상태로 지지되는 제1스프링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트레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압부재는 용지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압부와, 상기 용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분리가이드의 측면을 수용하도록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과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분리가이드의 배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승된 상기 용지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되도록 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이드부의 양측단부 및 상기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에 용지의 치수에 따라 폭 조절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공급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지공급유닛과;
    상기 용지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47348A 2003-07-11 2003-07-11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50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348A KR100500247B1 (ko) 2003-07-11 2003-07-11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348A KR100500247B1 (ko) 2003-07-11 2003-07-11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752A KR20050007752A (ko) 2005-01-21
KR100500247B1 true KR100500247B1 (ko) 2005-07-11

Family

ID=3722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348A KR100500247B1 (ko) 2003-07-11 2003-07-11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2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752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23B2 (en) Print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382621B1 (en) Paper feeder with movable separation slope surfa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US5443251A (en) Sheet feeding apparatus
EP1413533B1 (en) Sheet feeding cassette including an end fence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JPH11193136A (ja) 接続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0500247B1 (ko)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N110392661B (zh) 利用压力的片材分离器
JP2018002317A (ja)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28752A (ja) 手差し用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7741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04055A (ko)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3654860B2 (ja) シート材の供給装置
JP3291133B2 (ja) 給紙装置
KR20030027620A (ko) 정전기 제거수단을 구비한 급지장치
JP3826026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3402119B2 (ja) 給紙装置
JP3764674B2 (ja) 給紙装置
KR20060112126A (ko) 용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864919B2 (ja) 給紙装置
JP3666657B2 (ja) シート材の供給装置
JP2527952Y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4333433A (ja) 画像形成装置の手差し給紙装置
JPH0585628A (ja) 給紙装置
JPH083395Y2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