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270A -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270A
KR20080092270A KR1020080032577A KR20080032577A KR20080092270A KR 20080092270 A KR20080092270 A KR 20080092270A KR 1020080032577 A KR1020080032577 A KR 1020080032577A KR 20080032577 A KR20080032577 A KR 20080032577A KR 20080092270 A KR20080092270 A KR 2008009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isclosure
public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마사 미요시
히데오 나가사까
다까시 도미나가
다다아끼 기미지마
시게루 이노우에
소이찌로 아쯔미
마모루 도까시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7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by registering files or documents with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1차 콘텐츠 또는 부차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를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그 공개 범위 설정에 대한 자유도를 보다 높은 것으로 하는 것이다.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그 부차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 서버(공개 서버)에 의해 공개할 때의 공개 양태(공개 범위)를 설정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조작 결과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는, 공개 양태의 설정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 부차 콘텐츠를 공개 서버에 업로드한 것으로 되면, 공개 서버에서는, 그 부차 콘텐츠에 저장되는 공개 지시 정보를 참조하여, 공개의 양태를 결정하도록 된다.
Figure P1020080032577
부차 콘텐츠, 1차 콘텐츠, 공개 양태, 콘텐츠 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버, 유저 단말 장치, 부차 콘텐츠 서버, 일반 공개, 비일반 공개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악 배신이라든가 파일 공유 등을 네트워크 경유로 행할 수 있도록 된 정보 처리 시스템과,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루는 정보 처리 장치(단말 장치)와 서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 정보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소위 CGM(Consumer Generated Media)으로 불리는 서비스가 보급되고, 또한, 널리 알려져 가고 있다. CGM은, 소비자 사이드인 개인 유저가 발신한 정보를,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화, 혹은 미디어화한 Web 사이트로서 제공하는 것이며,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블로그 등 외에, 사진 화상의 공유 사이트라든가, 동화상 콘텐츠 투고 사이트 등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CGM이 보급됨으로써, 일반의 개인 유저가 제3자를 향하여 자기 표현을 한다고 하는 것이, 지금까지보다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6-190200호 공보
그런데, 현상에서 실제로 알려져 있는 CGM의 서비스에 있어서, 예를 들면 블로그라든가, 사진 화상 공유 사이트, 동화상 콘텐츠 투고 사이트 등은, 서버에 투고, 업로드된 것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전체에 공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례로서, 유저에 따라서는, 자신이 작성한 임의의 특정한 콘텐츠를 CGM 서비스에 투고하여 제3자에게 공개할 때에, 당초에는 지인에게만 공개하여 그 평가 등의 모습을 본 후에, 지인 이외의 제3자를 포함하는 공개 범위로 확대해 가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유저에게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투고한 콘텐츠가 일률적으로 전체 공개되게 되는 CGM의 서비스는, 이용하고 싶어도 이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게 된다.
한편, SNS이면, 개인마다 사이트의 공개 범위에 대해서, 예를 들면 「친구까지」, 「친구의 친구까지」, 「전체에 공개」 등과 같이 하여, 유저 자신이 설정을 행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공개 범위 설정은, 개인 사이트 단위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개인의 사이트를 형성하는, 일기로서의 텍스트, 사진, 동화상 등을 개별의 콘텐츠인 것으로 본 경우, 이들 콘텐츠에 대해서 개별로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는 없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의 콘텐츠 공개의 서비스는, 현상에서는, 어떠한 공개의 방법으로 할 것인지(공개 양태)에 관한 설정 자유도는 결코 높지는 않은 것이며, 따라고, 보다 높은 설정 자유도가 얻어지도록 하여, 개인 유저에게 있어서 이용하기 쉬운 것으로 되도록 개선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공개 서버 장치 및 단말 장치로 적어도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말 장치에서, 입력 조작에 따라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단과, 단말 장치에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공개 양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과, 공개 서버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과,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단말 장치로부터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단과, 공개 서버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의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과, 입력 조작에 따라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단과,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공개 양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과,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한 양태로 콘텐츠의 공개를 실행하는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서버 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과,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고, 이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현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서버 장치에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측에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공개 지시 정보를 포함하도록 된 콘텐츠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과, 네트워크 경유로의, 단말 장치로 부터의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액세스에 응답한 주어진 처리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처리 수단과,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해서는, 우선, 단말 장치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공개 서버 장치(서버 장치)에 대해서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공개 서버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를 일반에 공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업로드한 콘텐츠 정보를,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공개한다고 하는 시스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를 위해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는, 그 콘텐츠 내용에 따른 본체 정보와, 부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지만, 부가 정보에는 공개 지시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된다. 이 공개 지시 정보는, 상기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공개할 때의 그 양태(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이 공개 지시 정보의 기초로 되는 공개 양태는, 단말 장치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공개 서버 장치에서는, 자신에게 업로드된 콘텐츠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에 부가된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원 발명에서는, 우선, 콘텐츠 정보마다 부가되는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공개 양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콘텐츠 정보마다 개별로 공개 양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개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에 대 한 입력 조작에 따라서 작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은 입력 조작을 행한 사람, 즉, 콘텐츠 정보를 업로드한 사람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게 된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공개의 양태에 대해서,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람의 의도에 따라서, 콘텐츠마다 개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공개 양태에 관한 설정 자유도는, 지금까지보다도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공개 서버 장치)(2), 커뮤니케이션 서버(3)와, 다수의 유저 단말 장치(4)를 네트워크(5)를 경유하여 접속함으로써 형성한 것으로서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이와 같은 장치 구성에 의해, 음악 배신·공유 시스템을 실현한다. 즉,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소위 음악 배신(1차 콘텐츠의 배신)과, 유저가 작성한 콘텐츠(부차 콘텐츠)에 대한 유저간에서의 공유가 실현된다.
1차 콘텐츠 서버(1)는, 1차 콘텐츠로서의 소정 형식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다수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 워크 경유로의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지정된 1차 콘텐츠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신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의 1차 콘텐츠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휴하는 레벨 회사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아티스트 등이 연주한 악곡 등으로서의 내용을 갖는 것으로 된다.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부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부차 콘텐츠 정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다수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은,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네트워크 경유로 업로드되어 간다.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이와 같이 하여 업로드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부차 콘텐츠로서 취급하여 기억하도록 된다. 또한, 네트워크 경유로의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지정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신 출력하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부차 콘텐츠에 대한 일반 공개가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Web 사이트(Web 사이트)인 일반 공개 사이트(2a)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하기 위한 Web 서버로서의 기능도 갖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유저 단말 장치(4)가 URL(부차 콘텐츠 정보의 보존 장소를 나타냄)을 직접 적으로 지정하도록 하여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다운로드 요구(액세스)를 행하는 양태와, 유저 단말 장치(4)가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액세스하여, 여기서 일반 공개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정보 중으로부터 예를 들면 1개의 특정한 부차 콘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하는 양태가 있다.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예를 들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라든가 블로그 등의, CGM(Consumer Generated Media) 등으로도 불리는, 개인 유저에 의한 정보 발신 서비스이라든가, 유저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도록 된 서버이다.
유저 단말 장치(4)는, 일반의 유저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그 실제로서는, 예를 들면 LAN 등의 네트워크 통신 기능이 주어진 퍼스널 컴퓨터로 된다.
이들 유저 단말 장치(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유저는, 이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조작함으로써,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의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다운로드한 1차 콘텐츠(및 부차 콘텐츠)를 기초로 하는 편집 작업에 의한 새로운 부차 콘텐츠의 작성, 작성한 부차 콘텐츠(즉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부차 콘텐츠 서버(2)에의 업로드,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의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다운로드, 커뮤니케이션 서버(3)를 이용한 SNS 서비스의 이용, 블로그의 기입/열람 이용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1에 도시한 구성을 채용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동작예를, 유저 단말 장치(4)의 유저에 의한 기본적인 이 용 양태예에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설명 시에는, 도면에서 [] 내에 영숫자에 의해 나타낸 수순, 동작의 번호에 따라서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유저 단말 장치(4)로서, 두 사람의 유저 A, B의 각각이 사용하는 것으로 되는 유저 단말 장치(4A, 4B)가 도시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및 유저 단말 장치(4)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되는 네트워크(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수순 1>
우선, 유저 A는, 유저 단말 장치(4A)(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해서, 자신이 다운로드하고 싶은 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에 따라서, 유저 단말 장치(4A)는, 1차 콘텐츠 서버(1)에 대해서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악 배신·공유 시스템에서는,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기본적으로는 유료로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에 대해서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시킬 때에는, 유저 A는 그에 상당하는 구입 수속을 행해야 하는 것으로 된다. 이 구입 수속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악곡 단위, 앨범 단위로 개별로 설정된 요금에 대한 지불 수속이어도 되고, 최근에 종종 운용되도록 된, 서브스크립션으로 불리는 예약 구독적인 수속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무료로 1차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유저 A는, 구입 수속을 행해 둘 필요는 없다.
그리고, 1차 콘텐츠 서버(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수 신하면, 예를 들면 우선 요구원의 유저에 대한 인증, 요금 지불의 확인 등을 행하여, 정당한 다운로드 요구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정당한 다운로드 요구라고 판정한 것이라면,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1차 콘텐츠 중으로부터, 다운로드 요구와 함께 지정된 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1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1차 콘텐츠 데이터)를,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출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1차 콘텐츠 서버(1)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행하면서 기억하고 있는 1차 콘텐츠의 실체는, 여기서는, 1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을 갖는 소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1차 콘텐츠로서의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임)를 본체 정보로 한 후에, 이에 관련된 각종 메타데이터(악곡 타이틀, 아티스트, 속하는 앨범의 타이틀, 장르, 데이터 형식, 데이터 사이즈 등)를 포함하는 파일 구조인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을 행하여 갈 때에,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음향 재생 출력을 행함으로써 그 악곡 내용이 얻어지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주체로 하는 구조인 것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송출된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유저 단말 장치(4A)에서 수신된다. 유저 단말 장치(4A)(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는, 이 수신한 1차 콘텐츠 데이터를, 내부의 HDD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 보존시킨다.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이 하여 기억 보존된 1차 콘텐츠 데이터를, 예를 들면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양태에 의해 관리함과 함께, 유저 조작에 따른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에 기억되어 있는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원칙은 유저가 구입을 한다고 하는 형태로,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다운로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순(동작) 1로서는, 소위 음악 배신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4A)에서 기억 보존된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재생하여,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A)에 접속한 오디오 장치에 의해 듣을 수도 있다.
<수순 2>
그런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경유에 의한 음악 배신에서는, 다운로드 후의 사용은, 임의의 일정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 제한이 주어진 후에의 재생 등의 이용으로 한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다운로드에 의해 오디오 콘텐츠를 취득한 유저는, 일정 범위에서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을 뿐이며, 예를 들면 취득한 오디오 콘텐츠를 기초로서 편집을 행하여 2차적 창작물로서의 악곡을 작성하는 권원은 주어져 있지 않은 것이 통상이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콘텐츠는, 원칙적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2차적 창작을 위한 소재로서 이용하는 것(2차 이용, 2차 편집)이 허락된 오디오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본 실시 형태에서의 1차 콘텐츠의 2차 이용은, 그 1차 콘텐츠로서의 악곡의 저작자가 승낙한 권한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기억 보존되어 있는) 1차 콘텐츠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유저 조작에 따라서 편집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악곡으로서의 오디오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오디오 콘텐츠의 편집 시에는, 이펙트 데이터베이스(6)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특수 효과에 따른 플러그인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한 편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소재 데이터베이스(7)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성 소재를 취득하고, 이것을 가하도록 하여 편집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펙트 데이터베이스(6)나 소재 데이터베이스(7)는, 네트워크 상에서 설치되는 것이어도 되고, 유저 단말 장치(4A)의 로컬 상에 존재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라고 하는 것으로 하여, 1차 콘텐츠와 구별한다. 수순(동작) 2로서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기동 중인 유저 단말 장치(4A)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 임의의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도록 된다.
또한, 이 수순(동작) 2에 의해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의 실체는, 1차 콘텐츠와 같이 하여 그 악곡 내용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라, 재생 제어 정보를 본체로서 갖고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즉, 2차 이용한 오디오 콘텐츠(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어느 부분을 어느 타이밍에서 재생 출력할지 등의 지시를 비롯하여, 이펙트(특수 효과)의 지정 등이 기술된 재생 제어 정보로 된다.
즉,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2차 편집의 흐름으로서는, 도 3에서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2차 이용의 대상인 편집 소재 콘텐츠 A, B, C를 이용하여, 유저 조작에 따라서 편집 처리를 행한 결과로서,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재생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정보를 작성하여 출력하도록 된다.
이 재생 제어 정보로서의 부차 콘텐츠 데이터(즉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하면, 데이터 사이즈를 대폭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할 HDD 등의 기억 매체의 기억 용량을 절약하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송수신할 때에도, 전송 데이터량은 적어지므로, 예를 들면 트래픽도 압박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2차 편집과 같이 하여, 기존의 악곡을 소재로 하여 편집을 행하여 신규의 악곡으로서의 2차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은, 샘플링, 매쉬업 등으로 불리며, 프로페셔널의 음악가 등도 종종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배경으로, 일반의 사람들 중에도, 동일하게 하여 2차 작품으로서의 악곡을 만들어 내고 싶다고 하는 욕구, 요망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의 사람들이, 저작권의 문제를 적정하게 클리어한 후에, 2차 작품으로서의 악곡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음악 배신·공유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일반의 유저가, 배신되는 악곡을 이용한 2차 편집을 합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유저에게 있어서의 오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때문에, 1차 콘텐츠는, 저작권자가 승낙한 권한의 범위에서, 다운로드(구 입)를 행한 유저가 2차 이용하는 것이 허가된 오디오 콘텐츠인 것으로서 위치짓는 것으로 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1차 콘텐츠 서버(1)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는, 2차 이용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허락된 오디오 콘텐츠를 배신하는 것이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1차 콘텐츠의 2차 이용으로서의 편집 작업은, 적어도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 대응하여 개발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 상에서의 유저 조작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과는 무관한 다른 편집 소프트 등에 의해서는 행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이를 위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순 3>
상기 수순 2와 같이 하여 유저 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로서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은, 유저 A의 유저 단말 장치(4A)만에서 보존해 두고, 도 4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재생 기능에 의해 처리를 행하여, 그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의 음성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유저가 공유할 수 있도록도 한다.
유저 A로서는, 앞의 수순 2에 의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유되도록 하고 싶다고 생각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유저 A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해서 소정 조작을 행하여, 수순 2에 의해 작성한 부차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업로드한 것으로 된다. 이것이 수순 3으로 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의 실체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로 된다. 따라서, 이 수순 3으로서의 부차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서는, 유저 단말 장치(4A)(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는, 업로드 요구와 함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송신 출력하도록 된다.
<수순 4, 4-1>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업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원칙적으로, 이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온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신규로 등록하도록 하여 보존한다. 이 때에는, 부차 콘텐츠 서버(2)는, 그 보존 장소(예를 들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어드레스에 의해 표현됨)를 설정한 후에,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보존 처리와, 데이터베이스에의 등록을 행하도록 된다. 이것이 수순 4로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를 공개하는 공개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수순 4-1로서, 부차 콘텐츠(2)는, 수순 4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부차 콘텐츠의 공개를 행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부차 콘텐츠의 공개의 양태로서는, 일반 공개와 비일반 공개의 2개의 양태를 채용하도록 된다.
우선, 일반 공개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네트워크에서 공개하고 있는 것으로 되는 일반 공개 사이트(2a) 상에서 부차 콘텐츠를 공개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공개 사이트(2a)는, 예를 들면 그 URL이 일반적으로 공개되어 있어, 「일반 유저」가 특별히 제한 없이 네트워크 경유로 액세스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그리고, 이 일반 공개 사이트(2a)에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업로드되어 기억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무차별로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킨 결과로서 일반 공개할 것이 설정된 것만을 등록하여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 공개 사이트(2a)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일반 공개할 것으로서 등록된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일반 공개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한다. 그리고,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측에서는, 이 일반 공개 사이트(2a)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조작에 의해, 일반 공개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또한, 원하는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일반 공개를 향수하는 것으로 되는 일반 유저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유저를 가리키는 것인지, 즉, 네트워크 상에서 일반 공개 사이트(2a)를 공개할 때에, 어떠한 액세스의 허가 조건으로 할 것인지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의 운영에도 의하지만, 예를 들면 우선은, Web 브라우저를 인스톨하고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액세스를 허가하도록 하여 공개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이 경우의 일반 유저란, 단말기의 Web 브라우저를 조작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서의 임의의 Web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혹은,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의 유저로서 등록한 유저에 의해서만,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Web 브라우저로 하는 경우도 생각됨)으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공개의 방법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일반 공개 사이트(2a)에의 액세스(로그인)를 위해서, 등록 시에 설정한 유저 ID나 인증용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의 일반 유저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으로서 등록한 모든 유저를 가리키게 된다. 어쨌든, 이 일반 공개 하에서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액세스가 가능한 유저로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비일반 공개의 경우에 1개의 부차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는 유저에 제한이 생기는 것과 비교하여, 일반성을 갖는 것이다.
비일반 공개는, 상기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의한 일반 공개는 하지 않지만, 유저 단말 장치(4)(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 또는 Web 브라우저 등)로부터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URL을 직접적으로 지정한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이 요구에 응답하여, 지정된 URL에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를 요구원에 송신하는 것으로 한 공개의 양태를 말한다.
즉, 비일반 공개의 부차 콘텐츠는, 일반 공개 사이트(2a)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 유저의 누구나가 일반 공개 사이트(2a) 경유로 액세스하여 다운로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비일반 공개의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작성자가 개인적으로 발신한 부차 콘텐츠의 URL에 대한 고지, 혹은 입소문적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보 고지의 전파에 의해, 일반 유저 중의 일부의 한정적인 범위의 유저가, 그 부차 콘텐츠의 URL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는, 원칙적으로, URL을 직접적으로 지정한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일반 공개·비일반 공개에 상관없이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URL을 취득한 유저는, 유저 단말 장치(4)를 조작하여, 그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는, 수순 3에 의해 업로드되어 기억 보존하고 있는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일반 공개와 비일반 공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의해 공개하도록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가, 일반 공개와 비일반 공개 사이에서의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선택을, 어떻게 하여 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순 5>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일반 공개 혹은 비일반 공개의 양태에 의해 공개 가능한 상태에서의 보존 관리를 행한 것으로 되면, 업로드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A)에 대해서, 업로드되어 온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보존 장소를 통지하기 위해서, 그 보존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유저 단말 장치(4A)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이것을 소정의 기억 매체에 기억 보존하여 관리하도록 된다. 유저 A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언제라도, 자신이 수순 2에 의해 업로드한 부차 콘텐츠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출력시킬 수 있다.
<수순 6>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취득한 유저 A는, 몇 가지의 수단에 의해, 다른 유저를 대상으로 하여, 자신의 부차 콘텐츠가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공개된 것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수순 6은, 이 공개 고지의 수단의 하나에 대응하는 것이며, 도시하는 바와 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 액세스하여, 예를 들면 SNS에서의 자신의 페이지나, 자신의 블로그 등에,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개(여기서의 공개는, 일반 공개·비일반 공개 중 어느 것이라도 됨)된 취지를 기입하게 된다. 이 때에, 유저 A는, 수순 5에 의해 취득한 보존 장소 어드레스로서의 URL을 함께 기입하도록 하여 첨부해 두게 된다.
<수순 7>
상기 수순 6과 같이 하여 유저 A가 기입을 행한 후에, 예를 들면 유저 B가, 유저 단말 장치(4B)에 인스톨되어 있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조작하여, SNS에서의 유저 A의 페이지나, 유저 A의 블로그에 액세스하여 열람하면, 유저 A의 부차 콘텐츠가 새롭게 공개된 것을 알게 된다. 즉, 이 경우의 유저 B는, 유저 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의 신규 공개에 대한 고지를, SNS나 블로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받은 것으로 된다. 수순 7은, 이와 같은 간접적인 부차 콘텐츠 공개의 고지가 행해지는 것을 가리킨다.
<수순 8>
또한, 공개 고지의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 이 수순 8을 예를 든다. 이 수순 8로서는, 예를 들면 SNS에 구비되는 메일 기능 등을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 송신함으로써, 유저 B측에 대해서,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개된 것을 고지하게 된다. 이것은, 수순 6, 수순 7의 흐름에 의한 고지에 대해서, 보다 직접적인 양태의 고지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전자 메일 등에 의해 고지를 행할 때에도, 예를 들면 본문 중에, 그 부차 콘텐츠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기재하도록 하여 첨부해 두게 된다.
또한, 상기 수순 7, 수순 8은, 설명의 편의상, 유저 A, B의 양자간에 한한 부차 콘텐츠 공개의 고지에 관해서 설명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3자 이상의 유저간에서 고지가 행해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일례로서, 유저 A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후에, 유저 B가, 또 다른 유저에 대해서, 수순 7이나 수순 8로서의 수단에 의해, 유저 B가 발신하고 있는 SNS의 페이지나 블로그 등에서, 유저 A가 부차 콘텐츠를 공개하고 있는 것을 고지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하여 네트워크 상에서는, 1곳으로부터 발신된 정보가, 입소문적인 경로로 전파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보 전파도, 본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 공개의 고지의 일 양태로서 파악할 수 있다.
<수순 9>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 B는, 유저 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신규 공 개된 것의 고지를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받아, 이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저 B가, 이 신규 공개된 유저 A의 부차 콘텐츠를 듣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에는, 유저 단말 장치(4)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또는 Web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를 실행시킴으로써,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이것이 수순 9로 된다.
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에는, 예를 들면 SNS의 일기의 페이지, 혹은 블로그의 본문 내에 링크로서 나타내어져 있는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한 클릭 조작 등을 행하게 된다.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SNS의 일기의 페이지나 블로그에 대해서 기입을 행할 때에, URL 등의 어드레스의 정보를 기입한 경우에는, 이 문자열 부분이 링크로서 공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한 클릭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해서 액세스한다. 즉, 부차 콘텐츠 서버(2) 상의 어드레스 중에서, 유저 A가 작성하여 공개 중인 부차 콘텐츠의 파일(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보존하고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이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유저 단말 장치(4B)에 송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송출되어 오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유저 단말 장치(4B)측에서 수신하여,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제어에 의해 보존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행해진다.
앞의 수순 7, 8에 의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저 B에의 부차 콘텐츠 공개의 고 지와, 이 수순 9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비일반 공개 시에 행해지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부차 콘텐츠의 URL에 대한 다른 사람에의 고지와, 부차 콘텐츠의 보존처인 URL을 직접적으로 지정한 다운로드에 상당하는 것이다. 단,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수순 7, 8, 9에 의한 통지와 다운로드의 수순은,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의해 일반 공개되는 부차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수순 10>
또한, 유저 B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공개하고 있는 Web 서버인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대해서, 「일반 유저」로서 유저 단말 장치(4B)에 의해 액세스하는 자격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 B는, 유저 단말 장치(4B)(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 또는 Web 브라우저)를 조작하여,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액세스하여,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하여 원하는 부차 콘텐츠를 검색하여 찾아내고, 그것을 다운로드하여, 보존 관리시킬 수 있다.
상기 수순 9와 같이 URL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이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은, 고지나 입소문적인 전파 등의 결과로서 취득할 수 있었던 URL에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만으로 된다. 이에 대해서, 수순 10은, 일반 공개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를 선택 후보로 하여, 이들 중으로부터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한다고 하는 것이다.
<수순 11>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수순 9에 의해 다운로드한 유저 A의 부차 콘텐츠가 보존된 후, 혹은 수순 10에 의해 다운로드한 부차 콘텐츠가 보존된 후에는, 유저 단말 장치(4B)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이들의 부차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수순 11은, 유저 B에 의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재생 지시 조작에 따라서, 이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이 소리로서 재생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수순으로 된다.
여기서,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재생 개념을 도 4에 도시해 둔다.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에는, 우선,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이, 그 실체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이 해석의 결과, 예를 들면, 적어도, 어느 오디오 콘텐츠가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이용되고 있고, 또한, 각 편집 소재 콘텐츠에서의 어느 부분이, 어느 재생 시간에서, 어떻게 하여 이용되고 있는 것인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3에 대응하여, 편집 소재 콘텐츠 A, B, C의 각 오디오 콘텐츠를 편집 소재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편집 소재 콘텐츠 A, B, C로서의 실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이용하여 재생 제어를 실행하도록 된다. 이 결과,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이 소리로서 재생된다.
또한, 상기 도 4의 설명에 따르면, 부차 콘텐츠의 재생에는, 그 부차 콘텐츠에서 부차적으로 이용된 오디오 콘텐츠(편집 소재 콘텐츠임)로서의 실오디오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된다. 즉,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는, 일시적이라도,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과 동일한 로컬 상에, 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했을 때에, 그 편집 소재 콘텐츠가 로컬 상에서 보존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이들을 취득하여 로컬 상에 존재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된다.
<수순 12>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로컬 상에 없는 편집 소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한 수순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도 2에서의 수순 12는, 상기 수순 11에 의한 콘텐츠 재생의 과정에서, 이를 위해서 행할 수순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는 실오디오 데이터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편집 소재 콘텐츠는 1차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수순 12로서는, 1차 콘텐츠 서버(1)에 액세스하여, 금회의 수순 11에 의한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하고, 로컬 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하게 된다. 이 다운로드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편집 소재 콘텐츠가 로컬 상에 모두 존재하게 되어, 도 4에 의한 설명과 같이 하여 재생 출력을 정상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순 11의 다운로드에 의해 로컬 상에 존재하게 되는 1차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로서는, 몇 가지 생각할 수 있다.
우선, 하나로는 수순 1에 의한 통상의 다운로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대해서 기억 보존된 상태에서 로컬 상에 존재하는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로서는, RAM 등의 주기억 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되고, 예를 들면 이 부차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가능한 음악 편집·공유 어 플리케이션(100)의 상태가 아니게 된 것에 따라서, 소거되는 등의 양태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콘텐츠는 원칙적으로 유료이다라고 설명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무료로 하거나, 혹은 통상의 다운로드보다도 저렴한 요금 설정으로 하는 등의 운용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 도 2의 설명에 따르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작성은,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1차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는, 1차 콘텐츠뿐만 아니라, 부차 콘텐츠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 점에 대해서 보충해 둔다. 도 5의 (a) (b) (c)에는, 각각, 2개의 편집 소재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5의 (a)는, 도 2에 의해 설명한 부차 콘텐츠의 작성예와 마찬가지로, 편집 소재 콘텐츠 A, B가 각각 1차 콘텐츠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1차 콘텐츠 A를 편집 소재 콘텐츠 A로 하고, 이것과는 상이한 1차 콘텐츠인 1차 콘텐츠 B를 편집 소재 콘텐츠 B로서 편집 처리를 실행하여 부차 콘텐츠를 작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내용적으로는 1차 콘텐츠 A와 1차 콘텐츠 B 중 적어도 일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즉 근본의 편집 소재(원편집 소재)로서, 1차 콘텐츠 A, B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와 동일한 1차 콘텐츠로 되는 편집 소재 콘텐츠 A와, 1차 콘텐츠 C, D를 2차 이용하여 작성된 부차 콘텐츠인 편집 소재 콘텐츠 C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 A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 A의 적어도 일부와, 편집 소재 콘텐츠 C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 C, D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악곡 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즉, 원편집 소재로서는, 1차 콘텐츠 A, C, D로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도 5의 (b)에 도시되는 신규의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이들 1차 콘텐츠 A, C, D를 로컬 상에 둘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도 5의 (c)는, 부차 콘텐츠인 2개의 편집 소재 콘텐츠 C, D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신규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신규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 C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 C, D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편집 소재 콘텐츠 D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 E, F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악곡 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도 5의 (c)에 도시되는 신규의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 C, D, E, F를 로컬 상에 둘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5의 (b) (c)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부차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유저는, 1차 콘텐츠를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취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부차 콘텐츠를 로컬 상에 두기 위해서, 예를 들면 다운로드를 행하여 유저 단말 장치(4)에 기억 보존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2의 수순 9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 서버(2)가 부차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행할 때에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 에 대해서 암호화를 실시해 두게 된다. 이 암호화는, 정규 유저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이면 해독할 수 있지만,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 암호화 처리를 거쳐서 해독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만을 재생하고, 예를 들면 원래부터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부차 콘텐츠 데이터, 혹은 별도의 방식,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즉,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취득한 것만을 재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P2P(Pier to Pier)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이라든가, 전자 메일의 파일 첨부라든가 FTP(File Transport Protocol) 등에 의한 유저 단말 장치간에서의 직접적인 통신, 혹은 리무버블 미디어를 이용한 유저간에서의 수수 등으로, 유저끼리가 직접적으로 부차 콘텐츠 파일을 주고 받았다고 하여도, 이와 같이 하여 유저가 입수한 파일은,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의해 암호화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정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인의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이 아니면 적정하게 재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는, 저작권을 위반한 비합법적인 부차 콘텐츠가 네트워크 상에서 유통, 증식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부차 콘텐츠의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도 2∼도 5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악 배신·공유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통상의 음악 배신에 의해 유저가 좋아하는 악곡을 다운로드(구입)하여 듣고 즐길 수 있다. 게다가, 이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로 하기 위한 2차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이용 권한이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유저는 1차 콘텐츠를 소재로 편집을 행하여 자신의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작성한 작품인 부차 콘텐츠를 SNS나 블로그 등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지금까지에서는 저작권 등의 문제로 합법적으로는 곤란했던 것으로 되는, 일반 유저가 저작권이 있는 악곡을 소재로 하여 편집을 행하여 신규로 오디오 콘텐츠(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고, 또한, 이 부차 콘텐츠를 일반에 공개한다고 하는 것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차 콘텐츠의 실체에서, 그 본체적인 정보(본체 정보)는, 그 부차 콘텐츠가 이용하는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기술을 적어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인 것으로 하고 있다.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부차 콘텐츠의 재생 기능을 갖는 것이지만, 부차 콘텐츠 작성을 위한 편집 기능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부차 콘텐츠의 재생의 양태로서, 단순히 음성 재생을 위한 처리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의 편집 기능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재생되는 부차 콘텐츠의 편집 내용을 반영시킬 수 있다. 즉, 부차 콘텐츠의 실질적 내용이 재생 제어 정보로 되어 있는 것의 혜택으로서, 유저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부차 콘텐츠가 어떻게 하여 편집되어 있는 것인지를 상세히 알 수 있다.
계속하여,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 형태의 음악 배신·공유 시스템으로서의 이용 양태, 동작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해 간다.
우선, 도 6은, 1차 콘텐츠 서버(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는, 제어부(11), 기억부(12), 인증 처리부(13), 검색 처리부(14),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 결제 처리부(16), 암호화 처리부(1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1차 콘텐츠 서버(1)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기억부(1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를 기억하고 있다.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는, 배신할 1차 콘텐츠로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 단위로 된다. 또한, 1차 콘텐츠로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실 데이터 외에, 각종의 메타데이터가 부수된 소정 형식을 갖는다.
인증 처리부(13)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정규의 유저인지의 여부 등에 대한 주어진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인증 처리 결과가 OK이었던 경우에만, 요구에 응답한 1차 콘텐츠의 송신이 행해진다.
검색 처리부(14)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와 협동하여,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액세스하여, 목적의 1차 콘텐츠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 로 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는,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대한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신규의 1차 콘텐츠가 공급된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대해서 이 신규의 1차 콘텐츠를 등록하도록 하여 갱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1차 콘텐츠를 삭제할 경우에는, 1차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와 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행하게 된다.
결제 처리부(16)는, 유료의 1차 콘텐츠에 관한 유저측의 대금 지불에 대한 결제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암호화 처리부(17)는, 이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신할 1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암호화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며, 예를 들면 다운로드 요구의 수신과, 이에 따른 1차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은,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가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은, 부차 콘텐츠 서버(2)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제어부(21), 기억부(22), 인증 처리부(23), 검색 처리부(24), 결제 처리부(25), 보존 장소 설정 처리부(26), 암호화 처리부(27), 일반 공개 사이트 관리부(2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기억부(2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종 주어진 데이터, 정보 등을 기억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어부(21)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는 CPU가 실행할 프로그램도 기억시키는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억부(22)에서 기억되는 정보로서,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를 나타내고 있다.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업로드된 모든 부차 콘텐츠(그 실체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임)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 단위로 된다.
또한,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는, 상기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부차 콘텐츠 중, 일반 공개할 것으로서 설정된 부차 콘텐츠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 단위로 된다.
인증 처리부(23)는,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정규의 유저인지의 여부 등에 대한 주어진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검색 처리부(24)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와 협동하여,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부차 콘텐츠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대한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가 신규로 업로드된 경우에 따라서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대해서, 업로드되어 온 부차 콘텐츠를 등록하도록 하여 갱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를 삭제하게 된 경우에는, 이를 위한 삭제 처리와, 삭제 결과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행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를 이루는 것으로 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관련되는 기능부 중의 일부로서, 세대 관리부(25a)와 공개 범위 관리부(25b)를 나타내고 있다.
세대 관리부(25a)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기억 보존하고 있는 부차 콘텐츠의 세대에 대한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콘텐츠의 세대에 대한 개념과, 이 세대 관리부(25a)가 실행하는 것으로 되는 세대 관리 처리예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차 콘텐츠 서버(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기억 보존하고 있는 부차 콘텐츠마다에 대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개의 양태(공개 범위)를 변경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개 범위 관리부(25b)는, 이와 같은 공개 범위 설정에 관한 제어, 처리를 담당하는 기능 부위로 된다.
암호화 처리부(27)는, 이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신할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암호화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또한,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서는, 부차 콘텐츠의 업로 드 시에,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신해 오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암호화 처리부(27)는, 그 암호화를 해독하는 처리도 실행하게 된다.
일반 공개 사이트 관리부(28)는,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를 이용하여, 일반 공개 사이트(2a)가 적정하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각종 주어진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예를 들면 업로드되어 오는 부차 콘텐츠나 다운로드 요구의 수신과, 다운로드 요구에 따른 부차 콘텐츠 데이터(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송신은,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가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8은, 커뮤니케이션 서버(3)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제어부(31), 기억부(32), 인증 처리부(33), 블로그 가동 처리부(34), SNS 가동 처리부(3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의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블로그와 SNS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된다
제어부(31)는,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와 SNS 데이터베이스(32b)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블로그 데이터베이 스(32a)는, 유저가 개설한 블로그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단위로 된다. 또한, SNS 데이터베이스(32b)는, SNS의 유저마다의 페이지 내용 등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단위로 된다.
이 경우의 인증 처리부(33)는, 블로그의 갱신을 위한 로그인이나, SNS에 로그인의 요구 등에 따라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인증 처리 결과가 OK이면, 상기의 로그인이 성공하게 된다.
블로그 가동 처리부(34)는, 블로그를 적정하게 가동시키기 위한 각종 주어진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블로그에의 액세스 요구나, 정규의 블로그의 기입 화면의 요구 등에 따라서, 블로그 화면의 데이터의 송신이라든가, 블로그 기입 화면의 송신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블로그에 대한 기입이 반영되도록 하여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를 갱신하는 등,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를 관리하기 위한 처리도 실행한다.
SNS 가동 처리부(35)도 마찬가지로 하여, SNS의 페이지에의 액세스 요구에 따라서 그 페이지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라든가, 일기 등의 기입을 반영시키기 위한 SNS 데이터베이스(32b)의 갱신 등을 비롯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SNS를 적정하게 가동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로 한다. 이에 의해, 블로그나 SNS에의 액세스 요구에 따른 페이지 데이터의 송신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SNS와 블로그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SNS와 블로그에서, 각각 서로 다른 서버가 구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SNS, 블로그 이전부터 잘 알려져 있는, 홈 페이지 등으로 불리는 개인의 사이트 운영 등, SNS, 블로그 이외에서, 개인 유저가 정보 발신할 수 있는 CGM 관련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9는, 유저 단말 장치(4)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유저 단말 장치(4)로서의 하드웨어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으로 한다.
우선 유저 단말 장치(4)는, 네트워크(5)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4)가 구비됨으로써, 네트워크(5)를 통하여,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및 다른 유저 단말 장치(4) 등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는, 예를 들면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48)에 인스톨된 OS(Operating System),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한, ROM(42)에 유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게 된다.
RAM(43)은 CPU(41)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 CPU(4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절히 유지된다.
이 경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되는 입력 디바이스(46)가 접속되어 있고, 이 입력 디바이스(46)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조작 신호를, CPU(41)에 적합시킨 신호로 변환하여 CPU(4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미디어 드라이브(47)가 접속되어 있다. 이 미디어 드라이브(47)는, 소정 포맷의 리무버블 미디어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장치로 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기억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를 구비한 HDD(48)가 접속되어 있다. CPU(4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8)의 하드디스크에 대해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기록 또는 읽어내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니터(49)도 접속되어 있다.
도 10에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의 이용에 관련하여 HDD(48)에 기억되는 데이터 내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 관련해서는, 우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데이터로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기억시키게 된다. 또한, HDD(48)에 대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기억은, 인스톨의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파일로서, 1 이상의 1차 콘텐츠 파일(1차 콘텐츠 파일군(103))과, 1 이상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군(104))이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 이션(100)의 제어에 의해 기억된다.
이 경우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그 기능면으로부터, 대별하여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로서의 프로그램 부분과, 커뮤니케이션 툴(102)로서의 프로그램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은, 1차 콘텐츠 파일(오디오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로부터 이루어짐)이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다운로드, 1차 콘텐츠 파일군(103)의 1차 콘텐츠 파일과,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군(104)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파일 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편집 조작에 따른 편집 처리나, 편집 결과에 따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작성 처리 등도 실행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 툴(102)은,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 액세스하여 블로그나 SNS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도 11은,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에 대한 프로그램 구성을, 기능 블록 단위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통신 제어부(111),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 1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3),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 부차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7), 부차 콘텐츠 편집·작성 처리부(118), 암호·해독 처리부(119), 음성 재생 신호 처리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1)는, 콘텐츠 관리·편집에 관련하여 주로 1차 콘텐츠 서버(1)나 부차 콘텐츠 서버(2)와 네트워크 경유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는,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이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다운로드 요구로서의 커맨드를 발행하여 통신 제어부(111)에 의해 송신시키는 제어나, 통신 제어부(111)에서 수신한 1차 콘텐츠의 데이터의 패킷을 건네받아, 1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복원하는 처리 등도, 이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실행된다.
1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3)는, 상기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취득된 1차 콘텐츠 파일을 HDD(48)에 보존하는 처리와, 보존된 1차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이 1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3)에 의해, 아티스트명, 앨범 단위, 장르 등에 따른 소트 등의 악곡관리가 실현된다.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는,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는, 상기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에 의해 취득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HDD(48)에 보존하는 처리와, 보존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부차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업로드하기 위한 전송 처리가 통신 제어부(111)를 경유하여 적정하게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는, 도 3에 의해 도시한 편집 소재 콘텐츠를 이용한 편집, 즉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의 작성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편집 조작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도, 이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에 의해 실현된다.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는, 우선,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에 의해 작성된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이 반영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 대한 해석 처리를 실행하여, 편집 소재 콘텐츠를 이용한 재생 처리의 시퀀스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차 콘텐츠 파일은 암호화가 실시되어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도, 다운로드에 대응하여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송신할 때에도, 암호화를 실시하도록 되는, 또한,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에도, 암호화를 실시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있다. 암호화·해독 처리부(119)는, 암호화가 실시된 1차 콘텐츠 파일,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재생, 편집 등을 위해서 조작할 필요가 있을 때에, 이 암호화를 해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 대해서 암호화를 실시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암호화를 실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된다.
음성 재생 신호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으로서 재생하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 중에서, 디지털 단계에서 실시해 둘 주어진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때에, 이 1차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 압축 부호화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면, 이 압축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PCM 형식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얻도록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에 의해 결정된 재생 처리의 시퀀스에 따라서,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1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재생해 가는, 시퀀서로서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에 의해 재생 제어 정보를 해석한 결과는,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가 제공하는 것으로 되는 GUI인 편집 작업 화면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재생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재생 지시의 내용이, 편집 작업 화면 상에서 유저가 인식 가능한 양태로 표시된다. 유저는, 이것을 봄으로써, 그 부차 콘텐츠가 어떻게 하여 작성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부차 콘텐츠를 작성자가 어떻게 하여 작성한 것인지라고 하는 것을, 정확한 정보로서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의한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가 어떻게 하여 작성된 것인지를 일반의 유저가 알기 위해서는, 실제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음향적인 내용으로부터 추측하는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또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여 작성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차 콘텐츠가 유저간에서 공유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저의 음악 제작에 관한 지식,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은, 음악 제작에 관심이 있는 유저에게 있어서는, 매우 높은 오락성과 이용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구조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은, 이용 1차 콘텐츠 정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 재생 제어 정보,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 및 본 콘텐츠 세대 정보의 각 정보부를 적어도 갖고, 이들 정보부를 소정 구조에 의해 저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정보부 중, 재생 제어 정보가,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로서의 본체적인 정보(본체 정보)로 되는 것이며, 이 이외의 정보(이용 1차 콘텐츠 정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 본 콘텐츠 세대 정보, 공개 지시 정보)가, 메타데이터(부가 정보)로 된다.
이용 1차 콘텐츠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이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을 재생하는 데에 필요하게 되는 1차 콘텐츠(이것이 이용 1차 콘텐츠임)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바꾸어 말하면, 현 부차 콘텐츠의 작성을 위해서 결과적으로 이용되게 된 1차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5와의 대응이면, 편집 처리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나타내어져 있는 1차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이용 1차 콘텐츠 정보로 되는 것이다. 즉,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에서, 도 5의 (a)의 경우에는 1차 콘텐츠 A, B가 나타내어지고, 도 5의 (b)의 경우에는 1차 콘텐츠 A, B, C가 나타내어지고, 도 5의 (c)의 경우에는 1차 콘텐츠 C, D, E, F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가능성으로서, 편집 소재 콘텐츠를 편집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에서, 편집 소재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었던 임의의 1차 콘텐츠가 삭제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도 5의 (b)의 경우를 예로 들면, 편집 소재 콘텐츠 A, B를 이용하여 편집을 행하여 얻은 신규의 부차 콘텐츠로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A, C는 음원으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1차 콘텐츠 D의 요소에 대해서는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악곡 내용으로 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차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1차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로서는, 1차 콘텐츠 A, C만이며, 1차 콘텐츠 D는 불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한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어떠한 것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이지만, 하나로는,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실제로 필요해지는 1차 콘텐츠만을 반영시켜야 한다고 하는 사고 방식에 기초하여, 1차 콘텐츠 A, C만을 나타내고, 1차 콘텐츠 D는 제시하지 않는 내용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다른 하나로는, 1차 콘텐츠 A, C, D의 모든 1차 콘텐츠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이 경우에는, 실제로는 1차 콘텐츠 D를 사용하고는 있지 않지만, 이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까지의 과정에서는, 1차 콘텐츠 D로서 의 악곡 내용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잠재적으로는 사용하고 있는 것과 등가이다라는 사고 방식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는, 금회의 부차 콘텐츠가 작성되는 세대까지에서, 한번이라도 이용된 적이 있는 1차 콘텐츠가 모두,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에 포함시켜지게 된다.
또한,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에는, 여기에 나타내어지는 1차 콘텐츠마다 관련된 소정 내용의 메타데이터도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이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이용한 편집 소재 콘텐츠(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도 5를 예로 들면, 도 5의 (a)에 도시되는 편집 처리 후의 부차 콘텐츠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는, 편집 소재 콘텐츠 A, B로서의 실제의 1차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어지게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되는 편집 처리 후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는, 편집 소재 콘텐츠 A로 되는 1차 콘텐츠 파일과, 편집 소재 콘텐츠 C로 되는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로서도, 여기에 나타내어지는 편집 소재 콘텐츠마다에 관련된 소정 내용의 부수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된다.
재생 제어 정보는, 소정의 언어에 의해, 현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을 재생하기 위한 처리 시퀀스를 기술하여 이루어지는 정보부이다. 이 재생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기술 내용의 요소로서는, 예를 들면 우선, 재생에 사용하는 실오디오 데이터로서의 1차 콘텐츠를 나타내는 기술, 이 1차 콘텐츠로서의 오디오 데이터 로부터 실제로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이용하는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는 기술, 또한, 이 데이터 부분을 재생할 시간을 나타내는 기술 등으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오버랩, 이퀄라이징(음질 조정), 재생 속도 배율, 리버브, 딜레이 등을 비롯한, 소위 이펙트, 특수 효과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도 행해진다.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본 콘텐츠)에 설정된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로 된다. 이 구조는, 다음에 도 13에 의해 설명하는 이용 콘텐츠의 구조예에서의 이용 허락 범위 정보에 준하면 되는 것으로 된다.
본 콘텐츠 세대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가,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 작성된 콘텐츠로서 제 몇 세대로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에서의 콘텐츠의 세대 설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공개 지시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업로드하여 공개할 때에, 어떠한 양태에 의해 공개할 것인지라고 하는 조건(공개 조건)의 내용을 나타낸 정보이다. 이 공개 지시 정보의 구조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3은,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각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크게는 단위 파일 정보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단위 파일 정보의 각각이, 1개의 이용 1차 콘텐츠,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응한다. 또한, 기재를 간략한 것으로 하는 형편상, 이 도 13의 설명 시에 이용 1차 콘텐츠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로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 콘텐츠」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단위 파일 정보에서는, 예를 들면 파일 ID, 아티스트명, 곡명, 그리고, 이용 허락 범위 정보의 각 정보 항목이 설정된다.
파일 ID는,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 고유로 되도록 하여 할당된 식별자(ID)를 나타낸다. 즉, 이용 콘텐츠인 1차 콘텐츠 파일로서의 파일 ID, 혹은, 이용 콘텐츠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로서의 파일 ID가 저장된다. 또한, 이들 파일 ID는, 이용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1차 콘텐츠 서버(1)에 의해 부여한 것으로 되고,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의해 부여한 것으로 된다.
아티스트명의 정보 항목은,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를 연주 혹은 작성한 것으로 되는 연주자, 작성자의 이름을 나타낸다.
곡명의 정보 항목은,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에 대한 곡명을 나타낸다.
세대의 정보 항목에는, 세대 정보가 저장된다. 세대 정보는, 그 콘텐츠가 제 몇 세대의 콘텐츠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 1차 콘텐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일의적으로 제1 세대인 것으로서 정의되고,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의 세대에 따라서, 소정 규칙에 의해 제N세대로 되도록 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이 도 12에 도시하는 이용 콘텐츠 정보가,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이 세대 정보의 항목에는, 제1 세대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또한,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인 경 우에는, 단위 파일 정보가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1차 콘텐츠, 또는 부차 콘텐츠)마다에 따라서 실제로 설정되어 있는 세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이용 허락 범위 정보)는, 1 이상의 이용 항목 1∼n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용 항목 1∼n에는, 각각,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편집(2차 이용)에 관련된 소정의 이용 내용이 대응하도록 하여 할당되어 있다. 이용 항목에 할당하는 이용 내용의 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본 콘텐츠의 2차 이용의 가부에 관한 내용
·편집 소재로 하는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 본 콘텐츠와는 다른 아티스트의 것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내용
·편집 소재로 하는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 본 콘텐츠가 속하는 것으로 되는 앨범과는 다른 앨범에 속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내용
·특정한 이펙트나 특수 효과의 사용에 관한 내용
·특정한 플러그인 모듈의 사용에 관한 내용
·악곡 전체로부터 일부분을 추출하여 편집 소재로 하는 것,
·악곡 전체로부터 일부분을 추출하여 편집 소재로 하는 경우에서, 추출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분에 관한 허가 내용
·이용 가능한 세대수(예를 들면 1차 콘텐츠로서, 손자의 세대까지의 이용을 허락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이 1차 콘텐츠를 이용한 자의 부차 콘텐츠와, 이 부차 콘텐츠를 이용한 손자의 부차 콘텐츠는 작성할 수 있지만, 이 손자의 부차 콘텐 츠는,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를 이용한 부분에 대해서 편집을 행할 수는 없음)
·본 콘텐츠와 조합하여 2차 이용이 가능한 콘텐츠의 수, 종류 등에 관한 내용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이용 항목의 각각에 대해서, 예를 들면 허가/불허가를 비롯하여, 그 이용 항목마다 설정한 이용 허락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는 것이다.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로서는, 이들 이용 항목의 각각에 기술되는 허락 설정 내용을 통합함으로써,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에 대한 이용 허락 범위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에 의해 묶여지는 기술 부분이, 1개의 이용 콘텐츠에 대한 임의의 1개의 재생 제어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도 14에 도시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의 예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우선, 도면에서 선두에 도시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으로서는,
[
file_id=AAAAAA;
time=00:00-00:10;
position=vv-zz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파일 ID=AAAAAA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00(개시 시점)∼00:10(재생 시간 10초)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은, 어드레스 vv부터 어드레스 zz까지에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이에 계속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은,
[
file_id=AAAAAA;
time=00:10-00:15;
position=ss-tt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파일 ID=AAAAAA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10∼00:15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은, 어드레스 ss부터 어드레스 tt까지에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계속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은,
[
file_id=BBBBBB;
time=00:15-00:20;
position=pp-uu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파일 ID=BBBBBB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15∼00:20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은, 어드레스 pp부터 어드레스 uu까지에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음성 재생 신호 처리부(120)는, 이와 같이 하여 []에 의해 묶여지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을 축차적으로 해석해 가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서 실제로 재생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음성 신호로서 재생 출력한다.
또한, 1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1차 콘텐츠 파일은, 앞서도 설명했지만, 다시 도 1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을 갖는 소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와, 이에 관련된 각종 메타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파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로서는, 소정의 음성 압축 부호화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는 것이며, 음성 압축 부호화를 실시하여 데이터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1차 콘텐츠 서버(1)에서의 1차 콘텐츠 기억을 위한 기억 용량을 절약할 수 있어, 네트워크 상의 전송에도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메타데이터군을 형성하는 메타데이터의 종류로서는, 악곡 타이틀, 아티스트, 속하는 앨범의 타이틀, 장르, 데이터 형식, 데이터 사이즈 등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부수되는 정보 외에, 이용 허락 범위 정보와, 본 콘텐츠 세대 정보도 포함하게 된다.
이용 허락 범위 정보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단위 파일 정보 내에서의 것과 동등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서 설정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1차 콘텐츠는 부차적인 이용이 허락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지만, 이 이용의 허락은, 1차 콘텐츠의 저작권자(예를 들면 아티스트 등)의 합의에 의해 얻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면, 저작권자가 허락할 수 있는 이용의 내용, 범위 등은, 악곡에 대한 저작권자의 사고 방식에 따라서 자연히 변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로서는, 이와 같은 저작권자의 사고 방식을 존중하는 것으로 하여, 1차 콘텐츠에 대해서도,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내장하는 것으로 하고, 이에 의해, 저작권자의 의향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운용의 방법으로서, 1차 콘텐츠의 이용 허락 범위를 모두 일률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마다 서로 다른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권자의 의향이 반영되도록 하는 것 쪽이,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을 보다 원활하게 운용해 가기 위해서는 유효하다.
또한, 1차 콘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에서의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를 형성하는 이용 항목의 내용에 대해서는, 도 13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과 동일할 필요는 없고, 1차 콘텐츠로서 필요로 되는 이용 항목의 내용이 설정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1차 콘텐츠 파일에서의 메타데이터인 본 콘텐츠 세대 정보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 작성된 콘텐츠로서, 제 몇 세대로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콘텐츠는, 제1 세대인 것으로서 정의되기 때문에, 이 1차 콘텐츠 파일 내의 본 콘텐츠 세대 정보에는, 제1 세대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1차 콘텐츠로서는 일의적으로 제1 세대로서 정의되는 것이기 때문에, 1차 콘텐츠 파일에 관해서는, 본 콘텐츠 세대 정보를 삭제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를 신규 작성했을 때에, 그 부차 콘텐츠의 세대가 무엇인지를 구할 때에, 편집 소재 콘텐츠에서 메타데이터로서 구비되는 본 콘텐츠 세대 정보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으로 하는 경우에는, 1차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도 본 콘텐츠 세대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 쪽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1차 콘텐츠, 부차 콘텐츠를 구별하지 않고, 본 콘텐츠 세대 정보를 참조하기만 하면,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신규 부차 콘텐츠에 대한 세대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6, 도 1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부차 콘텐츠의 편집에 관한 주요한 처리에 관한 수순예에 대해서 설명해 두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서의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로서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의 유저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을 기동시켜 부차 콘텐츠를 편집하고자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부차 콘텐츠의 작성을 위해서 소재로서 이용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것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등록하는(확정시키는) 조작을 행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에서의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에 의해, 도 16에 도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16에서는, 우선, 스텝 S101에 의해,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등록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취득을 실행한다.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등록된 편집 소재 콘텐츠가 1차 콘텐츠인 경우에는, 이 1차 콘텐츠로서의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부차 콘텐츠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된다.
스텝 S102에서는, 상기 스텝 S101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에 대한 읽어들이기를 또한 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금회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등록한 콘텐츠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각종 이용 허락에 대한 내용이, 이용 허락 범위 정보에서의 이용 항목 1∼n의 내용에 기초하여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계속되는 스텝 S103에 의해, 상기 스텝 S102에 따라서 인식한 이용 허락의 내용을, 부차 콘텐츠 편집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에 반영시키도록 하여 설정을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편집 소재 콘텐츠에 미리 설정된 이용 허락 범위를 초과하는 내용의 편집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되도록 하여,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로서의 동작이 얻어진다.
도 17은, 부차 콘텐츠로서의 실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생성에 관한 처리 수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도, 예를 들면 CPU(41)가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로서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우선 스텝 S201에 의해, 편집을 위한 조작 입력에 따른, 그에 상당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는, 그 프로그램에 의해, 유저가 부차 콘텐츠 작성을 위한 편집 조작을 행하는 GUI를 제공한다. 유저는, 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부차 콘텐츠 작성을 위한 편집 조작을 행하도록 되고, 이 조작에 따라서, 스텝 S201로서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편집 처리를 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스텝 S202에 의해, 지금까지의 편집 결과를 보존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것이 판별되면,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지금까지의 편집 결과에 의해 얻어진 부차 콘텐츠로서의 악곡 내용에 따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생성하고, 이것을 다음 스텝 S204에 의해, 예를 들면 HDD(48)에서의 그에 상당하는 디렉토리에 보존하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204의 수순이 종료된 것이면, 스텝 S201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작성을 위한 GUI 화면을 닫는 조작이 행해지거나 한 것에 따라서, 이 도면에 도시되는 처리를 빠져나와 다른 주어진 처리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작성 시에는,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의 내용을 작성하게 된다. 이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의 내용을 어 떻게 하여 설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 각각의 이용 허락 범위 정보를 종합하여 정해지는 최소한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이용 항목마다의 내용을) 자동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유저의 의도가 반영되도록, 유저가 행한 것으로 되는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의 내용에 관한 지정 조작에 따라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단, 이와 같이 하여 유저 조작에 따라서 설정하는 경우에도,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 각각의 이용 허락 범위 정보를 종합하여 정해지는 최소한은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설정이 행해지도록 하여, 이것을 초과하는 이용 허락 범위(이용 항목마다의 내용)의 설정은 행할 수 없게 된다.
계속하여는, 도 1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유저 단말 장치(4)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업로드에 관한 처리 수순예와, 이 업로드에 따른 부차 콘텐츠 서버(2)의 처리 수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의 유저 단말 장치(4)측의 처리는, 주로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 및 부차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로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부차 콘텐츠 서버(2)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각 부가 협동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되지만, 예를 들면 실제에 있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CPU)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유저 단말 장치(4)측에서는, 스텝 S301에 의해,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업로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유저가,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이 제공하는 GUI에 대한 조작으로서, 음악 편집 ·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어플리케이션 파일로서 HDD(48)에 기억되어 있는, 이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작성한 것으로 되는 부차 콘텐츠(즉,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중으로부터, 업로드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1 이상의 부차 콘텐츠를 선택하고, 업로드 실행의 조작을 행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GUI 상에서 선택된 부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업로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발생하고, 스텝 S302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302에서는, 업로드가 지정된 부차 콘텐츠, 즉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소정의 디렉토리로부터 읽어들이게 된다. 그리고, 다음 스텝 S303에 의해, 이 읽어들이기를 행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네트워크 경유로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업로드 요구와 함께 송신 출력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는, 스텝 S401에 의해 업로드 요구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업로드 요구가 수신되면 스텝 S402 이후의 수순을 실행한다. 또한, 업로드 요구를 수신하고 나서 실제로 스텝 S402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인증 처리 등을 거쳐서 정규의 유저로부터의 요구인 것을 확인하도록 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같은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스텝 S402에서는, 업로드 요구와 함께 수신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보존 장소(URL)를 설정한다.
스텝 S403은, 금회의 업로드 요구의 송신원으로 되는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업로드된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보존 장소를 통지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스텝 S303에 의해 업로드 요구를 행한 유저 단말 장치(4)측에서는, 스텝 S304에 의해 보존 장소의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보존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305에 의해, 수신한 보존 장소(URL)의 정보를 그에 상당하는 디렉토리에 보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후에서는,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보존 장소의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보존 장소가 URL이면, 호출 조작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URL로서의 문자열을 표시하게 된다.
도 19의 플로우차트는, 유저 단말 장치(4)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에 관한 처리 수순예와, 이에 따른 부차 콘텐츠 서버(2)의 처리 수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의 유저 단말 장치(4)측의 처리도, 주로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 및 부차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로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우선 유저 단말 장치(4)측에서는, 스텝 S501에 의해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유저가, 콘텐츠 관리·편집 툴(101)이 제공하는 GUI에 대한 조작으로서,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액세스시켜, 여기서 보존 관리되는 부차 콘텐츠의 리스트를 열람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운로드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1 이상의 부차 콘텐츠를 선택하고, 다운로드 실행의 조작을 행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스텝 S501로서는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게 되어, 스텝 S502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502에서는, 다운로드 지시가 얻어진 것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이 다운로드 요구로서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 실행 지시의 조작 시에서 선택되어 있던 부차 콘텐츠의 디렉토리(보존 장소)를 지정하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보존 장소가 아니라,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의 실체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파일 ID 등을 지정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는 구조로서 구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는, 스텝 S601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업로드 요구가 수신되면 스텝 S602의 수순을 실행한다. 또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여 실제로 스텝 S402로 이행할 때에도, 인증 처리 등을 거치는 것이지만, 여기서도, 이와 같은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스텝 S602에서는, 기억부(22)의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액세스하여 지정된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송신하게 된다.
스텝 S502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한 유저 단말 장치(4)는, 스텝 S503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에 따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이 수신된 것을 판별하면, 스텝 S504에 의해, 이 수신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그에 상당하는 디렉토리에 대해서 보존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2의 수순 9로서 나타낸, 일반 공개 사이트(2a)를 경유하지 않는, URL을 직접적으로 지정한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단,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액세스하여 임의의 부차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의 요구를 행한 것으로 하는 경우에도, 이 도 19에 준한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정상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의 플로우차트는, 유저 단말 장치(4)가, 다운로드에 의해 취득(HDD(48)에 보존)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 수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의 유저 단말 장치(4)측의 처리는, 주로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 암호 해독 처리부(119), 음성 재생 신호 처리부로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우선, 스텝 S701에서는, 다운로드에 의해 HDD(48)에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 개시 지시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115)에 의해 실현되는 GUI에 대한 조작으로서, HDD(48)에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중으로부터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가 행해진 것으로 하면, 스텝 S701로부터 스텝 S702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702에서는, 지정된 부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HDD(48)로부터 읽어들이게 된다.
여기서는, 다운로드에 의해 취득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는, 전송 시의 암호화가 실시된 채로 HDD(48)에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의 스텝 S703에서는, 읽어들인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스텝 S704에서는, 상기 스텝 S703에 의한 암호 해독 처리가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금회의 스텝 S701에 의해 재생 개시할 것이 지정된 부차 콘텐츠 데이터가, 정규로 콘텐츠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한 것이면, 스텝 S703에 의한 해독 처리는 성공하여 적정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가 복원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의 다운로드 이외의 수단에 의해 취득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의 경우에는, 다른 방식, 알고리즘에 의한 암호화가 실시되어 있거나, 혹은 암호화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스텝 S703의 해독 처리에 의해서는, 정상적인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거나, 혹은, 해독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즉 스텝 S703에 의한 해독 처리의 결과로서는, 해독 처리 불필요의 경우를 포함시켜, 실패한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스텝 S704에서 해독 처리가 성공한 것으로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705로 진행하여, 이 부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이에 대해서, 스텝 S705에서 해독 처리가 실패한 것으로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706으로 진행하여, 에러 대응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 에러 대응 처리로서는, 우선, 금회 재생이 지정된 부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처리는 개시하지 않도록 한 후에, 예를 들면, 금회 재생이 지정된 부차 콘텐츠는 부정한 것으로서 재생 불가인 것을 GUI 상에서 통지하기 위한 제어 처리 등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로서는, 유저 단말 장치(4)에서, 외부로부터 취득한 부차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 버(2)로부터 정당하게 다운로드하여 취득한 것만이 재생되도록 하여, 1차 콘텐츠, 혹은 부차 콘텐츠의 저작권의 보호가 보다 완전하게 도모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정당하게 다운로드한 부차 콘텐츠만이 재생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그 밖에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로 하여 유저 단말 장치(6)가 수신 취득한 단계에서 미리 암호화를 해독하고, 그 해독 결과의 정보 부수시킨 후에, HDD(48)에 기억시켜 두고, 재생 시에는, 이 해독 결과의 부수 정보를 참조하여, 그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의 송신 시에서, 다운로드를 위해서 송신한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코드를, 부차 콘텐츠 서버(2)측의 처리로서 부차 콘텐츠에 매립해 두도록 하고, 재생 시에는, 유저 단말 장치(4)측에서, 이 코드의 유무, 내용 등을 확인한 후에, 재생 개시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의해 설명한 기본적인 이용 양태를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태에 있어서는, 유저가 창작한 부차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의해 공개함으로써, 유저간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지금까지에서도, 사진 등으로서의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 등의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공개하도록 된 네트워크 서비스는, 몇 가지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서비스에서는, 콘텐츠의 공개가 일률적으로 무제한이거나, 또한, SNS 등과 같이 임의의 몇 단계에서의 공개 범위의 설정 변경은 가능하지만, 그 공개 범위 설정이, 유저 페이지 내의 전체 콘텐츠에 공통으로 미치게 되는 것 등, 공개 양태의 설정은 결코 자유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로서는, 이후 설명해 가는 구성에 의해,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행하는 부차 콘텐츠의 공개 양태 설정에 대해서, 보다 유저의 의도가 반영되도록 하여 높은 자유도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기술 구성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일반 공개 사이트 관리부(28)로서의 기능부를 설치하고, 기억부(22)에 대해서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를 기억시킴으로써, 부차 콘텐츠의 공개 양태로서 일반 공개와 비일반 공개를 구별하여 콘텐츠 관리가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차 콘텐츠 서버(2)가, 공개 양태를 관리하는 데에 이용하는 정보로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차 콘텐츠의 실체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 메타데이터의 하나로서 공개 지시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21의 (a)는, 상기 공개 지시 정보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의 공개 지시 정보로서는,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초기 공개 범위, 공개 범위 변경 종별,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최대 허가 액세스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정보 항목을 갖고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초기 공개 범위는, 현 부차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업로드하여 최초로 부차 콘텐츠 서버(2)를 공개시킬 때에, 어떠한 공개 범위(공개 양태라고도 할 수 있음)를 설정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로 된다. 그리고, 이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내용으로서는, 도 21의 (b)에 항목 번호 1, 2로서 나타내도록 하고, 「일반 공개」, 「비일반 공개」의 2개가 정의된다.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항목에는, 이 「일반 공개」, 「비일반 공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일반 공개」가,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의한 일반 공개를 할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고, 「비일반 공개」가,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의한 일반 공개를 행하지 않고, 직접적인 액세스에 의해서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여 공개할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은, 초기 공개 범위가 「2. 비일반 공개」인 경우에, 또한, 어떠한 내용의 공개 범위의 변경(공개 범위 변경 종별)을 선택 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내용에 대해서는, 도 21의 (c)에서 항목 번호 1, 2, 3으로서 나타내도록 하고,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 유지」의 3개가 정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기 공개 범위가 「비일반 공개」인 경우에는, 그 후의 공개의 양태에 대해서,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 유지」에 대응하는 3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으로 되어 있다.
「범위 확대」는, 초기적으로는 비일반 공개로 해 두고, 그 후에, 현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수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으로 된 것을 조건으로, 일반 공개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즉, 액세스수에 따라서, 어느 것은, 초기의 비일반 공개로부터 일반 공개로 공개 범위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액세스 제한」은, 그 반대로, 초기의 비일반 공개의 상태로부터 또한, 액세스수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행해지는 액세스를 제한해 가는 것을 말한다. 이 액세스 제한을 위한 액세스수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후에, 최대 허가 액세스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정보 항목의 의의 내용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은, 현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수에 따라서 초기 이후의 공개 범위(양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비일반 공개 유지」는, 공개 개시 이후의 액세스수에 상관없이, 공개 초기의 비일반 공개를 계속(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도 21의 (a)의 공개 지시 정보에서의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는, 상기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에 「범위 확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었을 때에 유효하게 되는 데이터 값이다. 즉, 상기도 한 바와 같이, 이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는, 공개 초기의 비일반 공개의 상태로부터 일반 공개로 변경할 때의 임계값으로 되는 액세스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로서 그 횟수가 계상되는 1회분의 「액세스」란, 우선,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로서의 액세스가 행해지고, 또한, 이 요구에 응답하여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요구원에 적정하게 송신할 때까지의 동작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다운로드 요구가 있더라도, 이것이 어떠한 원인, 이유에 의해 거부되거나 한 경우에는, 액세스수로서는 계상되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하는 최대 허가 액 세스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공개 지시 정보에서의 최대 허가 액세스수는, 상기 공개 범위 변경 종별 정보로서 「액세스 제한」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었을 때에 유효로 되는 데이터값이다. 그리고, 이 「액세스 제한」으로서의 실제의 제한의 양태의 하나로서는, 현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수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한 것으로 되면, 이 부차 콘텐츠에 대한 이후의 액세스는 금지된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이 최대 허가 액세스수는, 이와 같은 액세스 제한에서의 액세스수에 대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현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수가, 최대 허가 액세스수가 나타내는 값을 초과한 것으로 되면, 여기부터 이후의 현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금지되게 된다.
또한, 이 최대 허가 액세스수에 대해서는, 동일한 유저로부터의 액세스에 관해서, 2번째 이후의 액세스는 계상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개념과, 2번째 이후의 액세스도 계상해야 한다고 하는 개념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어느 것의 개념을 채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실제의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등의 조건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또한, 「액세스 제한」의 양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최대 허가 액세스수까지의 액세스밖에 허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 후에, 일단 액세스한 유저에 대해서는, 미리 정한 임계값이 나타내는 횟수까지의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공개 지시 정보에서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는, 상기의 일단 액세스한 유저에 대해서 허가하는 액세스 횟수에 대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된다. 또한, 이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는, 「액세스 제한」을 설정한 경우에서의 옵션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옵션으로서 정의한 경우에는,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해서는, 반드시 유효값을 설정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된다.
또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기초한 액세스로 해도, 상기의 최대 허가 액세스수와의 균형에 의해, 몇 가지의 보다 구체적인 운용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최대 허가 액세스수가, 동일한 유저의 2번째의 액세스도 계상해야 한다고 하는 개념을 설정한 것인 경우, 종합적인 액세스수가 최대 허가 액세스수에 이르고 있으면, 그 유저의 액세스 허가 횟수에 아직 여유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이후의 액세스는 금지되는 것으로서 취급하도록 하고, 한편, 최대 허가 액세스수가, 동일한 유저의 2번째의 액세스는 계상하지 않는다고 하는 개념을 설정한 것인 경우에는, 종합적인 액세스수가 최대 허가 액세스수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한번 액세스를 할 수 있었던 유저에 대해서는,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이를 때까지 액세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운영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도 2의 수순 2에 의해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작성자인 유저(도 2에서는 유저 A)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제시되는, 공개 조건을 지정하기 위한 UI(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공개 양태의 지정 내용을 조작 입력 가능하게 구성된 GUI 화면)에 대해서, 도 21의 (a)의 정보 항목마다 대응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성된 부차 콘텐츠의 실체인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공개 지시 정보에는, 상기의 입력 조작에 의해 지정된 내용이 반영되게 된다. 즉, 공개 지시 정보로서는,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의 작성자인 유저의 의도가 반영된 공개 양태(공개 범위)의 내용을 갖게 된다.
여기서, 유저 단말 장치(4)의 유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조작에 의해, 공개 지시 정보의 정보 항목을 지정 해 가는 것으로 한 경우에서의, 입력 조작 수순으로서 순당하게 되는 흐름을, 도 22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에는, 입력 조작의 결과에 따라서 얻어지는 공개 지시 정보로서의 내용예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은, 본래는 어디까지나, 단순히 공개 지시 정보의 정보 항목의 내용을 지정해 가기 위한, 유저 조작으로서의 작업 수순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프로그램으로서는, 공개 지시 정보의 정보 항목에 대해서 지정 입력을 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이 도면에 도시하는 흐름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앞의 도 21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공개의 양태(공개 범위)에 관한 설정 내용은, 초기 공개 범위를 「일반 공개」로 할 것인지, 혹은 「비일반 공개」로 할 것인지가 제1 분기로 된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하는 조작 수순으로서도, 우선, 스텝 S801에서는, 초기 공개 범위로서 「일반 공개」와 「비일반 공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스텝 S801에서, 초기 공개 범위로서 「일반 공개」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면에서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항 목에 대해서는 「일반 공개」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초기 공개 범위가 「일반 공개」로 된 경우, 앞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남는 공개 범위 변경 종별,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최대 허가 액세스수, 및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정보 항목에 대해서는 이용 필요성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이들 정보 항목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무효값으로서의 데이터를 저장해 두게 된다.
한편, 스텝 S801에서, 초기 공개 범위로서 「비일반 공개」를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802로 진행한다.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공개 범위로서 「비일반 공개」를 설정한 경우에는, 그 하에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초기 이후의 공개 양태에 대한 분기 설정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 S802에서는, 공개 범위 선택 종별의 선택을 행하게 된다.
공개 범위 선택 종별로서는, 도 21의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의 3개로 된다.
스텝 S802에서 「범위 확대」를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803으로 진행한다.
「범위 확대」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일반 공개로부터 일반 공개로 이행시키기 위한 액세스수에 대한 임계값인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를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스텝 S803에서는,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를 입력한다. 이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로서는, 예를 들면 입력 가능한 자연수로서의 수치 범위 내에서, 유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803까지의 입력 조작을 행한 결과로서는, 공개 지시 정보 내 용 F2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항목은 「비일반 공개」를 나타내고,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은 「범위 확대」를 나타내고,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의 정보 항목은, 스텝 S803에 의해 입력된 값 a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최대 허가 액세스수와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해서는, 이 경우에는 무관계로 되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항목에는 무효값이 저장된다.
또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액세스 제한」을 설정한 경우에는, 앞서 도 21에 의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최대 허가 액세스수를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스텝 S802에서 「액세스 제한」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804에 의해, 최대 허가 액세스수 b를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저는, 스텝 S805에 의해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설정을 옵션으로 하는 경우에서, 유저가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를 설정할 생각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805을 스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텝 S805까지의 입력 조작을 행한 결과로서는,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3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항목은 「비일반 공개」를 나타내고,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은 「액세스 제한」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의 정보 항목은, 이 경우에는, 이용 필요성이 없고, 또한, 특별한 입력 조작도 행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무효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대해서, 최대 허가 액세스수의 정보 항목에 대해서는, 스텝 S804에서 입력한 값 b를 나타내고,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정보 항목에 대해서는, 스텝 S805에 의해 입력된 값 c를 나타낸다. 또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설 정을 옵션으로 한 경우에서, 이에 대해서 유효값을 설정하지 않고 입력 조작 설정을 끝낸 것으로 한 경우에는, 공개 지시 정보 F3에서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정보 항목은 무효값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스텝 S802에서 공개 변경 종별로서 「비일반 공개 유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입력 조작 결과에 따라서,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4가 얻어지게 된다.
즉, 초기 공개 범위의 정보 항목은 「비일반 공개」를 나타내고,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은 「비일반 공개 유지」를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최대 허가 액세스수, 및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는 무관계하게 되므로, 이들에 대응하는 정보 항목에는, 각각, 무효값을 저장한다.
앞서도 약간 설명한 바와 같이,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으로서, 유저가 공개 양태를 지시하는 입력 조작을 위한 GUI와, 입력 조작 결과에 따라서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 도 22에 도시하는 흐름에 대응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우선, 공개 양태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지시가 얻어진 것으로 되면,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은, 스텝 S801로서, 초기 공개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일반 공개」가 선택 결정된 것이면, 예를 들면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1을 작성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공개 지시 정보에 저장하도록 된다.
또한, 스텝 S801에서 「비일반 공개」가 선택 결정된 것이면, 초기 공개 범 위로서 「비일반 공개」가 설정된 결과를 유지하고, 스텝 S802에 의해,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을 선택하기 위해서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S802에서, 상기 공개 범위 변경 종별 선택을 위한 조작 화면에 대한 조작에 의해 「범위 확대」가 선택 결정된 것이면,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범위 확대」가 설정된 결과를 유지하고, 스텝 S803에 의해,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를 입력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이 때에는,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의 초기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유저가 설정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표준적인 값을 설정해 두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이 초기값으로 된다고 생각한 유저는, 수치 입력 조작을 생략하고 결정 조작만을 행하면 되게 되어, 유저에게 있어서는 조작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이 초기값 설정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스텝 S804, S805에서의 최대 허가 액세스수와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스텝 S803에서, 임의의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가 설정된 상태에서 결정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되면,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2를 작성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공개 지시 정보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스텝 S802에서, 「액세스 제한」이 선택 결정된 것이면,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액세스 제한」이 설정된 결과를 유지하고, 스텝 S804에 의해, 최대 허가 액세스수를 입력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임의의 최대 허가 액세스수 b가 설정된 상태에서 결정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되면, 스텝 S805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805에서는, 우선,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유저가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해서는 유효값을 설정하지 않을 생각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해서는 무효화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유효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를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대한 무효화 설정, 혹은 유효 수치의 입력이 행해진 상태에서 결정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되면,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3을 작성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공개 지시 정보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스텝 S802에서 「비일반 공개 유지」가 선택 결정된 것이면, 이 경우에는 바로 공개 지시 정보 내용 F3을 작성하여,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공개 지시 정보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의 수순 3에 의해서는, 부차 콘텐츠로서, 상기와 같이 하여 생성된 공개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해서 업로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업로드된 부차 콘텐츠는, 도 2의 수순 4에 의해,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보존 관리되게 되는 것이지만, 이 보존 관리로서, 우선은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의 등록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서버(22a)에 등록된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공개 범위)를 관리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 때문에,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서는, 부차 콘텐츠마다, 도 23에 도시하는 액세스 이력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게 된다.
상기 액세스 이력 정보는, 우선, 도 2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대응 콘텐츠 ID, 종합 액세스 카운트, 및 유저 액세스 이력의 3개의 정보 항목을 갖고 형성된다.
대응 콘텐츠 ID는, 현 액세스 이력 정보가 대응지어지는 부차 콘텐츠의 ID가 나타내어진다. 이에 의해, 액세스 이력 정보와 부차 콘텐츠의 대응이 취해지게 된다. 단,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의 구조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정보 항목의 배열 등으로부터 부차 콘텐츠와 액세스 이력 정보의 대응을 일의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대응 콘텐츠 ID는 생략할 수 있다.
종합 액세스 카운트는,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앞서 설명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이 「범위 확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이용하는 공개 지시 정보 내의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와,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이 「액세스 제한」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이용하는 최대 허가 액세스수는, 이 종합 액세스 카운트와 비교하게 된다.
또한, 이 종합 액세스 카운트의 개념으로서도, 동일한 유저로부터의 액세스에 관해서, 2번째 이후의 액세스는 계상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개념과, 2번째 이후의 액세스도 계상해야 한다고 하는 개념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종합 액세스 카운트로서 계상(카운트)되는 1회분의 「액세스」에 대해서는, 앞의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등과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로서의 액세스가 행해지고, 또한, 이 요구에 응답하여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요구원에 적정하게 송신할 때까지의 동작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생각하면 된다.
유저 액세스 이력은,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액세스의 이력을, 유저마다 관리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유저 ID와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가 쌍을 이루는 정보 단위를 갖고 이루어진다. 유저 ID의 정보 항목에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유저 ID가 저장된다.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에는, 대응하는 유저 ID의 유저가, 지금까지에서,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에 액세스한 것으로 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유저 액세스 이력으로서는, 이 유저 ID와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의 정보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단위가, 대응하는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지금까지 액세스한 유저마다에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유저 액세스 이력에서의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와의 비교를 위해서 사용된다.
계속하여, 도 24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공개 양태) 설정을 위한 처리 수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하는 수순은, 초기 공개 범위에 대해서 「비일반 공개」가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처리로 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하는 수순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에서의 공개 범위 관리부(25b)가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공개 범위 관리부(25b)로서의 기능도, 부차 콘텐츠 서버(2)를 형성하는 하드웨어인 CPU가, 예를 들면 기억부(22a)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는, 우선 스텝 S901에 의해, 네트워크 경 유로 유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게 되는, 임의의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지정한 액세스 요구가 수신 취득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액세스 요구가 수신 취득된 것을 판별하면, 스텝 S902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902에서는, 금회 액세스 요구가 행해진 부차 콘텐츠(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이 「액세스 제한」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이 대상 부차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참조하여,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서, 이 콘텐츠 ID가 나타내는 부차 콘텐츠(대상 부차 콘텐츠)의 공개 지시 정보 내의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의 정보 항목의 내용을 읽어들여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902로서는, 이 읽어들인 내용이 「액세스 제한」을 나타내고 있으면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고, 이 이외의 「범위 확대」 혹은 「비일반 공개」를 나타내고 있거나, 혹은 무효값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게 된다.
스텝 S902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9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03에서는, 스텝 S902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졌다고 하는 것은,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은, 「범위 확대」 또는 「비일반 공개 유지」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된다. 이들 공개 범위 변경 종별에 관해서는, 특별히 액세스를 제한하는 조건은 없다. 따라서, 스텝 S903에서는, 금회의 액세스 요구에 응답하여,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해서, 대상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처리(액세스 응답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액세스 응답 처리를 실행한 것에 따라서, 계속되는 스텝 S904에서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서의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이력 정보에 액세스하여, 여기에 저장되는 종합 액세스 카운트의 값 α에 대해서 인크리먼트를 행하게 된다.
게다가, 계속되는 스텝 S905에서는, 대상 부차 콘텐츠에 설정되어 있는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은 「범위 확대」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한다.
스텝 S905에서, 우선,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이 「범위 확대」인 것으로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906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906에서는, 상기 스텝 S905에 의해 인크리먼트한 후의 종합 액세스 카운트 α와,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응하여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저장되는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를 비교하여,
α≥a
가 성립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한다.
상기 스텝 S906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대상 부차 콘텐츠는, 지금까지의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일반적인 액세스수(종합 액세스 카운트 α)가, 미리 설정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 이상에 이른 것으로 된다. 즉, 비일반 공개의 상태로부터 일반 공개로 변경할 조건을 충족시킨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907에 의해, 대상 부차 콘텐츠를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에 등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반 공개 사이트용 데이터베이스(22b)에 등록되면, 이후, 그 부차 콘텐츠는, 일반 공개 사이트 관리부(28)의 처리에 의해,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 일반 공개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스텝 S906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반대로, 비일반 공개의 상태로부터 일반 공개로 변경할 조건을 아직 충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대로, 도면에 도시하는 수순의 흐름을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앞의 스텝 S905에서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은 「범위 확대」가 아닌 것으로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은, 일의적으로 「비일반 공개 유지」인 것에 있다. 이 경우에도, 이대로, 도면에 도시하는 수순의 흐름을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스텝 S902에서 공개 범위 변경 종별이 「액세스 제한」인 것으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908로 진행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의 설정은 옵션이 아니라, 필수 항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액세스 제한」이 설정된 부차 콘텐츠에 한번 액세스한 유저가 재차, 동일한 부차 콘텐츠에 액세스한 경우에는, 스텝 S908에서는, 금회의 액세스 요구를 행한 요구원의 유저가, 액세스 이력 정보 내의 유저 액세스 이력(도 23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유저 액세스 이력에서 등록되어 있는 유저 ID에 대해서, 액세스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오는 것으로 되는 유저 ID와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색을 행하면 된다.
그리고, 우선, 스텝 S908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909로 진행한다. 스텝 S908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 금회 액세스 요구를 행한 유저는, 이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처음으로 액세스하였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 S909에서는, 대상 부차 콘텐츠의 액세스 이력 정보에서의 종합 액세스 카운트 α와, 동일한 대상 부차 콘텐츠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허가 액세스수 a를 비교하여,
α<b
가 성립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한다.
여기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것이면,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과거의 액세스수(종합 액세스 카운트)는, 아직 최대 허가 액세스수 이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액세스는 아직 허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910으로 진행하여, 스텝 S904와 마찬가지의 액세스 응답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스텝 S910에 의한 액세스 응답 처리가 완료한 것으로 되면, 여기서는 스텝 S911에 의해, 금회의 액세스 요구를 행한 것으로 되는 유저를, 유저 액세스 이력에 대해서 신규 등록하도록 한 후에, 스텝 S917에 의해, 종합 액세스 카운트 α에 대해서 인크리먼트를 실행하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를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스텝 S909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과거의 액세스수(종합 액세스 카운트)가 최대 허가 액세스수에 이르고 있고, 따라서,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금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912에 의해 액세스 거부로서의 처리를 실행하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를 빠져나오게 된다. 액세스 거부를 위한 처리로서는, 금회의 액세스 요구의 응답으로서, 부차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거부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요구원에 대해서 대상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지는 않는다.
또한, 스텝 S908에서, 금회의 액세스 요구를 행한 유저가 이미 유저 액세스 이력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9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13에서는, 대상 부차 콘텐츠의 유저 액세스 이력에서, 금회의 액세스 요구를 행한 유저(대상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 β와, 대상 부차 콘텐츠에 설정되어 있는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에 대해서 비교를 행하여,
β>c
의 관계가 성립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하게 된다.
상기 스텝 S913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대상 유저가 과거에 액세스한 횟수(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트)는, 아직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이상으로 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대상 유저에 의한 대상 부차 콘텐츠에의 액세스는 아직 허가되어 있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914로 진행하여, 스텝 S910과 마찬가지의 액세스 응답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915에 의해, 대상 유저의 유저 단위 액세스 카운 트 β에 대해서 인크리먼트한 후, 또한, 스텝 S917에 의해, 종합 액세스 카운트 α에 대해서도 인크리먼트하도록 하여 액세스 이력 정보에 대한 갱신을 행하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를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스텝 S913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대상 유저가 과거에 액세스한 횟수가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에 이르고 있고, 따라서, 대상 유저에 의한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금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916에 의해 액세스 거부로서의 처리를 실행하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를 빠져나오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유저 단말 장치(4)에 의해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의 공개 양태(공개 범위)에 대해서, 유저가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에서의 동화상 투고 사이트 등에서는,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일률적으로 일반 공개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저에 따라서는,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우선은, 일반에게의 공개는 피하고, 예를 들면 친구, 지인 등의 한정된 유저에게만 액세스(다운로드)하여 감상하게 하고, 그 후에, 예를 들면 그들의 평가, 평판 등이 좋은 것 같으면, 보다 넓은 범위의 유저에게도 액세스하여 감상하게 해야지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일반 공개의 상태에서, 한정된 유저가 부차 콘텐츠에 액세스한다고 하는 상황은, 앞서 도 2의 수순 6, 7,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차 콘텐츠의 작자인 유저가, CGM, 전자 메일 등을 통하여 고지를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은 요망이 있을 것에 대응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는, 공개 양태의 설정 중에, 초기적으로는 일반 공개 사이트(2a)에 의한 공개는 행하지 않고, 비일반 공개로 해 두고, 비일반 공개의 상태에서의 액세스수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일반 공개로 이동한다고 하는 것을 책정하고 있다. 즉, 초기 공개 범위로서 「비일반 공개」를 설정하고,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범위 확대」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공개 범위의 확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처음에는 고지를 받은 유저 중에서 흥미를 가진 사람이 액세스하여 감상할 것이지만, 혹시 양질의 콘텐츠이면, 그 평가가 작성자인 유저에게, CGM이나 전자 메일을 통하여 전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유저는, 조금 더 인간 관계의 범위를 넓힌 결과, 보다 많은 사람에게 고지를 해야지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양질의 콘텐츠일수록, 이와 같이 하여 고지를 받은 사람들 중에서도, 실제로 다운로드해 보는 사람이 증가되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은 행위가 액세스수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고지를 받은 유저가 다운로드하여 감상한 바, 너무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유저에게 또한 고지한다고 하는 입소문적인 전파도 생길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도 액세스수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액세스수를 일반 공개에의 트리거로 하는 것은, 부차 콘텐츠의 질이 반영되는 것에서 매우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공개 범위의 변경은, 부차 콘텐츠의 작성 단계에서 공개 양태(공개 범위)의 설정 조작(공개 지시 정보의 작성)을 행해 둠으로써, 이후에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의 자동 처리로서 실행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업로드 후에, 유저가 공개 범위의 설정을 다시 할 필요는 없어, 유저의 부담은 매우 적다. 또한, 여기서는, 비일반 공개로부터 일반 공개로 이행하는 트리거를 액세스수로 하고 있고, 이 액세스수(즉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를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어느 정도의 높은 평판이 얻어지면 일반 공개화할 것인지라고 하는 것도 유저의 의도대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공개 범위를 확대해 가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유저가 있는 한편, 예를 들면, 처음부터 자신을 갖고 일반에 공개하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유저도 있을 것이고, 또한 반대로, 처음부터, 임의의 한정된 친구, 지인 등의 유저에게 감상하게 하기만 하면 되고, 또한, 어느 정도의 인원수에게 감상하게 했다면, 곧 그 콘텐츠의 공개를 멈추고 싶다고 생각하는 유저도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기 공개 범위로서 「일반 공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의 유저의 요망에 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초기 공개 범위로서 「비일반 공개」를 설정한 후에, 「비공개 유지」 또는 「액세스 제한」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갖는 유저의 요망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액세스 제한」에 있어서는, 최대 허가 액세스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를 규정함으로써,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의 공개를 정지시키는 조건의 정도에 대해서도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작 성한 콘텐츠(부차 콘텐츠)의 공개의 양태에 관해서, 다양한 유저의 의도도 반영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며, 지금까지보다도 높은 자유도가 주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의 공개 양태(공개 범위)의 설정은, 유저 단말 장치(4)(음악 편집·공유 시스템(100))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작성시에, 유저가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설정하게 된다. 즉,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 설정은, 그 작성자(저작권자)의 의도가 반영된다. 그러나, 부차 콘텐츠의 작성 시에는,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전세대의 1차 콘텐츠, 혹은 부차 콘텐츠를 편집 소재로서 이용하는 것이며, 이들 편집 소재의 콘텐츠에도, 각각, 저작권자의 의도에 따른 공개 범위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이 점으로부터 보면, 신규로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완전히 임의로, 그 작성자의 유저의 의도대로 공개 범위를 설정한 경우, 편집 소재로 된 콘텐츠에 설정된 공개 범위를 초과하는 결과가 생길 가능성이 생긴다. 신규의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이와 같은 공개 범위 설정이 행해진 채로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공개를 행한 것으로 하면, 이 부차 콘텐츠의 작성에 이용한 편집 소재의 콘텐츠의 편집 소재로 된 콘텐츠의 작자(저작권자)가 바라는 공개 의도를 무시하고, 신규의 부차 콘텐츠에서, 그 편집 소재의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차 콘텐츠의 공개로 되는 것은, 예를 들면 개개의 1차 콘텐츠 및 부차 콘텐츠의 작자의 의도를 존중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로서는,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 설정에 관해서, 소정의 제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이후,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해 간다.
또한, 본 실시 형태로서의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 설정의 제한에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의 콘텐츠(1차 콘텐츠, 부차 콘텐츠)의 세대에 대한 관리가 관계된다. 따라서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 의한 세대 관리에 관해서 설명을 행하여 두는 것으로 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의, 콘텐츠의 세대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 방식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는, 1차 콘텐츠로서, 우선 콘텐츠 A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콘텐츠가,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 편집 소재 콘텐츠에 의해 2차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닌, 근본으로서의 콘텐츠로 되는 것에 기초하여, 1차 콘텐츠를 제1 세대의 콘텐츠인 것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이 1차 콘텐츠인 콘텐츠 A는 제1 세대의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여기서, 콘텐츠 A를 직접의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어떠한 편집을 행하여 신규의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B를 작성한 것으로 한다. 여기서, 신규의 부차 콘텐츠와, 이 신규의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2차 이용한 편집 소재 콘텐츠와의 관계를, 자와 친의 관계로서 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 콘텐츠 B로서의 부차 콘텐츠는, 제1 세대의 1차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세대는, 제1 세대의 다음의 제2 세대인 것으로 된다.
계속하여는,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에 의해, 콘텐츠 B를 직접의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C에 대해서는, 제2 세대의 콘텐츠를 2차 이용한 것에 기초하여, 다음의 제3 세대인 것으로 된다. 또한, 콘텐츠 C를 직 접의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D에 대해서는, 제3 세대의 콘텐츠를 2차 이용한 것에 기초하여, 다음의 제4 세대인 것으로 된다. 이후는, 마찬가지로 하여, 2차 이용에 의해 차세대의 부차 콘텐츠가 작성될 때마다, 제N 세대로서 나타냈을 때의 변수 N에 대해서는 1씩 증가해 가게 된다.
또한, 실제에 있어서는, 부차 콘텐츠는, 2 이상의 편집 소재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작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의, 신규 부차 콘텐츠에 관한 세대 설정을 위한 규칙예를, 도 26에 도시해 둔다. 또한, 이 도면에서, 제2 세대 이후로 되는 부차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서는, 3개의 정보 내용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즉, 최상단에서 콘텐츠명을 나타내고, 중단에서는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는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의 내역을 나타내고, 최하단에서는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는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의 내역을 나타내게 된다.
이 도면에서는, 제1 세대 콘텐츠(즉 1차 콘텐츠)로서, 콘텐츠 A, B, C의 3개의 콘텐츠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콘텐츠 B, C를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로서 콘텐츠 α1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콘텐츠 α1은, 편집 소재 콘텐츠(친콘텐츠)로서 콘텐츠 B, C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콘텐츠는 모두 1차 콘텐츠로서 제1 세대이다. 따라서, 콘텐츠 α1은, 제1 세대의 다음 세대인 제2 세대의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서, 콘텐츠 α1로서의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본 콘텐츠 세대 정보에는, 제2 세대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콘텐츠 α1로서의 부차 콘텐츠의 작성 시에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B, C인 것을 나타내도록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생성하고, 원편집 소재로서의 1차 콘텐츠(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B, C인 것을 나타내도록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생성한다.
또한, 콘텐츠 α2는, 콘텐츠 C만을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된 부차 콘텐츠로 된다. 콘텐츠 C는 제1 세대(1차 콘텐츠)이기 때문에, 콘텐츠 α2는 제2 세대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α3도 마찬가지로 하여, 콘텐츠 C만을 편집 소재로 하여 작성된 부차 콘텐츠이며, 따라서, 제2 세대를 설정하게 된다.
콘텐츠 α2, α3은, 모두,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C만인 것을 나타내도록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이 생성되고, 이용 1차 콘텐츠도 콘텐츠 C만인 것을 나타내도록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콘텐츠 β1은, 콘텐츠 A와 콘텐츠 α1을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로 된다. 여기서, 콘텐츠 A는 제1 세대인 것에 대해서 콘텐츠 α1은 제2 세대이다. 양자를 비교하면, 콘텐츠 α1쪽이 세대로서는 뒤로 된다. 따라서, 콘텐츠 β1에 대해서는, 뒤쪽의 세대인 콘텐츠 α1에 계속되는 세대로서, 제3 세대를 설정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로서는, 세대가 서로 다른 복수의 편집 소재 콘텐츠에 의해 작성한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가장 뒤로 되는 세대의 다음 세대를, 신규로 작성된 부차 콘텐츠의 세대로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β1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A, α1인 것을 나타내도록, 그 내용을 생성하게 된다. 콘텐츠 α1의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B, C이기 때문에, 콘텐츠 β1은, 원편집 소재의 1차 콘텐츠로서, 콘텐츠 A와, 콘텐츠 B, C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인식된다. 따라서,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으로서는,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A, B, C의 3개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β2는, 제2 세대인 콘텐츠 α1만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이기 때문에, 제3 세대로서 설정된다.
콘텐츠 β3도, 제2 세대인 콘텐츠 α2만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이기 때문에, 제3 세대로서 설정된다.
콘텐츠 β2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은,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α1만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되고,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은, 콘텐츠 α1의 내용을 이어받아,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B, C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된다.
콘텐츠 β3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은,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α2뿐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되고,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은, 콘텐츠 α2의 내용을 이어받아,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C만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된다.
콘텐츠 γ1은, 제3 세대인 콘텐츠 β1만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이기 때문에, 제4 세대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콘텐츠 γ1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β1뿐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하고,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콘텐츠 β1의 내용을 이어받아,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A, B, C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한다.
또한, 콘텐츠 γ2는, 제3 세대인 콘텐츠 β2만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이기 때문에, 제4 세대가 설정된다. 이 콘텐츠 γ2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β2뿐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하고,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콘텐츠 β2의 내용을 이어받아,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B, C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한다.
또한, 콘텐츠 γ3은, 제3 세대인 콘텐츠 β3과, 제2 세대인 콘텐츠 α3을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콘텐츠 γ3은, 앞의 세대 정의의 규칙에 따라서, 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가장 뒤로 되는 제3 세대에 계속되는, 제4 세대인 것으로서 설정하도록 된다.
이 콘텐츠 γ3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으로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가 콘텐츠 β3, α3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한다. 이용 1차 콘텐츠 정보의 내용으로서는, 이용 1차 콘텐츠가 콘텐츠 C만인 것을 나타내도록 생성한다. 콘텐츠 β3, α3 모두, 예를 들면 편집 결과는 서로 다르지만, 원편집 소재로서는, 콘텐츠 C만으로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도 26에서 제4 세대가 설정되는 콘텐츠 γ1에 주목해 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는, 자신을 작성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2차 이용한 친콘텐츠(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콘텐츠 γ1에 관해서는,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의해, 편집 소재 콘텐츠는, 콘텐츠 β1만인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따라서, 계속하여는, 콘텐츠 β1을 대상으로서, 그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를 참조해 보면, 콘텐츠 β1의 작성에 이용한 편집 소재 콘텐츠는, 콘텐츠 A와 콘텐츠 α1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β1의 편집 소재 콘텐츠인 콘텐츠 A와 콘텐츠 α1 중, 콘텐츠 A는, 1차 콘텐츠로서 제1 세대까지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된다. 따라서,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α1의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를 참조해 보면, 콘텐츠 α1은, 콘텐츠 B, C를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텐츠 B, C는 모두 1차 콘텐츠로서 제1 세대까지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된다.
지금까지의 흐름은, 콘텐츠 γ1을 기점으로 하여, 이 콘텐츠 γ1이 얻어질 때까지의 이용 콘텐츠에 대한 세대의 계보를, 제1 세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탐색하고 있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이 결과, 도 26에서 일점쇄선에 의해 묶어 나타내는 세대 범위 A에서의 계보가 인식되게 된 것이다. 즉, 편집 소재 콘텐츠와, 이 편집 소재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얻어지는 부차 콘텐츠를, 친자로서 본 것으로 하여, 도 26에서는, 콘텐츠 γ1을 기점으로 한 이전의 세대의 콘텐츠의 친자 관계가 명확하게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로서는, 부차 콘텐츠마다, 그 편집 소재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를 대응짓고 있음으로써, 이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1개의 부차 콘텐츠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세대 를 거슬러 올라가 인식(세대 인식)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대 관리가 행해지도록 되는 것을 전제로 한 후에,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 설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한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우선, 제1 세대인 1차 콘텐츠로서 콘텐츠 A가 있고, 이것에 설정되어 있는 공개 내용 범위를 공개 내용 범위 A로 한다. 이 설정된 공개 내용 범위 A란, 앞서 도 22에 의해 설명한 설정 수순에 따라서 얻어지는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임의의 공개 양태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상기 콘텐츠 A만을 직접의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2차 이용하여, 제2 세대로 되는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B를 작성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부차 콘텐츠 B에 설정하는 공개 내용 범위 B로서는,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를 초과하지 않도록, 즉 수식으로서 표현하는 것으로 하면, B≤A로 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하여 공개 내용 범위 B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개 내용 범위에서의 지정 항목(공개 지시 정보의 정보 항목)마다의 대소 관계 설정에 대한 일 구체예와, 이 대소 관계 설정예에 따른, 상기 공개 내용 범위 A, B의 설정예를 설명해 둔다.
도 22에 의하면 공개 범위 설정에 대한 가장 위의 계층에서의 분기로서는, 초기 공개 범위에 대해서 「일반 공개」 「비일반 공개」가 있도록 된다. 본 실시 형태로서는, 보다 많은 유저에게 공개되는 것으로써 공개 내용 범위가 확대되는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초기 공개 범위에 관해서는, 「일반 공개 」>「비일반 공개」의 대소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의 실제로서, 초기 공개 범위에 대해서는, 「일반 공개」로 되어 있는 것이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로서는, 동일한 「일반 공개」와, 이보다 범위가 좁은(작은) 「비일반 공개」 모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공개 내용 범위 A가 「비일반 공개」이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로서는, 이보다 큰 「일반 공개」를 설정하는 것은 금지되고, 동일한 「비일반 공개」만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기 공개 범위에 대해서 「비일반 공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계층에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 유지」로 분기되게 된다. 이들의 대소 관계에 대해서는, 「범위 확대」>「비일반 공개 유지」>「액세스 제한」인 것으로서 정의한다. 여기서는, 「비일반 공개 유지」 쪽이 「액세스 제한」보다도 공개 내용 범위가 넓은 것으로서 파악하고 있지만, 이것은, 「비일반 공개 유지」는, 액세스수에 상관없이 직접적인 액세스를 영속적으로 허가하고 있는 기간이 한정되는 것에 대해서, 「액세스 제한」은, 액세스수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이후의 액세스가 금지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공개 범위 변경 종별에 대해서 「범위 확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에 대해서는,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 유지」의 어느 설정도 허가된다. 또한,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액세스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개 내용 범위 B로서는, 「범위 확대」의 설정은 금지되고, 「액세스 제한」 「비일반 공개 유지」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이 허가된다. 또한,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비일반 공개 유지」가 설정된 경우에는, 공개 내용 범위 B로서는, 「범위 확대」 「액세스 제한」의 설정이 금지이고, 「비일반 공개 유지」의 설정만이 허가된다.
또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범위 확대」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하에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를 설정하게 된다.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는, 그 수가 커질수록, 비일반 공개로부터 일반 공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이 엄격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에 대해서는, 작아질수록 공개 내용 범위는 넓어지는 것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1이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하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로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2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a1≤a2로 되는 범위에서의 수치 설정으로 제한되게 된다.
또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액세스」가 설정된 경우에는, 우선, 그 하에서 최대 허가 액세스수 b를 설정하게 된다. 이 최대 허가 액세스수 b에 대해서는, 그 수가 커질수록 제한도가 낮은, 즉, 공개 범위가 넓어지는 것으로서 파악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최대 허가 액세스수 b1이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하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로서 최대 허가 액세스수 b2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b1≥b2로 되는 범위에서의 수치 설정으로 제한되게 된다.
또한, 공개 범위 변경 종별로서 「액세스」가 설정된 하에서의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에 대해서도, 그 수가 커질수록 제한도가 낮은, 즉, 공개 범위가 넓어지는 것으로서 파악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A의 공개 내용 범위 A에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1이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하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로서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2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c1≥c2로 되는 범위에서의 수치 설정으로 제한되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의 공개 내용 범위(즉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는, 그 친으로 되는 콘텐츠에 설정된 공개 내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한 조건으로 한 후에, 임의로 설정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상기의 콘텐츠 B를 다시 2차 이용한, 제3 세대로 되는 부차 콘텐츠인 콘텐츠 C를 작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차 콘텐츠 C에 대해서는, C≤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콘텐츠 B의 공개 내용 범위 B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공개 내용 범위 C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친콘텐츠로서 제3 세대의 콘텐츠 C, 및 제2 세대의 콘텐츠 α의 2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부차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D를 작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콘텐츠 C의 공개 내용 범위 C와 콘텐츠 α의 공개 내용 범위 α의 논리곱(AND)으로 되는 공개 내용 범위(C·α)를 구하게 된다. 공개 내용 범위(C·α)는, 공개 내용 범위 C와 공개 내용 범위 α 중 어느 것의 범위도 초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설정된 공개 내용 범위로 된다. 또한, 공개 내용 범위 D에 대해서는, D≤(C·α)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여, 공개 내용 범위(C ·α)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공개 내용 범위) 설정에 대한 제한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행하도록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22에 준한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공개 범위 설정을 위한 처리를,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이 실행할 때에, 직접적으로 2차 이용한 편집 소재 콘텐츠(친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공개 지시 정보를 읽어들여, 금회 작성한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 허가된 공개 범위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2의 스텝 S801∼S805의 각 처리에 따른 각 지시 항목에 대한 입력 조작을 위한 GUI에 대해서, 허가된 공개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되는 항목의 선택이라든가, 수치의 입력은 행할 수 없도록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초기 공개 범위나 공개 범위 변경 종별 등과 같이 하여 복수의 선택 항목 중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는 GUI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선택이 허가된 항목만을 액티브로 표시하여 선택 가능하게 하고, 선택이 금지된 항목에 대해서는 비액티브로 표시하여 선택을 행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공개 임계값 액세스수 a, 최대 허가 액세스수 b, 유저 단위 액세스 허가 횟수 c 등과 같이 하여, 수치를 입력하는 GUI에 대해서는, 허가된 범위 외의 수치를 입력할 수 없도록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허가된 범위 외의 수치가 입력되게 된 경우에는, 경고 다이얼로그 등을 표시하여, 재차, 허가된 범위 내로 되는 적절한 수치의 입력을 재촉하게 된다.
또한,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 공개 양 태를 어떻게 하여 책정, 또한, 이에 따라서, 공개 지시 정보로서 어떠한 정의를 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에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7의 설명에서 이용한, 공개 지시 정보의 항목마다에서의 정의 내용에 대한 대소 관계 설정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어디까지나 일 구체예이며, 그 밖에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개 지시 정보로서, 임의의 정보 항목의 내용에 대해서는 뒤 세대에서 범위를 확대해도 되는 등의 옵션적인 지시 내용을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되고, 공개 지시 정보를 실제로 형성하는 것으로 되는 정보 항목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정의 내용에 대한 대소 관계 설정은 적절히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또한, 1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등의 구조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로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그 본체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1차 콘텐츠의 단계에서, 부차 콘텐츠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즉, 1차 콘텐츠로서는, 우선, 제작자가 몇 가지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음원을 작성하고, 이들 음원의 각각을 편집 소재 콘텐츠와 같이 하여 취급하여 편집 처리를 행하고, 그 편집 결과로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과 동등한 재생 제어 파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이 재생 제어 파일과, 상기의 음원으로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패키지화한 파일을, 1차 콘텐츠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1차 콘텐츠로서의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는, 상기 재생 제어 파일의 데이터로 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의 GUI 화면 등의 구체예는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GUI 구성은 다양하게 생각되는 것이다.
또한, 도 6∼도 9에 도시한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및 유저 단말 장치(4)의 구성은 일례로서, 실제로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3개의 서버 중 적어도 1개가, 복수의 서버로 분산되는 등의 형태를 채용해도 무방하다. 혹은 반대로, 이들 서버 중 적어도 2개가 통합되도록 하여 구성되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기능 구성으로서도, 도 10, 도 11 등에 의해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생각된다.
또한,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또한, 개념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에 기초하여 적절히 변경, 확장되어도 된다.
또한, 도 16∼도 19, 도 23, 도 24 등에 의해 플로우차트로서 도시한 처리 수순, 즉 프로그램 구성도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실제의 것으로서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1차 콘텐츠 데이터,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의해 재생, 재현되는 콘텐츠는, 예를 들면 악곡 등의 오디오 콘텐츠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동화상으로서의 영상·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콘텐츠로 되어도 된다. 이 경우, 1차 콘텐츠로서의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는 데이터(본체 정보)는, 비디오 신호 데이터(및 이 비디오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될 오디오 신호 데이터)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사진, 화상 등으로서의 정지 화상의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대응하는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의 기본적인 이용 양태와, 이에 대응한 시스템 동작의 수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의 유저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부차 콘텐츠 작성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의 유저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부차 콘텐츠 재생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의, 편집 소재 콘텐츠의 이용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1차 콘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부차 콘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커뮤니케이션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유저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유저 단말 장치의 HDD 내에 기억될 정보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편집 관리 툴로서의 프로그램 구성예를 기능 블록에 의해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이용 1차 콘텐츠 정보, 이용 편 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1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이, 부차 콘텐츠 편집 처리 시에, 편집 소재 콘텐츠의 이용 허락 범위 설정을, UI(유저 인터페이스)에 반영시키기 위한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이, 부차 콘텐츠 편집 처리로서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을 작성할 때까지의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유저 단말 장치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업로드와, 이에 따른 부차 콘텐츠 서버의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유저 단말 장치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와, 이에 따른 부차 콘텐츠 서버의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유저 단말 장치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재생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공개 지시 정보의 정보 항목 지정을 위한 입력 조작 수순예, 또한,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이 입력 조작에 따라서 실행되는 처리 수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액세스 이력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부차 콘텐츠 서버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공개 범위(공개 양태) 설정을 위한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의, 콘텐츠의 세대 정의에 대한 기본 원칙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실시 형태의 음악 편집·공유 시스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세대정의에 대한 규칙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콘텐츠의 세대와의 관계에서의, 공개 범위(공개 내용 범위) 설정에 대한 제한 규칙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차 콘텐츠 서버
2·2-1: 부차 콘텐츠 서버
3: 커뮤니케이션 서버
4(4A, 4B, 4C): 유저 단말 장치
5: 네트워크
6: 이펙트 데이터베이스
7: 소재 데이터베이스
11·21·31: 제어부
12·22·32: 기억부
12a: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2a: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2a: 블로그 데이터베이스
32b: SNS 데이터베이스
13·23·33: 인증 처리부
14·24: 검색 처리부
15·25: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6: 결제 처리부
17, 27: 암호화 처리부
18·29·36·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5a: 세대 관리부
25b: 공개 범위 관리부
26: 보존 장소 설정 처리부
34: 블로그 가동 처리부
35: SNS 가동 처리부
41: CPU
42: ROM
43: RAM
45: 입출력 인터페이스
46: 입력 디바이스
47: 미디어 드라이브
48: HDD
49: 디스플레이 모니터
100: 음악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
101: 콘텐츠 관리·편집 툴
102: 커뮤니케이션 툴
103: 1차 콘텐츠 파일군
104: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군
111: 통신 제어부
112: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
113: 1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
114: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
115: 부차 콘텐츠 보존 관리 처리부
116: 부차 콘텐츠 전송 제어부
117: 부차 콘텐츠 작성 처리부
118: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 생성, 해석 처리부
119: 암호화·해독 처리부
120: 음성 재생 신호 처리부

Claims (18)

  1.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공개 서버 장치 및 단말 장치로 적어도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에서, 입력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과,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단과,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과,
    입력 조작에 따라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단과,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과,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한 양태로 콘텐츠의 공개를 실행하는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공개 양태로서,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 크 상의 사이트인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 현 콘텐츠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가부를 설정하도록 되고,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그 공개 양태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 현 콘텐츠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가부를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공개 양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Web 사이트인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는 공개하지 않는 양태로부터, 공개하는 양태로 변경하는 것인 것을 설정하도록 되고,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그 공개 양태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현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는 공개하지 않는 양태로부터, 공개하는 양태로 변경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공개 양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현 콘텐츠에 대한 상기 액세스를 거부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되고,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그 공개 양태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현 콘텐츠에 대한 상기 액세스를 거부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공개 양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의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현 콘텐츠에 대한, 동일한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를 금지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되고,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그 공개 양태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공개 지시 정보로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의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현 콘텐츠에 대한, 동일한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를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2차 이용한 편집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신규 콘텐츠를 작성하는 편집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상기 편집 처리 수단이 2차 이용한 콘텐츠의 정보가 갖는 것으로 되는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콘텐츠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공개 양태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단은, 상기 편집 처리 수단이 2차 이용한 콘텐츠가 갖는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공개 양태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된, 상기 신규 콘텐츠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공개 양태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과,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고, 이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현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서버 장치에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측에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공개 지시 정보를 포함하도록 된 콘텐츠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과,
    네트워크 경유로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액세스에 응답한 주어진 처리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응답 처리 수단과,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 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은,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서의,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Web 사이트인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 그 콘텐츠 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가부를 지시하는 내용에 기초하여, 그 콘텐츠 정보에 대한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의 공개를 할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마다에 대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소정 내용의 정보인 액세스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유지하도록 된 액세스 이력 정보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은, 1개의 콘텐츠 정보에 대한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에서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의 내용과, 상기 액세스 이력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은,
    그 콘텐츠 정보를,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Web 사이트인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는 공개하지 않는 양태로부터, 공개하는 양태로 변경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 정보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 상기 일반 공개 사이트에서 공개할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은,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그 콘텐츠 정보에 대한 상기 액세스를 거부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 정보에서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가 행해진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금회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를 거부할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양태 결정 수단은,
    단말 장치로부터의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의 횟수가 소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그 콘텐츠 정보에 대한, 동일한 유저를 특정한 상기 액세스를 거부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상기 공개 지시 정보와, 상기 액세스 이력 정보에서의 단말 장치의 유저마다의 상기 액세스의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금회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세스를 거부할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5.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순과,
    입력 조작에 따라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순과,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순과,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순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한 양태로 콘텐츠의 공개를 실행하는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순
    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순과,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고, 이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현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서버 장치에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측에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공개 지시 정보를 포함하도록 된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대해서 기억시키는 콘텐츠 정보 기억 제어 수순과,
    네트워크 경유로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액세스에 응답한 주어진 처리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응답 처리 수순과,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순
    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순과,
    입력 조작에 따라서,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를 설정하는 공개 양태 설정 수순과,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정보로서, 실질적 콘텐츠 내용 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는 콘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상기 공개 양태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현 콘텐츠에 대한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공개 지시 정보를 작성하도록 된,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순과,
    상기 전송용 콘텐츠 정보 작성 수순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 정보를,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한 양태로 콘텐츠의 공개를 실행하는 공개 서버 장치측에서,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공개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콘텐츠 정보 업로드 제어 수순
    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8. 네트워크 경유로의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 수순과,
    실질적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인 본체 정보와, 소정의 부가 정보를 적어도 갖고 이루어지고, 이 부가 정보로서는, 적어도, 현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할 때의 그 양태인, 공개 양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서버 장치에 콘텐츠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측에서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공개 지시 정보를 포함하도록 된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대해서 기억시키는 콘텐츠 정보 기억 제어 수순과,
    네트워크 경유로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액세스에 응답한 주어진 처리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응답 처리 수순과,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의 공개 양태를, 그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공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개 양태 결정 수순
    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80032577A 2007-04-10 2008-04-08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방법, 프로그램 KR20080092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02854 2007-04-10
JP2007102854A JP2008262280A (ja) 2007-04-10 2007-04-10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70A true KR20080092270A (ko) 2008-10-15

Family

ID=3969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577A KR20080092270A (ko) 2007-04-10 2008-04-08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1853B2 (ko)
EP (1) EP1980971A3 (ko)
JP (1) JP2008262280A (ko)
KR (1) KR20080092270A (ko)
CN (1) CN10128617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2847B2 (en) 2009-03-26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s according to sharing levels
JP2015528971A (ja) * 2013-07-23 2015-10-01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端末デバイス、および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US10666588B2 (en) 2013-07-23 2020-05-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haring media content,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145B1 (ko) * 2005-04-22 2011-12-27 톰슨 라이센싱 계층적 콘텐츠의 네트워크 캐싱
JP4404130B2 (ja) 2007-10-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2007-11-0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5113497B2 (ja) * 2007-11-21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45124B1 (en) * 2008-03-20 2012-08-14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ent modification and metadata
US8661056B1 (en) * 2008-11-03 2014-02-25 Salesforce.Co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ublicly providing web content of a tenant using a multi-tenant on-demand database service
JP2010262614A (ja) * 2009-05-07 2010-11-18 Kosuke Ishikawa アマチュア・セミプロ(または趣味としている)アーティスト・文化人等の新たな活動の場(バーチャルスペース)
JP5478936B2 (ja) * 2009-05-13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9294560B2 (en) * 2009-06-04 2016-03-22 Bae Systems Plc System and method of analysing transfer of data over at least one network
JP2010287030A (ja) * 2009-06-11 2010-12-24 Nikon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9507793B2 (en) * 2009-09-29 2016-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resharing management
JP5707036B2 (ja) * 2009-12-16 2015-04-22 ヤフー株式会社 開示制御機能提供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58989A (ja) * 2010-01-29 2011-08-18 Brother Industries Ltd 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取得方法
JP2014029587A (ja) * 2012-07-31 2014-0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020196B2 (ja) * 2013-01-23 2016-11-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ITRM20130179A1 (it) * 2013-03-25 2014-09-26 Jamgling S R L S Sistema per la creazione sociale e la condivisione di contenuti multimediali
US9609043B2 (en) 2013-10-02 2017-03-28 Dropbox, Inc. Facilitating access to content from group interactions
US9268787B2 (en) 2014-01-31 2016-02-23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ynchronizing and sharing media items
US20160173960A1 (en) * 2014-01-31 2016-06-16 EyeGroo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udiovisual media items
US9207844B2 (en) 2014-01-31 2015-12-08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ouch-based media creation
US9207857B2 (en) 2014-02-14 2015-12-08 EyeGroov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interactive media items
US9519644B2 (en) 2014-04-04 2016-12-13 Facebook, Inc.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media items
CN104978335B (zh) * 2014-04-04 2018-12-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访问控制方法和装置
US9787685B2 (en) * 2014-06-24 2017-10-10 Xiaomi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anaging authority
EP2966585B1 (en) 2014-07-11 2019-09-11 Unify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login of a user
US9792457B2 (en) * 2015-09-14 2017-10-17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based modification of privacy settings associated with posts
CN106059889B (zh) * 2016-05-06 2019-10-18 深圳市英威诺科技有限公司 资讯类应用内容的交互控制方法及装置
JP6251424B2 (ja) * 2017-01-11 2017-12-20 合同会社ディジシステム 画像共有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20160503A (ja) * 2019-03-25 2020-10-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7286449B2 (ja) * 2019-07-10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469B2 (ja) 2005-01-07 2010-10-20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情報共有システム
JP2000253042A (ja) * 1999-03-01 2000-09-14 Nec Corp 情報アクセス権管理システム
JP2001325259A (ja) * 2000-05-16 2001-11-22 Hitachi Ltd デジタルアルバム登録公開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電子サービスサイトの運営システム
JP2001350944A (ja) * 2000-06-07 2001-12-21 Osamu Mizuno 創作成果の配布方法、創作成果の公表方法、および作品管理装置
US6882793B1 (en) * 2000-06-16 2005-04-19 Yesvideo, Inc. Video processing system
US20020083124A1 (en) * 2000-10-04 2002-06-27 Knox Christopher R.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the delivery of streamed content
US8040541B2 (en) * 2002-08-06 2011-10-18 Polestar, Ltd. Secure document printing
JP2004334687A (ja) * 2003-05-09 2004-11-25 Sharp Corp 情報供給装置、作品供給装置、情報供給システム、情報供給サーバ、情報供給端末、情報供給方法、情報供給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供給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CN1553361A (zh) * 2003-06-05 2004-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文件下载与上传管理系统及方法
JP4377762B2 (ja) * 2004-07-05 2009-12-02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権利生成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権利生成方法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権利生成プログラム
US20060212472A1 (en) * 2004-11-30 2006-09-21 Wavenetworx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rich media content portal using third-party commercial portal application software
WO2006079254A1 (en) * 2005-01-31 2006-08-03 Jow Tong Technology Co., Ltd.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JP4089703B2 (ja) * 2005-05-30 2008-05-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70073766A1 (en) * 2005-09-28 2007-03-29 Diversified Multimedia,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obile Media Management
JP4050761B2 (ja) 2005-09-30 2008-02-20 東芝サムスン 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最適記録パワー決定方法
US7805406B2 (en) * 2006-10-27 2010-09-28 Xystar Technologies, Inc. Cross-population of virtual communit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2847B2 (en) 2009-03-26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s according to sharing levels
JP2015528971A (ja) * 2013-07-23 2015-10-01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端末デバイス、および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US10666588B2 (en) 2013-07-23 2020-05-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haring media content,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6171A (zh) 2008-10-15
US7991853B2 (en) 2011-08-02
CN101286171B (zh) 2011-03-23
US20080256086A1 (en) 2008-10-16
EP1980971A3 (en) 2014-06-18
EP1980971A2 (en) 2008-10-15
JP2008262280A (ja)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270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방법, 프로그램
JP49339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960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60052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9604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36766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404130B2 (ja)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249427B2 (en) Content playing device, content play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playing system
JP20092947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11533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20092451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9163765A (ja) 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