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683A -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683A
KR20080087683A KR1020080026224A KR20080026224A KR20080087683A KR 20080087683 A KR20080087683 A KR 20080087683A KR 1020080026224 A KR1020080026224 A KR 1020080026224A KR 20080026224 A KR20080026224 A KR 20080026224A KR 20080087683 A KR20080087683 A KR 2008008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ydrocarbon
refrigerant
mass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380B1 (ko
Inventor
히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저펜에너지
Publication of KR2008008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2Petroleum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2Well-defin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2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과제) 저급 탄화수소 냉매와 탄화수소기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동기유를 사용한 경우, 왁스 석출 온도를 저하시킨다.
(해결 수단)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에 사용되는 냉동기유로서,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이다. 상기 탄화수소기유는, %Cp 가 40 이상, 유동점이 -27.5℃ 이하, 40℃ 에서의 동점도가 3∼200㎟/s 의 광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냉매는, 프로판 및/또는 이소부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REFRIGERATING MACHINE OIL FOR HYDROCARBON REFRIGERANT AND REFRIGERATING MACHIN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존층을 파괴할 우려가 없고, 또한, 지구 온난화능도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 냉매보다 훨씬 낮은 탄화수소 냉매, 특히는 프로판 또는 이소부탄을 사용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축기로 냉매를 압축하고, 고압·고온이 된 냉매를 응축기로 열을 발산시키고, 그 후, 팽창 기구 (예를 들어, 팽창 밸브) 로 저압으로 하고, 증발기에 있어서 냉매가 증발할 때 주위로부터 증발열을 빼앗음으로써 저온이 되어 냉각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냉동기 시스템은, 냉장고, 냉동고, 공조, 쇼케이스, 청량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자동 판매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조(空調)나 자동 판매기 등에서는 응축시에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이나, 음료나 식품을 가열 유지하는 것에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 상기 냉매로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R11),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12),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22) 등의 염소를 함유하는 불화탄화수소 (CFC 또는 HCFC) 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CFC 및 HCFC 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환경 문제를 일으키므로, 국제적으로 그 생산 및 사용이 규제되고, 현재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예를 들어 디플루오로메탄 (R32), 테트라플루오로에탄 (R134 또는 R134a), 디플루오로에탄 (R152 또는 R152a) 등의 비염소계 불화탄화수소 (HFC), 이른바 대체 프레온으로 변환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체 프레온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능이 높기 때문에 지구 환경 보호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한편, 탄소수 1∼5 정도의 저분자량의 저급 탄화수소나 암모니아 등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고, 지구 온난화능도 상기 염소계 또는 비염소계 불화탄화수소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친환경 냉매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 문헌 1, 2).
냉동기 시스템에서는, 압축기에서의 윤활을 위해 냉매와 이른바 냉동기유(油)를 혼합한 작동 유체가 계내를 순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동 유체에 사용되는 냉동기유에는, 냉매와의 상용성이나 윤활 성능이 요구되고, 예를 들어 저급 탄화수소 냉매에 적합한 냉동기유로서, 본 발명자는 특정 성상의 광물유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41278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2883호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00/60031호 팜플렛
그러나, 작동 유체로서 저급 탄화수소 냉매와 탄화수소기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동기유를 사용한 경우, 플록점, 즉, 탄화수소기유로부터의 왁스 석출 온도가 비교적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왁스분의 석출은, 팽창 밸브의 캐필러리를 막히게 하거나, 압축기의 밸브에 부착하여 개폐 불량을 일으키는 것 등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급 탄화수소 냉매와 탄화수소기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냉동기유를 사용한 경우, 왁스 석출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탄화수소기유에 특정한 황 화합물을 소정량 함유시킴으로써,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가 저하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는,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에 사용되는 냉동기유로서,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냉동기 시스템은,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와 냉동기유를 함유하는 작동 유체를 포함하는 냉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냉동기유가,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화수소기유가, %Cp 가 40 이상, 유동점이 -27.5℃ 이하, 40℃ 에서의 동점도가 3∼200㎟/s 의 광유인 것, 또, 상기 냉매가 프로판 및/또는 이소부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는, 탄화수소기유에 특정한 황 화합물을 소정량 함유시킴으로써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가 저하되므로, 석출 왁스에 의한 캐필러리의 막힘이나, 밸브의 개폐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냉동기 시스템은, 이러한 냉동기유가 사용되고 있고, 왁스의 석출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석출 왁스에 의한 캐필러리의 막힘이나, 밸브의 개폐 불량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있다.
[냉동기유]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에 대해,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특정한 황 화합물을 소정량 함유하므로,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가 낮고, 석출 왁스에 의한 캐필러리의 막힘이나, 밸브의 개폐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냉동기유의 플록점은, -30℃ 이하, 특히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이에 의해, 압축기 토출부의 오염이나, 팽창 기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40℃ 에서의 동점도가 3∼150㎟/s, 특히는 5∼100㎟/s 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동점이 -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동점이 -25℃ 보다 높으면, 압축기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된 냉동기유가 팽창 기구 또는 증발기 등에서 유동성이 저하되고, 냉동 설비의 저온 부위에 체류하여 전열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압축기 내의 냉동기유 부족에 의한 베어링의 마모, 눌어붙음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점도 지수가 10 이상, 특히는 50 이상, 나아가서는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점도 지수는 120 이하이다.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냉동기유는 압축기 토출부에서 고온이 되고, 팽창 기구의 출구에서 저온에 노출되어 비교적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온도에 의한 점도 변화가 적은 점도 지수가 높은 윤활제, 즉 점도 지수가 높은 광물유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긴사슬의 사슬형 탄화수소가 많이 함유되는 윤활제는 점도 지수가 높고, 윤활 성능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기유]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 사용하는 탄화수소기유는, 광유, 폴리-α-올레핀 (PAO), 알킬벤젠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대표적으로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80 질량% 이상, 특히는 90 질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 사용하는 탄화수소기유로는, 광유가 바람직하다.
[광유]
상기 광유로는, n-d-M 고리 분석에 의한 %Cp 가 40 이상, 특히는 50 이상이 고, 유동점이 -27.5℃ 이하이고, 40℃ 에서의 동점도가 3∼200㎟/s 인 광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p 가 40 이상, 특히는 50 이상의 광유는 윤활성이 높고, 윤활성이 부족한 탄화수소 냉매에 의해 희석되어도 충분한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베어링의 마모나 눌어붙음 등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 유동점이 -27.5℃ 이하인 광유는, 저온에서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팽창 기구, 증발기에 냉동기유가 체류하지 않으므로, 전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 압축기 내의 냉동기유량 부족에 의한 베어링의 마모, 눌어붙음을 방지한다. 또한, 40℃ 에서의 동점도가 3㎟/s 이상, 특히는 5㎟/s 이상, 나아가서는 8㎟/s 이상인 광유는, 필요한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시일성도 양호하고, 40℃ 에서의 동점도가 200㎟/s 이하, 특히는 150㎟/s 이하, 나아가서는 100㎟/s 이하인 광유는 저온에서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아, 유동성 면에서 우수하다.
또, 상기 탄화수소기유로서 사용하는 광유는, n-d-M 고리 분석에 의한 %Ca 가 15 이하, 질소분이 50ppm 이하, 황분이 3,000ppm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Ca 의 값은 점도 지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커지면 점도 지수가 낮아지고, %Ca 가 15 를 초과하는 광유는 냉동기유로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p 및 %Ca 는, ASTM D3238 에 규정되는 n-d-M 고리 분석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광유에 함유되는 질소분이나 황분은 냉동기유의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질소분은 50ppm 을 초과하면 안정성을 나쁘게 하는 경향이 있고, 5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황분은 부식성을 갖기 때문 에, 3,0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분이나 황분은, 질량 ppm 으로 규정한다.
이와 같은 광유는, 원유를 상압 증류 및 감압 증류하여 얻어진 윤활유 유분 (留分) 에 대해, 용제 탈아스팔트, 용제 추출, 수소화 분해, 수소화 탈랍, 용제 탈랍, 수소화 정제, 황산 세정, 백토 처리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정제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 있어서,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총 배합량은, 상기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에 대해 0.001∼0.05 질량부이고, 0.002∼0.02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총 배합량이 상기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 중의 폴리술파이드는 광유 중의 황분보다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그 총 배합량이 0.05 질량부를 초과한 것 만으로도, 냉동기 시스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구리 배관을 부식시킨다. 또,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총 배합량이 상기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에 대해 0.002 질량부 이상이면,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크고, 한편, 0.02 질량부 이하이면, 냉동기 시스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구리 배관의 부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은, 탄소의 불포화 결합을 황으로 가교한 화합물이고, 황분이 5∼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6∼16 질량% 인 것이 더욱 바 람직하다. 황분이 5∼20 질량% 이면, 구리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면서,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황분이 6∼16 질량% 이면,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크고, 또, 구리 배관의 부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황화 유지는, 유지의 불포화 결합을 황으로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황과, 평지유, 피마자유, 대두유 등의 식물유나, 우지, 돈지, 경유 (鯨油) 등의 동물유를 반응시켜 얻어지며,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황화 올레핀은, 올레핀의 불포화 결합을 황으로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고,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은, 통상의 유지 및 올레핀보다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왁스와 분자량이 가까워 왁스와의 친화성이 높다. 또, 그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은,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와의 친화성도 높다. 그 때문에, 그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은, 생성된 왁스에 냉매가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왁스분의 증식을 억제하여, 석출 왁스에 의한 캐필러리의 막힘이나, 밸브의 개폐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그 첨가제로는, 2,6-디-tert-부틸페놀, 2,6-디-tert-부틸-p-크레졸,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p-크레졸), p,p'-디-옥틸-디-페닐아민 등의 페놀계 또는 아민계 산화 방지제, 페닐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스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안정제,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극압제,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테르, 글리세린모노라우릴에테르 등의 유성제 (油性劑), 벤조트리아졸 등의 금속 불활성화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타크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소포제 또는 제포제 (制泡劑)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주지된 청정 분산제, 점도 지수 향상제, 방청제, 부식 방지제, 유동점 강하제 등의 첨가제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통상 본 발명의 윤활제에 10 질량ppm∼10 질량% 정도 함유되도록 배합된다. 특히, 페놀계 또는 아민계 산화 방지제는, 0.01∼0.5 질량% 정도 첨가함으로써, 윤활제의 안정성,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한다. 또,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는 극압제로서 유용하고, 소량의 첨가 (예를 들어, 0.05∼2.0 질량%) 로 눌어붙음 하중, 내마모 등의 윤활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냉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매로는, 탄소수 1∼5 (바람직하게는 2∼4) 의 저분자량의 탄화수소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등의 알칸 화합물, 및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등의 시클로파라핀 화합물 등, 나아가서는, 일부의 탄소간 결합이 이중 결합인 상기 화합물의 유도체 (상기 화합물에 대응하는 올레핀) 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냉매로서,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판 및 이소부탄이 특히 바람직하다.
[냉동기 시스템]
본 발명의 냉동기 시스템은,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와 냉동기유를 함유하는 작동 유체를 포함하는 냉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냉동기유가,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동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예를 들어, 팽창 밸브), 증발기를 포함하고, 냉매와 냉동기유를 함유하는 작동 유체가 이 계내를 순환하고 있다. 압축기는, 그것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동일한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고, 작동 유체에 의해, 전동 모터가 윤활, 냉각되어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작동 유체는, 냉매와 냉동기유를 10:90∼90:10, 특히는 20:80∼80:20 의 질량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특히는, 그들의 열교환기에는, 배관으로서 통상 구리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에 대해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5 질량부보다 많이 함유하는 냉동기유를 사용한 경우, 구리 배관이 부식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구체적인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유로서, 표 1 에 나타낸 성상을 갖는 기유(基油) 1∼3 (파라핀계 광유) 및 기유 4 (나프텐계 광유) 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20537054-PAT00001
이들 기유에 표 2 에 나타내는 첨가제를 배합하여 실시예 1∼9, 비교예 1∼10 의 공시유(供試油)를 조제하였다. 이들의 첨가량을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첨가제를 배합한 실시예 1∼9 및 비교예 5∼10 의 공시유는, 40℃ 및 100℃ 에서의 동점도, 점도 지수, 황분, 질소분, n-d-M 고리 분석에 의한 %Ca, %Cn, %Cp 가 사용된 기유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8020537054-PAT00002
Figure 112008020537054-PAT00003
이들 공시유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플록점을 측정하고, 추가로 오토클레이브 테스트 및 컴프레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플록점]
20mL 용량의 유리 시험관에, 공시유 1㎖, 탄화수소 냉매 (이소부탄, R60Oa) 9㎖ 를 넣어 밀봉한 것을, 드라이아이스-아세톤욕에서 냉각시키고, 액중에 왁스분의 석출을 확인한 온도를 플록점으로서 보고한다.
[오토클레이브 테스트]
300mL 용량의 스테인리스제 내압 봄베에, 공시유 100g 과, 냉매로서 R60Oa 를 20g, 및 촉매로서 철, 구리, 알루미늄의 철사 (1.6㎜φ×30㎝) 를 넣어 밀봉하고, 175℃ 에서 14 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냉매를 제거한 냉동기유의 전체 산가를 JIS K2501 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촉매를 추출하고, 신품의 외관과 비교하였다. 철, 알루미늄 촉매에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구리 촉매의 변색 상황을 0 에서 5 까지의 6 단계로 판정하였다 (0 : 변색 없음, 5 : 강한 변색).
[컴프레서 테스트]
냉장고용 컴프레서에 냉동기유로서 공시유를 220㎖ 넣고, 냉매로서 탄화수소 냉매 (이소부탄, R60Oa) 30g 을 사용하였다. 이 냉장고용 컴프레서의 토출측에 응축기, 흡입측에 증발기를 각각 접속하고,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캐필러리를 접속하고, 평가용 냉동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냉장고용 컴프레서는, 내부에 레시프로형 컴프레서와 그것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의 절연을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냉동기유와 냉매로 이루어지는 작동 유체는, 냉각을 위해 전동 모터에 직접 접촉되어 있다. 이 냉장고용 컴프레서를 토출 압력 5∼6㎏/㎠·G, 흡입 압력 0㎏/㎠·G 의 조건에서, 500 시간 연속 운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밸브 오염 및 캐필러리 막힘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Figure 112008020537054-PAT00004
기유 1 을 사용한 실시예 1∼4 및 8∼9 와 비교예 1 의 비교, 기유 2 를 사용한 실시예 5 와 비교예 2 의 비교, 기유 3 을 사용한 실시예 6 과 비교예 3 의 비교, 그리고 기유 4 를 사용한 실시예 7 과 비교예 4 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유에 황화 유지를 배합함으로써, 플록점이 대폭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과 비교예 6∼8 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유에 황화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유지를 배합해도, 플록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1 과 비교예 9∼10 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유에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 이외의 황 함유 화합물을 배합해도, 플록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5 의 오토클레이브 테스트의 결과로부터, 기유 100 질량부에 대한 황화 유지의 배합량이 0.05 질량부를 초과하면, 구리를 변색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컴프레서 테스트에 있어서, 비교예 1 및 7 의 공시유는 밸브 오염 및 캐필러리 막힘이 발생했는데, 실시예 2 및 3 의 공시유에서는 밸브 오염 및 캐필러리 막힘은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는, 탄화수소기유에 특정한 황 화합물을 소정량 함유시킴으로써 왁스 석출 온도 (플록점) 가 저하되므로, 석출 왁스에 의한 캐필러리의 막힘이나, 밸브의 개폐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냉동 시스템의 장기간의 안정적인 운전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4)

  1.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에 사용되는 냉동기유(油)로서,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기유는, %Cp 가 40 이상, 유동점이 -27.5℃ 이하, 40℃ 에서의 동점도가 3∼200㎟/s 의 광유인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프로판 및/또는 이소부탄인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4. 탄소수 1∼5 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냉매와 냉동기유를 함유하는 작동 유체를 포함하는 냉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냉동기유가, 탄화수소기유 100 질량부와, 황화 유지 및 황화 올레핀의 적어도 1 종을 합계 0.001∼0.0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시스템.
KR1020080026224A 2007-03-27 2008-03-21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 KR10153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1925A JP5318358B2 (ja) 2007-03-27 2007-03-27 炭化水素冷媒用冷凍機油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システム
JPJP-P-2007-00081925 2007-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83A true KR20080087683A (ko) 2008-10-01
KR101530380B1 KR101530380B1 (ko) 2015-06-19

Family

ID=3991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224A KR101530380B1 (ko) 2007-03-27 2008-03-21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18358B2 (ko)
KR (1) KR101530380B1 (ko)
CN (1) CN101275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3234B2 (ja) * 2009-06-23 2015-09-02 東洋紡株式会社 有機系艶消し材
JP5464615B2 (ja) * 2010-02-04 2014-04-09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5671695B2 (ja) * 2010-10-18 2015-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2311852B (zh) * 2011-08-16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空军油料研究所 一种航空润滑油组合物的制备方法
CN102311853B (zh) * 2011-08-16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空军油料研究所 一种航空润滑油组合物
JP5941990B2 (ja) * 2012-09-28 2016-06-29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元冷凍装置
JP7054330B2 (ja) 2017-02-03 2022-04-13 Eneos株式会社 冷凍機油
JP7146391B2 (ja) * 2017-12-08 2022-10-04 Eneos株式会社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132A (ja) * 1985-06-20 1986-12-2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タイルの混合方法
JPH0737622B2 (ja) * 1986-05-26 1995-04-26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
JP3005310B2 (ja) * 1991-04-30 2000-01-31 東燃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2000136378A (ja) * 1998-11-02 2000-05-16 Sanyo Electric Co Ltd 炭化水素系冷媒組成物
TW546372B (en) * 1998-12-11 2003-08-11 Idemitsu Kosan Co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composition for lubrication
WO2000060031A1 (fr) * 1999-04-02 2000-10-12 Japan Energy Corporation Refrigerateur a compression de vapeur dans lequel une substance de refroidissement hydrocarbonee est utilisee
JP4242518B2 (ja) * 1999-08-11 2009-03-25 出光興産株式会社 二酸化炭素冷媒用冷凍機油組成物
JP4874466B2 (ja) * 2001-02-08 2012-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2003041282A (ja) * 2001-07-27 2003-02-13 Nippon Oil Corp 圧縮機用潤滑油組成物
JP2004211006A (ja) * 2003-01-07 2004-07-29 Asahi Denka Kogyo Kk 潤滑油組成物
JP2005022019A (ja) * 2003-07-01 2005-01-27 Taiyo Kirari Kk チップソーの製造方法
JP2005162883A (ja) * 2003-12-03 2005-06-23 Japan Energy Corp 炭化水素冷媒用冷凍機油
JP2005325151A (ja) * 2004-05-12 2005-11-24 Japan Energy Corp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5097402B2 (ja) * 2004-08-24 2012-12-12 出光興産株式会社 熱交換器の熱交換効率を高くする方法
US7718083B2 (en) * 2004-09-14 2010-05-18 Idemitsu Kosan Co., Ltd.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JP4933089B2 (ja) * 2005-05-12 2012-05-16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の製造方法
US8070978B2 (en) * 2005-08-31 2011-12-06 Idemitsu Kosan Co., Ltd.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5099A (zh) 2008-10-01
JP5318358B2 (ja) 2013-10-16
CN101275099B (zh) 2015-08-05
JP2008239784A (ja) 2008-10-09
KR101530380B1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674B (zh) Refrigeration oil
JP5214151B2 (ja) 炭化水素冷媒用冷凍機油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システム
TWI410488B (zh) 冷凍機油組成物
KR101530380B1 (ko)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기 시스템
US9243177B2 (en)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refrigeration oi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122740B2 (ja) 冷凍機油組成物
EP1792970B1 (en)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containing an aromatic sulfur compound
KR20060046022A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20150036234A (ko) 윤활유 기유, 냉동기유 및 냉동기용 작동 유체 조성물
JP3933872B2 (ja) 炭化水素冷媒を使用する圧縮式冷凍機用潤滑剤
JP2001294886A (ja) 炭酸ガス冷媒を用いる冷凍装置用潤滑油組成物、作動流体、冷凍サイクルまたは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及び冷凍装置
KR101086080B1 (ko)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KR101130032B1 (ko) 냉동기유 조성물
KR100829771B1 (ko) 저급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유 조성물
JP5551295B2 (ja) 炭化水素冷媒用冷凍機油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