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908A -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908A
KR20080084908A KR1020080084267A KR20080084267A KR20080084908A KR 20080084908 A KR20080084908 A KR 20080084908A KR 1020080084267 A KR1020080084267 A KR 1020080084267A KR 20080084267 A KR20080084267 A KR 20080084267A KR 20080084908 A KR20080084908 A KR 20080084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tem
house
inform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욱
이종걸
박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가,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저장하며, 상기 캐릭터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표현을 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기의 캐릭터하우스 표시 시점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캐릭터하우스, 캐릭터, 아이템, 배경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상태에서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대표적인 장치가 휴대 전화기이다. 상기 휴대전화기는 고유의 전화기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들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캠코더폰, TV 시청이 가능한 TV 폰 및 디지털 TV폰(DMB, DVB), MP3 음악화일 청취가 가능한 MP3폰 등이 될 수 있다. 즉, 현재의 휴대전화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LCD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표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휴대단말기는 단말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휴대단말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설정된 특정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대기상태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휴대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이미지이거나 사용자가 다운로드 또는 촬영한 사진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대기화면으로 사용하기 위한 스크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캐릭터이미지들의 표시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인공에이전트 기능을 가지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인공지능을 가지는 캐릭터, 아이템 및 배경등을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 화면을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가 상주하는 공간인 캐릭터하우스를 특정 동작모드에서 화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현하며, 상기 캐릭터가 캐릭터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캐릭터의 상태 및(또는) 감정에 맞는 애니메이션, 사운드 및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현하며, 상기 아이템들은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능성 아이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아이템 및 캐릭터하우스를 장식하는 장식용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dLT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배경을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현하며, 상기 배경은 하루의 시간 경과에 따른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기능성 아이템을 포함하는 캐릭터 하우스를 화면으로 표현하며, 상기 아이템은 휴댕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시나리오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상태 및(또는) 감정에 맞는 애니메이션, 사운드 및 텍스트를 표현하는 캐릭터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과,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표현하는 기능성 아이템과 캐릭터하우스에 특정 이미지를 추가하여 심미안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장식용 아이템 및 캐릭터하우스 내에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성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생성하여 특정 동작모드의 화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시할 때 특정 시간대에서 상기 캐릭터가 해당 시간 대의 애니메이션, 사운드 및 텍스트등을 포함하는 인사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시할 때 특정 시간대에서 상기 캐릭터가 랜덤하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아이템 및(또는) 캐릴터머니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시할 때 휴대단말기의 캐릭터수치 정보, 캐릭터의 감정 이모티콘 및 텍스트등을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화면 표시시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를 대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를 생성하여 특정 동작모드의 화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 하우스를 특정 동작모드의 화면으로 표시하며, 캐릭터하우스를 구성하는 배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 하우스를 특정 동작모드의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구성하는 아이템들을 추가 및 포함된 아이템을 편집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 하우스에 아이템을 추가, 삭제, 표시위치 편집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 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캐릭터 하우스를 특정 동작모드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하우스의 아이템 편집시 표시화면에 분할영역 및 번호를 표시하고, 번호 선택시 선택된 번호의 분할영역에 편집할 아이템을 표시하고 미세조정에 의해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를 저장하며, 상기 캐릭터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표현을 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기의 캐릭터하우스 표시 시점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이,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하우스 설정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캐릭터하우스 설정정보에 의해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이,프로그램 모드에서 캐릭터하우스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편 집모드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되는 배경 및 아이템들을 편집하는 과정과,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시점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설정정보들을 확인하며, 상기 캐릭터하우스 설정정보에 의해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된 캐릭터, 아이템 및 배경을 표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하우스는 인공지능 캐릭터가 상주하는 공간으로서, 말하고 행동하고 표현하는 가상의 공간을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시각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빠르고 쉽게 익힐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릭터 하우스는 캐릭터표현 기능, 배경화면 표현 기능, 아이템 표현 기능 및(또는) 특수 표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캐릭터는 캐릭터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캐릭터의 상태와 감정에 맞는 사운드 및(또는) 텍스트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캐릭터는 이동 및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 표현 기능은 휴대단말기의 상태 및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표현에 의해 캐릭터 하우스를 생동감있게 표현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배경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화면으로 사용되어 캐릭터하우스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배경화면을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으 로부터 시간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 아이템은 장식용, 이동형 및 기능성 아이템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휴대단말기 상의 시스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 사용자에게 휴대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장식용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를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들로 꾸밀 수 있어 캐릭터하우스의 심미안적인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동형 아이템은 캐릭터하우스 내에서 아이템들을 다양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을 생동감있게 표현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캐릭터하우스의 특수 표현은 특정 시간대에서 캐릭터가 적절한 사운드, 텍스트 및(또는) 행동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인사 행동을 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 친밀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사행동시 랜덤하게 선물을 제공하므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예기치 않은 기쁨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캐릭터 이미지, 캐릭터 표현 모드, 종류 및 시간 등에 대한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 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스크린 이미지라는 용어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스", "아바타 하우스" 및 "캐릭터 하우스"라는 용어는 동일한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며, 상기 하우스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영상(screen image)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에 사용되는 이미지들은 캐릭터, 아이템 및 배경화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아이템"이라는 용어는 상기 하우스를 구성하는 위한 캐릭터 이미지로써, 상기 하우스를 꾸미기 위한 장식용 아이템과,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성 아이템, 하우스 내에서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는 이동성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배경"이라는 용어는 상기 하우스를 꾸미는 이미지로써, 하우스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캐릭터"라는 용어는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휴대단말기의 상태, 감정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는 사람, 아바타, 동물, 또는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사용되는 캐릭터라는 용어는 휴대단말기의 상태, 감정, 인사 등을 수행하는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배경, 캐릭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휴대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 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합성부127은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합성부127은 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키입력부141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호 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상태에서 표시하기 위한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이벤트들에 따른 캐릭터의 반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하우스 화면을 구성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캐릭터 정보 및 캐릭터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캐릭터메모리와, 감성표현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텍스트메모리들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이미지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모드에서 표현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린 이미지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특정 상태는 휴 대단말기의 대기 상태(idle state)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캐릭터메모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메모리는 캐릭터 구조 및 이에 따른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캐릭터 메모리와, 아이템 구조 및 아이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아이템 메모리와, 배경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배경 메모리와, 캐릭터 하우스 구조 및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캐릭터 하우스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구조는 이미지들을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캐릭터, 아이템 및 배경 이미지들의 조합 정보들만 구비하고, 각 이미지들은 각 캐릭터메모리들의 이미지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캐릭터 메모리를 살펴본다. 상기 캐릭터는 휴대단말기의 감성상태를 표시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들,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text message: SMS, EMS, MMS 등) 내용에 따른 감정을 표현하는 캐릭터 이미지들,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캐릭터 이미지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의 감성상태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캐릭터 이미지들, 문자메시지의 내용에 따른 감정을 표시하는 복수 개의 캐릭터 이미지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이벤트들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캐릭터 이미지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캐릭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는 파일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캐릭터 파일 구조는 헤더 및 상기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상기 각 이미지들의 식별자, 시작위치, 이미지수, 표시위치 및 애니메이션의 이름 등의 정보들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캐릭터 전송 모드시 상기 캐릭터 이미지들의 각각 대응되는 헤더 들 및 상기 캐릭터 이미지들을 전송 형태의 파일로 생성한 후, 이를 전송한다.
두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배경화면, 캐릭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특정 모드(예를들면 대기모드)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배경화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아이템들을 배치시키고, 휴대단말기의 특정상태(예를들면 대기 상태) 화면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도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파일 구조는 헤더 및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캐릭터 하우스의 헤더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연결되는 아이템들의 헤더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 헤더는 캐릭터 하우스 식별자, 캐릭터가 표시될 위치, 캐릭터 하우스의 크기 및 이름들의 데이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 헤더들은 각각 대응되는 아이템 인덱스, 아이템이 표시될 캐릭터 하우스의 위치, 아이템 이름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캐릭터 하우스 전송 모드시 상기 캐릭터 하우스 및 연결된 각 아이템들에 각각 대응되는 헤더들 및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화면 및 아이템 이미지들을 각각 압축한 형태의 파일로 생성한 후, 이를 전송한다.
세 번째로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의미한다. 상기 아이템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연결되지 않은 아이템 이미지들은 캐릭터 전송시 별도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아이템들은 헤더 및 이미지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는 아이템 인덱스 및 아이템이 표시될 캐릭터 하우스 내의 위치, 그리고 이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템의 표 시 위치 정보는 캐릭터 하우스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 설정된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캐릭터는 휴대단말기의 이벤트 발생 등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릭터를 의미하며, 캐릭터 하우스는 휴대단말기가 대기상태 등과 같은 특정 상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를 의미하고, 아이템은 특정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성 아이템,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꾸미기 위한 장식용 및 이동성 아이템들을 의미하며, 배경이미지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내에 배열되는 캐릭터 및 아이템들의 배경화면 이미지로 사용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휴대전화기의 경우, 상기 제어부110, 데이터처리부120 및 오디오처리부125, 그리고 상기 음성합성부127이 하나의 칩으로 집적된 MSM 칩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화면에 표시할 캐릭터, 아이템, 배경화면 또는 캐릭터 하우스 이미지들, 텍스트 및(또는) 사운드 정보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들을 표시부143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또한 필요시 상기 텍스트를 음성합성부127을 통해 사운드로 재생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43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3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43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표시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character house)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의미한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인공지능 캐릭터가 상주하는 공간으로서 말하고 행동하는 가상의 공간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시각화한 것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빠르고 쉽게 익힐 수 있으며, 동시에 살아있는 듯한 캐릭터를 통해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게된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캐릭터 표현을 기능을 갖는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는 캐릭터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캐릭터의 상태와 감정에 맞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사운드 및 텍스트 등을 표현한다. 두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배경화면 표현 기능을 갖는다.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상태(특히 아이들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배경화면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배경화면은 시간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캐릭터 하우스는 아이템 표현 기능을 가진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현 가능한 아이템들을 그 기능에 따라 다수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의 아이템들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그 하나는 기능성 아이템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 또는 상태에 따른 시스템 정보를 표현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 두 번째는 장식용 아이템으로써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화면에 특정 이미지를 추가하여 미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 세 번째는 이동형 아이템으로 써, 캐릭터 하우스의 화면에서 이동하는 이미지(구름, 새 등)를 표현하여 보다 역동적인 캐릭터 하우스 화면을 꾸밀 수 있게 한다. 네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에 인사를 한다.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는 하루의 시간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들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가 적절한 사운드 표현과 함께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인사를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인사를 할 때 아이템을 선물로 주는 등의 행동 표현을 할 수도 있다.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개념(system overview)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는 캐릭터 세팅 프로그램(character setting program) 표시 화면으로써, 특정 상태에 표시하기 위한 캐릭터 하우스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이때 상기 캐릭터 세팅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상기 표시부143에는 4개의 캐릭터 하우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4개의 캐릭터 하우스 보다 적은 수의 캐릭터 하우스들을 가진 경우에는 빈칸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2a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임의 캐릭터 하우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2b와 같은 캐릭터 엔진(character engine)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캐릭터 엔진은 상기 선택된 캐릭터 하우스의 정보를 캐릭터하우스 관련정보 저장모듈(character house information save module)210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캐릭터하우스 표현모듈(character house expression module)220을 구동한다. 즉, 상기 도 2b는 캐릭터 엔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캐릭터엔진은 캐릭터하우스 정보 저장모듈210과 캐릭터 하우스 표현모듈2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도 2b의 캐릭터하우스 정보 저장모듈210은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현하기 위한 캐릭터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모듈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릭터 정보(character information)217,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215 및 캐릭터 하우스 정보(character house information)213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캐릭터 정보217은 캐릭터의 감정 정보(emotion informtion), 상태정보(status information), 수치정보(quotient information)를 가지며, 각 감정 및 상태 정보에 따른 대화문구(text) 및 사운드(sound)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정보217은 특정상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처리하면서 이런 이벤트들에 대응되는 캐릭터 수치들을 갱신한다. 여기서 캐릭터 수치는 체력지수(physical quotient: HQ), 감정지수(emotion quotient: EQ), 지능지수(intelligent quotient: IQ) 및 사회지수(social quotient: SQ)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캐릭터의 상태 및(또는) 감정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벤트 처리시 상기 처리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캐릭터 수치 값을 변경하여 누적하며, 상기 캐릭터 수치들을 분석하여 휴대단말기의 상태(status)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결정시 캐릭터 수치 및(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결정된 상태에서의 감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정은 특정 이벤트(예를들면 문자메시지) 처리시 이벤트의 내용을 분석하여 감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및(또는) 감정 표현시 상기 캐릭터 표현과 함께 표현되는 문 구(text) 및(또는) 사운드 정보들도 저장한다. 또한 특정 모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는 상기와 같은 상태 및 감정과 다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릭터 정보217은 특정 모드(예를들면 대기 상태의 모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시스템 정보215는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현되는 아이템들 중에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남은 용량을 표시하는 아이템,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하는 아이템, 읽지 않은 문자 메시지의 표시하는 아이템 등과 같은 기능성 아이템들의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은 장식용 아이템, 이동형 아이템 및 기능성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표현하는 아이템들로써,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형 아이템으로 메모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템, 알람 설정 시간을 표시하는 아이템 및 문자메시지의 수를 표시하는 아이템들을 기능성 아이템으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213은 캐릭터 하우스의 설정 프로그램에서 설정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정의 정보로써, 사용되는 아이템들의 종류와 위치 그리고 배경이미지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는 상기 캐릭터 및 기능성 아이템들을 제외한 캐릭터 하우스의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213은 장식용 아이템, 이동형 아이템 및 배경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도 2b의 캐릭터 하우스 표현모듈220은 캐릭터표현모듈(character display module) 223, 아이템 표현모듈(item display module) 225 및 배경표현모듈(background display module) 227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캐릭터 표현모듈223을 살펴보면, 상기 캐릭터표현모듈223은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현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표현은 캐릭터의 이동과 등장 관련 부분과 말풍선(text balloon), 사운드 효과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캐릭터 표현은 캐릭터 정보217을 참조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 표현모듈은 캐릭터 인사표현과 같은 특수한 캐릭터 표현을 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아이템 표현모듈225는 현재 사용중인 캐릭터하우스 정보213 및 시스템정보215를 참조하여 해당 아이템들이 배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표현한다. 상기 아이템들은 종류별(장식용, 이동형, 기능성 아이템)로 다르게 표현한다. 세 번째 배경화면 표현모듈227은 현재 사용중인 캐릭터 하우스 정보213의 배경화면에 따라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을 표현한다. 이때 상기 배경 이미지는 시간대에 따라 명암을 조절하여 시간의 변화를 표현할 수도 있다.
도 2c는 상기 도 2b와 같은 캐릭터 엔진에 의해 표현되는 캐릭터 하우스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특정 모드(예를들면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현되는 화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아이템 및(또는) 배경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c와 같은 캐릭터 하우스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이하 대기상태라 칭한다)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장식 역할과 상기 대기 화면에서 표현되지 않는 휴대단말기의 상 세 정보들을 표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구조는 상기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캐릭터230은 캐릭터 하우스에서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현된다. 상기 캐릭터230은 상기 대기모드에서는 설정된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하며, 매일 설정된 시간대에서 해당 시간에 설정된 인사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텍스트 및(또는) 사운드 효과를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상기 캐릭터230은 불규칙적으로 아이템 등의 선물을 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230은 휴대단말기의 상태(state) 및(또는) 감정(emotion)을 표현하는 경우, 결정된 상태 및(또는) 감정모델에 따른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동시에 사운드 및(또는) 텍스트를 표현한다. 상기 배경240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이미지로써, 시간대 별로 명암을 다르게 표현하여 시간의 경과를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아이템 251, 253 및 259는 캐릭터 하우스를 장식하는 기능 및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형 아이템 251, 253, 255 및 259는 캐릭터 하우스를 장식하는 기능 및 설정된 동작의 상태를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로써 기능형 아이템 251은 우편함 아이템으로써 수신메시지의 미확인 메시지 수를 표현하는 아이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형 아이템 253은 시계 아이템으로서 설정된 알람의 시간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된 알람이 복수개이면 가장 앞선 시간의 알람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아이템255는 메모리의 상태를 표현하는 아이템이다. 장식형 아이템259는 상기 캐릭터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이며, 도시되지 않은 이동성 아이템도 캐릭터 하우스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은 현재 휴대단말기의 캐릭터수치(여기서는 상기 캐릭터 수치종류가 통신에 관련된 이벤트들을 수치화한 사회지수social quotient: SQ), 단말기의 성능에 관련된 이벤트들을 수치화한 체력지수(physical quotient: HQ),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들을 수치화한 지능지수(intellectual quotient: IQ),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이벤트들을 수치화한 감정지수(emotional quotient: EQ)가 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는 캐릭터 하우스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가변적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230, 배경240, 아이템251-259, 캐릭터수치표시부260 등의 표현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230의 기본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은 3가지로 요소가 된다. 그 첫 번째 요소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표현으로써, 캐릭터 하우스에 포함된 캐릭터230의 캐릭터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두 번째 요소는 캐릭터 대사 표현으로써, 캐릭터230의 상태와 감정에 맞는 대사(text)를 표시하며, 이때 상기 텍스트는 상기 캐릭터230의 말풍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세 번째 요소는 캐릭터 음성 표현으로써, 상기 캐릭터230의 상태에 따른 음성 또는 사운드 표현을 한다.
상기 캐릭터230은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태 및(또 는) 감정을 표현하며, 각각의 상태와 감정은 각 캐릭터의 수치 값의 변화에 따른 캐릭터 시나리오(character scenario)으로 한 상태 결정모델 및(또는) 감정모드 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결정된다. 상기 캐릭터 시나리오에 의한 상기 캐릭터230의 상태 및(또는) 감정모드 결정은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5-10717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230은 현재 상태 정보와 감정모드는 캐릭터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며, 각 캐릭터의 고유 음성 효과(sound effect) 및 말풍선을 통한 텍스트 표현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230은 휴대단말기의 특정모드(예를들면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상기와 같은 캐릭터 표현 이외에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이동하며 돌아다니고, 화면 밖으로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는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230은 상태 및(또는) 감정을 표현하는 시점이 되면 해당 상태 및(또는) 감정에 대응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사운효과 및 텍스트를 표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캐릭터230의 상태 및(또는) 감정 표현은 항상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캐릭터 수치가 설정된 값을 가질 때에 표현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시된다. 즉,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대기상태가 수행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는 상태에서 다른 동작모드가 수행되면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을 중단한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는 경우,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은 상기 상태 및(또는) 감정 표현을 하는 애니메이션과 다른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 한다.
도 4a - 도 4h 및 도 4i - 도 4n은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표시되는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첫 번째로 상기 도 4a - 도 4h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230은 일정한 행동 패턴을 가진다. 상기 캐릭터230은 특별히 지정되지 않은 랜덤한 위치에서 나타나 음성 표현 및 대사를 표현한 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230은 이동시에 캐릭터 하우스의 화면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캐릭터 하우스 화면의 랜덤한 위치에서 등장하여 애니메이션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 사운드 효과 및(또는) 텍스트 표현은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표현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은 6단계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처음 단계는 화면 대기상태이며, 이런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의 아이템들 및 배경 이미지가 먼저 표시되며, 상기 캐릭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 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캐릭터230을 상기 도 4b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 내의 랜덤한 위치에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은 페이드 인(fade-in)효과를 주어 서서히 나타나 완전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은 알파 블랜딩(alpha blend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230의 투명도를 100%에서 시작하여 일정시간 간 격으로 투명도를 설정 비율 만큼씩 감소시켜 투명도 0%가 되도록하면 된다. 예를들면 0.5초 간격으로 25%씩 투명도를 감소시키면,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은 2초에 걸쳐 투명도 100%, 75%, 50%, 25%, 0%의 순으로 페이드 인 효과를 가지며 표현되며, 따라서 상기 캐릭터230은 서서히 나타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릭터230은 랜덤한 위치에서 표현이 시작되는데, 상기 캐릭터230의 일부만 나타날 수 있는 위치이면 상기 캐릭터230을 표현하지 않도록한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230을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도 4b와 같이 표현할 경우, 상기 캐릭터230의 이미지가 상기 캐릭터 하우스 화면 내에 완전하게 보일 수 있는 위치인 경우에만 나타날 수 있도록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캐릭터230의 위치를 다시 설정하여 표시한다.
상기 캐릭터230을 표현한 후, 세 번째 단계에서는 도 4c와 같이 상기 캐릭터230의 상태에 따른 사운드 효과를 표현한다. 이때 상기 사운드 효과는 한번만 표현하며, 상기 캐릭터230이 다시 등장하는 시점에서 다시 한번 표현한다. 이때 상기 사운드 효과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운드 효과 및 텍스트를 표현한 후, 네 번째 단계에서는 도 4d와 같이 상기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을 수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은 상기 캐릭터가 캐릭터하우스 내에서 사라질 때 까지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230은 애니메이션은 캐릭터230의 표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캐릭터230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이 수행된 후,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도 4e와 같이 상기 캐릭터230의 현재 상태와 감정에 따른 캐릭터230의 고유한 텍스트를 표 현한다. 이때 상기 텍스트 표현은 말 풍선 안에 표현할 수 있으며, 텍스트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읽는 시간을 고려하여 표현한다. 상기 도 4e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에서 텍스트를 표현하는 경우, 상기 말풍선 영역은 반투명 처리할 수 있으며(약 30% 정도),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읽는 시간을 고려하여 약 3초 정도로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표현 후,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도 4f 및 도 4g와 같이 캐릭터230을 이동(moving)시킨다. 이때 상기 캐릭터230의 이동방향은 상기 캐릭터230이 처음에 나타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캐릭터230이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처음 표현된 위치를 확인하고, 캐릭터 하우스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캐릭터230이 많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230은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1초 당 20픽셀(pixel)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캐릭터230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화면 가장자리를 지나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사라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캐릭터230이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완전히 사라지면, 상기 도 4h와 같이 대기상태 초기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도 4h는 상기 도 4a와 같은 표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시간(약 2초 정도)이 경과되면, 상기 도 4a - 도 4g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면서 캐릭터 하우스를 반복적으로 표현한다.
두 번째로 상기 도 4i - 도 4n은 캐릭터 표현시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i - 도 4n을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를 표현할 때, 먼저 도 4i 및 도 4n은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할 때 아이들 단계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아이들 단계는 화면 대기 상태이며, 캐릭터 하우스의 설정된 아이템들과 배경화면이 표시된며, 캐릭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두 번째로 도 4j는 캐릭터를 표현하기 시작하는 단계(alpha blending)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계에서 캐릭터는 캐릭터 하우스 내의 지정된 위치에서 나타난다. 상기 도 4j에는 캐릭터 표시 위치는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캐릭터 이미지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캐릭터의 표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페이드-인 효과와 함께 점점 완전한 모습으로 표시되며, 이때 상기 캐릭터의 투명도는 100%에서 시작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들면 0.5초)으로 설정된 비율(예를들면 25%)로 감소시킨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도 4k는 상기 캐릭터의 투명도가 0%로 되어 완전하게 표시되는 상태에서 캐릭터의 상태에 따른 고유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캐릭터의 사운드 효과는 한번만 표시할 수 있으며, 반복되지 않고 상기 캐릭터가 다시 등장될 때 다시 한번 표현된다. 네 번째로 상기 도 4l은 상기 캐릭터의 사운드 효과를 표현한 후, 캐릭터의 현재 상태와 감정에 따라 캐릭터 고유의 텍스트를 표현하는 단계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캐릭터의 텍스트는 30%로 반투명 처리된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의 텍스트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 표현은 사용자가 읽는 시간을 고려하여 표현이 완료된 후, 1.5초 경과된 후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도 4m은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표현하는 단계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캐릭터의 사운드 및 텍스트 효과를 표현한 후, 상기 캐릭터는 애니메이션을 시작하고, 상기 캐릭터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완전히 사라질때 까지 계속적으로 반복적으로 표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230의 표현은 먼저 아이템250 및 배경240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캐릭터230을 페이드인 효과를 갖도록 표현한 후,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표현하는 사운드 효과를 표현하며,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표현하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캐릭터230을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애니메이션서 또는 이동시켜 생동감을 갖도록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캐릭터230이 캐릭터 하우내에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캐릭터의 동작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캐릭터230의 이동은 캐릭터230이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캐릭터230이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캐릭터 애니메이션도 함께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230을 표현할 때, 상기 아이템250 및 배경240의 이미지와 동시에 표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캐릭터230의 표현시 투명도 0%로 즉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이런 경우 페이드 인 효과를 갖지 않음), 또한 상기 캐릭터230의 사운드 효과 및(또는) 텍스트 표현은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배경의 표현 방법은 시간의 변경에 따라 배경 이미지를 변화시켜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배경 이미지를 시간대에 상관없이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a -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을 표현할 때 시간대에 따라 상기 배경240의 이미지를 변화시켜 표현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이며, 도 6은 배경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과 같은 배경 이미지들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배경 이미지들이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시간의 변경에 상관없이 고정된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도 5a - 도 5b를 참조하면,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의 표현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아침, 점심 및 저녁(및/또는 밤)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시간대에서 상기 배경의 각각 상기 도 5a - 도 5c와 같이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240을 설정하면,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240의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배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의 변화는 공간적인 변화가 아닌 시간적인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5a -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침, 낮 및 밤으로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240은 하기 <표 1>과 같이 각 시간대 별로 다른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시간의 변화에 따라 배경 이미지가 변경되는 시점에서 상기 도 5a - 도 5c와 같이 인사를 하고 배경 이미지를 변경한다.
구분 시간대 설명
아침 06:00-12:00 아침을 나타내는 배경, 햇살과 약간의 밝은 느낌의 이미지
낮, 오후 12:00-18:00 해가 중간에 있으며, 따뜻한 분위기의 오후 이미지
저녁, 밤 18:00-06:00 해가 없으며, 어두운 밤 분위기의 이미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의 설정은 캐릭터 하우스 세팅을 통해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화면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배경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과 같은 배경 이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간대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시간의 변화에 상관없이 고정된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 6과 같은 배경 이미지들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경은 고정된 이미지 또는 시간대 별로 변화되는 이미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대 별로 변화되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배경은 배경 이미지를 하나로 구성하고 이런 배경이미지에 명암을 다르게 표현하여 시간을 표현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정보 및 아이템250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캐릭터230 및 배경240의 표현 이외에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들을 표시하는 아이템들 및 현재 캐릭터 수치 정보들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현 방법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에 상기 아이템250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도 7a는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시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b는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은 상기 캐릭터230의 현재 상황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230은 상태 및(또는) 감정과 함께 HQ, EQ, IQ, SQ의 4개 캐릭터 수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캐릭터 수치 정보들을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캐릭터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과 사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은 캐릭터 하우스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의 좌측 상단에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구조는 수치정보표시영역267, 감정 아이콘(icon) 표시영역263 및 상태표시영역265의 3개 표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263표시 영역은 캐릭터의 감정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이모티콘(emoticon)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265 영역은 캐릭터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상태를 상태이름 텍스트로 표현할 수 있고, 267 영역은 캐릭터 수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캐릭터의 현재 수치값들을 각각의 수치별 색깔 게이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63영역에 표시되는 감정모드는 happy, normal, angry, sad 및 tired의 총 5개의 감정모드들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때의 각 감정모드에서 표현되는 이모티콘은 도 8과 같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하우스 표현시 상기 각 감정모드들에 대하여 캐릭터230의 애니메이션을 통한 감정 표현 이외에 별도로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263 영역에는 상기 도 8과 같은 이모티콘을 표현하여 감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65 영역에 표시되는 캐릭터 상태 정보는 텍스트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230은 각 캐릭터별로 다양한 상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각 상태에 대하여 텍스트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267영역에 표시되는 캐릭터 수치정보는 현재의 수치값을 게이지를 통해 표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캐릭터 수치(HQ, EQ, IQ, SQ)들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267영역에서 캐릭터 수치값들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Q(사회지수)는 빨간색 막대로 표시하고, HQ(체력지수)는 초록색 막대로 표시하며, IQ(지능지수)는 보라색 막대로 표시하고, EQ(감성지수)는 파란색 막대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267 영역에 표시되는 각 캐릭터 수치들의 게이지(gage)의 수치 표시는 각 수치별 최대값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하며, 상기 게이지 이미지 이외에의 텍스트 표현은 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263 및 265 영역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아이템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아이템은 웹서비스를 통해 아이템 스토어(item store)에 구입할 수 있으며, 또한 인사 표현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서 선물받을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현 가능한 아이템은 기능성 아이템, 장식용 아이템 및 이동형 아이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상기 각 아이템들의 표시 위치는 캐릭터 하우스 꾸미기 기능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표현 방법을 기능성 아이템, 이동형 아이템 및 장식용 아이템의 순으로 살펴본다.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휴대단말기 상의 유용한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아이템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능성 아이템들은 메모리, 알람 및 우편함 아이템들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편함 아이템은 메시지 아이템이 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우편함 아이템은 메시지 아이템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아이템들은 단일 기능의 아이템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들을 그룹핑한 기능성 아이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룹핑된 기능성 아이템의 예를들면, 상기 우편함 아이템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메시지들을 표현할 수 있는 그룹 아이템이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우편함 아이템은 문자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일(mail, EMS: email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기능들을 그룹핑한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아이템의 경우, 일정관리(schedule), 할 일(to do), 알람 등의 기능들을 그룹핑한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핑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기능성 아이템의 경우, 해당 기능성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기능성 아이템에 그룹핑된 기능성 아이템들을 표현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능성 아이템은 도 9a와 같이 표현되는 정상모드(normal mode), 도 9b와 같이 표현되는 선택모드(select mode) 및 도 9c와 같이 표현되는 활성모드(enable mode)로 표현된다. 상기 도 9a - 도 9c의 설명에서는 단일 아이템으로 구성된 기능성 아이템인 경우로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할 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기능성 아이템이 포함된 경우 지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들을 표시한다. 상기 도 9a는 우편함, 시계 및 메모리 이미지로 표현되는 기능성 아이템들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들고 있다. 상기 정상모드에서 표현되는 기능성 아이템은 기본 아이템 이미지이다. 이런 상태에서 표현할 새로운 정보가 발생되면, 휴대단말기는 상기 도 9a와 같이 표현되는 기본 아이템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정상 모드(즉, 캐릭터 하우스가 표시되는 상태)로 표현하는 중에 아이템 표시모드키(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특정 기능키, 예를들면 취소키(clear key))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기능성 아이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선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도 9b를 참조하면, 선택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캐릭터 하우스의 각 기능성 아이템에 흰색 반투명 배경(background)를 추가하여 표현하며, 선택된 아이템은 줌인(zoom-in)하여 큰 아이템 이미지로 표현한다. 상기 선택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기능성 아이템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확인키(ok key)가 발생되면 해당 기능성 아이템을 활성화시키는 활성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도 9c를 참조하면, 활성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각 기능성 아이템의 이미지와 함께 간단한 정보를 표현한다. 그리고 업/다운 키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애플릿(applet)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도 9a와 같은 정상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레프트/라이트 키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다른 기능형 아이템으로 이동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먼저 도 9d - 도 9f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의 구조 및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은 현재 사용중인 기본 메모리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성 아이템이다. 여기서 상기 도 9d는 정상모드에서 표시되는 기본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이며, 상기 정상모드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50% 이상이 되면 도 9e와 같이 애니메이션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성모드가 되면, 휴대단말기는 도 9f와 같이 상기 메모리 기능형 아이템을 크게 표시하면서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한다.이때 상기 메모리 사용량 표시는 텍스트 및 게이지(gauge)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 표현은 현재 사용량/ 총 메모리량(total memory)로 표현하며, 게이지 표현은 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메모리 사용량으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의 게이지는 상기 아이템이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게이지 바가 좌측 또는 우측에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의 사용량이 설정된 비율(예를들면 9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강조되는 색깔(예를들면 진한 빨간색)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9f와 같이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모리 상태(go to memory status)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모리 상태로 이동하여 메모리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9g - 도 9i를 참조하여 상기 알람 기능성 아이템의 구조 및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알람 기능성 아이템은 현재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현하는 아이템이다. 여기서 상기 도 9g는 정상모드에서 표시되는 기본 알람 아이템 이미지이며, 상기 정상모드에서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도 9h와 같이 애니메이션 알람 아이템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성모드가 되면, 휴대단말기는 도 9i와 같이 상기 알람 기능형 아이템을 크게 표시하면서 알람 설정시간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알람 표시는 텍스트 및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은 모닝콜(morning call), 스케쥴(schedule), 할 일(to do)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람의 텍스트 표현은 텍스트 포맷 1(text format 1) 및 텍스트 포맷 2(text format 2)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포맷 1은 알람 이름(도 9i에서는 call jeni가 될 수 있음)을 표현하며, 텍스트 포맷 2는 날짜 및 시간(date + time)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 포맷1에서 알람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no alarm"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포맷에서 시간은 TT:MM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날짜(data)는 오늘/내일/주일에 한번(today/tomorrow/a day of the week)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알람 기능성 아이템은 상기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아이템 이미지가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알람시간의 텍스트가 좌측 또는 우측에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기능성 아이템이 복수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최우선하는 시간의 알람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9i와 같이 알람 기능성 아이템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알람 상태(go to alarm status)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알람 에이전트(alarm agent)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설정된 알람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도 9j - 도 9l을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 기능성 아이템의 구조 및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메시지 기능성 아이템(이하 우편함 아이템이라 칭함)은 휴대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 메시지 중에 확인하지 않은 문자메시지의 개수를 표현하는 아이템이다. 여기서 상기 도 9j는 정상모드에서 표시되는 기본 우편함 아이템 이미지이며, 상기 정상모드에서 문자메시지가 착신되면 도 9k와 같이 애니메이션 우편함 아이템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성모드가 되면, 휴대단말기는 도 9l과 같이 상기 우편함 아이템을 크게 표시하면서 미확인된 메시지의 수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미확인 메시지의 표시는 텍스트 및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기능성 아이템의 텍스트 표현은 텍스트 포맷 1(text format 1) 및 텍스트 포맷 2(text format 2)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포맷 1은 미확인 메시지(new message)를 표현하며, 텍스트 포맷 2는 미확인 메시지/총 메시지(new message/total message)를 표현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우편함 아이템을 표현할 때, 상기 우편함 이미지의 표시 위치에 따라 텍스트 표현은 우편함 아이템의 좌측 또는 우측에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도 9l와 같이 우편함 아이템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시지함 이동(go to inbox)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착신 메시지함(inbox)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의 생동감 있는 바탕화면을 만들기 위한 아이템으로, 캐릭터 하우스에서 아이템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며, 아이템의 특징에 따라 이동 경로가 결정된다. 도 10a는 이동형 아이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b는 상기 이동형 아이템의 표현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c는 이동형 아이템들이 겹쳐질 때의 표현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a - 도 10b를 참조하면, 캐릭터 하우스에 포함되는 이동형 아이템은 도 10a와 같이 동물 또는 이동할 수 있는 물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이동형 아이템들은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이동되는 경로 및 시간들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형 아이템은 상기 도 10b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설정된 경로를 각각 설정된 시간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형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 정보에 저장된 위치에서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며, 좌우 및(또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아이템은 랜덤한 속도와 확률로 이동 및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상기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형 아이템들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이동형 아이템들의 표시 우선순위(depth)를 설정하고, 이 우선순위에 따라 이동형 아이템들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형 아이템들은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표시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모든 캐릭터 하우스 내의 아이템들은 상기 캐릭터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들이 겹쳐지는 경우, 또는 캐릭터와 겹쳐지는 경우, 이동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이동성 아이템(여기서는 collie)을 표현할 때, 이동성 아이템이 캐릭터보다 아래에 위치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성 아이템을 캐릭터보다 높은 표시 우선순위를 갖도록 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특정 이동성 아이템(예를들면 도 10a의 나비)은 위치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성 아이템은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면서 설정된 속도(예를들면 5pixel/sec)로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 밖으로 사라진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나타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설정된 속도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성 아이템은 이동 중에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다른 아이템 또는 캐릭터와 겹쳐지는 경우에는 각각 설정된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 또는 캐릭터를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도 10c와 같이 캐릭터하우스 내에서 캐릭터 위치 보다 낮은 위치에서 이동되는 이동성 아이템인 경우에는 상기 캐릭터의 표시 우선순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이동성 아이템을 가장 높은 표시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장식용 아이템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장식적인 요소를 극대화하기 위한 아이템으로써, 특별한 기능이 없는 단순한 감상과 인테리어를 위한 아이템을 말한다. 도 11a는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현되는 장식용 아이템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b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장식용 아이템을 표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c는 캐릭터 하우스에 표현되는 특수한 장식용 아이템의 표현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a - 도 11b를 참조하면, 캐릭터 하우스에 포함되는 장식용 아이템은 도 11a와 같이 꽃, 가구 등과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장식할 수 있는 아이템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용 아이템은 상기 도 11b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캐릭터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장식용 아이템들 중에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아이템들이 있다. 상기 도 11c는 상기와 같이 특별한 장식용 아이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트로피 및 클로버 아이템은 게임이나 휴대단말기의 특정한 상태에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써, 구매할 수 없는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트로피 장식용 아이템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게임의 결과를 표시하는 아이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승리한 게임의 횟수에 따라 트로피의 색상 및 종류가 변경되며, 수량에 따라 발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구성하는 캐릭터230, 배경240, 아이템 및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26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항상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캐릭터 하우스는 상기와 같은 일정한 표현 기능 이외에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상황에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예로는 캐릭터의 인사 행동 및 상기 인사 행동시 비정기적으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인사행동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는 특정 시간 대에서 인사 행동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사표현은 캐릭터가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인사 행동을 하며, 이때 비정기적으로 아이템이나 캐릭터 머니를 지급할 수 있다. 도 12는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의 인사행동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는 특정시간에서 인사행동을 할 때 의사전달은 말풍선으로 표현하며, 시간대별로 다른 문구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의 인사 행동의 표현 시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캐릭터의 인사 행동은 1일 기준으로 설정된 횟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회로 가정한다)로 표현된다. 상기와 같이 4회로 가정하는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은 아침(08:30 - 09:30), 점심(12:30 - 13:30), 저녁(17:30 - 18:30), 밤(23:30 - 00:30) 등과 같이 4개의 시간대에서 각각 1번씩 나타난다. 이때 인사행동을 하는 시간 대에서 휴대단말기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캐릭터 하우스를 표시하는 상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시간대에서의 인사행동은 하지 않는다. 즉, 휴대단말기가 대기 상태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예를들면 폴더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폴더 온, 슬라이드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온 등과 같은 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캐릭터 하우스는 표시되지 않으며, 따라서 해당 시간대에서의 캐릭터 인사행동도 하지 않는다. 상기 캐릭터 인사 행동은 일정시간(예를들면 10초 정도) 유지된 후에 사라진다. 또한 상기 인사행동을 하는 상황에서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예를들면 전화발신,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키 입력 등)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이 일정시간(예를들면 3초 정도) 유지된 경우에는 해당 시간대에서 캐릭터 인사 행동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상기 시간(3초 정도)을 유지하지 못한 인사행동을 한 경우에는 다시 캐릭터 하우스가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인사행동을 다시 하도록 한다. 상기 인사행동은 시간대별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예는 하기 <표 2>과 같이 할 수 있다.
구분 시간대 텍스트
아침 08:30 - 09:30 Hello!
점심 12:30 - 13:30 Good ∼
저녁 17:30 - 18:30 Bye ∼
23:30 - 00:30 See U ∼
또한 상기와 같이 캐릭터 인사행동을 할 때 휴대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의 발생 확률은 인사행동의 횟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로 정도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가 포함된 인사행동 시간대에서 휴대단말기가 인사행동을 표현하지 못하면(즉, 해당 시간대에서 휴대단말기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이벤트는 소멸될 수 있다.
도 13은 캐릭터 인사행동시의 캐릭터 표현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인사행동시 이벤트 표현은 말풍선 형태의 텍스트로 표현되며, 선물에 대한 텍스트 표현은 투명도가 30% 정도인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물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도 13과 같이 이벤트와 함께 표현하며, 이때 상기 선물은 캐릭터 하우스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사 행동 이벤트시 선물은 캐릭터 머니나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이템 및 배경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 꾸미기를 선택 및 표시 위치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화면표시모드가 되면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화면표시모드는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idle)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모드시 상기 제어부110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143에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원 절약을 위해 화면을 표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에서 폴더를 온하거나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43에 설정된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 표시모드는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43에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상태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13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데,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는 세팅 어플리케이션(setting application)에서 설정값을 가져오며, 이때의 설정 값은 캐릭터 하우스 기능을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온/오프 및 캐릭터 정보 표시 온/오프 등의 기능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정보가 캐릭터 하우스 기능을 사용하는 정보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후의 319단계 - 327단계를 수행하면서 선택된 캐릭터 하우스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하우스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일반 배경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캐릭터하우스 기능이 온 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는 현재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캐릭터 하우스의 정보를 가져오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는 배경, 아이템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경정보는 배경 ID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 정보는 아이템 ID 및 아이템의 표시 위치(X,Y 좌표)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아이템들의 표시위치가 겹쳐진 경우에는 상기 아이템 정보 값은 표시 우선순위(depth) 순서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 정보들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시되는 배경 및 아이템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아이템들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321단계 - 325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아이템들 및 캐릭터를 표현한다. 상기 도 14에서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순서가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순서로 표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캐릭터 하우스이 표현 순서는 바뀌어 표현되어도 상관없다. 즉, 상기 표현 순서가 배경, 캐릭터, 아이템의 순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아이템, 배경, 캐릭터의 순서로 표현할 수 있고, 상기 캐릭터, 배경, 아이템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캐릭터, 아이템, 배경의 순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순서는 어떤 구성을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321단계 - 325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표시부143에는 캐릭터 하우스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이벤트(예를들면 키 입력 등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선택)를 수행하거나 또는 대기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27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표시 종료를 감지하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을 중단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지 않는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다른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당하는 이벤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는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또는 메시지 송신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43에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가 표현되는 캐릭터 하우스의 일부 영역을 투명율 100%로 하여 메시지 표시 창을 형성하고, 상기 메시지 창에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투명율을 높이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시에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상기 메시지를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상태에서 다른 이벤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321단계 - 325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표시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5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61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ID를 확인하고, 363단계에서 상기 배경 ID가 0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배경 ID가 0이라는 의미는 캐릭터 하우스에 배경화면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이런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일반 배경화면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36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65단계에서 일반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배경화면이 없는 경우에는 배경화면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화면 ID가 0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10은 캐릭터 하우스에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이 있음을 감지하고, 상기 배경 ID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억세스하여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으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배경화면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6과 같은 배경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배경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표현은 시간대별로 복수의 배경 이미지들을 구비하고, 현재의 시간에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표현은 시간대에 관계없이 하나의 배경 이미지를 구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36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71단계에서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를 억세스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시간대별로 변경되는 배경화면이 아닌 경우, 상기 367단계 - 379단계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366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이미지를 사용함을 인식하고 371단계에서 상기 배경 ID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현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 ID가 시간대 별로 각각 다르게 표현하는 배경인 경우, 현재의 시간을 분석하여 해당 시간대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표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경이 시간대별로 다르게 표현되는 배경의 표현 절차를 살펴보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366단계에서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배경 이미지임임을 확인하면, 367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을 확인하는 이유는 상기 배경 이미지 표현시 시간대에 설정된 배경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시간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침, 낮(오후), 저녁(밤)의 3가지 시간대로 표현하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현재 시간이 아침(06:00 - 12:00) 시간대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69단계 및 371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도 5a와 같은 아침 시간대의 배경 이미지를 억세스하여 표현하며, 현재 시간이 낮(12:00 - 18:00) 시간 대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73단계 및 375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도 5b와 같은 낮 시간 대의 배경 이미지를 억세스하여 표현하고, 현재 시간이 밤(18:00 - 06:00) 시간 대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77단계 및 379단계를 수행하면서 밤 시간 대의 배경 이미지를 억세스하여 표현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기 배경이미지가 시간대 별로 다른 복수으의 배경 이미지들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110은 배경 표현시 사용자가 설정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ID를 확인하고, 현재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배경 ID의 해당 시간대 배경이미지를 억세스하여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간대별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이미지를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 상기한 방법과 같이 각 시간대 별로 배경 이미지들을 구비하는 방법 이외에, 상기 배경 이미지의 명암을 다르게 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시간대별로 상기 배경 이미지의 색상 및 명암을 다르게 하여 시간의 경과를 표현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아이템의 표시 절차를 살펴본다.
도 16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아이템을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6은 상기 아이템 표시 과정에서 도 7b와 같은 캐릭터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정보 표시는 상기 도 15와 같은 배경 표시 과정에서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도 19와 같은 캐릭터 표시 과정에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6과 같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릭터 수치정보를 표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의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캐릭터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캐릭터 수치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감정 이모티콘 및 텍스트의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1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에서 캐릭터수치정보 값을 표현하는 기능이 설정되었는가(캐릭터 정보표시 온) 확인하며, 상기 캐릭터 정보 표시 온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0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수치정보를 확인한 후, 407단계에서 도 7b의 캐릭터 감정모드 표시영역263에 상기 캐릭터 수치 정보에 해당하는 감정 이모티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감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5가지 감정모드(happy, normal, angry, sad, tired)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도 7b의 263 영역에 표시되는 캐릭터 감정 이모티콘은 도 8과 같은 감정 이모티콘들 중에서 해당하는 감정모드의 이모티콘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09단계에서 상기 도 7b의 캐릭터 상태 표시 영역265에서 현재의 캐릭터 상태에 따른 텍스트를 표시하며, 411단계에서 상기 도 7b의 캐릭터 수치정보 표시영역267에 각 캐릭터 수치(SQ, HQ, IQ, EQ)들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수치값은 각 캐릭터 수치에 정해진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정보 표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수치들을 확인하여 감정모드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감정모드에 따른 감정 이모티콘을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 수치에 따른 상태를 결정하여 캐릭터 상태를 텍스트로 표현하고, 각 캐릭터 수치들을 그래프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수치에 따른 캐릭터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는 도 7a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의 특정 위치(여기서는 좌 상단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표현되는 형태는 도 7b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수치 정보 표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릭터 수치 정보의 표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 정보 표시 기능을 설정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3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405단계 - 411단계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 상기 도 7b와 같은 캐릭터 수치 정보에 따른 캐릭터 정보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1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에서 아이템들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에서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아이템 ID 및 표시 위치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템은 이동형 아이템, 기능성 아이템 및 장식용 아이템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아이템들은 표시 위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아이템들이 겹쳐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상기 아이템들이 겹쳐진 경우 맨 밑에 위치된 아이템(depth가 가장 낮은 아이템)들부터 표시하기 시작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순서에 상관없이 표시한다. 즉, 아이템이 겹쳐져 표시되는 경우, 맨 밑에 표시될 아이템부터 맨위에 표시될 아이템까지 순차적으로 표시하므로, 결과적으로 아이템들이 겹쳐져 표시될 때 맨위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완전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겹쳐진 아이템들의 표현이 종료되면, 이후에는 아이템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414단계에서 아이템을 선택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417단계 또는 423단계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종류를 확인한 후,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이동형 아이템이면 419단계에서 상기 이동형 아이템을 표현하고, 기능성 아이템이면 425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성 아이템을 표현하며, 장식용 아이템이면 42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장식용 아이템을 표현한다. 이후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 정보에서 다음에 표시할 아이템을 선택한 후 상기와 같은 아이템 표현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아이템 정보들을 억세스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아이템의 표현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아이템 표시 과정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아이템 표현은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상기 이동성 아이템, 기능성 아이템 및 장식용 아이템의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도 17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31단계에서 상기 아이템 ID에 따른 이동형 아이템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형 아이템 정보는 아이템 ID(item ID), 아이템이 다음 위치로 변경하기 위한 인터벌 시간(sec), 아이템이 다음 위치로 변경할 X축 거리, 아이템이 다음 위치로 변경한 Y축 거리, 그리고 상기 아이템이 표현될 초기 위치 정보들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 위치 정보는 하기 <표 3>과 같은 8개의 위치들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하기 <표 3>에서는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초기 표현 위치가 LCD의 끝 부분에서 시작하여 이동하는 경우(즉, 표시부143의 네 변 또는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성 아이템은 상기 표시부143의 임의 위치(X= 표시부143 내의 임의 위치, Y=표시부 143 내의 임의 위치)에서 이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초기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1. (X=0) 2. (X=LCD_X_MAX) 3. (Y=0) 4. (Y=LCD_Y_MAX) 5. (X=0, Y=0) 6. (X=0, Y=LCD_Y_MAX) 7. (X=LCD_X_MAX, Y=0) 8. (X=LCD_X_MAX, Y=LCD_Y_MAX)
상기 이동형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433단계에서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초기 표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 위치에 아이템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며, 435단계 및 445단계를 수행하면서 다음 위치에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인터벌 시간동안 상기 아이템의 애니메이션을 유지한다. 이후 상기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37단계에서 아이템이 이동할 다음 위치(X,Y)를 계산하며, 439단계에서 아이템이 표시될 다음 위치가 표시부143의 표시범위 내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아이템이 표시될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41단계에서 상기 아이템을 다음 표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44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아이템의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아이템의 다음 표시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 밖이면 상기 아이템이 표시부143 내에서 이동을 완료한 상태이므로, 443단게에서 상기 아이템의 초기화 위치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킨 후, 상기 433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성 아이템의 경우, 상기 아이템이 표시될 초기 위치가 상기 <표 3>과 같이 설정되며, 상기 아이템이 이동하는 인터벌 시간 간격 및 상기 인터벌 시간 간격으로 이동할 X 및 Y축의 거리 등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성 아이템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아이템의 초기화 위치에서 아이템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설정된 인터벌 시간이 되면 상기 설정된 X 및 Y축 거리에 의해 상기 아이템이 이동할 다음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다음 표시 위치로 아이템을 이동시켜 아이템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아이템의 이동시간은 상기 인터벌 시간 및 상기 X 및 Y 축 이동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동 방향은 상기 X 및 Y 축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인터벌 시간 간격이 짧고 상기 X 및 Y축 거리가 크면 상기 아이템은 빠르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인터벌 시간 간격이 길고 상기 X 및 Y축 거리가 작으며 상기 아이템은 느리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X 및 Y축 거리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아이템의 이동 방법은 수평 이동, 수직이동 및 대각선(사선 이동을 포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아이템의 이동하는 거리(X, Y축 거리)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10a는 캐릭터 하우스에서 표시할 수 있는 이동성 아이템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0b는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선택된 이동성 아이템들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성 아이템들은 상기 도 17과 같은 절차로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 종료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 종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와 다른 시간에 종료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시 종료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시 종료 전에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 종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어 캐릭터 하우스의 표시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 종료 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4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를 종료한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 -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기능성 아이템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8a-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51단계에서 아이템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우편함 아이템, 알람 아이템 및 메모리 아이템의 3가지 종류로 가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기능성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기능성 아이템이 우편함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55단계에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표시부143의 위치에 상기 우편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5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미확인된 문자 메시지의 개수를 확인하며, 상기 미확인된 메시지의 수가 0이면 우편함 이미지만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미확인된 메시지가 1개 이상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5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61단계 - 467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미확인 메시지의 수를 상기 우편함 이미지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상기 미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우편함 아이템 이미지에 미확인 메시지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편함 이미지에 말풍선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말풍선 영역 내에 엽서 이미지 및 미확인된 메시지의 수를 표시하는 숫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43에 우편함 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미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위치를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16단계 - 467단계에서 상기 우편함 이미지가 표시되는 우측 및 좌측의 표시 공간을 확인한 후, 상기 우측에 여유가 있으면 우편함과 함께 우측에 상기 미확인 메시지의 수를 표시하며, 상기 우편함의 좌측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미확인 메시지를 상기 우편함 이미지의 좌측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종류가 알람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6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7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정보들을 확인한다. 상기 알람 정보는 상기 알람 아이템이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될 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47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 아이템 이미지만 표시하고 리턴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알람시간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75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들 중에서 가장 빠른 시간의 알람시간을 억세스하며, 상기 알람 아이템 이미지를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알람 아이템의 이미지가 시계 모양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알람 아이템 이미지의 시간을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477단계 - 도 48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알람 아이템이 표시되는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알람 아이템의 우측 영역에 상기 알람 시간 텍스트를 표시할 공간이 있으면 알람 아이템 및 알람 설정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좌측 영역에 알람 시간 텍스트를 표시할 공간이 있으면 알람 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알람 아이템의 좌측 영역에 상기 알람시간 텍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은 모닝콜, 스케듈, 예약 등의 모든 알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된 알람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에서 설정된 종류의 알람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상기 알람 시간 텍스트는 YYYY/MM/, HH/MM의 형태로 표시하며, 상기 알람 아이템이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알람 아이템의 우측 또는 좌측에 알람시간 텍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알람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장 빠르게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하며, 이때 상기 알람 시간은 알람 시간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알람 아이템의 시계 이미지에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알람 아이템의 시계이미지에 알람시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 시간 텍스트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이 메모리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6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8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에서 메모리 아이템의 표시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부143에 상기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메모리의 전체 크기 및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의 크기를 확인한 후, 487단계 - 49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메모리의 전체 크기 및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의 크기를 표시한다. 상기 487단계 - 49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의 우측에 표시공간이 있으면 상기 메모리 정보를 우측에 표시하고, 상기 좌측에 표시 공간이 있으면 상기 메모리 정보를 좌측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도 1의 메모리130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정보는 게이지 바(gauge bar)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지 바는 상기한 바와 상기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가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메모리 아이템 이미지의 우측 또는 좌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지 바는 상기 메모리의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의 사용량이 일정 비율(약 9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진한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성 아이템을 표현하는 경우, 먼저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표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43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기능성 아이템에서 표현하는 정보를 상기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정보를 표현할 때 상기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아이템 이미지의 우측 및 좌측 표시 공간을 확인하여 상기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함께 표현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정보들을 텍스트 또는 게이지 바 등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에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 정보들의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 아이템 정보의 텍스트는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8c -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기능성 아이템을 표현하는 다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8c- 도 18d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단계에서 아이템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우편함 아이템, 알람 아이템 및 메모리 아이템의 3가지 종류로 가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기능성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우편함, 알람 및 메모리 아이템을 표시할 때 표시할 아이템 정보가 있으면, 해당 아이템을 활성화시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 후 설정된 팝업 표시시간에서 해당 기능성 아이템 및 정보를 팝업 이미지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표시순서는 우편함, 알람 및 메모리 기능성 아이템의 순으로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상기 기능성 아이템이 우편함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7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55단계에서 미확인된 문자 메시지의 개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미확인된 메시지의 수가 0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5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43에 도 9j와 같이 빈 우편함 이미지만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67단계에서 빈 우편함을 표시하여 현재 미확인된 메시지가 없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미확인 메시지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5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59단계에서 상기 도 9k와 같은 우편함 이미지를 활성화시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다. 이후 팝업 표시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63단계에서 도 9l과 같이 팝업이미지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팝업 이미지는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6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팝업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고 리턴한다.
두 번째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이 알람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77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73단계에서 설정된 알람 정보들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알람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7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43에 도 9g와 같이 알람 이미지만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85단계에서 알람 이미지만 표시하여 현재 설정된 알람이 없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알람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7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77단계에서 상기 도 9h와 같은 알람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다. 이후 팝업 표시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7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81단계에서 도 9i과 같이 팝업이미지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팝업 이미지는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8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팝업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고 리턴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팝업 윈도우 표시는 알람을 표시할 시간을 고려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은 매일 실행되는 알람(예를들면 morning call 등)이 아니라 스케줄, 할 일(to do) 등과 같이 날짜 및 시간 등이 설정된 알람이라고 가정하며, 이런 경우 해당 날짜의 6시간 전부터 표시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이 메모리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78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87단계에서 현재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의 잔량이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8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43에 도 9d와 같이 메모리 이미지만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99단계에서 현재 메모리의 잔량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임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78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91단계에서 상기 도 9e와 같은 알람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다. 이후 팝업 표시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9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95단계에서 도 9f와 같이 팝업이미지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팝업 이미지는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9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팝업 이미지의 표시를 종료하고 리턴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아이템의 표시는 상기 메모리 잔량에 상관없이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메모리 잔량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메모리 잔량을 팝업 윈도우로 표시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표시할 때, 상기 도 18c - 도 18d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기능성 아이템들을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아이템들은 동시에 표시하지 않고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기능성 아이템의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며, 활성화하여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해당 아이템을 애니메이션 표시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아이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윈도우를 표시하며, 이때 상기 팝업윈도우는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된다. 예를들어 모든 기능성 아이템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먼저 우편함 아이템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 후 팝업 윈도우로 표시하고, 이어서 상기 알람 아이템을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 후 팝업 윈도우로 표시하며, 이후 상기 메모리 아이템을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한 후 팝업 윈도우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팝업 윈도우로 표시된 기능성 아이템은 각각 팝업 윈도우 표시 후 상기 도 9j, 도 9g 및 도 9d와 같은 아이템 이미지로 캐릭터 하우스 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용 아이템의 표시 방법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 정보에서 상기 장식용 아이템 정보를 확인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장식용 아이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템 ID 및 표시 위치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아이템 ID에 해당하는 상기 장식용 아이템 이미지를 억세스한 후, 상기 장식용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확인하여 도 11a와 같이 설정된 위치에 장식용 아이템을 표시한다. 상기 장식용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의 심미안적인 요소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템으로써, 특별한 기능이 없는 장식용 아이템이다. 상기 장식용 아이템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살펴본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는 크게 3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하나는 현재의 시간을 확인하여 설정된 시간 대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인사행동을 할 수 있으며, 그 두 번째는 비 정기적으로 상기 인사 행동 수행시 인사 이벤트를 수행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특별한 선물을 할 수 있고, 그 세 번째는 캐릭터 하우스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상태 및(또는) 감정에 따른 동작 및 애니메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상기 세 번째의 캐릭터 표현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상기 인사행동 및(또는) 상기 인사 이벤트는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사행동, 인사이벤트 및 캐릭터 행동 표현등의 3가지를 모두 표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를 포함하는 아이템 및 배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여기서는 대기모드)에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경우, 상기 대기모드에서 표시부143을 구동하는 상태(예를들면 folder on, sliding on 등)에서 대기화면이 표시되는 시간동안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도 중단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특정 이벤트(즉, 메시지 처리 모드 등)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과 함께 메시지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9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1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을 확인하며, 503단계, 513단계, 517단계, 521단계를 수행하면서 현재의 시간이 인사 행동을 하여야 하는 시간대인가 검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가 인사행동을 하는 시간대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루에 4번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은 해당 시간대에서 한번만 표현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503단계, 513단계, 517단계 또는 521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해당 시간대이면, 각각 505단계, 515단계, 519단계 또는 523단계에서 해당 시간대에서 이미지 인사행동을 수행하였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503단계, 513단계, 517단계, 521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해당 시간대의 캐릭터 인사행동을 하여야 하는 시간대가 아니거나 또는 505단계, 515단계, 519단계 또는 523단계에서 이미 해당 시간대의 캐릭터 인사행동을 수행한 경우에는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 절차를 생략하고, 511단계로 진행하여 캐릭터 행동 표현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503단계, 513단계, 517단계 또는 521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인사행동을 하여야 하는 시간대임을 확인하고, 각각 대응되는 505단계, 515단계, 519단계 또는 523단계에서 해당 시간대에서 인사행동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507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저장하고 509단계에서 캐릭터 인사행동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507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저장하는 것은 해당 시간대에서 더 이상 캐릭터 인사행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509단계에서 수행되는 캐릭터의 인사행동 표현 절차는 도 20과 같은 절차로 수행된다.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은 캐릭터 하우스에서 특정 시간대에 인사표현을 하는 기능으로, 인사 표현은 캐릭터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인사하는 형태로 표현되며, 특정시간에 인사말과 더불어 확률적으로 사용자에게 아이템이나 캐릭터 머니를 제공하는 인사 이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캐릭터 인사행동 표현시 531단계에서 저장된 현재 시간대를 확인하고, 533단게에서 현재 캐릭터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535단계에서 캐릭터의 인사 애니메이션을 표현하고, 537단계에서 현재 시간대에 맞는 인사 문구를 확인한 후, 539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인사문구를 상기 캐릭터의 말풍선 형태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인사행동의 표현은 도 1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시 의사 표현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풍선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말풍선 내의 텍스트는 시간대 별로 다른 텍스트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캐릭터의 인사행동을 하는 중에 이벤트 등이 발생되어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을 중단하여야 하는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은 3초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이 3초 이상 유지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은 수행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541단계, 557단계 및 55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이 설정된 시간(여기서는 3초) 이상 유지되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을 수행하는 중에 3초 이내에 휴대단말기의 이벤트 발생 등에 의해 캐릭터 하우스 표현을 중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55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을 중단하고 리턴한다.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은 해당 시간대에서 다시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경우에 재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이 설정 시간(3초)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45단계에서 상기 이벤트 표현 시점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표현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랜덤하게 상기 인사이벤트를 수행한다. 상기 인사 이벤트는 상기 캐릭터 인사표현 횟수의 10% 이내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인사 이벤트가 수행되는 확률은 랜덤 확률로 하여 사용자가 예기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정기적으로 표현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인사 이벤트 표현 시점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54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47단계에서 인사이벤트 표현 절차를 수행한다.
도 21은 상기 캐릭터 인사 행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인사 이벤트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인사 이벤트는 인사 행동시 랜덤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인사 이벤트 표현은 화면 레이아웃과 문구를 제외하면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 표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인사 이벤트 표현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56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선물로 줄 아이템 또는 캐릭터 머니(character money)를 결정하며, 563단게에서 선물로 줄 아이템 또는 캐릭터 머니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565단계에서 현재의 캐릭터 정보를 확인하며, 567단계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며, 569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에 말풍선을 표시하고 상기 말풍선 영역에 이벤트 인사문구를 표시한 후 리턴한다.
상기와 같이 인사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표현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13과 같이 인사 이벤트에 따른 텍스트 및(또는) 사운드와 함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감정모드는 happy로 고정시키며, 선물로 주게 되는 아이템 이미지 또는(및) 캐릭터 머니를 상기 캐릭터와 함께 표현한다. 이때 상기 인사 이벤트 표현 과정에서 제공되는 아이템 이미지 또는(및) 캐릭터 머니의 표현은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에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선물에 대한 텍스트 표현은 투명도 30%인 말풍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47단계에서 상기 도 21과 같은 인사 이벤트 표현 과정을 수행한 후, 또는 상기 545단계에서 인사 이벤트 표현시점이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9단계, 553단계 및 555단계를 수행하면서 설정된 인사행동 표현 시간이 경과될 때 또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이 종료될 때 까지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의 표현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의 표현 시간은 10초 동안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 표현 후 10초가 경과될 때 까지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549단계, 553단계 및 555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 표현을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10초가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12와 같이 표현되는 캐릭터 인사행동의 말풍선 문구 및 캐릭터 애니메이션 동작 표현을 중지하고, 상기 도 19의 551단계로 진행하여 캐릭터 표현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설정된 인사 시간대가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캐릭터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대의 인사행동을 표현한다. 상기 캐릭터 인사표현은 캐릭터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하는 것으로써, 해당 시간대에서 한번만 수행하며, 해당하는 시간대에서 휴대단말기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캐릭터 하우스 표현을 하는 동작이 발생되지 않으면 해당 시간대의 캐릭터 인사행동은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을 하는 중에 랜덤 확률로 인사 이벤트를 수행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예기치 않은 선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사 행동을 하는 중에 상기 선물주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중에 상기 선물주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중에 선물주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를 표현하는 시점에서 상기 선물주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9에서 캐릭터 인사표현 시점이 아니거나 또는 캐릭터 인사표현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511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의 행동을 표현한다. 상기 캐릭터 표현은 도 22 또는 도 22a와 같은 절차로 수행된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의 행동을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2a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상기 캐릭터는 캐릭터 이동 및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캐릭터 애니메이션 표현시 캐릭터의 상태 및(또는) 감정에 따른 텍스트 및 사운드를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도 22b는 캐릭터 하우스에 캐릭터 표현시 사운드 및 텍스트를 표현한 후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현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캐릭터의 생동적인 표현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한가지 방법은 상기 캐릭터를 설정된 애니메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구성하고,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시점에서 상기 캐릭터 이미지들을 연속으로 표현하여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캐릭터를 설정된 경로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전자의 방법은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 표현시 특정 동작(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의 활성 상태를 표현하는 도 9e, 도 9h 또는 도 9k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자의 방법은 캐릭터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이동시간 등을 설정하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 표현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이동경로 및 시간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켜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는 이동의 표현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복수의 이미지들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3은 후자의 방법에 따른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후자의 방법으로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22b는 전자의 방법으로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2a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 표현시 상기 제어부110은 571단계에서 현재의 캐릭터 정보를 확인한 후, 57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표시부143의 X,Y 좌표)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는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 안에서 랜덤하게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의 출현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57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 투명도를 100%로 하여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투명도가 100%인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표시부143에는 상기 도 4a와 같이 배경 및(또는) 아이템 이미지들만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투명도를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켜 상기 캐릭터 이미지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서서히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577단계 및 579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상기 캐릭터 이미지가 서서히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투명도를 10%씩 감소시킨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577단계 및 579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 투명도를 10%씩 감소시켜 캐릭터 이미지를 점차적으로 표시한다(alpha blending effect). 따라서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투명도는 100%, 90%, 80%, ---, 10%, 0%로 감소되면서 도 4b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581단계에서 도 4c와 같이 캐릭터 상태에 따른 사운드 효과를 표현하며, 583단계에서 도 4d와 같이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표현을 하며, 도 4e와 같이 도 4d와 같이 설정된 시간 동안 캐릭터의 상태 및 감정에 따른 텍스트를 말풍선 형태로 표현한 후 상기 캐릭터의 표현을 중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3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경우, 도 4a - 도 4e와 같은 순서로 캐릭터를 출현시키고 상기 출현된 캐릭터에 사운드효과 및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 후 캐릭터의 텍스트 표현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58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 변경 정보를 결정한 후, 589단계 - 55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캐릭터의 이동표현을 위해, 상기 제어부110은 58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변경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캐릭터의 위치변경 정보는 도 23과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변경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1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를 확인하며, 60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형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형식은 3가지 형식(type)을 가질 수 있으며, 3가지 형식은 수직 이동(상하 이동), 수평이동(좌우 이동) 및 대각선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3가지 이동 형식들 중에 하나 이상의 이동 형식을 랜덤하게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5 화소(pixel) 크기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수직(상하) 이동 형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위치에서 상측에 위치되었는가(Y>LCD_Y_MAX/2) 검사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상측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9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0,-5))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출현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하측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1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 위치정보((A,B)=(0,5))를 결정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수평(좌우) 이동 형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위치에서 우측에 위치되었는가(X>LCD_X_MAX/2) 검사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우측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5,0))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캐릭터 출현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좌측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 위치정보((A,B)=(5,0))를 결정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동이 대각선 이동 형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캐릭터 위치 변경정보(A,B)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대각선 이동형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21단계 - 63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캐릭터 출현 위치에서 이동할 캐릭터 위치 변경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대각선 이동 형식의 경우 표시부143의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이동하는 형식,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하는 형식,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으로 이동하는 형식 및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이동하는 형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우측 상단(X>LCD_X_MAX/2, Y>LCD_Y_MAX/2))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21단계 및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를 좌측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5,-5))를 결정한다. 두 번째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우측 하단(X>LCD_X_MAX/2, Y<LCD_Y_MAX/2))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21단계 및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를 좌측 상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5,5))를 결정한다. 세 번째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좌측 상단(X<LCD_X_MAX/2, Y>LCD_Y_MAX/2))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21단계 및 6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31단계에서 상기 캐릭터를 우측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5,-5))를 결정한다. 네 번째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가 좌측 하단(X<LCD_X_MAX/2, Y<LCD_Y_MAX/2))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21단계 및 6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3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를 우측 상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릭터위치 변경정보((A,B)=(5,5))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587단계에서 캐릭터 위치변경정보(A,B)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도 23과 같이 캐릭터의 출현 위치 확인 및 캐릭터의 이동형식을 결정한 후,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 및 상기 캐릭터 이동 형식에 따른 상기 캐릭터 위치 변경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은 상기 캐릭터의 표현이 시작된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상기 이동방향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3가지 이동형식(수직, 수평 및 대각선 이동)들 중에서 랜덤하게 하나의 이동형식이 결정되며, 이동방향은 상기 결정된 이동형식으로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많은 쪽으로 결정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589단계 - 59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결정된 이동형식 및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이동을 표현한다. 상기 캐릭터의 표시 위치 이동은 설정된 시간 단위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1초에 20픽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캐릭터의 위치 변경은 5픽셀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캐릭터의 위치 변경시간은 0.25초가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는 이동 및 애니메이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픽셀 단위 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는 상기와 같이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시간에서 애니메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가 이동하지 않는 시간이면 58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9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캐릭터의 위치 변경시간이 되면 상기 58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91단계에서 다음 변경 시점에서 이동되어야 할 캐릭터의 다음 위치를 계산하며, 상기 캐릭터의 다음 위치는 상기 도 23에서 결정된 (A,B)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593에서 상기 캐릭터가 이동할 다음 위치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 내인가를 검사하며, 상기 표시범위 내이면 59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를 상기 결정된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며 애니메이션 표현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도 4f 및 도 4g와 같이 캐릭터를 설정 시간 단위로 상기 캐릭터를 결정된 이동방향 및 픽셀 단위로 캐릭터를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로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9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571단계로 되돌아가 도 4h와 같은 아이들 화면을 표시하며, 이후 상기 도 4b에서 도 4g와 같은 캐릭터의 해동 표현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동안 반복되어 수행되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9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캐릭터의 행동 표현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도 4f 및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의 대사표현이 사라진 후에 시작되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상하, 좌우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캐릭터의 이동 방향은 상기 캐릭터가 출현된 위치에서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캐릭터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가 큰 쪽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하며, 캐릭터의 이동속도는 1초당 20픽셀 정도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가장자리를 지나 표시부143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면 캐릭터가 표현되지 않는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게 되며, 이후 일정 시간(여기서는 약 2초 정도)이 경과되면 상기 도 4b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2에 따른 캐릭터의 행동 표현은 상기 도 4a - 도 4 g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캐릭터는 5가지의 단계로 표현할 수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는 상기 도 4a 및 도 4h와 같은 아이들 표현 단계로써, 캐릭터 하우스에서 아이템 및 배경이 표시되며, 아직 캐릭터는 표시되지 않는 상태이다. 두 번째 단계는 상기 도 4b와 같은 캐릭터 출현 단계로써, 상기 캐릭터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내의 랜덤한 위치에 나타난다. 여기서 최초 캐릭터가 출현되는 경우,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에 캐릭터의 일부만 표시되는 위치(즉, 표시부143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캐릭터가 일부만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출현은 페이드 인(fade-in) 효과를 주어서 점점 완전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투명도는 100%에서에서 시작하여 상기 투명도가 서서히 감소되는 이미지(alpha blending image)로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상기 도 4c와 같은 사운드 효과를 표현하는 단계로, 상기 캐릭터가 캐릭터 하우스에서 완전하게 표현된 후, 상기 캐릭터의 현재 상태에 따른 고유의 사운드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효과는 반복하지 않고 한번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상기 도 4d와 같이 캐릭터 사운드 효과를 표현한 후 상기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은 상기 캐릭터가 표시부143의 밖으로 이동하여 사라질 때 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5번째 단계는 상기 도 4e와 같이 캐릭터의 상태 및 감정에 따른 텍스트를 표현한다. 상기 캐릭터의 텍스트는 상기 도 4e와 같이 말풍선 영역에 씌여져 표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말풍선 영역은 반투명 형태(약 30% 정도의 투명도를 갖도록 함)로 표현되며, 상기 말풍선 영역에 기록되는 텍스트는 사용자가 읽는 시간을 고려하여 표현하며, 상기 텍스트 표현이 완료되고 약 3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텍스트 표현을 중단한다. 6번째 단계는 상기 도 4f 및 도 4g와 같이 캐릭터의 이동을 표현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이동 방향은 랜덤하게 결정되며,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 및 이동 거리 간격이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설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며,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로 이동될 때 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행동 표현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는 랜덤한 위치에서 출현되므로, 상기 캐릭터가 나타내는 위치는 매번 다른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이동은 이동방향이 랜덤하게 결정되므로, 매번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상태 및 감정에 따른 사운드 및 텍스트들을 복수개로 설정하고, 상기 캐릭터의 사운드 및 텍스트 표현시 이들을 번갈아가면서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 상기 캐릭터 행동 표현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 및 이동방향, 그리고 사운드 및 텍스트 표현이 매번 다른 형태로 표현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캐릭터 행동표현을 보여줄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 행동 표현시 최초 상기 캐릭터를 표현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도 4a - 도 4g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캐릭터가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범위를 벗어난 후 다시 캐릭터를 표현하는 시점에서 부터는 상기 도 4c 및(또는) 도 4e와 같은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 행동표현시 상기 사운드 및(또는) 텍스트 표현은 최초 캐릭터 출현시에 한번만 표현되며, 이후의 캐릭터 행동표현은 캐릭터가 랜덤한 위치에서 출현되어 랜덤하게 결정된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22b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 표현시 상기 제어부110은 651단계에서 현재의 캐릭터 정보를 확인한 후, 65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의 출현 위치는 상기 표시부143의 표시 범위 안에서 특정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표시부143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의 출현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655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 투명도를 100%로 하여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투명도가 100%인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표시부143에는 상기 도 4i와 같이 배경 및(또는) 아이템 이미지들만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투명도를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켜 상기 캐릭터 이미지가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서서히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은 657단계 및 659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상기 캐릭터 이미지가 서서히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투명도를 0.5초 간격으로 25%씩 감소시킨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657단계 및 659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2초 동안 상기 캐릭터의 이미지 투명도를 25%씩 감소시켜 캐릭터 이미지를 점차적으로 표시한다(alpha blending effect). 따라서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투명도는 100%, 75%, 50%, 25%, 0%로 감소되면서 도 4j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에 표시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은 661단계에서 도 4c와 같이 캐릭터 상태에 따른 사운드 효과를 표현하며, 583단계에서 도 4l과 같이 설정된 시간 동안 캐릭터의 상태 및 감정에 따른 텍스트를 말풍선 형태로 표현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의 텍스트 표시 시간은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1.5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의 사운드 및 텍스트 효과를 표현한 후, 상기 제어부110은 665단계 - 669단계를 에서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며, 상기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상기 캐릭터가 캐릭터 하우스에서 완전히 사라질때 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경우, 캐릭터를 출현시키고 상기 출현된 캐릭터에 사운드효과 및 텍스트 표현을 수행한 후,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하우스 표현은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 즉, 대기상태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먼저 캐릭터 하우스를 구성하여 배경 및 아이템들을 설정된 표시 위치에 표시하고, 이후 상기 캐릭터를 표현한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 안에서 캐릭터는 캐릭터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캐릭터의 상태 및(또는) 감정에 맞는 사운드 및(또는) 텍스트 등을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상기 캐릭터는 표시부143 상에서 랜덤하게 이동하면서 애니메이션 동작을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배경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배경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로인해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서의 시간 변화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하우스에 표현되는 상기 아이템은 이동형 아이템, 장식용 아이템 및 기능성 아이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휴대단말기 상의 시스템 정보를 표현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식용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에 특정 이미지를 추가하여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현에 심미안적인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동형 아이템은 캐릭터 하우스에 이미지를 이동시켜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현을 역동적으로 꾸밀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하루의 특정 시간 대들에서 캐릭터가 적절한 멘트와 함께 휴대단말기의 인사를 하는 특수한 표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인사 행동시 예기치 않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아이템이나 캐릭터 머니 등의 선물을 제공하므로써, 휴대단말기 사용자에게 특별한 재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할 때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순으로 표현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표현 순서는 바꾸어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 및 이벤트의 표현이 상기 아이템 표현시 수행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캐릭터 인사 행동 및 이벤트의 표현도 배경 또는 캐릭터 표현시 수행하여도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는 캐릭터 하우스의 표시 기능을 설정하는 모드,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생성 및 변경하는 모드,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모드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모드 및 캐릭터하우스 편집모드는 휴대단말기의 메뉴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해당 모드 실행키(soft key 포함)에 의해 선택되어 수행되는 모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시모드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 기능이 설정되면,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수행된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메뉴 또는 해당 모드 실행키에 의해 캐릭터 하우스 설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1단계에서 캐릭터 하우스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들을 표시하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기능들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모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캐릭터 하우스 표현을 온/오프 시키는 기능, 캐릭터 수치정보의 표현을 온/오프하는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현을 오프하는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 표시 모드를 수행하지 않게되며, 상기 캐릭터 수치정보 표시를 오프하는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도 7b 및 도 8과 같은 캐릭터 수치 정보 표시 기능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 모드가 캐릭터 인사 표현 기능의 온/오프 설정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인사표현 기능을 오프하는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12와 같은 캐릭터 인사행동 표현 및 도 13과 같은 인사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또는 해당 모드 실행키에 의해 캐릭터 하우스 편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7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추가, 삭제 및 변경하는 편집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편집 절차를 표시하는 상태도(state diagram)이다.
상기 도 25를 참조하면, 캐릭터 하우스 설정 초기화면 810에서는 캐릭터 하우스를 삭제하거나 또는 디폴트 캐릭터 하우스를 세트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 설정 초기화면810에서 새로운 캐릭터 하우스(new character house)를 선택하거나 캐릭터하우스 편집(edit character house)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태를 캐릭터 하우스 편집 초기화면820으로 천이시킨다. 상기 하우스 편집 초기화면에서는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및 아이템 편집을 위한 각 화면 830-970 들로 천이하여 배경 또는 아이템들을 추가, 삭제 및 편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및 아이템의 추가, 삭제 및 편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6은 캐릭터하우스 초기설정화면810 및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 820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7은 상기 도 26과 같은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에서 캐릭터하우스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캐릭터하우스 초기설정화면810에서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27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캐릭터하우스를 표시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복수의 캐릭터 하우스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캐릭터하우스들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는 표시부143의 한 화면에 4개까지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때 3개 이하의 캐릭터하우스들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슬롯(empty slot)으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도 27에서 비어있는 슬롯에서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하우스로 선택하는 기능(set default), 캐릭터하우스를 삭제하는 기능(delete character house) 및 캐릭터하우스 편집기능(edit character house)을 선택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비어있지 않은 슬롯에서는 새로운 캐릭터하우스(new character house)를 생성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비어있는 슬롯에서 OK를 누르면 새로운 하우스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전에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는 슬롯(즉, 캐릭터하우스가 표시되는 슬롯)에서 OK를 누르면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하우스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7과 같은 화면에서 캐릭터하우스의 이동은 방향키(navigation key)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27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옵션 메뉴(option menu)를 하기 <표 4>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비어있는 슬롯인 경우 2. new character house
비어있는 슬롯이 아닌 경우 1. set default 3. edit character house 4. delete character house
도 28 및 도 29a - 도 29c는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에서 캐릭터하우스의 온/오프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8 및 도 29a - 도 29c를 참조하면, 시스템 세팅에서 캐릭터하우스의 표현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43에 도 29a와 같이 캐릭터하우스들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임의 슬롯을 선택(set default, new character house, edit character house)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43에 도 29b와 같이 선택된 슬롯을 표시하면서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현한다. 이때 사용자가 캐릭터 하우스 표현 기능의 사용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을 온시키고,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으로 천이하면서 도 29c와 같이 선택된 캐릭터하우스를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을 실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43에 캐릭터하우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사용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 기능을 온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메뉴 또는 모드실행키에 의해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 온/오프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 표현시 상기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이 오프된 상태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의 사용을 권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0은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에서 배경 및 아이템들을 선택 및 편집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시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화면8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810에서 새로운 캐릭터하우스(new character house)를 선택하거나 또는 편집 캐릭터하우스(edit character house)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에서는 배경 및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option menu: 1. background, 2. new item)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새로운 캐릭터하우스(new character house) 메뉴 실행을 한 경우에는 배경이 기본적으로 선택되어진 상태로 표시되며, 아이템들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시작하게 된다. 상기 캐릭터하우스 초기편집모드820에서는 상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 가이드가 표시되며, 옵션메뉴를 누르면 상기한 바와 배경 및 아이템 편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도 32는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에서 배경선택화면830으로 천이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3a 및 도 33b는 배경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2 및 도 33a - 도 3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하우스 초기화면820의 옵션 메뉴에서 배경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배경선택화면830으로 천이한다. 이때 상기 배경선택화면830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33a와 같이 배경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 33a와 같이 배경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배경 이미지들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도 33a와 같이 표시되는 배경이 원하는 배경이미지이면 사용자는 선택키(OK 키)를 누르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배경선택화면830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로 천이하고, 상기 표시부143에는 상기 도 33a 및 도 33b와 같이 배경이 설정된 캐릭터하우스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하우스 편집모드에서 배경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에서 보유하고 있는 배경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배경화면 표시시 배경의 이름을 함께 표시한다.그리고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은 대응되는 배경을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확인키(OK키) 입력시 표시중인 배경을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으로 선택하고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모드로 리턴한다.
도 34는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에서 아이템을 추가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5a 및 도 35d는 상기 아이템을 추가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4 및 도 35a - 도 35d를 참조하면, 상기 도 35a와 같이 표시되는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의 옵션메뉴에서 아이템 추가(new item)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b와 같이 표시되는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으로 천이한다. 상기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에서는 상기 도 35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며, 이때 사용자가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들을 표시하며, 이때 상기 표시부143에는 해당하는 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아이템 이름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키(OK 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의 표시 상태로 천이하며, 이때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35c와 같다. 이때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에서는 도 35c와 같이 표시부143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에 대응되는 번호를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단축이동화면은 상기 추가되는 아이템 이동시 사용자가 선택하는 분할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에서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43의 분할영역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을 표시하는 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d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부143의 분할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위치시키며, 미세조정이 가능함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사용자는 상기 분할영역에 위치된 아이템의 표시위치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 조정은 방향키(navigation key)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35d와 같이 표시부143의 지정된 분할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을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므로서, 상기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표시되는 도 35d와 같은 표시부143의 화면에는 상기 선택 아이템의 표시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조정 후 상기 아이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아이템키(#키) 및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으로 되돌아가 상기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다른 분할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단축이동키(*키) 등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에서 상기 옵션 메뉴에서 추가아이템(add item)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을 표시하는 상태로 되돌아가 다음에 추가할 아이템의 선택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단축이동키(*키)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을 표시하는 상태로 되돌아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이동(fast move)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이 표시되는 표시부143의 표시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템을 겹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겹쳐서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도 35d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의 메뉴에서 옵션키를 누르면 되며, 상기 옵션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43에서 표시되는 아이템의 앞으로 아이템을 보내는 메뉴(send to front or volume up key), 상기 표시되는 아이템의 뒤로 아이템을 보내는 메뉴(send to back or volume down key) 및 메시지조정 메뉴들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메뉴 중에 아이템을 겹치기 위한 메뉴(send to front, send to back or volume up/down key)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현재의 선택된 분할영역에 위치된 아이템의 앞 또는 뒤에 겹쳐지도록 상기 선택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는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축이동키(*키)를 누르면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으로 이동하고, 선택아이템키(#키)를 누르면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으로 이동하며, 옵션 메뉴에서 추가 아이템(add item)을 선택하면 상기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으로 이동하고, 상기 옵션메뉴에서 아이템 삭제(delete item)를 선택하면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으로 이동하며, 상기 옵션메뉴에서 배경을 선택하면 상기 배경선택화면 83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할 수 있는 기능은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112008061319574-PAT00001
도 36은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 840의 표시화면에서 편집할 단축아이템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7a - 도 37c 는 각 화면들에서 상기 표시부143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6 및 도 37a - 도 37c를 참조하면, 상기 편집할 아이템의 선택은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은 도 37a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화면820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도 37c와 같은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20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들에는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는 최대 10개의 아이템들을 포함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캐릭터 하우스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의 번호는 0-9 까지의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에서 선택아이템 키(#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으로 이동하여 도 37b와 같이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에서 편집할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번호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번호의 아이템을 도 37c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도 37c와 같이 표시되는 선택된 아이템의 표시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으며, 빠른 이동(단축이동)을 수행하고자 하면 단축이동키(*키)를 누르면 되며,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은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 35c와 같은 표시부143에 상기 아이템을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한 분할영역을 표시하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하우스의 편집은 휴대단말기가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시할 캐릭터하우스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편집시 배경 및 아이템의 추가, 삭제 및 위치 변경등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 820은 휴대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캐릭터하우스들을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특정모드에서 표시할 수 캐릭터하우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캐릭터하우스를 삭제할 수 있고, 캐릭터 하우스를 편집하는 상태로 천이할 수 있으며, 비어있는 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슬롯에 새로운 캐릭터하우스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 820은 휴대단말기에서 표현되는 캐릭터하우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편집하는 모드로 천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을 선택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배경을 선택하는 배경 선택화면830은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10 또는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의 옵션 메뉴에서 배경을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배경 선택화면830에서 도 33a와 같이 배경이미지 및 배경 이름을 표시하며, 좌, 우방향키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배경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되는 배경 중에서 원하는 배경이 선택하여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아이템을 추가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아이템을 추가하는 동작은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 및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수행된다. 즉, 상기 캐릭터하우스 편집초기화면820의 옵션메뉴에서 새아이템(new item)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가아이템 선택화면860에서 상기 도 35c와 같이 아이템 이름과 함께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하며, 이때 상기 표시되는 아이템의 변경은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c와 같이 표시되는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으로 이동한다.이때 상기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c와 같이 표시부143의 표시 영역을 다수의 분할영역(여기서는 9개로 표시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음)으로 표시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 35c와 같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분할영역의 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도 35d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으로 이동한다.그러면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도 35d와 같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으로 이동된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이 표시위치를 미세조정하여 상기 표시부143에서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추가할 아이템이 더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 860으로 이동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아이템을 추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에서 구비하는 아이템들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아이템 선택시 표시부에 상기 아이템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할 영역들을 표시하고, 상기 분할영역 선택시 해당 영역으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킨 후 이동된 분할영역 내에서 미세 조정되어 최종 아이템 표시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된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 및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을 표현하면서 아이템을 편집한다. 즉, 상기 편집아이템 단축선택화면840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도 37b와 같이 상기 캐릭터하우스 내에 포함된 아이템드의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번호 선택시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편집아이템으로 선택한 후, 상기 선택아이템 편집화면850 및 아이템 단축이동화면870을 표시하면서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를 편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은 도 24의 719단계 및 721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하우스 표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캐릭터 하우스 표현 시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수치, 상태 및 감정모드 등의 표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은 캐릭터 하우스 표현시 캐릭터가 설정된 시간에 휴대단말기에 인사하는 행동 및 인사행동시 랜덤하게 휴대단말기에서 인사 이벤트를 수행하는 동작의 실행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은 도 24의 715단계 및 717단계를 수행하면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아이템 선택 및 상기 아이템들의 위치 등을 편집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하우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배경 및 아이템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런 캐릭터 하우스를 휴대단말기의 한개 이상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캐릭터 하우스들 중에서 원하는 캐릭터하우스를 선택하여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현하는 캐릭터하우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및 아이템들을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편집 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을 삭제,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편집 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아이템의 추가, 삭제, 그리고 상기 캐릭터하우스에서 표시되는 아이템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배경 및 아이템들을 편집하여 원하는 형태의 캐릭터하우스를 생성하고, 상기 캐릭터하우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24의 711 및 71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은 대기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은 현재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시점과 동일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다른 시점에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폴더온 또는 슬라이딩 온 등을 수행하여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43을 최초로 구동시킨 시점이거나 또는 휴대단말기의 이벤트를 수행을 종료한 시점에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이벤트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수신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예를들면 폰북 등)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캐릭터하우스와 함께 상기 메시지 또는 정보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와 함께 메시지 또는 정보들을 표현한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투명도를 상기 메시지 또는 정보들 보다 높게하는(예를들면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투명도 50% 이상, 상기 메시지 또는 정보의 투명도는 0%) 알파 블랜딩(alpha blending) 방식의 표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메시지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창을 만들고 상기 표시창에 메시지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은 설정시간 동안만 유지시키므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711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시점임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3단계에서 현재 휴대단말기에서 설정된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을 수행한다.
상기 도 14의 313단계 - 325단계를 수행하면서 캐릭터하우스를 표현한다. 즉, 캐릭터 하우스 표현 기능이 설정되었는가 검사하며, 상기 캐릭터하우스 표현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정보를 확인한 후, 캐릭터하우스를 표현한다. 이때 상기 캐릭터하우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경, 아이템 및(또는) 캐릭터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배경은 도 15와 같은 절차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경이 시간 경과를 표현하는 배경이면, 상기 캐릭터를 표현하는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여 해당 시간대의 배경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아이템 표현시 도 16과 같은 절차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수치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상기 캐릭터수치정보를 표현하고, 또한 상기 캐릭터하우스에 포함된 아이템종류들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아이템 종류에 대응되는 절차로 아이템들을 표현한다. 이때 상기 아이템 종류가 이동형 아이템이면 도 17과 같은 절차로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으며, 기능성 아이템인 경우에는 도 18과 같은 절차로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도 14에서 캐릭터 표현시 도 19와 같은 절차로 캐릭터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표현시 인사행동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시간을 확인한 후, 도 20과 같은 절차를 인사행동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사행동 표현 중에 인사 이벤트가 당첨되면 도 21과 같은 절차로 인사 이벤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행동표현은 도 22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면, 상기 캐릭터의 위치변경 정보 결정은 도 23과 같은 절차로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 2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하우스를 설정된 기능에 따라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하우스를 표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개념(system overview)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c와 같은 캐릭터 하우스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 도 4n은 휴대단말기의 특정 동작모드에서 표현되는 캐릭터 하우스에서 캐릭터 표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에서 배경을 표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캐릭터 하우스 내에서 캐릭터수치표시부의 표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b는 상기 캐릭터수치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7b의 캐릭터수치표현부에서 표현되는 감정 이모티콘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 도 9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들 중 기능성 아이템들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들 중 이동형 아이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들 중 장식용 아이템 및 장식용 아이템의 표현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에서 캐릭터가 인사행동을 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에서 캐릭터 인사행동시 캐릭터 표현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하우스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도 14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배경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도 14에서 캐릭터 하우스의 아이템을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도 16에서 이동성 아이템의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a - 도 18b 및 도 18c - 도 18d는 도 16에서 기능성 아이템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9는 도 14에서 상기 캐릭터 하우스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0은 도 19에서 상기 캐릭터 인사행동을 표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1은 도 20에서 상기 캐릭터의 인사행동시 랜덤하게 발생되는 인사이벤트 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2a - 도 22c는 도 19에서 캐릭터의 행동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도 22a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변경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하우스의 표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도 24에서 캐릭터하우스의 배경 및 아이템을 편집하는 상태 천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5에서 캐릭터 하우스 설정 초기화면에서 수행되는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도 26에서 표현되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25에서 캐릭터하우스 설정초기화면에서 캐릭터하우스 기능을 온/오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a - 도 29c는 도 28에서 캐릭터하우스 온/오프시 기능 설정시 표시부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5에서 캐릭터하우스 초기편집화면에서의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도 30에서 캐릭터하우스 편집시 표시부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도 25에서 배경 선택시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에서 배경선택시 표시부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도 25에서 아이템 추가시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a - 도 35d 는 도 34에서 아이템 추가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도 25에서 아이템 편집시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a - 도 37c는 도 26에서 아이템 편집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1)

  1.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캐릭터상태 및 캐릭터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및 애니메이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캐릭터정보와, 기능성 아이템의 시스템정보와, 캐릭터하우스를 구성하는 아이템 종류 및 표시 위치와 배경이미지들로 이루어지는 캐릭터하우스정보들을 저장하는 캐릭터메모리와,
    상기 캐릭터정보, 시스템정보 및 캐릭터하우스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캐릭터하우스정보저장모듈과, 상기 캐릭터정보를 참조하여 캐릭터하우스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캐릭터표현모듈, 상기 캐릭터하우스정보 및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캐릭터하우스의 표시위치에 아이템을 표현하는 아이템표현모듈 및 캐릭터하우스정보의 배경이미지를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으로 표현하는 배경화면표현모듈로 구성되는 캐릭터하우스표현모듈을 구비하며, 휴대단말기의 캐릭터하우스 표시시점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표현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정보의 기능성 아이템이,
    미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아이템과,
    설정된 알람을 표시하는 알람 아이템과,
    메모리의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메모리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정보의 아이템이,
    캐릭터하우스에서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아이템과,
    캐릭터하우스의 고정위치에서 표시되며 캐릭터하우스를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아이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하우스정보의 배경이미지가,
    시간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캐릭터하우스표현모듈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대기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캐릭터하우스표현모듈이 캐릭터 하우스 표시시 캐릭터정보, 시스템정보 및 캐릭터하우스정보를 참조하여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배경화면표현모듈이 배경화면 표시시 현재 시간에 설정된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아이템표현모듈이 아이템 표시시 아이템의 종류를 확인하여 캐릭터하우스의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은 캐릭터하우스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장식용아이템,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는 이동형아이템 및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성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아이템표현모듈이 기능성 아이템 표시시 해 당 기능의 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를 대응되는 기능성 아이템과 함께 표시한 후, 활성화 상태이면 해당 기능성 아이템 및 기능 정보를 팝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아이템은 메시지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표현모듈은 메시지 아이템 분석시 미확인 메시지가 존재하면 메시지 아이템과 미확인 메시지 수를 팝업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캐릭터표현모듈이 캐릭터 표시시 캐릭터하우스 내의 캐릭터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캐릭터를 애니메이션 동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캐릭터표현모듈이 캐릭터표시시 캐릭터의 표시위치를 결정한 후, 캐릭터의 투명도를 설정된 비율로 낮춰 캐릭터 표시를 시작하며, 캐릭터의 상태에 따른 사운드 효과 및 텍스트를 표시한 후,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캐릭터상태 및 캐릭터상태에 따른 텍스트 및 애니메이션정보로 이루어지는 캐릭터정보와, 기능성아이템의 시스템정보와, 캐릭터하우스를 구성하는 아이템들의 종류 및 위치와 배경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캐릭터하우스정보로 구성된 캐릭터하우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캐릭터하우스정보의 배경 이미지를 캐릭터하우스의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캐릭터하우스정보 및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캐릭터하우스의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캐릭터정보를 참조하여 캐릭터를 표시하여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는 대기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이,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의 순서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 의 화면표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를 배경, 아이템 및 캐릭터순서로 표시하는 과정이,
    캐릭터하우스정보에서 선택된 배경이미지를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시스템정보 및 캐릭터하우스정보를 분석하여 표시할 아이템의 종류가 기능성 아이템이면 설정된 표시위치에 기능성아이템 이미지와 기능정보를 표시하며, 이동형아이템이면 이동형아이템 이미지를 설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하고, 장식용아이템이면 설정된 표시위치에 장식용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캐릭터정보를 분석하여 캐릭터하우스 내의 캐릭터 표시위치를 결정하고, 캐릭터를 애니메이션 동작시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정보의 아이템은,
    캐릭터하우스에서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아이템과, 캐릭터하우스의 고정위치에서 표시되며 캐릭터하우스를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아이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정보의 배경이미지는,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으로 표시되며, 시간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기능성아이템 표시과정이,
    시스템정보에서 기능성 아이템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기능성 아이템의 활성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과,
    기능성 아이템이 활성 상태이면 해당 기능성 아이템을 설정시간 동안 해당 기능성 아이템의 기능정보와 함께 팝업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아이템은 메시지아이템을 포함하며,
    아이템 분석과정에서 미확인 메시지가 존재하면 메시지 아이템과 미확인 메시지 수를 팝업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아이템은 알람아이템을 포함하며,
    아이템 분석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알람 정보가 존재하면 알람 아이템과 등록된 정보를 팝업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정보의 이동형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이,
    이동형 아이템을 이동경로를 따라 설정된 이동시간 단위로 이동시키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캐릭터정보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과정이,
    캐릭터정보를 분석하여 캐릭터 하우스 내의 상기 캐릭터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캐릭터를 애니메이션 동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캐릭터정보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과정이,
    캐릭터정보를 분석하여 캐릭터의 표시위치를 결정한 후, 캐릭터의 투명도를 설정된 비율로 낮춰 캐릭터 표시를 시작하며, 결정된 캐릭터의 상태에 따른 사운드 효과 및 텍스트를 표시한 후,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표시시 현재시간이 캐릭터의 인사시간이면 상기 캐릭터정보에서 인사정보의 사운드 및 텍스트를 확인하고, 캐릭터와 함께 인사정보를 표시한 후 상기 캐릭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캐릭터하우스를 표시하는 시간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캐릭터하우스의 배경이미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이,
    표시할 아이템의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과,
    표시할 아이템이 기능성아이템이면 설정된 표시위치에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 와 함께 해당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할 아이템이 이동형아이템이면 이동형 아이템 이미지를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설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할 아이템이 장식용 아이템이면 설정된 표시위치에 장식용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기능성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이,
    기능성 아이템의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과,
    기능성 아이템이 우편함아이템이면 휴대단말기의 수신 메시지들에서 미확인 메시지 수를 검사한 후, 우편함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상기 미확인된 메시지 수를 표시하는 과정과,
    기능성 아이템이 알람 아이템이면 설정된 알람들에서 가장 빠른 알람 시간을 알람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과,
    기능성 아이템이 메모리 아이템이면 메모리의 사용량을 메모리아이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캐릭터하우스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과정이,
    캐릭터의 투명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캐릭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사운드 및 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설정된 이동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캐릭터 표시시 현재 시간을 확인하며, 현재 시간이 캐릭터 인사시간이면 대응되는 시간에서 캐릭터 인사행동을 표시한 후 캐릭터표시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캐릭터인사행동 표시 과정이,
    캐릭터의 인사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캐릭터에 말풍선영역을 표시하고, 말풍선 영역에 확인된 시간대의 인사 텍스트를 표시한 후, 해당 시간대에서 인사행동을 수행하였음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0080084267A 2005-12-06 2008-08-28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84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8428 2005-12-06
KR1020050118428 2005-12-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546A Division KR20070059951A (ko) 2005-12-06 2006-11-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08A true KR20080084908A (ko) 2008-09-22

Family

ID=376298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545A KR100785067B1 (ko) 2005-12-06 2006-11-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0060111546A KR20070059951A (ko) 2005-12-06 2006-11-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0080084267A KR20080084908A (ko) 2005-12-06 2008-08-28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545A KR100785067B1 (ko) 2005-12-06 2006-11-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0060111546A KR20070059951A (ko) 2005-12-06 2006-11-13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132100B2 (ko)
EP (2) EP1796355A3 (ko)
KR (3) KR100785067B1 (ko)
CN (2) CN19804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5231B2 (en) 2005-08-30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of PC settings
CN101496387B (zh) 2006-03-06 2012-09-05 思科技术公司 用于移动无线网络中的接入认证的系统和方法
US8690664B2 (en) 2006-09-25 2014-04-08 Etasse Limited Slot machine game with additional award indicator
US9165419B2 (en) * 2006-10-23 2015-10-20 Etasse Limited Slot machine bonus game providing awards for manual dexterity
KR101513616B1 (ko) * 2007-07-31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정보 관리방법
KR20090032559A (ko) * 2007-09-28 200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02493B2 (en) 2007-11-09 2014-04-22 Etasse Limited Slot machine game with award based on another machine
US20090124352A1 (en) * 2007-11-13 2009-05-14 Ignacio Gerson Slot machine game with side pot
CN101494681B (zh) * 2008-01-22 2012-12-2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
KR101473335B1 (ko) * 2008-02-05 2014-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니메이션 기반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97377B2 (en) 2008-02-14 2014-08-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videoconference configuration
US8390667B2 (en) 2008-04-15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Pop-up PIP for people not in picture
TWI428814B (zh) * 2008-04-15 2014-03-01 Htc Corp 在螢幕鎖定狀態下切換背景圖的方法、其行動電子裝置與儲存媒體
JP2010016486A (ja) * 2008-07-01 2010-01-21 Canon Inc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520031B2 (en) 2008-07-07 2016-12-13 Etasse Limited Slot machine game with symbol lock-in
US8620294B2 (en) 2008-09-25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dynamic background
US20100105424A1 (en) * 2008-10-23 2010-04-29 Smuga Michael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er Interface
US8086275B2 (en) 2008-10-23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411046B2 (en) 2008-10-23 2013-04-02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8385952B2 (en) 2008-10-23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er interface
KR101517618B1 (ko) * 2008-10-31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2686B1 (ko) * 2009-03-02 2016-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175653B2 (en) 2009-03-30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Chromeless user interface
US8355698B2 (en) 2009-03-30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Unlock screen
US8238876B2 (en) 2009-03-30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KR20100113266A (ko) * 2009-04-13 201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영상 메시지 제작 방법 및 장치
CA2760289A1 (en) * 2009-04-27 2010-11-11 Sonoma Data Solutions L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animation
US8269736B2 (en) 2009-05-22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rop target gestures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9082297B2 (en) 2009-08-11 2015-07-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parameter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TW201128516A (en) * 2010-02-12 2011-08-16 Utw Technologies Corp An instinctive operating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1867634A (zh) * 2010-03-03 2010-10-20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中的信息提示方法及装置
US9372701B2 (en) * 2010-05-12 2016-06-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via a buoyant interface moving in three-dimensional space
JP5055402B2 (ja) * 2010-05-17 2012-10-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US8896655B2 (en) 2010-08-31 2014-11-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pth adaptive video conferencing
US8902244B2 (en) 2010-11-15 2014-12-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graphics in a video environment
US9338394B2 (en) 2010-11-15 2016-05-10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audio in a video environment
US8542264B2 (en) 2010-11-18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s in a video environment
US8723914B2 (en) 2010-11-19 2014-05-1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video processing in a network environment
US9111138B2 (en) 2010-11-30 2015-08-1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interface control
CN102065177A (zh) * 2010-12-02 2011-05-1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图标动态显示系统及方法
US9449308B2 (en) * 2010-12-14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fining actions for data streams via icons
USD682854S1 (en) 2010-12-16 2013-05-21 Cisco Technology, Inc. Display screen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78320S1 (en) * 2010-12-16 2013-03-19 Cisco Technology,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20159383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ization of an immersive environment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JP2012133659A (ja) * 2010-12-22 2012-07-12 Fujifilm Corp 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サーバ、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および電子コミック生成装置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CN102541414A (zh) * 2010-12-28 2012-07-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切换操作模式的移动终端装置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US8689116B2 (en) * 2011-01-14 2014-04-01 Apple Inc. Email user interface
CN102622214B (zh) * 2011-01-27 2015-09-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多种显示模式通用图标的方法与装置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JP5929034B2 (ja) 2011-08-09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0523804B2 (en) 2011-09-16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object in network
KR101930510B1 (ko) * 2011-09-16 2018-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객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8817189B2 (en) *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JP6159078B2 (ja) * 2011-11-28 2017-07-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US8416240B1 (en) * 2012-04-02 2013-04-09 Google Inc. Determining 3D model information from stored images
KR101891259B1 (ko) * 2012-04-04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이벤트 정보 출력 지원 방법 및 단말기
CN102945116A (zh) * 2012-10-19 2013-02-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切换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5998945B2 (ja) * 2013-01-10 2016-09-28 富士通株式会社 滞在地点分析方法、滞在地点分析装置、及び滞在地点分析プログラム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KR102192159B1 (ko) 2013-07-25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074348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CN104898821B (zh) * 2014-03-03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50278765A1 (en) * 2014-04-01 2015-10-01 Microsoft Corporation Information collections
KR102298602B1 (ko) 2014-04-04 2021-09-0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KR20160143784A (ko) 2014-04-10 2016-12-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컴퓨팅 디바이스용 슬라이더 커버
CN105378582B (zh) 2014-04-10 2019-07-23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计算设备的可折叠壳盖
CN104063427A (zh) * 2014-06-06 2014-09-2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语义理解的表情输入方法和装置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KR102337072B1 (ko) * 2014-09-12 2021-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068256B2 (en) 2014-10-08 2018-09-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directed information collections
TW201616461A (zh) * 2014-10-30 2016-05-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電子設備報警系統及方法
WO2016065568A1 (en) 2014-10-30 2016-05-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KR101652039B1 (ko) * 2014-10-30 2016-08-29 주식회사 피티엑스그룹 캐릭터 기반의 단말장치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용 어플리케이션
US20160132201A1 (en) * 2014-11-06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 tabs in mobile ribbons
CN106155539A (zh) 2015-03-27 2016-11-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用于智能设备的闹钟设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60307028A1 (en) * 2015-04-16 2016-10-20 Mikhail Fedorov Storing, Capturing, Updating and Displaying Life-Like Models of People, Places And Objects
US10225220B2 (en) 2015-06-01 2019-03-05 Facebook, Inc. Providing augmented message elements in electronic communication threads
US20170317960A1 (en) * 2016-04-28 2017-11-02 Jamdeo Canada Ltd. Device and methods for messaging application control and presentation
WO2018172472A1 (en) * 2017-03-22 2018-09-27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Methods for user-dependent conditioning of stimuli in tests using a method of continuous adjustment
CN111278516A (zh) * 2017-12-22 2020-06-12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90081561A (ko) * 2017-12-29 2019-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30824B2 (en) 2018-03-22 2020-04-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ecoration
US11049169B2 (en) 2018-07-24 2021-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automated gift determination and delivery
JP7282510B2 (ja) * 2018-12-07 2023-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28962A1 (en) * 2018-12-19 2020-06-25 RxPrism Health Systems Pvt.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creating and sharing interactive content rapidly anywhere and anytime
KR102648993B1 (ko) * 2018-12-21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반하여 아바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JP6883351B2 (ja) * 2019-12-24 2021-06-09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242682B (zh) * 2020-01-10 2023-10-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物品显示方法
CN113110786B (zh) * 2021-06-15 2021-09-03 南京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滑动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991475B2 (en) * 2021-10-29 2024-05-21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Displaying time zone-specific content in video conferences
US11995755B1 (en) * 2022-12-31 2024-05-28 Theai, Inc. Emotional state models and continuous update of emotional stat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628A (en) * 1990-01-18 1994-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graphically accessing electronic data
US5682469A (en) * 1994-07-08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platform having a real world interface with animated characters
JP4156027B2 (ja) * 1995-08-31 2008-09-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端局
JPH1033830A (ja) 1996-04-26 1998-02-10 Namco Ltd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DE19749722A1 (de) * 1997-11-11 1999-05-12 Agfa Gevaert Ag Farbfotografisches Material
JP3990798B2 (ja) 1998-03-09 2007-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0049924A (ja) * 1998-07-27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の発着信電話番号の機密保持方法
KR100549922B1 (ko) * 1999-02-25 2006-02-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기능 구현 방법
KR20010073430A (ko) * 2000-01-14 2001-08-01 황재엽 휴대전화기에서 사생활보호기능을 부가한 전화번호부를구현하는 방법.
JP2001290490A (ja) * 2000-01-31 2001-10-19 Casio Comput Co Ltd グラフィックデータ作成及び編集システム、デジタ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グラフィックデータ作成及び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24285A (ja) * 2000-06-30 2002-01-25 Sanyo Electric Co Ltd ユーザ支援方法およびユーザ支援装置
US20020009988A1 (en) * 2000-07-07 2002-01-24 Kunio Murata Propitious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JP2002091971A (ja) * 2000-09-11 2002-03-29 Sony Corp 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FI115260B (fi) * 2000-09-18 2005-03-31 Nokia Corp Menetelmä informaatioelementin muodostamiseksi ja elektroniikkalaite
US6801220B2 (en) * 2001-01-26 2004-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ubpixel intensity values based upon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s for improve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20020198009A1 (en) * 2001-06-26 2002-12-26 Asko Komsi Entity reply mechanism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GB2383660A (en) * 2001-11-02 2003-07-02 Superscape Ltd System for graphic/text messaging
JP2004033690A (ja) 2002-07-03 2004-02-05 Square Enix Co Ltd ビデオゲーム装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EP1396984B1 (en) * 2002-09-04 2014-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481185A (zh) 2002-09-06 2004-03-10 �����ɷ� 可显示定制动画的手机及相关方法
US6903743B2 (en) * 2002-10-16 2005-06-07 Motorola, Inc. Dynamic interactive animated screen saver
KR100932483B1 (ko) * 2002-11-20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을 이용한 아바타 원격 제어 방법
CN1532652A (zh) * 2003-03-19 2004-09-29 泰商泰金宝科技股份有限公司 时间显示的方法
US7725842B2 (en) * 2003-04-24 2010-05-25 Bronkema Valentina G Self-attainable analytic tool and method for adaptive behavior modification
US20050044500A1 (en) * 2003-07-18 2005-02-24 Katsunori Orimoto Agent display device and agent display method
US7224963B2 (en) * 2003-10-17 2007-05-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themes in a mobile phone
KR100657065B1 (ko) * 2004-01-29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4559092B2 (ja) * 2004-01-30 2010-10-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684478A (zh) 2004-04-12 2005-10-19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在移动电话中增加按照农历设置日程的方法
US7697960B2 (en) * 2004-04-23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US7359688B2 (en) 2004-04-23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tatus of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character image
KR100703281B1 (ko) * 2004-04-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CN1694463A (zh) 2004-04-30 2005-11-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终端上显示屏幕图像的方法
KR100557130B1 (ko) * 2004-05-1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바타 움직임 편집이 가능한 단말기 및 방법
WO2006004382A1 (en) * 2004-07-07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ownloading character image from web site in wireless terminal
US7519924B2 (en) * 2004-11-03 2009-04-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ointment and meeting conflict notification, and associated method
KR100756731B1 (ko) * 2005-05-13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별 아바타 표시기능을 지닌 냉장고
US20060294465A1 (en) * 2005-06-22 2006-12-28 Comverse,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mobile avat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83381A1 (en) 2007-08-09
EP1796355A3 (en) 2013-05-29
CN1980441B (zh) 2010-05-26
CN1980268B (zh) 2010-05-26
KR20070059950A (ko) 2007-06-12
CN1980268A (zh) 2007-06-13
KR20070059951A (ko) 2007-06-12
EP1796355A2 (en) 2007-06-13
US8132100B2 (en) 2012-03-06
CN1980441A (zh) 2007-06-13
EP1796356A2 (en) 2007-06-13
KR100785067B1 (ko) 2007-12-12
EP1796356A3 (en) 2013-01-23
US20070171192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067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5880731A (en) Use of avatars with automatic gesturing and bounded interaction in on-line chat session
KR100854253B1 (ko) 리치 미디어 툴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042536B2 (en) Avatars reflecting user states
JP6960513B2 (ja) クリエイティブカメラ
US8111267B2 (en) Controll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US6714222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ons
US9537674B2 (en) Visualization method for messages stored in an inbox
US20160259502A1 (en) Diverse emojis/emoticons
CN102281206B (zh) 一种即时通信客户端及其实现方法
US20070086773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operating a user interface
CN108710462A (zh) 用于利用视觉和/或触觉反馈操纵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7430489A (zh) 共享用户可配置的图形构造
KR20130049317A (ko) 이동 단말의 애니메이션 메시지 재생 속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10059178A (ko) 아바타 개인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500739A (zh) 一种通话请求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07007020A1 (en) System of animated, dynamic, expresssive and synchronised non-voice mobile gesturing/messaging
CN114764361A (zh) 表情特效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22008997A (ja) クリエイティブカメラ
Willis Creative Interactive Experiences as Production
RUUSKA KAISA VÄÄNÄNEN-VAINIO-MATTILA Nokia
Blyth Me My Ava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