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73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732A
KR20080084732A KR1020080023912A KR20080023912A KR20080084732A KR 20080084732 A KR20080084732 A KR 20080084732A KR 1020080023912 A KR1020080023912 A KR 1020080023912A KR 20080023912 A KR20080023912 A KR 20080023912A KR 20080084732 A KR20080084732 A KR 2008008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holde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309B1 (ko
Inventor
디 보르고 필리페 포초
엥 츄안 림
치 분 빈센트 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리어 커버 장착시에 커넥터 부품의 조립 불량을 미연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는 내부에 단자(2)가 수용되어 전방에 상대방 커넥터(40)에 삽입되는 삽입부(3A)를 가지고, 후방에 결합부(3B)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3)과, 씰링 부재(35)와, 전방에 맞물림부에 고정되는 끼워 맞춤 구멍(6C)을 가지고, 후방에 커버 부착부를 가지는 리어 홀더(6)와, 커버 부착부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리어 커버(20)를 구비하며, 커버 부착부에 인접한 개소에는 래칭부(11, 11)가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3)의 홀더 장착부에는 래칭부(11, 11)가 맞물리는 맞물림부(5)가 형성되며, 래칭부(11, 11)는 리어 홀더(6)를 커넥터 하우징(3)에 장착할 때에 맞물림부(5)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리어 커버(20)의 슬라이드 장착을 막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제2 커넥터를 가지고, 어느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조작 레버를 장착하여, 이 조작 레버를 다른 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시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는 많은 특허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은 예를 들면 하기(下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8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50)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자(51)와, 이러한 단자(51)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52)과, 복수 개의 단자(51)가 삽입하여 통해지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가지고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後部)에 장착되는 리어 홀더(55)와, 커넥터 하우징(52)과 리어 홀더(55)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씰(seal) 부재(54)와,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에 장착되는 조작 레버(53) 및 리어 커버(5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부품 가운데 커넥터 하우징(52)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52A)이 형성되고, 또 리어 커버(56)에는 이 레일(52A)이 끼워 넣는 가이드 홈(5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홈(56A)은 도 18에 있어서의 리어 커버(56)의 아래쪽 벽면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홈(56A, 56A)에는 각각 리어 홀더 가압부(56B, 56B)가 형성되고, 이러한 리어 홀더 가압부(56B, 56B)는 리어 홀더(55)의 후면에 접촉하는 평면부(57)와, 리어 홀더(55)의 후면의 단부를 미끄러지는 사면부(斜面部)(58)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52)으로의 리어 커버(56)의 장착은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 측에 수평 방향으로부터 리어 커버(56)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장착된다. 즉, 커넥터 하우징(52)의 상하의 레일(52A, 52A)에 리어 커버(56)의 가이드 홈(56A, 56A)을 찔러넣고 리어 커버(56)를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장착시킨다. 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리어 커버(56)의 각 리어 홀더 가압부(56B, 56B)가 리어 홀더(55)의 후부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리어 홀더(55)는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와의 사이에서 씰링 부재(54)를 끼워 누르면서 커넥터 하우징(52)의 고정 위치로 향하여 이동된다. 리어 커버(56)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해 리어 홀더(55)의 후면 단부에 사면부(58)가 맞닿아, 사면부(58)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리어 홀더(55)가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로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사면부(58)가 후면 단부를 타고 넘어 리어 홀더(55)의 후면에 평면부(57)가 접촉하 면, 이 가압 상태가 유지되어 먼저 장착된 전선 부착 단자(51)의 전선 부분의 외면과 씰링 부재와의 사이가 수밀(水密)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19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23102호 공보
이 전기 커넥터(50)에 의하면, 리어 커버(5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리어 홀더(55)가 커넥터 하우징(52)에 고정됨과 동시에 씰링 부재(54)가 끼워 눌러져 전선 부착 단자(51)의 전선 부분의 외면과 씰링 부재(54)와의 사이가 수밀하게 유지된다. 즉, 리어 커버(56)에 가이드 홈(56A) 및 리어 홀더 가압부(56B)를 형성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5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52A)을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52)의 레일(52A)에 리어 커버(56)의 가이드 홈(56A)을 찔러넣어 리어 커버(56)를 커넥터 하우징(52)의 후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리어 홀더(55)는 커넥터 하우징(52)에 고정됨과 동시에 씰링 부재(54)가 끼워 눌러져 전선 부착 단자(51)의 외주면과 씰링 부재와의 사이가 수밀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52)에 형성되는 레일(52A)은 커넥터 하우징(52)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에는 한계가 있고, 특히, 리어 커버(56) 장착시에 이 레일(52A)에 큰 하중이 걸리므로, 이와 같은 하중이 레일에 작용하면 파손 등의 우려가 있다. 또, 리어 커버(56)에는 리어 홀더(55)의 후면에 접촉하는 평면부(57) 및 리어 홀더(55)의 후면의 단부를 미끄러지는 사면부(58)로 이루어진 복잡한 형상의 리어 홀더 가압부(56B)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리어 커버(56)의 작성이 번거롭게 된다. 더욱이, 그러한 조립도 번 거롭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커버 장착시에 커넥터 부품의 조립 불량을 미연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어 커버 장착시에 씰링 부재의 장착 상태 및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결합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한 종류로서의 전기 커넥터의 발명은 내부에 단자가 수용되고, 전방에 상대방 커넥터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후방에 홀더 장착부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장착부의 바깥 둘레에 끼워 넣어지는 씰링 부재와,
전방 단부를 상기 씰링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으로 하고, 전방에 상기 홀더 장착부에 고정되는 끼워 넣음 구멍을 가지며, 후방에 커버 부착부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씰링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리어 홀더와,
상기 커버 부착부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장착되는 리어 커버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의 후방의 커버 부착부에 인접한 개소에는 래칭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홀더 장착부에는 상기 래칭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부는 상기 리어 홀더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리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래칭부 및 맞물림부는 상기 리어 홀더와 상기 홀더 장착부가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래칭부는 상기 리어 홀더의 외벽의 일부에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래칭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칭 부재는 래칭 바(latching bar)와 블록 돌기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된 래칭 홈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고정이 불완전하고 상기 래칭부가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리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래칭 바가 상기 래칭 홈에 걸리는 바로 앞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으로 올라 타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칭 부재가 밀어 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상기 블록 돌기가 커버 부착부로의 상기 리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장착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리어 홀더의 외벽면의 일부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외벽판 및 내벽판으로 이루어진 2중 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칭부는 상기 내벽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리어 홀더의 벽면에는 상대방 커넥터에 그 일부가 걸려 양커넥터의 결합을 실시하는 조작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홀더의 후방에 래칭부, 홀더 장착부에 맞물림부를 각각 형성하여, 리어 홀더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래칭부가 맞물림부에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래칭부에 의해 커버 부착부에 있어서의 리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씰링 부재의 장착 및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결합이 불완전한 때에는 리어 커버의 장착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이 리어 커버의 장착시에 씰링 부재 및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가 완전하게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어 커넥터 조립이 불완전한 것을 미연에 발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부 및 맞물림부를 리어 홀더와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하는 것에 의해, 대향하는 래칭부 및 맞물림부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리어 홀더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리어 홀더의 맞물림이 안정하고 견고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부 및 맞물림부는 리어 홀더의 외벽 및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을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홀더의 외벽의 일부를 외벽판 및 내벽판으로 이루어진 2중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리어 커버가 외벽판과 내벽판과의 틈새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장착되므로 리어 커버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안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2중벽 사이의 틈새에 2개의 커넥터의 결합을 행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홀더에 조작 레버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전체 및 이 커넥터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 , 도 2는 이 전기 커넥터의 전체 및 개개의 부품을 나타내고, 도 3 ~ 도 6은 개개의 부품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b) 및 도 2(b)의 각 부품 사이의 화살표는 조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이하, 커넥터라고 한다)(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암컷형 단자(2)와, 이러한 단자(2)가 수용되는 암컷형 커넥터 하우징(이하, 커넥터 하우징이라고 한다)(3)과, 이 커넥터 하우징(3)의 후부에 장착되는 리어 홀더(6)와, 이 리어 홀더(6)의 외벽에 장착되어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조작 레버(30)와, 이 리어 홀더(6)의 후부에 장착되어 단자(2)의 후단부를 가리는 리어 커버(20)를 가지고, 커넥터 하우징(3)은 그 외주 벽면에 링 모양의 씰링 부재(35)가 장착되며, 또, 이 커넥터 하우징(3)의 일측 벽면에 단자의 장착 상태를 검지하는 단자 검지 부재(이하, TPA라고 한다)(38)가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 커넥터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을 상술한다.
암컷형의 단자(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즈가 다른 2종류의 암컷형 단자, 즉 비교적 사이즈가 큰 대형의 암컷형 단자(이하, 대형 단자라고 한다)(2A)와, 작은 사이즈의 소형 암컷형 단자(이하, 소형 단자라고 한다)(2B)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암컷형 단자는 앞쪽에 접촉부 및 후방에 리드선 고정부를 가지며, 이 고정부에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대형 단자(2A)는 리드선의 바깥 둘레에 링 모양의 씰링 부재(2C)가 장착되어 있다. 또, 소형 단자(2B)는 복수 개, 예를 들면 20개의 단자가 묶여져, 이 단자 묶음의 바깥 둘레에 링 모양의 씰링 부재(2D)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전후벽(31, 32) 및 바깥 둘레가 대향하는 한 쌍의 상하벽(33, 33) 및 좌우측벽(34, 34)으로 둘러싸여, 전방에 상대방 커넥터로 삽입되는 삽입부(3A) 및 후방에 리어 홀더(6)로 끼워 맞춰지는 결합부(3B)를 가지는 대략 장방체(長方體)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부재는 절연성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하우징(3)은 후벽(32)면에서부터 전벽(31)면으로 향하여 내부에 2종류의 암컷형 단자(2A, 2B)가 삽입하여 통해지는 관통 구멍(4A, 4B)이 형성되어 있다(도 3(b)참조). 한쪽의 관통 구멍(4A)에는 대형 단자(2A)가 삽입하여 통해지고, 다른 쪽의 관통 구멍(4B)에는 소형 단자(2B)의 단자 묶음이 삽입하여 통해진다. 전 벽(31)면에는 후벽(32)의 각 관통 구멍(4A, 4B)으로부터 삽입하여 통해진 각 단자(2A, 2B)와 접속되는 상대방 커넥터(40)(도 15 참조)의 수컷형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도 3(a) 참조). 또, 전벽(31)면의 커넥터 하우징(3)은 얇은 홈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얇은 홈으로 전벽(31)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로의 삽입시에 얇은 홈의 틈새가 축소되어 이 커넥터와의 결합이 부드럽게 된다.
삽입부(3A)에는, 한쪽의 측벽(34)면에 TPA(38)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부(3B)에는 후방단의 상하벽(33, 33)면에 후술하는 리어 홀더(6)의 래칭 바(11B)(도 9등 참조)가 걸리는 오목한 모양의 래칭 홈(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모양의 래칭 홈(5A)과 후벽(32)과의 사이에는 오목한 모양 래칭 홈(5A)의 측벽이 되는 측벽부(5A')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 측벽부(5A')는 상벽(33)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벽(33)에도 동일한 래칭 홈(5A) 및 측벽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 하우징(3)은 삽입부(3A)와 홀더 결합부(3B)와의 경계의 바깥 둘레에 씰링 부재(35)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브(3O)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홀더(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전후벽(61, 62)을 가지고 바깥 둘레가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 즉 상하벽(63, 63) 및 좌우의 측벽(64, 64)으로 둘러싸인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부재는 절연성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어 홀더(6)는 전방의 전벽(61)면에 커넥터 하우징(3)의 결합부(3B)가 삽입되는 끼워 맞춤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구멍(6C)의 내부는 구분벽(6D)으로 나누어지고, 이 구분벽(6D)에 2종류의 단자(2A, 2B)가 삽입하여 통해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벽(63, 63)에는 각각 리어 커버(20) 및 조작 레버(30)가 장착되는 커버 장착부(RC) 및 레버 장착부(LB) 및 커넥터 하우징(3)과 맞물리는 하우징 래칭부(LA)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및 레버 장착부(RC, LB) 및 하우징 래칭부(LA)는 상하로 각각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어느 것도 상하벽(63, 63)을 소정의 구조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벽(63)도 상벽(63)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중복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한쪽 상벽(6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벽(6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그 외벽면과 내벽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6G)가 형성되어, 이 틈새(6G)를 통하여 2중벽, 즉 외벽판(6A)과 내벽판(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틈새(6G)는 후술하는 조작 레 버(30)의 플랜지(33B)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외벽판(6A)은 전방에서부터 후방, 즉 전벽(61)에서부터 후벽(62) 방향으로 향하여 도중에 절단되어 단척(短尺)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외벽판(6A)은 좌우측벽(64, 64)면의 폭 길이에 비해 단척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외벽판(6A)을 단척으로 한 것에 의해서, 후벽(62)도 전벽면에 비해 단척으로 되어 있다. 이 단척의 외벽판(6A)과 후벽(62)과의 사이에는 커버 및 레버 장착부(RC, LB) 및 하우징 래칭부(LA)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판(6A)은 후단에서부터 전벽(61)의 직전까지 연장한 복수 개의 슬릿(8O, 8O)에 의해서 3개의 에어리어, 즉 제1 ~ 제3 에어리어(6A1 ~ 6A3)로 각각 구획되어 일부로 분리되어 있다. 제1 ~ 제3 에어리어(6A1 ~ 6A3) 가운데, 제1, 제3 에어리어(6A1, 6A3)는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2 에어리어(6A2)는 제1, 제3 에어리어(6A1, 6A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큰 제2 에어리어(6A2)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소정 폭 길이 및 깊이를 가지고, 후벽(62)으로부터 전벽(61)으로 향하여 형성된 오목한 모양의 직사각형 홈(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에어리어(6A2)는 이 직사각형 홈(9)의 양단이 더 작은 에어리어(6A21, 6A21)로 구분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 홈(9)은, 홈 바닥(9A)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홈 바닥(9A)을 평탄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이 평탄면에 후술하는 피봇 돌기(33)의 플랜지(33B)의 절단부(33B')를 위치 맞춤하는 것 에 의해, 틈새(6G)로부터 피봇 돌기(33)를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제1, 제3 에어리어(6A1, 6A3)는 그 후방이 단차부(6O)를 거쳐 후벽(62)으로 향하여 연장하여 형성되고, 이 연장부가 소정 두께 및 소정 폭 길이의 지지 돌기(7A, 7A)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돌기(7A, 7A)의 두께는 리어 커버(20)의 오목한 모양 홈(22O)에 삽입 가능한 두께로 되어 있다.
내벽판(6B)은, 5개의 에어리어, 즉 제1 에어리어(6B1) ~ 제5 에어리어(6B5)로 구획되어 일부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에어리어(6B1) ~ 제5 에어리어(6B5) 가운데, 양측의 제1, 제5 에어리어(6B1, 6B5)는 같은 크기이고, 제2, 제4 에어리어(6B2, 6B4)도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제1, 제5 에어리어(6B1, 6B5)는 지지 돌기(7A, 7A)를 형성하고 있다. 제3 에어리어(6B3)는 다른 에어리어보다 면적이 크고 그 단부가 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에어리어(6B3)에는 조작 레버(30)의 피봇 돌기(33)가 장착되는 수용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구멍(10A)은 외벽판(6A)의 직사각형 홈(9)의 거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수용 구멍(10A)은 틈새(6G)에 연통하고 있다. 이 제3 에어리어(6B3) 단부의 연장부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면(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3 에어리어(6B3)의 아래 쪽은 끼워 맞춤 구멍(6C)의 주위의 내벽면(6B')을 형성하고 있고, 이 두께는 리어 커버(20)의 오목한 모양 홈(22O)에 삽입되는 두께로 되어 있다.
즉, 각 지지 돌기(7A, 7A) 및 제3 에어리어(6B3)의 내벽판(6B)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리어 커버(20)의 오목한 모양 홈(22O)에 삽입된다. 후벽(62)의 좌우측벽(64, 64)면에는 리어 커버(20)가 삽입되는 장착부(12A, 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벽(62)에는 양장착부(12A, 12A) 사이에 있어서, 그 상하 단부를 소정 높이로 돌출시킨 레일 돌기(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 돌기(62A)는 후벽(62)의 아래쪽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 돌기(62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한쪽의 장착부(12A)로부터 삽입된 리어 커버(20)는 이 레일 돌기(62A)로 가이드됨으로써 리어 홀더(6)에 유지되어 리어 홀더(6)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 레일 돌기(62A)는 리어 커버(20)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탈 방지 돌기로 되어 있다.
제2, 제4 에어리어(6B2, 6B4)에는 커넥터 하우징(3)과 맞물리는 래칭부(11, 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래칭부(11, 11)는 외벽판(6A)의 작은 에어리어(6A21, 6A21)의 거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래칭부(11)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판(6B)에 결합된 기초 부(11O)와, 이 기초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래칭 암(11A)과, 이 래칭 암(11A)의 선단부에 있어서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상부 돌기, 즉 블록 돌기(11C) 및 아래쪽으로 돌출한 하부 돌기, 즉 래칭 바(11B)를 가지고, 래칭 암(11A)은 내벽판(6B)으로부터 절개된 홈에 의해 일부가 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 암편으로 되어 있다. 래칭 바(11B)는 커넥터 하우징(3)의 오목한 모양의 래칭 홈(5A)에 맞물린다. 이 블록 돌기(11C)는 래칭 바(11B)와 래칭 홈(5A)과의 맞물림이 불완전한 때에는 리어 커버(20)의 리어 홀더(6)로의 장착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래칭 바(11B)와 래칭 홈(5A)과의 맞물림이 완전하게 되었을 때는 블록 돌기(11C)의 꼭대기부가 리어 커버(20)의 측벽(22A)에 맞닿아, 래칭 암(11A)의 이동이 제한되어 래칭 바(11B)와 래칭 홈(5A)과의 맞물림이 견고하게 된다. 그 결과,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행해지게 된다.
커버 및 레버 장착부(RC, LB) 및 하우징 래칭부(L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판(6A) 및 내벽판(6B)과 후벽(62)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커버 장착부(RC)는 주로 각 지지 돌기(7A, 7A)와, 이들 지지 돌기(7A, 7A)간의 제2 에어리어(6B2)의 내벽판(6B)과, 레일 돌기(62A)로 구성되고, 또, 레버 장착부(LB)는 주로 외내벽판(6A, 6B)간의 틈새(6G)와, 내벽판(6B)에 형성된 수용 구멍(10A)으로 구 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래칭부(LA)는 내벽판(6B)의 제2, 제4 에어리어(6B2, 6B4)에 형성된 각 래칭부(11, 11)로 이루어지고, 이 래칭부(11)는 내벽판(6B)에 결합된 기초부(11O)와, 이 기초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래칭 암(11A)과, 이 래칭 암의 선단부에 있어서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블록 돌기(11C) 및 아래쪽으로 돌출한 래칭 바(11B)로 구성되어 있다(도 9(c)참조).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리어 홀더(6)에 하우징 래칭부(LA), 커버 장착부(RC) 및 레버 장착부(LB)가 한데 모아져 있으므로, 이러한 형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커버 장착부(RC), 레버 장착부(LB) 및 하우징 래칭부(LA)를 연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커넥터 하우징(3)은, 통상, 단자 및 그 부속품 등이 수용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커넥터 하우징(3)에 상기 래칭부 등을 형성하려고 하면, 그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리어 홀더(6)에는 많은 부품이 장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 래칭부(LA) 등의 형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리어 홀더에 하우징 래칭부(LA), 커버 장착부(RC) 및 레버 장착부(LB)를 모으는 것에 의해, 이러한 연계가 용이하게 되고, 예를 들면, 먼저, 하우징 래칭부(LA)로 커넥터 하우징(3)에 리어 홀더(6)를 걸은 후에 레버 장착부(LB)로 조작 레버(30)를 장착하고, 그 후, 리어 커버(20)를 커버 장착부(RC)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커넥터의 조립을 연속해서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리어 커버(2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홀더(6)의 후벽(62)면으 로부터 인출되는 복수 개의 리드선을 소정의 방향으로 도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소정 간격의 틈새(25)를 벌려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1, 21)과, 이러한 측벽(21, 21)에 연결된 천장벽(24)을 가지고, 절연성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천장벽(24)은 각각의 측벽(21, 21)간 및 각 측벽(21, 21)간의 단부가 결합되어 일단부에 개구(26)가 형성된 만곡한 천장면으로 되고 있다. 이 개구(26)의 안쪽 부분, 즉 각 측벽(21, 21)의 단부는 폐쇄벽(24A)으로 대략 폐쇄되어 있다. 이 천장벽(24)에는 조작 레버(30)의 래칭부(32A)가 걸리는 돌기(24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6)는 리드선을 외부로 도출하는 도출 구멍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21, 21)의 틈새(25)는 리어 홀더(6)의 후벽(62)에 삽입되는 삽입구로 되어 있다. 각 측벽(21, 21)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는 한쪽의 측벽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측벽(21)은 그 단부가 두껍게 형성되고, 이 두꺼운 부분에는 대향하는 제1, 제2 측벽부(22A, 22B)로 둘러싸인 오목한 모양 홈(22O)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한 모양 홈(22O)은 대향하는 제1, 제2 측벽부(22A, 22B)를 가지고, 한쪽의 제1 측벽부(22A)는 측벽(21)의 외벽의 일부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2 측벽부(22B)는 내벽의 일부로 되어 있다. 제1 측벽부(22A)의 외벽면에는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쪽으로 돌출한 래칭 돌기(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칭 돌기(22C)는 대략 4각형 모양을 이룬 키가 작은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칭 돌기(22C)는 조작 레버(30)가 리어 홀더(6)에 장착된 후에 이 조작 레버(30)와의 관계로 리어 커버(20)가 잘못된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誤)삽입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래칭 돌기(22C)는 조작 레버(30)의 래칭 홈(36B)에 끼워 넣어 이 조작 레버(3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도 겸하고 있다. 제1, 제2 측벽부(22A, 22B)간의 간격, 즉 오목한 모양 홈(22O)의 틈새는 리어 홀더(6)의 지지 돌기(7A, 7A)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모양 홈(22O)은 리어 커버(20)를 리어 홀더(6)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 홈으로 되고, 리어 커버(20)의 부착 홈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측벽부(22B)에는 가이드 레일(23)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암 레버(31, 31)와, 이러한 암 레버(31, 31)를 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가지고, 전체가 절연성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암 레버(31, 31)는 각각 평판 모양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각 암 레버(31, 31)는 외벽면(31A)과 내벽면(31B)을 가지고, 각 내벽면(31B)에 레버를 지지하는 피봇 돌기(33) 및 캠 구멍(34) 및 한 쌍의 제1, 제2 캠 홈(36, 37)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돌기(33)는 지축(支軸)(33A)의 기초부가 암 레버(31)의 내벽면(31B)으로부터 세워 형성되고, 이 지축(33A)의 꼭대기부에는 플랜지(3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 구멍(34)은 내외벽면(31A, 31B)을 관통하고 있다. 연결부(32)에는 래칭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칭부(32A)는 상대방 커넥터(40)와 결합되었을 때에 리어 커버(20)의 돌기(29B)에 거는 것에 의해 조작 레버(3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 레버(30)는 리어 홀더(6)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지만, 지축(33A)에 그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 규제부(33A')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버(31)로부터 세워 형성된 지축(33A)을 이 세워 형성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이 평탄면(33A1)과, 원호면(33A2)을 가지는 누립(淚粒)형상(tear drop shape)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33B)는 단부에 절단부(33B')를 가지는 원반 모양을 이루고, 그 크기는 수용 구멍(10A)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절단부(33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용 구멍(10A)으로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 쌍의 제1, 제2 캠 홈(36, 37)은 피봇 돌기(33)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캠 홈(36, 37)은 단차부(31C)를 거쳐 암 레버(3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캠 홈(36)은 리어 커버(20)의 래칭 돌기(22C)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면(36A)과, 래칭 돌기(22C)가 맞닿게 되는 제1 스톱퍼(361)와, 이 래칭 돌기(22C)가 걸리는 래칭 홈(36B)을 가지고, 이러한 제1 스톱퍼(361) 및 래칭 홈(36B)은 단차부(31C)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36A)은 연결부(32)로부터 암 레버(31)의 단부로 향하여 소정 폭 길이 및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스톱퍼(361)에 근접한 개소에는 피봇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캠 홈(37)은 암 레버(31)의 연결부(32)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캠 홈(37)은 내벽면(31B)으로부터 단차부(31C')를 거쳐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가이드면(37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1C')를 거쳐 형성된 제2 캠 홈(37)의 가이드면(37A)도 래칭 돌기(22C)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면으로 되어 있지만, 이 가이드면(37A)의 크기는 제1 캠 홈의 가이드면(36A)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단차부(31C')는 제2 스톱퍼로 되어 있다.
캠 구멍(34)은 암 레버(31)의 내외벽면(31B, 31A)을 관통하고 있다. 이 캠 구멍(34)은 후술하는 상대방 커넥터(40)의 맞물림 돌기(42)(도 15 참조)를 가이드 하는 안내 구멍(34A)을 가지고, 이 안내 구멍(34A)의 주위에 단차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4B)에는 상대방 커넥터(40)의 맞물림 돌기(42)의 플랜지(42B) 가 걸린다.
씰링 부재(35)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 구멍을 가지는 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링 부재의 외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40)와의 방수가 양호하게 된다.
다음에, 도 1 ~ 도 14를 참조하여, 커넥터(1)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또한, 도 7, 도 8은 리어 홀더로의 조작 레버의 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 도 8에서는 내부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리어 홀더 및 조작 레버 부재의 일부가 절제되어 있다. 또, 도 8 ~ 도 12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리어 홀더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3, 도 14는 리어 홀더로의 리어 커버의 부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 커넥터(1)는, (I) 씰링 부재 장착 공정, (II) 홀더 결합 공정, (III) 단자 장착 공정, (IV) TPA 장착 공정, (V) 레버 장착 공정, (VI) 리어 커버 장착 공정의 각 공정을 거쳐 조립된다.
(I) 씰링 부재의 장착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 부품 가운데, 먼저, 커넥터 하우징(3)의 결합부(3B)의 바깥 둘레에 씰링 부재(35)가 리브(3O)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씰링 부재(35)가 리브(3O)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씰링 부재(35)의 내주벽면이 커넥터 하우징(3)의 바깥 둘레에 밀착되어 리어 홀더(6)가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씰링 부재(35)의 장 착에 의해,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와의 사이가 수밀하게 밀봉된다. (II) 홀더 결합 공정에서는 씰링 부재(35)에 이어서 커넥터 하우징(3)의 결합부(3B)를 리어 홀더(6)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래칭부(11)의 래칭 바(11B)가 래칭 홈(5A)에 몰입하여 끼워 맞춤 구멍(6C)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리어 홀더(6)가 커넥터 하우징(3)에 걸려 고정된다. (III) 단자 장착 공정에서는 대형 단자(2A) 및 소형 단자(2B)의 단자 묶음을 리어 홀더(6)의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3)의 각각의 관통 구멍(4A, 4B)에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 리어 홀더(6)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3) 내에 각각의 단자가 수용 고정된다. (IV) TPA 장착 공정에서는 TPA(38)가 커넥터 하우징(3)의 장착 구멍(5B)에 삽입되어, 커넥터 하우징(3) 내의 암컷형 단자(2)가 고정된다.
그 후, (V) 레버 장착 공정에서는 상기 공정 (I) ~ (IV)에서 조립된 조립체에 조작 레버(30)를 부착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이 부착 작업은, 먼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를 리어 홀더(6)의 후방에 세트하여, 각 암 레버(31, 31)에 형성된 피봇 돌기(33, 33)가 각 수용 구멍(10A, 10A)으로 향하여 밀어 넣어진다. 이 밀어넣음에 의해, 각각의 피봇 돌기(33, 33)의 각 플랜지(33B, 33B)가 가이드면(10B, 10B) 위를 슬라이드함과 동시에 각 암 레버(31, 31)이 바깥쪽, 즉, 도 7(b)의 화살표 Y1, Y1으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어, 각 암 레버(31, 31)의 내벽면(31B, 31B)과, 리어 홀더의 외벽판(6A, 6A)과의 사이에 각각 틈새(GO, GO)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암 레버(31, 31)가 밀어 넣어지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플랜지(33B, 33B)가 각각의 수용 구멍(10B, 10B)을 통과하여 틈새(6G, 6G)에 삽입된다. 이 삽입과 동시에, 각 암 레버(31, 31)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의 틈새(GO, GO)가 없어지고, 각 암 레버의 내벽면(31B, 31B)이 외벽판(6A, 6A)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로 조작 레버(30)를 회동시키면, 각 플랜지(33B, 33B)의 단부가 각 외내벽판(6A, 6B) 사이의 틈새(6G, 6G)에 비집고 들어가 빠지지 않게 되어, 조작 레버(30)가 리어 홀더(6)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30)를 밀어넣었을 때와 반대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각 플랜지(33B, 33B)가 빠져나가지 않고, 그 결과, 리어 홀더(6)에 조작 레버(30)를 장착한 후에는 조작 레버(30)에 충격 등의 강한 외력이 가해져도 이 조작 레버(30)가 리어 홀더(6)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된다.
리어 홀더(6)에 조작 레버(30)가 장착되면, 조작 레버(30)의 암 레버(31, 31)와 리어 홀더(6)의 내벽판(6B, 6B)과의 사이에 리어 커버(20)의 제1 측벽부가 밀어 넣어지는 틈새(G)(도 13(b) 참조)가 형성된다. 이 틈새(G)는 조작 레버(30)의 가이드면(36A)과 대향하는 제1 틈새(G1)와, 내벽면(31B)과 대향하는 제2 틈새(G2)로 이루어지고, 제1 틈새(G1)가 제2 틈새(G2)보다 넓게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리어 커버(20)가 리어 홀더(6)에 부착된다. (VI) 리어 커버 장착 공정은, 먼저, 리어 커버(20)를 커넥터 하우징(3)의 도 13(a)의 화살표 A1으로 나타내는 방향, 즉,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2)가 있는 측에 세트하여, 리어 홀더(6)와 조작 레버(30) 사이의 제1 틈새(G1) 방향에서부터 리어 커버(20)가 삽입된다. 이 삽입은 리어 커버(20)의 오목한 모양 홈(22O, 22O)에 한쪽의 지지 돌기(7A)가 삽입되도록, 한쪽의 장착부(12A) 방향에서부터 삽입된다. 이 때 리어 커버(20)의 가이드 레일(23, 23)은 각 레일 돌기(62A, 62A)에 따라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장착부(12A)로부터 삽입된 리어 커버(20)는 각 지지 돌기(7A, 7A), 제3 에어리어(6B3)의 내벽판(6B) 및 레일 돌기(62A)에서 지지되므로 리어 홀더(6)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I) ~ (VI)의 공정에 의해, 커넥터(1)의 조립이 종료된다. 그런데 , 상기 (II) 홀더 결합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3)에 리어 홀더(6)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가 발생하면,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가 불완전 결합이 됨과 동시에, 씰링 부재(35)의 장착도 불충분하게 되어 소기의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커넥터(1)의 조립 불량이 된다. 그래서, 이 커넥터(1)에서는 리어 홀더(6)의 각 래칭부(11, 11)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조립 불량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이 조립 불량 검지를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 도 12는 조립 불량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러한 도는 각각 도 9, 도 10에 대응하는 것이다.
먼저, 커넥터 하우징(3)의 후방의 결합부(3B)에 씰링 부재(35)를 장착해 두고, 이 결합부(3B)에 리어 홀더(6)의 전방의 끼워 맞춤 구멍(6C)을 끼워 맞춰 밀어넣는다. 이 리어 홀더(6)의 밀어넣음에 의해, 리어 홀더(6)의 전벽(61)면이 씰링 부재(35)의 일단에 맞닿게 된다. 이 때, 리어 홀더(6)의 밀어넣음이 불충분하면, 래칭부(11)의 래칭 바(11B)가 래칭 암(11A)의 탄성에 의해 래칭 홈(5A)의 측벽부(5A')의 꼭대기부에 올라 타서, 블록 돌기(11C)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도 11(c) 참조). 이 상태로 리어 커버(20)를 리어 홀더(6)에 장착하려고 하면,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홀더(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려고 하여도 리어 커버(20)의 제1 측벽부(22A)가 블록 돌기(11C)에 충돌해 버려 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리어 커버(20)를 장착할 수 없게 되는 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에 씰링 부재(35)가 적절히 가압되지 않고, 게다가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가 비결합 상태로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홀더(6)의 밀어넣음이 충분히 되어, 래칭부(11)의 래칭 바(11B)가 오목한 모양의 래칭 홈(5A) 내에 몰입하여 맞물리면, 블록 돌기(11C)가 이미 아래쪽으로 끌어당겨 넣어져 있으므로, 리어 커버(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없어진다. 리어 커버(20)가 리어 홀더(6) 에 장착되면, 씰링 부재(35)는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어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 사이의 방수가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상된다. 이 상태에서는 블록 돌기(11C)의 꼭대기부가 리어 커버(20)의 제1 측벽부(22A)에 접촉하여 그 가동이 제한되므로, 커넥터 하우징(3)과 리어 홀더(6)와의 맞물림도 견고하게 된다.
또, 리어 커버(2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1, 21)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도 14(a)의 화살표 A2방향에서부터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방향에서부터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버리면, 조작 레버(30)의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이 커넥터(1)에서는 화살표 A2방향에서부터의 리어 커버(20)의 장착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리어 커버(20)가 도 14(a)의 화살표 방향 A2로부터 리어 홀더(6)로 삽입되면, 리어 커버(20)의 제1 측벽부(22A)가 제2 틈새(G2) 내로 비집고 들어간다. 그런데, 이 제2 틈새(G2)의 삽입구에는 조작 레버(30)의 제2 캠 홈(37)이 존재하므로 그 개구가 크게 되어 있지만, 이 제2 캠 홈(37)의 길이가 제1 캠 홈(36)보다 좁게 되어 있으므로, 리어 커버(20)가 더 밀어넣어지면, 측벽(22A) 표면의 래칭 돌기(22C)가 제2 스톱퍼인 단차부(31C')에 충돌하여, 리어 커버(20)의 밀어넣음을 막게 된다. 이것에 의해, 화살표 A2방향에서부터의 리어 커버(20)의 장착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40)와 결합된다. 이하, 이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수컷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도 15는 수컷형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5(a)는 수컷형 커넥터의 전체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대방 커넥터(40)는 수컷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컷형 단자(43)와, 이러한 단자가 수용되는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컷형 단자(43)는 커넥터(1)의 암컷형의 대형 단자(2A) 및 소형 단자(2B)에 각각 접속되는 수컷형의 비교적 사이즈가 큰 대형 단자(43A)와 사이즈가 작은 소형 단자(43B)로 이루어진다. 또,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42)는 전후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전후벽(411, 412) 및 바깥 둘레가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 즉 상하벽(413, 413) 및 좌우측벽(414, 414)으로 둘러싸이고, 전벽(411)에 커넥터(1)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지는 공동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 구멍의 안쪽 벽은 후벽(412)에 근접하고 있어 전체가 절연성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41)의 후벽(412)에는 수컷형 단자(43)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41A, 41B)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벽(413, 413)에는 삽입구에 근접한 개소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맞물림 돌기(42, 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맞물림 돌기(42, 42)는 벽면으로부터 세워 형성된 지축(42A)과, 이 지축(42A) 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플랜지(42B)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42B)는 대략 원반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맞물림 돌기(42)는 커넥터(1)의 조작 레버(30)의 캠 구멍(34)과 맞물리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대방 커넥터(40)의 조립은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41)의 장착 구멍(41A, 41B)에 각각 대형 단자(43A) 및 소형 단자(43B)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에 커넥터(1)와 상대방 커넥터(40)와의 결합을 설명한다. 또한, 도 16, 도 17은 양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 도 16은 결합 전, 도 17은 결합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b), 도 16(c) 및 도 17(b), 도 17(c)에서는 상대방 커넥터(40)가 생략되어 있다.
커넥터(1)와 상대방 커넥터(40)와의 결합은 커넥터(1)를 상대방 커넥터(40)에 접근시켜, 커넥터(1) 전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하우징(3)의 삽입부(3A)를 상대방 커넥터(40)의 커넥터 하우징(41) 전면의 장착 구멍(41A)에 삽입하는 것으로 실시한다(도 16(a)참조). 이 양커넥터(1, 40)가 결합되기 전은 도 16(a) ~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의 각 캠 구멍(34, 34)은 상대방 커넥터(40)의 각 맞물림 돌기(42, 42)에 맞물려 있지 않고 리어 홀더(6)와 평행한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이 위치는, 도 1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커버(20)의 래칭 돌기(22C)의 외주면이 제1 캠 홈(36) 내의 제1 스톱퍼(361) 및 회동 규제부(33A')의 원호 면(33A2)에 접촉하여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에 의해, 조작 레버(30)는 화살표 B방향(도 16(a) 및 도 16(c) 참조)으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0)의 각 캠 구멍(34, 34)의 개구 부분에 상대방 커넥터(40)의 각 맞물림 돌기(42, 42)를 삽입한 후에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2)를 손으로 집어 이 조작 레버(30)를 리어 커버(20)의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 조작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40)의 각 맞물림 돌기(42, 42)가 각 캠 구멍(34, 34)의 안내 부분으로 안내되어 양커넥터(1, 4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끌어 들여진다. 또한 조작 레버(30)가 회전되면, 연결부(32)가 리어 커버(2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양커넥터(1, 40)의 결합이 완료하고, 양커넥터(1, 40)의 단자(2, 43)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 양커넥터(1, 40)의 결합 완료에 의해, 조작 레버(30)는 그 연결부(32)가 리어 커버(20)의 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의 조작 레버(30)의 고정은 도 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커버(20)의 래칭 돌기(22C)가 래칭 홈(36B) 내에 비집고 들어가고, 이 비집고 들어간 상태에서 래칭 돌기(22C)의 외주의 일면에 회동 규제 부재(33A')의 평탄면(33A1)이 맞닿게 되어 피봇 돌기(33)의 회동, 즉 조작 레버(30)의 회동이 제한되어 고정된다. 이 유지·고정에 의해, 조작 레버(30)는 화살표 C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또, 연결부(32)에 형성된 래칭부(32A)가 리어 커버(20)의 천장벽(24)의 돌기(24B)에 걸려 조작 레버(30)의 걸림이 보다 확실하게 된 다.
이에 더하여, 양커넥터(1, 4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씰링 부재(35)의 외주면이 상대방 커넥터의 장착 구멍(41A)의 내벽에 액밀(液密)하게 맞닿는 것에 의해, 양커넥터(1, 40)간의 방수도 확실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a)는 이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180도 회전시켜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전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3(a)는 도 1(b)의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사시도, 도 3(b)는 도 2(b)의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리어 홀더를 나타내고, 도 4(a)는 도 1(b)의 리어 홀더의 확대 사시도, 도 4(b)는 도 2(b)의 리어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도 2의 리어 커버를 나타내고, 도 5(a)는 도 1(b)의 리어 커버의 확대 사시도, 도 5(b)는 도 2(b)의 리어 커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도 2의 조작 레버를 나타내고, 도 6(a)는 도 1(b)의 조작 레버의 확대 사시도, 도 6(b)는 도 2(b)의 조작 레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어 홀더로의 조작 레버의 장착 도중 상태를 나타내고, 도 7(a)는 주요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리어 홀더로의 조작 레버의 장착 후를 나타내고, 도 8(a)는 주요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고, 도 9(a)는 결합 전의 사시도, 도 9(b)는 결합 후의 사시도, 도 9(c)는 도 9(b)의 IXC부분의 확 대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에 리어 홀더를 결합한 조립체로의 리어 커버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고, 도 10(a)는 장착 전의 사시도, 도 10(b)는 장착 후의 사시도, 도 10(c)는 도 10(b)의 XC부분의 확대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고, 도 11(a)는 결합 전의 사시도, 도 11(b)는 결합 후의 사시도, 도 11(c)는 도 11(b)의 XI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에 리어 홀더를 결합한 조립체로의 리어 커버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고, 도 12(a)는 장착 전의 사시도, 도 12(b)는 장착 도중의 사시도, 도 12(c)는 도 12(b)의 XII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리어 홀더로의 리어 커버의 장착을 나타내고, 도 13(a)는 평면도, 도 13(b) ~ 도 13(d)는 리어 커버 장착 상태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도 13(a)의 XIIIB - XIIIB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리어 홀더로의 리어 커버의 장착을 나타내고, 도 14(a)는 평면도, 도 14(b) 및 도 14(c)는 리어 커버 장착 상태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도 14(a)의 XIVB - XIVB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수컷형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5(a)는 커넥터 전체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양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a)는 전체의 사시도, 도 16(b)는 도 16(a)의 X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16(c)는 도 16(b)의 XVIC - XVIC 선으로 절단한 하우징 측의 단면도, 도 16(d)는 도 16(b)의 XVIC - XVIC선으로 절단한 조작 레버 측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양커넥터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a)는 전체의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의 X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17(c)는 도 17(b)의 XVIIC - XVIIC선으로 절단한 하우징 측의 단면도, 도 17(d)는 도 17(b)의 XVIIC - XVIIC선으로 절단한 조작 레버 측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기)커넥터
2 단자
3 커넥터 하우징
3A 삽입부
3B 맞물림부
6 리어 홀더
6A 외벽판
6B 내벽판
7A 지지 돌기
9 직사각형 홈
10A 수용 구멍
11 래칭부
11A 래칭 암
11B 래칭 바
11C 블록 돌기
20 리어 커버
22C 걸림 돌기
30 조작 레버
31 암 레버
33 피봇 돌기
33A 지축
33A' 회동 규제부
33B 플랜지
35 씰링 부재
36 제1 캠 홈
36B 래칭 홈
37 제2 캠 홈
40 상대방 커넥터
41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
42 맞물림 돌기

Claims (5)

  1. 내부에 단자(端子)가 수용되고, 전방에 상대방 커넥터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며, 후방에 홀더 장착부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장착부의 바깥 둘레에 끼워 넣어지는 씰링(sealing) 부재와,
    전방 단부를 상기 씰링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으로 이루고, 전방에 상기 홀더 장착부에 고정되는 끼워 넣음 구멍을 가지며, 후방에 커버 부착부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씰링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리어 홀더와,
    상기 커버 부착부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장착되는 리어 커버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의 후방의 커버 부착부에 인접한 개소에는 래칭(latching)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홀더 장착부에는 상기 래칭부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부는 상기 리어 홀더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리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칭부 및 맞물림부는 상기 리어 홀더와 상기 홀더 장착부가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래칭부는 상기 리어 홀더의 외벽의 일부에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래칭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칭 부재는 래칭 바(bar)와 블록(block) 돌기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된 래칭 홈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리어 홀더와의 고정이 불완전하고 상기 래칭부가 상기 맞물림부에 맞물려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래칭 바가 상기 래칭 홈에 걸리는 바로 앞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으로 타고 오르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칭 부재가 밀어 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상기 블록 돌기가 커버 부착부로의 상기 리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장착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의 외벽면의 일부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외벽판 및 내벽판으로 이루어진 2중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칭부는 상기 내벽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의 벽면에는 상대방 커넥터에 그 일부가 걸려 양커넥터의 결합을 행하는 조작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0023912A 2007-03-15 2008-03-14 전기 커넥터 KR100992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701941-7 2007-03-15
SG200701941-7A SG146465A1 (en) 2007-03-15 2007-03-15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732A true KR20080084732A (ko) 2008-09-19
KR100992309B1 KR100992309B1 (ko) 2010-11-05

Family

ID=3953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12A KR100992309B1 (ko) 2007-03-15 2008-03-1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70998B1 (ko)
JP (1) JP5059642B2 (ko)
KR (1) KR100992309B1 (ko)
CN (1) CN101267076B (ko)
SG (1) SG146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2657A1 (en) * 2008-11-28 2010-06-02 Tyco Electronics AMP GmbH Sectioning connector
JP5606089B2 (ja) * 2010-02-04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103948B1 (ko) 2010-08-17 2012-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6036661B2 (ja) * 2013-11-19 2016-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354992B2 (ja) * 2015-04-02 2018-07-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868282A (zh) * 2015-05-07 2015-08-26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JP6500761B2 (ja) * 2015-12-03 2019-04-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装置
JP2018067466A (ja) * 2016-10-20 2018-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64561Y (zh) * 1998-12-29 2000-02-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插座
JP3541929B2 (ja) * 1999-01-05 2004-07-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61356B1 (en) * 2000-10-03 2002-03-2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3173840A (ja) * 2001-12-05 2003-06-20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JP3747035B2 (ja) 2003-03-24 2006-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70126B2 (ja) * 2003-10-20 2008-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5209471A (ja) * 2004-01-22 2005-08-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052293B2 (en) * 2004-08-20 2006-05-30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CN2750516Y (zh) * 2004-10-27 2006-01-0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7150640B2 (en) * 2005-04-08 2006-12-19 Yazaki Corporation Lever type connector
JP4678227B2 (ja) * 2005-04-22 2011-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7076B (zh) 2011-03-30
SG146465A1 (en) 2008-10-30
EP1970998A2 (en) 2008-09-17
KR100992309B1 (ko) 2010-11-05
CN101267076A (zh) 2008-09-17
JP2008226826A (ja) 2008-09-25
EP1970998B1 (en) 2013-08-14
EP1970998A3 (en) 2011-11-23
JP5059642B2 (ja)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309B1 (ko) 전기 커넥터
KR20080084733A (ko) 전기 커넥터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US7530861B2 (en) Connector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20120322305A1 (en) Waterproof connector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JPH0523440U (ja) 端子の二重係止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H08306431A (ja) 端子係止具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0058199A (ja) コネクタモジュ―ル
JP3106286B2 (ja) リヤホルダー付きコネクタ
JP3494285B2 (ja) コネクタ
JPH08241759A (ja) レバー結合型コネクタ
KR19980024239A (ko) 멀티스테이지 콘넥터
US20170237196A1 (en) Connector
JP3433689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3433690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2183978A (ja) 電気コネクタ
JP3666087B2 (ja) 半嵌合検知機能付きコネクタ
KR20210001980A (ko) 피드백을 갖는 정합 보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3596427B2 (ja) 防水コネクタ
JPH11111378A (ja) 合体コネクタ
KR102628604B1 (ko)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