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562A -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562A
KR20080084562A KR1020077014654A KR20077014654A KR20080084562A KR 20080084562 A KR20080084562 A KR 20080084562A KR 1020077014654 A KR1020077014654 A KR 1020077014654A KR 20077014654 A KR20077014654 A KR 20077014654A KR 20080084562 A KR20080084562 A KR 2008008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rrection amount
output
vibration correct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S1: ON 후부터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소기간마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각 보정부(37)의 보정량을 교대로 채용하고,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보정량의 보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진동 보정량의 신호를, X축 액츄에이터 및 Y축 액츄에이터에 출력하는 구동 신호로서 교대로 채용하도록 했이다. 이로써, 시간적으로 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는, 그 직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비하여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다.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촬상 장치

Description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SHAKE DETECTION APPARATUS,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주어진 진동(shake)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의 망원 촬영, 암부(暗部)에서의(장시간 노광이 필요한) 촬영시에 있어서, 손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확실한 촬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에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진동이 주어져 광축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진동 보정용 광학계나 촬상 소자를 그 진동에 따라 구동시킴으로써 광축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이른바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된 촬상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의 진동량을 검출하는, 예를 들면, 쟈이로로 이루어지는 진동 검출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진동 검출 센서의 출력을 적분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진동각을 산출하고, 산출한 진동각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보정용 광학계 등의 구동을 행한다.
상기 진동 검출 센서는, 촬상 장치의 정지 시에 있어서의 검출 출력에 비교적 큰 개체차(個體差)가 있으므로, 또 상기 검출 출력이 환경 온도에 따라 변화되 므로, 통상, 진동 검출 센서는, 컨덴서 및 저항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하이패스 필터를 통하여 증폭기에 접속되고, 진동 검출 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 신호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기술 분야와 관련된 문헌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는, 각속도(角速度) 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카메라의 진동량을 산출하고, 이 진동량에 따라 촬영 광학계의 광로 중에 설치된 보정 광학계를 구동함으로써, 수광면 상에서의 피사체상의 이동을 보정하는 진동 보정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에 포함되는 직류 성분을 커팅하는 직류 컷 수단과, 각속도 센서의 출력 전압 V1으로부터 직류 성분 전압 V3를 빼는 감산 수단과, 상기 감산 수단의 출력 전압 V2에 따라 직류 성분을 (V3+V2/Kx)의 연산에 의해 산출하는 직류 검출 수단과, 상기 계수 Kx를 변경함으로써 직류 검출 수단의 검출 기준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으로 구성하고,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측광 스위치가 온 되기까지의 기간은 계수 Kx를 비교적 작은 값 K1으로 하여 비교적 높은 주파수 성분까지를 커팅하도록 하고, 측광 스위치가 온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은, 계수 Kx를 상기 값 K1보다 큰 값 K2를 향해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그 이후는 계수 Kx를 상기 값 K2로 설정하고,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만을 커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8-82823호 공보
진동 검출 센서에 컨덴서 및 저항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상기 하이 패스 필터를 구비한 경우, 예를 들면, 촬상 장치에 대하여 패닝(panning) 동작이 행해지면, 진동 검출 센서의 출력 신호가 직류 성분 신호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하이 패스 필터는,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단, 하이 패스 필터의 시정수에 의해 감쇄됨)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써, 잘못된 검출 결과(검출 각도)가 생성되어, 진동 보정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며, 진동 보정 성능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검출 수단과,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나타내는 진동을 보정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도록 하는 동시에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보다 오차가 작은 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라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진동 검출 장치를 탑재하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에 대하여 패닝 동작이 행해지면, 상기 진동 검출 수단이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하지만, 이 신호는 서서히 감쇠하고, 출력 오차(실제의 촬상 장치의 진동 상태에 대한 오차)는 작아져 간다.
따라서, 이 패닝 동작 후에 있어서, 각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시간을 늦추어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했을 때는, 시간적으로 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은, 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 검출 수단이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한 경우라도, 진동 보정 성능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제1 적분 수단과,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을 적분하는 제2 적분 수단 및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동작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출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에 기인하여 전기 신호가 출력되면, 제1 적분 수단에 의해,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적분된다. 또, 제2 적분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이 적분된다. 그리고, 보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동작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출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이 보정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시간과 상기 제2 소정 시간은 동일 시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소정 시간과 상기 제2 소정 시간을 동일 시간으로 하였으므로, 제1 소정 시간과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상이한 경우에 비하여, 시간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시간의 관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행해졌을 때 상기 선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행해졌을 때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선택을 행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 타이밍과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선택 타이밍이 상이한 경우에 비하여, 시간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시간의 관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선택하지 않았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이번의 보정량과,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최근의 보정량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보정량에 대응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작은 쪽의 보정량에 기초하여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량을 기억하는 동시에,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이번의 보정량과,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최근의 보정량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보정량에 대응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작은 쪽의 보정량에 기초하여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이번 출력에 소정의 계수를 곱하는 승산(乘算) 수단과, 상기 승산 수단의 승산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승산값을,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다음 회의 출력으로부터 감산하고, 그 감산값을 상기 제1 적분 수단에 출력하는 감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승산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이번 출력에 소정의 계수가 승산되고, 감산 수단에 의해, 상기 승산 수단의 승산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승산값이,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다음 회의 출력으로부터 감산되고, 그 감산값이 상기 제1 적분 수단에 출력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킨 다음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이 변경되었을 때,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킨 다음 재개시키도록 했으므로, 이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은, 상기 정지를 행하기까지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진동 검출 수단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에 있어서, 컨덴서 및 저항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이 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는,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하이 패스 필터는, 이 전기 신호로부터 소정의 저주파 성분의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적분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하이 패스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특유의 문제, 즉 진동 검출 수단의 전기 신호에 직류 성분 신호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하이 패스 필터가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하는 데 기인하여, 잘못된 접촉 검출 신호가 생성되고, 나아가서는 진동 보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촬상 수단에 안내되는 피사체 광상(光像)의, 상기 진동 보정 장치에 주어진 진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상 떨림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진동 보정 장치로서, 피사체 광상을 결상하기 위한 촬영 광학계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와, 상기 진동 검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한 피사체 광상의, 상기 촬상 수단의 수광면에 대한 결상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을 행하도록, 이 산출한 진동 보정량에 따라 대상(對象)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의해 진동 검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동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한 피사체 광상의, 상기 촬상 수단의 수광면에 대한 결상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이 산출되고, 상기 보정을 행하도록, 상기 산출한 진동 보정량에 따라 대상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검출 장치를 탑재하였으므로, 진동 보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한 진동 보정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진동 보정 장치와, 상기 진동 보정 장치에 의해 상 떨림의 보정이 행해진 피사체 광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하여 촬상 동작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보정 장치는,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지시가 입력되면, 진동 보정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보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한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서의 보정 수단에 보정 동작을 개시하게 하고, 이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서의 보정 수단에 보정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서의 보정 수단에 보정 동작을 개시하게 하고, 이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서의 보정 수단에 보정 동작을 개시하게 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지시의 입력 이후에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광상에 대하여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의 전기 신호에 따른 진동 보정량의 도출을 각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상이한 타이밍에서 실행하는 동시에, 출력 오차가 현시점에서 가장 작은 진동 검출 수단의 전기 신호에 따라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진동 검출 수단이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한 경우라도, 진동 보정 성능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촬상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진동 보정 기구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촬상 소자의 촬상면과 반대측(배면측)의 면으로부터 본 도면, (b)는, (a)의 A-A선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촬상 장치에서의 진동 보정 동작에 관한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a)는, 가로축을 시각 T로 하여 촬상 장치에 대한 패닝 동작을 나타낸 촬상 장치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b)는, (a)에 나타낸 패닝 동작을 행한 경우의 진동 검출 센서의 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c)는, (b)에 나타낸 출력이 진동 검출 센서로부터 출력된 경우에서의 제1 HPF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2 적분부의 출력값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a)는, 촬상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각도를 나타낸 그래프, (b)는, 제1 HPF의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 (c)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적분부에 의해 산출되는 진동 각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a)는, 제1 HPF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 (b)는, (a)의 시각 T= tα에서 진동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출력을 나타낸 도면, (c)는, (a)의 시각 T= tβ에서 진동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출력을 나타낸 도면, (d)는, (a)의 시각 T= tγ에서 진동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 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진동 보정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도 12의 스텝 #7, #12에 있어서의 진동 검출 처리의 서브 루틴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촬상 장치(1)의 정면도, 도 2는, 촬상 장치(1)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1,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장치 본체(1A)에, 촬영 광학계(2), 셔터 버튼(3), 광학 파인더(4), 플래시(5), LCD(Liquid Crystal Display)(6), 기능 스위치군(7), 전원 버튼(8), 모드 설정 스위치(9) 및 진동 검출 센서(10)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광학계(2)는, 장치 본체(1A)의 앞면 적소(適所)에 설치되어 있고, 피사체의 광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촬영 광학계(2)는, 촬영 화각(畵角)을 변경하기 위한 줌렌즈군(12)(도 3 참조)이나 초점 조절을 행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군(13)(도 3 참조) 등을 가지고, 초점 거리의 변경이나 초점 위치의 조절을 행한다.
셔터 버튼(3)은, 2단계(반누름 및 완전 누름)로 가압 조작되는 버튼이며, 노광 제어의 타이밍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촬상 장치(1)는,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가지고, 정지화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의 설정시에 있어서, 셔터 버튼(3)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1/30초마다 피사체의 화상(라이브 뷰 화상)이 갱신되어 LCD(6)에 표시된다.
그리고, 라이브 뷰 화상은, 피사체의 화상을 기록하기까지의 기간(촬영 준비 기간),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1/30초)로 LCD(6)에 전환 표시되는, 촬상 소자(14)(도 3 참조)로 촬상된 화상을 말하고, 이 라이브 뷰 화상에 의해, 피사체 상태 가 대략 리얼타임으로 LCD(6)에 표시되고, 촬영자는 피사체 상태를 LCD(6)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셔터 버튼(3)의 반누름 조작이 행해지므로, 노출 제어값(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값) 등의 설정이 행해지는 촬상 대기 상태로 설정되고, 완전 누름 조작이 행해지므로, 후술하는 외부 기억부(21)(도 3 참조)에 기록하는 피사체의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상 소자(14)에 의한 노광 동작(기록용 노광 동작)이 개시된다.
동영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셔터 버튼(3)의 완전 누름 조작이 행해지므로, 기록용 노광 동작이 개시되고, 주기적으로 촬상 소자(14)로부터 꺼내진 화소 신호에 의해 화상이 생성되고, 재차 완전 누름 조작이 행해지므로, 그 기록용 노광 동작이 정지한다.
셔터 버튼(3)의 반누름 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S1가 온(S1: ON)됨으로써 검출되고, 셔터 버튼(3)의 완전 누름 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S2가 온(S2: ON)됨으로써 검출된다.
광학 파인더(4)는, 장치 본체(1A)의 배면 적소에 설치되어 있고, 피사체가 표시되는 범위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플래시(내장 플래시)(5)는, 장치 본체(1A)의 앞면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촬상 소자(14)로의 노광량이 부족한 경우 등에, 도시하지 않은 방전 등을 방전시킴으로써 피사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LCD(6)는, 장치 본체(1A)의 배면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컬러 액정 패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LCD(6)는, 촬상 소자(14)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표시나 기록이 완료된 화상의 재생 표시 등을 행하는 동시에, 촬상 장치(1)에 탑재되는 기능이나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기능 스위치군(7)은, LCD(6)의 우측편에게 설치되어 있고, 줌렌즈군(12)(도 3 참조)의 와이드 방향 또는 텔레 방향의 구동을 행하기 위한 줌 스위치나, 초점 조절을 행하는 포커스 렌즈군(13)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포커스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원 버튼(8)은, 장치 본체(1A)의 배면으로서 기능 스위치군(7)의 좌측편에게 설치되어 있고, 가압할 때마다 주전원의 ON/OFF가 교대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모드 설정 스위치(9)는, 장치 본체(1A)의 배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피사체상의 정지화상 촬영을 행하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피사체상의 동영상 촬영을 행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와, 외부 기억부(21)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LCD(6)에 재생 표시하는 「재생 모드」 사이에서 모드의 전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모드 설정 스위치(9)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3접점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아래(「C」의 위치)로 세팅하면 촬상 장치(1)가 재생 모드로 설정되고, 중앙(「B」의 위치)으로 세팅하면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고, 위(「A」의 위치)로 세팅하면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된다.
진동 검출 센서(10)는, 장치 본체(1A)의 적소에 내장되어 있고, 도 1의 수평 방향으로 X축, 상기 X축에 수직인 방향을 Y축으로 하는 2차원 좌표계를 상정하는 것으로 하면, X축 방향의 장치 진동을 검출하는 X센서(10a)와, Y축 방향의 장치 진동을 검출하는 Y 센서(10b)로 이루어진다. X센서(10a) 및 Y 센서(10b)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사용한 쟈이로로 구성되어 있고, 각방향의 진동의 각속도를 검출한다. 진동 검출 센서(10)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동 검출 수단의 일례이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촬상 장치(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도 2와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LCD(6)는, 도 2에 나타낸 LCD(6)에 상당하는 것이다. 촬영 광학계(2)는, 줌렌즈군(12) 및 포커스 렌즈군(13)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촬상 소자(14)는, 장치 본체(1A)의 배면측의 영역에 있어서, 그 수광면이 촬영 광학계(2)의 광축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4)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광전 변환 소자(이하, 화소라고 함)가 매트릭스형으로 2차원 배열되고, 각 광전 변환 소자의 수광면에, 각각 분광 특성이 상이한 R(적), G(녹), B(청)의 컬러 필터가 1:2:1의 비율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어 배열의 CCD(Charge Coupled Device) 컬러 영역 센서이다. 촬상 소자(14)는, 촬영 광학계(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상을 R(적), G(녹), B(청) 각 색성분의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R, G, B 각 색의 화소 신호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촬상 소자(14)로서는, CCD 이미지 센서 외에, CMOS 이미지 센서, VMIS 이미지 센서 등이 채용 가능하다.
촬상 소자(14)는, 후술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17)에 의해, 촬상 소자(14)의 노출 제어의 개시 및 종료나, 촬상 소자(14)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화소 신호의 판독(수평 동기, 수직 동기, 전송) 등의 촬상 동작이 제어된다.
신호 처리부(15)는,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에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신호 처리부(15)는, CDS(상관 이중 샘플링)회로와 AGC(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를 가지고, CDS 회로에 의해 화소 신호의 노이즈의 저감을 행하고, AGC 회로에 의해 화소 신호의 레벨 조정을 행한다.
A/D 변환부(16)는, 신호 처리부(15)에 의해 출력된 아날로그의 R, G, B의 화소 신호를, 복수개의 비트(예를 들면 10비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의 화소 신호(이하, 화소 데이터라고 함)로 각각 변환하는 것이다.
타이밍 제어 회로(17)는, 제어부(22)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록 CLK0에 따라 클록 CLK1, CLK2, CLK3를 생성하고, 클록 CLK1를 촬상 소자(14)에, 클록 CLK2를 신호 처리부(15)에, 클록 CLK3를 A/D 변환부(16)에 각각 출력함으로써, 촬상 소자(14), 신호 처리부(15) 및 A/D 변환부(16)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 메모리(18)는, 촬영 모드의 설정시에는, A/D 변환부(16)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동시에, 이 화소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부(22)에 의해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메모리이다. 또, 화상 메모리(18)는, 재생 모드의 설정시에는, 외부 기억부(21)로부터 판독한 화소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VRAM(19)는, LCD(6)의 화소수에 대응한 화상 신호의 기록 용량을 가지고, LCD(6)에 재생 표시되는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 신호의 버퍼 메모리이다.
입력 조작부(20)는, 전술한 셔터 버튼(3), 기능 스위치군(7), 전원 버튼(8) 및 모드 설정 스위치(9)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들 조작 정보를 제어부(22)에 입력하는 것이다. 외부 기억부(21)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2)에서 생성된 화상을 보존하는 것이다.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나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부가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장치 본체(1A) 내의 각 부재의 구동을 관련지어 제어하여 촬상 장치(1)의 촬영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촬상 장치(1)에는,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의 망원 촬영, 암부(暗部)에서의 (장시간 노광이 필요한)촬영시에 있어서, 손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확실한 촬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1)에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진동이 주어져 상기 광축 L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촬상 소자(14)를 그 진동에 따라 적당히 이동(요동)시킴으로써 광축 L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이른바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22)는, 촬상 장치(1)에게 주어진 진동을 보정(상쇄)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진동 보정 기구(23)는, 상기 손떨림 보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며, 제어부(22)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에 따라 촬상 소자(14)를 촬영 광학계(2)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광축 L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것 이다.
도 4는, 상기 진동 보정 기구(2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a)는, 촬상 소자(14)의 촬상면과 반대측(배면측)의 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4 (b)는, 도 4 (a)의 A-A선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소자(14)의 촬상면에 대하여, 각 변의 방향을 X축 및 Y축으로 하는 2차원 좌표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진동 보정 기구(23)는, 대략 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제1 기판(24), 제2 기판(25) 및 제3 기판(26)과, X축 액츄에이터(27)와 Y축 액츄에이터(28)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제1 기판(24)은, 장치 본체(1A)에 고정된 중공(中空)의 부재이며, X축 액츄에이터(27)는 상기 제1 기판(24)의 배면측 상부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기판(25)은, 이 X축 액츄에이터(27)에 연결된 중공의 부재이다. Y축 액츄에이터(28)는, 제2 기판(25)의 표면 일측부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3 기판(26)은, 이 Y축 액츄에이터(28)에 연결된 판형의 부재이며, 이 제3 기판(26)의 표면에 촬상 소자(1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기판(25) 및 제3 기판(26)은, 소정의 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레일 부재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되고 있다.
제2 기판(25)은, 상측 에지부의 중앙 위치에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5a)를 가지고, 이 돌출부(25a)에 있어서의 제1 기판(24) 측의 면에는, 슬라이더(2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29)와 X축 액츄에이터(27)의 구동축(30)과의 마찰 결합을 통하여 제1 기판(24)과 제2 기판(25)이 연결되고, 이로써, 제2 기판(25)은, 제1 기판(24)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기판(25)의 일측부에 있어서의 제1 기판(24) 측의 면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드(2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9)와 Y축 액츄에이터(28)의 구동축(30)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Y축 액츄에이터(28)를 통하여 제3 기판(26)과 제2 기판(25)이 연결되고, 제3 기판(26)은, 제2 기판(25)에 대하여 Y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동 보정 기구(23)의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에 소정의 구동 펄스를 연속하여 인가함으로써, 촬상 소자(14)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는, 진동 검출 센서(10)에 의해 장치 진동의 진동량 및 진동 방향을 검출하고, S1: ON를 트리거로 하여 그 진동에 대한 보정량의 산출을 개시하고, 이 산출 결과에 따라 상기 진동 보정 기구(23)를 사용하여 진동 보정 동작을 행한다.
도 5는,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진동 보정 동작에 관한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진동 검출 센서(10)와, X축 액츄에이터(27)와, Y축 액츄에이터(28)와, 제1 하이 패스 필터(이하, 제1 HPF라고 함)(31)와, 증폭기(32)와, A/D 변환기(33)와, 제어부(22)를 가진다.
진동 검출 센서(10)는, 도 1에 나타낸 진동 검출 센서(10)에 상당하는 것이며,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는, 도 4에 나타낸 X축 액츄에이 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에 상당하는 것이다.
제1 HPF(31)는, 예를 들면, 컨덴서와 저항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 신호로부터 소정의 저주파 성분의 신호를 커팅하는 것이다. 컷 오프 주파수는, 예를 들면, 0.3kHz로 설정된다.
증폭기(32)는, 상기 제1 HPF(31)의 출력을 증폭하는 것이며, A/D 변환기(33)는, 상기 증폭기(32)의 아날로그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어부(22)는, 도 3에 나타낸 제어부(22)에 상당하는 것이며, 기능적으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와,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와, 동작 전환 제어부(48)와, 구동 신호 생성부(49)를 가진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는, 대략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제2 HPF(34)와, 제1 적분부(35)와, 제2 적분부(36)와, 보정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HPF(34)는, 주로 증폭기(32)나 A/D 변환기(33)의 특성 등에 의해 생기는 소정의 저주파 성분이나 직류 성분 신호를 커팅하는 것이다. 제2 HPF(34)의 컷 오프 주파수는, 예를 들면, 0.9kHz로부터 0.1kHz까지 변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적분부(35)는, 제2 HPF(34)의 출력에 따라 진동 각도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신호 생성부(49)에 출력하는 것이며, 가산기(40), 적분기(41) 및 계수 승산기(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산기(40)는, 제2 HPF(34)의 출력과 계수 승산기(42)의 출력을 가산하는 것이다.
적분기(41)는, 가산기(40)의 출력을 적분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정부(37)는, 스위치부(46)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스위치부(46)가 오프일 때는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적분기(41)에는, 가산기(40)의 출력이 그대로 입력되게 되고, 상기 적분기(41)에 있어서 상기 가산기(40)의 출력이 적분되는 한편, 상기 스위치부(46)가 온 일 때는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가 행해지므로, 상기 적분기(41)에는, 상기 가산기(40)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보정 처리가 행해진 결과가 입력되게 되고, 상기 적분기(41)에 있어서 이 보정 후의 출력값이 적분된다.
계수 승산기(42)는, 적분기(41)의 출력에 1 이하의 소정의 계수 K를 승산하고, 그 승산값을 상기 가산기(40)에 출력하는 것이다. 계수 승산기(42)의 이번 입력값(적분기(41)의 출력값)을 X, 계수 승산기(42)에 있어서 상기 입력값에 승산하는 계수를 K, 제2 HPF(34)의 출력을 일정한 것으로 가정해 그 값을 Y라고 하면, 제1 적분부(35)의 출력 Z는, X(1-K)= Y로 될 때 일정값으로 된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는, 컨덴서 및 저항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제1 HPF(3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에 대하여 패닝 동작이 행해지므로,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 신호가 직류 성분 신호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HPF(31)는,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6 (a)는, 가로축을 시각 T로 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한 패닝 동작을 나타낸 촬상 장치(1)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b)는, 도 6 (a)에 나타낸 패닝 동작을 한 경우의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c)는, 도 6 (b)에 나타낸 출력이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된 경우에서의 제1 HPF(31)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이 도 6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부여되는 진동(손떨림)의 영향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 t1으로부터 시각 T= t2까지의 사이, 촬상 장치(1)에 대하여 회전 각도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한 패닝 동작을 한 경우,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 검출 센서(10)는, 시각 T= t1으로부터 시각 T= t2까지의 사이, 일정한 출력값을 출력한다.
또,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래프의 출력 파형에 의해 표현되는 출력이 행해지면,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HPF(31)의 출력은, 시각 T= t1에 순간적으로 일어선 후, 시각 T= t2까지 점감한다. 시각 T= t1에서부터 시각 T= t2까지의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 파형은, 제1 HPF(31)에 구비되는 컨덴서의 용량 및 저항 소자의 저항값에 근거한 시정수(時定 數)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1 HPF(31)의 출력은,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이 소정값으로부터 으로 하강하는 시각 T= t2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역극성의 어떤 값까지 하강한 후, 점증하여 이윽고 패닝 동작이 행해지기 전의 값(예를 들면 0)으로 수속(收束)한다(이 수속값을α라고 한다).
여기서,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HPF(31)의 출력이 점증 중인 예를 들면, 시각 T= t3에서 S1: ON 된(셔터 버튼(3)이 반누름된) 경우를 상정한다.
진동 보정 동작은 S1: ON를 트리거로 하여 개시되므로, 상기 시각 T= t3에서 진동 보정 동작을 개시한 경우, 제1 HPF(31)의 출력이 상기 수속값α은 아닌, 역극성의 어떤 값을 초기치로 하여, 적분기(41)에 의해 진동 각도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실제로는 시각 T= t3의 시점에서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패닝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패닝 동작을 한 것 같은 가짜 신호(잘못된 진동 각도 신호)가 생성되고 있었다. 이 가짜 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S2: ON으로 되면(셔터 버튼(3)이 완전히 눌러지면), 잘못된 검출 결과(검출 각도)에 따라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지게 되어,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있어서의 각 제2 적분부(36) 및 보정부(37)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며, 촬상 장치(1)에 대한 패닝 동작을 한 경우에 제1 적분부(35)의 출력을 보정한다.
제2 적분부(36)는, 가산기(43)와 적분기(4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가산기(43)는, 상기 스위치부(46)가 오프 시에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과 적분기(44)의 출력을 가산하고, 상기 스위치부(46)가 온 시에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가 행해진 결과와 적분기(44)의 출력을 가산하는 것이다. 적분기(44)는, 가산기(43)의 출력을 적분하는 것이다.
보정부(37)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제2 적분부(36)의 출력을 사용하여 보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계수 승산기(45), 스위치부(46) 및 감산기(47)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계수 승산기(45)는, 제2 적분부(36)의 출력에 소정의 계수(예를 들면, 1%)를 승산하는 것이다. 스위치부(46)는,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의 실행의 유무를 결정하는 것이다.
감산기(47)는, 스위치부(46)가 오프 시에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제1 적분부(35)의 적분기(41)에 출력하고, 스위치부(46)가 온 일 때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보정부(37)에 있어서의 계수 승산기(45)의 출력을 감산하고, 그 감산값을 제1 적분부(35)의 적분기(41)에 출력하는 것이다.
도 7은, 제2 적분부(36)의 출력값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적분부(36)의 출력값을 나타내는 파형은, 예를 들면, 제1 적분부(35)의 출력의 평균값이 플러스인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파형으로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출력 파형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적분값이 저하되는 기간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제1 적분부(35)의 출력이 일시적으로 마이너스로 되는 기간이 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적분부(36)의 출력값의 변화 중에서의 어떤 시각 T= tp에 보정부(37)의 스위치부(46)가 온되면, 이 시점에 있어서의 적분값 Sp의 예를 들면, 상기 계수(1%)에 상당하는 값(0.01×Sp)이 보정값으로서 설정되고, 제1 적분부(35)의 출력이 상기 보정값을 사용하여 보정되는, 즉 감산기(47)에 있어서 제1 적분부(35)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보정값이 감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적분부(36) 및 보정부(37)를 사용하여 제1 적분부(35) 의 출력을 보정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8 (a)는, 촬상 장치(1)에 주어진 진동의 각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 (b)는, 제1 HPF(31)의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8 (c)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적분부(35)에 의해 산출되는 진동 각도(이하, 산출 진동 각도라고 함)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8 (a)~(c)에 나타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각을 나타내고, 그 가로축의 원점은, 도 6의 시각 T= t3에 상당한다.
시각 T= t3이후,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진동이 촬상 장치(1)에 주어졌던 것으로 하면, 종래에는, 도 8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적분부(35)에 의해 산출되는 진동 산출 각도의 파형은, 비교적 긴 시간 TL를 들여, 파형의 진폭 중심이 비교적 크게 변화하고, 그 시간 경과 후에 대략 안정된 파형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적분부(35)에 의해 산출되는 진동 산출 각도의 파형이 비교적 긴 시간 TL이 걸려 비교적 크게 변화하면, 이 변화 중에, S2: ON 된(셔터 버튼(3)이 완전히 눌러진) 경우에, 실제의 진동과는 상이한 검출 결과(진동 산출 각도)에 따라 진동 보정량이 산출되고, 잘못된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지는 결과,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보정부(37)의 스위치부(46)를 온함으로써, 제1 적분부(35)의 출력이 제2 적분부(36)의 출력을 사용하여 보정된다.
도 8 (d)는, 도 8 (a)에 나타낸 진동이 촬상 장치(1)에 주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보정부(37)에 의 해 보정 동작을 실행한 경우의 산출 진동 각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출 진동 각도는, 스위치부(46)가 온할 때까지는, 도 8 (c)와 마찬가지의 파형으로 되지만, 스위치부(46)가 온하는 타이밍(시각 T= t9)에서,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보정값이 가해짐으로써, 순간적으로 비교적 크게 저하된 후, 신속하게 소정 범위 내에 안정된 파형으로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스위치부(46)가 온하는 타이밍(시각 T= t9) 이후의 산출 진동 각도의 파형을, 소정의 구성을 사용하여 그 진폭 중심이 대략 0으로 되도록 오프셋시키면, 촬상 장치(1)에 실제로 주어진 진동의 진동 각도의 파형(도 8 (a))에 근사한 것이 얻어진다.
그 결과, 어느 타이밍에서 S2: ON된 경우라도, 촬상 장치(1)에 실제로 주어진 진동의 진동 각도의 파형에 충실한 산출 진동 각도에 따라 진동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실제의 진동과는 상이한 검출 결과에 따라 잘못된 진동 보정량이 산출되는 것이 방지 또는 억제되어, 보다 정확한 진동 보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는, 각각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HPF(31)의 출력은, 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이 역극성의 어떤 값까지 하강한 후에는 점증하여 이윽고 패닝 동작이 행해지기 전의 값(예를 들면 0)으로 수속하여 출력 오차가 점차 감소해 가므로, S1: ON 후부터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소(小)기간마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를 교대로 동작시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각 보정부(37)의 보정량을 교대로 채용하고,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대하여 그 채용한 보정량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진동 보정량의 신호를,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에 출력하는 구동 신호로서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시간적으로 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는, 그 직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비하여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닝 동작 종료후에 있어서의 진동 보정 오차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도 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HPF(31)의 출력(절대값)이 서서히 작게 되어 갈 때, 제1 HPF(31)의 출력이 역극성으로 되는 시각 T= tα에서 진동 검출 동작(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의한 적분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서의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보정부(37)에 의한 보정량 X1, 시각 T= tα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Δt의 시각 T= tβ에서 진동 검출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서의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보정부(37)에 의한 보정량 X2, 시각 T= tβ로부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Δt의 시각 T= tγ에서 진동 검출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서의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보정부(37)에 의한 보정량 X3의 대소는, 시간적으로 후에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개시할 수 록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X1>X2>X3로 된다.
또, 도 9 (b)~(d)의 화살표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상기 제1 HPF(31)의 출력이 역극성으로 되는 시각 T= tα보다 늦어질 수록, 도출되는 진동 보정량의 출력 파형이 평탄(수평)에 가까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파형을, 소정의 구성을 사용하여 그 진폭 중심이 대략 0으로 되도록 오프셋시키는 경우에, 진동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상기 제1 HPF(31)의 출력이 역극성으로 되는 시각 T= tα보다 늦어질 수록, 촬상 장치(1)에 실제로 주어진 진동의 진동 각도의 파형에 근사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 9 (b)~(d)에 있어서는, 진동(손떨림)의 영향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것을 사용하여, 도 6 (c)와 동일한 제1 HPF(31)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 10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 t0에 S1: ON되고, 또한 시각 T= t5에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된 것으로 하면, 시각 T= t0로부터 시각 T= t1까지의 소기간 A에 있어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1에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동작을 실행한다.
또, 시각 T= t1으로부터 시각 T= t2까지의 소기간 B에 있어서는,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가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2에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동작을 실행한다. 또, 시각 T= t2에서부터 시각 T= t3까지의 소기간 C에 있어서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3에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동작을 실행한다. 또, 시각 T= t3으로부터 시각 T= t4까지의 소기간 D에 있어서는,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가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4에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4로부터 시각 T= t5까지의 소기간 E에 있어서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상기 진동 검출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실행하고, 시각 T= t5에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각 진동 보정량 도출부는, 각 기간에 있어서 진동 검출 동작(적분 동작)을 개시할 때는, 적분기(41)를 시작으로 하는 각 부의 설정을 클리어로 한다(초기값으로 되돌린다).
이로써, 각 기간에 행해지는 진동 보정은, 시간이 경과하여 갈 수록, 상기 가짜 신호의 영향이 보다적은, 촬상 장치(1)에 실제로 주어진 진동의 진동 각도의 파형에 근사한 것으로 되어 간다. 그리고, 이 도 10 (b)~(d)에 있어서도, 진동(손떨림)의 영향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촬상 장치(1)는,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진동 보정량 도출부를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와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2개) 설치하는 동시에, 동작 전환 제어부(48) 및 구동 신호 생성부(49)를 구비하고 있다.
동작 전환 제어부(48)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동작 전환 제어부(48)는, 전술한 바와 같이, S1: ON으로 되면, 먼저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만을 동작시켜, S1: ON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면, 650ms) 경과 후에,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도 동작시킨다.
또, 동작 전환 제어부(48)는, 그 이후, 후술하는 메인 설정부(52)에 의해 서브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서 설정된 진동 보정량 도출부(이하,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라고 함)에 있어서,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를 행한(스위치부(46)를 온한) 후에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동작 전환 제어부(48)는, 메인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서 설정된 진동 보정량 도출부(이하,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라고 함)에 대하여는, 보정부(37)에 의한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고(스위치부(46)를 오프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도록 제어한다.
구동 신호 생성부(49)는, 기억부(50)와, 비교 판정부(51)와, 메인 설정부(52)와, 보정 신호 출력부(53)를 구비한다.
기억부(50)는, 상기 메인 설정부(52)에 의해 설정된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보정부(37)에 의한 보정량을 기억하는 것이다.
비교 판정부(51)는, 상기 소정 시간(도 10에 나타낸 각 소기간 A~E에 대응하는 시간)마다,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이번의 보정량의 절대값과, 기억부(50)에 기억되어 있는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의 절대값과의 대소를 비교·판정하는 것이다.
메인 설정부(52)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 중,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의 구동 신호로서 채용해야 할 쪽의 진동 보정량의 신호를 출력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를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 설정하는 것이다.
즉, 메인 설정부(52)는, 먼저, S1: ON으로 되면,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를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를 서브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각각 설정한다. 또, 상기 비교 판정부(51)에 의해,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이번의 보정량의 절대값이, 기억부(50)에 기억되어 있는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의 절대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현재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를 메인의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 전환 설정하는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 및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를 현상 유지한다.
보정 신호 출력부(53)는, 상기 메인 설정부(52)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부터 출력된 진동 보정량의 신호를,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의 구동 신호로서 상기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28)에 출력하는 것이다.
도 11은, 구동 신호 생성부(49)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세로축은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출력,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각 소기간 A~E는, 도 10에 나타낸 각 소기간 A~E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서 설정되고, 시각 T= t0에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의한 진동 검출 동작(제1, 제2 적분부(35, 36)에 의한 적분 동작)이 개시되고, 이 진 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 t1에, 상기 시각 T= t1까지의 소기간 A에서 행해진 상기 적분 동작에 의해 결정하는 보정부(37)의 보정량(도 11 중의 「보정량 1」)으로 보정이 실행된다. 또, 상기 보정부(37)의 보정량이 기억부(50)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8이나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T= t1에서, 보정부(37)의 보정에 의해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출력이 파형 1로 나타낸 출력으로부터 파형 2로 나타낸 출력으로 변화되고, 이 시각 T= t1에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출력의 차이가, 소기간 A에서 행해진 상기 적분 동작에 의해 결정하는 보정부(37)의 보정량에 상당한다. 또, 시각 T= t1 이후,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 전환 설정되기까지(후술하는 시각 T= t2까지), 적분값의 리셋을 행하지 않고 상기 보정부(37)의 보정이 행해진 진동 보정량(도 11의 곡선 2에 나타낸 진동 보정량)에 따라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시각 T= t1에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의한 진동 검출 동작(제1, 제2 적분부(35, 36)에 의한 적분 동작)도 개시된다. 이 진동 검출 동작은, 시각 T= t1에서의 제1 HPF(31)의 출력에 따라 행해지게 된다. 도 11의 곡선 3은, 소기간 B에 있어서의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출력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그리고, 시각 T= t1에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 t2에, 상기 시각 T= t2까지의 소기간 B에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의해 행해진 상기 적분 동작에 의해 결정하는 보정부(37)의 보정량(도 11 중의 「보정량 2」)과, 기억부(50)에 기억된 상기 보정량(시각 T= t1에서 산출된 「보정량 1」)과의 대소가 비교된다.
여기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진동 검출 동작은, 시간적으로 후의 시점, 즉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시점보다 작은 시점에서 개시되고 있으므로, 이 소기간 B에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은, 소기간 A에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 보다 작아진다.
또, 상기 「보정량 2」가,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소정값 이하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소기간 B에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이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츄에이터의 구동 신호로서 채용되는 동시에,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가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설정된다.
또한, 새롭게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설정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이 기억부(50)에 갱신되어 기억되는 동시에, 새롭게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설정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가 리셋(적분값의 리셋)된다.
그리고, 시각 T= t2에서, 보정부(37)의 보정에 의해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출력이 파형 3으로부터 파형 4로 나타낸 출력으로 변화되고, 이 시각 T= t2에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출력의 차이가, 소기간 B에서 행해진 상기 적분 동작에 의해 결정하는 보정부(37)의 보정량에 상당한다. 또, 시각 T= t2 이후,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가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로 전환 설정되기까지(후술하는 시각 T= t3까지), 적분값의 리셋을 행하지 않고 상기 보정부(37)의 보정이 행해진 진동 보정량(도 11의 곡선 4로 나타낸 진동 보정량)에 따라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시각 T= t2에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시각 T= t3까지의 소기간 C에 있어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의해 진동 검출 동작이 행해지는 한편,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의해 적분값의 리셋을 한 다음 진동 검출 동작이 행해진다. 도 11의 곡선 5는, 소기간 C에 있어서의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출력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그리고, 시각 T= t3에, 상기 시각 T= t3까지의 소기간 C에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의해 행해진 상기 적분 동작에 의해 결정하는 보정부(37)의 보정량(도 11 중의 「보정량 3」)과, 기억부(50)에 기억된 상기 보정량(시각 T= t2에서 산출된 「보정량 2」)과의 대소가 비교된다.
여기서, 전술과 마찬가지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의한 이번 진동 검출 동작은, 시간적으로 후의 시점, 즉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의한 전회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시점보다 작은 시점에서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 소기간 C에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은, 소기간 B에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 보다 작아진다.
또,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상기 「보정량 3」이 소정값 이하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시각 T= t2의 시점에서 행한 전술한 각종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한편, 상기 「보정량 3」이 소정값 이하의 상태로 되었을 때는, 제1 HPF(31)의 출력이 수속값 α에 대략 수속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기억부(50)에 기억하는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또, 상기 「보정량 3」이 소정값 이하의 상태로 되면, 그 이후는, 이 보정부(37)에 의한 보정량을 0으로 하여 진동 보정 동작이 행해진다. 도 11의 곡선 6은, 소기간 D 이후에 있어서의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출력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그리고,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타이밍에 대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의 지연 시간과 보정부(37)의 보정 동작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일치시키면, 시간의 관리가 용이해져,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간단화할 수 있다.
도 12는,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진동 보정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버튼(3)이 반누름 되고 S1: ON으로 되면(스텝 #1에서 YES), 제2 HPF(34)는, 컷 오프 주파수를 소정의 초기값(예를 들면, 0.9kHz)로 설정하고(스텝 #2), 제1 적분부(35) 및 제2 적분부(36)는 리셋된다(스텝 #3). 그리고,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가 설정되고(스텝 #4),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의한 진동 검출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5).
다음에, 상기 보정 타이머는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6). 그리고, 제어 부(22) 등은, 후술하는 진동 검출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7), S1: ON가 아닌 경우(셔터 버튼(3)의 반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스텝 #8에서 NO),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는 한편, 이어서 S1: ON인 경우에는(스텝 #8에서 YES), S2: ON인지 여부(셔터 버튼(3)의 완전 누름 조작에 의해 본(本) 노광 동작에 지시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9).
S2: ON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9에서 NO), 제어부(22)는, 샘플링 주기(진동 검출 센서(10)의 출력의 받아들임 주기 예를 들면 2kHz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 샘플링 주기가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10에서 NO), 샘플링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샘플링 주기가 경과하면(스텝 #10에서 YES), 스텝 #7의 처리로 돌아온다.
한편, 스텝 #9에서 S2: ON인 경우에는(스텝 #9에서 YES), 제어부(22)는, 샘플링 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1), 샘플링 주기가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11에서 NO), 샘플링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고, 샘플링 주기가 경과하면(스텝 #11에서 YES), 스텝 #7과 마찬가지의 진동 검출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12), 노광 동작(기록용 노광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3).
그 결과, 노광 동작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13에서 NO), 스텝 #11)의 처리로 복귀하고, 노광 동작이 종료하면(스텝 #13에서 YES), 스텝 #7의 처리로 돌아온다.
도 13은, 도 12의 스텝 #7, #12에 있어서의 진동 검출 처리의 서브 루틴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 변환기(33)는, 증폭기(32)의 출력을 A/D 변환하고(스텝 #21), 제어부(22)는, 노광 동작(기록용 노광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2). 제어부(22)는, 노광 동작중인 경우에는(스텝 #22에서 YES), 스텝 #43의 처리로 진행하는 한편, 노광 동작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22에서 NO), 제2 HPF(34)에 의해 소정의 저주파 신호를 커팅한다(스텝 #23).
여기서, 제어부(22)는, S2: ON 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스텝 #23의 처리가 돌아올 때마다, 제2 HPF(34)의 컷 오프 주파수를 예를 들면, 0.9kHz로부터 0.1kHz까지의 범위에서 서서히 내린다. 이것은, 처음에는 제2 HPF(34)의 컷 오프 주파수를 높게 함으로써, 패닝 동작 직후에 많이 포함되는 직류 성분 신호를 커팅하는 동시에, 제2 HPF(34)의 컷 오프 주파수를 서서히 내림으로써, 그 제거 동작에 의해 진동 검출에 필요한 신호까지 제거되는 상태가 계속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제어부(22)는,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보정 타이머가 상기 소정 시간에 상당하는 카운트값을 카운트하고), 또한 S2: OFF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4). 그 결과, 제어부(22)는, 현재 상태가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S2: OFF의 상태인 경우(스텝 #24에서 YES), 스텝 #26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24에서 NO), 현재 상태가 상기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며, 또한 S2: ON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5).
그 결과, 제어부(22)는, 현재 상태가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며, 또한 S2: ON의 상태인 경우에는(스텝 #25에서 YES), 스텝 #26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25에서 NO), 스텝 #43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26에서는, 제어부(22)는,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39)의 양쪽이 동작 중인지 여부, 즉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만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도 11에 나타낸 소기간 A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26),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39)의 양쪽이 동작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26에서 NO),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첫회의 사이클에서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제1 적분부(35)에 제2 HPF(34)의 출력의 적분 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 #27). 그리고, 여기서는, 제1 적분부(35)의 출력은, 소정의 타이밍(도 11에 나타낸 시각 T= t1)에 보정부(37)에 의해 제2 적분부(36)의 출력을 사용한 보정 처리를 받아 제2 적분부(36)의 출력에 따라 보정된 것으로 된다.
그 후, 제어부(22)는,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보정량이 기억부(50)에 기억되고(스텝 #28), 보정 타이머를 리셋한 후 카운트를 재스타트 시킨다(스텝 #29).
한편, 스텝 #26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39)의 양쪽이 동작중인 경우에는(스텝 #26에서 YES), 스텝 #25와 마찬가지로, 현재가 상기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며, 또한 S2: ON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30),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며, 또한 S2: ON의 상태인 경우에는(스텝 #30에서 YES), 스텝 #43의 처리로 진행하는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30에서 NO),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제1 적분부(35)에 제2 HPF(34)의 출력의 적분 처리를 실행시키고(스텝 #31), 또 그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제2 적분부(36)에 제1 적분부(35)의 출력의 적분 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 #32).
다음에, 제어부(22)는,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제1 적분부(35)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게 한다(스텝 #33). 여기서는, 이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제1 적분부(35)의 출력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보정부(37)에 의해 제2 적분부(36)의 출력을 사용한 보정 처리를 받아 제2 적분부(36)의 출력에 따라 보정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기억부(50)에 기억된 최근의 보정량과,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보정부(37)에 의한 이번의 보정량과의 절대값의 대소를 비교한다(스텝 #34). 그 결과,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이번의 보정량이 기억부(50)에 기억된 보정량보다 작은 경우에는(스텝 #35에서 YES),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를 변경(전환 설정)한다(스텝 #36).
또, 제어부(22)는,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의 보정부(37)에 의한 이번의 보정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37), 상기 이번의 보정량이 소정값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37에서 NO), 그 보정량을 기억부(50)에 갱신하면서 기억하는(스텝 #38) 한편, 상기 이번의 보정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37에서 YES),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여 이 보정량을 기억부(50)에 갱신하면서 기억한다(스텝 #39).
스텝 #35에 있어서,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보정부(37)의 이번의 보정량이 기억부(50)에 기억된 보정량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35에서 NO), 스텝 #36~#39의 처리를 뛰어넘어 스텝 #40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35, #38, #39의 처리 후, 제어부(22)는,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새로운 메인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제2 HPF(34)를 초기값으로 세트 하고(스텝 #40), 또 상기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있어서의 제1, 제2 적분부(35, 36)를 리셋한 후(스텝 #41), 상기 서브 측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의한 진동 검출 동작을 개시하게 한다(스텝 #42).
스텝 #25에 있어서, 제어부(22)는, 현재 상태가 진동 검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며, 또한 S2: ON이라는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25에서 NO),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39)의 제1 적분부(35)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게 하고(스텝 #43), 제1,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39)의 제2 적분부(36)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게 한다(스텝 #44).
이상과 같이, S1: ON 후부터 제1 HPF(31)의 출력이 대략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소기간마다,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를 교대로 동작시켜,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 및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각 보정부(37)의 보정량을 교대로 채용하고, 제1 적분부(35)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보정량의 보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진동 보정량의 신호를, X축 액츄에이터(27) 및 Y축 액 츄에이터(28)에 출력하는 구동 신호로서 교대로 채용하도록 하여, 시간적으로 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는, 그 직전에 동작한 진동 보정량 도출부에 비하여 제1 HPF(31)의 출력 오차가 보다 작은 상태에 기초하여 진동 보정량을 도출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상기 패닝 동작 종료후에 있어서의 진동 보정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HPF(31)에 의한 역극성의 신호에 기인하는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진동 보정량 도출부(38)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타이밍에 대한 제2 진동 보정량 도출부(39)의 진동 검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의 지연 시간과 보정부(37)의 보정 동작의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일치시키면, 시간의 관리가 용이해져,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간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의 전기 신호에 따른 진동 보정량의 도출을 각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상이한 타이밍에서 실행하는 동시에, 출력 오차가 현시점에서 가장 작은 진동 검출 수단의 전기 신호에 따라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진동 검출 수단이 역극성인 직류 성분 신호를 출력한 경우라도, 진동 보정 성능의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촬영 화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2)

  1. 진동(shake)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검출 수단과,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나타내는 진동을 보정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진동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컨덴서 및 저항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이 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는,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하이 패스 필터는, 상기 전기 신호로부터 소정의 저주파 성분의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적분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제1 적분 수단과,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을 적분하는 제2 적분 수단 및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동작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출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출력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시간과 상기 제2 소정 시간은 동일 시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행해졌을 때 상기 선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선택하지 않았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보정 수단에 의한 이번의 보정량과,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최근의 보정량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보정량에 대응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작은 쪽의 보정량에 기초하여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제2 적분 수단의 이번 출력에 소정의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 수단과
    상기 승산 수단의 승산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승산값을, 상기 제1 적분 수단의 다음 번의 출력으로부터 감산하고, 그 감산값을 상기 제1 적분 수단에 출력하는 감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킨 후 재개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 장치.
  10.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검출 수단과,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나타내는 진동을 보정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상기 진동 검출 장치에 주어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검출 신호에 따라 진동 보정을 행하도록 대상(對象)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
    을 구비한 진동 보정 장치.
  11.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과,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검출 수단과,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나타내는 진동을 보정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 동 보정량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검출 신호에 따라 진동 보정을 행하도록 대상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
    을 구비한 촬상 장치.
  12.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검출 스텝과,
    상기 진동 검출 스텝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고, 상기 진동 검출 스텝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나타내는 진동을 보정하기 위한 진동 보정량을 도출하는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스텝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보정량 도출 스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동 보정량 도출 스텝에 의해 도출된 진동 보정량을 진동의 보정에 사용하는 진동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스텝
    을 포함하는 진동 검출 방법.
KR1020077014654A 2005-12-28 2006-12-05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 KR20080084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8986A JP4306679B2 (ja) 2005-12-28 2005-12-28 振れ検出装置、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
JPJP-P-2005-00378986 2005-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562A true KR20080084562A (ko) 2008-09-19

Family

ID=3822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654A KR20080084562A (ko) 2005-12-28 2006-12-05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2999B2 (ko)
EP (1) EP1968309A1 (ko)
JP (1) JP4306679B2 (ko)
KR (1) KR20080084562A (ko)
CN (1) CN101107842B (ko)
TW (1) TW200728898A (ko)
WO (1) WO2007077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782B2 (ja) * 2005-07-06 2010-09-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振れ検出装置、振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5329161B2 (ja) * 2007-11-28 2013-10-30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半導体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8159540B2 (en) * 2007-11-28 2012-04-1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emiconductor device and imaging capturing apparatus
US8564676B2 (en) * 2007-11-28 2013-10-22 Sanyo Semiconducto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anti-shake control function
US8553098B2 (en) * 2007-11-28 2013-10-08 Sanyo Semiconducto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maging capturing apparatus
JP5457013B2 (ja) * 2008-11-18 2014-04-02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振動補償制御回路、及び撮像装置
TWM354096U (en) * 2008-11-24 2009-04-01 Lumos Technology Co Ltd Shockproof camera
ITTO20110410A1 (it) * 2011-05-10 2012-11-11 Sisvel Technology Srl Apparato per la cattura di immagini con correzione e gestione delle inclinazioni
JP6351321B2 (ja) * 2013-05-28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173134B2 (ja) * 2013-09-02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51247B2 (ja) * 2013-12-12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光学機器、撮像装置
JP6351246B2 (ja) * 2013-12-12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光学機器、撮像装置
JP6381433B2 (ja) * 2014-12-15 2018-08-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ブレ補正方法
CN106918352A (zh) * 2017-05-02 2017-07-0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手持式mems磁力计的航向校正方法
JP7210153B2 (ja) * 2018-04-04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20264008A1 (en) * 2019-07-24 2022-08-18 Sony Group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77B2 (ja) * 1986-07-18 1995-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ブレ検出装置
JPH06222414A (ja) 1993-01-22 1994-08-12 Canon Inc 防振システム
US5861915A (en) * 1995-05-31 1999-01-19 Sony Corporation Temperature-dependant, frequency-compensated hand deviation correction device for video camera
JP3745067B2 (ja) * 1996-02-20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429895B1 (en) * 1996-12-27 2002-08-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merging function for obtaining high-precision image by synthesizing images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JP3466895B2 (ja) * 1997-12-12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カメラ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4706094B2 (ja) * 2000-09-26 2011-06-22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光学機器
JP4086605B2 (ja) * 2002-09-2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547998B1 (ko) * 2003-02-10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의제어방법
JP2004260525A (ja) * 2003-02-26 2004-09-16 Minolta Co Ltd ぶれ補正用制御装置および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3867680B2 (ja) * 2003-04-01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手振れ補正方法
JP4478422B2 (ja) * 2003-09-18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交換レンズおよび撮影装置
JP2005130159A (ja) * 2003-10-23 2005-05-19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手振れ補正方法
JP4552782B2 (ja) * 2005-07-06 2010-09-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振れ検出装置、振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093926A (ja) * 2005-09-28 2007-04-12 Pentax Corp 手ぶれ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81053A (ja) 2007-07-12
JP4306679B2 (ja) 2009-08-05
WO2007077707A1 (ja) 2007-07-12
CN101107842B (zh) 2011-05-25
US20090021589A1 (en) 2009-01-22
EP1968309A1 (en) 2008-09-10
US8022999B2 (en) 2011-09-20
CN101107842A (zh) 2008-01-16
TW200728898A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4562A (ko) 진동 검출 장치, 진동 보정 장치 및 촬상 장치
JP4552782B2 (ja) 振れ検出装置、振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7620311B2 (en) Auto-focus apparatus. image-capture apparatus, and auto-focus method
JP6341691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光学機器、撮像装置
JP2007251382A (ja) 撮像装置
JP2007193155A (ja) 撮像装置
US1129724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camera shake
JP201611870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59555A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4969182B2 (ja) 手振れ量検出装置及び撮影装置
JP2006121613A (ja) 撮像装置
JP2016170285A (ja) 像ブレ補正装置、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635266B2 (e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9092856A (ja) ブレ演算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715200B2 (ja) 電子カメラ
JP4025836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通信機器
JPH1127573A (ja) 画像動き補正装置
KR100273178B1 (ko) 개량된 디지털 고역 통과 필터를 구비하는 자동 촛점 장치
JP2019125890A (ja) 像ブレ補正装置、カメラ本体、像ブレ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0101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827610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04260525A (ja) ぶれ補正用制御装置および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6971808B2 (ja) 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1018255A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4059405A (ja) 撮像装置、合焦位置検出方法および合焦位置検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