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502A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502A
KR20080083502A KR1020070024158A KR20070024158A KR20080083502A KR 20080083502 A KR20080083502 A KR 20080083502A KR 1020070024158 A KR1020070024158 A KR 1020070024158A KR 20070024158 A KR20070024158 A KR 20070024158A KR 20080083502 A KR20080083502 A KR 2008008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evice
guide frame
curved guide
coupled
cha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216B1 (ko
Inventor
이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to KR102007002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2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폐-루프의 궤도운동을 하도록 된 체인부재; 상기 체인부재의 외측을 따라 연속 반복해서 무수히 결합되는 단판 형상의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 및 체인부재의 결합체를 소정구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한 상태로 결합 지지하는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을 무인으로 이송하여 직선, 곡선, 경사구간을 자유자재로 운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화된 부품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단가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재의 행정거리를 50M까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송할 수 있고, 표준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유지보수 및 부품교체가 편리하며, 체인부재를 이용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중량물 운반에도 적합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구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동력 발생부 111: 모터
112: 샤프트 113: 스프로킷
120: 체인부재 130: 이송부재
131: 미끄럼 방지패드 133: 체인결합플레이트
140,150: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 141,151: 슬라이드 스트립
160: 연결부재 170: 다리받침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제품을 무인으로 이 송하여 직선, 곡선, 경사구간을 자유자재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전동식 롤러 컨베이어는 다수의 롤러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여 놓고, 이들 롤러와 구동원인 모터를 전동수단인 구동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각각의 롤러가 구동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그 상단에 놓인 이송물을 이송시키게 되어 있다.
이렇게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들은 이송물의 종류 또는 목표지점별로 분배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이송물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두 개 의 고정컨베이어 사이에 'ㄱ'자 형태로 형성한 커브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이송물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이 부자연스럽고, 크기가 작은 이송물의 경우, 전환장치의 벌어진 틈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송물의 흐름을 직선구간에서 곡선구간으로 다시 경사구간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 및 설비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장치의 전체 구성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컨베이어는 대부분 특정 이송물의 형태에 맞추어져 제 작되는데, 이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이송물을 동시에 이송하기 어려워 이송물의 종류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제품을 무인으로 이송하여 직선, 곡선, 경사구간을 자유자재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준화된 부품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부재의 행정거리를 최대한 연장하여 이송되도록 하고, 표준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유지보수 및 부품교체가 편리하며, 체인부재를 이용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중량물 운반에도 적합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폐-루프의 궤도운동을 하도록 된 체인부재; 상기 체인부재의 외측을 따라 연속 반복해서 무수히 결합되는 단판 형상의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 및 체인부재의 결합체를 소정구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한 상태로 결합 지지하는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 발생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축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체인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길이방향의 판체로 제작되되, 중앙에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송부재 상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패드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은 중앙 및 양측에 이송부재를 미끄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트립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받침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과 또 다른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 사이를 소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결부재를 이용해 결합하는데, 상기 연결부재(160)는 0~15°로 절곡된 판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구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동력 발생 부(110); 상기 동력 발생부(110)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폐-루프의 궤도운동을 하도록 된 체인부재(120); 상기 체인부재(120)의 외측을 따라 연속 반복해서 무수히 결합되는 단판 형상의 이송부재(130); 상기 이송부재(130) 및 체인부재(120)의 결합체를 소정구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한 상태로 결합 지지하는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 발생부(110)는 체인부재(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동력원으로 모터(111)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모터(111)의 동력을 축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112)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12)에 체인부재(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로킷(113)이 결합된다.
상기 스프로킷(113)은 컨베이어장치의 크기 및 적재량에 따라 직경 및 치차의 설계값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력 발생부(110)는 컨베이어 장치의 시작단과 끝단 중 어느 일측 단의 회전축 중심에 연동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130)는 길이방향의 판체로 제작되는데, 중앙에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송부재(130)가 곡선구간을 통과 할 때, 회전 중심측의 이송부재(130)가 상호 겹쳐져서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130)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패드(131)를 결합함으로써, 이송 제품의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130)는 저면에 체인부재(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인 결합 플레이트(133)를 수직방향 으로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은 중앙 및 양측에 이송부재(130)를 미끄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트립(141)(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은 한 쌍이 좌우측에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그 사이에 슬라이드 스트립(141)(151)이 다수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은 다리받침(170)에 의해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다리받침(170)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40)(150) 간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절곡된 프레임(140)(150) 사이를 연결부재(160)를 이용해 결합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연결부재(160)는 0~15°로 절곡 제작된 판체를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사상을 유지한 채 다양한 변형 또는 인접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을 무인으로 이송하여 직선, 곡선, 경사구간을 자유자재로 운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화된 부품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단가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재의 행정거리를 50M까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송할 수 있고, 표준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유지보수 및 부품교체가 편리하며, 체인부재를 이용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중량물 운반에도 적합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동력 발생부(110);
    상기 동력 발생부(110)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폐-루프의 궤도운동을 하도록 된 체인부재(120);
    상기 체인부재(120)의 외측을 따라 연속 반복해서 무수히 결합되는 단판 형상의 이송부재(130);
    상기 이송부재(130) 및 체인부재(120)의 결합체를 소정구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한 상태로 결합 지지하는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 및
    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110)는 모터(111)와, 상기 모터(111)의 동력을 축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112) 및 상기 샤프트(112)에 결합되어 체인부재(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로킷(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30)는 길이방향의 판체로 제작되되, 중앙에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들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30) 상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패드(1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은 중앙 및 양측에 이송부재(130)를 미끄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트립(141)(1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받침(1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과 또 다른 직선/곡선 가이드 프레임(140)(150) 사이를 소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결부재(160)를 이용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0~15°로 절곡된 판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070024158A 2007-03-12 2007-03-12 컨베이어 장치 KR10088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58A KR100885216B1 (ko) 2007-03-12 2007-03-12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58A KR100885216B1 (ko) 2007-03-12 2007-03-12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502A true KR20080083502A (ko) 2008-09-18
KR100885216B1 KR100885216B1 (ko) 2009-02-24

Family

ID=4002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158A KR100885216B1 (ko) 2007-03-12 2007-03-12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6583A (zh) * 2012-07-31 2012-10-31 中华商务联合印刷(广东)有限公司 一种胶订联动线的输送装置及其胶订联动系统
CN103693403A (zh) * 2013-09-30 2014-04-02 昆山中士设备工业有限公司 自动化模具货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64B1 (ko) * 2012-09-12 2013-02-05 주식회사 아이엔텍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CN103318596B (zh) * 2013-06-21 2016-01-27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拐弯式双道输送装置
KR101846135B1 (ko) * 2017-12-22 2018-04-05 이윤우 다기능 컨베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8302B2 (ja) 1994-05-27 2004-08-25 株式会社新日本コンベア− スチ−ルワイヤ−バ−コンベア−
JP2000344323A (ja) * 1999-05-31 2000-12-12 Sanwa Konbea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ベヤー
KR200185286Y1 (ko) * 1999-12-31 2000-06-15 아남반도체주식회사 반도체 장비의 웨이퍼 이송용 포크
KR100636005B1 (ko) * 2005-04-27 2006-10-20 김영철 각도 변형이 가능한 이송용 컨베이어
KR200399073Y1 (ko) * 2005-07-15 2005-10-20 엄천섭 순환형 음식물 반송 시스템의 음식물 순환 경로 가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6583A (zh) * 2012-07-31 2012-10-31 中华商务联合印刷(广东)有限公司 一种胶订联动线的输送装置及其胶订联动系统
CN103693403A (zh) * 2013-09-30 2014-04-02 昆山中士设备工业有限公司 自动化模具货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216B1 (ko) 200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725B1 (e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nd accumulating discrete products
CN101678958B (zh) 分层式单排机
KR100885216B1 (ko) 컨베이어 장치
JP6861432B2 (ja) 搬送装置及びコンベヤユニット
US7708134B2 (en) Power conveyor with corner assembly and pallet therefor
JP2019123624A (ja) 物品を方向転換するコンベヤベルト
JP2014152024A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US20080236998A1 (en) Conveyor with accumulating slip rolls
JP2015178421A (ja) 物体のための偏向装置および物体を偏向させるための方法
CA2519861C (en) Multiple drive conveyor system
KR101242044B1 (ko) Z타입형 벨트 컨베이어
KR102108468B1 (ko) 복합물 이송용 컨베이어
JP7004286B2 (ja) 移載装置
JP6541156B2 (ja) コンベア装置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US11685612B2 (en) Motorized transfer apparatus for conveyors of bulk objects
JP6122582B2 (ja) フック式搬送コンベヤ
CN210557550U (zh) 可移动式输送线
US10343851B2 (en) Article diverting conveyor belt
KR101759162B1 (ko) 단위 모듈식 컨베이어 장치
JP2007106504A (ja) 搬送コンベヤ
KR102113007B1 (ko) 다단 물품 수평 이송 장치
KR20060042225A (ko) 컨베이어
CN220282430U (zh) 一种轻型旋转输送机构
KR20090010132U (ko)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