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225A -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2225A KR20060042225A KR1020050015765A KR20050015765A KR20060042225A KR 20060042225 A KR20060042225 A KR 20060042225A KR 1020050015765 A KR1020050015765 A KR 1020050015765A KR 20050015765 A KR20050015765 A KR 20050015765A KR 20060042225 A KR20060042225 A KR 200600422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free support
- conveyor
- conveyed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3—Roller driving means comprising free-wheel gea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18—Suction or magnet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반송물의 폭 등이 다른 것에 대응하기 쉽고, 범용성이 있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1)에는 구동체인 롤러(20a)와 자유 지지체인 롤러(40a)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20a)는 벨트(23)에 의해서 모터(30)와 접속되고, 모터(30)를 작동시킴으로써, 롤러(20a)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유 지지체인 롤러(40a)는 반송물(8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자유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롤러(40a)를 갖는 양측의 자유 지지부(11)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반송물, 컨베이어, 구동체, 자유 지지체, 벨트, 자유 지지부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평면도의 일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평면도의 일부.
도 4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측면도의 일부.
도 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측면도의 일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베이어 20a: 롤러(구동체)
40a: 롤러(자유 지지체) 70: 반송면
80: 반송물
본 발명은 반송물을 싣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송물을 반송하기 위해서,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컨베이어는 모터 등의 동력부에 의해서, 롤러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무단 벨트를 작동시켜, 롤러나 벨트 위에 실린 반송물을 반송하는 것이다.
무단 벨트를 사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양측에 설치된 회전체를 모터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 벨트 컨베이어의 회전체나,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는 축에 의해서 지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롤러 컨베이어(100)는 반송물(80)을 복수의 롤러(108a) 상에 싣고 반송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축(112)에 3개의 롤러(108a)가 배치되어 1세트의 롤러(108)가 되고, 1세트의 롤러(108)가 소정 간격으로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100)에는 모터(110)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110)와 축(112)은 벨트(111)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축(112)을 회전시켜 롤러(108a)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두, 혹은, 일부의 축(112)을 모터(110)에 접속시켜 두고, 모두, 혹은, 일부의 롤러(108a)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해둔다.
그리고, 롤러 컨베이어(100)의 사용 시에는 롤러(108a)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롤러(108a) 상의 반송면에 실린 반송물(80)을 반송시켜서 사용한다.
또, 롤러(108a)를 폭 방향으로 배치하는 대신에, 폭이 긴 롤러(108a)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120)에서는 모터(110)와 벨트(111)에 의해서 접속된 롤러(108)에, 무단 벨트(11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110)를 작동시킴으로써 롤러(108)를 회전시키고, 무단 벨트(115)를 반송 방향 으로 이동시킨다. 사용 시에는 무단 벨트(115) 상의 반송면에 실린 반송물(80)을 반송시켜 사용한다.
상기 롤러(108a)와 모터(110) 사이의 접속에는 벨트(111) 이외에 기어나 마그넷이나 O 링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롤러(108a)에 모터(110)의 기능을 아울러 가지도록 하여, 롤러(108a) 자체를 구동할 수 있는 것 등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컨베이어(100, 120) 등에 의해 반송물(80)을 반송하는 경우, 컨베이어(100, 120)의 폭에 대하여 반송물(80)의 폭이 크면, 반송물(80)이 떨어지기 쉬워져서 반송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1세트의 롤러(108)를 배치하는 폭이나, 무단 벨트(115)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1세트의 롤러(108)를 배치하는 폭이나, 무단 벨트(115)의 폭을 크게 하면, 축(112)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축(112)은 통상적으로, 양 말단 부근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축(112)이 길어지면 동일한 무게를 지탱하는 경우라도 휘어짐이 커지기 쉽다. 또한, 폭이 긴 분에서 반송물(80)이 무거워지기 쉬우므로, 특히 축(112)이 휘기 쉽다.
또한, 이 휘어짐을 작게 하기 위해서, 축(112)의 직경을 굵게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축(112) 자체의 무게에 의한 휘어짐도 고려해야만 했다. 또한, 휘어짐의 대책을 위해, 축에 특수한 가공을 하는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설계가 어려웠다.
또한, 일단, 컨베이어(100, 120)를 제작하면, 컨베이어(100, 120)의 폭을 변경할 수 없어, 다시 제작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폭이 다른 반송물(80)을 동일한 컨베이어(100, 120)에 의해 반송하는 경우에는 최대 폭의 반송물(80)의 폭에 맞추어서 제작해야만 했다. 또한, 이 경우에, 작은 폭의 반송물(80)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반송 중인 반송물(80)에 대하여 옆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반송물(80)에 대하여 멀어져서 반송물(80)에 대한 작업 등을 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범용성이 높고, 지탱하기 위한 축이 휘기 어려운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위에서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를 반송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고,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양측에 있으며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자유 지지체를 갖고, 상기 자유 지지체는 반송물을 지탱하면서 자유 회전 가능하고, 상부가 반송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자유 지지체의 상부와 구동체의 상부에 의해 반송면을 구성하고, 반송면 상의 반송물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를 반송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부가 반송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자유 지지체에 의해 반송면을 구성하고, 반송물을 반송할 수 있으므로, 자유 지지체에 의해서 반송물의 폭 방향의 말단부를 지탱함으로써, 구동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폭을 짧 게 하고, 지탱하는 축 등의 길이를 짧게 하여 휘어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물의 폭에 따라서, 자유 지지체를 이동 또는 추가하는 등으로 컨베이어의 폭의 변경이 가능해져, 동일한 구동체를 사용할 수 있고, 범용성이 높은 컨베이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자유 지지체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유 지지체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므로, 컨베이어의 폭을 용이하게 변경하고, 반송물의 폭에 따른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자유 지지체의 상부와 구동체의 상부에 의해 구성되는 반송면은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형상이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송면은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형상이기 때문에, 반송물의 낙하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자유 지지체는 반송 방향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유 지지체는 반송 방향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반송물의 지지가 용이하고, 반송물의 이동에 의한 자유 지지체의 회전도 원활해진다.
이러한 구동체로서는 롤러 또는 무단 벨트를 사용할 수 있고, 자유 지지체로서는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베이어의 평면도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컨베이어(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구동부(10)와 자유 지지부(11)를 갖고 있다. 구동부(10)의 상부에는 구동체가 되는 롤러(20a)가 설치되고, 자유 지지부(11)의 상부에는 자유 지지체가 되는 롤러(40a)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20a)와 롤러(40a)에 의해서 반송면(7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면(70)에 반송물(80)을 싣고 반송할 수 있다.
상기 롤러(20a) 및 롤러(40a)의 외형은 원주형, 원반형 등이고, 축 중심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체(10)에는 2개의 롤러(20a)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롤러 세트(20)를 형성하고, 1세트의 롤러 세트(20)는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2개의 롤러(20a)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그 중심에 축(21)이 설치되어 있다. 축(21)과 2개의 롤러(20a)는 고정되어 있고, 축(21)의 회전에 의해 2개의 롤러(20a)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21)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롤러(20a)는 상부가 반송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물(80)을 반송할 때에, 2개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져, 밸런스 좋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축(21)은 그 양 말단에서, 수용부(25)에 설치된 지지부(2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롤러(20a) 및 롤러(20a) 상의 반송물(80)의 부하를 지탱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2개의 롤러(20a)가 고정된 축(2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축(21)은 벨트(23)를 통해 모터(30)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0)를 회전시킴으로써, 축(21)이 회전하여 롤러(20a)가 회전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 축(21)의 회전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모터(30)와 각각의 축(21)의 접속은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축(21)에 대응하도록, 모터(30)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1개의 모터(30)에 복수의 벨트(23)를 접속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모터(30)에 접속한 축(21)과 다른 축(21)을 벨트(23)로 접속하여도 좋다.
모든 롤러(20a)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반송물(80)의 반송이 가능하다면, 일부의 롤러(20a)만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의 롤러(20a)를 자유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벨트(23)와 축(21) 등의 접속부분에 회전 풀리 등을 사용할 수 있어, 회전 속도나 회전 토오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자유 지지부(11)는 구동부(10)와 거의 같은 길이로,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부(10)의 양측에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소에 설치된 자유 지지부(11)의 사이에 구동부(10)가 배치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자유 지지부(11)에는 롤러(40a), 축(41), 수용부(42)를 갖고 있고, 도 1,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42)에 지탱된 축(41)에 의해, 롤러(40a)가 회전 가능하게 지탱되고 있다.
각 자유 지지부(11, 11)의 롤러(40a)는 반송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40a)는 축(4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41)의 방향은 구동체(10)의 축(21)과 평행하고,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반송면(70)에 평행하다. 따라서, 롤러(40a)의 회전에 의해서 롤러(40a)의 상부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구동체(10)의 롤러(20a)의 배치나, 자유 지지부(11)의 롤러(40a)의 배치는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일렬형으로 나란히 배열할 수 없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유 지지부(11)의 롤러(40a)의 배치를 지그재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롤러(20a, 40a)의 배치를 지그재그형으로 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롤러(20a, 40a)에 접촉하기 어렵고, 반송 방향의 간격을 채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부(10)의 롤러(20a)의 상부와, 자유 지지부(11)의 롤러(40a)의 상부의 위치는 거의 동일한 높이이고, 롤러(20a)의 상부와 롤러(40a)의 상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송면(70)은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바닥의 뒷쪽이 평면 형상인 반송물(80)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구동부(10)의 수용부(25) 및 자유 지지부(11)의 수용부(42)는 도시하지 않는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유 지지부(11)의 수용부(42)와 도시하지 않는 받침대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어, 구동부(10)와 자유 지지부(11)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구동부(10)와 자유 지지부(11)의 거리의 변경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기 때문에, 컨베이어(1)의 반송 방향의 폭의 길이를 바꿀 수 있다.
다음에, 컨베이어(1)를 사용하여 반송물(80)을 반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유 지지부(11)를 반송물(80)의 폭에 따라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반송물(80)을 실었을 때, 반송물(80)의 폭 방향의 말단부로부터 내측이며, 반송물(80)이 자유 지지부(11)에 의해서 지지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롤러(20a)와 롤러(40a)에 의해서 구성되는 반송면(70)에 반송물(80)을 실었을 때 안정하도록 한다.
컨베이어(1)에서는 양측의 자유 지지부(11) 끼리의 사이에 구동부(10)가 배치되어 있지만, 구동부(10)의 위치가, 양측의 자유 지지부(11) 끼리의 중간 부근에 배치하는 것이 반송물(80)을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반송물(80)을 반송면(70)에 싣는다. 이 때, 반송물(80)은 롤러(20a)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70)은 수평면 형상이고 경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반송물(80)이 떨어지는 경우는 없다.
모터(30)를 작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벨트(23) 및 축(21)을 통해 롤러(20a)에 전달되기 때문에, 축(21) 및 롤러(20a)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서 롤러 (20a) 상부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20a)가 그 상부를 반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회전하면, 롤러(20a)에 접촉하고 있는 반송물(80)은 마찰에 의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송물(80)이 이동하면, 구동력이 전달된 롤러(20a)로부터 이탈하지만, 롤러(20a)는 반송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물(80)은 어느 하나의 롤러(20a)에 접촉한다. 따라서, 반송물(80)을, 반송면(70) 상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까지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 반송 시에, 반송물(80)의 폭 방향의 말단부는 자유 지지부(11)의 롤러(40a)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물(80)의 하중을 분산하여 구동부(10)의 롤러(20a)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롤러(40a)가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40a)와 반송물(8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고, 작은 구동력으로도 반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20a) 끼리의 반송 방향의 간격, 및 롤러(40a) 끼리의 반송 방향의 간격에 대해서는 반송물(80)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반송물(80)은 구동 가능한 롤러(20a)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자유 지지부(11)는 구동부(10)의 양측에 1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각 측에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0)는 1개이지만 복수라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무단 벨트(115)를 구동체로서 샤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무단 벨트(11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가 반송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해둔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롤러(20a)의 구동은 모터(30)의 구동력을 벨트(23)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었지만, 기어나 마그넷 등의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도 좋다. 또한, 롤러(20a) 자신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에 의하면, 범용성이 높고, 축이 잘 휘지 않는다.
Claims (5)
- 상부를 반송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고,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양측에 위치하고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자유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 지지체는 반송물을 지탱하면서 자유 회전 가능하고, 상부가 반송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자유 지지체의 상부와 구동체의 상부에 의해 반송면을 구성하고, 반송면 상의 반송물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지지체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지지체의 상부와 구동체의 상부에 의해 구성되는 반송면은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지지체는 반송 방향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롤러 또는 무단 벨트이고, 상기 자유 지지체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054720 | 2004-02-27 | ||
JP2004054720A JP2005239403A (ja) | 2004-02-27 | 2004-02-27 | コンベア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2225A true KR20060042225A (ko) | 2006-05-12 |
Family
ID=3502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765A KR20060042225A (ko) | 2004-02-27 | 2005-02-25 |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5239403A (ko) |
KR (1) | KR20060042225A (ko) |
TW (1) | TW20053507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186B1 (ko) * | 2016-11-04 | 2017-04-12 | 추연수 | 수동공급레일을 겸비한 지육 이동장치 |
KR20200003200A (ko) * | 2012-02-20 | 2020-01-08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유리판의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
-
2004
- 2004-02-27 JP JP2004054720A patent/JP2005239403A/ja active Pending
-
2005
- 2005-01-25 TW TW094102208A patent/TW200535073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2-25 KR KR1020050015765A patent/KR200600422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3200A (ko) * | 2012-02-20 | 2020-01-08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유리판의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
KR101726186B1 (ko) * | 2016-11-04 | 2017-04-12 | 추연수 | 수동공급레일을 겸비한 지육 이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239403A (ja) | 2005-09-08 |
TW200535073A (en) | 2005-11-01 |
TWI306077B (ko) | 2009-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7302032B8 (en) | Conveyor | |
JP6706745B2 (ja) | 移載装置 | |
JP6804767B2 (ja) | 搬送装置、面状搬送装置並びに搬送ユニット | |
JP6140467B2 (ja) |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 |
JP6564986B2 (ja) | 搬送物排出装置 | |
JP6140468B2 (ja) |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 |
JP2006315865A (ja) |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 |
JP2014152025A (ja) |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 |
CA2712156A1 (en) | Support device for conveying heavy loads | |
JP2017536311A (ja) | ローラアセンブリを備えたコンベヤシステム | |
JPWO2019167864A1 (ja) | 搬送装置及び搬送方向変更装置 | |
JP4269838B2 (ja) | 物品の方向変更装置 | |
KR20060042225A (ko) | 컨베이어 | |
KR100885216B1 (ko) | 컨베이어 장치 | |
CN212558239U (zh) | 一种换向输送装置 | |
JP2018203460A (ja) | 移載装置 | |
KR101270532B1 (ko) |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 |
JP3179474U (ja) | 搬送装置 | |
KR20190047170A (ko) | 등속과 배속이 공존하는 수평형 컨베이어 시스템 | |
JP6765705B2 (ja) | 移載装置、並びに、搬送装置 | |
JP2013245106A (ja) | フック式搬送コンベヤ | |
CN109160240A (zh) | 输送转向机构及分拣机 | |
EP2090531A1 (en) |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 |
CN209922274U (zh) | 一种输送装置 | |
JP4560883B2 (ja) | 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