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369A -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369A
KR20080082369A KR1020070023152A KR20070023152A KR20080082369A KR 20080082369 A KR20080082369 A KR 20080082369A KR 1020070023152 A KR1020070023152 A KR 1020070023152A KR 20070023152 A KR20070023152 A KR 20070023152A KR 20080082369 A KR20080082369 A KR 2008008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enthol
sample preparation
activator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220B1 (ko
Inventor
토모노리 안도
케이시로 요시다
스스무 시무라
츠토무 아라카와
켄지 오사와
준 타마오키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2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초과 파초속 식물, 육두구, 귤과 귤속 식물, 스컹크 캐비지, 석창포, 산초나무, 구기자나무, 네틀, 연꽃, 서양딱총나무(엘더), 얼룩조릿대 및 서양산사나무, 멘톨, 멘톨유도체, 멘톨이성체 및 멘톨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도에 생산되는 점액을 운송배출하는 능력을 높여, 결과적으로 체내에 흡입되는 세균, 이물질들에 대한 생체방어능력을 증강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선모운동, 활성화제, 기도, 점액

Description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Ciliary movement activators and Processed foods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선모운동 활성화제로서 기도(氣道)에서 분비되는 점액을 운송배출하는 능력을 높여, 결과적으로 체내에 흡입된 세균, 이물질 등에 대한 생체 방어능력을 증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 및 기도에 노출되는 화학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기도가 만성적으로 손상을 입어, 기도상피의 배출능력이 저하되어 객담의 곤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에게 객담, 연하능력이 저하되고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기관(氣管)은 입자, 가스, 분진,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에 늘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에 대응하기 위해 기관의 관강측(管腔惻) 최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기도점막상피는 이물질 배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도강(氣道腔)을 보호하여, 정상적인 호흡기능을 보존하고 있다. 기도점막상피는 여러 타 입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특히 중요한 것은 점액을 분비하는 배(杯)세포와 선모를 갖는 선모세포이다. 입자, 가스, 분진, 세균,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이 기관에 도달하면 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점액이 이물질을 포착하고, 선모세포를 갖는 선모에 의한 능동적인 운동(이하, 선모운동)에 의해 후두부분으로 옮겨져, 담과 같은 형태로 체외배출 또는 연하하여 처리된다.
선모운동과 점액운송의 관계는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공식 (점액운송속도 = 점액밀도×선모운동속도×선모의 길이/점조도)에 의해 도출되며, 선모운동이 활발해지면 점액운송이 항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의료현장에서 객과 담은 마이너스 증상으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객에 대해서는 호흡 장애 및 체력소모의 원흉으로 쉽게 진핵제를 투여하여, 이물질 배출을 위한 생리적 반응인 객을 억제시키는 조치가 취해진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객 그 자체를 강제로 멈추게 하는 방법이 아닌, 생리적인 담의 배출을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객을 진정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는 발상이 제창되기 시작했다.
종래, 담의 배출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는, 기도점액을 용해하여 담의 점조도를 낮추는 방법이 채택되어, 카르보시스테인, 염산브롬헥신 등의 기도점액 용해제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들어 특허문서 1참조). 그러나 화학 합성품인 기도점액 용해제 그 자체에 발진, 습진,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들어, 비특허문허 1참조)
상기 기도점액 용해제란, 작용메카니즘이 다르며, 기도상피의 선모운동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에도 점액운송을 항진하는 것으로 이물질 배출능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안전성에 문제가 적은, 천연물인 식물로부터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갖는 추출물의 탐색이 이루어졌으며, 대추(비특허문서 2참조), 흑두(비특허문서 3참조) 등이 개시되었으나, 아직 충분한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갖는 추출물은 얻어지지 않은 것이 현상태이다.
특허문서1 특개평8-337532
비특허문서1 포켓의약품집(2001년판) 백문사(白文社) 362페이지
비특허문서2 Experimental Lung Research 22, P. 255-266, 1996년
비특허문서3월간푸드케미칼 88-89페이지, 2001년 4월호
이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폭넓게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스크린한 결과, 파초과(芭蕉科) 파초속(芭蕉屬)(Musaceae Musa)식물, 육두구(nutmeg)(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石菖蒲)(Acorus gramineus), 산초나무(Prickly Ash) (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Nettle) (Urtica dioica), 연꽃(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엘더)(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가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갖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하면서 효과가 높은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초과 파초속 (Musaceae Musa)식물, 육두구(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Acorus gramineus), 산초나무(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Urtica dioica), 연꽃(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엘더)(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식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파초과(芭蕉科) 파초속(芭蕉屬)(Musaceae Musa)식물, 육두구(nutmeg)(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石菖蒲)(Acorus gramineus), 산초나무(Prickly Ash) (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Nettle) (Urtica dioica), 연꽃(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엘더)(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Sasa veitchii) ?? 서양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로 이루어진 군 및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도에 생산되는 점액을 운송배출하는 능력을 높여, 결과적으로 체내에 흡입되는 세균, 이물질들에 대한 생체방어능력을 증강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식물, 파초과 파초속 (Musaceae Musa)식물, 육두구 (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 (Acorus gramineus), 산초나무 (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 (Urtica dioica), 연꽃 (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 (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 (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 (Crataegus oxyacantha) 은, 그 전체, 잎, 인(仁, 씨에서 껍질을 벗긴 배(胚)와 배젖), 배아, 내과피, 외과피, 성숙과실, 미숙과실, 과피, 종피, 가종피(假種皮), 꽃, 목재, 수피, 뿌리, 근경(根莖) 등의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육두구는 가종피(메스, mace), 스컹크 캐비지는 근경, 석창포는 뿌리, 산초나무는 수피, 구기자나무, 네틀 및 얼룩조릿대는 잎, 연꽃는 배아, 서양딱총나무는 꽃, 서양산사나무는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초과(芭蕉科) 파초속(芭蕉屬)식물은, 본 종속에 포함되면, 특별히 식물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지만, 바나나 (Musa paradisiaca, Musa sapientum, Musa acuminat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초과 파초속의 식물에 있어서 추출시 제공하는 부분으로는 과실, 과피가 바람직하다.
귤과 귤속 식물은, 본 종속에 포함되면 특별히 식물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지만, 네놀리 (Neroli, Citrus aurantium),기슈(紀州)밀감 (Citrus kinokuni).네이블오렌지 (Citrus sinensis),레몬 (Citrus limon), 홍귤 (Citurs tachiban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귤과 귤속 식물에 있어서 추출시 제공하는 부분으로는 과실, 과피, 꽃, 잎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모운동 활성화제로서는, 각 식물 그 자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도 좋으며, 건조시키거나 건조시킨 물질을 분말화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도 좋다. 또한 각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시켜도 좋다.
식물추출물이란, 각종 용제로 추출한 액상엑기스나, 이 액상엑기스를 통상의 건조방법 (예를 들어, 감압건조, 동결건조 등)이나 농축방법 등에 따라 건고(乾固)시키거나 농축한 것도 좋다.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물(열수)외에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에테르, 아세톤,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헥산 등의 유기용제 또는 이를 적절히 혼합한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모운동 활성화제로서 경구섭취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안전성면에서 물, 에탄올 또는 이러한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 한 식물추출물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탈취, 탈색 등의 정제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식물로 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조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50 ~ 100℃에서 1 ~ 5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추출액은 여과하고, 추출용제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 또는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유기용제분획,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해 분획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로서는 L-멘톨, D-멘톨, 멘틸아세테이트, 이소멘톨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는 캅셀화(마이크로캅셀화)된 것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에 의해 포접화된 것도 좋다. 또한, 이들을 함유하는 정유 또는 조합향료등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를 들어 페파민트유(박하유) 등의 정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모운동 활성화제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액체 단위로 용해하거나 분산시키고, 적당한 분말 단체와 혼합하거나 흡착시키고, 경우에 따라 여기에 유화제, 안정제, 분산제, 교미제(矯味劑), 보존제, 방향제, 착색제, 코팅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액제, 주사제, 연고, 크림, 로션, 스프레이제, 에어졸제, 좌약(좌제)등 원하는 제형으로 만들어, 경구제, 외용제, 주사제, 흡인제, 점비제, 점안제 등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첨가량은, 제형에 따라 식물추출물 및/또는 화합물을 0.001중량% 이상, 즉, 0.001 ~ 100(정제고려)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중 량% 이상, 즉 0.01 ~ 50 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선모운동 활성화제는, 향, 증미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츄잉껌, 캔디, 정과, 구미젤리, 초콜렛, 비스켓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베트, 빙과 등의 냉과, 음료, 스프, 쨈 등의 식품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품에 첨가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첨가량으로는, 특별히 기호성을 고려하여, 0.0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초과 파초속 (Musaceae Musa)식물, 육두구 (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 (Acorus gramineus), 산초나무 (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네틀 (Urtica dioica), 연꽃 (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 (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 (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 (Crataegus oxyacantha)은 모두 생약, 식품소재, 허브티로서 예부터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이들의 추출물 및 이를 배합한 식품의 안전성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또한,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는 일반적으로 식품에 배합되고 있는 것으로 안전성에 대하여 전혀 문제가 없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 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시험은 식물체에서 얻은 식물추출물의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제공시료
이하의 방법으로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료 제조예1]
건조후 파쇄한 바나나(Musa sapientum) 과피, 육두구 가종피, 산초나무 수피, 얼룩조릿대 잎, 서양산사나무 열매, 각각 10g에 100㎖의 50% 에탄올을 가하고, 2시간, 7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육두구 추출물은 2.1g, 바나나 추출물은 4.2g, 산초나무 추출물은 0.6g, 얼룩조릿대 추출물은 0.7g, 서양산사나무 추출물은 1.3g 얻었다.
[시료 제조예2]
건조후 파쇄한 바나나(Musa paradisiaca) 과피, 육두구 가종피, 산초나무 수피, 얼룩조릿대 잎, 서양산사나무 열매, 각각 10g에 100㎖의 물을 가하고, 2시간, 7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육두구 추출물은 2.1g, 바나나 추출물은 2.8g, 산초나무 추출물은 0.5g, 얼룩조릿대 추출물은 0.7g, 서양산사나무 추출물은 0.9g 얻었다.
[시료 제조예3]
건조후 파쇄한 스컹크 캐비지의 근경, 석창포 뿌리, 바나나(Musa acuminate) 열매, 연꽃 배아, 서양딱총나무(엘더) 꽃, 각각 10g에 100㎖의 50% 에탄올을 가하고, 2시간, 7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은 2.3g, 석창포 추출물은 0.6g, 바나나 추출물은 4.0g, 연꽃 추출물은 2.4g, 서양딱총나무(엘더) 추출물은 2.3g 얻었다.
[시료 제조예4]
건조후 파쇄한 스컹크 캐비지의 근경, 석창포 뿌리, 바나나(Musa paradisiaca) 열매, 연꽃 배아, 서양딱총나무(엘더) 꽃, 기슈(紀州)밀감 과피, 레몬 잎, 각각10g에 100㎖의 물을 가하고, 3시간, 7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은 2.3g, 석창포 추출물은 1.5g, 바나나 추출물은 4.0 g, 연꽃 추출물은 2.7g, 서양딱총나무(엘더) 추출물은 2.1g, 기슈(紀州)밀감 추출물은 3.1g, 레몬 추출물은 2.6g을 얻었다.
[시료 제조예5]
건조후 파쇄한 네이블오렌지 꽃, 구기자나무 잎, 네틀 잎, 각각 30g에 300㎖의 50%에탄올을 가하고, 1시간, 90℃에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네이블오렌지 추출물은 6.9g, 구기자나무 추출물은 8.4g, 네틀 추출물은 3.3g을 얻었다.
[시료 제조예6]
건조후 파쇄한 홍귤 과실, 구기자나무 잎, 네틀 잎, 각각 30g에 300㎖의 물을 가하고, 1시간, 90℃에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홍귤 추출물은 7.8g, 구기자나무 추출물은 8.4g, 네틀 추출물은 5.4g을 얻었다.
[시료 제조예7]
건조후 파쇄한 바나나(Musa sapientum) 과피, 육두구의 가종피, 각각 10g에 100㎖의 100% 메탈올을 가하고, 3시간, 70℃에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 감압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바나나 추출물은 1.0g, 육두구 추출물은 1.4g을 얻었다.
[시료 제조예8]
건조후 파쇄한 바나나(Musa paradisiaca) 과피, 석창포 근경, 네롤리 과실, 각각 10g에 100㎖의 100% 에탄올을 가하고, 3시간, 70℃에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 감압건조하여,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제조하였다. 바나나 추출물은 1.2g, 석창포 추출물은 0.5g, 네롤리 추출물은 1.9 g을 얻었다.
[비교 시료1]
건조후 파쇄한 대추 과실30g에 300㎖의 물을 가하고, 1시간, 9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대추 추출물 15.3g을 얻었다.
[비교 시료2]
건조후 파쇄한 흑두 과실30g에 300㎖의 물을 가하고, 2시간, 70℃에서 환류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 동결건조하여 흑두 추출물 11.1g을 얻었다.
2)시험법
시료제조예 1 ~ 8로 제조한 본 발명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비교예 1, 2의 비교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실험토끼의 기관에서 적출한 선모세포의 선모운동을 측정하고, 식물 추출물이 선모운동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일본 백색종 실험토끼 (2.0~2.3kg)을 마취하에, 기관을 적출하고, 기관으로부터 선모세포를 포함한 기도점막 상피를 박리하고, 1 ~ 3 ㎟ 의 작은 조각으로 세단한 후 Medium 199(페니실린 50 U/㎖, 50㎍/㎖, 훈기존(FUNGIZONE) 2.5㎍/㎖ 함유)로 채운 샬레 내의 커버글러스에 올려 두었다.
37℃ 조건하에서 CO2인큐베이터(95%공기, 5% CO2)에서 7일간 배양시킨다. 조직은 약 30도 경사진 커버글라스의 기상면(氣相面)에 부착시키고, 48시간후에 샬레를 수평으로 하여 배양을 계속한다. 이어서 이를 거꾸로 하고 Medium199로 채운 로즈체임버(rose chamber)내에 고정, 마이크로포토오실레션법으로 선모운동 주파수 (이하 CBF)를 측정한다. (岡澤光芝 외, 선모운동의 해석법, 호흡5:1345~1350, 1986년)
측정은 37℃의 항온조내에서 실시한다. 먼저 Medium199로 로즈체임버를 관류(灌流)시켜 CBF를 15분 연속하여 측정, 이어서 거의 동일 부분의 CBF를 시료첨가 Medium199로 관류시켜15분 연속하여 측정, 전자를 기준치로 하여 변화율을 이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선모운동 활성화율(%) = (A/B -1) × 100
단, A : 시료첨가Medium199로 관류한 후 15분간의CBF의 평균치
B : Medium199로 관류한 후 15분간의CBF의 평균치(기준치)
3) 시험결과
각각 시료 1㎎/㎖에서의 선모운동 활성화율을 다음 표1에 나타냈다.
시료 선모운동 활성화율(%)
바나나(Musa sapientum) 추출물(시료제조예1) 7.3
육두구 추출물(시료조제예1) 6.8
산초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1) 8.5
얼룩조릿대 추출물(시료제조예1) 6.3
서양산사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1) 5.2
육두구 추출물(시료제조예2) 7.7
바나나(Musa paradisiaca) 추출물(시료제조예2) 31.3
산초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2) 9.3
얼룩조릿대 추출물(시료제조예2) 8.1
서양산사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2) 6.7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시료제조예3) 8.2
석창포 추출물(시료제조예3) 10.5
바나나(Musa acuminate) 추출물(시료제조예3) 7.4
연꽃 추출물(시료제조예3) 6.9
서양딱총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3) 5.1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시료제조예4) 9.9
석창포 추출물(시료제조예4) 11.1
바나나(Musa paradisiaca) 추출물(시료제조예4) 8.9
연꽃 추출물(시료제조예4) 10.3
서양딱총나무(엘더) 추출물(시료제조예4) 5.7
기슈(紀州)밀감 추출물(시료제조예4) 12.3
레몬 추출물(시료제조예4) 14.4
네이블오렌지 추출물(시료제조예5) 7.3
구기자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5) 8.8
네틀 추출물(시료제조예5) 5.2
홍귤 추출물(시료제조예6) 8.6
구기자나무 추출물(시료제조예6) 9.8
네틀 추출물(시료제조예6) 6.3
바나나(Musa sapientum) 추출물(시료제조예7) 6.6
육두구 추출물(시료제조예7) 7.0
바나나(Musa paradisiaca) 추출물(시료제조예8) 5.5
석창포 추출물(시료제조예8) 9.5
네롤리 추출물(시료제조예8) 7.4
대추 추출물(비교예1) 0.3
흑두 추출물(비교예2) 0.2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바나나(Musa paradisiaca??Musa sapientum, Musa acuminate), 육두구, 산초나무, 스컹크 캐비지, 석창포, 네롤리, 기슈(紀州)밀감, 네이블오렌지, 레몬, 홍귤, 구기자나무, 네틀, 연꽃, 서양딱총나무, 얼룩조릿대, 서양산사나무로 제조한 추출물은, 강한 선모운동 활성화 작용을 나타냈으나, 비교예인, 대추 추출물 및 흑두 추출물의 선모운동활성화 작용은 약했다.
본 시험은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의 선모운동활성화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제공시료
L-멘톨, D-멘톨, 이소멘톨 및 멘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2) 시험방법
본 시험은 시험예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 시험결과
각 시료의 50㎍/㎖에서의 선모운동 활성화율을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시료 선모운동활성화율(%)
L-멘톨 9.8
D-멘톨 5.6
이소멘톨 7.2
멘틸아세테이트 7.0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L-멘톨, D-멘톨, 이소멘톨 및 멘틸아세테이트 모두 강한 선모운동활성화 작용을 나타냈다.
이하, 실시예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나,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료제조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식물추출물, 건조시킨 식물을 분쇄하여 제조한 식물분말, 멘톨, 멘톨유도체 및 멘톨이성체를 사용하여, 정제, 산제, 흡입제, 점비제, 츄잉껌, 캔디, 초콜렛, 비스켓, 구미젤리, 정과, 아이스크림, 샤베트, 음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하에 제조비를 나타냈다.
[실시예1]
이하의 제조비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D-만니톨 42.6 중량%
유당 42.6
결정셀룰로오스 8.5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3
시료 제조예4의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 2.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정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
이하의 제조비로 산제(散劑)를 제조하였다.
유당 62.5 중량%
감자전분 25.0
시료 제조예 6의 네틀 추출물 12.5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네틀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3]
이하의 제조비로 흡입제를 제조하였다.
에탄올 5.0 중량%
시료 제조예1의 산초나무 추출물 0.5
시료 제조예5의 네이블 오렌지추출물 0.5
L-멘톨 2.0
물 92.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산초나무 추출물, 네이블 오렌지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흡입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흡입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4]
이하의 제조비로 점비약를 제조하였다.
리리틸산메틸 0.03 g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0.3
dl-염산메틸에페드린 0.3
폴리솔베이트80 0.2
염화 벤잘코늄 0.01
염화나트륨 0.6
1N수산화나트륨 적당량
시료 제조예2의 육두구추출물 1.0
물 적당량
100.0㎖(pH6.5)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육두구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점비약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점비약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5]
이하의 제조비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껌베이스 20.2 중량%
설탕 54.7
글루코스 15.0
물엿 9.3
향료 0.5
시료 제조예2의 바나나추출물 0.5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츄잉껌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6]
이하의 제조비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껌베이스 20.0 중량%
설탕 54.5
글루코오스 10.0
물엿 13.0
향료 0.5
시료 제조예4의 바나나 추출물 1.0
시료 제조예4의 석창포 추출물 1.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 추출물, 석창포 추출물 대신 시료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츄잉껌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7]
이하의 제조비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껌베이스 20.0 중량%
설탕 50.5
글루코오스 14.0
물엿 13.0
향료 0.5
시료 제조예 8의 네롤리 추출물 2.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네롤리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츄잉껌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8]
이하의 제조비로 캔디를 제조한다.
설탕 50.0 중량%
물엿 33.0
구연산 1.0
향료 0.2
L-멘톨 1.0
시료 제조예2의 바나나 추출물 0.4
물 14.4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캔디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9]
이하의 제조비로 캔디를 제조한다.
설탕 38.0 중량%
물엿 41.0
구연산 1.0
향료 0.2
분말바나나(껍질) 1.4
물 18.4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분말 바나나(껍질) 대신 분말 육두구 및/또는 분말 레몬을 배합한 캔디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0]
이하의 제조비로 캔디를 제조한다.
설탕 38.0 중량%
물엿 32.0
자일리톨 10.0
구연산 1.0
향료 0.2
시료 제조예4의 기슈(紀州)밀감 추출물 0.4
물 18.4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기슈(紀州)밀감 추출물 대신 시료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캔디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1]
이하의 제조비로 초콜렛을 제조한다.
카카오비터 20.0 중량%
전지분유 20.0
카카오버터 17.0
분당 41.85
레시틴 0.45
향료 0.1
시료 제조예4의 연꽃 추출물 0.6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연꽃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초콜렛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초콜렛으로서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2]
이하의 제조비로 비스켓을 제조한다.
설탕 31.7 중량%
소맥분 26.8
녹말 26.8
버터 3.2
달걀 10.7
중조 (탄산수소나트륨) 0.3
시료 제조예 1의 바나나 추출물 0.5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비스켓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비스켓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3]
이하의 제조비로 구미젤리를 제조한다.
폴리덱스트로스 수용액 40.0 중량%
솔비톨 수용액 8.0
파라티노스 수용액 9.0
말토스 수용액 20.0
트레할로스 수용액 11.0
젤라틴 10.0
주석산 1.0
시료 제조예8의 석창포 추출물 1.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석창포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구미젤리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구미젤리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4]
이하의 제조비로 정과를 제조한다.
설탕 76.1 중량%
글루코오스 19.0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2
향료 0.2
시료 제조예7의 바나나 추출물 0.5
물 4.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정과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5]
이하의 제조비로 정과를 제조한다.
설탕 74.7 중량%
유당 18.9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5
시료 제조예1의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1.0
시료 제조예4의 레몬 추출물 1.0
물 4.25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레몬 추출물 대신 시료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6]
이하의 제조비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한다.
난황 11.0 중량%
설탕 14.0
우유 37.0
생크림 37.0
바닐라빈즈 0.5
시료 제조예2의 얼룩조릿대 추출물 0.5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얼룩조릿대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아이스크림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아이스크림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7]
이하의 제조비로 샤베트를 제조한다.
오렌지과즙 16.0 중량%
설탕 32.0
시료 제조예3의 바나나(Musa acuminate)추출물 2.0
물 50.0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바나나(Musa acuminate)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샤베트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샤베트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8]
이하의 제조비로 음료를 제조한다.
오렌지과즙 30.0 중량%
이성화당 15.24
구연산 0.1
비타민C 0.04
향료 0.1
시료 제조예6의 구기자나무추출물 0.1
물 54.42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구기자나무 추출물 대신 시료 제조예 1 내지 8의 각 추출물을 배합하여 음료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19]
이하의 제조비로 정제를 제조한다.
D-만니톨 43.0 증량%
유당 43.0
결정셀룰로오스 9.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0
L-멘톨 1.0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L-멘톨 대신D-멘톨, 메틸아세테이트,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정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0]
이하의 제조비로 산제를 제조한다.
유당 67.5 중량%
감자전분 30.0
L-멘톨 2.5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L-멘톨 대신D-멘톨, 메틸아세테이트,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산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1]
이하의 제조비로 흡입제를 제조한다.
에탄올 5.0 중량%
L-멘톨 1.5
D-멘톨 1.5
물 92.0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L-멘톨, D-멘톨 대신 메틸아세테이트,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흡입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흡입제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2]
이하의 제조비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껌베이스 20.0 중량%
설탕 55.0
글루코오스 15.0
물엿 9.4
향료 0.5
L-멘톨 0.1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L-멘톨 대신D-멘톨, 메틸아세테이트,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츄잉껌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3]
이하의 제조비로 캔디를 제조한다.
설탕 39.0 중량%
물엿 41.2
구연산 1.0
향료 0.2
메틸아세테이트 0.1
물 18.5
100.0 중량%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멘틸아세테이트 대신 L-멘톨, D-멘톨,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캔디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4]
이하의 제조비로 캔디를 제조한다.
설탕 38.0 중량%
물엿 32.0
자일리톨 10.0
구연산 1.0
향료 0.2
L-멘톨 0.2
메틸아세테이트 0.2
물 18.4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L-멘톨, 메틸아세테이트 대신D-멘톨,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캔디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5]
이하의 제조비로 음료를 제조한다.
오렌지과즙 30.00 중량%
이성화당 15.26
구연산 0.10
비타민C 0.07
향료 0.10
메틸아세테이트 0.05
물 54.42
100.0%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메틸아세테이트 대신 L-멘톨, D-멘톨, 이소멘톨 중 선택하여 배합한 음료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은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지 않고 선모운동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모운동 활성화제는 예부터 생약 및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온 식물의 추출물 및/또는 일반적으로 식품에 배합되고 있는 멘톨, 멘톨유도체, 멘톨이성체 등을 사용한 것으로, 증미가 우수하며,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다. 때문에, 본발명의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은 화학합성품으로 이루어진 기도점액 용해제와 같은 부작용을 도모하지 않고, 외래의 세균, 바이러스, 이물질 등에 유래하는 감염증(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부비강염, 기관지 천식, 폐렴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파초과 파초속 (Musaceae Musa)식물, 육두구(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Acorus gramineus), 산초나무(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Urtica dioica), 연꽃(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엘더)(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이들의 건조물, 건조분말, 추출물 및 추출물의 분말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3. 멘톨, 멘톨유도체, 멘톨이성체 및 멘톨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4. 파초과 파초속 (Musaceae Musa)식물, 육두구(Myristica fragrans), 귤과 귤속(Rutaceae Citrus)식물,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석창포(Acorus gramineus), 산초나무(Zanthoxylum americanum),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네틀(Urtica dioica), 연꽃(Nelumbo nucifera), 서양딱총나무(엘더)(Sambucus nigra), 얼룩조릿대(Sasa veitchii), 및 서양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 멘톨, 멘톨유도체, 멘톨이성체 및 멘톨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모운동 활성화제.
  5. 청구항 1 내지 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모운동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070023152A 2007-03-08 2007-03-08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KR10087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52A KR100877220B1 (ko) 2007-03-08 2007-03-08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152A KR100877220B1 (ko) 2007-03-08 2007-03-08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369A true KR20080082369A (ko) 2008-09-11
KR100877220B1 KR100877220B1 (ko) 2009-01-09

Family

ID=4002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152A KR100877220B1 (ko) 2007-03-08 2007-03-08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2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220B1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243B1 (ko)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JP2002179586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90182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18200A (ko) 호두의 분리 추출물, 이의 수득방법 및 이의 용도
JP5189735B2 (ja) 線毛運動活性化剤
JP2009126853A (ja) 治療剤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3246B1 (ko) 새싹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페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2507666B1 (ko)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77220B1 (ko)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2131823A (ja) 線毛運動活性化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JP5677342B2 (ja) 線毛運動活性化剤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3632B1 (ko)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