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552B1 -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552B1
KR100761552B1 KR1020040082405A KR20040082405A KR100761552B1 KR 100761552 B1 KR100761552 B1 KR 100761552B1 KR 1020040082405 A KR1020040082405 A KR 1020040082405A KR 20040082405 A KR20040082405 A KR 20040082405A KR 100761552 B1 KR100761552 B1 KR 10076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moking
herbal
nico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345A (ko
Inventor
김동운
진상협
나건
홍주표
Original Assignee
나노바이오메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바이오메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바이오메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5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및 타르 성분의 제거 및 인체내의 면연력 강화를 위한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차나무,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각 건조물에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용매에 추출된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여과된 추출용액에 함유된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추출물은 담배 흡연으로 인해 인체내의 축적된 타르 및 혈액중의 니코틴 양을 저하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에 첨가하여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제제로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생약추출물, 니코틴, 타르, 담배.

Description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Herbextract for removing harmful elements caused by smo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담배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및 타르 성분의 제거를 위한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 물질 중에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흡연과 질병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900년대 중반 이후 집중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흡연으로 인한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생 증가와 다른 건강장애에 대한 증거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다. 실제로 담배연기는 주류연(mainstream smoke)과 부류연(sidestream smok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류연은 흡연자가 들이마신 후 내품는 연기이고, 부류연은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를 말한다.
담배연기의 성분 분석 결과 약 4,000 여종의 성분이 확인 되었다. 약 4,000 여종의 성분이 주류연 총중량의 약 95%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수천 종의 성분은 극히 미량으로 존재한다. 담배연기는 담배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며 완전연소가 되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불완전연소는 일부 담배잎 성분의 불완전 연소성, 불충분한 산소공급, 이외에도 담배가 탈 때 증류, 승화, 열분해, 열 합성, 휘발성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담배연기는 기체에 액체 또는 미세한 입자가 섞여 있는 혼합체인 연무질(aerosol)로서, 캠브리지 유리섬유필터(Cambridge glass fiber filter;입자의 직경이 0.1㎛ 보다 큰 입자를 99% 이상 걸러낼 수 효율을 가진 필터)를 통과한 물질을 가스 또는 증기 성분이라 한다. 상기 가스 또는 증기 성분은 질소(59%), 산소(13.4%), 이산화탄소(13.5%), 일산화탄소(3.2%)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관지 섬모 작용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에스테르 등과 같은 저 분자량을 갖는 휘발성 성분이 포함된다.
또한 유리섬유필터(cambridge glass fiber filter)에 의해 걸러진 물질을 입자상 물질(Particulates phase components)이라 하고 담배연기의 약 8%이고, 타르를 포함한 적어도 38개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발암가능성 물질 및 니코틴이 있으며, 기타의 무기 및 유기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21세기에 들어서도 담배는 여전히 인류의 건강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위험요인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배 애호가는 끽연의 습관을 끊는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또 끽연을 계속하면 담배연기로 인한 체내에 니코틴과 타르성분 등이 축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연으로 인해 인체의 축적된 니코틴과 타르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은 제거할 수 있는 생약추출물을 식품화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은 알로에 0.5~10 중량%, 금잔화 5~40 중량%, 까마중 5~20 중량%, 삼칠 0.5~10 중량%, 녹차엽 5~20 중량%, 차전초 5~40 중량%, 약모밀 5~40 중량%, 새삼덩굴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및 감초 0.5~1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각 건조물에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용매에 추출된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여과된 추출용액에 함유된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의 제조방법은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건조물을 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혼합 건조물에 수용성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용매에 추출된 혼합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혼합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여과된 혼합 추출용액에 함유된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실시예로 알로에 0.5~10 중량%, 금잔화 5~40 중량%, 까마중 5~20 중량%, 삼칠 0.5~10 중량%, 녹차엽 5~20 중량%, 차전초 5~40 중량%, 약모밀 5~40 중량%, 새삼덩굴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및 감초 0.5~10 중량%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약추출물로 이용되는 성분 및 그 작용 효과는 하기와 같으며,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재료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1)약모밀, (2)새삼덩굴, (3)인동덩굴, (4)감초, (5)금잔화, (6)까마중, (7)알로에, (8)삼칠, (9)녹차엽, (10)차전초의 순서대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성분(1)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Polypara cordata Bueck))은 다른 이름으로 중약초, 즙채, 삼백초, 어성초, 십약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이 사용된다.
주성분은 메틸노닐케논(CH3(CH2)8COCH3;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 생성물) 미르센(C10H16), 라우린 알데히드(C11H23CHO), 카프린알데히드(C 9H19CHO), 카르프산 등이 있으며 잎에는 쿠에르시트린과 물에 풀리는 무기물이 2.7%가 있다.
작용으로는 쿠에르시트린는 오줌내기 작용(10만배농도)과 강심작용과 대장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 임균, 포도알균 및 사상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는 비병원성 곰팡이는 물론 백선균, 무좀균 등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포도알균, 임균, 항산성균에도 억균작용이 있다. 포도알균에 대한 항균력은 1 : 40,000이며 설파제보다 세다.
전초는 염증약과 이뇨해독약으로 사용되며, 이뇨해독약으로 임질,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기관지염, 물고임, 무좀치료, 탈 항, 악창, 풍악 및 축농증 등에 사용된다. 민간처방으로 즙으로 조제하여, 무좀, 치질, 뱀 독 및 옻이 올랐을 때 붙인다. 잎과 줄기는 부기, 각기 등에 오줌내기약으로, 뿌리는 풍독, 종창에 사용된다.
성분(2)의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은 씨를 여문것을 따서 햇볕에 잘 말린 것을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씨에는 수지 모양의 배당체, 아밀라제, 프로비타민 A가 약 40mg%, 당이 있고 전초에는 켐페롤이 있다.
동의치료로는 강정강장약으로 음위증, 유정, 허리아픔에 사용되며 진정약, 아픔멎이약, 설사약으로도 사용된다. 민간처방은 전초즙으로 구진(농포)을 없애기 위하여 얼굴을 씻으며 가래약, 피멎이약, 땀내기약, 구풍약, 열물내기약, 가래약, 벌레떼기약, 설사약, 폐렴, 콩팥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성분(3)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은 다른 이름으로 금은화, 겨우살이덩굴 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성분으로서는 꽃에는 루테올린(C15H10O6;5,7,3,4-테트라히드록시플라본), 이노시톨 (C6H12O6)이 있으며 꽃이 단 것은 이노시톨 때문이며 납모양 물질(세릴알콜, 스테롤, 아라킨산, 미리스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리놀레산)이 있다.
잎과 줄기에는 5~8%의 타닌질이 있고 잎에는 로가닌, 약 19%의 함 질소물질 및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인 로니세린(C27H30O15 2H2O)이 있다. 동일한 속 식물(L. morronii)의 잎에서 이리노이드 화합물로 로니세로이드, 스웨로시드가 있다.
꽃 달인 물은 오줌내기 작용과 혈당량을 늘리는 작용과 적리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에 억균작용과 소화성위궤양의 예방효과, 교감신경흥분, 평활근마비 작용이 있다.
동의치료에서 꽃과 잎, 줄기를 열내림약, 독풀이약, 오줌내기약, 정혈약으로 풍악초기에 열날 때, 종창과 종독, 창독, 곪는 질병에 사용되며 달임 약으로는 곪는 질병에 사용된다. 숯처럼 탄 것은 피멎이 약으로 사용된다.
민간처방으로 암 치료에 사용된다. 물에 달여 차처럼 오래 음용하면 위암과 자궁내막염, 림프절결핵의 누공, 입안염에 효과적이다.
성분(4)의 감초(Glycyrrhiza glabra L.)는 국로, 곧은감초, 민감초라고도 불리우며 감초의 뿌리를 사용한다. 가을에 뿌리줄기와 뿌리를 캐어 줄기를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려서 사용된다. 뿌리줄기와 뿌리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여름보다 가을에 높고 2년생 감초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4월에 3.8%, 5월에 3.7%, 7월에 3.3%, 8월에 3.8%, 9월에 5%, 10월에 6% 이다. 뿌리의 부위에 따른 글리시리진 함량을 보면 2년생 감초의 원뿌리(주근)에 6.91%, 가는 뿌리에 8.04% 이다. 그러므로 원뿌리와 뿌리줄기에 잔뿌리를 포함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껍질(13.06%)은 목부와 수심(10.42%)보다 그 함량이 높다. 껍질을 벗길 때에는 코르크화된 겉껍질만을 벗기고 되도록 속껍질을 상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성분으로서는 뿌리와 줄기에는 글리시리진(글리시리진산의 칼륨염 또는 칼슘염)이 5~14%이고 많은 것은 23%이며, 글라브라산(글리시레틴;C30H46O5)이 있다.
글리시리진산C42H62O16은 트리테르페노이드사포닌으로 녹는점 205℃, 분해점 220℃, [d]D 20 +58.5℃이고 알코올과 뜨거운 물에 잘 풀리며 에테르에 풀리지 않는다. 뜨거운 물에 푼 것을 식히면 갖풀처럼 굳어진다. 물 분해하면 맛이 없는 글리시레틴산 (C30H46O4)과 2분자의 글루쿠론산(C6H10O 7)이 생긴다. 글리시레틴산은 β-아미린계 트리테르페노이드로 α,β체의 2가지가 있는데 쉽게 서로 변한다. 그러나 그의 에스테르는 서로 변화하지 않는다. α-글리시레틴산은 판 모양 결정의 묽은알콜이고 녹는점 283℃, [d]D 20 +140℃(에탄올)이고 에탄올, 디옥산, 클로로포름에 풀린다. β-글리시레틴산은 바늘결정(에탄올)이며 녹는점 296~300℃, [d]D 20 +86℃ (알코올)이고 에탄올, 피리딘, 초산에 풀리고 석유에테르에 잘 풀리지 않는다.
또한 플라보노 배당체인 리쿠이리틴 C21H22O9, 네오리쿠이리틴, 람노리쿠이리틴(이것들의 비당부분은 모두 리쿠이리티게닌 이다)과 이에 대응되는 갈콘 배당체로 이소리쿠이리틴, 네오이소리쿠이리틴, 이소람노리쿠이리틴, 리쿠라시드(이것들의 비당 부분은 모두 이소리쿠이리티게닌 이다)가 있다. 람노리쿠이리틴을 리쿠이리토시드라고도 한다.
감초뿌리에서 크로마토그래프로 27개가 넘는 플라보노이드 유사물질이 확인 되었다. 굽은 감초 뿌리에서는 β-시토스테롤, 포르모노네틴, 리코리시딘, 리코리콘, 리코레올리그난이 확인 되었다. 또한 꽃필 때의 마른 잎과 줄기에는 단백질 14~22%, 기름 2~5%, 무질소엑스 36~62%, 회분 5~20%로 집짐승 먹이로 사용된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라 변한다. 뿌리는 가을철, 잎과 줄기는 열매가 달리기 시작할 때 제일 높다. 가을철 리쿠라시드의 함량은 약 0.5%이다. 리쿠라시드는 총플라보노이드의 약 10%을 차지한다.
줄기와 잎에 사포나레틴, 글리포시드, 비텍신 등이 있다. 사포나레틴은 총플라보노이드의 약 50%이며 열매가 열릴 때의 전초에 3% 함유되어 있다.
또한 쓴맛이 있는 글리시라마린(글리시리진의 쓴맛 성분), 2,4,4-트리히드록시갈콘과 그 배당체 디옥시스티그마스테롤(녹는점135~136℃), β-시토스테롤, 정유(0.03%), 아스코르빈산 11~30mg%, 아스파라긴(1~4%), 과당 (2.4~6.5%), 포도당 (2~4%) 만니톨, 녹말 (14~30%), 고무질 (1.5~4%), 노란색소, 사과산, 기름, 수지, 타닌, 단백질과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알라닌, 트레오닌, 세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γ-아미노버터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이 있다. 쓴맛이 제일 강할 때는 8%이다. 이중 물에 풀리는 것이 2.5~3%이다.
글리시리진은 감초 뿌리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탕의 40~50배 정도로 단맛이 있으며 그 단맛은 10만 배의 희석액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물 용액은 흔들면 거품이 생기지만 일반 사포닌보다 약하고 용혈작용도 없거나 약하다(칼륨염은 1 : 400). 글리시리진의 물 분해에 의하여 생긴 글리시레틴산은 단맛이 없고 용혈작용이 있다. 그리하여 감초의 거담 작용은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글리시리진은 또한 호흡기를 완화 시킨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시리진은 독성이 없고 포수클로랄, 스트리크닌,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풀어준다. 세균독과 바이러스독, 예를 들면 파상풍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뱀 독을 풀어준다.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는 길항작용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도 있다.
글리시리진의 독풀이 작용은 물 분해 산물인 글루쿠론산과 관계된다. 글루쿠론산은 동식물계에 널리 들어있는 성분으로 간에서 유독한 물질과 결합되어 글루쿠 로니드를 형성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글루쿠론산은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식중독, 황달, 간경변증, 만성간장에, 류머티즘, 관절아픔, 신경아픔 등에 쓰이고 있다. 글리시리진의 독풀이작용은 글루쿠론산 뿐만아니라 글리시리진의 부신피질호르몬의 작용과 관계된다. 즉, 글리시리진은 부신피질 호르몬인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글리시레틴산은 동물실험에서 나트륨과 클로르, 오줌의 배설량을 줄이고 칼륨의 배설량을 늘린다. 즉, 나트륨과 칼륨(Na/K)의 비를 낮춘다. 이와 같이 칼륨대사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나트륨대사에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 또한 물과 염류대사에 대한 부신피질 호르몬의 영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부신피질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감초의 추출물과 글리시리진에 있다. 사람이 먹었을 때 동일한 작용이 나타난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시리진은 항염증 작용을 한다. 동물에게 실험적으로 일으킨 포르말린 관절염의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간에 있는 아데노신트리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을 높이고, 글리시리진의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비슷한 항염작용은 분해 산물인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것이 다.
글리시리진의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은 코르티코이드의 생체 안에서의 비활성화 Δ4-3케톤부분의 환원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감초뿌리엑스는 동물실험에서 위장평활근에 대한 파파베린과 비슷한 항 근육 성 진경작용이 있다. 이작용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인한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지금까지 쓰이지 않았던 것인데 진경작용, 항염증작용이 알려지면서 개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리쿠라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센 진경작용이 있으면서도 항염증, 항궤양활성이 있다. 그리고 아세틸콜린,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감초뿌리엑스가 소화성위궤양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은 1950년대에 알려짐에 따라 감초뿌리에서 항궤양성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많은 실험이 진행되었다. 1960년대 들어와서 플라보노이드를 얻어내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진경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다. 또한 최근에 많은 실험들을 통하여 진경작용뿐만 아니라 항 염증작용, 항궤양성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감초는 계면 활성이 세므로 다른 동약재와 달이거나 먹으면 동약성분을 물에 잘 풀리게 하여 흡수를 돕는다. 또한 동약재의 독성을 줄이고 맛을 바꾼다 요즘에는 에스트로겐 작용도 주목 되고 있다. 감초뿌리에는 포도알균, 대장균, 적리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글리시리진산을 항암약인 티오폭스마미드와 함께 쓰면 항암 활성은 85~95%가 나타난다. 감초뿌리의 작용은 가래삭임작용, 완화작용, 항 염증작용과 진경작용, 항히스타민작용 등이 있다.
따라서 가래기침약으로 상기도 질병에 사용된다. 단맛이 있으므로 약품의 약고침약으로도 사용된다. 독풀이약이나 부형약으로도 사용된다. 요즘에는 위십이지장궤양, 에디슨 병, 기관지천식, 황달과 간염,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글리시리진산은 항암약의 활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약으로 사용된다.
동의치료로는 감초뿌리를 다른 동약들의 작용을 완화 및 조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더운약과 같이 쓰면 열을 완화 시키며 찬약과 같이 쓰면 찬 것을 완화시킨다. 이처럼 완화 약 또는 아픔멎이진경약, 가래 약, 기침멎이약, 독풀이약으로 위경련, 위아픔, 인후아픔,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등에 쓰며 독이 있는 동의처방에 사용된다.
성분(5)의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L.)는 금송화라고도 불리우며, 금잔화의 꽃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주성분으로는 카로틴, 리코핀(녹는점175℃), 비올라크산틴(C40H56O4;녹는점207~208℃), 루비크산틴(녹는점160℃), 네오리코핀A, 시트라크산틴(녹는점163~164℃), 클라보크롬(녹는점184~185℃)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약 3%이다.
꽃에는 정유가 0.02%, 수지 약 3.4%(이가운데 함질소점액은 1.5%), 알부민 0.64%, 사과산으로 계산한 유기산 6.84%, 적은양의 살리실산, 알칼로이드가 있다. 지상부에는 쓴맛 물질인 칼렌덴 (C23H38O7), 사포닌(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글루쿠론산이 된다), 불포화트리테르펜디올인 아르니디올, 파라디올, 타닌질(6~7%)이 있다. 씨에는 알칼로이드, 기름(주로 라우릴산과 팔미트산의 글리세리드), 기름의 비누화 되지 않은 부분에 세릴알코올, 피토스테롤이 있다.
작용으로는 꽃 달인액과 알코올추출물, 생즙은 동물실험에서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진정작용이 있고 반사 흥분성을 낮춘다. 또한 혈압을 내리고 심장 수축을 세게 하며 심장의 율동을 느리게 하고 살균작용을 한다.
고약을 만들어 화상, 궤양, 치열(관장한다), 뾰두라지몰림, 뾰두라지에 바른다. 또한 우림약과 팅크는 입안염, 치조농루에 입가심하고 자궁루, 자궁경부미란, 트리코모나스성 질염에 씻는다(2%팅크). 우림약과 팅크는 위 십이지장궤양과 간염, 당남염, 당낭염에 염증약, 열물내기약으로 사용된다. 고혈압과 심장병에도 사용된다. 꽃가루와 니코틴산을 섞은 것은 수술할 수 없는 위암에 치료약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약을 쓰면 중독증상과 소화불량, 트림, 구역질이 적어지고 밥맛이 좋와지며 잠이 잘온다.
성분(6)의 까마중(Solanum nigrum L.)은 깜뚜라지, 용규, 까마종이 라고도 불리우며 까마중의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으로 익는다. 전초(까마중)를 꽃필 때 줄기를 베어 그늘에 말려서 사용한다.
주성분으로는 전초에 스테로이드알칼로이드와 적은 양의 아트로핀, 니코틴이 있다. 스테로이드알칼로이드는 솔라닌(C45H73O15 N;솔라니딘-β-l-람노시드-d-갈락토시드-d-글루코시드), 솔라소딘, 솔라니그린 등이 있다. 전초에는 또한 플라보노이드, 루틴, 아스파라긴, 솔란구스틴, 시토스테롤 7~10%의 타닌질, 사포닌(디오스게닌, 티고게닌), 유기산이 있다. 선열매에도 전초에서와 비슷한 성분이 있다. 익은 열매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 사포닌과 안토시안 색소, β-카로텐, (카로틴으로 318~503mg%), 1,630mg%의 아스코르브산이 있고, 또한 솔라소닌(0.2%), 솔라마르긴(0.25%)이 있다. 잎에는 24~184mg%의 아스코르브산 50mg%의 카로틴이 있다. 뿌리에도 알칼로이드와 사포닌이 있다.
작용으로는 전초 달인물은 티푸스균, 포도알균, 녹농균, 적리균, 대장균, 진균에 대한 억제작용과 항염증, 혈당낮춤 작용이 있다. 알칼로이드 성분은 폐나 기관지 조직 중의 히스타민 분해를 촉진시키므로 기침멎이, 가래삭임작용이 있고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매우 적은 양의 아트로핀은 눈동자를 크게 하므로 눈 조절작용의 약한 마비로 오는 심한 바투보기 환자에게 일시적이나마 시력을 좋게 할 수 있다.
동의치료에서 강장약, 열내림약, 오줌내기약으로 피로를 회복하는 데 사용된다. 잎과 줄기는 여러가지 상처, 곪은 데 붙이며 열매는 눈을 밝게 한다. 민간에서는 강장약, 오줌내기약으로 신석중, 물고임에 사용된다. 전초즙은 진정약, 진경약, 땀내기약으로 감기에 사용된다. 꽃은 가래약으로, 잎은 수렴약, 피멎이약으로 설사, 적리, 간비대에 사용된다. 잎과 열매 우린액은 방부약, 염증약으로 치질, 궤양, 상처, 부스럼, 버짐, 습진, 뽀두라지, 단독, 선병 등에 사용된다. 또한 아픔멎이약으로 머리아픔, 류머티즘, 통풍, 종양에 사용된다
성분(7)의 알로에(Aloe sp)로 알로에속 식물은 약 170종이 알려져 있다. 짧은 줄기위에 많은 잎이 모여 난다. 잎은 살졌고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다. 흰색, 노란색, 붉은색 꽃이 이삭처럼 모여 핀다.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것은 높이 4m, 잎의길이 65cm에 이른다. 알로에는 산지에 따라 기원식물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온실에 기르는 것은 긴잎알로에A.arborescens, 얼룩잎알로에A.saponaria, 넓은잎 알로에A.arborescens var natalensis 이다. 주성분으로는 알로에(잎즙)에는 알로 인(C20H18O9,;알로에에모딘-d-아라비노시드)16~20%, 알로에-에모딘 나탈로인, 라바르베론(이소에모딘), 수지12%(알로레시노탄놀 C22H26O6 의 계피산에스테르)가 들어 있다.
알로에(잎즙을 말린 것)는 쓴맛강장약, 소화 및 식욕항진약으로 한번에 0.02~0.05g, 약한 설사약으로 한번에 0.02~0.2g, 센 설사약으로 한번에 0.3~0.5g을 음용한다. 동의치료에서는 어린이 감적, 변비에 하루 1~2g을 사용된다.
알로에생즙: 즙을 짜서 방부 목적으로 20% 되게 에탄올을 넣은 생즙은 억균약으로 상처를 관장하거나 썩는 염증 부위를 씻는 데 사용된다. 알로에 잎: 생물원자극소를 만들어 사용된다. 생잎을 썰어서 불리한 조건, 즉 어둡고 낮은 온도에 12일 동안 둔다. 이때 생잎에는 불리한 생활 조건으로 하여 약해지는 생명활동을 자극하는 물질이 생긴다고 한다. 이 물질을 생물원자극소라고 이름 지었는데 그 화학적 조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대체로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분자량이 큰 방향족 유기산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처리한 잎을 분쇄기로 짓찧어 방온도에서 3배량의 물을 넣어 놓아두었다가 거른 다음 멸균하여 주사약을 제조한다. 또는 잎즙과 기름으로 젖제도 제조한다. 주사약은 환자의 방어기능을 높이는 데 쓰며 젖제는 방사선 피해 때 피부손상을 막기위하여 사용된다. 알로에 즙: 생물원자극소로 신선한 알로에즙 80㎖에 95% 에틸알코올 20㎖, 클로르부탄올히드라트 0.5%함량으로 섞는다.
위염, 위장염, 대장염, 변비에 작은 숟갈로 한 숟갈 또는 반숟갈을 하루에 2~3번씩 밥 먹기 30분 전, 15~30일 동안 복용한다. 상처, 화상, 피부와 점막염증 치료에 띠고 바르기도 한다. 알로에 유동엑스주사약은 위십이지장궤양, 만성폐렴, 기관지천식, 눈병과 그 밖의 질병에 사용된다.
성분 (8)의 삼칠(Panax notoginseng(Burk)F.H.Chen은 금불환, 인삼삼칠, 삼삼칠, 전삼칠, 산칠이라고 불리우며, 삼칠의 뿌리에는 3~8%의 사포닌이 있다.
주성분으로는 진세노사이드Rb1, Rg1, Rg1 이며, 적은 양의 진세노사이드 Ra, Rb2, Rd, Re, Rc가 있고, Ro는 없거나 매우 적다. 정유의 조성 성분은 인삼보다 적다.
뿌리는 피멎이작용, 강심작용이 있다. 동물실험에서 심장동맥의 피 흐름을 늘이고 심근의 산소소비량을 줄이며 피속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인다. 뿌리를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과콜레스테롤혈증에 사용된다. 또한 만성 및 급성 간염에도 사용된다. 중국에서 뿌리를 피멎이약 아픔멎이약 염증약 곪은 것을 낮게 하는 약으로 사용된다. 특히 피멎이 효과가 뚜렷하여 베인상처, 코피, 여성들의 여러가지 피나기에 사용된다. 이 식물은 민간에서 피멎이 약으로 쓰였다. 3개의 가지에 7에의 잎이 붙었다고 하여 삼칠, 그 모양이 조선인삼과 비슷하다고 해서 삼칠인삼이라 하였다. 뿌리를 캐어 잔뿌리를 다듬고 말린 것을 생삼칠, 밀랍으로 곁면에 율기를 낸 것을 숙삼칠이라 한다.
성분 (9)의 차나무(Thea sinensis L)는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며, 잎은 두껍고 긴 타원형이고 가을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납작한 둥근 모양이고 3개의 모서리가 있다. 전라도, 경상도에 절로 자라는 것이 있으나 흔히 심어 기른다. 또한 가공 방법에 크게 녹차, 홍차, 꽃차(화차)로 나뉜다.
녹차는 잎을 따서 중기로 찌거나 뜨거운 바람으로 산화효소를 비활성화 시킨 다음 말린다. 봄에 싹이 돋아날 때 햇빛을 가려 타닌질이 생기지 못하게 하고 배양한 새싹을 따서 중기에 찐 다음 말린 것을 옥토라고 하는데 단맛이 있다. 홍차는 잎을 따서 절반 말린 다음 짓찧어 하룻밤 쌓아둔다. 이때 효소의 작용으로 타닌질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띤다. 이것을 뜨거운 바람으로 말린 것이다. 꽃차는 잎과 꽃을 섞어서 쌓아두어 꽃향기를 잎에 흡수시킨 다음 말린 것인데 향기가 있다.
주성분으로는 잎에는 카페인(C8H10O2N4), 크산틴(C5H 4O2N4), 테오필린과 같은 푸린염기가 1~6% 있다. 또한 차나무 타닌이 9~15%있다. 그 가운데서 가용성 타닌은 약3%, 불용성 타닌은 9.9%이다. 차나무 타닌(C22H18O10)은 테아카테콜의 몰식자산에스테르, 3-갈로일-l- 에피-갈로카테콜이다. 또한 스테로이드인 테아스테롤(C29H50O), a-스피나스테롤과 트리테르페노이드인 β-아미린(C30H 48O) 팔트레우빈(C30H50O)과 카로틴 비타민 C, 쿠에르세틴, 켐페롤, 아미노산인 아르기닌, 테아닌이 있다. 차의 단맛은 주로 테아닌에 의한 것이다. 녹차에는 정유 약 0.006%가 있는데 그 주성분은 α-β-헥세놀(CH3-CH2-CH=CH-CH2-CH 2OH)(50~60%),α-β-헥세놀 (CH3-(CH2)2-CH=CH-CH2O)(5%), 이소부틸알데히드, 이소발레릴알데히드, 메틸에틸아세초알데히드, 길초산, 살리실 산메틸, 벤질 알코올, 리날로올 등이 있다. 알칼로이드로는 카페인 외에도 테오필린, 테오브로민, 크산틴, 아데닌, 히포크산틴, 파라크 산틴, 메틸크산틴, 이사틴이 있다. 또한 레시틴, 튜클레오티드아데닌, 뉴클레오티드시토신, 철과 망간이 들어 있는 뉴클레오프로테이드와 쿠마린(움벨리페론-7-글루코시드), 비타민 B1, B2, B3, B5, K(156~233mg%)가 있다. 그리고 정유, 플라보놀 배당체(쿠에르세틴과 켐페롤유도체)가 있다. 씨에는 카페인 기름 22%(씨 속에 18%) 테아사포닌(C57H90O26)이 있다.
테아사포닌은 테아사포게놀(C30H50O6),클루쿠론산(C6H10 O7), 갈락토오소,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안겔리크산으로 물분해 된다. 씨에는 33%의 녹말, 8.5%의 단백질이 있다. 줄기, 뿌리, 씨에는 스테로이드사포닌이 있는데 특히 씨(9~10%)에 많다.
차나무는 신경계통을 흥분시키고 정신적, 육체적 활동을 강화시키는데 써왔다. 피속에 프로트롬빈이 적은 어린이들에게 먹이면 그 함량이 높아 진다.
찻잎: 카페인과 차나무 카데킨의 원료로 사용된다. 이 약들은 핏줄취약성이 약해지고 투과성이 파괴 될 때 출혈성 소질, 망막출혈, 광선병, 고혈압에 사용된다. 카페인은 긴장약으로 숨쉬기가 곤란한 때 심장활동이 약할 때 혈압이 낮은 일반 쇠약, 급성 전염성 질병, 정신적 육체적 피로에 사용된다. 또한 알코올 중독이나 아편 중독에 독 풀이약으로 사용된다. 테오필린은 심장의 피순환을 좋게하며 심장과 콩팥의 기능부전으로 오는 피순환 장애에 오줌내기약으로 사용된다. 테오브로민은 심장의 피순환장애, 고혈압 심장성 부종에 쓰이는 디우레틴과 테오필린, 기관지 천식과 협심증 등에 쓰이는 오이필린, 안타스티만 이라는 의약품 의 조성에 들어간다.
녹차엽은 어린 잎을 따서 발효시키지 않고 즉시 말린 것이다. 향기는 약하게 나지만 생리적인 활성이 있다. 녹차는 항미생물 활성이 있기 때문에 달임약으로 하여 적리치료에 사용된다. 즉 100g 마른 녹치앞에 2L의 물을 넣고 20~30분 동안 담가두웠다가 한 시간 끓이고 이것을 두겹의 천으로 여과하고 밥먹기 20~30분 전에 1~2 스푼씩 하루 3번 복용한다. 금성 적리에는 5~10일, 만성적리에는 16~20일 먹는다. 대장염, 직장염, 소화불량에도 복용된다. 차갑게 하여 햇볕에 타는 것을 막기 위해 외출전에 노출 예상부위를 준비된 녹차우린 물로 도포한다. 또한 햇볕에 의한 화상에도 아픔과 열을 덜어준다.
차를 음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진한 찻물을 우유에 타서 마시기도 하며 뜨거운 물이나 사탕과 함께 마시기도 한다. 아침에 차를 마시면 사람의 활동에 필요한 여러가지 성분이 차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일상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성분(10)의 차전초(Plantago asiatica L.(P.major L. var.asiatica)는 다른 이름으로 길장구와 배부장이가 있고, 꽃필 때 잎의 밑부분을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주성분은 잎에 이리노이드 배당체인 아우쿠빈(C15H24O9), 카탈폴과 플라보노이드인 플란타기닌(스쿠텔라레인-7-글루코시드), 호모플란타기닌(히스피톨린-7글루코시드)이 있다. 플란타긴(5,6,4-트리메틸스쿠텔라레인-7-글루코시드)이 있다. 이밖에 아피게닌, 루테올린, 네페틴, 6-옥시루테올린 배당체가 있다. 잎에는 또한 우르솔산, 헨트리아콘탄(C23H48),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β-시토스테롤의 팔미트산 에스테르가 있다. 효소(에물신과 인베로틴)와 카로틴, 아스코르빈산도 있다 씨에는 아우쿠빈과 점액이 있다. 점액을 부분 물분해하면 이당류 Ⅰ〔O-β-D-크실로피라노실-(1→2)-D-크실로피라노오스〕, Ⅱ〔O-β-D-크실로피라노실-(1→4)-D-크실로피라노오스〕, Ⅲ〔(O-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5)-L-아라비노피라노오스〕이 생긴다. 이 밖에 플란테놀산(플란타고산), 호박산, 콜린, 아데닌, 비타민A와 B1이 있다. 전초에는 물에 풀리는 다당류가 있다. 다당류에는 회분이 28%까지 있으며 전기투석으로 50%를 제거할 수 있다. 오랜시간 정제하면 회분이 0.4~0.5%가 발생된다. 다당류는 80~82%의 펙틴산, 5~6%의 갈락토아라반 4~5%의 갈락탄으로 이루어진다.
펙틴산은 물분해 하면 갈락투론산 78~83%,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 적은양의 포도당, 크실로오스와 이밖에 3개의 당이 생긴다. 즉 다당류는 모두 9개의 당과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다. 광물질을 없앤 다당류에는 갈락투론산의 무수물이 66~68% 있다. 이것을 물분해 하면 갈락투론산이 된다. 다당류를 이루고 있는 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글루코노오스, 만노오스의 상대 함량비가 6:6:3.5:2.5:1:1이다. 갈락투론산은 주로 펙틴이다. 질경이를 유럽에서 자라는 피 메이져(P.major)와 화학분류의 입장에서 성분을 비교하면 질경이에는 이리노이드 배당체가 한가지 더 있으며, 6-옥시루테올린 배당체가 있다.
다당류의 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라 8~19% 범위에서 변화한다. 봄철에 잎 이 돋아날 때부터 점차 높아져 꽃대가 나오기 시작 할 때 제일 높다. 열매가 여물고 꽃대가 마르면 그 함량이 제일 낮아진다. 원료의 생산성을 고려 한다면 꽃대가 돋아 날 때부터 꽃이 질 때까지인 6월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전초와 플란타긴의 작용은 동물실험에서 호흡중추에 작용하여 호흡을 느리고 깊게 한다. 또한 점막의 분비기능을 높여 기관지점막과 소화액의 분비를 늘린다. 씨의 점액은 완화 작용과 열내린작용을 한다. 질경이의 진해 거담작용은 용혈작용과 점막에 대한 자극작용이 있는 사포닌과 다르다. 용혈작용과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어린이 기침약으로 사용된다. 질경이는 또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수분배설을 늘릴 뿐만아니라 요소, 염화나트륨, 요산의 배설도 촉진한다. 다당류 성분은 항 염증작용, 상피화 촉진한다. 전초에서 분리한 다당류는 독성이 적다. 다당류를 흰쥐에게 1~3g/kg, 개에게 2~5g/kg 씩 14일 동안 먹여도 독작용은 없다. 다당류는 부타디온에 의한 흰쥐의 위궤양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개에게 먹이면 위액의 분비량을 2.5배 늘리며, 위액의 유리산도와 총 산도를 20~30% 높인다. 그러나 위액의 단백질 용해 활성에는 영향이 없다. 다당류는 위를 통하여 물질의 이동을 3~4배로 느리게 한다. 흰쥐의 떼낸 장에 대한 다당류의 진경작용은 1:10,000액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다당류는 진경작용과 항 염증작용, 상피화 촉진작용이 있으므로 궤양에 좋은 치료약이 된다. 다당류에 있는 무기물을 갈라낸 것은 이러한 작용이 없다. 그러므로 무기물과 결합된 다당류가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성분이라고 생각된다. 다당류는 임상시험에서도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위 십이지장궤양 환 자가 한번에 0.5~1g 씩 하루 3번 먹으면 5~7일 지나서 통증이 없어지고 15~20일 지나면 궤양증상이 없어지면서 위액의 산도가 정상으로 된다. 다당류의 작용상 특징은 높아진 산도를 낮추고 낮아진 산도를 높여 위액의 분비를 정상화 시키는 것이다. 특히 위액의 산도가 정상이거나 낮은 환자들에게 치료효과가 좋다.
응용하는 곳은 전초에서 얻은 다당류 또는 생즙은 위액의 산도가 정상이거나 낮은 십이지장궤양과 만성 위염에 사용된다. 전초 달임 약은 신석증에도 효과가 있다. 동의 치료에서는 전초를 위병과 기타 동맥경화, 당뇨병에 사용된다. 씨는 눈병, 신경계통 질병에 달여 마신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1실시예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각각의 단계별로 설명한다.
제1단계는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열거된 재료의 건조는 햇빛이 없는 그늘에서 수행한다. 양지에서 건조 시키면, 함유된 유효성분들이 파괴되거나 증발함으로 인하여, 약효가 저하되거나 추출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건조는 재료표면의 수분이 거의 증발된 상태까지 행하고, 예를들어 풀잎의 경우 끝부분이 약간씩 말려있을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과정을 거친 재료에 투입되는 용매의 량이 건조된 재료의 무게에 따라 다르게 되고 또 건조가 적당히 된 것일수록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각 건조물의 건조 공정을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각 건조물에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 이 용매에 추출되어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건조된 각각의 재료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은 건조물 100g 당 용매를 약 1.5 ~ 2.5L 혼합한다.
제2단계의 상기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류, 초산에틸을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cyclo-부탄올을 포함하는 케톤류, cyclo-펜탄, n-헥산,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 진다. 제2단계의 상기 용매는 극성도가 클수록 많은 추출용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의 각각의 건조물의 산지나 채집 시기에 따라 추출용액의 양 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기 열거된 용매중 선택된 용매가 혼합된 각각의 건조물을 가열하는 방법은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을 이용하여 대기압 조건으로 약 1-5시간동안 가열한다.기압을 대기압 이하로 낮추면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 기압을 0.1기압 이하로 낮추어 가열시간을 대폭 단축 시킬 수도 있다. 가열온도는 사용되는 용매의 비등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대체적으로 대기압 하에서는 1-5시간 정도 가열하면 건조물로부터 추출성분이 용해되며, 필요에 따라서 가열시간을 줄이거나 연장 할 수 있다.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를 걸친 상기 추출용액은 건조물과 용매가 섞여져 있는 액상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추출용액 내의 찌꺼기 상태의 건조물을 여과기에서 여과 시켜 건조물의 성분이 녹아있는 여과된 추출용액을 얻는다.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여과된 추출용액에 함유된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0.005 내지 0.1 기압에서 4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증발온도를 섭씨 60℃ 이상으로 높게하면, 추출용액에 화학 변화가 발생하거나 감압시 추출용액의 성분이 빠져 나갈 우려가 있고, 온도를 섭씨 40℃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증발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
제 5단계는 상기 제4단계의 추출용액으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즉, 제 4단계로 부터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은 알로에 0.5~10 중량%, 금잔화 5~40 중량%, 까마중 5~20 중량%, 삼칠 0.5~10 중량%, 녹차엽 5~20 중량%, 차전초 5~40 중량%, 약모밀 5~40 중량%, 새삼덩굴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감초 0.5~10 중량%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5단계에서 생성된 혼합추출물은 첨가 대상체로서 통상의 식품에 혼합추출물을 5 내지 70중량% 함유시켜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한다.
식품에 함유되는 혼합추출물의 양이 5% 미만이면 유해성분의 제거 효과가 미비 하고, 혼합추출물의 양이 5% 이상 첨가되면 유해성분의 제거 효과가 현저히 나타나게 되므로 혼합추출물의 첨가량은 5 내지 70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요구르트, 캔디, 쿠키, 젤리, 츄잉껌등의 과자류, 청량 음료수 등이 있고, 담배 첨가물 형태 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의약, 한방약 등에 배합되는 원료로도 첨가할 수 있다.
또 제5단계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은 부형제인 유당, 옥수수 전분, 미세 결정질 구조의 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의 형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는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건조물을 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혼합 건조물에 수용성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용매에 추출된 혼합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혼합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여과된 혼합 추출용액에 함유된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재료의 건조물을 소정의 비율로 미리 혼합한 후 추출용액을 형성하고, 여과 및 증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제2단계의 건조물의 혼합 비율은 알로에 0.5~10 중량%, 금잔화 5~40 중량%, 까마중 5~20 중량%, 삼칠 0.5~10 중량%, 녹차엽 5~20 중량%, 차전초 5~40 중량%, 약모밀 5~40 중량%, 새삼덩굴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감초 0.5~10 중량%의 비율의 범위 내로 각각의 혼합건조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매에 따른 생 약추출물의 수율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① 실험 방법
상기 건조물 및 추출물 100g당 용매를 2L씩을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건조물및 추출물과 용매를 환류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대기압하에 2시간동안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의 상부에 있는 찌꺼기를 제거하고, 하부에 있는 액상의 잔존물을 여과하고 상기 건조물로부터 얻어지는 각각의 추출물과 상기 추출물으로부터 얻어지는 혼합추출물을 수득물로 얻었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을 0.008기압(5mmHg) 및 섭씨 50℃의 조건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최종적으로 각각의 건조 추출물과 혼합형태의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② 실험결과
용매의 종류별로 얻어지는 건조 추출물 및 혼합형태의 건조 추출물의 양은 물과 에탄올, 메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수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체에 해가 없는 점을 고려 할 때 바람직한 용매로는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 1은 용매의 종류별로 얻어지는 수율 값을 나타내었다.
[표 1]
용매의 종류 수 율(%) 용매의 종류 수 율(%)
10 아세톤 3
에탄올 8 클로로포름 4
메탄올 8 cyclo-부탄올 4
이소프로필 알코올 6 cyclo-펜탄 2
n-부탄올 6 n-핵산 2
초산에틸 7
표1의 결과로부터 확인된 물과 에탄올을 적용하여 제조된 생약추출물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행해진 실험 및 그 결과를 상세히 하기에 설명한다.
가. 혈액중 니코틴 농도 측정 실험
1. 실험 조건
① 시험동물
위스터 스트레인(Wister strain)수컷 랫트(6주령)의 아이씨알 쥐(ICR Mouse)
② 시험환경
동물을 실온 24±℃, 습도 55±5%, 환기회수 12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일(아침 8시 점등, 밤 8시 소등)로 설정된 동물실의 철망 사육실에 5마리씩 수용 하였다. 사료는 고체사료를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③ 투여방법
시험환경에 2주간 적응시키고, 8주령에서 동물을 시험하였다. 시험물질은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고체사료에 섞어서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0.5ml/마리 고체사료에 섞어서 물과 함께 자유롭게 먹이로서 체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④ 투여시간
투여는 오후 2시에 실시하고, 기간은 7일간으로 하였다. 투여 종료시 및 시험 종료시에 니코틴 측정을 위한 시료로 심장으로부터 1ml 채혈하였다.
⑤ 관찰방법
투여일은 투여직후와 저녁에, 그 다음날부터는 아침과 저녁에 관찰하였다. 관찰은 동물을 사육자 바깥으로부터 주의 깊게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① 혈액중 니코틴 농도
혈액을 묽은 암모니아수로 pH 9로 조절하였다. 다음과정으로 익스터넛 칼럼(EXTRELUT COLUMN;Merck사 제품)에 15분간 유지시키고, 15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고, 용출된 아세테이트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생성된 잔사에 100㎕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분석시료로 하였다.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미국 HP사 5890 SERIESП, FID부착)사용 칼럼은 2% 써몬(Tharmon)1000+1% 수산화칼륨(KOH) 크로모소브 더블류에이엠(Chromosorb WAM;8/100Mesh)를 충전한 길이 2m, 직경 3mm의 유리 칼럼을 사용하였다.
칼럼온도는 100℃, 캐리어 기체는 질소(N2)를 사용하였고 유속은 60ml/분으로 하였다. 표 2에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7일동안 투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니코틴 농도는 30mg/kg/10ml이고 복강 투여하였다.
[표 2]
마비증상 활동 개시시간 활동 종료시간 사망시간 혈액중의 Nicotine농도(㎍/㎖)
G1 1 27' 2'10' 5'50' 회복 0.024
2 36' 2'44' 6'10' 회복 0.027
3 43' 3'25' 6'51' 회복 0.015
4 43' 3'50' 6'56' 회복 0.021
5 33' 3'52' 6'35' 회복 0.017
G2 1 22' 4'42' 6'45' 31'18' 1.037
2 26' 4'46' 6'35' 회복 0.014
3 20' 5'40' 7'25' 회복 0.012
4 24' 5'47' 7'20' 회복 0.013
5 23' 4'46' 6'47' 회복 0.019
G3 1 23' 35' 56' 1'33' 12.178
2 33' 45' 1'15' 1'35' 12.183
3 29' 31' 1'20' 1'50' 12.987
4 25' 54' 1'35' 1'57' 12.969
5 22' 51' 1'50' 2'10' 11'719
G4 1 33' 2'50' 4'20' 6'15' 4.019
2 25' 2'40' 4'50' 7'18' 3.679
3 24' 2'45' 4'47' 6'45' 4.095
4 21' 2'37' 5'10' 6'25' 4.074
5 33' 2'35' 4'15' 6'54' 4.117
참고사항 - G1 :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전처리 후 니코틴 투여.
G2 :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전처리 후 니코틴 투여후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투여.
G3 : 대조군 니코틴 투여.
G4 : 대조군 니코틴 투여후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투여.
시험 개체수는 각 군별로 다섯 마리씩 시험하였다
② 부검
투여 종료시의 부검에서 회복된 경우 각 개체에서 육안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사망한 경우 각 개체에서 육안적 이상이 발견되었다.
나. 뇨중 니코틴 농도의 측정실험
뇨중 니코틴 농도의 측정은 실험 1의 시험동물, 시험환경, 투여방법, 투여시간, 관찰방법, 분석방법은 동일하게 실시되었으며, 뇨중의 니코틴 농도의 측정시험 결과는 하기에 설명한다.
뇨중의 니코틴 농도의 측정시험결과는 뇨를 묽은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 9로 조절하고 엑스터넛 칼럼(EXTRELUT COLUMN;Merck사 제품)에 1분간 유지시키고 15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한 다음, 용출 아세테이트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사에 100㎕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분석시료로 하였다. 표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을 7일동안 투여한 후의 결과이며, 니코틴 농도 30mg/kg/10ml 복강 투여하였다.
[표 3]
마비증상 활동 개시시간 활동 종료시간 사망시간 뇨중의 니코틴농도(㎍/㎖)
G1 1 22' 2'20' 5'30' 회복 5.524
2 34' 2'34' 6'30' 회복 5.527
3 43' 3'45' 6'31' 회복 5.515
4 46' 3'40' 5'36' 회복 5.531
5 30' 3'32' 6'15' 회복 5.517
G2 1 23' 4'32' 6'35' 회복 5.537
2 23' 4'36' 6'55' 회복 5.514
3 34' 5'50 7'55' 회복 5.512
4 21' 5'17' 7'55' 회복 5.513
5 20' 4'26' 6'37' 회복 5.519
G3 1 20' 30' 57' 1'43' 0.021
2 33' 55' 1'35' 1'55 0.031
3 23' 41' 1'50' 2'30' 0.037
4 24' 54' 1'35' 1'57' 0.021
5 25' 55' 1'55' 2'30' 0.029
G4 1 31' 2'30' 4'10' 6'45' 0.219
2 23' 2'30 4'45' 7'25' 0.279
3 23' 2'55' 4'37' 6'15' 0.215
4 23' 2'47' 5'50' 6'55' 0.214
5 30' 2'55' 4'45' 6'14' 0.217
다. 혈액중 일산화탄소 농도 실험
1. 실험조건
① 시험동물
위스터 스트레인(Wister strain)수컷 랫트(6주령)의 아이시알 쥐(ICR Mouse)
② 시험환경
동물을 실온 24±1℃, 습도 55±5%, 환기회수 12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일(아침 8시 점등, 밤 8시 소등)로 설정된 동물실의 철망 사육실에 5마리씩 수용하였다. 사료는 고체사료를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③ 투여방법
시험환경에 2주간 적응시키고, 8주령에서 동물을 시험하였다. 시험물질은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고체사료에 섞어서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0.5ml/마리 고체사료에 섞어서 물과 함께 자유롭게 먹이로 체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④ 일산화탄소(C0) 폭로 방법
투여 종료 다음날, 폭로용 챔버(Sugiyamage사 제품)내에 각 동물을 수용하고, O2 21%, CO 100ppm의 혼합기체를 펌프로 도입하여 5분간 흡입시켰다. 챔버내의 농도는 일산화탄소 측정기(COM-4, 일본국 Komei Rikagaku Kogyo사 제품)로서 검사하였다.
⑤ 혈액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 - Hb) 농도의 측정
폭로종료후 즉시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액 0.5ml을 5ml 용량의 반응 유리병(reaction vial)에 넣고 옥틸알콜 한방울과 포타슘 페리시아네이트 포화 수용액 0.25ml를 가하였다 반응액을 마개로 막고 5분간 진탕한 후 기상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미국 HP사 5890 SERIESП, TCD부착)사용하고 칼럼은 분자체 5A(3/60Mesh)를 충전한 길이 2m, 직경 3mm의 유리 칼럼을 사용하였다. 칼럼온도는 60℃, 캐리어 기체는 수소(H2)를 사용하였고, 유속은 50ml/분으로 하였다.
2. 실험결과
① 혈액중 일산화탄소의 농도
시험후 혈액중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4를 참조하고, 표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을 7일동안 투여한 결과이다.
[표 4]
혈액중의 CO-Hb농도(%)
G1 1 53.8
2 52.9
3 50.3
4 52.8
5 53.5
G2 1 53.0
2 52.8
3 53.5
4 52.9
5 53.0
G3 1 69.3
2 70.2
3 69.1
4 68.5
5 68.9
G4 1 61.5
2 60.8
3 62.9
4 62.1
5 61.8
② 부검
투여 종료시의 부검에서 각군의 경우 각 개체에서 육안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라. 타(Tar)에 대한 시험
1. 실험조건
① 시험동물
위스터 스트레인(Wister strain)수컷 랫트(6주령)의 아이시알 쥐(ICR Mouse)
② 시험환경
동물을 실온 24±1℃, 습도 55±5%, 환기회수 12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일(아침 8시 점등, 밤 8시 소등)로 설정된 동물실의 철망 사육실에 5마리씩 수용하였다. 사료는 고체사료를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③ 투여방법
시험환경에 2주간 적응시키고 8주령에서 동물을 시험하였다. 시험물질은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고체사료에 섞어서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0.5ml/마리 고체사료에 섞어서 물과 함께 자유로 먹이로서 체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타(Tar)는 위튜브(Stomach tube)를 사용하여 위 내부로 투여하였다.
④ 관찰방법
투여일은 투여직후와 저녁에, 다음날부터는 아침과 저녁에 관찰하였다. 관찰은 동물을 사육자 바깥으로부터 주의깊게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실험후 타(Tar)를 측정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으며, 표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을 투여후의 결과이다. 타(Tar)의 농도 30mg/kg/10ml 복강 투여하였다.
[표 5]
시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G1 1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2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3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
4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5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G2 1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
2 생존 생존 사망 " " " "
3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4 생존 생존 생존 사망 " " "
5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생존 사망 "
참고사항 : G1 :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일반사료에 섞어서 전처리 후 타(Tar) 투여.
G2 : 대조군 일반사료를 투여하면서 타(Tar) 투여.
시험 개체수는 각 군별로 다섯 마리씩 시험하였다
마. 항산화력에 대한 시험
1. 시험방법
항산화력 실험은 기하루(Kiharu)의 방법에 따라 증류수 1㎖에 리노레익 에시드(Linoleic acid) 2mg을 첨가한 용액과 증류수 1㎖에 Tween-20 10mg을 첨가한 용액과 1시간동안 폭기 시킨 0.2M 포타슘 포스페이트(Potassium phosphate;pH 7.4) 1.0㎖에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37℃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키면서, 3시간 간격으로 반응액 0.1㎖을 취해 75% 에탄올(Etanol)을 9.7㎖을 첨가하고, 30% 암모니움 티오시안네이트(Ammonium thiocyanate) 0.1㎖와 0.02M 페로우스 암모늄 설페이트(ferrous ammonium sulfate) 3.5%, 하이드로클로릭 산(hydrochloric acid) 0.1㎖을 첨가하고 3분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결과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항산화력 측정 결과는 표 6과 표 7에 나타났으며, 대조군으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비에이치티(BHT;dibutyl hydroxy toluen)와 천연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놀(α-Tocopherol)를 사용하였다.
표 7은 항산화력을 측정한 측정결과이고, 표 6은 표 7로부터 측정된 항산화력의 평균값을 정리한 결과이다. 표 6에서 보듯이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경우 알파토고페놀(α-tocopherol) 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으며, 비에이치티(BHT) 보단 약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군(control)과 높은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
0 hr 3 hrs 6 hrs 9 hrs 12 hrs 21 hrs 23 hrs 30 hrs
대조군(control) 0.042 0.086 0.169 0.234 0.296 0.502 0.557 0.779
생약추출물 0.043 0.059 0.056 0.061 0.062 0.064 0.064 0.060
토코페놀(tocopherol) 0.042 0.094 0.127 0.137 0.144 0.277 0.346 0.546
비에이치티(BHT) 0.041 0.044 0.043 0.045 0.043 0.046 0.046 0.045
[표 7]
0 hr 3 hrs 6 hrs 9 hrs 12 hrs 21 hrs 23 hrs 30 hrs
대조군(control) 0.041 0.085 0.167 0.229 0.291 0.506 0.555 0.800
0.042 0.085 0.167 0.234 0.290 0.494 0.556 0.787
0.042 0.087 0.172 0.238 0.308 0.506 0.559 0.751
평균 0.042 0.086 0.169 0.234 0.296 0.502 0.557 0.779
생약추출물 0.043 0.058 0.056 0.059 0.062 0.065 0.062 0.060
0.041 0.059 0.057 0.062 0.062 0.063 0.063 0.059
0.045 0.061 0.056 0.062 0.061 0.063 0.063 0.059
평균 0.043 0.059 0.056 0.061 0.062 0.064 0.064 0.060
토코페놀(tocopherol) 0.041 0.092 0.129 0.139 0.145 0.276 0.352 0.537
0.044 0.099 0.126 0.137 0.144 0.278 0.343 0.552
0.041 0.092 0.127 0.135 0.144 0.276 0.344 0.548
평균 0.042 0.094 0.127 0.137 0.144 0.277 0.346 0.546
비에이치타(BHT) 0.041 0.045 0.042 0.047 0.043 0.045 0.045 0.045
0.041 0.043 0.043 0.045 0.044 0.047 0.046 0.045
0.040 0.045 0.043 0.045 0.043 0.045 0.048 0.046
평균 0.041 0.044 0.043 0.045 0.043 0.046 0.046 0.045
바. 혈장(Plasma) 분석 실험
혈장은 총콜레스테롤측정, 혈중지방측정, 지질과산화 함량측정으로 수행 하였다. 3주령의 SD-rat을 보통(Normal), 니코틴, 니코틴 + 생약추출물(n=7)의 그룹으로 나누어 사육후 7주령에 희생시켰다.
보통(Normal)(n=6): 자유식이.
니코틴(n=8):니코틴(Nicotin) 4mg/kgBW 경구투여+200mg/kgBW 생리식염수 복강투여.
니코틴+생약추출물(n=7):니코틴 4mg/kgBW 경구투여+200mg/kgBW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복강투여.
1. 혈장(Plasma) 분석
희생시킨 동물의 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응고 방지를 위해 이디티에이(EDTA) 처리 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 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분석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1)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혈중 총콜레스테롤 측정 키트(Wako, Japan) 를 사용하여 유브이 흡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의 5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 하였다.
2)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혈중 중성지방 측정 키트(Wako, Japan)를 사용하여 유브이 흡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 하였고 실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혈장(Plasma : mg/dl) 보통(Normal) 니코틴(Nicotine) 니코틴 + 생약추출물
트리글리세리드 (Triglyceride) 37.2 ± 6.0 a 77.1 ± 3.8 b 46.3 ± 2.7 a
총콜레스테롤 89.8 ± 3.2 c 68.0 ± 1.9 b 43.7 ± 3.0 a
포도당 151.5 ± 2.4 a 174.4 ± 2.7 b 197.3 ± 3.5 c
2. 지질과산화 함량 측정 (TBARS)
4주간 니코틴(Nicotine) 및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켜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은 분석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간 1g을 100mM 삼중염산(Tris-HCl), pH 7.4버퍼로 균질현탁(homogenate) 한 후 TBA 정색시약을 첨가하여 535nm에서 생성된 TBARS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TBARS은 티오바부틱 산- 반응 물질(Thiobarbituric Acid - Reactive Substance)이다.
티비에이(TBA) 시약과 반응하는 지질과산화 생성물(MDA-MalonDiAldehyde)을 측정하여 지질 과산화정도 측정하였다.
[표 9]
TBARS (nmol/mg) 보통(Normal) 니코틴(Nicotine) 니코틴 + 생약추출물
간(Liver) 1.0± 0.0 b 0.91 ± 0.0 a 0.8 ± 0.1 a
뇌(Brain) 2.2 ± 0.1 2.0 ± 0.1 2.1 ± 0.1
폐(Lung) 1.5 ± 0.1 1.5 ± 0.1 1.5 ± 0.1
혈장(Plasma) 0.3 ± 0.0 0.3 ± 0.0 0.3 ± 0.1
사. 면역력 증가에 대한 시험
1. 시험방법
3주령의 아이시알 쥐(ICR mouse)로부터 적출한 비장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컴플레이트 알피엠아이(complete RPMI) 1640 메디아(media)에서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비장세포를 96웰(well)에 2 x 105 cells/ml로 분주하여 콘 에이(Con A), 엘피에스(LPS) 등의 스티뮬레이터(stimulator)와 함께 배양하면서 각각 다른 농도의 에이치에이티(HAT)를 처리하여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이틀간 배양한 후 알아마 블루(alarmar blue)를 20㎕/well로 처리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농도 : 20, 50, 100, 200 ug/ml
* 모든 실험은 클린벤치에서 하였으며, 메디아(media)를 비롯한 모든 샘플은 여과(22㎛)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der): 측정(measurment)은 570㎚와, 레퍼런스(referance) 600㎚에서 측정하였다.
** 알아마 블루의 성분(Alamar Blue assay): 알아마 블루 디(alamar blue dye)는 무독성으로 세포의 활성에 의해 대사 되어 파란색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사이토시티(cytotoxity) 측정실험법이고 마이트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der)로 측정한 오디(OD)값이 낮을 경우 셀 프로리퍼레션(cell proliferation)이 감소된 값으로 평가한다.
2. 결과
대조군 에이(Control A)를 자극하여 2일 배양후 알아마 블루(alamar blue)를 투입하였고, 32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투입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평균 표준오차
보통(nomal) -0.05 0.01
대조군(control) 0.09 0.01
생약추출물 200 0.14 0.01
생약추출물 100 0.13 0.01
생약추출물 50 0.11 0.01
생약추출물 25 0.08 0.01
아. 흡연 관련 생리 활성에 대한 시험
4주령의 아시알 쥐(ICR mouse)를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 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실온 24± 1℃, 습도 55± 5%, 환기 횟수 12회/시간 및 조명시간 12시간/일(아침 8시 점등, 밤 8시 소등)으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시료는 10시와 17시 하루 2회 경구 투여 하였으며, 시료의 1일 투여량은 매주 쥐의 체중을 측정하여 사람의 1일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 체중(체중3/4) 비율로부터 환산 하였고, 사람의 평균체중은 65kg으로 계산하였다.
1. 니코틴(Nicotine) 배설시험
쥐(Mouse)의 뇨를 수거하기 위하여 메타볼리즘 케이스(metabolism cage)에서 사육 되었다. 14시에 주사용 멸균 증류수에 1mg/ml의 농도로 녹인 니코틴 (nicotine)을 체중 1kg당 10mg 복강 투여 하였다. 다음날 14시에 뇨를 수거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로 니코틴(nicotine) 농도를 측정 하였다.
뇨에 묽은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pH 9로 조절 하였다.
익스트레럿 칼럼(Extrelut column;Merck사 제품)에 15분간 유지시키고 15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여 용출 에틸아세테이트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한 뒤, 잔사에 100㎕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용해시켜서 분석시료로 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Hewlett Packard 5890, FID)와 2% 써몬(Tharmon) 1000+1% 수산화 칼륨(KOH) 크로모솔브 더블류에이엠(Chromosorb WAM;8/100Mesh)를 충전한 길이 2m, 직경 3mm의 유리 칼럼을 사용하고, 칼럼온도는 100℃, 캐리어 기체는 질소(N2)이고, 유속은 60ml/분으로 수행 하였다.
2. 타(Tar) 해독기능시험
주사용 멸균 증류수에 3mg/ml의 농도로 녹인 타(Tar)를 체중 1kg당 30mg 복강 투여하고 7일후의 생존률을 조사하였다.
3. 혈장 총산화력 시험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3주간 경구투여한 후 쥐(mouse)를 에테르(ether)로 마취 시키고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항응고제가 포함되어있는 시험관에서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총산화력은 랜독스(Randox사;U.K.)의 총 산화력(Total antioxidant status )측정용 키트(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통계처리
측정치는 학생의 티-테스트(Student's t-test)으로 분석 되었으며 엠±에스이엠(M± SEM)으로 표시 하였다.
5. 결과 및 고찰
① 니코틴(Nicotine) 배설시험 결과
흡연을 중단하면 신체에 축척된 니코틴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 기간 동안 니코틴에 중독 되어 있는 신체의 니코틴에 대한 욕구를 참기가 매우 어렵다. 금연에 성공하기 위하여 빠른 시간에 체내에 축척된 니코틴을 제거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이는 모든 중독성 증상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표 11는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섭취가 니코틴의 소변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아이씨알 쥐(ICR mouse)에서 조사 한 것이다.
[표 11]
Control 생약추출물
소변으로 배설되는 니코틴 Urinary nicotine excretion (㎍/day) 0.217 ± 0.029 3.758 ± 0.523*
(1Values are mean± SEM ), n=6.
*P<0.05 for the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섭취군에서 소변을 통한 니코틴 배설이 대조군에 비하여 17.3배 증가 하였다.
② 타(Tar) 해독기능시험 결과
표 12는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의 섭취가 타(Tar)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아이시알 쥐(ICR mouse)에서 조사한 것이다.
[표 12]
Control HAT
Survival ratio 1/10 7/10
1n=10.
대조군에서는 타(tar) 중독된 10마리의 쥐 중 1마리가 생존한 반면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에서는 7마리가 생존하여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이 타(tar)중독에 의한 쥐의 사망률을 현저하게 감소 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이 효과적으로 니코틴을 배설 시키고 타(tar)의 독성을 감소시킴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로 부터 얻어진 생약추출물은 흡연으로 인하여 체내에 축척된 니코틴 및 타(tar)와 같은 기타 독성의 물질의 제거에 관련된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고 추측된다.
산소는 유기호홉을 하는 생물에게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에너지 대사 과정중 불완전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세포내의 거대분자를 변성, 파괴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깨트려 세포를 사멸 시킨다.
활성 산소는 담배, 매연 등의 요인에 의해 생성되어 단백질, 디엔에이(DNA), 효소, 티셀(T-cell)등의 생체 구성요소를 손상시켜 각종 질환을 일으키며, 특히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하여 노화 및 성인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③ 혈장 총산화력 시험 결과
실시예로 부터 얻는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동물로부터 혈장을 분리 하여 총산 화력(total antioxidant status)을 측정한 결과를 표 13에 나타 내었다. 표 13은 3주 동안 기능성 음식을 처리한 쥐와 일반쥐의 전체적인 혈장의 총산화력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로 부터 얻는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투여군의 총산화력이 대조군에 비하여 38.8% 증가 하였으며 유의차가 있었다.(P<0.05) 혈장의 항산화력은 체내 항산화력을 대표하는 값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혈장의 총산화력 증가는 실시예로 부터 얻는 생약추출물 투여에 의해 체내 항산화력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카테친(Catechine)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류의 항산화제가 함유된 녹차도 혈장 항산화력을 증가 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로 부터 얻는 생약추출물을이 생체 항산화력을 증가시켜서 흡연 등 요인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생약추출물을 첨가대상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표 13]
Relative Trolox2 concentration(n mol/ml plasma)
대조군(Control) 1.21 ± 0.05
실시예로 부터 얻는 생약추출물 1.68 ± 0.08*
(1Values are mean± SEM), n=8.
(2Water-soluble vitamin E analogue)
*P<0.05 for the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상술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을 인체에 투여함과 동시에 니코틴을 투여할 경우 혈액중의 니코틴 양을 저하시키는 작용과 뇨중의 니코틴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일산화탄소에 폭로시킬 경우 혈액중의 CO-헤모글로빈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높은 항산화력 및 총콜레스테롤, 혈중지방, 지질과산화에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은 혈액중의 니코틴을 포함하여 흡연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체내의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흡연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에 첨가하여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제제로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각 건조물에 물 또는 에탄올을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물 또는 에탄올에 추출된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여과된 추출용액에 함유된 물 또는 에탄올 성분을 증발시켜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2. 알로에, 금잔화, 까마중, 삼칠, 녹차엽, 약모밀, 새삼덩굴, 인동덩굴, 감초 및 차전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혼합하여 혼합 건조물을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혼합 건조물에 물 또는 에탄올을 넣고 가열하여 건조물의 성분이 물 또는 에탄올에 추출된 혼합 추출용액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혼합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여과된 혼합 추출용액에 함유된 물 또는 에탄올 성분을 증발시켜 혼합추출물을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 및 각 건조물의 혼합비율은 알로에 0.5~10 중량%, 금잔화 5~40 중량%, 까마중 5~20 중량%, 삼칠 0.5~10 중량%, 녹차엽 5~20 중량%, 차전초 5~40 중량%, 약모밀 5~40 중량%, 새삼덩굴 5~20 중량%, 인동덩굴 5-30중량%, 감초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또는 에탄올 성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는 0.005 내지 0.1 기압에서 4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추출물을 유당, 옥수수전분, 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스테라레이트를 포함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040082405A 2004-10-15 2004-10-15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405A KR100761552B1 (ko) 2004-10-15 2004-10-15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405A KR100761552B1 (ko) 2004-10-15 2004-10-15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345A KR20060033345A (ko) 2006-04-19
KR100761552B1 true KR100761552B1 (ko) 2007-10-04

Family

ID=3714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405A KR100761552B1 (ko) 2004-10-15 2004-10-15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603B1 (ko) * 2013-10-17 2014-12-10 홍성창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44627A (ko) 2015-06-09 2016-12-19 (주)메디언스 디톡스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68B1 (ko) * 2006-12-11 2008-03-11 조진원 흡연으로 인한 인체 내의 유독성분 제거에 유효한 효능을 가지는 한약재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0054B1 (ko) * 2011-03-10 2017-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936A (ko) * 1998-12-31 2000-07-25 서경배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KR20010067675A (ko) * 2001-03-06 2001-07-13 조진원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20065434A (ko) * 2002-07-06 2002-08-13 임병윤 녹차 또는 발효녹차의 잎이 함유된 츄잉껌
KR20030087728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남양알로에 알로에 베라 겔과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독성물질 해독용조성물
KR20050096024A (ko) * 2004-03-29 2005-10-05 김찬호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936A (ko) * 1998-12-31 2000-07-25 서경배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KR20010067675A (ko) * 2001-03-06 2001-07-13 조진원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30087728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남양알로에 알로에 베라 겔과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독성물질 해독용조성물
KR20020065434A (ko) * 2002-07-06 2002-08-13 임병윤 녹차 또는 발효녹차의 잎이 함유된 츄잉껌
KR20050096024A (ko) * 2004-03-29 2005-10-05 김찬호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603B1 (ko) * 2013-10-17 2014-12-10 홍성창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44627A (ko) 2015-06-09 2016-12-19 (주)메디언스 디톡스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345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Foster et al. A field guide to medicinal plants and herbs of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KR1007932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Qasem Prospects of wild medicinal and industrial plants of saline habitats in the Jordan valley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Middleditch Kuwaiti Plants: Distribution, Traditional Medicine, P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Economic Value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KR100823978B1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8174945B (zh) 一种针对吸烟者的清咽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306659B (zh) 一种治疗2型糖尿病的中药组合物
KR100406158B1 (ko)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2066041A1 (en) Natural composition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566901B1 (ko)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2968B1 (ko) 흡연으로 인한 인체 내의 유독성분 제거에 유효한 효능을 가지는 한약재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730B1 (ko) 발계(Smilax chi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