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01B1 -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01B1
KR100566901B1 KR1020040037530A KR20040037530A KR100566901B1 KR 100566901 B1 KR100566901 B1 KR 100566901B1 KR 1020040037530 A KR1020040037530 A KR 1020040037530A KR 20040037530 A KR20040037530 A KR 20040037530A KR 100566901 B1 KR100566901 B1 KR 10056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ce cream
extract
herba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473A (ko
Inventor
김찬호
홍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썸
Priority to KR102004003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우유 또는 두유, 설탕, 구연산, 유화제, 안정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통상의 아이스크림 원료에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 즉 약모밀, 이질풀, 인동덩굴, 감초, 꼭두서니, 민들레, 백질려, 금잔화, 차전초 등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는 인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 흡연으로 인한 폐해를 저하시키며, 혈액중의 니코틴 양을 저하시키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아이스크림, 생약추출물, 니코틴, 담배, 비수용성식이섬유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Ice Cream to which Herb Extracts is add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이 첨가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생약제인 약모밀, 이질풀, 인동덩굴, 감초, 꼭두서니, 민들레, 백질려, 금잔화, 차전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통상의 아이스크림 제조원료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서, 인체내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성 아이스크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이스크림의 역사는 15세기경 남부 유럽에서 음료를 동결시킨 일종의 아이스 워터(ice water)의 유형으로 비롯되었다고 전해지는 아이스크림은 1851년 미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판용으로 생산이 시작되어 미국에서 주로 발달시킨 전형적인 미국형 기호 식품이다.
1900년 이전에는 아주 서서히 발달되던 아이스크림 공업은 1920년 이후부터 식품으로서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그 생산량이 급증하게 되고, 이후 가공기술의 발달로 아이스크림은 위생적이고 영양가치가 높은 기호식품으로 평가되고 식품가치가 높은 년중 식품으로 인식되어 전 세계적인 식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즉, 아이스크림이란 냉동된 영양식품으로서 우유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학술적인 측면이나 산업적인 측면으로 볼 때 우유가공의 한 분야로 자리 메김하고 있으며, 아이스크림은 원료의 종류와 그 성분, 그리고 제법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는데, 이들 모두 아이스크림이라 할 때도 있고, 분류상으로는 8~14%의 유지방을 함유한 것을 아이스크림이라 칭한다.
이러한 아이스크림의 주원료는 우유로써 유지방과 유고형분의 공급원이 되며 감미 성분으로서 설탕, 물엿, 포도당 등이 사용되는데 아이스크림의 조직(결)형성에 크게 기여하며,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유화제 및 안정제는 배합물의 기포 형성 성능을 좋게 하며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아이스크림의 맛을 결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향 및 식용 색소류로는 바닐라 향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다음으로 쵸코렛, 딸기 오렌지, 파인애플 등이며, 또한 이들과 함께 호두, 잣, 피넛 등이 같이 첨가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최근 아이스크림의 생산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제품의 다양화와 고급화 추세를 고려할 때 아이스크림의 향 및 색소는 제품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새로운 맛과 영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적응할 수 있는 기능성 아이스크림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통상의 아이스크림 제조원료에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 즉 약모밀, 이질풀, 인동덩굴, 감초, 꼭두서니, 민들레, 백질려, 금잔화, 차전초 등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아이스크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이 첨가한 기능성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은, 약모밀, 이질풀, 인동덩굴, 감초, 꼭두서니, 민들레, 백질려, 금잔화, 차전초를 채집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된 각각의 생약재를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이상을 혼합하여 된 용매와 함께 각각의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가열한 후 상기 가열하여 얻어진 각각의 추출액을 여과하고 그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 한 다음 건조하며, 그 건조하여 얻어진 각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된 생약추출물을 만드는 공정; 우유 또는 두유, 설탕, 구연산, 유화제 및 안정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 95∼99중량%에 상기 공정에서 만들어진 생약추출물 1∼5중량%를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rpm 8000∼9000으로 40∼60초 동안 에멀젼화시키는 공정; 상기 에멀젼화된 것을 2∼7℃에서 12∼36시간 동안 숙성시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공정; 상기 안정화된 에멀젼을 얼려 아이스크림으로 제조하여 -10∼25℃에서 냉동 보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s)혼합비율은 약모밀 5~40 중량%, 이질풀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감초 0.5~10 중량%, 꼭두서니 5~40 중량%, 민들레 5~20 중량%, 백질려 0.5~10 중량%, 금잔화 0.5~10 중량%, 차전초 5~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된 것이고, 상기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와 생약추출물을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에멀젼화시킬때에 그 에멀젼화시키는 전체량 대비 비수용성식이섬유를 1∼2중량% 투입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각각의 생약제에 대한 성분과 약효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Polypara cordata Bueck))은 다른 이름으로 중약초, 즙채, 어성초, 십약, 삼백초 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이 사용된다.
주성분은 메틸노닐케논 CH3(CH2)8COCH3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 생성물) 미르센 C10H16, 라우린 알데히드 C11H23CHO, 카프린알데히드 C9H19CHO, 카프르산이고 이밖에도 다수의 성분이 있으며 잎에는 쿠에르시트린과 물에 풀리는 무기성분 2.7%가 있다.
작용으로는 쿠에르시트린는 오줌내기작용(10만배농도)과 강심작용이 있고 대장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 임균, 포도알균, 사상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는 비 병원성 곰팡이는 물론 백선균, 무좀균 등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포도알균, 임균, 항산성균에도 억균작용이 있다. 포도알균에 대한 항균력은 1 : 40,000이며 설파제보다 세다.
응용하는 곳은 전초는 염증약, 이뇨해독약으로 임질과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기관지염, 물고임, 무좀치료, 탈항, 악창, 풍악, 축농증 등에 쓴다.
민간처방으로는 즙을 내어 헌데, 무좀, 치질과 뱀 독, 옻이 올랐을 때 붙인다. 잎과 줄기는 부기, 각기 등에 오줌내기약으로, 뿌리는 풍독, 종창에 쓴다.
이질풀(Geranium nepalense Sweet (G. thunbergii Siebold et Zuccarini)은 다른 이름으로 현초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주성분은 전초에는 피로갈롤타닌, 몰식자산, 호박산, 쿠에르세틴과 그 배당체, 그리고 켐페롤과 켐페리트린 C27H30O14 3 1/2H2O (켐페롤의 디람노시드)이 있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엘라그타닌의 한 종류인 게라닌을 주성분으로 한 타닌질이 있으며 전초에서는 프로토카테킨산, 피로갈롤, 엘라그산, 브레비폴린, 코릴라진 등도 확인되었다.
타닌의 함량은 전초에 4.7%, 잎에 20.3%, 줄기에 3.8%, 뿌리에 4.6% 들어 있다. 잎에서의 함량은 6~8월에 제일 높고 겨울철에 제일 낮다.
주작용은 전초의 물 추출액 또는 알코올 추출액은 장의 긴장도를 높인다. 설사멎이 작용은 비스무트 제제처럼 뚜렷하며 많은 양을 써도 부작용이 없고 밥맛을 떨구지 않으며, 적리균, 장티푸스균, 대장균에 살균작용이 있다.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은 다른 이름으로 금은화, 겨우살이덩굴 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성분으로서는 꽃에는 루테올린 C15H10O6(5,7,3,4-테트라히드록시플라본), 이노 시톨 C6H12O6이 있으며 꽃이 단 것은 이노시톨 때문이며 납모양 물질(세릴알콜, 스테롤, 아라킨산, 미리스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리놀레산)도 있다.
잎과 줄기에는 5~8%의 타닌질이 있으며 잎에는 로가닌, 약 19%의 함 질소물질, 그리고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인 로니세린 C27H30O15 2H2 O 이 있다.
같은 속 식물 L. morronii의 잎에서 이리도이드 화합물인 로니세로이드, 스웨로시드가 분리 된 것이다.
작용으로서는 꽃 달인 물은 오줌내기 작용과 혈당량을 늘리는 작용이 있고 적리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에 센 억균작용도 있다. 소화성위궤양의 예방효과, 교감신경흥분, 평활근마비작용도 있다.
응용하는 곳에는 동의치료에서 꽃과 잎, 줄기를 열내림약, 독풀이약, 오줌내기약, 정혈약으로 풍악초기에 열날 때, 종창과 종독, 여러 가지 창 독, 곪는 질병에 쓰며 달임 약으로는 여러 가지 곪는 질병에 씻는다. 숯처럼 탄 것은 피멎이 약으로 쓴다.
민간처방으로는 암 치료에 쓴다. 물에 달여 차처럼 오래 먹으면 위암에 좋다. 특히 자궁내막염, 림프절결핵의 누공, 입안염에 씻거나 입가심한다.
감초(Glycyrrhiza glabra L.)는 다른 이름으로 국로, 곧은감초, 민감초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뿌리를 사용한다.
뿌리, 뿌리줄기는 가을에 뿌리줄기와 뿌리를 캐어 줄기를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줄기와 뿌리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여름보다 가을에 높다. 2년생 감초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4월에 3.8%, 5월에 3.7%, 7월에 3.3%, 8월에 3.8%, 9월에 5%, 10월에 6% 이다.
뿌리의 부위에 따르는 글리시리진 함량을 보면 2년생 감초의 원뿌리(주근)에 6.91%, 가는 뿌리에 8.04% 이다. 그러므로 원뿌리와 뿌리줄기만을 약으로 쓸 것이 아니라 잔뿌리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껍질(13.06%)은 목부와 수심(10.42%)보다 그 함량이 높다. 껍질을 벗길 때에는 코르크화된 겉껍질만을 벗기고 되도록 속껍질을 상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성분으로서는 뿌리와 줄기에는 글리시리진(글리시리진산의 칼륨염 또는 칼슘염)이 5~14%(많은 것은 23%), 글라브라산(글리시레틴) C30H46O5이 있다.
글리시리진산C42H62O16은 트리테르페노이드사포닌으로 녹는점 205℃, 분해점 220℃, [d]D20 +58.5.이고 알코올과 뜨거운 물에 잘 풀리며 에테르에 풀리지 않는다. 뜨거운 물에 푼 것을 식히면 갖풀처럼 굳어진다. 물 분해하면 맛이 없는 글리시레틴산 C30H46O4과 2분자의 글루쿠론산 C6H10O 7이 생긴다.
글리시레틴산은 β-아미린계 트리테르페노이드로 α,β체의 2가지가 있는데 쉽게 서로 변한다. 그러나 그의 에스테르는 서로 변화하지 않는다. α-글리시레틴산은 판 모양 결정(묽은알콜)이고 녹는점 283℃, [α]D20+140.(에탄올)이며 에탄올, 디옥산, 클로로포름에 풀린다. β-글리시레틴산은 바늘결정(에탄올)이며 녹는점 296~300℃ [α]D20+86. (알코올)이고 에탄올, 피리딘, 초산에 풀리고 석유에테 르에 잘 풀리지 않는다.
또한 플라보노 배당체인 리쿠이리틴 C21H22O9, 네오리쿠이리틴, 람노리쿠이리틴(이것들의 비당부분은 모두 리쿠이리티게닌 이다)과 이에 대응한 갈콘 배당체인 이소리쿠이리틴, 네오이소리쿠이리틴, 이소람노리쿠이리틴, 리쿠라시드(이것들의 비당 부분은 모두 이소리쿠이리티게닌 이다)가 있다. 람노리쿠이리틴을 리쿠이리토시드라고도 한다.
감초뿌리에서 크로마토그라프로 27개를 넘는 플라보노이드 유사물질이 확인되었다.
굽은 감초 뿌리에서는 β-시토스테롤, 포르모노네틴, 리코리시딘, 리코리콘, 리코레올리그난이 확인 되었다. 또한 꽃필 때의 마른 잎과 줄기에는 단백질 14~22%, 기름 2~5%, 무질소엑스 36~62%, 회분 5~20%로 집짐승 먹이로 쓸 수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라 변한다. 뿌리에는 가을철, 잎과 줄기에는 열매가 달리기 시작할 때에 제일 높다. 가을철에 리쿠라시드의 함량은 약 0.5%이다. 리쿠라시드는 총플라보노이드의 약 10%을 차지한다.
줄기와 잎에는 사포나레틴, 글리포시드, 비텍신등이 있다. 사포나레틴은 총플라보노이드의 약 50%이며 열매가 열릴 때의 전초에 3% 들어 있다.
또한 쓴맛이 있는 글리시라마린(글리시리진의 쓴맛 성분), 2,4,4-트리히드록시갈콘과 그 배당체 디옥시스티그마스테롤(녹는점135~136℃), β-시토스테롤, 정유(0.03%), 아스코르브산11~30mg%, 아스파라긴(1~4%), 과당(2.4~6.5%), 포도당(2~4%)만니톨, 녹말(14~30%), 고무질(1.5~4%), 노란색소, 사과산, 기름, 수지, 타닌, 단백질, 아미노산으로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알라닌, 트레오닌, 세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γ-아미노버터산이 있다. 쓴맛 물질이 제일 많을 때 8%이다. 그 가운데서 물에 풀리는 것이 2.5~3%이다.
작용하는 곳은 감초 뿌리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시리진은 사탕의 40~50배 정도로 단맛이 있으며 그 단맛은 10만 배의 희석액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물 용액은 흔들면 거품이 생기지만 일반 사포닌보다 약하게 일고 용혈작용도 없거나 약하다(칼륨염은 1 : 400). 글리시리진의 물 분해에 의하여 생긴 글리시레틴산은 단맛이 없고 용혈작용이 있다. 그리하여 감초의 거담 작용은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글리시리진은 또한 호흡기를 완화시킨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시리진은 독성이 없고 포수클로랄, 스트리크닌,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풀어준다. 세균독과 바이러스독, 예를 들면 파상풍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뱀 독을 풀어준다.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는 길항작용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도 있다.
글리시리진의 독풀이 작용은 물 분해 산물인 글루쿠론산과 관계된다. 글루쿠론산은 동식물계에 널리 들어있는 성분으로 간에서 유독한 물질과 결합되어 글루쿠로니드를 형성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글루쿠론산은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식중독, 황달, 간경변증, 만성간장에, 류머티즘, 관절아픔, 신경아픔 등에 쓰이고 있다.
글리시리진의 독풀이작용은 글루쿠론산에만 의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글리시리진이 부신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과도 관계된다. 글리시리진은 부신피질 호르몬인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글리시레틴산은 동물실험에서 나트륨과 클로르, 오줌의 배설량을 줄이고 칼륨의 배설량을 늘린다.
즉 Na/K의 비를 낮춘다. 이와 같이 칼륨대사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나트륨대사에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 또한 물과 염류대사에 대한 부신피질 호르몬의 영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조건을 지어주는 부신피질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감초의 추출물과 글리시리진에서도 있다. 사람이 먹었을 때에도 같은 작용이 나타난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시리진은 항염증작용을 한다. 즉 동물에게 실험적으로 일으킨 포르말린 관절염의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간에 있는 아데노신트리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을 높인다. 글리시리진의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비슷한 항염작용은 분해 산물인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본다.
글리시리진의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은 코르티코이드의 생체 안에서의 비활성화 Δ4-3케톤부분의 환원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감초뿌리엑스는 동물실험에서 위장평활근에 대한 파파베린과 비슷한 향 근육성 진경작용이 있다. 이작용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인한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지금까지 쓰이지 않았던 것인데 진경작용, 항염증작용이 알려지면서 개발되었 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리쿠라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센 진경작용이 있으면서도 항염증, 항궤양활성이 있다. 그리고 아세틸콜린,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감초뿌리엑스가 소화성위궤양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은 1950년대에 알려졌다. 그리하여 감초뿌리에서 항궤양성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많은 실험이 진행되었다. 1960년대 들어와서 플라보노이드를 얻어내고 그 성분들이 진경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많은 실험들을 통하여 진경작용뿐만 아니라 항 염증작용, 항궤양성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감초는 계면 활성이 세므로 다른 동약재와 달이거나 먹으면 동약성분을 물에 잘 풀리게 하여 흡수를 돕는다. 또한 동약재의 독성을 줄이고 맛을 바꾼다 요즘에는 에스트로겐작용도 주목되고 있다.
감초뿌리에는 포도알균, 대장균, 적리균에 대한 약간의 억제작용이 있다.
글리시리진산을 항암약인 티오폭스마미드와 함께 쓰면 항암 활성은 85~95%에 이른다고 한다.
응용하는 곳은 감초뿌리는 가래삭임작용, 완화작용, 항 염증작용과 진경작용, 항히스타민작용 등이 있다.
따라서 가래기침약으로 상기도질병에 쓴다, 단맛이 있으므로 약품의 약고침약으로도 쓴다. 독풀이약이나 부형약으로도 쓰인다. 요즘에는 위십이지장궤양, 에디슨 병, 기관지천식, 황달과 간염,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글리시리진산은 항암약의 활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약으로 쓰고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뿌리를 주로 동의처방에서 다른 동약들의 작용을 완화 및 조화시킬 목적으로 많이 쓴다. 즉 더운약과 같이 쓰면 열을 완화 시키며 찬약과 같이 쓰면 찬 것을 완화시킨다.
이처럼 완화 약 또는 아픔멎이진경약, 가래 약, 기침멎이약, 독풀이약으로 위경련, 위아픔, 인후아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에 쓰며 독이 있는 동의처방에 들어간다.
꼭두서니(Rubia cordifolia L. var. mungista Miquel(R. akane Nakai)는 다른 이름으로 천초, 홍천이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꽃과 잎을 사용한다.
성분으로서는 뿌리에는 옥시안트라퀴논색소인 푸르푸린 C14H8O5, 프세우도푸르푸린, 프세우도푸르푸린-크실로-글루코시드, 문기스틴, 문기스틴-글루코시드가 분리 되었다.
R. tinctorum L.과 cordifolia L. 의 뿌리에는 알리자린 C14H8O2과 그 배당체인 루베리트린산 C25H26O13, 갈리오진 C15H8O7 , 크산토푸르푸린 C14H8O4, 푸르푸로크산틴, 루비안딘배당체, 푸르푸로크산틴카르복시산, 루비아딘 등이 있다. 이밖에 레몬산, 사과산, 포도산, 당분, 펙틴이 있다. 잎에는 유기산과 흔적의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작용하는 곳은 뿌리 달인액은 콩팥과 방광의 결석을 천천히 부풀어나게 하여 파괴시킨다. 이러한 작용기전은 처음에는 루베리트린산이 오줌을 산성화하여 인산칼슘으로 된 신석을 녹여주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요즘에 와서는 뿌리에 있는 화학 적으로 비슷한 색소물질들이 칼슘의 인산염과 작용하여 녹여내려 루베리트린산은 오줌을 산성화시켜 싱아산염이 빨리 녹이게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뿌리제제는 동맥압과 호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의 수축을 강화시킨다. 그러나 심장의 율동에는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장의 진자운동을 세게 하고 긴장도를 높인다. 또한 오줌내기작용이 있고 구균에 대한 억균작용을 한다. 뿌리 제제는 신우 및 방광 평활근의 긴장도를낮추며 근육섬유의 연동성 수축을 세게 하여 결석의 이동에 아픔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약의 치료 효과는 요도평활근의 경련에 특히 좋다.
뿌리 마른엑스, 뿌리가루, 총배당체와 루베리트린산을 비교 실험한 바에 의하면 마른엑스에서 치료효과가 제일 좋고 다음으로 뿌리가루가 좋다. 이 제제는 다른 제제보다 오줌을 잘 내보내고 보다 뚜렷한 진경작용이 있다. 또한 피응고 시간을 줄인다.
응용하는 곳은 신석증 치료와 결석수술 후의 재발예방, 염증성 인산염뇨에 쓴다. 인산마그네슘, 인산칼슘으로 된 결석에 치료효과가 좋다.
이 약을 먹으면 결석은 거칠어지고 구멍이 많아지며 분홍색을 띤다. 약을 먹고 3~4 시간이 지나면 오줌이 붉은색으로 된다. 오줌이 장미색을 띠도록 충분한 양을 써야 한다.
동의치료에서는 정혈약, 통경약, 피멎이약으로 월경이 없을 때, 자궁내막염,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날 때, 오줌에 피가 섞일 때 쓴다.
민간처방으로는 오줌내기 약으로 부기가 있는 마비, 열내림약으로 특히 폐와 간장에 열이 있을 때, 가래약으로 감기와 폐렴, 인후염 그리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데, 적리에 쓴다. 또한 아픔멎이약, 진경약, 방부약으로 쓰이며 악성종양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외도 항 염증작용,
에스트로겐활성, 피멎이작용, 진경작용, 거담작용, 강장작용, 혈압내림작용, 수은 흡수작용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ist)는 다른 이름으로 포공영 이라고도 부르며, 꽃필때 뿌리째 캐어 물에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주성분은 뿌리에 쓴맛 물질인 락투스피크린(락투신과 p-옥시페닐초산으로 분해된다), 타락사신, γ-아미린, 타락세롤C30H50O, 카페산, β-시스토테롤, 스티그마스테롤, p-쿠마르산, 세로틴산, 타닌질, 콜린이 있다. 꽃이삭에는 트리테르펜알코올인 아르니디올 C30H50O2(녹는점257℃), 파리디올 C30H50 O2(녹는점236℃), 젖관에는 스테롤화합물인 타락사스테롤 C30H50O(녹는점220~221℃), 프세우도타락사스테롤 C30H50O(녹는점217~219℃)이 있다, 꽃의 노란색은 주로 C40H56O 3 이다. 전초에는 플라노보이드인 코스모시인, 루테올린-7-그루코시드, 잎에6~10mg%의 카로틴, 6~62mg%의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B1 B2 D가 있다
작용으로는 전초는 이담작용이 있다. 또한 위액의 분비를 빠르게 하고 오줌내기 작용도 있어 문맥성 물고임에 치료 효과가 있다.
응용하는 곳은 간담도질병 치료약 건위소화약, 밥맛을 돋우는 약으로 특히 회복기 환자들의 영양식사에 널리 쓴다.
동의치료에서 건위약, 오줌내기약, 정혈약으로 소화불량, 위염, 위아픔, 젖앓이, 변이 굳고 오줌을 누지 못하는데, 감기, 인후염, 눈병등 곪는데 쓴다.
민간처방으로는 가래약으로 기침과, 폐결핵, 오줌내기약으로 신석증, 염증약으로 대장염, 위궤양등에 쓴다.
백질려(Tribulus terrestris L) 는 다른 이름으로 체우,자질려,즉려 라고도 부르며, 가을에 여문열매를 따서 햇빛에 말려서 사용한다.
주성분은 사포닌 1.47%, 정유, 알칼로이드, 수지, 기름이 있다.
응용하는 곳은 동의치료에서 정혈약, 즉 낡은 피를 없앤다고 한다. 콩팥을 보호하는 데와 눈병에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 염증약으로 머리아품, 젖이 적은데, 월경불순, 적취에도 쓴다.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L.)은 다른 이름으로 금송화 라고도 부르며 꽃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주성분으로는 카로틴, 리코핀(녹는점175℃), 비올라크산틴C40H56O4(녹는점207~208℃), 루비크산틴(녹는점160℃), 네오리코핀A, 시트라크산틴(녹는점163~164℃), 클라보크롬(녹는점184~185℃)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잇다.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약 3%이다. 꽃에는 정유가 0.02%, 수지 약 3.4%(이가운데 함질소점액은 1.5%), 알부민 0.64%, 사과산으로 계산한 유기산 6.84%, 적은양의 살리실산, 알칼로이드가 있다.
지상부에는 쓴맛 물질인 칼렌덴 C23H38O7, 사포닌(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글루쿠론산이 된다), 불포화트리테르펜디올인 아르니디올, 파라디올, 타닌질(6~7%)이있다. 씨에는 알칼로이드,기름(주로 라우릴산과 팔미트산의 글리세리드), 기름의 비누화 되지 않은 부분에 세릴알코올, 피토스테롤이 있다.
작용으로는 꽃 달인액과 알코올추출물, 생즙은 동물실험에서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진정작용이 있고 반사 흥분성을 낮춘다. 또한 혈압을 내리고 심장 수축을 세게 하며 심장의 율동을 느리게 한다. 살균작용도 있다.
응용하는 곳은 고약을 만들어 화상, 궤양, 치열(관장한다), 뾰두라지몰림, 뾰두라지에 바른다. 또한 우림약과 팅크는 입안염, 치조농루에 입가심하고 자궁루, 자궁경부미란, 트리코모나스성 질염에 씻는다(2%팅크) 우림약과 팅크는 위 십이지장궤양과 간염, 당남염, 당낭염에 염증약, 열물내기약으로 쓴다. 고혈압과 심장병에도 쓴다. 꽃가루와 니코틴산을 섞은 것은 수술할수 없는 위암에 증상치료약으로 쓴다. 이 약을 쓰면 중독증상과 소화불량, 트림, 구역질이 적어지고 밥맛이 좋아지며 잠이 잘 온다.
차전초(Plantago asiatica L.(P.major L. var.asiatica))는 다른 이름으로 길장구, 배부장이 라고도 부르며 꽃필 때 잎의 밑을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주성분은 잎에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아우쿠빈 C15H24O9, 카탈폴과 플라보노이드인 플란타기닌(스쿠텔라레인-7-글루코시드), 호모플란타기닌(히스피톨린-7글루코시드)이 있다. 플란타긴(5,6,4-트리메틸스쿠텔라레인-7-글루코시드)이 있다고 하나 확실치 않다. 이밖에 아피게닌. 루테올린, 네페틴, 6-옥시루테올린 배당체가 있다. 잎에는 또한 우르솔산, 헨트리아콘탄 C23H48,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β-시토스테롤의 팔미트산 에스테르가 있다. 효소(에물신과 인베로틴)와 카로틴, 아스코르브산도 있다 씨에는 아우쿠빈과 많은 점액이 있다.
상기 점액을 부분 물 분해하면 이당류로서 i)O-β-D-크실로피라노실-(1→2)-D-크실로피라노오스〕, ii)〔O-β-D-크실로피라노실-(1→4)-D-크실로피라노오스〕, iii)〔(-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5)-L-아라비노피라노오스〕이 생긴다. 이밖에 플란테놀산(플란타고산), 호박산, 콜린, 아데닌, 비타민A,B1 이 있다.
그리고, 전초에는 물에 풀리는 다당류가 있는데, 그 다당류에는 회분이 28%까지 있으며 전기투석 하여도 약 절반밖에 제거되지 않는다. 오랜시간 정제하면 회분이 0.4~0.5%에 이른다. 다당류는 80~82%의 펙틴산, 5~6%의 갈락토아라반, 4~5%의 갈락탄으로 이루어졌다. 펙틴산은 물분해 하면 갈락투론산 78~83%,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 적은양의 포도당, 크실로오스와 이밖에 3개의의 당이 생긴다. 즉 다당류는 모두9개의 당과 무기질로 이루어졌다. 광물질을 없앤 다당류에는 갈락투론산의 무수물이 66~68% 있다. 이것을 물분해 하면 갈락투론산이 된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다당류를 이루고 있는 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글루코노오스, 만노오스의 상대함량비가 6:6:3.5:2.5:1:1이다. 즉 갈락투론산을 주로 한 펙틴이다. 질경이를 유럽에서 자라는 P.major와 화학분류의 입장에서 성분을 비교하면 질경이에는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한가지 더 있으며 6-옥시루테올린 배당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당류의 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 라 8~19% 범위에서 변화한다.
봄철에 잎이 돋아날 때부터 점차 높아져 꽃대가 나오기 시작 할 때 제일 높다. 열매가 여물고 꽃대가 마르면 그 함량이 제일 낮아진다. 원료의 생산성을 고려한다면 꽃대가 돋아 날 때부터 꽃이 질 때까지인 6월초부터 6월 말까지 채취하는 것이 좋다.
작용으로는 전초와 플란타긴은 동물실험에서 호홉중추에 작용하여 호홉을 느리고 깊게 한다. 또한 점막의 분비기능을 높여 기관지점막과 소화액의 분비를 늘린다. 씨의 점액은 완화 작용과 열내림작용을 한다. 질경이의 진해 거담작용은 용혈작용과 점막에 대한 자극작용이 있는 사포닌과는 다르다. 용혈작용과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어린이 기침약으로 쓰기에 좋다. 질경이는 또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수분배설을 늘릴 뿐만 아니라 요소, 염화나트륨, 요산의 배설도 촉진한다. 다당류 성분은 항 염증작용, 상피화촉진작용을 한다.
전초 추출 액은 동물실험에서 곪은 상처에 대한 항 염증작용과 상피화촉진작용이 있다. 전초에서 분리한 다당류는 독성이 적다. 다당류를 흰쥐에게 1~3g/kg, 개에게2~5g/kg씩 14일 동안 먹여도 독 작용은 없다. 다당류는 부타디온에 의한 흰쥐의 위궤양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개에게 먹이면 위액의 분비 량을 2.5배 늘리며 위액의 유리산도와 총 산도를 20~30% 높인다. 그러나 위액의 단백질용해 활성에는 영향이 없다. 다당류는 또한 위를 통하여 물질의 이동을 3~4배로 느리게 한다. 흰쥐의 떼낸 장에 대한 다당류의 진경작용은 1:10,000액에서도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다당류는 진경작용과 항 염증작용, 상피화촉진작용이 있으므로 궤 양에 좋은 치료약이 된다. 다당류에 있는 무기물을 갈라낸 것은 이러한 작용이 없다. 그러므로 무기물과 결합된 다당류가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성분이라고 생각된다. 다당류는 임상시험에서도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위 십이지장궤양 환자가 한번에 0.5~1g씩 하루 3번 먹으면 5~7일 지나서 통증이 없어지고 15~20일 지나면 궤양증상이 없어지면서 위액의 산도가 정상으로 된다. 다당류의 작용상 특징은 높아진 산도를 낮추고 낮아진 산도를 높여 위액의 분비를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위액의 산도가 정상이거나 낮은 환자들에게 치료효과가 좋다.
응용하는 곳은 전초에서 얻은 다당류 또는 생즙은 위액의 산도가 정상이거나 낮은 십이지장궤양과 만성 위염에 쓴다. 전초 달임 약은 신석증에도 효과가 있다.
동의 치료에서는 전초를 위병과 기타 동맥경화, 당뇨병에 쓴다. 씨는 눈병, 신경계통 질병에 달여 마신다.
이상과 같은 성분 및 효능과 작용을 하는 각각의 생 약재는 채집 후 건조함에 있어서, 반드시 햇빛이 없는 그늘을 이용하여야 하며, 햇빛이 직접 비추는 양지에서 건조시키면, 각 건조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증발함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저하되거나 원하는 만큼의 추출물을 얻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건조의 정도는 각 건조물의 표면에 수분이 거의 증발된 상태로서 풀잎의 경우 끝 부분이 약간씩 말려있을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건조물을 추출함에 있어서 건조 정도가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나, 다음 공정에서 투입되는 용매의 량이 건조된 각 생 약재의 무게에 의하여 정해지고 또 건조가 적당히 된 것일수록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각 생 약재의 건조 공정을 적정하게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건조된 각 생 약재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은 각 생 약재 100g에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코올류, 초산에틸 같은 에스테르류, cyclo-부탄올 같은 케톤류, cyclo-펜탄,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용매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용매를 약 1.5 ~ 2.5ℓ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생 약재를 가열함에 있어서는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대기압으로 약 1-5시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압을 대기압 이하로 낮추면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기압을 0.1기압 이하로 낮추어 가열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도 있다.
가열온도는 사용되는 용매의 비등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대체적으로 대기압 하에서는 1-5시간 정도 가열하면 생 약재의 성분이 용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가열시간을 줄이거나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가열이 완료되면 상층부에는 찌꺼기 상태의 추출물들이 부유 상태로 있고, 그 하층부에는 추출물의 엑기스에 해당하는 추출물(extract)과 위 용매들이 섞여 액상으로 있게 되는데, 이때 상층부의 찌꺼기 상태의 추출물들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남아있는 추출 액을 여과기로 여과시켜 혼합 추출물(extract)과 용매만으로 된 추출물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약 0.005-0.1기압에서 40-60℃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extract)을 얻는다. 이때 증발온도를 60℃ 이상으로 높게 하 면, 추출물에 화학 변화를 일으키거나 감압시 빠져나갈 우려가 있고,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증발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양은 극성도(polarity)가 큰 용매일수록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다. 각 건조물의 추출물(extract)의 양은 각 건조물의 산지나 채집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여러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는 경우에도 용매를 각각 사용할 때와 유사한 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늘에서 건조된 각 건조물 100g에 물 : 에탄올 비를 90 : 10 에서 10 : 90까지의 비율로 각각 lℓ씩 가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수율은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각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혼합비율은 약모밀 5~40 중량%, 이질풀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감초 0.5~10 중량%, 꼭두서니 5~40 중량%, 민들레 5~20 중량%, 백질려 0.5~10 중량%, 금잔화0.5~10 중량%, 차전초 5~20 중량%이다.
상기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혼합비율이 그 미만이 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 생 약재가 가지는 작용 및 효능이 목적치에 달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으로 상기의 혼합비율을 유지함이 바람직 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생약추출혼합물(extracts)을 통상의 아이스크림 조성물에 1∼5중량% 첨가하는데, 1중량% 미만 되게 첨가되면 인체의 유해성분 제거능력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5중량% 초과되게 첨가되면 인체의 유해성분 제거능력은 좋으나, 아이스크림에서 생약냄새가 진하게 발생함으로 생약추출물은 1 ∼5중량%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인 우유 또는 두유, 설탕, 구연산, 유화제, 안정제와 생약추출물을 호모(homo)믹서를 이용하여 rpm 8000∼9000으로 40∼60초 동안 에멀젼화시킨다. 단, 상기 통상의 아이스크림 혼합비율은 우유 또는 두유 70∼80중량%, 설탕 10∼20중량%, 유화제 0.1∼0.5중량% 안정제 1∼5중량%이고, 생약추출물은 1∼5중량%이다. 상기와 같은 혼합비율로 혼합되어 에멀젼화되면 그를 2∼7℃의 온도에서 12∼36시간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시키는데, 상기 숙성에 가장바람직한 온도는 5℃이고 가장바람직한 숙성시간은 24시간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안정화된 에멀젼은 얼려 아이스크림으로 제조하고 그를 -10∼25℃에서 냉동보관하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이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모믹서기에서 8000rpm 이하로 하게되면 에멀젼화가 일부만 일어나고 9000rpm 이상으로 하게되면 형성된 에멀젼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상기 냉동 보관온도를 -10℃ 이하로 하게 되면 녹아버리고 -25℃이상이면 냉동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와 생약추출물을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에멀젼화시킬때에 그 에멀젼화시키는 전체량 대비 비수용성식이섬유를 1∼2중량%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유화제의 구성은 물 35∼45중량%, 솔비틀 35∼45중량%, 모노글리세 라이드 18∼20중량%, 나머지는 밀크천연에센스이다. 또한, 안정제의 구성은 Dextrose 30∼35중량%, Hydrogenated Vegetable fat(보통 코코넛유지 사용) 30∼35중량%, Skimmed milk power(탈지분유) 0.5∼2중량%, Gura(또는 Locust)Gum 0.5∼2중량%, Dehydrated glucose syrup(글루코즈시럽) 30∼35중량%, Acetic acid ester 0.5∼2중량%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은 인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추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 흡연으로 인한 폐해를 저하시키며, 혈액중의 니코틴 양을 저하시키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항산화력 및 총 콜레스테롤, 혈중지방, 지질과산화에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력을 증가시켜 인체가 외부로부터의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약모밀, 이질풀, 인동덩굴, 감초, 꼭두서니, 민들레, 백질려, 금잔화, 차전초를 채집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된 각각의 생약재를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이상을 혼합하여 된 용매와 함께 각각의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가열한 후 상기 가열하여 얻어진 각각의 추출액을 여과하고 그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 한 다음 건조하며, 그 건조하여 얻어진 각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된 생약추출물을 만드는 공정;
    우유 또는 두유, 설탕, 구연산, 유화제, 안정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 95∼99중량%에 상기 공정에서 만들어진 생약추출물 1∼5중량%를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rpm 8000∼9000으로 40∼60초 동안 에멀젼화시키는 공정;
    상기 에멀젼화된 것을 2∼7℃에서 12∼36시간 동안 숙성시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공정;
    상기 안정화된 에멀젼을 얼려 아이스크림으로 제조하여 -10∼25℃에서 냉동보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제의 추출물(extract)혼합비율은 약모밀 5~40 중량%, 이질풀 5~20 중량%, 인동덩굴 5~30 중량%, 감초 0.5~10 중량%, 꼭두서니 5~40 중량%, 민들레 5~20 중량%, 백질려 0.5~10 중량%, 금잔화 0.5~10 중량%, 차전초 5~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아이스크림재료와 생약추출물을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에멀젼화시킬때에 그 에멀젼화시키는 전체량 대비 비수용성식이섬유를 1∼2중량% 투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4.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아이스크림.
  5. 삭제
KR1020040037530A 2004-05-25 2004-05-25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56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30A KR100566901B1 (ko) 2004-05-25 2004-05-25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30A KR100566901B1 (ko) 2004-05-25 2004-05-25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73A KR20040062473A (ko) 2004-07-07
KR100566901B1 true KR100566901B1 (ko) 2006-04-07

Family

ID=3735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530A KR100566901B1 (ko) 2004-05-25 2004-05-25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231B1 (ko) * 2013-12-16 2014-08-14 백일근 야채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CN108925739A (zh) * 2017-05-23 2018-12-04 沈阳德氏冷饮食品有限公司 含有植物提取液的冰激淋的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5865A1 (de) * 2009-01-07 2010-07-08 Klosterfrau Berlin Gmbh Dosiereinheit und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entzündlichen Erkrankungen des Mund- und Rachenraums
KR101419037B1 (ko) * 2013-12-16 2014-07-11 백일근 감홍시와 단호박이 함유된 과실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KR101419036B1 (ko) * 2013-12-16 2014-07-11 백일근 감홍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CN108685992B (zh) * 2018-07-31 2021-03-02 上品(洛阳)牡丹产业有限公司 一种具有细胞修复功能的牡丹花籽油原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231B1 (ko) * 2013-12-16 2014-08-14 백일근 야채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CN108925739A (zh) * 2017-05-23 2018-12-04 沈阳德氏冷饮食品有限公司 含有植物提取液的冰激淋的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73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1405429B1 (ko) 야생초 화장품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957602A (zh) 甘蔗生物活性成分组合物和功能性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823978B1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66901B1 (ko) 생약추출물이 첨가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0406158B1 (ko)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KR20120121468A (ko)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3576B1 (ko)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13546139A (zh) 一种助于鼻部通畅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184809A (zh) 一种清咽润喉的食品、保健品或药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638573B1 (ko) 흡연으로 인해 유발되는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조성물
KR20110090217A (ko)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