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468A -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468A
KR20120121468A KR1020110039303A KR20110039303A KR20120121468A KR 20120121468 A KR20120121468 A KR 20120121468A KR 1020110039303 A KR1020110039303 A KR 1020110039303A KR 20110039303 A KR20110039303 A KR 20110039303A KR 20120121468 A KR20120121468 A KR 2012012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weight
ginseng
anhydrou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권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이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권 filed Critical 이상권
Priority to KR102011003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468A/ko
Publication of KR2012012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이 40대 39%, 50대 49%, 60대 58%, 70대 67%정도의 빈도로 성기능장애가 많이 발생되는데, 이런 성기능장애가 개선되고 그 기능의 회복효과를 갖는, 특수고압 무수유산발효를 이용한 성기능 개선에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 건강기능식품은 혈액순환 촉진과 자양 강장 강정, 발기부전 개선과 성기능 강화에 효과가 좋은, 한약 제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습관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자연의 약용식물을, 일반 물을 사용하지 않고 강장동물인 해파리의 추출액만을 이용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발효방법은 특수한 방법인 100~150기압의 특수발효탱크를 이용한 특수고압유산발효 활용하면, 대상 약용식물의 고유성분을 10~50나노로 녹여내어 흡수를 쉽게 하고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성기능 장애의 개선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식품이 만들어 지며, 또 식물에 있는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 우리에게 유익한 성분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발효에 이용되는 유산균은 장내 유해균 억제 작용 및 정장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기능, 면역 증강 작용, 내인성 감염 억제 작용, 간경화 개선 작용 항암작용 등의 역할이 있어, 우리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미세조정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조성물은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울금, 광나무, 만삼, 복분자, 하수오, 은행나무, 연, 인삼, 석류, 아마씨, 엉겅퀴, 꽃매미, 해파리추출액을 주재료로 구성되며, 이들을 각각 유산균에 발효촉매제를 넣고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으로 일정비율로 조합하여 얻어진다.
또한 지구의 온난화로 생태계가 교란되며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국가적인 과제를 주고 있는, 이런 생태계 파괴의 대표적인 동물인 해양에서 강장동물 해파리와 육지에서 꽃매미를 원재료로 활용함으로서 자연을 보호하고, 국가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본 발명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한약제의 달이는 방법이나 술을 담그는 방법은 식물특유의 성분인 배당체(Glycoside)를 분해시켜 그 효력을 반감시키나, 본 발명으로는 그 특유성분을 손상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현대의 질병은, 도시화 산업화로 생활환경이나 식생활이 자연환경에서 멀어지면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자연의 일부인 유산균을 활용하고, 자연의 식물을 그대로 이용하며, 우리에게 익숙한 자연의 발효방법을 이용할 때 거부감이나 부작용없이 질병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nhydrous lactobacillus fermentation health function food composition with sex funstion improvements effects}
본 발명은, 인간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성기능장애가 많이 발생되는데, 이런 성기능이 저하되는 증세를 개선하고 그 기능을 회복하는 효과를 갖는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 건강기능식품은 혈액순환 촉진 자양 강장 강정 성기능 강화에 효과가 좋은, 한약재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독성이 별로 없고 습관성이 없는 자연 약용식물인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울금, 광나무, 만삼, 복분자, 하수오, 은행나무, 연, 인삼, 석류, 아마씨, 엉겅퀴, 꽃매미 등을 일반 물을 사용하지 않고, 해양생태환경을 파괴하여 국가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강장동물인 해파리의 추출액만을 이용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내분비계, 혈관계, 신경계, 정신계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혈류역동학적의 복잡한 생리 반응과정에서의 어느 하나의 이상으로도 발생 될 수 있는, 성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회복의 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성기능장애는 40대 39%, 50대 49%, 60대 58%, 70대 67%정도가 발생된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성인병의 증가 및 식생활 변화, 산업사회화와 복잡한 현대생활로 인한 육체적인 피로와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연속됨에 따라 성기능장애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성기능개선의 건강기능식품이 개발 출시되어 알려지고 있지만, 우리 주변에 많이 볼 수 있는 김치 된장 간장 요구르트 홍어 굴비 등에서와 같은 발효를, 보다 특수한 방법인 특수고압 무수 유산균발효 방법으로 응용하여, 흡수를 쉽게 하고 효과를 증진시켜주는 특수고압 무수 유산발효 건강기능식품으로 성기능 장애의 개선에 안정적이며 매우 효과적이다.
지금까지는 성기능 개선의 건강기능식품 등은 한약재와 같이 달여서 추출하거나 술로 추출하여 이용하는 방법들이 대부분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식물의 방어 독성 또한 같이 섭취할 수밖에 없거나 그 식물의 성분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식물의 고유특성인 글리코시드(Glycoside:배당체)는 가열이나 알코올에 분해되어 그 특성을 상당부분 잃게 된다.
또한, 발효방법도 발효용기를 오픈 하거나 옹기 등의 보통 용기사용으로, 정밀발효가 어려운 점이 있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웠다.
생약제제보다는 화학적인 추출이나 합성으로 얻어지는 건강기능식품은 거부반응이나 습관성 등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으며, 시판되고 있는 성기능 개선제(발기부전 치료제)들은 혈관확장 작용으로 심장에도 무리를 주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현제 널리 시판되고 있는 발기부전 치료제로 비아그라(상표명)와 자이데나(상표명)의 주성분을 보면,
비아그라의 주성분인 실데나필은 흥분시 분비되는 사이클릭GMP 라는 화학물질의 분비를 돕는 동시에 발기저해물질인 PDE 5(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르)를 억제 분해하는 효과로 발기를 촉진 지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혈관 확장으로 인하여 심장이 허약한 사람에게는 여러 가지 심혈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이데나의 주성분인 유데나필은 음경해면체 동맥을 통해 평활근으로 유입되어발기 저해물질인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를 억제 분해하고 세포내 사이클릭GMP의 활동을 지속시켜 성적 자극에 대한 발기 반응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주성분인 유데나필 역시 혈관 확장으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부작용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화학제제의 발기부전 치료제들이 갖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잘 알려 저 있는 혈액순환 촉진 자양 강장 강정이나 성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약용 식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식물의 고유성분을 그대로 추출시켜 제대로 용출된 성분의 체내 흡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그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또 식물에 있는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 우리에게 유익한 성분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 고유특성과 성분의 발효액을 최적의 비율로 유기적인 조합을 하여 성기능 개선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비피더스(Bifidobacterium)균이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균 등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20~50℃에서 활성화되며, 이 상태에서는 포도상 구균 등의 유해세균이 증식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유산균의 작용은 장내 유해균 억제 작용 및 정장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기능, 면역 증강 작용, 내인성 감염 억제 작용, 간경화 개선 작용 항암작용 등의 역할로 우리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미세조정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
글리코시드(Glycoside:배당체)는 식물 특유의 성분으로, 당의 환원 기와 당이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가 탈수 축합하여 생긴 물질로 모든 식물에 존재하며, 당의 저장, 삼투압 조절, 해독 작용, 식물대사의 노폐물 제거 작용을 한다.
각 식물의 이 배당체가 특유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열이나 알코올에 담가내면 배당체가 분해되어 효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특수고압 유산발효로 배당체의 손상이 없이 그 식물의 고유특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이다.
바다의 강장동물인 해파리(Jelly fish)는 지구의 온난화로 우리나라 연근해에까지 번식하며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해양생태환경을 파괴하는 유해 동물로 국가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해파리에는 콘드로이틴이라는 물질이 주성분인 미끈미끈한 뮤신(Mucin)이라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그 성분은 신체 조직 중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이 있어 피부나 혈관 내장 등에 윤기를 주게 되며, 강장작용 노화방지 고혈압 개선의 효과가 있다.
꽃 매미는 주홍 날개 꽃 매미(중국매미라고도 함)는 2007년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며 가죽나무 등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으며 나무를 고사시키고 있어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유해곤충으로 지자체들은 그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인데, 중국 <본초강목> <황제내경>의 의학서에 약용곤충으로 강정, 혈액순환에 좋고 해독효능이 있어, 혈류개선과 발기부전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한다.
현대의 질병은 도시화 산업화로 생활환경이나 식생활이 자연환경에서 멀어지면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자연의 일부인 유산균을 활용하고, 자연의 식물을 그대로 이용하며, 자연의 발효방법을 이용할 때 거부감이나 부작용없이 질병이 개선된다고 한다.
발효는 일반적으로는 보통 상압의 상태에서 진행되는데, 특수용기에 100~150기압의 특수고압발효를 진행하면 발효대상식물이 10~50나노로 완전발효되어 그 성분이 완전하게 녹아나 제대로 이용할 수 있고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 시 일반 물을 사용하거나 상압발효를 하는 등의 일반발효를 지양하고, 특수용기에 해파리 추출액만을 사용하여 100~150기압의 특수고압 유산발효방법으로 완전발효를 하여, 그 발효액으로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 건강기능식품은 항암 강장 강정 성분을 함유한 각각의 생약 식물을 해파리추출액에 유산균을 각각 발효하여 얻어진 발효액을 최적의 상태로 혼합 조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자연 상태에서 식물의 특유성분이 최대로 함유한 시기인 개화기에 맞춰 채취 1~5mm로 분쇄하여, 상기 해파리에서 추출한 액에, 비피더스나 락토바실러스 유산균과 발효촉진 물질인 설탕과 올리고당을 특수고압 발효탱크에 함께 넣어 일정온도와 일정시간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적정량 혼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원재료는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울금, 광나무, 만삼, 복분자, 하수오, 은행나무, 연, 인삼, 석류, 아마씨, 엉겅퀴, 꽃매미, 해파리 추출액이 원재료로 구성되며, 이들에 각각 유산균과 발효 촉매제를 혼합하여 고압 발효탱크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조성물의 주원료인 약용 식물은 한의학을 비롯하여 현대 의학에서도 널리 알려진 약재들로서 특히 자양 강장 강정의 성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이 갖는 효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면서도 부작용이 없이 장시간 복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발효를 위하여 일반적인 유산균 발효에서 이용되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해파리 추출액만을 사용하고, 주원료를 10~50나노로 완전발효용해시켜 흡수가 잘되도록 하기 위하여 100~150기압의 특수고압 발효탱크에 발효시키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과제 해결수단이다.
상기 삼지구엽초(학명 :Epimedium koreanum)는 음양곽(淫羊藿) 방장초 선령비 팔파리 등의 이름을 갖는 다년생초로,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이 주성분이며, 세릴알콜,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인산, 비타민E, 마그노플로린과 강장 강정작용에 효과가 있는 이카리인 에피메딘 데스메틸이카리인이 함유되어 있다.
<동의학사전>에서는 "신양을 보하고 정기를 도우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없앤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강정작용, 이뇨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등이 실험으로 밝혀지고 있는것으로 음위증, 성신경쇠약증, 성호르몬 장애등에 쓰며 소변불통, 귀울음, 건망증, 마비, 생리불순 등에 쓴다.
또한 허약한 사람의 보약으로도 이용되며 하루 6~10그램을 달여 먹는다고도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삼지구엽초는 전통적으로 보양 강정 성기능 개선에 특효 약제로 사용하였다.
상기 야관문(夜關門-학명:Lespedeza cuneata )은 비수리, 폐문초(閉門草), 음양초(陰陽草), 천리광(千里光), 대력왕(大力王)이라고도 하며, 속칭 천연비아그라라고 하기도 한다. 야관문의 잎 뿌리 줄기에 플라보노이드,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 등의 성분이 있는데, 폐와 간 신장에 주로 작용한다.
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특히 몽정, 대하, 설사, 타박상, 천식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여러 가지 남성 질병,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으며 신장기능이 허약한 노인들의 양기부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가시오가피나무(학명:Acanthopanax senticosus) 는 우리나라 각지의 해발 400~1,800미터 되는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약용나무이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여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잎, 줄기 뿌리에 정유,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쿠마린 성분과 8개의 배당체 성분인 엘레우테르시드군, 다우코스테린, 시린긴, 이소프락시린과 포도당의 결합체인 이소프락신, 사린가레시놀의 포도당배당체, 시린긴 등의 성분이 있다.
또 다우코스테롤,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 세사민, 사비닌, 사포닌, 올레아놀산을 게닌으로 하는 배당체들이 들어 있습니다.
이 가시오가피는 기(氣)를 보하고 정(精)을 불려주어 간신(肝腎)을 보한다. 또한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風濕)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중추신경흥분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면역부활작용, 방사선막이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백혈구증식작용, 강장작용, 소염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약하고 기운이 없는데, 피로, 당뇨병, 동맥경화증, 저혈압, 류머티즘성심근염, 관절염 및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울금(학명:Curcuma longa Linne)은 강황(薑黃)이라고도 하며, 카레의 주원료이다. 열대지방인 인도차이나가 원산이고, 주산지는 인도, 스리랑카, 자바, 중국, 페루 등이며, 우리나라의 중남부지역에서도 재배된다.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하는 Curcumin성분과, turmerone, arturmerone, zingiberene, PTM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장(脾臟)과 간(肝)에 주로 작용한다.
약리작용은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담즙분비 촉진, 간 해독기능 향상, 황달, 담낭결석,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만성간염, C형간염),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무월경,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으며,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괴형성 감소, 강심작용, 항산화작용-노화예방, 항염작용, 항균작용을 한다.
상기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는 물푸레나무과에 딸린 상록 떨기나무다. 정목, 또는 여정목이라고 부르며 그 열매를 여정실, 또는 여정자라고 한다. 광나무 열매는 예로부터 자음생정약으로 유명하며 꾸준히 먹으면 정기가 증강되고 무병장수한다고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면역기능을 높이고 신장을 강화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 성분으로는 오레아놀산, 만니톨, 팔리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레아놀산, 아세틸올레아놀산, 우르솔산이 들어있다. 불면증, 식욕부진, 고혈압,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만니톤은 남성의 정력을 높이는 효과 시링긴은 여성의 성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만삼(蔓蔘-학명:Codonopsis pilosula )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성분은 뿌리에 펙틴 9.5%, 덱스트린 3.4% 수지, 정유 0.05%, 총당분 28%, 사포닌, 스테로이드 배당체가 있으며, 이눌린이 많다. 전초에는 알칼로이드가 0.04%들어 있다.
만삼은 인삼을 대신할 수 있는 보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만삼에는 보혈작용, 강장 작용, 망상내피계통의 탐식기능강화작용,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 적혈구와 혈색소량을 늘리는 작용,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치료로 줄어든 백혈구수를 늘리는 작용, 병후 쇠약, 만성위염, 빈혈, 만성소대장염, 설사, 정신피로, 식욕증진,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복분자(覆盆子-학명:Rubus coreanus)는 요강을 뒤엎는 열매라는 이름과 같이 양기에 효과가 있는 식물로 예부터 이용되어 왔다.
이 복본자는 우리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는 나무딸기를 가리킨다. 5월에 흰 꽃이 피어 7?8월에 검붉은 빛깔로 익는데 익은 것은 새콤달콤하여 맛이 좋다. 산딸기는 잎 열매 줄기에 플라보노이드, 뿌리에 트리테르펜사포닌, 열매에 사과산, 레몬산, 포도주산, 살리실산, 포도당, 서당, 과당, 펙틴, 점액질, 색소, 정유, 안토시안, 비타민C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기운을 돋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머리털을 희어지지 않게 한다. 신장과 간장에 작용하여,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음위 유정 몽정을 치료하고 소변의 양과 배설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준다고 한다.
상기 하수오(학명:Pleuropterus multflorus)는 마디풀과 다년생 낙엽목질덩굴식물로 줄기가 1-3m 정도로서 비교적 짧은 편이다. 옥시메틸안트라키논 유도체들인 크리소파놀파 크리소파놀안트론, 에모딘, 에모딘모노메틸에스테르, 피스시온과 그 유도체 등이 1.8% 들어 있으며, 농마45%, 기름3%, 레시틴 3.7%, 테트라히드록시스틸벤 -2- 글루코시드 등이 있다.
강정, 강장, 간과 신을 보하고 피와 정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일반허약자, 혈허증, 허리아픔,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신경쇠약, 학질, 당뇨병, 변비, 치질, 연약, 근골산통, 유정, 대량의 자궁 출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은행나무(학명:Ginkgo biloba)는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나무지만, 사람의 도움 없이는 번식하지 못한다고 한다. 은행나무에는 플라보노이드의 성분으로 강력한 살균 살충 작용을 한다. 또한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은행의 특이한 작용 가운데 하나는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 뇌빈혈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에 효과가 있으며,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 있다.
은행잎은 예부터 민간에서 심장을 돕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폐를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가슴앓이 가래 및 천식 설사 백태 상피증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써 왔다. 은행 잎에 들어 있는 성분은 징코라이드 A B C와 진놀, 플라보노이드 등인데 이는 말초혈관 장애, 노인성 치매 등을 치료 예방하는데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약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한다.
상기 연(학명:Nelumbo nucifera)은 연못의 뻘에서 자라는 귀한 약재이자 뛰어난 영양식품으로 모세혈관강화 자양강장 피로회복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식물이다. 즉 연은 잎 꽃 줄기 꽃대 뿌리 모두가 중하게 쓰이는 약제이며 식품이다.
그 성분으로는 자협(子莢)에 nuciferine, N-nornuciferine, oxoushinsunine와 N-noramepavine이, 뿌리줄기는 전분, 단백질, asparagine, 비타민 C, catechol, d-gallocatechol, neochlorogenic acid, leucocyanidin, leucodelphinidin, peroxydase를 함유하고, 잎에는 roemerine, nuciferine, nornuciferine, armepavine, pronuciferine, N-nornuciferine, D-N-metthylcoclaurine, anonaine, liriodenine, quercctin, isoquercitrin, nelumboside, tartaric acid, malic acid, glucon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탄닌, 구연산이 함유되어 있다.
진정, 강장, 설사, 유정,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건위의 효능이 있고, 폐결핵, 축농증, 조루, 백탁, 백대, 이질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인삼(학명:Panax ginseng C.A.Meyer) 은 우리가 잘 아는 최고의 약용 식물로 예로부터 불로장생 익기(益氣) 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져 왔으며, 자양 강장 강정에 대표적인 약제라 할 수 있다.
현대 과학으로 연구한 결과 알려진 것은, 인삼사포닌의 배당체로서는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 β-시스토스테롤 및 올레아놀산, 고유의 향기 성분인 파나센(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 성분, 알칼로이드, 캠페롤 트리폴림 파나세노이드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비타민, 미량원소로 망간 구리 바나듐 코발트 비소 게르마늄 인 알루미늄 니켈 등과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酵素)가 있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뿌리(근)을 주로 이용하는데, 뿌리 외에 잎이나 줄기에도 주요 성분이 풍부하지만, 효과적인 이용 방법이 없었다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특수고압 유산발효방법을 이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줄기 잎의 성분을 용출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석류(학명:Punica granatum)는 석류나무는 석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안석류, 산석류, 감석류로 부른다. 대장경, 신경에 작용한다. 장을 수렴하고 설사와 출혈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설사, 이질, 자궁부정출혈, 장출혈, 대하, 유정, 탈항 등에 쓴다.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에서는 석류에는 당질,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 스테로이외에도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진은 석류를 이용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β-estrodiol과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ethylacetate층인 PGMEA층속에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여성호르몬에 역할을 해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상기 아마(亞麻-학명:Linum usitatissimum L.)씨는 아마자(亞麻子), 아마인(亞麻仁)이라고도 하며, 아마는 러시아의 카프카스 지방으로부터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유럽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 온 한해살이풀로 높이가 60~120센티미터이다. 북위 36도로부터 60도까지의 지대에 널리 퍼져 있다.
씨에는 건성유 48%, 점액 3~9%, 단백질 20%, 탄수화물 12~20%, 배당체 리나마린(파세오루나틴) C10 H17 O6 N(녹는점 142~143℃), 리노시나마린, 리나아제(효소), 스테아린, 유기산, 아미노산이 있다. 기름은 리놀레산(35~45%), 리놀산(25~35%), 올레산(15~20%),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8~9%)의 글리세리드이다. 씨껍질에는 물분해할 때 리노카페인 C16 H20 O9과 리노시나마린 C16 H20 O8이 생기는 고분자 화합물이 있다.
아마씨는 오메가-6보다 오메가-3가 많은 유일한 천연 식품으로써, 아마씨유에 포함된 지방산인오메가-3(알파 리놀렌산)로부터 얻어지는 건강의 이익 때문에 근래에 북미지역에서는 아마씨를 일상생활의 식이요법으로 선호하고 있습니다.
리나마린은 식물 전체, 특히 어린 식물에 들어 있다. 전초에는 리나마린, 약 20개의 페놀카르복시산(P-쿠마르산, P-옥시벤조일산, 페룰라산, 바닐린산, 시레닌산, 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 카페일키나산 등)과 14개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아피게닌과 루테올린의 C-배당체, O-C-배당체), 옥시쿠마린(에스쿨레틴과 에스쿨린)이 있다.
아마씨는 각종 혈관 및 심장 질환 예방, 죄졸증의 예방과 치료, 항암효과, 아토피성 피부염등 피부질환, 두뇌의 성장 발육촉진에 효과가 있으며, 전체 지방산의 57%가 오메가 3지방산으로 구성돼 몸 안의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배출,암 예방을 돕는 데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년기 이후의 골다공증과 갱년기 증상 완화에 좋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하는 리그난이 석류보다 2700배나 많게 함유돼 있다고 한다.
상기 엉겅퀴(학명: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의 다년초로 가시나물, 조방가새라고도 한다. 엉겅퀴에는 타라카스테린 아세테이트, 스티그마스케롤, 알파 또는 베타 아말린 등이 들어 있어 피를 맑게 하며 저혈, 소염작용을 한다.
엉겅퀴는 정력을 보강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독은 없으며 맛은 달고 이뇨, 해독, 소염작용이 있으며 열이 혈액의 정상 순환을 방해하지 않도록 다스린다. 지혈작용이 있어 각종 출혈, 예를 들면 토혈, 코피, 잇몸출혈, 대변출혈, 소변출혈, 자궁출혈 등에 응용된다.
이 밖에도 폐렴과 폐농양에 좋고,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어 고혈압에 응용되며, 속칭 냉증이라 일컬어지는 각종 대하증도 치효할 수 있다. 즉 감기, 백일해, 고혈압, 장염, 신장염, 토혈, 혈뇨, 혈변, 산후에 출혈이 멎지 않는 증세, 대하증, 종기의 치료에 쓰인다.
상기 꽃매미(Lycorma delictula White)는 중국매미, 주홍날개꽃매미라고도 한다. 원래 매미는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사는 동물로, 옛날부터 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이 꽃매미는 외래종으로 환경생태계를 파괴하는 교란동물로 지탄을 받고 있지만, 중국의 <본초강목> <황제내경> <신농본초경>의 의학서에 약용 곤충으로 분류되어 혈액순환에 좋고 해독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생리불순이나 종기를 치료하는 데 애용되고 있다.
또한 인솔아이칼로이드 등의 성분이 있어 혈류개선과 발기부전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한다.
이 꽃매미는 해파리와 함께 환경생태계 파괴 동물이지만 본 발명 건강기능식품에 활용함으로서 국가적인 과제를 해결하고, 쉽게 원재료를 확보하며, 그 효능을 잘 활용하는 일거삼득의 효과를 가져 온다.
상기 해파리는 해양환경생태파괴동물로 우리나라의 연근해에서도 피해가 막심하여 국가적인 과제를 주고 있지만, 수분함량이 매우 높고, 뮤신(mucin)의 콘드로이틴성분이 피부노화방지에 효능이 있고 자양 강장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을 중탕 등 물리 화학 생리적인 다른 많은 방법으로 추출하여도 완전추출이 아주 어려워, 부작용 없이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100~150기압의 특수고압유산발효는 약용식물을 10~50나노로 완벽히 용해시켜 배당체의 손상 없이, 식물 특유 성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흡수를 쉽게 하여 그 효능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식물이 꽃피는 시기인 개화기에 갓 채취된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가지 잎), 울금, 광나무 (가지 잎), 만삼, 복분자 열매, 하수오, 은행나무 (가지 잎 열매), 연 (잎 꽃대 줄기 뿌리), 인삼 (잎 줄기), 석류열매, 아마씨, 엉겅퀴, 꽃매미를 각각 잘게 분쇄하여 소정 량을 각각 특수고압 발효탱크에 넣고 소정 량의 해파리 추출액과 발효매체인 설탕이나 올리고당 및 유산균을 혼합하여 최적의 온도와 발효기간을 통해 얻어진 각각의 발효액을 최적의 조함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원재료 중 식물의 채취는 식물의 영양과 성분이 가장 많이 형성될 때인 개화기에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꽃매미는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채취하여 날개는 버리고 몸통만을 분쇄하여 사용하며, 해파리는 수분함량이 가장 많고 신선한 것을 사용하기 위하여 바다에서 직접 수거된 것을 현장에서 탈수하여 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류는 뿌리 줄기 잎 열매 등을 모두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열매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아마는 어린줄기와 잎을 분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씨를 주로 사용한다.
그 외 상기 식물원재료는 뿌리 잎 줄기 열매 가지 등 식물 전체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이용하는 것, 목질부(나무)는 껍질을 벗겨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재료들은 성분이나 활성 성질에 많은 차이가 있고, 발효기간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게 되어, 각각의 특수 고압 발효탱크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생초상태의 식물원재료는 잎 줄기 가지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를 개화기에 채취하여 세척한 다음 각각 1~5m/m 로 분쇄한다.
이렇게 분쇄된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울금, 광나무, 만삼, 복분자, 하수오, 은행나무, 연, 인삼, 석류, 아마씨, 엉겅퀴, 꽃매미의 분쇄 물 각각50kg을 특수 고압 발효탱크에 각각 넣고, 여기에 설탕이나 올리고당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발효 촉매제15kg 유산균1kg 해파리 추출액100ℓ를 혼합하여 25~50℃의 온도에서 30~90일간 발효시켜 발효액을 얻는다.
밀봉된 상기 특수고압 발효탱크의 내부 압력은 100~150기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발효 방법의 상압이나 발효탱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발효 방법에 비하여 10~50나노로 완벽히 용해시켜 그 모든 성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흡수를 쉽게 하고 발효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상기 원재료에 유산균을 넣어 발효시키는 시간이 30~90일간 소요되는 이유는 발효 장소의 주위환경에 의한 차이도 있지만 원재료의 성질에 따라서 완전히 발효되어 그 성분이 녹아나기까지 시간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자의 발효 실험에서는 30일 이상 90일 이내에는 완전히 발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원재료의 유산균 발효에 이용되는 발효 촉매제는 올리고당이 적합하나 설탕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올리고당과 설탕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산균은 비피더스나 락토바실러스 균을 이용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유산균 발효가 완료된 상기 원재료는 가는 거름망으로 정밀 여과 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발효액을 최적 상태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그 발효액의 혼합비는 하기와 같다.
삼지구엽초 발효액 10~20중량%, 야관문 발효액 20~30중량%, 가시오가피 발효액 5~10중량%, 울금 발효액 5~10중량%, 광나무 발효액 6~12중량%, 만삼 발효액 5~10중량%, 복분자 발효액 6~12중량%, 하수오 발효액 5~10중량%, 은행나무 발효액 5~10중량%, 연 발효액 5~10중량%, 인삼 발효액 6~12중량%, 석류 발효액 3~7중량%, 아마씨 발효액 3~7중량%, 엉겅퀴 발효액 3~7중량%, 꽃매미 발효액 3~7중량%를 혼합 한다.
이렇게 혼합된 본 발명 조성물은 살아있는 발효 유산균의 효능을 식물의 특유성분과 함께 그대로 이용하므로 살균이나 멸균 또는 방부처리는 하지 않으며 3~7℃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 발효공정〉
생초 상태로 채취된 삼지구엽초,야관문,가시오가피,울금,광나무,만삼,복분자,하수오,은행나무,연,인삼,석류,아마씨,꽃매미 각각50kg을 1~5m/m 크기로 분쇄하여 각각의 발효탱크에 넣고 여기에 각각 발효 촉매제15kg, 유산균1kg, 해파리 추출액100ℓ를 혼합하여 발효탱크 내부의 온도를 40℃로 하고 발효 탱크의 내부 압력은120 기압으로 하여 50일간 발효시킨다.
이렇게 얻어진 발효액을 미세 걸름망을 이용하여 정제된 발효액을 얻는다.
〈실시예2 발효액 혼합공정〉
삼지구엽초 발효액 12kg, 야관문 발효액 22kg, 가시오가피 발효액 5kg, 울금 발효액 5kg, 광나무 발효액 7kg, 만삼 발효액 5kg%, 복분자 발효액 7kg, 하수오 발효액 5kg, 은행나무 발효액 5kg, 연 발효액 5kg, 인삼 발효액 6kg, 석류 발효액 4kg, 아마씨 발효액 4kg%, 엉겅퀴 발효액 4kg%, 꽃매미 발효액 4kg을 혼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구성한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 조성물은 소정 량을 기호 음료와 같이 음용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나 보관이나 휴대가 간편하도록 앰플 캡슐 정제로도 제조할 수가 있다.
〈실험예1〉:81세(남)15년 전부터 발기부전 증세를 보여왔으며 10년 전부터는 성생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본 발명 조성물을 2009년 02월부터 현제까지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복용 3주부터 발기증상을 보였으며 복용 2개월 후부터는 월1~2회 성생활이 가능하였고 현제까지 지속적인 성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실험예2〉:62세(남)50대 초반부터 성욕감퇴와 발기부전 증세를 보여왔으나 2009년 04월부터 2010년 03월 현제까지 본 발명 조성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복용 2주부터 발기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현제까지 주2~4회의 성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발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실험예3〉:48세(남)40대 초반부터 발기 부전 증세가 있어 성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아오다 시판되고 있는 2~3가지 종류의 발기부전치료제를 복용하면서 성생활을 유지하였으나 장시간 복용으로 인한 내성 때문에 복용량이 계속 늘어나게 되면서 발기 상태도 원활하지못하고 심혈관계의 부작용 소견이 보여 본 발명 조성물을 2008년 10월부터 현제 까지 복용하고 있으며 복용 2주부터 발기현상이 일어나게되었고 현제 주 3~4회의 성생활이 가능한 상태이다.
〈실험예4〉:53세(여)40대 후반에 생리를 거르거나 불규칙한 상태가 되면서 성생활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보여서 몇 개월간 호르몬제를 복용하였으나 부작용의 염려 때문에 본 발명 조성물을 2008년 12월부터 현제까지 복용하므로서 성욕증가와 질 건조증감소 생리주기 정상화로 월2~4회의 성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현제 많은 사람이 본 발명 조성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상기 실험예1~4와같은 효능이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복용은 1일3회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용량은 15~20cc가 적당하나 복용량을 30~40cc가지 초과하여도 무방하며 복용횟수를 1~2회늘려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발명조성물은 특수고압 탱크에서 고압 발효과정을 거치므로 원재료의 냄새와 독성은 없어지고 성분은 손실 없이 보존되기에, 일반 기호 음료와 같이 먹을 수가 있으며 높은 효과를 기대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일반 물을 사용하지않고 해파리 추출액을 사용 하므로서 적당한 염분첨가와 해파리 특유의 청량감을 느끼게 되어 음용 하기가 매우 편리하여 장시간 복용하여도 싫증이 나지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일반 화학 제제나 약제 및 달이는 일반 한약제와 달리 장기간 복용하여도 내성이나 습관성 부작용이 없고 화학 제제에 비하여 단시간에 효능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장기복용할 경우 지속적인 효과를 가져 오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갓 채취한 삼지구엽초, 야관문, 가시오가피, 울금, 광나무, 만삼, 복분자, 하수오, 은행나무, 연, 인삼, 석류, 아마씨, 엉겅퀴, 꽃 매미로 구성되는 원재료를 각각 분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재료를 각각 준비된 특수고압 발효탱크에 넣고 해파리 추출액, 발효촉매제, 유산균을 첨가 혼합하여 발효 탱크에 넣고 밀봉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밀봉된 고압 발효탱크를 섭씨25~50℃의 온도에서 30~90일간 발효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발효된 원재료로부터 액상 발효액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원재료로부터 얻어진 액상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촉매제는 올리고당이나 설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 발효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고압 발효탱크의 내부압력은 100~150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 유산균 발효 건강기능식품은 삼지구엽초 발효액 10~20중량%, 야관문 발효액 20~30중량%, 가시오가피 발효액 5~10중량%, 울금 발효액 5~10중량%, 광나무 발효액 6~12중량%, 만삼 발효액 5~10중량%, 복분자 발효액 6~12중량%, 하수오 발효액 5~10중량%, 은행나무 발효액 5~10중량%, 연 발효액 5~10중량%, 인삼 발효액 6~12중량%, 석류 발효액 3~7중량%, 아마씨 발효액 3~7중량%, 엉겅퀴 발효액 3~7중량%, 꽃매미 발효액 3~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10039303A 2011-04-27 2011-04-27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120121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03A KR20120121468A (ko) 2011-04-27 2011-04-27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03A KR20120121468A (ko) 2011-04-27 2011-04-27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68A true KR20120121468A (ko) 2012-11-06

Family

ID=4750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03A KR20120121468A (ko) 2011-04-27 2011-04-27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4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617A (zh) * 2013-08-09 2013-11-27 陕西步长高新制药有限公司 一种补肾壮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12962A (zh) * 2014-05-23 2014-09-03 秦翠梅 一种抗衰老金蝉的泡制方法
CN109259223A (zh) * 2018-11-13 2019-01-25 云南农业大学 一种云参酵素加工的方法
KR102514074B1 (ko) 2022-08-10 2023-03-27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혈관건강, 전립선 또는 성기능 개선용 석류 발효조성물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20230136422A (ko) 2022-03-18 2023-09-26 농업회사법인 현대에프엔비 주식회사 코끼리 마늘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617A (zh) * 2013-08-09 2013-11-27 陕西步长高新制药有限公司 一种补肾壮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12962A (zh) * 2014-05-23 2014-09-03 秦翠梅 一种抗衰老金蝉的泡制方法
CN109259223A (zh) * 2018-11-13 2019-01-25 云南农业大学 一种云参酵素加工的方法
CN109259223B (zh) * 2018-11-13 2021-08-24 云南农业大学 一种云参酵素加工的方法
KR20230136422A (ko) 2022-03-18 2023-09-26 농업회사법인 현대에프엔비 주식회사 코끼리 마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14074B1 (ko) 2022-08-10 2023-03-27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혈관건강, 전립선 또는 성기능 개선용 석류 발효조성물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1371591B1 (ko) 기능성 커피콩 제조 방법
KR101332321B1 (ko) 선옥균과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121468A (ko)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N104694353A (zh) 女士用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1411488A (zh) 人参果茶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7751993A (zh) 一种抗疲劳膏滋及其制备方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00077781A (ko) 발기부전에 효과적인 기능성 분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한 기능성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보조식품
CN102485266A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延缓衰老、美容养颜功效的五树液口服液配方
CN104383412A (zh) 解郁养生中药酒及制备方法
KR20110090217A (ko) 성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095269B (zh) 一种纯天然接骨木籽果饮的制备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1404309B1 (ko) 어성초를 비롯한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청량음료의 제조 방법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208267A (zh) 一种降血压、降血脂、降血糖和减肥塑形作用的袋泡酵素养生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