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632B1 -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632B1
KR101693632B1 KR1020160027485A KR20160027485A KR101693632B1 KR 101693632 B1 KR101693632 B1 KR 101693632B1 KR 1020160027485 A KR1020160027485 A KR 1020160027485A KR 20160027485 A KR20160027485 A KR 20160027485A KR 101693632 B1 KR101693632 B1 KR 10169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hair growth
composition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천수
Original Assignee
나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천수 filed Critical 나천수
Priority to KR102016002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모발 관련 세포, 예를 들어, 인간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의 모발 증식률을 증가시키고, 또한, 모발의 밀도와 굵기를 증대시켜 발모 촉진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 of Disporum sessile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머리털은 일정한 모주기(Hair cycle)를 가지며, 모유두 주위에 있는 모모세포(keratinocyte)가 분열 증식하는 기간을 성장기라 하며 모발의 성장이 멈추고 모유두에서 분리되는 시기인 퇴화기를 거쳐 모모세포가 성장하지 않고 있다가 일정기간 후에 빠지게 되는 휴지기를 거치게 된다. 모주기는 이런 성장기, 퇴화기, 휴니기 및 성장기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보통 성인의 모발 성장기는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이 3~5년, 여성이 4~6년이며 모발의 약 15%가 퇴화기와 휴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모발은 각각 독립된 성장주기를 가지며, 한족에서는 빠지고 도 다른 쪽에서는 나서 전체적으로 동일한 모발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생리적 자연탈모라고 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성장주기의 휴지기 외에도 질병, 헤어제품(젤, 왁스 등), 스트레스 등으로 탈모현상이 발생되기도 하나 이러한 경우는 원인이 제거되면 다시 회복된다.
대머리는 머리털이 빠져서 나지 않는 것이 아니고 점차 가늘어져 솜털로 되는 것이고, 진행되면서 모근에 존재하는 모유두가 작아진다. 모유두가 작아지면 머리털의 굵기도 가늘어지면 동시에 모주기도 짧아지며 새로 자라나온 털은 더욱 가늘어진다. 대머리가 계속 진행되면 머리털은 솜털로 변하며 모주기는 더욱 짧아져 조금 자란 후 빠진다. 또한 자가 면역 질환으로 발생된다고 알려진 원형 탈모증과 내분비 질환, 영향 결핍, 약물, 출산 등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후 발생하는 일시적인 탈모와 반대로, 흔히 알고 있는 대머리는 유전되는 경향이 있으며 머리가 벗겨지는 정도도 다양하고 체내 혈중 남성 호르몬(안드로겐, androgen)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탈모초기에는 국소 도포제인 미녹시딜과 경구용 약제인 프로페시아(finasteroid 성분)를 사용하면 더 이상의 진행은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미 진행된 탈모에 대해서는 정상으로 회복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런 경우는 모발이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모발이식은 호르몬의 감수성이 적어 탈모의 영향이 덜한 귀 윗부분의 옆머리와 뒷머리부분의 모발을 평균 1000~3000모 전후로 절개법(또는 비절개법)을 이용하여 채취하고 이를 이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또한 횟수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현재 시판중인 발모제에 비해 더욱 향상된 발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20018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310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42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판나물 추출물은 모발 관련 세포, 예를 들어, 인간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의 모발 증식률을 증가시켜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모발 생장기에서 모발 증식률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시판 중인 발모제에 비해 향상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모발의 밀도 및 굵기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HHDPC 및 HaCaT의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 측정 결과이다.
도 2의 (a)는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HHDPC의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윤판나물 추출물과 세포사멸 유도제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teron, DHT)에 의한 HHDPC의 세포 증식률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 도포에 의한 모발 성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 도포에 의한 모발의 밀도와 굵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의 밀도와 굵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9는 마우스 조직에서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용매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또는 톨루엔 분획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발모 촉진을 유도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윤판나물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피부외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인간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 및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의 세포 증식률을 증가시키거나, 모발의 밀도 또는 굵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발모 또는 양모 촉진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0.03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윤판나물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윤판나물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윤판나물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조예 1: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 제조
윤판나물 33.2kg을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 266.668g을 얻었다.
제조예 2: 윤판나물 열수추출물 제조
윤판나물 33.2kg에 996kg의 물을 첨가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여액을 60mmHg로 감압농축하여 윤판나물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내지 5: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 241.03 g을 사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톨루엔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은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제조예 3) 30.653 g, 헥산 분획물(제조예 4) 51.663 g 및 톨루엔 분획물(제조예 5) 51.663 g을 각각 얻었다.
시험예1 : In vitro 에서의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모발 관련 세포 증식 활성 평가
(1)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인간 모유두세포 및 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증식률 측정
인간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 및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를 이용하여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도 1은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HHDPC 및 HaCaT의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 측정 결과이다.
상기 HHDPC 및 HaCaT의 세포 증식률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세포 증식률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대조군(control, (-)), 발모제인 Minoxidil(MXD)과 Finasteride(Finax 社), 0.01, 0.1, 1, 10 ppm 농도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윤판나물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와 비교하여 HHDPC 증식률은 33%, HaCaT 증식률은 28%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모제인 Minoxidil(MXD) 및 Finasteride 처리군과 비교하여 윤판나물 추출물 처리군의 증식률이 20%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2) 윤판나물 추출물과 세포사멸 유도제에 의한 인간 모유두세포의 세포 증식률 측정
인간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를 이용하여 윤판나물 추출물과 세포사멸 유도제에 의한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고, 상기 세포사멸 유도제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teron, DHT)를 사용하였다.
도 2의 (a)는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HHDPC의 세포 증식률(Cell Proliferation Rate)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윤판나물 추출물과 세포사멸 유도제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teron, DHT)에 의한 HHDPC의 세포 증식률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HHDPC의 세포 증식률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세포 증식률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대조군(control, (-)), 발모제인 Minoxidil(MXD, 10 μM)과 Finasteride(FINA, 200 nM), 세포사멸 유도제인 DHT(10 nM), 0.01, 0.1, 1 ㎍/㎖ 농도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윤판나물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HHDPC의 세포 증식률은 3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HHDPC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DHT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50% 이상의 세포사멸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DHT와 1 ㎍/㎖ 농도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10% 정도의 세포사멸이 일어나 DHT와 윤판나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윤판나물 추출물이 세포사멸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모제인 Minoxidil(MXD, 10 μM) 및 Finasteride(FINA, 200 nM) 처리군과 비교하여도, 윤판나무 추출물 처리군의 세포 증식률이 10~40%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2 : In vivo 에서의 윤판나물 추출물의 발모촉진 효과 규명
In vivo 에서의 윤판나물 추출물의 발모촉진 효과 규명하기 위해서,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C57BL/6 마우스는 탈모와 관계된 각종 연구와 실험에 제일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탈모모델이다.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등쪽 털에 wax-rosin 혼합물을 바른 후 잡아 당겨서 털을 제거하면 동시에 모발이 생장기로 유도되며 이때 적절한 약물을 처리하면 생장기모발이 더욱 잘 자라는지(모발생장 증가; raising proliferlation rates)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C57BL/6 마우스의 피부색 변화는 7일째 성장기(anagen) 5기에 진입하면서 회색빛에서 검은색으로 바뀌기 시작하여 11일에서 14일째에는 성장기(anagen) 6기로서 가장 활발하게 모발 성장이 진행되는 시기이다.
(1)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의 모발 성장 관찰
도 3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 도포에 의한 모발 성장을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도포한 후, 5일째, 7일째, 9일째의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Minoxidil, 50, 100, 200 ㎎/㎖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4는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경구투여한 후, 5일째, 7일째, 9일째의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Finasteride, 50, 100, 200 ㎎/㎏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후 7일째 피부색은 회색빛으로 다른 그룹과 유사하게 모발주기가 진행되었지만, 9일째 짧은 털이 등을 덮으면서 음성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1-2일 정도의 모성장기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인 Minoxidil 처리군도 비슷한 속도의 모성장기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57BL/6 마우스의 피부색이 회색빛으로 변하는 건 휴지기에서 생장기로 돌아감을 의미하며, 상기 C57BL/6 마우스의 모성장기를 1-2일 앞당겼다는 결과로부터, 윤판나물 추출물이 모성장기 촉진과 성장기 유지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의 모발 밀도와 굵기 관찰
도 5는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 도포에 의한 모발의 밀도와 굵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도포한 후, 5일째, 7일째, 9일째 모발의 밀도와 굵기를 접촉식 피부촬영장치(Aramo-MDS, aramhuvis)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Minoxidil, 50, 100, 200 ㎎/㎖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6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의 밀도와 굵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경구투여한 후, 5일째, 7일째, 9일째 모발의 밀도와 굵기를 접촉식 피부촬영장치(Aramo-MDS, aramhuvis)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Finasteride, 50, 100, 200 ㎎/㎏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윤판나물 추출물을 도포 및 경구투여한 경우 모두 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인 Minoxidil 투여군과 Finasteride 경구투여군에 비하여 모발의 밀도 및 굵기가 모두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3) 윤판나물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의한 모발 성장의 육안 관찰
도 7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경구투여한 후, 2주, 4주, 6주, 8주째의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Finasteride, 0.1, 1, 5%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은 상기 C57BL/6 마우스의 모발 제거 후 6주째 털이 잘 자라기 시작하여 8주째에는 음성대조군(-)과 차이를 보일 정도로 모발의 성장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대조군인 Finasteride 경구투여군과도 비슷한 속도의 모성장기가 진행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4) 윤판나물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의한 모발 성장의 조직학적 관찰
도 8은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한 후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모발 성장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경구투여 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Finasteride, 0.1, 1, 5%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상기 시료들의 경구투여군에서 모발 성장의 조직학적 관찰을 위하여, Hematoxylin & Eosin 염색으로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내 모낭(hair follicle)의 변화, 피부 두께 및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경구투여 후 8주째에 각 군의 마우스를 치사시킨 후, 등 쪽 피부의 발모된 부위의 조직을 채취하여 4%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 후, 수세,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7 ㎛의 절편을 제작하여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시행한 후,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기 현미경 검사를 4회 실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의 조직학적 관찰시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은 음성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모낭의 길이와 크기 및 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모낭의 길이가 길어져 성장기의 모낭 형태를 나타냈고, 모낭의 수와 벌브(bulb)의 크기에서도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또한,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은 양성대조군(Finasteride)에 비하여서도 모낭의 길이 및 굵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를 통해, 윤판나물 추출물이 육안적 평가뿐만 아니라, 조직학적 변화에서도 휴지기의 모낭을 성장기의 모낭으로 유도하여 모성장기 촉진 효과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5) 윤판나물 추출물 경구투여군의 성장기/휴지기 모낭의 비율 (Anagen/Telogen Ratio)
상기 (4)의 조직학적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마우스 조직 내에서의 성장기 모발과 휴지기 모발의 개수를 확인하여 성장기/휴지기 모낭의 비율(Anagen/Telogen Ratio)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각 시료가 경구투여된 마우스 조직 내의 Anagen/Telogen Ratio 확인 결과이다.
Control Finasteride 윤판나물 추출물
0.1% 1% 5%
Anagen Hair Count 7.45 1.36 14.36 1.91 14.45 2.33 16.27 1.90 16.18 2.04
Telogen Hair Count 13.09 1.7 5.72 1.42 6.54 1.86 6.81 1.88 5.27 1.84
Anagen/Telogen ratio 0.57 0.10 2.62 0.65 0.46 0.16 2.61 0.98 3.44 1.2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윤판나물 추출물 경구투여군의 Anagen/Telogen Ratio는 대조군에 비하여 6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마우스 조직을 이용한 윤판나물 추출물의 모발성장 기전 확인
도 9는 마우스 조직에서 윤판나물 추출물에 의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7주령 C57BL/6 마우스의 모발을 제거(depilation)한 다음 시료를 경구투여 하였으며, 시료는 발모제인 Finasteride, 0.1, 1, 5%의 윤판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윤판나물 에탄올 추출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윤판나물 추출물의 경구투여군의 마우스 조직에서 모발의 성장을 유도하는 Sox-9 및 β-catenin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제제예2> 건강기능식품(분말형)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건강기능식품(음료형)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4> 건강기능식품(츄잉검)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76.76 %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24~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기능식품(밀가루 식품)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5 내지 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유제품)의 제조
제조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Claims (6)

  1.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인간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 및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의 세포 증식률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모발의 밀도 또는 굵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그 혼합용매의 추출물 및 열수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판나물 추출물은 상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용매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또는 톨루엔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경구투여용 또는 피부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5. 삭제
  6.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인간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 및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의 세포 증식률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모발의 밀도 또는 굵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60027485A 2016-03-08 2016-03-08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9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85A KR101693632B1 (ko) 2016-03-08 2016-03-08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85A KR101693632B1 (ko) 2016-03-08 2016-03-08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632B1 true KR101693632B1 (ko) 2017-01-06

Family

ID=5783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485A KR101693632B1 (ko) 2016-03-08 2016-03-08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0972A (zh) * 2019-12-13 2020-04-03 贵州大学 超声波辅助酶法提取的百尾参多糖、其方法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KR20120064218A (ko) 2010-12-09 2012-06-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윤판나물 추출물
KR20130040664A (ko) * 2011-10-14 2013-04-24 (주)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 및 탈모예방 조성물
KR20130083103A (ko) 2012-01-12 2013-07-22 (주)와이즈덤레버러토리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발모 촉진 및 혈관 신생 효능의 항노화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40120018A (ko) 2013-04-02 2014-10-13 일양약품주식회사 상처치료, 신생혈관유도 및 발모효능을 증식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KR20120064218A (ko) 2010-12-09 2012-06-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윤판나물 추출물
KR20130040664A (ko) * 2011-10-14 2013-04-24 (주)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 및 탈모예방 조성물
KR20130083103A (ko) 2012-01-12 2013-07-22 (주)와이즈덤레버러토리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발모 촉진 및 혈관 신생 효능의 항노화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40120018A (ko) 2013-04-02 2014-10-13 일양약품주식회사 상처치료, 신생혈관유도 및 발모효능을 증식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0972A (zh) * 2019-12-13 2020-04-03 贵州大学 超声波辅助酶法提取的百尾参多糖、其方法及应用
CN110950972B (zh) * 2019-12-13 2021-07-09 贵州大学 超声波辅助酶法提取的百尾参多糖、其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0428B (zh) 不含有糖之鳳梨萃取物、及其製造方法、以及其用途
KR102262306B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20180108331A (ko)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5617110B2 (ja) 経口発毛促進剤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JP5597828B2 (ja) 育毛剤
US20210113640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xtract of aster ageratoides
JP2017531644A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1693632B1 (ko) 윤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09663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681775B (zh) 以高山黃芩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用途
KR20180064202A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61398B1 (ko) 큰느타리버섯, 오가피 및 삼칠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178228B1 (ko) 소취제,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음식품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60346171A1 (en) Oral composition and co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