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887A - 전자 기기 및 유닛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887A
KR20080081887A KR1020080082414A KR20080082414A KR20080081887A KR 20080081887 A KR20080081887 A KR 20080081887A KR 1020080082414 A KR1020080082414 A KR 1020080082414A KR 20080082414 A KR20080082414 A KR 20080082414A KR 20080081887 A KR20080081887 A KR 2008008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or
side connector
main bod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285B1 (ko
Inventor
가이고 다나카
이끼 다츠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2Comblike retainer for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등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 개수를 늘리는 것이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유닛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전자 기기는 일면의 일부분이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한 덮개로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의 덮개를 제거했을 때의 개구(43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본체측 커넥터(433)와, 본체측 커넥터와 결합하는 유닛측 커넥터(444)를 가지며, 하우징 내의 개구 내부에 배치된 유닛[하드디스크 장치(440)]을 포함하고, 그 유닛의 회로 기판(441)과 지지 금구(443) 사이에 배치된 절연 시트(442)를 지지 금구의 이면측으로까지 연장시켜 그 절연 시트를 당겨서 커넥터의 결합을 푼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유닛{ELECTRONIC APPARATUS AND UNIT}
본 발명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및 그것에 부착되는 유닛(unit)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는 하우징 내에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다수의 부품 중, 교환의 빈도가 비교적 높은 부품에 대해서는 그 부품을 포함한 유닛을 그때마다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일부를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한 덮개로 구성해 두고, 그 유닛을 그 덮개를 연 개구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유닛은 커넥터를 구비하고, 그 커넥터와 조합하는 커넥터를 그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해 두며, 이들 커넥터끼리의 결합에 의해 그 유닛과 내부 회로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최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 기기는 점점 더 고성능화,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한편, 박형화, 소형화 등도 진행되고 있으며, 그 전자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상기한 개구도 필요 최소한의 면적밖에 없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그 좁은 공간 내에서 그 유닛의 착탈, 특히 장착되어 있는 유닛을 떼어내는 것 을 어떤 방법으로 용이하게 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인출용 금구를 구비하고 있고, 그 금구를 제거함으로써 커넥터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그 유닛이 구비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일부를 연장시켜 그 연장시킨 부분을 꺼내는 손잡이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3656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성 제4-4868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인출용 금구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 그 유닛에 인출을 위한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있어 구조의 복잡화, 고비용화를 초래하고, 또한, 그 만큼 넓은 배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된 플렉시블 기판의 일부를 연장시켜 꺼내는 손잡이로서 이용하는 제안은 그 유닛에서는 플렉시블 기판은 원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증가를 피할 수 있지만, 플렉시블 기판에는 통상 다수의 회로 부품이 탑재되어 다수 라인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뽑아내기 위해 그 플렉시블 기판에 힘을 가하면 그 힘을 가함에 따라 회로 부품이나 배선에 손상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그 유닛이 고장난 것이 확실한 경우는, 손상을 더 부여하더라도 문제는 적지만, 단순한 유지보수나, 혹은 그 유닛 자체의 고장이 아니라, 그 유닛의 주위에 배치된 부품의 고장 수리 등에 있어서 그 유닛을 일단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은 플렉시블 기판에 힘을 가하는 것은 새로운 불량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부품 개수를 늘리는 것이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유닛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결합하는 유닛측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유닛측 커넥터 이외에 차례로 겹쳐진 회로 부품이 더 탑재된 회로 기판과, 그 회로 기판 상으로 넓어지는 절연 시트와, 그 회로 기판 사이에 그 절연 시트를 끼워 넓어져 유닛에 강도를 부여하는 지지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 시트는 상기 지지 부품의 유닛측 커넥터측의 변에서부터 노출되어 그 지지 부품의 이면으로 감아 돌아가 넓어지는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유닛측 커넥터가 결합한 상태로 유닛을 본체측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본체측 커넥터와 유닛측 커넥터와의 결합을 풀기 위한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회로 기판과 지지 부품 사이에 배치된 절연 시트를 지지 부품의 이면으로까지 연장시켜 그 절연 시트를 당겨서 커넥터의 결합을 푸는 구성의 것으로서, 절연 시트는 뽑아내는 목적 이전에 절연용으로서 원래 필요한 시트이며, 또한 절연 시트 상에는 회로 부품이나 배선 등은 존재하지 않고, 그 절연 시트를 연장시킨 형상의 것으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부품 개수를 늘리지 않고서, 또한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유닛을 꺼낼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는 매우 얇은 시트재로 되고, 공간적으로도 종래와 동일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하드디스크가 탑재되어 그 하드디스크를 구동하는 하드디스크 장치가 갖는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 부품은 금속제의 판금 부품이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지지 부품의 그 플랜지부가 노출된 변의 단 부근의 부분보다도 그 변의 중앙 부근의 부분이 지지 부품의 이면측으로 넓게 펴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를 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중앙부에 힘이 가해져 좌우로 균등하게 힘이 분배되고, 커넥터에 준비되지 않은 비스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유닛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증가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유닛 및 그 유닛을 구비한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외관]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한 실시형태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 PC」라고 약기함)의 사시도이며, 도 1은 표시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노트북 PC(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 유닛(30)은 힌지부(40)로, 본체 유닛(20)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거의 직방체 형상의 박스형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상면 에, 전원 온/오프 버튼(201), 몇 개의 기능 버튼(202), 키보드(203), 터치패드(204), 터치패드용 좌측 클릭 버튼(205)과 우측 클릭 버튼(206) 및 지문 센서(207) 등이 구비되어 있고, 전단면에는 무선 LAN 온/오프 스위치(208), 스피커 접속 단자(209) 및 마이크로폰 접속 단자(2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터치패드(204)의 이면에는 디지타이저가 겹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우측면에는, DC 전원 접속 단자(211), 3개의 USB 커넥터(212), 각종 기록 매체[SD 카드(등록상표), xD 카드(등록상표) 등]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213), PC 카드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PC 카드 삽입구(214) 및 IEEE1394 커넥터(2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본체 유닛(20) 내에는 CPU나 각종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인 마더보드가 내장되어 있다. 이 마더보드는 키보드(203)와 동등한 크기를 가지며 키보드(203)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터치패드(204) 및 그 이면에 있는 디지타이저는 마더보드의 영역을 피하여, 본체 유닛(20)의 소위 팜레스트(palmrest)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그 전면에 큰 치수의 표시 화면(301)을 가지며, 그 표시 화면(301)의 주위에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 상에 닫았을 때에 표시 화면(301)이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3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에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고, 본체 유닛(20) 측의 표시 유닛(30)의 변에 있어서 그 폭 방향의 대략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힌지부(40) 사이의 표시 유닛(30)의 변 부분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에 후술하는 케이블이 배설되어 있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본체 유닛(20)에 대한 어떤 개방 각도라도 그 각도에서 정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어떤 개방 각도에 있더라도 그 개방 각도로 정지하도록 마찰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노트북 PC(10)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204)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터치패드(204)의 표면이 있고, 그 터치패드(204)의 아래에 도 3의 (B)에 도시하는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401), 또 그 아래에 도 3의 (C)에 도시하는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402)가 놓이고, 더욱 그 아래에는 도 3의 (D)에 도시하는 디지타이저(403)가 놓이고 있다.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놓임으로써 그 손가락이 놓인 부분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접촉 위치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정전용량식의 것이며, 표시 화면(301)(도 1 참조) 위의 커서의 이동 지시에 이용된다.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401)는 터치패드(204)가 실리며 그 터치패드(204)를 지지하는 동시에,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5a),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6a) 및 지문 센서(207)의 직접 검출을 담당하는 라인 센서(207a)가 탑재된 회로 기판(21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의 지지 기판(402)은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를 보강하는 동시에, 터치패드(204)에 가해진 압박력이 그 디지타이저(403)에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는 터치패드(204) 상에 닿게 된 스타일러스 펜과의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그 펜 끝의 위치나 그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디지타이저(403)는 스타일러스 펜을 손에 쥐고 터치패드(204)로 그 펜 끝을 움직임으로써 손으로 쓰는 수기 문자나 손으로 그리는 수기 도형 등을 입력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터치패드(204) 상에 펜 끝을 대고 움직임으로써 그 펜 끝의 위치를 디지타이저(403)로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의 종횡비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301)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드(204) 상에서, 표시 화면(301)에서의 표시 위치를 보면서 수기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 유닛(20)에는, 사용자 조작의 검출 방법이 다른 터치패드(204)와 디지타이저(403)를 겹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스타일러스 펜(50)은 그 펜 끝에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 가 삽입되어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에서부터 전자력이 주어지면 공진하고, 그 공진을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수신함으로써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그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이 스타일러스 펜(50)에는 그 펜 끝의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가 삽입되고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으로 향해서 그 센서로 검출된 압력에 따른 변조 신호를 돌려줌으로써, 디지타이저(403)로 그 압력, 즉 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 스타일러스 펜의 종류에 따라서는 푸쉬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그 푸쉬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 스타일러스 펜(50)으로부터 역시 그것에 따른 변조 신호가 디지타이저(403)에 반환되어, 디지타이저(403)에서는 그 푸쉬 버튼 스위치가 눌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게 되면, 디지타이저(403)와 스타일러스 펜(50) 사이에서 전자적인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터치패드(204)의 표면과 디지타이저(403) 사이에 전자력을 크게 감쇠시키는, 치수가 큰 금속체 등이 존재하여서는 안 된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4)의 이면의,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펜 끝 위치 검출의 유효 영역 내가 되는 기판의 영역에는, 그 전자력을 크게는 감쇠하지 않도록, 하나의 커넥터(204a)와 그 커넥터(204a)용으로 접속된 이산적인 배선(204b)만 배치되고, 큰 덩어리인 터치패드(204)용 제어 회로로서의 LSI(204c)는 그 유효 영역 밖이 되는 기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타이저(403)는 전자 유도식의 센서와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입력 신호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보내지고, 펜 끝의 위치 정보 등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 검출되어,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가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에 입력된다.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펜 끝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 조작 등을 나타내는 적절한 커맨드를 생성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는 동시에, 후술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제어한다.
한편,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닿으면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드 센서와 손가락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 용량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보내져 그 터치패드 컨트롤러로 손가락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검출도 이루어진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터치패드 드라이버에 보낸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커맨드를 필터 드라이버에 보낸다. 이 터치패드 컨트롤러로부터 필터 드라이버에 보내지는 커맨드는 크게 나눠, 트랙 패드 상에서 손가락을 움직임에 의한 방향 성분을 나타내는 커맨드와, 좌측 클릭 버튼(205) 또는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을 나타내는 커맨드로 구별된다.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의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커맨드 중, 그 제어에 따른 커맨드만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방향 성분의 커맨드와 버튼 조작의 커맨드 중의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저지되거나, 혹은 방향 성분의 커맨드도 필 터 드라이버에 의한 저지를 받지 않고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달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커맨드와,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송출되어 필터 드라이버를 통과하여 보내져 온 커맨드에 기초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며, 여기서는, 터치패드(204) 상에는 스타일러스 펜은 닿게 되지 않고, 따라서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필터 드라이버에 대하여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방향 성분 커맨드도 유효하다는 취지의 제어를 행하고,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방향 성분 커맨드와 버튼 커맨드의 쌍방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이며, 여기서는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가 달린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한 경우의 스위치의 온/오프 등을 나타내는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지는 동시에, 필터 드라이버로 향해서, 방향 성분을 무효로 해야 하는 제어를 한다.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방향성분의 커맨드가 보내져 오더라도 그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해지는 것을 저지하고,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좌측 클릭 버튼(205)이나 우측 클릭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한 커맨드만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 해진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만일 펜을 쥔 손이 터치패드에 닿더라도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제어와 터치패드(204)에 의한 제어가 경합하지 않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한, 이 제어는 펜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터치패드에 의한 오류 조작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이미 도 6∼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끝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만 한다.
사용자에 의한 디지타이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11),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12),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디지타이저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드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21), 터치패드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22),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 따라(단계 S23),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때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그대로 유효로 하고(단계 S24), 이에 따라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터치패드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는, 필터 드라이버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무효로 하고, 터치패드에 대해서는 좌측 클릭 버 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에 따른 커맨드만을 유효로 한다(단계 S25).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아래에 디지타이저를 겹쳐 배치함으로써 하기 (1) 내지 (4)와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에서 조작 공간이 공유화되어, 별개의 부위에 배치하는 것보다도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2) 펜으로 조작한 후에 펜을 쥔 채로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등, 손과 펜으로 시임리스한(seamless)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만일 별개의 부위에 배치한 경우, 예컨대 표시 화면(301)에 겹쳐 디지타이저를 설치한 경우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3)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쌍방을 동시에는 사용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게 할 수 있다.
(4) 이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노트북 PC(10)의 좌우의 중앙 부근에 배치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사용자도 왼손잡이 사용자도 조작하기 쉽다.
[시큐러티 로크홀 및 USB 커넥터]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20)은 아래 커버와 위 커버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며, 이 도 10은 위 커버를 떼어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0에는, 아래 커버의 코너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시큐러티 로크홀(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옆에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나란히 늘어서 배치되고, 또한 그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USB 커넥터(212)에는 그 USB 커넥터(212)와 조합하는 커넥터(501)(도 12 참조)를 그 USB 커넥터(212)에 빼거나 꽂을 때에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이것에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 지지 금구(2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큐러티 로크홀(221)은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크 장치가 걸려 고정되는 로크용 구멍이다. 로크 장치는 그 로크 위치의 열쇠부를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에 삽입하면 그 열쇠부가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의 내부에서 펼쳐져, 빠지지 않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에는, USB 커넥터(212)를 누르는 누름판벽(213a)과,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과, 나사 고정판(213d)을 갖고 있고, 그 누름판(213a)에는 2개의 구멍(213e)이 형성되고, 나사 고정판(213d)에는 나사 고정용 구멍(213f)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3)는 USB 커넥터(212)에 부주의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것에 견디도록, USB 커넥터(212)의 상면에 누름판(213a)이 덮어 눌려지는데, 그 상면에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빠져 있을 때에는 그 상면보다도 내려 간 위치에 있고, 그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그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하는 2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 상면(212a)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213)의 누름판(213a)은 이들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동일면을 이루는 상면(212a)을 누른다. 이 때, 이 누름판(213a)의 2개의 구멍(213e)은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를 받아내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에 의해 그 돌기부(212b)가 상면을 넘어서 돌출되는 경우가 있지만, 지지 금구(213)의 누름판(213a)에 구멍(213e)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 조작을 쉽게 하면서, USB 커넥터(212)를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서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는 나사(71)에 의해 아래 커버(222)에 고정된다.
이 지지 금구(213)의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은 이 지지 금구(213)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아래 커버(222) 및 위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내부의, 시큐러티 로크홀(221)에 이어지는 공간의 이면을 분담하고, 아래 커버(222)의 내벽(222a) 및 위 커버의 내벽과 협동하여 그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시큐러티 홀(221)은 로크용으로서 준비해 두는 구멍이지만, 로크 장치를 장 착하지 않는 사용자도 많아, 그 경우, 그 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으면 이 시큐러티 홀(221)로부터 몸체의 내부에까지 먼지가 들어가, 그 먼지가 쌓여 공냉의 방해가 되거나, 혹은 회로의 쇼트를 일으키거나 하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USB 커넥터(2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금구(213)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없이, 그 시큐러티 홀(221)로 이어지는 공간을 구획하여, 먼지가 몸체 내의 안쪽에까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14는 본체 유닛(20)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4도 본체 유닛의 위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한,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3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의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는 하나의 지지 금구(214)로 지지되어 있다.
도 15는 그 지지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용 개구(214f)가 형성된 전판(214a), 3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도 16 참조)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의 3개의 구멍(214g)을 가지며 USB 커넥터(212)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판(214b), DC 전원 접속 단자(211)를 누르는 단자 누름부(214c), 나사 고정용 구멍(214h)을 갖는 나사 고정부(214d), 및 누름판(214b)과 단자 누름부(214c) 및 나사 고정부(214d)를 잇는 이음부(214e)를 갖는다.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나사(72)에 의해 아래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면보다도 내려가 있고,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4)의 누름판(214b)의 3개의 구멍(214g)은 도 16에 도시하는 3개의 USB 커넥터(212b)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 릴리프부[3개의 구멍(214g)]를 지님으로써,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에의 외부의 커넥터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의 빼고 꽂기에 상관없이, USB 커넥터(212)를 강고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 금구(214)는 그 하나의 지지 금구로 3개의 USB 커넥터(212)와 1개의 DC 전원 접속 단자(211)를 동시에 지지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구조]
도 18은 본체 유닛(20)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도 19에는 내부에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수용한 부분을 덮는 덮개(431)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덮개(431)는 본체 유닛(20)의 아래 커버의 일부분 을 이루는 것인데, 이 덮개(431)만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431)를 제거하고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는 대용량 기억 매체인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그 하드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그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 그 하드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포함하는 유닛 제품이다.
도 21은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1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 그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로 기판의 위를 덮는 절연 시트(442)[이 도 21에는 그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42a)에 관해서는 후술함] 및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강도를 부여하여, 본체 유닛에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금구(44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로 기판의 일단에는 본체 유닛(20) 내의 마더보드 상에 실장된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444)가 고정되어 있다.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절연 시트(442)가 점착된 지지 금구(443)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2에서는, 그 지지 금구(443)[절연 시트(442)]의,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에 접하는 쪽의 면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금구(443)는 금속제의 판금 부품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따라서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얹으면 회로 기판 상의 회로가 쇼트하여 동작 불량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지지 금구(443)는 이들 사이에 절연 시트(442)를 끼워 겹쳐진다.
이 절연 시트(442)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과 지지 금구(443) 사이의 절연을 담당하는 동시에, 또한 플랜지부(442a)를 갖는다. 이 플랜지부(442a)는 지지 금구(443)의, 커넥터(444) 측의 변에서부터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감아 돌아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금구(443)의 플랜지부가 노출된 측의 변의 단 부근의 부분보다도 그 변의 중앙 부근의 부분이 지지 부재(443)의 이면으로 넓게 펴진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유닛 내부의, 덮개를 열었을 때의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된 개구(432)에 인접한 위치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구비된 커넥터(444)와 결합하는 커넥터(43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커넥터(433, 444)가 결합한 상태로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를 당기면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커넥터(444)를 본체 유닛 측의 커넥터(433)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빼낼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44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넓게 되어 있고, 통상은 거기를 잡고서 뽑아내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좌우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 부주의하게 무리한 비스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 개구(43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밖에 없지만, 절연 시트를 늘려 플랜지부(442a)를 만들고, 그 플랜지부(442a)를 당기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면서도,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제거할 필요가 생겼을 때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원래 필요한 절연 시트를 연장한 것으로,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이 없고, 또 절연 시트는 얇은 시트재이기 때문에 쓸데없는 공간을 차지하는 것도 방지되고 있다.
[힌지부 외측의 배선 구조]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도 24에는 도 13에도 도시한 시큐러티 로크홀(221)이나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 도 24에서는 본체 유닛의 이면을 위로 하여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도 13과 비교하여, 시큐러티 로크홀(221)과 USB 커넥터(212)는 위치가 좌우 반대로 되고 있다. 그 USB 커넥터(212)의 또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독립적으로 착탈되는 덮개(451)가 배치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고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덮개(451)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커넥터(223)용 개구(451a)와, 나사 고정 용 2개의 구멍(45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덮개(451)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451)가 덮는 부분은 그 덮개(451)를 닫았을 때에 평평하게 되도록 그 덮개(451)의 두께 부분만큼 한 단 내려간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30)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힌지부(40)의 외측을 뻗어 온 2 라인의 케이블(460)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2 라인의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단부는 아직 배선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있다.
본체 유닛에는 세로 방향(본체 유닛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케이블(460)을 그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홈(452)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이 안내 홈(452)의 측면을, 세로로 뻗는 슬릿(453)을 남겨 두고 덮는 차양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453)은 케이블(46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슬릿이며, 그 케이블(460)은 이 슬릿(453)으로부터 그 안내 홈(452) 안으로 옆에서부터 삽입된다.
여기서,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부터 가로 방향으로 뻗어, 만곡되어 안내 홈(452)에 수용되어 세로 방향으로 안내된다. 슬릿(453)은 그 케이블(460)의 만곡의 내측에 형성되고, 그 만곡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차양부(454)로 덮이고 있다.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으며, 그 강성으로 가능한 한 직선적으로 뻗고자 하기 때문에, 안내 홈(452) 내에서는 슬릿(453)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 다가가게 되어, 슬릿(453)으로부터 케이블(460)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외측을 돌아 온 케이블(460)을 안내 홈(452)에 수용하 여 세로로 안내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선단을 본체 유닛 안의 회로에 접속할 때, 특히, 본체 유닛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실장된 회로에 접속할 때나, 도 25에 도시하는 덮개(451)로 덮을 때에, 케이블(460)이 부주의하게 본래의 배선 루트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조립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도 27은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01)을 떼어, 그 표시 유닛(30) 내부의, 표시 화면(301)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표시 유닛(30)의 상부에는, 무선 통신용 2개의 안테나(461)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안테나(461)에는 2 라인의 케이블(460)의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2 라인의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30) 안에서 힌지부의 가까이까지 아래쪽으로 뻗고, 거기서 표시 유닛(30)의 몸체의 개구를 지나,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40)의 외측으로 감아 돌아가, 본체 유닛(20)의 안내 홈(452)으로 안내되어, 본체 유닛(20)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배치된 안테나(461)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에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증가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유닛 및 그 유닛을 구비한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도 1은 표시 유닛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트랙 패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의 펜 끝이 닿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과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체 유닛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 시한 사시도.
도 15는 지지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본체 유닛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를 제거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하드디스크 장치와, 절연 시트가 점착된 지지 금구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배설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장치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여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덮개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표시 유닛의 표시 화면을 떼어, 그 표시 유닛 내부의, 표시 화면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 PC
20 : 본체 유닛
30 : 표시 유닛
40 : 힌지부
50 : 스타일러스 펜
201 : 전원 온/오프 버튼
202 : 기능 버튼
203 : 키보드
204 : 트랙 패드
205 : 좌측 클릭 버튼
206 : 우측 클릭 버튼
207 : 지문 센서
211 : DC 전원 접속 단자
212 : USB 커넥터
212b : 돌기부
213 : 매체 삽입구
213b, 203c : 칸막이벽
213e : 구멍
214 : 지지 금구
214b : 누름판
214g : 구멍
216 : 회로 기판
221 : 시큐러티 로크홀
401 : 프레임 부재
402 : 지지 부재
403 : 디지타이저
431 : 덮개
432 : 개구
433 : 커넥터
440 : 하드디스크 어셈블리
441 : 하드디스크 장치
442 : 절연 시트
442a : 플랜지부
443 : 지지 금구
444 : 커넥터
451 : 덮개
451a : 개구
452 : 안내 홈
453 : 슬릿
454 : 차양부
460 : 케이블
461 : 안테나
501 : 외부의 커넥터

Claims (5)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결합하는 유닛측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유닛측 커넥터 이외에, 차례로 겹쳐진 회로 부품이 더 탑재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펼쳐지는 절연 시트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 쪽에 있는 한 변과 상기 한 변에 대향하는 타 변을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절연 시트를 개재하고 상기 유닛에 강도를 부여하는 지지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 시트는, 상기 지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타 변 쪽에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유닛측 커넥터 쪽의 상기 한 변에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부품의 이면으로 구부려 펼쳐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유닛을 상기 본체측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의 결합을 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하드디스크가 탑재되어 상기 하드디스크를 구동하는 하드디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은 금속제의 판금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지지 부품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가 노출된 변의 단부 부근의 부분보다 상기 변의 중앙 부근의 부분이 상기 지지 부품의 이면측으로 넓게 펼쳐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될 때에 상기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본체측 커넥터와 결합하는 유닛측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측 커넥터 이외에, 차례로 겹쳐진 회로 부품이 더 탑재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펼쳐지는 절연 시트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 쪽에 있는 한 변과 상기 한 변에 대향하는 타 변을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절연 시트를 개재하고 상기 유닛에 강도를 부여하는 지지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 시트는, 상기 지지 부품에 있어서 상기 타 변 쪽에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유닛측 커넥터 쪽의 상기 한 변에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부품의 이면으로 구부려 펼쳐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유닛을 상기 본체측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유닛측 커넥터의 결합을 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KR1020080082414A 2006-03-20 2008-08-22 전자 기기 및 유닛 KR100956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6113A JP4921006B2 (ja) 2006-03-20 2006-03-20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品
JPJP-P-2006-00076113 2006-03-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74A Division KR20070095164A (ko) 2006-03-20 2006-07-10 전자 기기 및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87A true KR20080081887A (ko) 2008-09-10
KR100956285B1 KR100956285B1 (ko) 2010-05-10

Family

ID=369543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74A KR20070095164A (ko) 2006-03-20 2006-07-10 전자 기기 및 유닛
KR1020080082414A KR100956285B1 (ko) 2006-03-20 2008-08-22 전자 기기 및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74A KR20070095164A (ko) 2006-03-20 2006-07-10 전자 기기 및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3282B2 (ko)
EP (1) EP1837733A3 (ko)
JP (1) JP4921006B2 (ko)
KR (2) KR20070095164A (ko)
CN (1) CN1010426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5419B (zh) * 2008-06-25 2011-04-13 李凯 移动硬盘
JP4998417B2 (ja) * 2008-09-12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0119517A1 (ja) * 2009-04-14 2010-10-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GB2486843B (en) * 2009-08-25 2014-06-18 Promethean Ltd Interactive surface with a plurality of input detection technologies
JP5397197B2 (ja) * 2009-12-04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4751470B2 (ja) * 2009-12-18 2011-08-1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3077363A (ja) * 2011-09-30 2013-04-25 Fujitsu Ltd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CN103729033A (zh) * 2012-10-12 2014-04-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存储器固定装置
JP6562714B2 (ja) * 2015-05-25 2019-08-21 アズビル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527464B2 (en) * 2016-08-18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table sensor cover
KR20220087659A (ko) * 2020-12-17 2022-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681A (ja) 1990-06-13 1992-02-18 Aichi Tokei Denki Co Ltd 電子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US5311455A (en) * 1992-11-16 1994-05-10 Elite Computer Co., Ltd.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rd disk drive mounted therein
JP2547513B2 (ja) 1993-07-21 1996-10-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情報処理装置用機器の着脱構造
US5837934A (en) * 1996-12-02 1998-11-17 Midway Games Inc. Shock insulated container for hard disk drives
US6078498A (en) * 1997-11-21 2000-06-20 Seagate Technology, Inc. Low sway space isolation chassis adapter for a disc drive
US6324054B1 (en) * 1998-01-26 2001-11-27 Seagate Technology Llc Wrap around shock absorber for disc drives
KR20000052170A (ko) * 1999-01-30 2000-08-16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인쇄회로기판 조립구조
JP2000311477A (ja) * 1999-04-27 2000-11-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ハー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導電性シート
JP4269448B2 (ja) * 1999-11-24 2009-05-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耐衝撃ディスク装置
US6437939B1 (en) * 2000-01-19 2002-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rgonomic safety assist mechanism for handling micro-sized computer hard disk drives
EP1257162A3 (en) * 2001-05-07 2003-08-13 Pioneer Corporation Prote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against static electricity and erroneous operations
JP3687742B2 (ja) 2001-07-13 2005-08-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機能拡張基板、通信用拡張基板、通信用拡張基板用の絶縁フィル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機能拡張基板の取り外し方法および電子回路用基板
JP4634668B2 (ja) * 2001-08-30 2011-02-1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KR100872242B1 (ko) * 2002-08-29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KR100891863B1 (ko) 2002-10-21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착탈장치
JP2004152116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Corp 電子機器
US6954329B1 (en) * 2003-05-30 2005-10-1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aving an acoustic damping assembly with an acoustic barrier layer
JP4069877B2 (ja) * 2004-02-03 2008-04-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収納装置
JP4069876B2 (ja) * 2004-02-03 2008-04-02 ソニー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収納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417823B2 (en) * 2005-03-07 2008-08-26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device with shock sensor mounted on circuit board and provided adjacent shield and disc assembly protru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2603A (zh) 2007-09-26
US20070218724A1 (en) 2007-09-20
KR100956285B1 (ko) 2010-05-10
JP4921006B2 (ja) 2012-04-18
JP2007250149A (ja) 2007-09-27
EP1837733A2 (en) 2007-09-26
EP1837733A3 (en) 2012-08-22
KR20070095164A (ko) 2007-09-28
US7643282B2 (en) 201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285B1 (ko) 전자 기기 및 유닛
KR100811029B1 (ko) 전자 기기
KR100890743B1 (ko)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KR100864467B1 (ko)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KR100786612B1 (ko) 전자 기기
US2007004718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7363638B2 (en) Disk driv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US9158385B2 (en) Input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US20070047190A1 (en) Electronic apparatus
WO2011067845A1 (ja) 電子機器
US20120243161A1 (en) Electronic device
CN211375574U (zh) 电子设备
US201100753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12138142U (zh) 插拔模块和网络设备
CN219285699U (zh) 具有操作表面和电路板的组件
US10895930B2 (en) Message erasing device and message era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