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467B1 -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467B1
KR100864467B1 KR1020060136155A KR20060136155A KR100864467B1 KR 100864467 B1 KR100864467 B1 KR 100864467B1 KR 1020060136155 A KR1020060136155 A KR 1020060136155A KR 20060136155 A KR20060136155 A KR 20060136155A KR 100864467 B1 KR100864467 B1 KR 10086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gitizer
touch pad
electronic devic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174A (ko
Inventor
가이고 다나카
이끼 다츠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2Comblike retainer for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외형이 변화되는 커넥터가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로써 고정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된, 외부와의 사이에서의 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커넥터[USB 커넥터(212)]와, 그 커넥터를 몸체에 고정하는 지지 금구(21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금구(213)는 커넥터의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여 넓어지는 동시에 그 돌기부(212B)를 수용하는 구멍(213e)을 갖는 누름판(213a)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ELECTRONIC APPARATUS AND FIXING COMPONENT}
도 1은 표시 유닛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의 펜 끝이 닿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과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체 유닛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지지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본체 유닛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를 제거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하드디스크 장치와, 절연 시트가 점착된 지지 금구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배설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장치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여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덮개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표시 유닛의 표시 화면을 떼어, 그 표시 유닛 내부의, 표시 화면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 PC
20 : 본체 유닛
30 : 표시 유닛
40 : 힌지부
50 : 스타일러스 펜
201 : 전원 온/오프 버튼
202 : 기능 버튼
203 : 키보드
204 : 터치패드
205 : 좌측 클릭 버튼
206 : 우측 클릭 버튼
207 : 지문 센서
211 : DC 전원 접속 단자
212 : USB 커넥터
212b : 돌기부
213 : 매체 삽입구
213b, 203c : 칸막이벽
213e : 구멍
214 : 지지 금구
214b : 누름판
214g : 구멍
216 : 회로 기판
221 : 시큐러티 로크홀
401 : 프레임 부재
402 : 지지 부재
403 : 디지타이저
431 : 덮개
432 : 개구
433 : 커넥터
440 : 하드디스크 어셈블리
441 : 하드디스크 장치
442 : 절연 시트
442a : 플랜지부
443 : 지지 금구
444 : 커넥터
451 : 덮개
451a : 개구
452 : 안내 홈
453 : 슬릿
454 : 차양부
460 : 케이블
461 : 안테나
501 : 외부의 커넥터
본 발명은 예컨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및 그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고정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타입의 전자 기기에는 외부와의 사이에서의 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커넥터가 내장되어 있다. 전자 기기에 내장된 커넥터에는 그 커넥터와 조합하는 커넥터가, 통상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삽입되거나 이탈되지만, 그 삽입 또는 이탈 시에 준비되지 않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에 내장된 커넥터는 그 전자 기기의 몸체에 상당한 강도로써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어, 고정 강도를 증강하기 위해서 고정용 부품으로 보강하는 경우도 많다.
특허 문헌 1에는 커넥터의 개구로부터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고안이 제시되어 있지만 고정 강도 대책과는 관계가 없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38465호 공보
전자 기기에 탑재되어 외부와의 사이에서의 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커넥터에도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중, 예컨대 USB 커넥터 등은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면, 삽입되기 전의 외형 크기를 초과하여 일부가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 상태에 있을 때와 상대측 커넥터가 분리된 비결합 상태에 있을 때에 외형이 변화되는 커넥터의 경우, 어떻게 강도를 갖게 하여 고정할지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은 외형이 변화되는 커넥터가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로써 고정되는 고정 부품 및 그 고정 부품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된, 상대측 커넥터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이 전자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 상태 및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분리된 비결합 상태 중 한쪽의 상태에서 다른 쪽 상태의 그 커넥터의 외형 크 기를 초과하여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를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부품은 커넥터의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여 넓어지는 동시에 그 돌기부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는 고정 부품을 채용하여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그 커넥터를 충분한 강도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리프부는 누름판부에 형성된 구멍이어도 좋다.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돌기부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끼리 동일면이 되도록 인접하여 복수개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 부품은 이들 복수개의 커넥터에 걸쳐져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여 넓어지는 동시에 이들 복수개의 커넥터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커넥터를 상기 몸체에 하나의 고정 부품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각에 돌기부를 갖는 복수개의 커넥터를 하나의 고정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고정 부품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외관]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한 실시형태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 PC」라고 약기함)의 사시도이며, 도 1은 표시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노트북 PC(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 유닛(30)은 힌지부(40)로, 본체 유닛(20)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거의 직방체 형상의 박스형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상면에, 전원 온/오프 버튼(201), 몇 개의 기능 버튼(202), 키보드(203), 터치패드(204), 터치패드용 좌측 클릭 버튼(205)과 우측 클릭 버튼(206) 및 지문 센서(207) 등이 구비되어 있고, 전단면에는 무선 LAN 온/오프 스위치(208), 스피커 접속 단자(209) 및 마이크로폰 접속 단자(2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터치패드(204)의 이면에는 디지타이저가 겹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우측면에는, DC 전원 접속 단자(211), 3개의 USB 커넥터(212), 각종 기록 매체[SD 카드(등록상표), xD 카드(등록상표) 등]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213), PC 카드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PC 카드 삽입구(214) 및 IEEE1394 커넥터(2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본체 유닛(20) 내에는 CPU나 각종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인 마더보드가 내장되어 있다. 이 마더보드는 키보드(203)와 동등한 크기를 가지며 키보드(203)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터치패드(204) 및 그 이면에 있는 디지타이저는 마더보드의 영역을 피하여, 본체 유닛(20)의 소위 팜레스트(palmrest)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그 전면에 큰 치수의 표시 화면(301)을 가지며, 그 표시 화면(301)의 주위에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 상에 닫았을 때에 표시 화면(301)이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3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에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고, 본체 유닛(20) 측의 표시 유닛(30)의 변에 있어서 그 폭 방향의 대략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힌지부(40) 사이의 표시 유닛(30)의 변 부분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에 후술하는 케이블이 배설되어 있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본체 유닛(20)에 대한 어떤 개방 각도라도 그 각도에서 정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어떤 개방 각도에 있더라도 그 개방 각도로 정지하도록 마찰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노트북 PC(10)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204)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터치패드(204)의 표면이 있고, 그 터치패드(204)의 아래에 도 3의 (B)에 도시하는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401), 또 그 아래에 도 3의 (C)에 도시하는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402)가 놓 이고, 더욱 그 아래에는 도 3의 (D)에 도시하는 디지타이저(403)가 놓이고 있다.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놓임으로써 그 손가락이 놓인 부분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접촉 위치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정전용량식의 것이며, 표시 화면(301)(도 1 참조) 위의 커서의 이동 지시에 이용된다.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401)는 터치패드(204)가 실리며 그 터치패드(204)를 지지하는 동시에,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5a),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6a) 및 지문 센서(207)의 직접 검출을 담당하는 라인 센서(207a)가 탑재된 회로 기판(21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의 지지 기판(402)은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를 보강하는 동시에, 터치패드(204)에 가해진 압박력이 그 디지타이저(403)에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는 터치패드(204) 상에 닿게 된 스타일러스 펜과의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그 펜 끝의 위치나 그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디지타이저(403)는 스타일러스 펜을 손에 쥐고 터치패드(204)로 그 펜 끝을 움직임으로써 손으로 쓰는 수기 문자나 손으로 그리는 수기 도형 등을 입력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터치패드(204) 상에 펜 끝을 대고 움직임으로써 그 펜 끝의 위치를 디지타이저(403)로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의 종횡비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301)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드(204) 상에서, 표시 화면(301)에서의 표시 위치를 보면서 수기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 유닛(20)에는, 사용자 조작의 검출 방법이 다른 터치패드(204)와 디지타이저(403)가 겹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스타일러스 펜(50)은 그 펜 끝에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가 삽입되어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에서부터 전자력이 주어지면 공진하고, 그 공진을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수신함으로써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그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이 스타일러스 펜(50)에는 그 펜 끝의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가 삽입되고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으로 향해서 그 센서로 검출된 압력에 따른 변조 신호를 돌려줌으로써, 디지타이저(403)로 그 압력, 즉 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 스타일러스 펜의 종류에 따라서는 푸쉬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그 푸쉬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 스타일러스 펜(50)으로부터 역시 그것에 따른 변조 신호가 디지타이저(403)에 반환되어, 디지타이저(403)에서는 그 푸쉬 버튼 스위치가 눌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게 되면, 디지타이저(403)와 스타일러스 펜(50) 사이에서 전자적인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터치패드(204)의 표면과 디지타이저(403) 사이에 전자력을 크게 감쇠시키는, 치수가 큰 금속체 등이 존재하여서는 안 된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4)의 이면의,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펜 끝 위 치 검출의 유효 영역 내가 되는 기판의 영역에는, 그 전자력을 크게는 감쇠하지 않도록, 하나의 커넥터(204a)와 그 커넥터(204a)용으로 접속된 이산적인 배선(204b)만 배치되고, 큰 덩어리인 터치패드(204)용 제어 회로로서의 LSI(204c)는 그 유효 영역 밖이 되는 기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타이저(403)는 전자 유도식의 센서와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입력 신호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보내지고, 펜 끝의 위치 정보 등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 검출되어,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가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에 입력된다.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펜 끝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 조작 등을 나타내는 적절한 커맨드를 생성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는 동시에, 후술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제어한다.
한편,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닿으면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드 센서와 손가락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 용량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보내져 그 터치패드 컨트롤러로 손가락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검출도 이루어진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터치패드 드라이버에 보낸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커맨드를 필터 드라이버에 보낸다. 이 터치패드 컨트롤러로부터 필터 드라이버에 보내지는 커맨드는 크게 나눠, 터치패드 상에서 손가락을 움직임에 의한 방향 성분을 나타내는 커맨드와, 좌측 클릭 버튼(205) 또는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을 나타내는 커맨드로 구별된다.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의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커맨드 중, 그 제어에 따른 커맨드만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방향 성분의 커맨드와 버튼 조작의 커맨드 중의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저지되거나, 혹은 방향 성분의 커맨드도 필터 드라이버에 의한 저지를 받지 않고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달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커맨드와,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송출되어 필터 드라이버를 통과하여 보내져 온 커맨드에 기초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며, 여기서는, 터치패드(204) 상에는 스타일러스 펜은 닿게 되지 않고, 따라서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필터 드라이버에 대하여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방향 성분 커맨드도 유효하다는 취지의 제어를 행하고,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방향 성분 커맨드와 버튼 커맨드의 쌍방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이며, 여기서는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가 달린 스타 일러스 펜을 사용한 경우의 스위치의 온/오프 등을 나타내는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지는 동시에, 필터 드라이버로 향해서, 방향 성분을 무효로 해야 하는 제어를 한다.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보내져 오더라도 그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해지는 것을 저지하고,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좌측 클릭 버튼(205)이나 우측 클릭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한 커맨드만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해진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만일 펜을 쥔 손이 터치패드에 닿더라도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제어와 터치패드(204)에 의한 제어가 경합하지 않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한, 이 제어는 펜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터치패드에 의한 오류 조작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이미 도 6∼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끝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만 한다.
사용자에 의한 디지타이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11),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12),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디지타이저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드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21), 터치패드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22),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 따라(단계 S23),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때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그대로 유효로 하고(단계 S24), 이에 따라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터치패드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는, 필터 드라이버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무효로 하고, 터치패드에 대해서는 좌측 클릭 버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에 따른 커맨드만을 유효로 한다(단계 S25).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아래에 디지타이저를 겹쳐 배치함으로써 하기 (1) 내지 (4)와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에서 조작 공간이 공유화되어, 별개의 부위에 배치하는 것보다도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2) 펜으로 조작한 후에 펜을 쥔 채로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등, 손과 펜으로 시임리스한(seamless)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만일 별개의 부위에 배치한 경우, 예컨대 표시 화면(301)에 겹쳐 디지타이저를 설치한 경우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3)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쌍방을 동시에는 사용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게 할 수 있다.
(4) 이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노트북 PC(10)의 좌우의 중앙 부근에 배치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사용자도 왼손잡이 사용자도 조작하기 쉽 다.
[시큐러티 로크홀 및 USB 커넥터]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20)은 아래 커버와 위 커버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며, 이 도 10은 위 커버를 떼어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0에는, 아래 커버의 코너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시큐러티 로크홀(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옆에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나란히 늘어서 배치되고, 또한 그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USB 커넥터(212)에는 그 USB 커넥터(212)와 조합하는 커넥터(501)(도 12 참조)를 그 USB 커넥터(212)에 빼거나 꽂을 때에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이것에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 지지 금구(2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큐러티 로크홀(221)은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크 장치가 걸려 고정되는 로크용 구멍이다. 로크 장치는 그 로크 위치의 열쇠부를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에 삽입하면 그 열쇠부가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의 내부에서 펼쳐져, 빠지지 않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에는, USB 커넥터(212)를 누르는 누름판벽(213a)과,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과, 나사 고정판(213d)을 갖고 있고, 그 누름판(213a)에는 2 개의 구멍(213e)이 형성되고, 나사 고정판(213d)에는 나사 고정용 구멍(213f)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3)는 USB 커넥터(212)에 부주의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것에 견디도록, USB 커넥터(212)의 상면에 누름판(213a)이 덮어 눌려지는데, 그 상면에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빠져 있을 때에는 그 상면보다도 내려 간 위치에 있고, 그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그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하는 2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 상면(212a)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213)의 누름판(213a)은 이들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동일면을 이루는 상면(212a)을 누른다. 이 때, 이 누름판(213a)의 2개의 구멍(213e)은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에 의해 그 돌기부(212b)가 상면을 넘어서 돌출되는 경우가 있지만, 지지 금구(213)의 누름판(213a)에 구멍(213e)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 조작을 쉽게 하면서, USB 커넥터(212)를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서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는 나사(71)에 의해 아래 커버(222)에 고정된다.
이 지지 금구(213)의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은 이 지지 금구(213)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아래 커버(222) 및 위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내부의, 시큐러티 로크홀(221)로 이어지는 공간의 두 면을 분담하고, 아래 커버(222)의 내벽(222a) 및 위 커버의 내벽과 협동하여 그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시큐러티 홀(221)은 로크용으로서 준비해 두는 구멍이지만, 로크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사용자도 많아, 그 경우, 그 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으면 이 시큐러티 홀(221)로부터 몸체의 내부에까지 먼지가 들어가, 그 먼지가 쌓여 공냉의 방해가 되거나, 혹은 회로의 쇼트를 일으키거나 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USB 커넥터(2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금구(213)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없이, 그 시큐러티 홀(221)로 이어지는 공간을 구획하여, 먼지가 몸체 내의 안쪽에까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14는 본체 유닛(20)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4도 본체 유닛의 위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한,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3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의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는 하나의 지지 금구(214)로 지지되어 있다.
도 15는 그 지지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용 개구(214f)가 형성된 전판(214a), 3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도 16 참조)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의 3개의 구멍(214g)을 가지며 USB 커넥터(212)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판(214b), DC 전원 접속 단자(211)를 누르는 단자 누름부(214c), 나사 고정용 구멍(214h)을 갖는 나사 고정부(214d), 및 누름판(214b)과 단자 누름부(214c) 및 나사 고정부(214d)를 잇는 이음부(214e)를 갖는다.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나사(72)에 의해 아래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면보다도 내려가 있고,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4)의 누름판(214b)의 3개의 구멍(214g)은 도 16에 도시하는 3개의 USB 커넥터(212b)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 릴리프부[3개의 구멍(214g)]를 지님으로써,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에의 외부의 커넥터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의 빼고 꽂기에 상관없이, USB 커넥터(212)를 강고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 금구(214)는 그 하나의 지지 금구로 3개의 USB 커넥터(212)와 1개의 DC 전원 접속 단 자(211)를 동시에 지지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구조]
도 18은 본체 유닛(20)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도 19에는 내부에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수용한 부분을 덮는 덮개(431)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덮개(431)는 본체 유닛(20)의 아래 커버의 일부분을 이루는 것인데, 이 덮개(431)만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431)를 제거하고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는 대용량 기억 매체인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그 하드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그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 그 하드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포함하는 유닛 제품이다.
도 21은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1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 그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로 기판의 위를 덮는 절연 시트(442)[이 도 21에는 그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42a)에 관해서는 후술함] 및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강도를 부여하여, 본체 유닛에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금구(44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 로 기판의 일단에는 본체 유닛(20) 내의 마더보드 상에 실장된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444)가 고정되어 있다.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절연 시트(442)가 점착된 지지 금구(443)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2에서는, 그 지지 금구(443)[절연 시트(442)]의,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에 접하는 쪽의 면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금구(443)는 금속제의 판금 부품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따라서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얹으면 회로 기판 상의 회로가 쇼트하여 동작 불량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지지 금구(443)는 이들 사이에 절연 시트(442)를 끼워 겹쳐진다.
이 절연 시트(442)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과 지지 금구(443) 사이의 절연을 담당하는 동시에, 또한 플랜지부(442a)를 갖는다. 이 플랜지부(442a)는 지지 금구(443)의, 커넥터(444) 측의 변에서부터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감아 돌아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금구(443)의 플랜지부가 노출된 측의 변의 단 부근의 부분보다도 그 변의 중앙 부근의 부분이 지지 부재(443)의 이면으로 넓게 펴진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유닛 내부의, 덮개를 열었을 때의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된 개구(432)에 인접한 위치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구비된 커넥터(444)와 결합하는 커넥터(43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커넥터(433, 444)가 결합한 상태로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를 당기면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커넥터(444)를 본체 유닛 측의 커넥터(433)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빼낼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44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넓게 되어 있고, 통상은 거기를 잡고서 뽑아내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좌우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 부주의하게 무리한 비스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 개구(43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밖에 없지만, 절연 시트를 늘려 플랜지부(442a)를 만들고, 그 플랜지부(442a)를 당기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면서도,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제거할 필요가 생겼을 때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원래 필요한 절연 시트를 연장한 것으로,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이 없고, 또 절연 시트는 얇은 시트재이기 때문에 쓸데없는 공간을 차지하는 것도 방지되고 있다.
[힌지부 외측의 배선 구조]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도 24에는 도 13에도 도시한 시큐러티 로크홀(221)이나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 도 24에서는 본체 유닛의 이면을 위로 하여 나 타내고 있기 때문에, 도 13과 비교하여, 시큐러티 로크홀(221)과 USB 커넥터(212)는 위치가 좌우 반대로 되고 있다. 그 USB 커넥터(212)의 더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독립적으로 착탈되는 덮개(451)가 배치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고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덮개(451)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커넥터(223)용 개구(451a)와, 나사 고정용 2개의 구멍(45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덮개(451)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451)가 덮는 부분은 그 덮개(451)를 닫았을 때에 평평하게 되도록 그 덮개(451)의 두께 부분만큼 한 단 내려간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30)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힌지부(40)의 외측을 지나 본채 유닛 측으로 뻗어 온 2 라인의 케이블(460)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2 라인의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단부는 아직 배선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있다.
본체 유닛에는 세로 방향(본체 유닛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케이블(460)을 그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홈(452)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이 안내 홈(452)의 측면을, 세로로 뻗는 슬릿(453)을 남겨 두고 덮는 차양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453)은 케이블(46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슬릿이며, 그 케이블(460)은 이 슬릿(453)으로부터 그 안내 홈(452) 안으로 옆에서부터 삽입된다.
여기서,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부터 가로 방향으로 뻗어, 만곡되어 안내 홈(452)에 수용되어 세로 방향으로 안내된다. 슬릿(453)은 그 케이블(460)의 만곡의 내측에 형성되고, 그 만곡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차양부(454)로 덮이고 있다.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으며, 그 강성으로 가능한 한 직선적으로 뻗고자 하기 때문에, 안내 홈(452) 내에서는 슬릿(453)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 다가가게 되어, 슬릿(453)으로부터 케이블(460)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외측을 돌아 온 케이블(460)을 안내 홈(452)에 수용하여 세로로 안내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선단을 본체 유닛 안의 회로에 접속할 때, 특히, 본체 유닛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실장된 회로에 접속할 때나, 도 25에 도시하는 덮개(451)로 덮을 때에, 케이블(460)이 부주의하게 본래의 배선 루트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조립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도 27은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01)을 떼어, 그 표시 유닛(30) 내부의, 표시 화면(301)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표시 유닛(30)의 상부에는, 무선 통신용 2개의 안테나(461)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안테나(461)에는 2 라인의 케이블(460)의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2 라인의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30) 안에서 힌지부의 가까이까지 아래쪽으로 뻗고, 거기서 표시 유닛(30)의 몸체의 개구를 지나,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40)의 외측으로 감아 돌아가, 본체 유닛(20)의 안내 홈(452)으로 안내되어, 본체 유닛(20)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배치된 안테나(461)를 사용 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에 접속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외형이 변화되는 커넥터를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로써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의 삽입/이탈 조작을 쉽게 하면서, 강도를 갖고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Claims (5)

  1. 전자 기기로서,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된, 상대측 커넥터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전자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 부품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 상태 및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분리된 비결합 상태 중 한쪽의 상태에서 다른 쪽 상태에서의 상기 커넥터의 외형 크기를 초과하여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품은 상기 커넥터의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고,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부는 상기 누름판부에 형성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끼리 동일면이 되도록 인접하여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고정 부품은 이 복수개의 커넥터에 걸쳐져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를 상기 전자 기기에 하나의 고정 부품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된, 상대측 커넥터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전자 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품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 상태 및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분리된 비결합 상태 중 한쪽 상태에서 다른 쪽 상태에서의 상기 커넥터의 외형 크기를 초과하여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품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돌기부를 갖는 면에 접하고,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를 갖는 누름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부는 상기 누름판부에 형성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품.
KR1020060136155A 2006-03-20 2006-12-28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KR100864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6116 2006-03-20
JP2006076116A JP2007250493A (ja) 2006-03-20 2006-03-20 電子機器および固定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74A KR20070095174A (ko) 2007-09-28
KR100864467B1 true KR100864467B1 (ko) 2008-10-22

Family

ID=3851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155A KR100864467B1 (ko) 2006-03-20 2006-12-28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2058B2 (ko)
JP (1) JP2007250493A (ko)
KR (1) KR100864467B1 (ko)
CN (1) CN1005593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356B1 (ja) 2008-09-25 2010-03-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0250513A (ja) * 2009-04-14 2010-11-04 Fujitsu Ltd 電子機器
DE112009004754B4 (de) * 2009-06-18 2016-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abelverriegelungssystem und -verfahren
JP4643746B2 (ja) * 2010-01-13 2011-03-0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2198673A (ja) * 2011-03-18 2012-10-18 Toshiba Corp 電子機器
JP5949161B2 (ja) * 2012-05-28 2016-07-06 富士通株式会社 挿抜力調整方法
JP5935594B2 (ja) * 2012-08-24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875B1 (en) * 2000-01-21 2001-06-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426A (en) * 1992-06-11 1993-08-24 At&T Bell Laboratories Universal patch panel for communications use in buildings
JP3075926B2 (ja) * 1994-08-30 2000-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端子取付装置
US5676569A (en) * 1996-07-25 1997-10-14 The Whitaker Corporation Holder for several electrical connectors
US5709569A (en) * 1996-10-31 1998-01-20 The Whitaker Corporation Panel mount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JPH1126097A (ja) * 1997-06-20 1999-01-29 Molex Inc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US5934940A (en) 1997-07-23 1999-08-10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488517B1 (en) * 1998-09-03 2002-12-03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for a display screen
JP3570254B2 (ja) 1998-10-30 2004-09-29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エスカッション
US6700791B1 (en) * 1999-07-27 2004-03-02 Gateway, Inc. Computer expansion card retainer assembly
JP2002123335A (ja) * 2000-10-13 2002-04-26 Fujitsu Ltd 電子機器
CN2682675Y (zh) * 2003-12-03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227747B2 (en) * 2004-10-20 2007-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ing computer equipment
US7079385B1 (en) * 2004-12-28 2006-07-18 Inventec Corporation Docking station lock and its link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875B1 (en) * 2000-01-21 2001-06-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9323C (zh) 2009-11-11
US7462058B2 (en) 2008-12-09
JP2007250493A (ja) 2007-09-27
CN101042599A (zh) 2007-09-26
KR20070095174A (ko) 2007-09-28
US20070218726A1 (en)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029B1 (ko) 전자 기기
KR100890743B1 (ko)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KR100956285B1 (ko) 전자 기기 및 유닛
KR100864467B1 (ko)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KR100786612B1 (ko) 전자 기기
US7800896B2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CN100535838C (zh) 鼠标器
EP2846216A1 (en) Electronic pen attachment/separation mechanism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04718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7363638B2 (en) Disk driv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JP5417460B2 (ja) 入力受付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5142834B2 (ja) 電子機器
US201100753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11375574U (zh) 电子设备
WO2011067845A1 (ja) 電子機器
CN212229615U (zh) 触控板及电子设备
JPH08328710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