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743B1 -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0743B1 KR100890743B1 KR1020070016562A KR20070016562A KR100890743B1 KR 100890743 B1 KR100890743 B1 KR 100890743B1 KR 1020070016562 A KR1020070016562 A KR 1020070016562A KR 20070016562 A KR20070016562 A KR 20070016562A KR 100890743 B1 KR100890743 B1 KR 100890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gitizer
- pointing device
- touch pad
- main body
- display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등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 화면 상의 커서의 이동 및 수기 입력에 대해서 각각에 알맞은 입력 방법을 채용하는 동시에, 공간 상에서도 유리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전자 기기는 표시 화면과, 손가락이 놓이며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터치패드(204)와, 터치패드(204)에 펜 끝이 놓이며 이 펜 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터치패드(204) 아래에 겹쳐진 디지타이저(40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표시 유닛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트랙 패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의 펜 끝이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과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체 유닛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지지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본체 유닛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를 제거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하드디스크 장치와, 절연 시트가 점착된 지지 금구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배설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장치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여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덮개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표시 유닛의 표시 화면을 떼어, 그 표시 유닛 내부의, 표시 화면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1에 도시하는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의 부분을 분해하여 평평하게 한 분해 평면도.
도 29는 터치패드(204)는 도 28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의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터치패드와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로 분해한 채, 디지타이저를 금속제 프레임 부재 상에 겹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도 30과 비교하여 터치패드(204)는 아직 분해한 상태인 채, 금속제 프레임 부재 상에 겹친 디지타이저 상에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를 더 겹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그 위에 터치패드를 더 겹쳐 유닛으로서 완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 PC
20 : 본체 유닛
30 : 표시 유닛
40 : 힌지부
50 : 스타일러스 펜
201 : 전원 온/오프 버튼
202 : 기능 버튼
203 : 키보드
204 : 트랙 패드
205 : 좌측 클릭 버튼
206 : 우측 클릭 버튼
207 : 지문 센서
211 : DC 전원 접속 단자
212 : USB 커넥터
212b : 돌기부
213 : 매체 삽입구
213b, 203c : 칸막이벽
213e : 구멍
214 : 지지 금구
214b : 누름판
214g : 구멍
216 : 회로 기판
221 : 시큐러티 로크홀
401 : 프레임 부재
402 : 지지 부재
403 : 디지타이저
431 : 덮개
432 : 개구
433 : 커넥터
440 : 하드디스크 어셈블리
441 : 하드디스크 장치
442 : 절연 시트
442a : 플랜지부
443 : 지지 금구
444 : 커넥터
451 : 덮개
451a : 개구
452 : 안내 홈
453 : 슬릿
454 : 차양부
460 : 케이블
461 : 안테나
501 : 외부의 커넥터
601 : 지지 부재
602 : 프레임 부재
본 발명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 및 그 전자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마우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마우스는 손으로 꽉 쥐고 책상 위 등에 놓여진 평평한 패드 등의 위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화면 상의 커서를 이동시켜, 버튼 조작으로 커서가 표시되어 있는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종이다.
한편, 이 마우스는 장치 본체와는 별개 부재의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평평한 패드면 상에 손가락을 놓고 그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표시 화면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터치패드라 불리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표시 화면 상에 손으로 쓰는 수기 문자나 손으로 그리는 수기 도형을 입력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전용 펜(스타일러스 펜)을 손에 잡고, 그 펜을 평평한 판의 면 위에 대어, 그 펜을 그 판면 상에서 움직임으로써 수기 입력을 행하는 디지타이저라 불리는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이 디지타이저의 형태로서는, 컴퓨터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그 장치 본체 옆에 놓고 장치 본체와 케이블로 접속하는 형태의 것이나, 혹은 표시 화면(통상은 LCD 표시 화면)에 겹쳐 배치해 두고서, 표시 화면 상에 직접 펜을 통해 손으로 입력하는, 감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치 본체의 옆에 놓는 타입의 것은 장치 본체 자체가 거치 형태의 장치이며 또한 주위에 충분한 공간이 있을 때는 좋지만, 주위 공간에 여유가 없을 때나, 거치형의 장치가 아니라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있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사용하려면 불편하다. 또한, 별개로 구성하면 그 디지타이저를 위한 하우징이나 케이블, 통신 회로, 전원 회로 등이 필요하게 되어, 아무래도 그 불편함을 생각한다면 저렴하지 못하다.
한편, 표시 화면에 겹치는 타입의 디지타이저의 경우, 장치 본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형의 장치에도 적합하지만, 표시 화면과 동일한 치수의 것이 필요하여, 최근, 표시 화면이 점점 대화면화되어, 이것도 매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디지타이저를 표시 화면에 겹치면, 표시 화면 상의 펜의 궤적을 디지타이저 상의 펜의 궤적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가 있어, 꽤 고정밀도의 위치맞춤을 필요로 한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는, 표시 화면과는 별도의 위치(키보드와 동일면이며 그 키보드 아래의 위치)에 디지타이저를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고,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대면적의 메인 표시 화면 이외에 소면적의 서브 표시 화면을 갖춰, 그 서브 표시 화면에 겹쳐 디지타이저를 갖추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키보드 아래의 위치에 디지타이저를 배치하면, 통상 그 위치에는 터치패드가 배치되기 때문에, 터치패드를 배치하는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대면적의 표시 화면과는 별도로 소면적의 서브 표 시 화면을 갖추는 동시에, 그 서브 표시 화면에 겹친 디지타이저를 갖추는 구성의 경우도, 터치 패널의 배치 장소가 압박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서브 표시 화면이라는 쓸데없는 구성 요소도 필요하게 되고, 또한, 서브 표시 화면과 디지타이저와의 위치맞춤을 고정밀도로 해야 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특허문헌 3, 4에는, 평판형의 입력면(예컨대 디지타이저)을 구비하여, 그 입력면에서의 입력 모드를, 손으로 쓰는 수기 문자나 손으로 그리는 수기 도형 등을 입력하는 모드나, 표시 화면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모드 등,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쌍방을 갖출 필요는 없고 한 쪽만을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나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그러나, 예컨대 디지타이저를 구비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는, 수기 입력뿐만 아니라 표시 화면 상의 커서의 이동도 펜 조작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덧그리기만 할 뿐인 터치패드에 비하여, 표시 화면 상의 커서의 이동에 대해서도 일일이 펜을 쥘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쁘다. 한편, 터치패드만을 구비하여 모드 전환을 행하고, 그 터치패드로 수기 입력을 행하려면, 수기 입력은 펜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손끝으로 수기 입력을 행하는 것은 이것도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27884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683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683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3757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표시 화면 상의 커서의 이동 및 수기 입력에 대해서 각각에 알맞은 입력 방법을 채용하는 동시에, 공간 상에서도 유리한 입력 수단을 갖춘 전자 기기 및 이들의 입력 사이의 경합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표시 화면과,
손가락이 놓이며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터치패드와,
터치패드에 펜 끝이 놓이며 그 펜 끝의 움직임에 의해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터치패드 아래에 겹쳐진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패드와 그 아래에 디지타이저를 겹쳐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배치에 의해, 터치패드 상에 손가락을 놓고 그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커서를 이동시키고, 또한, 그 동일한 터치패드 상에 펜 끝을 놓고 이동시킴으 로써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어, 각각에 알맞은 입력 방법을 채용하면서 공간 절약을 실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이 전자 기기는 키보드와, 위아래로 겹쳐진 터치패드 및 디지타이저를 상면에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안쪽 측에 힌지 접속되어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를 포함하며, 본체부는 발열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을 힌지에 가까운 안쪽 측에 내장하며, 위아래로 겹쳐진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는 본체부의 메인 기판보다도 전방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메인 기판 상의 발열 부품에 의한 열의 영향을 피하면서, 터치패드 및 디지타이저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터치 패널 및 디지타이저의 좌표 지정 실효 영역의 종횡 치수 비율은 표시 화면의 종횡 치수 비율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로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수기 입력에 있어서, 표시 화면 상의 위치를 보면서 펜을 움직일 수 있어, 사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만, 표시 화면에 디지타이저를 겹친 경우에 비하여 디지타이저 상의 펜의 이동 위치와 표시 화면 상의 펜의 궤적 위치와의 정합성은 표시 화면과 디지타이저를 겹친 장치에 비하여 그다지 엄밀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터치패드에 의한 좌표 지정과 디지타이저에 의한 좌표 지정이 경합한 경우에 디지타이저에 의한 좌표 지정만 유효하게 하는 필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어, 그 전자 기기를 이 필터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펜을 손에 쥐고 펜 끝을 터치패드면에 닿게 했을 때에, 손의 일부가 그 터치패드에 닿을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일부러 펜을 손에 쥔 것이므로, 디지타이저 쪽을 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를 수용하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는 상기 디지타이저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금속제 프레임 부재를,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사이가 아니라 디지타이저 아래인,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지타이저 조작시의 전자적 작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터치패드, 디지타이저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례로서, 이들과 같이 사용자 조작의 검출 방법이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이며, 이들과 이종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채용함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외관]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한 실시형태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 PC」라고 약기함)의 사시도이며, 도 1은 표시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노트북 PC(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 유닛(30)은 힌지부(40)로, 본체 유닛(20)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거의 직방체 형상의 박스형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상면에, 전원 온/오프 버튼(201), 몇 개의 기능 버튼(202), 키보드(203), 터치패드(204), 터치패드용 좌측 클릭 버튼(205)과 우측 클릭 버튼(206) 및 지문 센서(207) 등이 구비되어 있고, 전단면에는 무선 LAN 온/오프 스위치(208), 스피커 접속 단자(209) 및 마이크로폰 접속 단자(2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터치패드(204)의 이면에는 디지타이저가 겹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우측면에는, DC 전원 접속 단자(211), 3개의 USB 커넥터(212), 각종 기록 매체[SD 카드(등록상표), xD 카드(등록상표) 등]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213), PC 카드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삽입되는 PC 카드 삽입구(214) 및 IEEE1394 커넥터(2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본체 유닛(20) 내에는 CPU나 각종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인 마더보드가 내장되어 있다. 이 마더보드는 키보드(203)와 동등한 크기를 가지며 키보드(203)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터치패드(204) 및 그 이면에 있는 디지타이저는 마더보드의 영역을 피하여, 본체 유닛(20)의 소위 팜레스트(palmrest)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그 전면에 큰 치수의 표시 화면(301)을 가지며, 그 표시 화면(301)의 주위에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 상에 닫았을 때에 표시 화면(301)이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3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에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 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고, 본체 유닛(20) 측의 표시 유닛(30)의 변에 있어서 그 폭 방향의 대략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힌지부(40) 사이의 표시 유닛(30)의 변 부분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에 후술하는 케이블이 배설되어 있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본체 유닛(20)에 대한 어떤 개방 각도라도 그 각도에서 정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어떤 개방 각도에 있더라도 그 개방 각도로 정지하도록 마찰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노트북 PC(10)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204)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 그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터치패드(204)의 표면이 있고, 그 터치패드(204)의 아래에 도 3의 (B)에 도시하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401), 또 그 아래에 도 3의 (C)에 도시하는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402)가 놓이고, 더욱 그 아래에는 도 3의 (D)에 도시하는 디지타이저(403)가 놓이고 있다.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놓임으로써 그 손가락이 놓인 부분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접촉 위치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정전용량식의 것이며, 표시 화면(301)(도 1 참조) 위의 커서의 이동 지시에 이용된다.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401)는 터치패드(204)가 실리며 그 터치패드(204)를 지지하는 동시에,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5a),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을 검출하는 접점 스위치(206a) 및 지문 센서(207)의 직접 검출을 담당하는 라인 센서(207a)가 탑재된 회로 기판(21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의 지지 기판(402)은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를 보강하는 동시에, 터치패드(204)에 가해진 압박력이 그 디지타이저(403)에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 아래의 디지타이저(403)는 터치패드(204) 상에 닿은 스타일러스 펜과의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그 펜 끝의 위치나 그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디지타이저(403)는 스타일러스 펜을 손에 쥐고 터치패드(204)로 그 펜 끝을 움직임으로써 손으로 쓰는 수기 문자나 손으로 그리는 수기 도형 등을 입력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터치패드(204) 상에 펜 끝을 대고 움직임으로써 그 펜 끝의 위치를 디지타이저(403)로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의 종횡비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301)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드(204) 상에서, 표시 화면(301)에서의 표시 위치를 보면서 수기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 유닛(20)에는, 사용자 조작의 검출 방법이 다른 터치패드(204)와 디지타이저(403)를 겹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터치패드 상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스타일러스 펜(50)은 그 펜 끝에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가 삽입되어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에서부터 전자력이 주어지면 공진하고, 그 공진을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수신함으로써 디지타이저(403) 측에서 그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이 스타일러스 펜(50)에는 그 펜 끝의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가 삽입되고 있어, 디지타이저(403) 측으로 향해서 그 센서로 검출된 압력에 따른 변조 신호를 돌려줌으로써, 디지타이저(403)로 그 압력, 즉 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 스타일러스 펜의 종류에 따라서는 푸쉬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그 푸쉬 버튼 스위치를 누르면 스타일러스 펜(50)으로부터 역시 그것에 따른 변조 신호가 디지타이저(403)에 반환되어, 디지타이저(403)에서는 그 푸쉬 버튼 스위치가 눌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에 스타일러스 펜(50)의 펜 끝이 닿게 되면, 디지타이저(403)와 스타일러스 펜(50) 사이에서 전자적인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터치패드(204)의 표면과 디지타이저(403) 사이에 전자력을 크게 감쇠시키는, 치수가 큰 금속체 등이 존재하여서는 안 된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4)의 이면의,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펜 끝 위치 검출의 유효 영역 내가 되는 기판의 영역에는, 그 전자력을 크게는 감쇠하지 않도록, 하나의 커넥터(204a)와 그 커넥터(204a)용으로 접속된 이산적인 배선(204b)만 배치되고, 큰 덩어리인 터치패드(204)용 제어 회로로서의 LSI(204c)는 그 유효 영역 밖이 되는 기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타이저(403)는 전자 유도식의 센서와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입력 신호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보내지고, 펜 끝의 위치 정보 등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 검출되어,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가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에 입력된다.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펜 끝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 조작 등을 나타내는 적절한 커맨드를 생성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는 동시에, 후술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제어한다.
한편, 터치패드(204)는 그 터치패드(204)에 손가락이 닿으면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드 센서와 손가락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 용량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보내져 그 터치패드 컨트롤러로 손가락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좌측 클릭 버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검출도 이루어진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터치패드 드라이버에 보낸다. 터치패드 컨트롤러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커맨드를 필터 드라이버에 보낸다. 이 터치패드 컨트롤러로부터 필터 드라이버에 보내지는 커맨드는 크게 나눠, 트랙 패드 상에서 손가락을 움직임에 의한 방향 성분을 나타내는 커맨드와, 좌측 클릭 버튼(205) 또는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을 나타내는 커맨드로 구별된다.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의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커맨드 중, 그 제어에 따른 커맨드만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방향 성분의 커맨드와 버튼 조작의 커맨드 중의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저지되거나, 혹은 방향 성분의 커맨드도 필터 드라이버에 의한 저지를 받지 않고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달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 온 커맨드와,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송출되어 필터 드라이버를 통과하여 보내져 온 커맨드에 기초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며, 여기서는, 터치패드(204) 상에는 스타일러스 펜은 닿게 되지 않고, 따라서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필터 드라이버에 대하여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방향 성분 커맨드도 유효하다는 취지의 제어를 행하고,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수취한 방향 성분 커맨드와 버튼 커맨드의 쌍방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낸다.
도 8은 디지타이저와 터치패드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또 하나의 도면이며, 여기서는 디지타이저(403)에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로부터는 방향 성분이나 스위치가 달린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한 경우의 스위치의 온/오프 등을 나타내는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보내지는 동시에, 필터 드라이버로 향해서, 방향 성분을 무효로 해야 하는 제어를 한다. 필터 드라이버는 이 제어를 받아,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방향성분의 커맨드가 보내져 오더라도 그 방향 성분의 커맨드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해지는 것을 저지하고, 터치패드 드라이버로부터 보내져오는, 좌측 클릭 버 튼(205)이나 우측 클릭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한 커맨드만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해진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만일 펜을 쥔 손이 터치패드에 닿더라도 디지타이저(403)에 의한 제어와 터치패드(204)에 의한 제어가 경합하지 않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한, 이 제어는 펜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터치패드에 의한 오류 조작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도 9는 디지타이저의 검출과 터치패드의 검출의 경합을 피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이미 도 6∼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끝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만 한다.
사용자에 의한 디지타이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11), 디지타이저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12),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디지타이저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드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터치패드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단계 S21), 터치패드 드라이버는 그 데이터를 받아 커맨드를 송신하고(단계 S22), 필터 드라이버는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 따라(단계 S23),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때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그대로 유효로 하고(단계 S24), 이에 따라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 터치패드 조작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는, 필터 드라이버는 터치패드의 커맨드를 무효로 하고, 터치패드에 대해서는 좌측 클릭 버튼(205) 및 우측 클릭 버튼(206)의 누름 조작에 따른 커맨드만을 유효로 한다(단계 S25).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아래에 디지타이저를 겹쳐 배치함으로써 하기 (1) 내지 (4)와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에서 조작 공간이 공유화되어, 별개의 부위에 배치하는 것보다도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2) 펜으로 조작한 후에 펜을 쥔 채로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등, 손과 펜으로 시임리스한(seamless)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만일 별개의 부위에 배치한 경우, 예컨대 표시 화면(301)에 겹쳐 디지타이저를 설치한 경우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3)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쌍방을 동시에는 사용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게 할 수 있다.
(4) 이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를 노트북 PC(10)의 좌우의 중앙 부근에 배치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사용자도 왼손잡이 사용자도 조작하기 쉽다.
[시큐러티 로크홀 및 USB 커넥터]
도 10은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한 쪽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체 유닛(20)은 아래 커버와 위 커버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며, 이 도 10은 위 커버를 떼어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 다.
이 도 10에는, 아래 커버의 코너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시큐러티 로크홀(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옆에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나란히 늘어서 배치되고, 또한 그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USB 커넥터(212)에는 그 USB 커넥터(212)와 조합하는 커넥터(501)(도 12 참조)를 그 USB 커넥터(212)에 빼거나 꽂을 때에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 이것에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 지지 금구(2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큐러티 로크홀(221)은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크 장치가 걸려 고정되는 로크용 구멍이다. 로크 장치는 그 로크 위치의 열쇠부를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에 삽입하면 그 열쇠부가 그 시큐러티 로크홀(221)의 내부에서 펼쳐져, 빠지지 않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이 노트북 PC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11은 지지 금구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에는, USB 커넥터(212)를 누르는 누름판벽(213a)과,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과, 나사 고정판(213d)을 갖고 있고, 그 누름판(213a)에는 2개의 구멍(213e)이 형성되고, 나사 고정판(213d)에는 나사 고정용 구멍(213f)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를 제거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3)는 USB 커넥터(212)에 부주의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것에 견디도록, USB 커넥터(212)의 상면에 누름판(213a)이 덮어 눌려지 는데, 그 상면에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빠져 있을 때에는 그 상면보다도 내려 간 위치에 있고, 그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그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하는 2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 상면(212a)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213)의 누름판(213a)은 이들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동일면을 이루는 상면(212a)을 누른다. 이 때, 이 누름판(213a)의 2개의 구멍(213e)은 2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를 받아내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에 의해 그 돌기부(212b)가 상면을 넘어서 돌출되는 경우가 있지만, 지지 금구(213)의 누름판(213a)에 구멍(213e)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커넥터(501)의 빼고 꽂기 조작을 쉽게 하면서, USB 커넥터(212)를 간이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서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부분을, 지지 금구를 부착하여 시큐러티 로크홀의 내측이 보이도록 상측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3)는 나사(71)에 의해 아래 커버(222)에 고정된다.
이 지지 금구(213)의 2개의 칸막이벽(213b, 213c)은 이 지지 금구(213)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아래 커버(222) 및 위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내부의, 시큐러티 로크홀(221)에 이어지는 공간의 이면을 분담하고, 아래 커버(222)의 내벽(222a) 및 위 커버의 내벽과 협동하여 그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시큐러티 홀(221)은 로크용으로서 준비해 두는 구멍이지만, 로크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사용자도 많아, 그 경우, 그 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으면 이 시큐러티 홀(221)로부터 몸체의 내부에까지 먼지가 들어가, 그 먼지가 쌓여 공냉의 방해가 되거나, 혹은 회로의 쇼트를 일으키거나 하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USB 커넥터(2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금구(213)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없이, 그 시큐러티 홀(221)로 이어지는 공간을 구획하여, 먼지가 몸체 내의 안쪽에까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14는 본체 유닛(20)의, 도 1에도 도시하는 우측면의 힌지부측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4도 본체 유닛의 위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아래 커버와 그 내부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한,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3개의 USB 커넥터(212)는 이들의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DC 전원 접속 단자(211) 및 3개의 USB 커넥터(212)는 하나의 지지 금구(214)로 지지되어 있다.
도 15는 그 지지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용 개구(214f)가 형성된 전판(214a), 3개의 USB 커넥터(212)의 돌기부(212b)(도 16 참조)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의 3개의 구멍(214g)을 가지며 USB 커넥터(212)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판(214b), DC 전원 접속 단자(211)를 누르는 단자 누름부(214c), 나사 고정용 구멍(214h)을 갖는 나사 고정부(214d), 및 누름판(214b)과 단자 누름부(214c) 및 나사 고정부(214d)를 잇는 이음부(214e)를 갖는다.
도 16은 도 14와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 도 16과 동일한 부분의, 지지 금구(214)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지지 금구(214)는 나사(72)에 의해 아래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커넥터(212)는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면보다도 내려가 있고, 외부의 커넥터(501)가 삽입되면 상면보다도 돌출되는 경우가 있는 돌기부(212b)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하는 지지 금구(214)의 누름판(214b)의 3개의 구멍(214g)은 도 16에 도시하는 3개의 USB 커넥터(212b)를 수용하는 릴리프부로서 작용한다. 이 릴리프부[3개의 구멍(214g)]를 지님으로써, 지지 금구(214)는 USB 커넥터(212)에의 외부의 커넥터의 사이즈 차이나 외부의 커넥터의 빼고 꽂기에 상관없이, USB 커넥터(212)를 강고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 금구(214)는 그 하나의 지지 금구로 3개의 USB 커넥터(212)와 1개의 DC 전원 접속 단자(211)를 동시에 지지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구조]
도 18은 본체 유닛(20)의 하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하면에 설치된 덮개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도 19에는 내부에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수용한 부분을 덮는 덮 개(431)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덮개(431)는 본체 유닛(20)의 아래 커버의 일부분을 이루는 것인데, 이 덮개(431)만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과 동일한 부분의, 덮개(431)를 제거하고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는 대용량 기억 매체인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그 하드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그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 그 하드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포함하는 유닛 제품이다.
도 21은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를 빼내어 그 하드디스크 어셈블리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1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 그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로 기판의 위를 덮는 절연 시트(442)[이 도 21에는 그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42a)에 관해서는 후술함] 및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강도를 부여하여, 본체 유닛에 하드디스크 장치(441)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금구(44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하드디스크 장치(441)가 갖는 회로 기판의 일단에는 본체 유닛(20) 내의 마더보드 상에 실장된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444)가 고정되어 있다.
도 2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절연 시트(442)가 점착된 지지 금구(443)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2에서는, 그 지지 금구(443)[절연 시트(442)]의,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에 접하 는 쪽의 면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금구(443)는 금속제의 판금 부품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따라서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얹으면 회로 기판 상의 회로가 쇼트하여 동작 불량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장치(441)와 지지 금구(443)는 이들 사이에 절연 시트(442)를 끼워 겹쳐진다.
이 절연 시트(442)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회로 기판과 지지 금구(443) 사이의 절연을 담당하는 동시에, 또한 플랜지부(442a)를 갖는다. 이 플랜지부(442a)는 지지 금구(443)의, 커넥터(444) 측의 변에서부터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감아 돌아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지 금구(443)의 이면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금구(443)의 플랜지부가 노출된 측의 변의 단 부근의 부분보다도 그 변의 중앙 부근의 부분이 지지 부재(443)의 이면으로 넓게 펴진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3은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부분의 덮개를 연 내부로서, 하드디스크 어셈블리가 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유닛 내부의, 덮개를 열었을 때의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된 개구(432)에 인접한 위치에는, 하드디스크 장치(441)에 구비된 커넥터(444)와 결합하는 커넥터(43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커넥터(433, 444)가 결합한 상태로 절연 시트(442)의 플랜지부(442a)를 당기면 하드디스크 장치(441)의 커넥터(444)를 본체 유닛 측의 커넥터(433)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빼낼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44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넓게 되어 있고, 통상은 거기를 잡고서 뽑아내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좌우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 부주의하게 무리한 비스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 개구(432)는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밖에 없지만, 절연 시트를 늘려 플랜지부(442a)를 만들고, 그 플랜지부(442a)를 당기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면서도, 하드디스크 어셈블리(440)를 제거할 필요가 생겼을 때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 플랜지부(442a)는 원래 필요한 절연 시트를 연장한 것으로,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이 없고, 또 절연 시트는 얇은 시트재이기 때문에 쓸데없는 공간을 차지하는 것도 방지되고 있다.
[힌지부 외측의 배선 구조]
도 24는 본체 유닛의, 힌지부측 후단면의 코너부의, 본체 유닛의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도 24에는 도 13에도 도시한 시큐러티 로크홀(221)이나 2개의 USB 커넥터(212)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 도 24에서는 본체 유닛의 이면을 위로 하여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도 13과 비교하여, 시큐러티 로크홀(221)과 USB 커넥터(212)는 위치가 좌우 반대로 되고 있다. 그 USB 커넥터(212)의 또 옆에는 모뎀용 커넥터(2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독립적으로 착탈되는 덮개(451)가 배치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덮개를 제거하고 그 덮개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덮개(451)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커넥터(223)용 개구(451a)와, 나사 고정용 2개의 구멍(45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덮개(451)를 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451)가 덮는 부분은 그 덮개(451)를 닫았을 때에 평평하게 되도록 그 덮개(451)의 두께 부분만큼 한 단 내려간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30)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힌지부(40)의 외측을 뻗어 온 2 라인의 케이블(460)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2 라인의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단부는 아직 배선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있다.
본체 유닛에는 세로 방향(본체 유닛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케이블(460)을 그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홈(452)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이 안내 홈(452)의 측면을, 세로로 뻗는 슬릿(453)을 남겨 두고 덮는 차양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453)은 케이블(46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슬릿이며, 그 케이블(460)은 이 슬릿(453)으로부터 그 안내 홈(452) 안으로 옆에서부터 삽입된다.
여기서,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부터 가로 방향으로 뻗어, 만곡되어 안내 홈(452)에 수용되어 세로 방향으로 안내된다. 슬릿(453)은 그 케이블(460)의 만곡의 내측에 형성되고, 그 만곡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차양부(454)로 덮이고 있다.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 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으며, 그 강성으로 가능한 한 직선적으로 뻗고자 하기 때문에, 안내 홈(452) 내에서는 슬릿(453)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 다가가게 되어, 슬릿(453)으로부터 케이블(460)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외측을 돌아 온 케이블(460)을 안내 홈(452)에 수용하여 세로로 안내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케이블(460)의 본체 유닛 측의 선단을 본체 유닛 안의 회로에 접속할 때, 특히, 본체 유닛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실장된 회로에 접속할 때나, 도 25에 도시하는 덮개(451)로 덮을 때에, 케이블(460)이 부주의하게 본래의 배선 루트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조립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도 27은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01)을 떼어, 그 표시 유닛(30) 내부의, 표시 화면(301)의 배면 측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표시 유닛(30)의 상부에는, 무선 통신용 2개의 안테나(461)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안테나(461)에는 2 라인의 케이블(460)의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2 라인의 케이블(460)은 표시 유닛(30) 안에서 힌지부의 가까이까지 아래쪽으로 뻗고, 거기서 표시 유닛(30)의 몸체의 개구를 지나,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40)의 외측으로 감아 돌아가, 본체 유닛(20)의 안내 홈(452)으로 안내되어, 본체 유닛(20)에 내장된 마더보드의 바닥면측에 배치된 안테나(461)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에 접속된다.
[터치패드와 디지타이저]
도 28은 도 1에 도시하는 노트 PC(10)의 본체 유닛(20)의 상면에 배치된 터치패드(204)의 부분을 분해하여 평평하게 한 분해 평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의 각 요소 (A)∼(D)를 각각의 위치에서 뒤집어 각 요소 (A)∼(D)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의 (A)에는 터치패드(204)가 도시되어 되고 있다. 그 터치패드(204) 아래에는 도 28의 (B)에 도시하는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가 놓이고, 또 그 아래에는 도 28의 (C)에 도시하는 디지타이저(403)가 놓이며, 더욱 그 아래에는 도 28의 (D)에 도시하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가 놓여져 있다.
이들 중, 터치패드(204) 및 디지타이저(403)는 전술한 도 3의 (A) 및 도 3의 (D)의 터치패드(204) 및 디지타이저(403)와 각각 동일 사양의 것으로서, 여기서는, 도 3의 (A) 및 도 3의 (D)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하는 터치패드(204)의 이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도 4의 (A)에 도시하는 터치패드(204)의 이면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도 4의 경우, 금속제 프레임 부재(401)는 터치패드(204)의 바로 아래에 놓이고, 그 아래에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402)가 놓이며, 제일 아래에 디지타이저(403)가 놓여져 있지만, 도 28, 도 2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가 제일 아래에 놓이고, 그 위에 디지타이저(403)가 놓이며,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는 디지타이저(403)와 터치패드(204) 사이에 놓여져 있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와,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의 형상은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비교하여 겹치는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402)[도 3의 (C), 도 4의 (C)]나 프레임 부재(401)[도 3의 (B), 도 4의 (B)]와는 약간 다르다.
단, 도 28의 (D), 도 29의 (D)에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602)에 탑재되어 있 는 접점 스위치(205a, 206a), 라인 센서(207a) 및 이들이 탑재된 회로 기판(216)은 도 3의 (B), 도 4의 (B)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도 3의 (B), 도 4의 (B)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은 터치패드(204)와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로 분해한 채로[도 3의 (A), (B)], 디지타이저(403)를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 상에 겹친 상태[도 30의 (C)]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도 30과 비교하여 터치패드(204)는 아직 분해한 상태인 채[도 31의 (A)],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 상에 겹친 디지타이저(403) 위에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를 더 겹친 상태[도 31의 (B)]를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그 위에 터치패드(204)를 더 겹쳐 유닛으로서 완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이들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터치패드(204),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 디지타이저(403) 및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가 겹쳐져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디지타이저(402)보다도 위에 금속제 프레임 부재(401)가 겹쳐져 있다. 디지타이저(402)는 터치패드(204) 상에 닿은 스타일러스 펜과의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그 펜 끝의 위치나 그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프레임 부재(401)는 중앙 부분에 넓은 개구를 갖지만, 개구 코너 부재(401)의 프레임에 근접한 부분까지 널리 이용하고자 하면, 그 프레임에 근접한 부분에서는, 그 프레임이 터치패드(24) 상에 닿는 스타일러스 펜과 디지타이저(402)와의 전자적 작용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금속제 프레임 부재(602)는 디지타이저(403)보다도 아래에 놓이고, 디지타이저(402)와 터치패드(204) 사이에는 디지타이저(403)와 터치패드(204)를 이격시키는 플라스틱제 지지 부재(601)가 존재할 뿐이므로, 터치패드(204) 상에 닿는 스타일러스 펜과 디지타이저(402) 사이의 전자적인 작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디지타이저(402)의 한층 넣은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예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비교하여 부품이 겹치는 순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작용은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동일하며, 여기서는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화면 상의 커서의 이동 및 수기 입력에 관해서, 각각에 알맞은 입력 방법을 채용하는 동시에 공간 상에서도 입력 수단을 갖춘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 표시 화면과;손가락이 놓이며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터치패드와;상기 터치패드에 펜 끝이 놓이며 이 펜 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좌표를 지시하는, 상기 터치패드 아래에 겹쳐진 디지타이저와;상기 터치패드에 의한 좌표 지정과 상기 디지타이저에 의한 좌표 지정이 경합한 경우에 상기 디지타이저에 의한 좌표 지정만 유효로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키보드와;위아래로 겹쳐진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디지타이저를 상면에 구비한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안쪽 측에 힌지 접속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상기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본체부는 발열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을 힌지에 가까운 안쪽 측에 내장하고, 위아래로 겹쳐진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메인 기판보다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front end)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디지타이저의 좌표 지정 실효 영역의 종횡 치수 비율은 상기 표시 화면의 종횡 치수 비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디지타이저에 의한 펜 끝 위치의 검출 유효 영역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탑재된 부품과, 이 부품에 접속된 이산적인 배선과, 상기 검출 유효 영역 밖에 위치하는 상기 터치패드용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를 수용하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 사이에,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디지타이저를 이격시키는 비금속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소정의 검출 방법으로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는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다른 검출 방법으로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는 제2 포인팅 디바이스와;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과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이 경합한 경우에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만 유효로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의 아래에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가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8항에 있어서,키보드와;위아래로 겹쳐진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를 상면에 구비한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안쪽 측에 힌지 접속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상기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본체부는 발열 부품이 탑재된 메인 기판을 힌지에 가까운 안쪽 측에 내장하고, 위아래로 겹쳐진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기판보다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front end)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의 좌표 지정 실효 영역의 종횡 치수 비율은 상기 표시 화면의 종횡 치수 비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금속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격시키는 비금속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기억 매체로서,상기 전자 기기는, 소정의 검출 방법으로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는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와 다른 검출 방법으로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는 제2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상기 프로그램은,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과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이 경합한 경우에,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표 지정만을 유효로 하는 필터부로서 상기 전자 기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억 매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포인팅 디바이스 아래에 상기 제2 포인팅 디바이스가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억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76114 | 2006-03-20 | ||
JP2006076114 | 2006-03-20 | ||
JP2006222132A JP2007287122A (ja) | 2006-03-20 | 2006-08-16 |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JPJP-P-2006-00222132 | 2006-08-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5189A KR20070095189A (ko) | 2007-09-28 |
KR100890743B1 true KR100890743B1 (ko) | 2009-03-26 |
Family
ID=3806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6562A KR100890743B1 (ko) | 2006-03-20 | 2007-02-16 |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16662A1 (ko) |
EP (1) | EP1837732A2 (ko) |
JP (1) | JP2007287122A (ko) |
KR (1) | KR100890743B1 (ko) |
CN (1) | CN10104262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9223A (ja) * | 2006-10-23 | 2008-05-08 | Fujitsu Ltd | 携帯端末装置、リクエスト送受信制御方法およびリクエスト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 |
JP5012464B2 (ja) * | 2007-12-04 | 2012-08-2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タッチ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
US8866640B2 (en) * | 2008-12-22 | 2014-10-21 | Lenovo (Singapore) Pte. Ltd. | Prioritizing user input devices |
US9213414B1 (en) * | 2009-11-13 | 2015-12-15 | Ezero Technologies Llc | Keyboard with integrated touch control |
GB201008089D0 (en) * | 2010-05-14 | 2010-06-30 | Manus Neurodynamica Ltd | Apparatus for use in diagnosing neurological disorder |
TW201232382A (en) * | 2011-01-28 | 2012-08-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
TWI428795B (zh) * | 2011-08-02 | 2014-03-01 | Wistron Corp | 具有隱藏式指向輸入裝置之電子裝置 |
US8994686B2 (en) * | 2011-10-17 | 2015-03-31 | Topaz Systems, Inc. | Digitizer |
US8952926B2 (en) * | 2011-10-17 | 2015-02-10 | Topaz Systems, Inc. | Digitizer |
JP6063201B2 (ja) | 2012-10-15 | 2017-01-18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操作デバイス |
US9857893B2 (en) | 2013-08-31 | 2018-01-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Touchpad bar |
US9478124B2 (en) | 2013-10-21 | 2016-10-25 | I-Interactive Llc | Remote control with enhanced touch surface input |
US9625992B2 (en) | 2013-10-21 | 2017-04-18 | I-Interactive Llc | Remote control with dual activated touch sensor input |
JP5587491B1 (ja) * | 2013-12-27 | 2014-09-10 | 株式会社フジクラ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
WO2016075775A1 (ja) * | 2014-11-12 | 2016-05-19 | 富士通株式会社 | 電子機器 |
KR20160096913A (ko) * | 2015-02-06 | 2016-08-17 | 주식회사 페이턴틴 | 디지타이저 장치 |
TWI557535B (zh) * | 2015-03-10 | 2016-11-11 | 宏碁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JP6474853B2 (ja) * | 2017-04-27 | 2019-02-27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入出力装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0397B1 (ko) * | 1994-04-21 | 2001-10-22 | 김순택 | 터치판넬및디지타이저기능을겸비한시스템및구동방법 |
KR20050045244A (ko) * | 2003-11-10 | 2005-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2151A (en) * | 1989-10-02 | 1995-03-28 | U.S. Philips Corporation |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 touch screen and a digitizing tablet, both integrated in an input device |
DE68928987T2 (de) * | 1989-10-02 | 1999-11-1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Datenverarbeitungssystem mit einer Berührungsanzeige und einem Digitalisiertablett, beide integriert in einer Eingabevorrichtung |
US5365461A (en) * | 1992-04-30 | 1994-11-15 | Microtouch Systems, Inc. | Position sensing computer input device |
US20020053421A1 (en) * | 1997-09-10 | 2002-05-09 | Kabushiki Kaisha Toshiba |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aratus |
US6388660B1 (en) * | 1997-12-31 | 2002-05-14 | Gateway, Inc. | Input pad integrated with a touch pad |
KR100534376B1 (ko) * | 1999-06-21 | 2005-12-08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디지타이저를 가진 액정표시소자 |
JP2002123335A (ja) * | 2000-10-13 | 2002-04-26 | Fujitsu Ltd | 電子機器 |
JP2002259060A (ja) * | 2001-02-15 | 2002-09-13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複数の入力デバイス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入力システム、デバイス管理プログラム、デバイス設定プログラム、ダブルクリック伝達方法、および記憶媒体 |
US6824321B2 (en) * | 2002-09-19 | 2004-11-30 | Siemens Communications, Inc. | Keypad assembly |
US20060071915A1 (en) * | 2004-10-05 | 2006-04-06 | Rehm Peter H |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taking notes with sketches and typed text |
-
2006
- 2006-08-16 JP JP2006222132A patent/JP2007287122A/ja active Pending
-
2007
- 2007-01-31 US US11/699,992 patent/US2007021666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2-16 KR KR1020070016562A patent/KR1008907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2-16 CN CNA2007100788645A patent/CN101042623A/zh active Pending
- 2007-02-19 EP EP07102672A patent/EP1837732A2/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0397B1 (ko) * | 1994-04-21 | 2001-10-22 | 김순택 | 터치판넬및디지타이저기능을겸비한시스템및구동방법 |
KR20050045244A (ko) * | 2003-11-10 | 2005-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5189A (ko) | 2007-09-28 |
CN101042623A (zh) | 2007-09-26 |
US20070216662A1 (en) | 2007-09-20 |
EP1837732A2 (en) | 2007-09-26 |
JP2007287122A (ja) | 2007-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0743B1 (ko) |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 |
KR100811029B1 (ko) | 전자 기기 | |
KR100956285B1 (ko) | 전자 기기 및 유닛 | |
KR100864467B1 (ko) | 전자 기기 및 고정 부품 | |
KR100786612B1 (ko) | 전자 기기 | |
EP2942692B1 (en) | Wide touchpad on a portable computer | |
US790309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sensing device | |
JP4669423B2 (ja) | 電子機器、スクロール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100141603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ject accidental contact on a touchpad | |
GB2352068A (en) | Data input touch panel | |
JP5355751B1 (ja) |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 |
WO2011067845A1 (ja) | 電子機器 | |
CN211375574U (zh) | 电子设备 | |
CN118434998A (zh) | 用于支撑计算设备的设备支架 | |
TWI397093B (zh) | 用來開關觸控裝置之觸控裝置開關機構及其電腦系統 | |
KR20190072870A (ko) | 노트북용 마우스 장치 | |
JPH08328710A (ja) | 情報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