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244A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244A
KR20050045244A KR1020030079231A KR20030079231A KR20050045244A KR 20050045244 A KR20050045244 A KR 20050045244A KR 1020030079231 A KR1020030079231 A KR 1020030079231A KR 20030079231 A KR20030079231 A KR 20030079231A KR 20050045244 A KR20050045244 A KR 20050045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tablet
touch pad
p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244A/ko
Publication of KR2005004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2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 패드와, 디지타이저 펜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태블릿을 가지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터치 패드에 마련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태블릿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처리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정보 입력모드에 상관없이, 디지타이저 태블릿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Portable Computer System }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의 정보 입력모드에 상관없이, 디지타이저 태블릿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징 태블릿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자 및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보조 입력 장치인 터치 패드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와, 디지타이저 펜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태블릿을 가지며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태블릿은, 디지타이저 펜으로부터의 소정 신호에 의해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컴퓨터 입력 장치의 하나로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최근 컴퓨터 사용 환경이 다변화됨으로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컴퓨터 보조 입력 장치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징 태블릿 기능을 포함하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지면과 수평하게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디지타이저 펜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된 태블릿을 통해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태블릿 PC모드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세워, 상기 본체에 마련된 키 입력부 및 터치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일반 PC모드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일반 PC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타이저 펜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된 태블릿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세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징 태블릿 기능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기호나 정보 입력모드에 따른 조작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정보 입력모드에 상관없이, 디지타이저 태블릿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 패드와, 디지타이저 펜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태블릿을 가지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에 마련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태블릿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처리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태블릿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신호를 제어하여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와,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은, 상기 터치패드와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타이저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의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CPU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를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디지타이저 펜에 마련되는 토글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기능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CPU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필기체 입력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필기체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필기체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비디오 카드(미도시)를 비롯하여 다수의 하드웨어가 내장되고, 상부면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패드(70)를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90)와, 디지타이저 펜(8)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태블릿(10)을 가지며 본체(90)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70)는, 열을 감지하는 패널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지시하는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입력장치이다.
또한, 터치 패드(70)는 하부면에 디지타이저 펜(8)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패드 태블릿(미도시)을 포함하며, 터치패드(70)는 터치패드 태블릿(미도시)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터치패드 태블릿(미도시)은, 디지타이저 펜(8)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 디지타이저 펜(8)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보조 입력장치이다.
디지타이저 펜(8)은, 사용자가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며,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이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포인팅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디지타이저 펜(8)은, 터치패드 태블릿(80)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드를 선택하는 토글키(6)를 포함한다.
이처럼, 터치패드(70)는 터치패드 태블릿(미도시)의 상부에 적층되어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패드(70)에 접촉하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서 커서로 원하는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가 디지타이저 펜(8)을 사용하여 터치패드(7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터치패드(70)는 디지타이저 펜(8)을 감지하지 못하고, 터치패드(70)의 하부에 마련된 터치패드 태블릿(미도시)은 이를 감지하여 디지타이저 펜(8)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입력창(25)에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디지타이저 펜(8)으로부터의 소정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디지타이저 펜(8)조작에 의한 입력신호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태블릿(10)을 가지며 본체(90)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 패드(70)와 터치 패드(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정보신호를 제어하는 터치패드 컨트롤러(30)와, 디지타이저 펜(8)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 태블릿(80)과,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8)의 위치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동경로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는 제어부(60)를 가지는 본체(90)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70)는 열을 감지하는 패널로서, 사용자의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입력신호들을 터치패드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보조 입력 장치역할을 한다.
터치패드 컨트롤러(30)는, 터치 패드(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CPU(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패드 태블릿(80)은, 터치 패드(70)의 하부에 마련되는 패널로서, 디지타이저 펜(8)으로부터의 소정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디지타이저 펜(8)조작에 의한 입력신호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보조 입력 장치역할을 한다.
디지타이저 펜(8)은, 사용자가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며,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이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디지타이저 펜(8)은, 터치패드 태블릿(80)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드를 선택하는 토글키(6)를 포함한다.
제어부(60)는,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8)의 위치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동경로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태블릿(10)과 터치패드 태블릿(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8)의 위치신호를 제어하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디지타이저 펜(8)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CPU(40)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는, 디지타이저 펜(8)에 의해 터치패드 태블릿(80)과 태블릿(1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8)의 입력신호를 제어하여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한 토글키(6)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CPU(40)는, 터치패드 컨트롤러(30)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처리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그에 따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의 좌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한다.
즉, CPU(4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의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필기체 입력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지타이저 펜(8)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필기체 입력창(25)(도 1참조)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고,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에 따라 디지타이저 펜(8)의 이동경로를 필기체 입력창(25)에 표시한다.
또한,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부터의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마우스 제어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지타이저 펜(8)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지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일 예로서, 디지타이저 펜(8)은 자기장을 발생하며 사용자에 의한 토글키(6)의 눌림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터치패드 태블릿(80)은 디지타이저 펜(8)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 센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디지타이저 펜(8)을 사용하여 터치패드(7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터치패드(70)는 디지타이저 펜(8)으로부터의 소정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터치패드(70)의 하부에 마련된 터치패드 태블릿(80)은 이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입력신호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터치패드 태블릿(80)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펜(8)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토글키(6)를 마련하였으나, 이것은 일 실시예이며, 컴퓨터 본체(90)에 터치패드 태블릿(80)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미도시)를 마련하는 등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태블릿 PC모드에서 뿐 아니라,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를 본체(9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세워 정보를 입력하는 일반 PC모드에서도 편리하게 디지타이저 태블릿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의 정보 입력모드에 상관없이, 디지타이저 태블릿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디지타이저 펜 6 : 토글키
10 : 태블릿 20 : 디스플레이부
30 : 터치패드 컨트롤러 40 : CPU
50 : 디지타이저 컨트롤러 60 : 제어부
70 : 터치패드 80 : 터치패드 태블릿
90 : 본체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 패드와, 디지타이저 펜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하기 위한 태블릿을 가지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에 마련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태블릿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처리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과 상기 태블릿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신호를 제어하여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와,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은, 상기 터치패드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태블릿을 마우스 제어기능과 필기체 입력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타이저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의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CPU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를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디지타이저 펜에 마련되는 토글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기능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필기체 입력 기능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필기체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펜의 이동경로를 상기 필기체 입력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20030079231A 2003-11-10 2003-11-10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50045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31A KR20050045244A (ko) 2003-11-10 2003-11-10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31A KR20050045244A (ko) 2003-11-10 2003-11-10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244A true KR20050045244A (ko) 2005-05-17

Family

ID=3724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231A KR20050045244A (ko) 2003-11-10 2003-11-10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43B1 (ko) * 2006-03-20 2009-03-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43B1 (ko) * 2006-03-20 2009-03-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699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6326950B1 (en) Pointing device using two linear sensors and fingerprints to generate displacement signals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EP1727028B1 (en) Dual-position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icium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US8686946B2 (en) Dual-mode input device
US20150193023A1 (e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US20070002027A1 (en) Smart control method for cursor movement using a touchpad
US20110227947A1 (en) Multi-Touch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200901608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80134078A1 (e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US8970498B2 (en) Touch-enabled input device
JP2000181617A (ja) タッチパッド及びタッチパッドによるスクロール制御方法
JPH10228350A (ja) 入力装置
KR20160097410A (ko) 동작 인식을 통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U2013205165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20050045244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JP5330175B2 (ja) タッチパッド、情報処理端末、タッチパッ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1069B1 (ko) 멀티터치 트랙패드를 통한 심리스한 입력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통합 전용 입력 플랫폼
KR20140086805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40034915A (ko)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동적 키보드 구현 장치
KR20110018569A (ko) 멀티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6592A (ko)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JP3145773U (ja)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20100107914A (ko) 제스처 판단 방법 및 접촉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