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592A -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592A
KR20020076592A KR1020010016567A KR20010016567A KR20020076592A KR 20020076592 A KR20020076592 A KR 20020076592A KR 1020010016567 A KR1020010016567 A KR 1020010016567A KR 20010016567 A KR20010016567 A KR 20010016567A KR 20020076592 A KR20020076592 A KR 2002007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pointing device
mouse pointer
contac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592A/ko
Publication of KR2002007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마우스 포인터가 화면 한 곳에 남아 있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중에 글자나 그림과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마우스 포인터를 화면 빈 곳이나 구석으로 이동시켜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모드 선택부와; 사용자의 체온이나 손가락 접촉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와; 상기 움직임 검출에 따른 좌표신호 및 사용여부 검출에 따른 사용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만 화면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우스를 그다지 이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사용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INTELLIGENCE PO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SE}
본 발명은 피씨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하나인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만 화면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씨가 처음 출현한 시절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는 키보드 뿐이었다. 키보드는 '??, ??, ??, ??'등과 같은 글자와 'Enter', 'Ctrl', 'Shift' 등의 기능키를 적절히 사용해 피씨에 명령을 내리기에는 더할 나위없이 편리한 장치였다.
그러나, 피씨의 발전과 함께 모니터의 해상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한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글자, 그림 등의 정보도 점점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키보드에 장착된 스페이스바와 엔터키, 네방향 화살표키만 가지고는 화면 여기저기를 가리키기가 무척 어렵게 되고,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포인팅 장치인 '마우스'인 것이다.
현재 피씨 사용자 중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찾아 볼 수 없으며 다양한 기능과 여러 가지 모양의 마우스가 계속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마우스는 그 모양만 보면 처음 등장했을 때나 지금이나 별반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마우스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은 물론이고 최근 출시되는 마우스는 스크롤이나 사용자가 기능을 정의해 쓸 수 있는 각종 기능 버튼이 장착되기도 한다.
또한, 피로감을 덜기 위해 인체 공학적 디자인이 적용되는가 하면 전화기 기능까지 겸비한 이색 마우스까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마우스에서 파생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중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이 마우스 펜으로서 펜 모양으로 생긴 마우스 펜을 쥐고 그림을 그리면 화면에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다.
또한, 마우스 펜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트랙볼도 있으며 주로 노트북 피씨에 장착됐던 노트북용 초기 마우스로,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트랙볼이 장착된 노트북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트랙볼은 먼지가 낄 확률이 높고 사용이 다소 불편해 요즘 출시되는 노트북은 트랙볼의 개량판인 터치패드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편리한 마우스도 한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마우스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마우스 포인터가 화면 한 곳에 남아 있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중에 글자나 그림과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마우스 포인터를 화면 빈 곳이나 구석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문서를 읽는 동안 마우스 포인터가 글자 중간에 위치해 있을 경우는 글자를 인식하는데 불편을 주게되고, 워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때마우스 포인터에 의해 오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만 화면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마우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능모드 선택버튼 20 : 접촉 감지수단
100 : 기능모드 선택부 200 : 접촉 감지부
300 : 움직임 검출부 400 :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모드 선택부와; 사용자의 체온이나 손가락 접촉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와; 상기 움직임 검출에 따른 좌표신호 및 사용여부 검출에 따른 사용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 마우스 포인터를 사라지게 하여 다른 작업을 하는데 마우스 포인터의 방해를 받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선택기능에 의해 마우스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 한해서만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마우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측면에는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모드 선택버튼(10)이 구비되고, 마우스 좌,우 선택버튼의 상단에는 손가락의 체온이나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감지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기능모드 선택버튼(10)은 종래의 일반적인 마우스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능버튼으로서, 마우스가 사용될 경우에만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선택하거나, 마우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항상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접촉 감지수단(20)은 마우스의 사용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마우스 사용시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마우스 몸체를 손바닥으로 감싸쥐고, 두 손가락은 마우스의 좌,우 버튼 상단에 올려놓고 있기 때문에, 그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에 손가락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나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모드 선택부(100)와; 사용자의 체온이나 손가락 접촉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200)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300)와; 상기 움직임 검출에 따른 좌표신호 및 사용여부 검출에 따른 사용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기능모드 선택부(100)는 상기 기능모드 선택버튼(10)이 토글(Toggle) 될 때마다 그 신호를 입력받아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400)는 상기 기능모드 선택부(100)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마우스 사용시에만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할 경우는 접촉 감지부(20)로부터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만 마우스 움직임에 따른 이동 좌표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마우스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할 경우는, 움직임 검출부(300)로부터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른 이동 좌표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다음, 접촉 감지부(200)는 가벼운 접촉에 의해서도 쉽게 접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온도센서나 접촉센서를 마우스의 좌,우 버튼 상단이나 몸체부에 구비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능형 포인팅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도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사용자가 기능모드 선택버튼을 눌러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면(S11), 그 선택된 모드가 지능형 모드(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만 마우스 포인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지 일반 모드(마우스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마우스 포인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결과, 일반 모드일 경우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마우스의 동작방법과 마찬가지로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 움직임에 따른 이동좌표를 생성하여(S15) 계속해서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6).
그러나, 지능형 모드일 경우에는 마우스가 사용중일 경우에만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면 되므로, 접촉 감지부(200)를 통해 접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3).
이에 따라, 접촉이 감지될 경우는 마우스가 사용중인 것이므로 상기 일반적인 마우스 동작과 마찬가지로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 움직임에 따른 이동좌표를 생성하여(S15) 계속해서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S16), 접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접촉이 감지될 때 까지 화면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삭제한다(S17).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하드웨어적으로 마우스에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가 사라지기 까지 소정시간을 대기해야 되지만, 그 대기시간은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대기 시간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만 화면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우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우스를 그다지 이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사용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모드 선택부와; 사용자의 체온이나 손가락 접촉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와;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와; 상기 움직임 검출에 따른 좌표신호 및 사용여부 검출에 따른 사용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드 선택부는 포인팅 장치의 측면에서 모드 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모드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포인팅 장치의 좌,우 선택버튼의 상측 또는 몸체에 체온이나 손가락 접촉등 가벼운 접촉에 의해서 접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 또는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4. 사용 여부를 검출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마우스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현재 모드가 지능형 모드일 경우, 포인팅 장치의 접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접촉이 감지될 경우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접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키지 않는 제3단계와; 상기 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모드가 일반 모드일 경우, 포인팅 장치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방법.
KR1020010016567A 2001-03-29 2001-03-29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KR2002007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67A KR20020076592A (ko) 2001-03-29 2001-03-29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67A KR20020076592A (ko) 2001-03-29 2001-03-29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92A true KR20020076592A (ko) 2002-10-11

Family

ID=2769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567A KR20020076592A (ko) 2001-03-29 2001-03-29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5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148A3 (ko) * 2008-07-17 2010-04-22 주)마이크로인피니티 움직임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85364B1 (ko) * 2004-04-30 2010-10-04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3d 포인팅 장치 및 방법
US10159897B2 (en) 2004-11-23 2018-12-25 Idhl Holdings, Inc. Semantic gaming and application transformation
US10782792B2 (en) 2004-04-30 2020-09-22 Idhl Holdings, Inc. 3D pointing devices with orientation compensation and improved usabil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64B1 (ko) * 2004-04-30 2010-10-04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3d 포인팅 장치 및 방법
US10514776B2 (en) 2004-04-30 2019-12-24 Idhl Holdings, Inc. 3D pointing devices and methods
US10782792B2 (en) 2004-04-30 2020-09-22 Idhl Holdings, Inc. 3D pointing devices with orientation compensation and improved usability
US10159897B2 (en) 2004-11-23 2018-12-25 Idhl Holdings, Inc. Semantic gaming and application transformation
WO2010008148A3 (ko) * 2008-07-17 2010-04-22 주)마이크로인피니티 움직임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954B2 (en) Computer keyboard and cur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keyboard map switching
US6335725B1 (en) Method of partitioning a touch screen for data input
US70308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US201100609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1134382A (ja) 図形処理装置
US6046728A (en) Keyboard actuated pointing device
US20150193023A1 (e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JP2009259079A (ja) タッチボードカーソル制御方法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JPH0778120A (ja) 手持ち演算装置及び手持ち演算装置における入力信号処理方法
KR20080051459A (ko) 스크롤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69420A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를 이용한 컴퓨터장치의 제어방법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US8970498B2 (en) Touch-enabled input device
JP5524937B2 (ja) タッチパッドを含む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US10394381B2 (en) False input reduc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00033214A (ko) 터치패드의 입력패턴 인식을 통한 입력모드 자동전환 방법
JP2012113645A (ja) 電子機器
US20040104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US20030080972A1 (en) Electronic device
KR20020076592A (ko)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TWI439922B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KR20160000534U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0503056B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