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524A -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524A
KR20080080524A KR1020087013648A KR20087013648A KR20080080524A KR 20080080524 A KR20080080524 A KR 20080080524A KR 1020087013648 A KR1020087013648 A KR 1020087013648A KR 20087013648 A KR20087013648 A KR 20087013648A KR 20080080524 A KR20080080524 A KR 2008008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film
discharge
accommod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724B1 (ko
Inventor
후지오 이노우에
이사무 타테이시
아키히토 토가와
타추로 추루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10046U external-priority patent/JP3118911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02383U external-priority patent/JP3122486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88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0781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45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188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7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36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Publication of KR2008008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처리에 의해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은,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11)와,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12)와, 공수용부(13)와, 각 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와, 제1 수용부(11)와 제2 제2 부(12)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는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제1 수용부(11)와 공수용부(13)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구비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10)를 제작하는 복실 용기 제작 공정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20)을, 제1 수용부(11)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또한,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배출방향(14)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하는 약 시일부 보강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METHOD OF REINFORCING SOFT SEALING PART OF MULTICELL CONTAINER FOR MEDICAL USE}
본 발명은, 사용시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복수의 약제를, 각 수용부내에 미혼합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의료용 복실 용기에서의 약(弱)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맥 주사 등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제에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수액과 포도당 수액의 조합, 지방 유제와 전해질 용액의 조합, 인산 함유액과 칼슘 함유액의 조합 등과 같이 서로 혼합된 상태로 보존하면, 약제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해, 변색, 응집ㆍ침전 등의 변질이 생기는 조합이 있다.
또, 예를 들어 고형제로서 공급되는 약제 중에는, 항생 물질 등과 같이, 미리 생리식염수 등의 용해액에 용해된 상태로 보존하면, 분해, 변색 등의 변질이 생기는 약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의 수용에는, 보존시의 변질을 방지하고, 사용시의 간이 및 무균적인 혼합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약제의 조합 또는 상기 약제와 그 용해액의 조합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각 상기 수용부간을 사용시에 연통가능한 복실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의료 현장에서는 의료종사자의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의료종사자가 복실 용기의 수용부간의 연통 처리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어, 복실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약제의 일부만이 환자에게 잘못 투여되거나, 복수의 약제가 완전히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등의 의료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환자에 대한 투여전에, 수용부간의 연통과, 각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혼합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복실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수납부와, 그 수납부를 구획하는 구획용 약 시일부와, 상기 수납부에 접속된 약제 배출구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납부와 상기 약제 배출구 사이를 구획하는 배출용 약 시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적어도 하나에 액상 약제가 수납되고, 상기 구획용 약 시일부 및 배출용 약 시일부는 상기 수납부내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개봉되고, 상기 배출용 약 시일부를 개봉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이, 상기 구획용 약 시일부를 개봉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의료용 복실 용기에 의하면, 복실 용기내의 약제를 약제 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해, 일단 구획용 약 시일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수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혼합한 후, 배출용 약 시일부를 개봉하는 순서를 요하기 때문에, 복실 용기로부터의 배출전에 복수의 수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확실하게 혼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2-1365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의료용 복실 용기와 같이, 구획용 약 시일부와 배출용 약 시일부에서, 그들의 개봉에 필요한 압력의 크기, 즉 그들의 박리 강도를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시일부 형성시의 열 시일 조건(예를 들어 가열 온도, 가열 시간, 열 시일시의 압력 등)이나 시일부의 폭을, 열 시일을 실시하는 부위마다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조건의 설정이 복잡해진다. 그 때문에, 복실 용기의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해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열 시일을 실시하는 부위마다 열 시일 조건이나 시일부의 폭을 다시 설정하는 일 없이, 간이한 처리에 의해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의 상승을 도모하는 것, 즉 약 시일부의 보강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환자에 대한 투여전에 수용부간의 연통과, 각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혼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복실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처리에 의해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은,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인접 배치되는,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대해 상기 제2 수용부의 반대측에 인접 배치되는 공(空)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부를 통과하여 상기 공수용부로 향하는 약액의 배출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고, 각 상기 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측방 강(强) 시일부와,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 사이에 가설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용부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약액측 약 시일부와,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 사이에 가설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공수용부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부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배출측 약 시일부를 구비하고, 또한, 각 상기 수용부가, 각 상기 시일부에 의해 시일되고, 서로 중첩되는 표면측 필름 및 이면측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복실 용기를 제작하는 복실 용기 제작 공정과,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을,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표면측 필름 및 상기 이면측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 표면을 피복하도록, 또한, 상기 약액측 약 시일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 및 한쌍의 상기 측방 강 시일부의 표면에,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배출방향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하는 약 시일부 보강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 의하면, 보강 필름이, 제1 수용부의 표면측 필름 및 이면측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 표면을 피복하고, 또한, 각 상기 시일부(약액측 약 시일부, 배출측 약 시일부 및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의 표면에,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배출방향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수용부를 형성하는 표면측 필름과 이면측 필름을 제1 수용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넓혀, 배출측 약 시일부를 개봉하고자 하는 압력에 대해, 상기 보강 필름이 항상 이 압력을 억제하고자 하는 작용을 나타내게 되어, 그 결과 상기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배출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배출측 약 시일부가 보강된다. 더구나, 이러한 배출측 약 시일부의 보강 효과를, 보강 필름을 상기와 같이 접착하는 간이한 처리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실 용기 제작 공정에서, 약액측 약 시일부와 배출측 약 시일부를, 동일한 열 시일 조건(예를 들어 가열 온도, 가열 시간, 열 시일시의 압력 등)으로 형성한 경우라도, 약 시일부 보강 공정에서 보강 필름을 상기와 같이 접착함으로써, 상기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배출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를, 상기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약액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보다도 크게 하는 것, 즉 간이한 처리에 의해, 배출측 약 시일부를 약액측 약 시일부보다도 잘 개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1 수용부에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에 의해, 제1 수용부의 내측에서 외측에 걸쳐 팽창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보강 필름을, 배출측 약 시일부의 표면에서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접착하면, 보강 필름에 주름 등이 발생하여 제1 수용부의 표면에 보강 필름을 균일하게 피복시킬 수 없게 되어, 배출측 약 시일부와 약액측 약 시일부 사이에서 보강 필름의 장력에 불균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의 보강 방법과 같이, 보강 필름을,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배출방향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함으로써, 보강 필름을 제1 수용부의 표면에서 균일하게 피복시킬 수 있어, 배출측 약 시일부와 약액측 약 시일부 사이에서 보강 필름에 대해 균일하게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더구나, 이에 의해, 상기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배출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고, 또한 그 효과를 배출측 약 시일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을 이용하여 약 시일부가 보강된 의료용 복실 용기에 의하면, 제2 수용부에 압력을 가하여 약액측 약 시일부를 개봉하고,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 사이를 개통시켰을 때, 동시에 배출측 약 시일부까지도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의료용 복실 용기로부터의 약액의 배출전에,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와 제2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액을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어, 이들의 충분한 혼합이 달성되기 전에 의료용 복실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서는, 상기 보강 필름이, 상기 표면측 필름과 상기 이면측 필름의 양쪽 표면을 피복하도록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의 약액의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박리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상기 보강 필름은, (i) 공기 및 수증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인 것 및/또는 (ii) 자외선의 통과를 저지하는 UV 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i)의 경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의 약액의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에 더해, 제1 수용부에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산소와의 반응에 의한 산화 열화, 수증기의 유입에 의한 분해ㆍ변질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쉬운 약제 및 약액을 제1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i)의 경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의 약액의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에 더해, 제1 수용부에 UV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자외선의 흡수에 의한 변질이 생기기 쉬운 약제를 제1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서는, 또한 상기 보강 필름을,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의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 보강 필름은,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배출방향 상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각 측방 강 시일부에서, 제1 수용부와의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에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에 의해, 각 시일부의 두께 방향에 팽창이 발생했지만, 보강 필름을 상기와 같이 접착시킴으로써, 보강 필름을 제1 수용부의 표면에서 한층 더 균일하게 피복시킬 수 있어, 배출측 약 시일부와 약액측 약 시일부 사이 및 각 측방 강 시일부 사이에서, 보강 필름에 대해 균일하게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더구나, 이에 의해, 상기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한 배출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한층 더 확실하게 발휘시키고, 또한 그 효과를 배출측 약 시일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서, 보강 필름은, 또한 약액측 약 시일부에서, 제1 수용부와의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배출방향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는,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의 개봉시에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도 용이하게 개봉되는 개봉 용이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액측 약 시일부를 개봉했을 때에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연통되어 하나의 넓은 영역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연통된 수용부를 눌러 배출측 약 시일부에 압력을 작용시키려 해도, 수용부의 영역이 넓기 때문에, 배출측 약 시일부에 대해 효과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는, 배출측 약 시일부에 개봉 용이 부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령, 수용부의 영역이 확대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배출측 약 시일부의 확실한 개봉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개봉 용이 부분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가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 중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 단부에서의 상기 공수용부와의 제2 경계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의 상기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용이 부분을 상기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배출측 약 시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배출측 약 시일부의 개봉을 한층 더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개봉 용이 부분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 2개 이상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 필름을, 상기와 같이 접착하는 간이한 처리를 거침으로써, 제2 수용부로부터 제1 수용부를 통과하여 공수용부로 향하는 약액의 배출방향으로의 압력에 대해, 배출측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을, 간이한 방법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 의해 약 시일부가 보강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3(a)∼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서, 복실 용기 제작 공정 및 약 시일부 보강 공정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B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C부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나타내는 D부의 확대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부분(32)으로부터 보강 필름(2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개봉 용이 부분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개봉 용이 부분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에 의해 약 시일부가 보강된 의료용 복실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의료용 복실 용기 11 : 제1 수용부
12 : 제2 수용부 13 : 공수용부
14 : 배출방향 15 : 폭방향
16 : 측방 강 시일부 17 : 약액측 약 시일부
18 : 배출측 약 시일부 19 : 제1 경계 가장자리
20 : 보강 필름 21 : 경계 가장자리
22 : 경계 가장자리 23 : 두께 방향
24 : 표면측 필름 25 : 이면측 필름
28 : 약액 29 : 약제
30 :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 31 :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
32 : 개봉 용이 부분 33 : 돌출부
34 : 제2 경계 가장자리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10)는,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11)와,
제1 수용부(11)와 인접 배치되는,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12)와,
제1 수용부(11)에 대해, 제2 수용부(12)의 반대측에 인접 배치되는 공수용부(13)와,
제2 수용부(12)로부터 제1 수용부(11)를 통과하여 공수용부(13)로 향하는 약액의 배출방향(14)과 교차하는 폭방향(15)에서 서로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고, 각 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와,
각 측방 강 시일부(16) 사이에 가설되고,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12)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제2 수용부(12)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각 측방 강 시일부(16) 사이에 가설되고, 제1 수용부(11)와 공수용부(13)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제1 수용부(11)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접착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20)
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각 수용부(즉, 제1 수용부(11), 제2 수용부(12) 및 공수용부(13))가, 각 시일부(즉, 각 측방 강 시일부(16),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의해 시일되고, 서로 중첩되는 표면측 필름(24) 및 이면측 필름(25)을 구비하고 있다.
또,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제1 경계 가장자리; 19)로부터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약액측 약 시일부(17)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또한 각 측방 강 시일부(16)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강 필름(20)은, 보강 필름(20)이 접착되는 각 시일부(즉,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각 시일부의 두께 방향(23)의 일방측(표면측 필름(24)) 표면과, 일방측 표면(24)과는 반대측의 타방측(이면측 필름(25)) 표면의 양쪽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도 2에서, 후술하는 배출 포트(27)는, 단면이 아니라 측면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의료용 복실 용기(10)는, 예를 들어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순서로 제작할 수 있다.
우선, 도 3(a)을 참조하여, 2장의 수지 필름을 중첩시켜, 그 상태로 상기 수지 필름의 주연부분을 열 시일함으로써,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를 포함하는 주연 강 시일부(26)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약액측 약 시일부(17)나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용기(10a)가 형성된다. 또한,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용기(10a)의 주연 강 시일부(26) 중 공수용부가 되는 부분(13a)과 연통하는 부분에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마개가 밀봉된 배출 포트(27)를 미리 장착해 둔다.
이어서, 도 3(b)를 참조하여, 제2 수용부가 되는 부분(12a)에, 마개 밀봉전의 배출 포트(27a)로 약액(28)을 주입하고, 열 시일에 의해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형성한다.
또한, 도 3(c)을 참조하여, 제1 수용부가 되는 부분(11a)에, 마개 밀봉전의 배출 포트(27a)로 약제(29)를 주입하고, 열 시일에 의해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형성한다. 그 후, 배출 포트(27)를 마개로 밀봉하여 복실 용기가 제작된다(복실 용기 제작 공정).
다음으로, 도 3(d)를 참조하여, 제작된 복실 용기 중,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의 각 시일부의 표면에,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20)을 접착한다(약 시일부 보강 공정).
이 때,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약액측 약 시일부(17)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또한 각 측방 강 시일부(16)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된다.
또한, 상기 복실 용기 제작 공정의 설명에서는, 의료용 복실 용기(10)의 제작시에, 2장의 수지 필름을 중첩시키고 있지만, 그 대신 1장의 수지 필름을 접어서 겹쳐 사용해도 되고, 또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의 필름을 편평하게 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1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필름에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약제나 제2 수용부(12)에 수용되는 약액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고려하여, 의약적으로 약제와의 접촉이 허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된다.
의약적으로 약제와의 접촉이 허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로는, 종래 의료용 용기의 형성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환상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호모폴리에틸렌, 에틸렌ㆍα-올레핀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 프로필렌ㆍα-올레핀랜덤코폴리머, 프로필렌ㆍα-올레핀블록코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필름은, 의약적인 안전성, 유연성, 투명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취급성이 양호하다. 또,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수용부내에 수용된 약제의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가능한 약액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2 이상의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과 다른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다른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 필름(이하, 「가스 배리어성 필름」이라 함), 차광성을 갖는 수지 필름(이하, 「차광성 필름」이라 함) 등을 들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PVA),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 폴리아세트산비닐(PVAC),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염화비닐(PCV),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글리콜산,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나일론,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PVA, EVOH를 들 수 있다.
또, 가스 배리어성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이 형성된 필름이어도 된다.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을 형성하는 무기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카(규소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를 들 수 있다.
차광성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광선 투과성이나 자외선 투과성을 저하시킬 목적으로, 착색제나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된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00∼300㎛이고, 이 두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사용 목적, 수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유연성 등에 맞춰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의료용 복실 용기가, 예를 들어 내용량이 500㎖ 정도까지의 크기의 수액 백, 혈액 백, 경장영양용 백, 유동식용 백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200㎛이다.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20)은, 상기와 같이 복실 용기의 겉표면에 점착되는 것으로, 제1 수용부(11)나 제2 수용부(12)에 수용되는 약제, 약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보강 필름(20)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으로는, 의약적으로 약제와의 접촉이 허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수지 재료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보강 필름(20)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제1 수용부(11)내의 약제의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하는 관점에서,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보강 필름(20)은, 상기 적층 필름이어도 되고, 가스 배리어성 필름이나 차광성 필름이어도 된다.
보강 필름(20)으로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1 수용부(11)에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소와의 반응에 의한 산화 열화, 수증기의 유입에 의한 약제의 분해ㆍ변질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쉬운 약제를 제1 수용부(11)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 필름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산소와의 반응에 의한 산화 열화가 생기기 쉬운 약제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비타민류, 지방산 등을 후술하는 고형제로서 조제한 것, 또는 아미노산, 비타민류, 지방산 등을 용해액에 용해하여 약액으로서 조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수증기의 유입에 의한 약제의 분해ㆍ변질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쉬운 약제로는, 예를 들어 항생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보강 필름(20)으로서 차광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1 수용부(11)에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외선의 흡수에 의한 변질이 생기기 쉬운 약제를 제1 수용부(11)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차광성 필름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차광성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자외선의 흡수에 의한 변질이 생기기 쉬운 약제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류 등을 용해액에 용 해하여 약액으로서 조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보강 필름(20)은, 예를 들어 의료용 복실 용기(10)의 표면(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 대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함으로써 또는 직접 용착함으로써 접착된다.
접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미쓰이화학 폴리우레탄(주) 제조의 폴리우레탄 수지(상품명「타케락 (등록상표)」시리즈, 상품명「타케네이트 (등록상표)」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의료용 복실 용기(10)에서, 제1 수용부(11)는,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와,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2 수용부(12)는,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와,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주연 강 시일부(26) (구체적으로는, 주연 강 시일부(26) 중 제2 수용부(12)에 대해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대향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 공수용부(13)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주연 강 시일부(26) (구체적으로는, 주연 강 시일부(26) 중 공수용부(13)에 대해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대향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를 포함하는 주연 강 시일부(26)는, 수지 필름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열 시일되어 있다. 또한, 주연 강 시일부(26) 중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나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함께 공수용부(13)를 구획하는 부분에서는, 표리 한쌍의 수지 필름 사이에 배출 포트(27)의 통체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강하게 열 시일되어 있다.
주연 강 시일부(26)를 형성할 때의 열 시일 조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30∼170℃에서 1∼3초간 열 시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배출측 약 시일부(18)는, 그 시일 강도가 측방 강 시일부(16)에 비해 작아지도록, 약하게(구체적으로는 저온 및/또는 단시간에) 열 시일되어 있다.
약액측 약 시일부(17)나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형성할 때의 열 시일 조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10∼160℃에서 2∼4초간 열 시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나아가, 후술하는 도 4∼도 6)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제1 수용부(11)에는 약제(29)로서 고형제가 수용되어 있고, 제2 수용부(12)에는 약액(28)이 수용되어 있다(도 3(c) 참조).
약액(28)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는 고형제를 용해하기 위한 생리식염수 등의 용해액이나 각종 수액 등을 들 수 있다.
약제(29)로는 고형제나 약액 등을 들 수 있다.
고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약제를 구성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분말형으로 조제한 것, 예를 들어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부형하여, 세립, 과립, 정제 등의 제형으로 조제한 것, 예를 들어 물, 그 밖의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동결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등의 형태로 조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는, 제1 수용부(11)에 약제(29)로서 고형제가 수용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약제는 고형제에 한정되지 않고, 의료용 복실 용기(10)의 사용 목적 등에 맞춰, 예를 들어 각종 수액 등의 약액이어도 된다.
한편, 제2 수용부(12)에는 약액(28)이 수용된다. 제2 수용부(12)에 약액을 수용함으로써 제2 수용부(12)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제2 수용부(12)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약액(28)에 의한 액압을 약액측 약 시일부(17)에 부하시켜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개봉시킬 수 있다.
공수용부(13)는, 의료용 복실 용기(10)의 사용전에 아무것도 수용되어 있지 않아 공실로 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a)∼도 3(d),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보강 필름(20)은, 약 시일부의 보강 공정에서,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한쌍의 측방 강 시일부(16)의 각 시일부의 표면에 접착된다.
또,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고, 약액측 약 시일부(17)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고, 또한, 각 측방 강 시일 부(16)에서, 제1 수용부(11)와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보강 필름(20)에 해칭을 넣고 있고, 또한 보강 필름(20) 중 각 측방 강 시일부(16),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와의 점착부분에 각각 크로스 해칭을 넣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서는, 의료용 복실 용기(10)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끼리 접착되고, 배출측 약 시일부(18)나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 중 보강 필름(20)이 접착되어 있는 부분(30)이나,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표면 중 보강 필름(20)이 접착되어 있는 부분(31)에 대해서도 각각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강 필름(20)은, 보강 필름(20)이 접착되는 각 상기 시일부에서, 각 상기 시일부의 두께 방향(23)의 일방측(표면측 필름(24)) 표면과, 상기 일방측(표면측 필름(24)) 표면과는 반대측(이면측 필름(25)) 표면의 양쪽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배출측 약 시일부(18)는, 보강 필름(20)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1 수용부(11)가 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눌려 있어, 배출방향(14)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 잘 개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개봉에 따라서 개봉되는 일이 없고,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개봉전에,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약제와 제2 수용부(12)에 수용되는 약액을 충분히 혼합할 수 있다.
또, 보강 필름(20)을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 접착할 때, 제1 수용부(11)에는 이미 약제(29)가 수용되어 있어, 제1 수용부(11)가 각 상기 시일부의 두께 방향(23)으로 팽창되어 있다. 그러나,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제1 수용부(11)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약액측 약 시일부(17)에서,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고, 또한, 각 측방 강 시일부(16)에서, 각 측방 강 시일부(16)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수용부(11)에서의 각 시일부의 두께 방향(23)의 팽창의 정도에 관계없이, 각 상기 시일부에 보강 필름(20)을 균일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약액측 약 시일부(17)는, 약액측 강 시일부(17)로부터 제2 수용부(12)측으로 접착되는 보강 필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약액측 약 시일부(17)에 대해, 배출방향(14)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관해서는 보강 효과가 생기지 않는다. 즉, 제2 수용부(12)를 눌러, 약액측 약 시일부(17)에 대해 배출방향(14)으로 작용시키는 압력에 관해서는, 약 시일부 본래의 박리 강도가 유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에서, 제2 수용부(12)를 눌러, 약액측 약 시일부(17)에 대해 배출방향(14)으로부터 압력을 작용시킨 경우에는, 비교적 간이하게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개봉할 수 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는, 배출방향(14)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개봉에 따라서 개봉되 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2 수용부(12)를 눌러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개봉한 경우에,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12)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가 서로 충분히 혼합되기 전에,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개봉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측 강 시일부(18)에 배치되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27)는, 의료용 복실 용기(10)에 수용되는 약제를 의료용 복실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의료용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 배출 포트를 들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배출측 약 시일부(18)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개봉시에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되는 개봉 용이 부분(32)을 구비하고 있다.
개봉 용이 부분(32)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폭방향(15)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고(도 1 참조),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약액측 약 시일부(17)측을 향해 돌출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봉 용이 부분(32)은,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배출방향(14) 상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33)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돌출부(33) 중 배출방향(14) 상류측 단부에서의 공수용부(13)와의 경계 가장자리(제2 경계 가장자리; 34)가, 돌출부(33)와 인접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의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도 배출방향(1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의료용 복실 용기(10)의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개봉하여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12) 사이를 개통시켰을 때에는,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12)가 연통되어 하나의 넓은 영역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압력을 작용시키고자 해도, 연통된 영역이 넓은 것에 기인하여,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대해 효과적으로 압력을 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개봉 용이 부분(3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봉 용이 부분(32)에 압력을 집중적으로 부하할 수 있어,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확실한 개봉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도 6(a) 및 (b)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부분(32)은, 그 돌출부(33) 중 배출방향(14) 상류측의 단부에서, 공수용부(13)와의 경계 가장자리(제2 경계 가장자리; 34)가, 돌출부(33)와 인접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의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도 배출방향(1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개봉을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돌출부(33)의 정상부(35)의 정각(頂角; 36)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150° 이다.
또한, 도 6(a)에서는, 보강 필름(20) 중 배출측 약 시일부(18) (또는 공수용부(1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부분(30)에 해칭을 넣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개봉 용이 부분(32a)은 도 6(b)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약액측 약 시일부(17)측을 향해 돌출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봉 용이 부분(32a)은,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배출방향(14) 상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33)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돌출부(33) 중 배출방향(14) 상류측 단부에서의 공수용부(13)와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가, 돌출부(33)와 인접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의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도 배출방향(1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봉 용이 부분(32a)은 돌출부(33)의 정상부(35a)의 형상이 도 6(b)에 나타내는 돌출부(33)보다도 예리하다. 이 때문에,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배출방향(14)으로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부분(32)보다도 쉽게 개봉된다.
도 8을 참조하여, 개봉 용이 부분(32b)은 도 6(b)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출측 약 시일부(18)가 배출방향(14) 상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33)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돌출부(33) 중 배출방향(14) 상류측 단부에서의 공수용부(13)와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가, 돌출부(33)와 인접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의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도 배출방향(1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봉 용이 부분(32b)은, 배출측 약 시일부(18)로부터 약액측 약 시일부(17)측을 향해 돌출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3)의 정상부(35b)는 도 6(b)에 나타내는 돌출부(33)보다 완만한 돌기로 되어 있다.
이 개봉 용이 부분(32b)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이 돌출부(33)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부에서, 공수용부(13)와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가, 돌출부(33) 와 인접하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에서의 제1 수용부(11)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도 배출방향(1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배출방향(14)으로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개봉 용이 부분(32b)에 압력을 집중적으로 부하할 수 있어,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확실한 개봉을 실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개봉 용이 부분(32)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폭방향(15)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합계 3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개봉 용이 부분(32)을 형성함으로써, 배출측 약 시일부(18)에 배출방향(14)으로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개봉을 한층 더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 및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두께 방향(23)의 일방측(표면측 필름(24)) 표면과, 상기 일방측(표면측 필름(24)) 표면과는 반대측(이면측 필름(25)) 표면의 양쪽 표면에서, 각각 2개의 약 시일부 사이에 걸쳐 가설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표면측 필름(24)과 이면측 필름(25) 중 어느 한쪽 표면에만 보강 필름(20)이 가설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의료용 복실 용기로서,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12)와, 공수용부(13)의 3가지 수용부를 갖는 복실 용기를 예시했지만, 수용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4 이상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도 1∼도 5, 도 6(a), 도 6(b),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조에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다.
의료용 복실 용기(1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필름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2층의 중간층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 및 내층을 갖는, 총두께 200㎛의 4층 필름을 사용했다.
배출 포트(27)에는, 폴리에틸렌제의 통체와, 그 통체의 내부를 봉지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제의 마개체를 갖는 것을 사용했다.
보강 필름(20)에는, 폴리에틸렌제의 기재 필름과, 그 일방측 표면(외측 표면)에 형성된 알루미나 증착막을 갖는, 총두께 200㎛의 가스 배리어성 필름, 또는 두께 200㎛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했다.
또, 보강 필름(20)의 점착에는, 접착제로서 미쓰이화학 폴리우레탄(주) 제조의 폴리우레탄 수지, 상품명「타케락 (등록상표) A315」를 사용했다.
실시예 1
실시예 1로서, 하기의 순서에 따라 하기 표 1의 실시예 1의 란에 나타내는 의료용 복실 용기를 제조했다.
우선, 상기 4층 필름 2장을 각 4층 필름의 내층끼리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배출측 강 시일부(18)의 형성부위에 배출 포트(27)의 통체를 사이에 끼우면서, 200℃에서 4초간 열 시일함으로써, 주연 강 시일부(26)를 형성했다. 주연 강 시일부(26)의 폭은, 측방 강 시일부(16)에서 폭방향(15)으로 약 8㎜로 하고, 그 밖의 부분에서 배출방향(14)으로 10㎜ 이상으로 했다.
이어서, 배출 포트(27)의 통체로부터, 제2 수용부(12)의 형성부위(배출방향(14)의 내법 약 130㎜, 폭방향(15)의 내법 약 100mm)에 대해, 생리식염수 100㎖를 주입한 후 각 4층 필름을 서로 중첩시켜 145℃에서 3초간 열 시일함으로써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형성했다. 여기서, 약액측 약 시일부(17)는, 배출방향(14)의 길이(제2 수용부(12)와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경계 가장자리(37)로부터, 제1 수용부(11)와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경계 가장자리(21)까지의 길이)를 12㎜로 하고, 그 길이가 폭방향(15)에서 균일해지도록 설정했다.
또한, 배출 포트(27)의 통체로부터, 제1 수용부(11)의 형성부위(배출방향(14)의 내법 약 70㎜, 폭방향(15)의 내법 약 82㎜)에 대해, 세파졸린나트륨(고형제) 1g을 주입한 후 각 4층 필름을 서로 중첩시켜 145℃에서 4초간 열 시일함으로써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형성했다. 여기서, 배출측 약 시일부(18)는, 배출방향(14)의 길이(제1 수용부(11)와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공수용부(13)와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까지의 길이)를 12㎜로 하고, 그 길이가 폭방향(15)에서 균일해지도록 설정했다.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형성과, 제1 수용부(11) 및 제2 수용부(12)내로의 약제의 충전후에, 배출 포트(27)의 통체내에 마개체를 끼워 넣고 고정함으로써, 제1 수용부(11)에 세파졸린나트륨(고형제)이 수용되고, 제2 수용부(12)에 생리식염수가 수용된 복실 용기를 얻었다.
다음으로, 복실 용기의 제1 수용부(11)가 보강 필름(20)으로 덮여지도록, 배 출측 약 시일부(18),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각 측방 강 시일부(16)에 보강 필름(20)을 접착했다.
보강 필름(20)의 접착에는, 미쓰이화학 폴리우레탄(주) 제조의 폴리우레탄 수지(상품명「타케락 (등록상표)」)를 사용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필름(20)은,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제1 수용부(11)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약 3㎜의 간격을 이격하여 접착했다. 즉,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30) 중 배출방향(14) 상류측의 단연(38)과,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제1 수용부(11)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와의 간격을 약 3㎜로 했다. 또한,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30) 중 배출방향(14) 하류측의 단연(39)에 관해서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공수용부(13)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에 맞추었다.
또,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표면에서,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약 5㎜의 간격을 이격하여 접착했다. 즉,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31) 중 배출방향(14)의 하류측 단연(40)과,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제1 수용부의 경계 가장자리(21)와의 간격을 약 5㎜로 했다. 또한,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각 측방 강 시일부(16)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약 5㎜의 간격을 이격하여 접착했다.
비교예 1
보강 필름(20)을, 하기 표 1의 비교예 1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했다. 즉, 약액측 약 시일부(17)의 표면에서,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1)로부터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약 5㎜의 간격을 이격하여 접착하고, 또한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각 측방 강 시일부(16)와 제1 수용부(11)의 경계 가장자리(22)로부터 폭방향(15) 외측으로 약 5㎜의 간격을 이격하여 접착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는 보강 필름(20)을 접착하지 않고, 공수용부(13)의 표면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공수용부(13)의 제2 경계 가장자리(34)보다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약 10㎜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연(38))와,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약 15㎜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하류측 단연(39)) 사이에 보강 필름(20)을 접착했다.
비교예 2
보강 필름(20)을, 하기 표 1의 비교예 2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는 보강 필름(20)을 접착하지 않고, 공수용부(13)의 표면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공수용부(13)의 제2 경계 가장자 리(34)(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연(38))로부터, 이 제2 경계 가장자리(34)보다 배출방향(14) 하류측으로 약 5㎜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하류측 단연(39))까지의 사이에 접착했다.
비교예 3
보강 필름(20)을, 하기 표 2의 비교예 3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서는, 보강 필름(20)이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완전히 서로 겹치게 접착했다. 즉, 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연(38)을 제1 경계 가장자리(19)와 일치시키고, 또한, 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하류측 단연(39)을 제2 경계 가장자리(34)와 일치시켰다.
비교예 4
보강 필름(20)을, 하기 표 2의 비교예 4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 및 각 측방 강 시일부(16)의 표면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는 보강 필름(20)을 접착하지 않고, 제1 수용부(11)의 표면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제1 수용부(11)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이 제1 경계 가장자리(19)보다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약 5㎜ 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연(38))까지의 사이에 접착했다. 보강 필름(20)의 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하류측의 단연(39)은 제1 경계 가장자리(19)에 일치하고 있다.
비교예 5
보강 필름(20)을, 하기 표 2의 비교예 5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용 복실 용기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보강 필름(20)은, 약액측 약 시일부(17)와, 각 측방 강 시일부(16)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했다.
한편,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표면에는 보강 필름(20)을 접착하지 않고, 제1 수용부(11)의 표면에서, 배출측 약 시일부(18)와 제1 수용부(11)의 제1 경계 가장자리(19)로부터, 이 경계 가장자리(19)보다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약 10㎜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하류측 단연(39))와, 배출방향(14) 상류측으로 약 15㎜의 간격을 이격한 위치(접착부분(30)의 배출방향(14) 상류측 단연(38)) 사이에 접착했다.
평가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5에서 제작된 의료용 복실 용기를, 평평한 테이블 위에 놓고 제2 수용부(12)를 손바닥으로 누름으로써, 약액측 약 시일부(17)를 개봉시켜 제2 수용부(12)와 제1 수용부(11)를 연통시켰다. 이어서, 연통된 2개의 수용부(11, 12)를 손바닥으로 누름으로써,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개봉시켜 2개의 수용부(11, 12)와 공수용부(13)를 연통시켰다.
상기 조작 중 배출측 약 시일부(18)를 개봉시킬 때의 반응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충분한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 보강 효과가 인정되었다.
△ : 정도가 작지만 보강 효과가 인정되었다.
× : 보강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평가시에 하나의 실험예(비교예)에 대해 10개의 샘플을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8040544852-PCT00001
[표 2]
Figure 112008040544852-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보강 효과가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5에서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보강 효과가 인정되지 않고, 비교에 1, 2 및 4에서는 보강효과가 인정되었지만 실용상 불충분하였다.
또, 비교예 3에서는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보강 효과가 인정되었지만, 제1 수용부(11)의 팽창에 의한 영향으로 보강 필름(20)을 균일하게 접착할 수 없고,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보강효과에 관해서도, 배출측 약 시일부(18)의 폭방향(15)에 불균일이 생겼다.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의 당업자에 의해 분명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은, 널리 복수의 약 시일부를 구비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에서 임의의 약 시일부의 박리 강도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용도로 적합하다.

Claims (8)

  1.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인접 배치되는,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대해 상기 제2 수용부의 반대측에 인접 배치되는 공(空)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부를 통과하여 상기 공수용부로 향하는 약액의 배출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고, 각 상기 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측방 강(强) 시일부와,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 사이에 가설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용부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약액측 약(弱) 시일부와,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 사이에 가설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공수용부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부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봉되는 배출측 약 시일부를 구비하고, 또한, 각 상기 수용부가, 각 상기 시일부에 의해 시일되고, 서로 중첩되는 표면측 필름 및 이면측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복실 용기를 제작하는 복실 용기 제작 공정과,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필름을,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표면측 필름 및 상기 이면측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 표면을 피복하도록, 또한, 상기 약액측 약 시일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 및 한쌍의 상기 측방 강 시일부의 표면에,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배출방향 하류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하는 약 시일부 보강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이, 상기 표면측 필름과 상기 이면측 필름의 양쪽 표면을 피복하도록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이, 공기 및 수증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이, 자외선의 통과를 저지하는 UV 배리어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보강 필름을, 각 상기 측방 강 시일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의 경계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이격하도록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의 개봉시에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용이하게 개봉되는 개봉 용이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용이 부분은,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가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 중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 단부에서의 상기 공수용부와의 제2 경계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서의 상기 제1 수용부와의 제1 경계 가장자리보다, 상기 배출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용이 부분이, 상기 배출측 약 시일부에 2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KR1020087013648A 2005-11-29 2006-11-24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KR101258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0046U JP3118911U (ja) 2005-11-29 2005-11-29 複室バッグ
JPJP-U-2005-00010046 2005-11-29
JP2006098135 2006-03-31
JP2006002383U JP3122486U (ja) 2006-03-31 2006-03-31 ガスバリアフィルム及び複室バッグ
JPJP-U-2006-00002383 2006-03-31
JPJP-P-2006-00098135 2006-03-31
JPJP-P-2006-00108891 2006-04-11
JP2006108891A JP5078109B2 (ja) 2006-04-11 2006-04-11 薬液容器
JPJP-P-2006-00249890 2006-09-14
JP2006249890 2006-09-14
JP2006294575A JP5118838B2 (ja) 2006-03-31 2006-10-30 複室容器
JPJP-P-2006-00294575 2006-10-30
JP2006297954A JP5053620B2 (ja) 2006-09-14 2006-11-01 医療用複室容器の弱シール部の補強方法
JPJP-P-2006-00297954 2006-11-01
PCT/JP2006/323474 WO2007063777A1 (ja) 2005-11-29 2006-11-24 医療用複室容器の弱シール部の補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524A true KR20080080524A (ko) 2008-09-04
KR101258724B1 KR101258724B1 (ko) 2013-04-26

Family

ID=3809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648A KR101258724B1 (ko) 2005-11-29 2006-11-24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78051B2 (ko)
EP (1) EP1955686B1 (ko)
KR (1) KR101258724B1 (ko)
AU (1) AU2006320033B2 (ko)
ES (1) ES2579997T3 (ko)
HK (1) HK1125557A1 (ko)
SG (1) SG166800A1 (ko)
TW (1) TWI401076B (ko)
WO (1) WO2007063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823B2 (ja) 2007-07-19 2013-03-27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バッグ
JP5330240B2 (ja) * 2007-07-20 2013-10-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剤容器および多層フィルム
BRPI0909323B1 (pt) * 2008-03-10 2020-05-12 N.V. Nutricia Embalagem para alimentação gota a gota e método para produzir uma embalagem de alimentação gota a gota
DE102012007904B4 (de) * 2012-04-23 2015-08-2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eutel mit verbundenem biegesteifen Kunststoffteil
FR2996413B1 (fr) * 2012-10-10 2014-12-05 Maco Pharma Sa Procede pour conserver le sang placentaire
US9561893B2 (en) 2013-12-05 2017-02-07 Vascular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freeze-drying and packaging
US10806665B2 (en) * 2016-01-18 2020-10-20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reeze-drying and packaging
AU2017227843A1 (en) * 2016-03-03 2018-09-27 Fresh Press LLC Juicer cartridge with burstable seal
TWI598092B (zh) * 2016-12-30 2017-09-11 長庚學校財團法人長庚科技大學 灌食便利袋
US10654632B2 (en) 2017-03-08 2020-05-19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US10507165B2 (en) 2017-05-31 2019-12-17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369077B2 (en) 2017-05-31 2019-08-0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EP3796883A2 (en) 2018-05-18 2021-03-31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method of making and drug product using same
US10945959B2 (en) 2019-03-07 2021-03-16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reeze-drying and packaging
CN113459593B (zh) * 2021-07-29 2022-11-22 山东中保康医疗器具有限公司 用于一次性去白细胞塑料血袋生产的充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825A (en) * 1983-07-27 1985-11-05 The West Company Multicompartment medicament container
US4751850A (en) * 1984-04-03 1988-06-2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eed change operating device for a bicycle
US4998400A (en) * 1986-03-22 1991-03-12 Material Engineering Technology Laboratory, Incorporated Medical fluid-fill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675075B2 (ja) * 1988-06-10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US5176634A (en) 1990-08-02 1993-01-05 Mcgaw, Inc.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drug container
ATE125147T1 (de) * 1990-11-07 1995-08-15 Otsuka Pharma Co Ltd Mehrere kammern aufweisender behälter.
JP3060132B2 (ja) 1991-03-02 2000-07-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JPH0642711A (ja) 1992-07-23 1994-02-18 Mikuni Adetsuku:Kk 蒸発式バーナ
JPH06135474A (ja) 1992-10-28 1994-05-17 Saraya Kk 液体取り出し装置
JPH0642711U (ja) * 1992-11-16 1994-06-07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ンプおよびポンプ付替容器
SE9601348D0 (sv) * 1996-04-10 1996-04-10 Pharmacia Ab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US5910138A (en) * 1996-05-13 1999-06-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edical container with selectively enlargeable compartm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IL153981A (en) 1996-05-13 2007-03-08 Braun Medical Flexible container with sections for medicines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882118A (en) * 1996-11-05 1999-03-16 Daniels; Mark E. Plastic bag with promotional strip
JP2002136570A (ja) * 2000-08-24 2002-05-14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JP2002234101A (ja) 2001-02-07 2002-08-20 Mitsui Chemicals Inc ガスバリヤー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81650B2 (ja) 2001-09-13 2008-04-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複室容器
US7658279B2 (en) * 2002-02-14 2010-02-09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JP4587096B2 (ja) 2004-03-03 2010-11-24 有限会社ケーアールビジネス 未混合防止機構つき医療用複室容器
JP5118838B2 (ja) * 2006-03-31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EP1958608A4 (en) * 2005-11-29 2013-01-23 Otsuka Pharma Co Ltd BAG WITH SEVERAL CHAMBERS AND GAS BARRIER FOIL
USD594970S1 (en) * 2006-11-22 2009-06-23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Infusion solution bag
JP5330240B2 (ja) * 2007-07-20 2013-10-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剤容器および多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5686A1 (en) 2008-08-13
TWI401076B (zh) 2013-07-11
EP1955686B1 (en) 2016-04-20
KR101258724B1 (ko) 2013-04-26
EP1955686A4 (en) 2013-04-03
HK1125557A1 (en) 2009-08-14
US9278051B2 (en) 2016-03-08
ES2579997T3 (es) 2016-08-18
SG166800A1 (en) 2010-12-29
US20090325771A1 (en) 2009-12-31
WO2007063777A1 (ja) 2007-06-07
AU2006320033B2 (en) 2012-10-18
AU2006320033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724B1 (ko)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JP5175323B2 (ja) 可撓容器を充填する充填方法および可撓容器
JP5088604B2 (ja) 薬剤収納封止体
JP2828505B2 (ja) フレキシブル容器及びその形成方法
KR100771572B1 (ko) 약제 백
TWI608838B (zh) 複室容器
KR100871204B1 (ko) 의료용 약액 용기 및 약제-함입 의료용 약액 용기
JP4694307B2 (ja) 医療用容器
JP4555094B2 (ja) 医療用容器
JP5053620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弱シール部の補強方法
JP2006280390A (ja) 医療用容器
JP2006263375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4305722A (ja) 薬剤バッグ
JP5594687B2 (ja) 薬剤排出具、及び薬剤排出具を用いた複室容器
JP2008200367A (ja) 医療用容器
JP2004313760A (ja) 薬剤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39018A (ja) 医療用容器
JP3932427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5078370B2 (ja) 医療用容器
JP7373990B2 (ja) 輸液用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薬剤容器
JP2004313487A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1085A (ja) 複室容器
JP5728806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4313761A (ja) 薬剤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