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927A -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927A
KR20080078927A KR1020060130293A KR20060130293A KR20080078927A KR 20080078927 A KR20080078927 A KR 20080078927A KR 1020060130293 A KR1020060130293 A KR 1020060130293A KR 20060130293 A KR20060130293 A KR 20060130293A KR 20080078927 A KR20080078927 A KR 2008007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ustomer
driver
wireless intern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6013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8927A/ko
Publication of KR2008007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지역 내에 많은 기사들이 있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응답을 해야 하는 대리운전이나 콜택시 등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이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기사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를 이용하고 고객의 위치와 기사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가장 적절한 기사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강제 매칭(Matching)처리 함으로서, 시스템이 강제 배차를 실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의 위치는 위치명을 좌표화하고, 기사의 위치도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에 따라 좌표화하여, 기사의 상태 및 근거리 계산에 의하여 적절한 기사를 시스템이 자동 선정하고, 해당기사가 접속할 수 있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용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자동 생성하고, 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주소가 저장된 메시지를 기사에게 전송하고, 기사는 그 메시지를 확인하여 운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리운전, 콜택시, 무선이동통신단말기, 휴대폰, 배차, URL, 전자지도

Description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lsory allo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wireless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고객-기사 위치 좌표화에 의한 강제배차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기사 대기모드 처리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고객-기사 좌표값에 의한 강제 매칭(Matching)처리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기사 오더처리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블럭도
본 발명은 해당 지역 내에 많은 기사들이 있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응답을 해야 하는 대리운전이나 콜택시 등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이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기사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를 이용하고 고객의 위치와 기사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가장 적절한 기사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강제 매칭(Matching)처리 함으로서, 시스템이 강제 배차를 실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의 위치는 위치명을 좌표화하고, 기사의 위치도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에 따라 좌표화하여, 기사의 상태 및 근거리 계산에 의하여 적절한 기사를 시스템이 자동 선정하고, 해당기사가 접속할 수 있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용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자동 생성하고, 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주소가 저장된 메시지를 기사에게 전송하고, 기사는 그 메시지를 확인하여 운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는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 고객의 위치를 좌표화하지 않아서 고객과 기사의 자동 매칭처리가 어려웠으며, 고객의 서비스 요청 건(이하 오더(Order)로 부름)을 무선인터넷 등에 게시하여 먼저 선택하는 기사가 해당 건을 선점하는 방식으로, 원거리에 있는 기사도 해당 오더를 선점할 수 있다는 문제, 서비스 요청건수와 기사수가 많을 경우 인터넷 접속이 폭주할 수 있는 문제, 기사는 오더가 발생하는 현황을 무선인터넷 상에서 계속 확인해야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시스템의 신뢰도와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오더가 발생시 그 내역을 게시물로 인터넷에 게시하고 기사들이 PDA나 휴대폰 등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그 내역을 확인하다가 마음에 드는 오더가 있을 시 운행을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누구든 그 오더를 선점하는 기사가 해당 오더에 대하여 처리 권한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문제는 오더 배정이 경쟁 선점 방식으로, 해당지역의 시스템 속도가 떨어지거나 단말기의 조작이 서투른 경우 오더 배정을 받기가 힘들며, 원거리에 있는 사람도 충분히 해당 오더를 선점할 수 있으므로 고객은 대시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런 방식은 고객-기사 매칭처리 과정의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기사의 경우 오더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가격정보를 확인하여 본인이 운행여부를 결정해야하는데, 적당한 오더가 언제 발생할지 모르므로, 자신이 운행 가능한 오더를 찾기 위해 단말기를 계속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오더와 기사가 많은 경우 시스템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PDA단말기를 활용한 시스템은 별도로 PDA를 준비해야만 하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오더의 전체 리스트를 열람할 경우 화면이 작아 기사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오더 리스트가 아니라 이미 해당 기사에게 매치(Match)된 오더 1개만을 보여주므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이처럼 기존의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리운전이나 콜택시 시스템은 고객의 위치와 기사의 위치를 동시에 좌표화하지 못하였고, 오더의 배정 방식 및 기사의 선정 방식에도 문제가 있어, 배차에 있어 좀더 신뢰성이 있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스템이 스스로 강제 배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대리운전이나 콜택시 시스템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유한 무선이통통신단말기 로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의 위치와 기사의 위치를 모두 좌표화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강제 배차하여 시스템이 조작이 간편하고 매칭 신뢰성이 높도록 하며, 선정된 기사에게 자동으로 해당 오더만을 알려주어 기사의 편리성을 높이고, 그 기사가 시스템과 대화하여 해당 오더의 운행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자동 시스템으로 중앙 오더 및 기사 관리 인원을 줄이고, 인터넷 접속자 감소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사가 사용하는 무선인터넷과 URL메시지 수신 기능이 있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현재 대부분의 휴대폰은 이러한 기능이 있다)와, 상담원이 고객의 위치명과 기타 오더내역을 입력하고 관리자가 접속하기위한 PC와, URL메시지를 수신한 기사가 오더의 세부내역과 배정된 오더의 운행여부 응답을 위해 무선이동통신단말기로 접속하여 페이지를 표시해주는 무선인터넷서버와, 상담원/관리자 등이 접속하여 내역을 확인가능하게 하는 유선 인터넷서버와, 고객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필요시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시스템과, 고객과 기사의 좌표화를 수행하고 전자지도에 표시해주는 위치좌표 및 전자지도시스템과, 적절한 기사를 매칭시키는 강제배차를 수행하는 기사-고객 매칭처리시스템과, 해당 기사에게는 URL메시지를 전송하는 URL메시지 Gateway와, 자동으로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생성하는 무선인터넷페이지 처리시 스템과, 각 오더의 운행내역에 따른 정산을 처리하는 정산 및 관리 처리시스템과, 각종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 Data Access 시스템과, 기사나 고객의 세부사항과 각각의 오더 내역 및 그 처리결과와 정산/통계 내역 등을 저장하는 Datebase를 주로 하는 자동 강제배차 처리 시스템을 고안한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고객-기사 위치 좌표화에 의한 강제배차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이다.
고객은 대리운전이나 콜택시의 필요에 따라 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스텝101)을 한다. 이때 고객의 전화는 유선전화나 휴대폰이나 어느 것이든 상관이 없으며, 이러한 고객의 서비스 요청이 곧 하나의 오더가 되게 된다. 고객의 전화에 따라 CTI 시스템이 자동으로 고객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시스템에 저장(스텝102)된다. 상담원은 고객의 위치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시스템에서는 이미 위치좌표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위치명과 비교하여 좌표값을 정하고, 만약 위치명이 없을 경우 행정구역의 중앙지점의 좌표로 고객의 위치를 좌표화(스텝103)한다. 행정구역은 전국의 지역에 대한 정보이므로 좌표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고객의 위치가 좌표화 되면 이미 대기중인 기사의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통하여 기사의 좌표와 비교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고객과 근거리에 위치한 대기 기사를 강제 매칭 처리(스텝104)한다. 여기서, 기사의 대기모드 처리와 위치 추적 처리의 세부과정은 도 2에서, 강제매칭처리에 대한 세부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과 기사가 매칭완료 되면 시스템은 해당 기사가 무선이동통신단말기로 접속하기위한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에 따른 URL 주소 값도 생성(스텝105)하게 된다. 여기서 생성된 페이지의 내용은 출발지/도착지/요금 등의 고객 오더 세부 내역과, 기사가 운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확인버튼 메뉴과, 기사가 확인버튼을 누를 경우 나타나게 되는 고객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기사접속용 무선인터넷 페이지가 생성되면 시스템은 기사에게 해당 URL주소가 포함된 Call Back URL 메시지를 전송(스텝106)한다. 여기서 Call Back URL 메시지란 현재 거의 모든 무선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에서 수신이 가능한 무선이동통신 메시지의 한 종류이며, 메시지에 접속버튼 하나로 접속이 가능한 URL 주소를 내장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의 범용서비스이다.
기사는 단말기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접속버튼을 누르면 오더 세부 내역과 운행확인버튼이 표시(스텝107)되고, 운행가능 여부를 운행확인버튼으로 선택(스텝108)하게 된다.
기사가 운행을 결정하면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이 종료되고 고객의 전화번호가 나타나는 동시에 고객에게 자동으로 전화가 걸리게(스텝109)된다. 이렇게 매칭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고객 및 오더와 기사의 매칭내역이 시스템에 저장(스텝110)된다. 여기서, 기사단말기에서의 오더처리 세부내역은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스텝108에서 기사가 운행을 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기존에 메시지를 수신한 해당 기사가 운행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은 해당 오더에 대하여 처리한도 시간이 지났는지 판단(스텝111)하게 된다. 처리한도 시간이 지난 경우 해당오더는 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확정되어 고객에게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전송(스텝112)되고, 그 내역을 저장(스텝113)한다.
만약, 스텝111에서 해당 오더가 한도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시스템은 추가로 다른 근거리 기사에게 고객을 매칭(스텝114)시킨다. 이렇게 되는 경우 다시 해당 기사 접속용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기사 대기모드 처리 순서도이다.
모든 기사는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오더의 접수가 가능하게 되는 시점에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대기모드로 전환을 하여야 한다.
먼저, 기사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정번호로 전화를 한다(스텝201). 시스템은 기사의 발신번호를 추출하고 필요한 경우 자동응답으로 안내메시지를 내보내고 전화를 자동으로 종료(스텝202)한다. 시스템은 추출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등록기사인지 여부를 판단(스텝203)한다. 등록기사이면 해당기사가 접속할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무선인터넷페이지의 주소를 확인(스텝204)하여, 해당페이지의 URL 주소를 해당 기사에게 URL 메시지로 전송(스템205)하면 기사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특히, 스텝201부터 스텝205의 과정은 기사의 단말기에 해당메시지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곧바로 그 메시지의 접속버튼을 누르면 된다. 또한, 이처럼 지정번호를 먼저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기사가 조작하는 방법이 서투를 경우 단지 지정번호로 전화면 하면 메시지가 도착하므로, 그 편리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기사는 메시지를 수신 또는 기존 메시지를 확인하여 단말기의 접속버튼을 누르면 대기모드 전환이 가능한 무선인터넷페이지로 바로 접속(스텝206)된다. 이 무선인터넷 페이지는 대기모드전환 뿐만아니라 퇴근/휴식/수수료잔액조회/운행내역조회 등의 메뉴버튼이 있을 수 있다. 기사는 운행이 가능할 경우 대기모드를 선택(스텝207)한다. 기사가 대기모드를 선택하면 시스템은 그 시점부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사의 위치를 추적(스텝208)한다. 여기서,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한 기사의 위치추적 방법은 이미 모든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범용서비스이다.
마지막으로 기사가 단말기에서 선택한 각 모드를 시스템에 적용(스텝209)한다.
만약, 스텝203에서 등록기사가 아니라면 해당기사에게 안내메시지를 전송(스텝210)하고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고객-기사 좌표값에 의한 강제 매칭(Matching)처리 순서도이다.
먼저, 시스템은 기사의 대기모드 요청에 따라 단말기 위치추적으로 위도와 경도 방식으로 기사들의 위치를 미리 좌표화(스텝301)해 놓는다.
고객의 서비스 요청 전화가 오면(스텝302), 상담원이 고객의 위치명을 입력(스텝303)하고, 시스템은 입력한 위치명을 시스템에 이미 입력된 위치명과 비교하여 위도와 경도 방식으로 고객의 위치를 좌표화(스텝304)한다. 여기서, 고객이 말한 위치명이 시스템에 없을 경우 일단 전국행정구역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표화하고, 차후에 정확한 해당위치명 좌표를 시스템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00동이라고 하면, 00동의 중앙지점의 위도와 경도값을 취하여 그것을 고객의 좌표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하는 이유는 고객의 위치를 단말기 등으로 추적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금지되어 있으며, 위치명의 방식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치명이 시스템에 입력되면 일정 시간 후에는 대부분의 위치명이 시스템에 존재하게 되므로 그 처리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고객의 위치와 기사의 위치가 좌표화 되었으므로, 이제 근거리 기사를 검색하게 되는데,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고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1차와 2차 거리 범위로 나누어 검색한다. 먼저 위도와 경도의 도/분/초에서 분단위 값에 의하여 1차 기준 범위내 기사를 검색(스텝305)한다. 이는 단순한 계산으로 고객의 위도와 경도 각각의 분값을 기준으로 1차기준 범위값 내에 있는 기사들을 모두 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객의 좌표가 위도37도50분/경도127도00분이라면 기준범위를 1도로 한도로 정해놓았을 경우, 위도37도49분~51분/경도126도59분~ 127도01분내의 모든 기사들을 검색하게 된다.
1차한도 기준범위 내에서 기사존재 여부를 확인(스텝306)하고, 만약 없을 경우 한도를 늘려 2차 기준범위내의 기사를 검색(스텝311)한다. 만약 2차 범위에서도 기사가 존재하지 않으면(스텝312), 고객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 메시지를 전송(스텝315)하고, 내역을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별도 처리(스텝316)한다.
기준범위내의 기사가 검색이 된 경우, 해당 범위내의 모든 기사들에 대하여 위도와 경도의 초단위 값에 의한 고객과 기사의 거리를 계산(스텝307)한다. 여기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면, 거리 계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객과 기사 각각의 위도와 경도의 초단위까지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피타고라스의 정의를 이용하여, 위도의 차이값은 직각삼각형의 높이로 여기고 'A'라고 하고, 경도의 차이값은 직각삼각형의 밑변 'B'라고 하면, 대각선의 길이 'C'는 고객과 기사의 거리이며
Figure 112006094181036-PAT00001
라는 식이 성립하므로, 고객과 기사의 거리는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실제 거리가 계산되면 순위별 1차 기사에게 오더의 내용이 포함된 URL 메시지를 전송(스템308)한다.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는 지정시간 내 기사가 응답하는지 확인(스텝309)한다. 만약, 지정시간 내 기사가 응답하지 않으면 순위별 2차 기사에게 URL 메시지를 전송(스텝313)하고 응답을 확인(스텝314)한다. 만약, 2차 기사도 응답하지 않을 경우 고객에게 서비스불가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1차 기사나 2차 기사는 운영방침에 따라 1차 기사그룹이나 2차 기사그룹으로 구별하여 URL 메시지를 전송하고, 먼저 응답하는 기사를 매칭시키는 응용 방법도 있다.
기사가 응답할 경우에는 그 내역을 저장(스텝310)한다. 이 경우 고객과 기사의 매칭이 정상적으로 완료 된 것이므로, 기사의 단말기에서는 즉시 고객과 통화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1,2차 기준범위나 1,2차 순위기사 등은 서비 스의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중요한 것은 고객과 기사의 모든 위치를 위도와 경도 방식으로 좌표화하고 정확한 실제거리를 계산하고, 실제 거리에 따라 기사에게 시스템이 자동으로 강제 배차하여, 시스템의 성능과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기사 오더 처리 순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기사가 오더 배정을 받기 위해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시스템의 강제배차를 통하여 단말기로 오더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에서의 조작과정과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기사가 도 2에서의 순서에 따라 단말기에서 대기모드로 전환을 요청(스텝401)한다. 이때 시스템은 해당 기사의 수수료에 잔액이 존재하는 지 확인(스텝402)한다. 여기서 수수료는 중계수수료를 의미하며, 기사는 선불로 수수료를 충전해놓고 해당기사에게 오더의 배정이 완료되면 수수료를 차감하게 된다. 이는 이미 등록된 기사일지라도 수수료의 잔액이 존재하지 않으면 오더의 배정을 하지 않기 위한 장치로, 일종의 관리 방안이므로 경우에 따라 다른 확인사항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기사 수수료 잔액이 존재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해당 기사에게 충전안내메시지를 전송(스텝415)한다.
정상 기사의 경우 고객 요청오더가 발생(스텝403)하여 시스템에 의하여 해당 기사가 강제 매칭(스텝404)되게 된다.
기사가 매칭 되면 시스템은 해당기사에게 운행가능 여부를 물어보기 위한 질의 용 무선인터넷페이지 및 그 URL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스텝405)하고, 해당 기사에게 Call Back URL 메시지를 전송(스텝406)한다.
기사는 단말기 상에서 메시지를 확인하고 일단 접속버튼을 눌러 오더내역을 확인(스텝407)하는데, 이때 고객의 전화번호는 나타나지 않는다. 시스템은 기사의 운행가능여부를 확인(스텝408)하는데, 기사는 단말기 상에서 운행확인 버튼을 눌러 운행을 결정하게 된다. 만약,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기사가 운행하기를 결정한 경우 시스템은 운행가능여부를 확인(스텝409)한다. 이 과정은 URL 메시지로 오더를 알려주는 본 시스템의 특징상 꼭 필요한 과정으로, 오더의 발생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URL 메시지를 이용하여 강제배차 하므로, 기사의 단말기에 다수의 오더 수신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한 메시지에 접속하여 운행확인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영환경에 따라 다수의 근거리 기사에게 동시에 오더를 배정하는 경우 이미 타 기사가 운행을 확인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이 단계에서 시스템은 해당 오더가 해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운행가능을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해당 오더가 이미 처리되었으면 다시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
오더가 해당기사에게 완전히 매칭 완료되면 시스템은 그 내역을 저장(스텝410)한다. 그와 동시에 시스템은 해당 기사의 모드를 운행모드로 자동 전환(스텝411)한다. 또한, 기사의 단말기에서는 고객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자동을 고객에게 전화가 걸리게 된다(스텝412).
이후 고객과 기사가 통화(스텝413)하고, 기사는 대리운전을 수행(스텝414)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메인시스템과 기사가 사용하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와 상담원이나 관리자 등이 사용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PC와 고객이 사용하는 전화로 구성된다.
먼저, 메인시스템(504)은 시스템이 처리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양한 세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앙의 각종 서버 시스템이다.
인터넷시스템(505)은 기사의 단말기가 접속하는 무선인터넷서버(506)와 상담원/관리자용 인터넷서버(507)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인터넷 서버는 기사에게 전송된 URL 메시지로 기사의 단말기가 접속할 경우 무선인터넷 페이지에 표시할 기사대기모드 전환이나 오더세부내역 등의 내용들이 저장되며, 상담원/관리자용 인터넷 서버는 PC를 이용하여 상담원이 고객의 오더내용을 입력하거나 신규 기사를 등록하거나 서비스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정산/통계 사항을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가 저장된다.
CTI시스템은 고객전화번호 추출 및 자동응답장치(508)로 구성되며, 고객이 거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상담원의 응답이 불가능할 경우 자동으로 안내 응답을 실시한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 상담원은 임으로 고객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응용처리시스템(509)은 URL 메시지를 전송하는 URL 메시지 Gateway(510)와, 처리 과정에 따라 Database에서 데이터를 조회하여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무선인터넷 페이지처리시스템(511)과, 각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Database에 접근하여 자료를 읽어오고 각종 처리 과정의 완료에 따라 해당내역을 저장처리하는 Data Access시스템(512)과, 도 3의 내용에 따라 기사와 고객을 강제 매칭처리하는 기사-고객 매칭처리시스템(513)과, 고객가 기사의 좌표값을 처리하고 필요한 경우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위치좌표 및 전자지도 시스템(514)과, 오더의 처리내역과 수수료의 정산 및 통계를 관리하는 정산 및 관리 처리시스템(515)으로 구성된다.
Database(516)는 기사 및 고객의 세부사항을 기록하는 DB(517)와, 각 고객에 해당하는 각각의 오더의 세부내역과 처리 결과를 기록하는 DB(518)와, 정산과 통계를 수치화 하여 기록하는 정산/통계용 DB(519)로 구성된다.
또한, 기사가 사용하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501)는 현재 흔히 보급된 휴대폰을 말하며, 대부분의 휴대폰은 무선인터넷 기능과 URL 메시지 수신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의 대리운전이나 콜택시 시스템들은 기사가 PDA등을 이용하여 유무선인터넷 상에서 오더의 내역을 일일이 조회해보거나, 화면을 지켜봐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그 취급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시스템은 특히 URL 메시지를 적극 활용하여, 메시지가 도착하면 휴대폰의 소리나 진동을 통하여 기사에게 알려주므로, 이러한 불편을 없앤 것에 의미가 있다.
PC(502)는 상담원/관리자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PC를 말한다.
고객전화(503)는 고객이 본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대표전화번호에 전화를 걸게 되는 전화를 말하는 것으로, 그 전화 종류에는 관계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고안한 시스템은 고객과 기사의 위치를 모두 좌표화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강제 매칭처리 하므로 매칭 과정의 신속함과 신뢰도가 매우 향상되며, 시스템이 각각의 매칭사항에 대한 무선이동통신단말기 접속용 무선인터넷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기사의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URL 메시지를 전문적으로 활용하여 기사의 편리성 및 배차과정의 신속함을 현저히 향상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을 시스템이 자동처리하도록 시스템처리작업율을 현저히높여, 기사가 전용 PDA등의 단말기 교체 없이도,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기 보유하고 있는 기능이 적고 화면크기가 작은 일반 휴대폰을 통해서도 본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5)

  1. 기사의 무선이통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또는 콜택시 서비스의 강제배차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위치를 위치명을 이용하여 위도와 경도값으로 좌표화하는 단계(스텝103)와,
    기사의 위치를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을 이용하여 위도와 경도값으로 좌표화하는 단계(스텝301)와,
    시스템이 자동으로 대기중인 근거리 기사를 강제로 매칭시키는 단계(스텝104)와,
    시스템이 자동으로 해당 기사의 접속용 무선인터넷페이지와 URL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스텝105)와,
    단말기로 URL 메시지를 수신한 기사가 해당 무선인터넷페이지에 바로 접속하여 매칭된 오더내역을 확인하는 단계(스텝107)와,
    기사가 단말기의 확인버튼 하나로 운행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스텝40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강제배차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고객과 근거리의 기사를 시스템이 강제로 매칭시키는 단계(스텝104)는
    기사의 위치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추적을 이용하여 위도와 경도값으로 좌표화하는 단계(스텝301)와,
    고객의 위치는 상담원이 위치명을 입력하여 시스템에 저장되어있는 위치명과 비교하여 고객의 위도와 경도값을 좌표화하는 단계(스텝304)와,
    고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준 범위내 기사를 먼저 검색하는 단계(스텝305)와,
    기준범위내 기사를 위도와 경도값을 이용하여 실제거리를 계산하여 최단거리 기사를 선정하는 단계(스텝307)와,
    선정된 기사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지정시간 내 응답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스텝309)를 포함하는 강제 배차 제어방법.
  3. 대리운전 또는 콜택시 서비스 운영 시, 기사의 무선인터넷 단말기에 URL 메시지를 전송하여 오더를 알려주고 운행여부를 질의하는 시스템의 강제배차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사가 단말기 상에서 대기모드 전환 요청을 하는 단계(스텝401)와,
    시스템이 기사의 수수료 잔액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스텝402)와,
    시스템이 해당 오더에 매칭된 기사에게 운행여부를 자동 질의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페이지 및 URL을 생성하는 단계(스텝405)와,
    시스템이 해당 기사에게 질의용 URL을 전송하는 단계(스텝406)와,
    기사가 운행할 경우 해당 오더의 미처리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스텝409)와,
    오더에 대한 기사의 운행이 최종 확정되면 고객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스텝412)를 포함하는 강제배차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기사가 단말기 상에서 대기모드 전환 요청을 하는 단계(스텝401)는,
    먼저, 기사가 지정번호로 전화를 거는 단계(스텝201)와,
    시스템이 발신번호를 추출하고 전화를 자동 종료하는 단계(스텝202)와,
    시스템이 등록기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스텝203)와,
    등록기사이면 시스템이 모드전환 접속용 무선인터넷 페이지의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스텝204)와,
    시스템이 해당기사에게 그 무선인터넷페이지의 URL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스텝205)와,
    메시지를 수신한 기사가 접속버튼 하나로 해당 무선인터넷페이지로 자동 접속하는 단계(스텝206)와,
    기사가 단말기에서 대기모드나 기타 다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스텝207)와,
    기사가 대기모드를 선택하면 그때부터 해당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시작하는 단계(스텝208)를 포함하는 강제배차 제어방법.
  5. 기사의 무선이통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또는 콜택시 서비스의 강제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기사가 사용하는 무선인터넷과 URL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휴대폰이며, URL 메시지를 통하여 대기모드의 전환과 오더의 세부내역를 확인하고, 운행여부를 응답하기위한 무선이동통신단말기(501)와,
    기사의 단말기가 접속하며, 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저장하는 무선인터넷서버(506)와,
    고객의 전화에 대하여 자동으로 고객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필요시 자동응답을 수행하는 고객번호추출 및 자동응답장치(508)와,
    시스템이 자동으로 기사의 단말기에 오더내역 알림 등의 URL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한 URL 메시지 Gateway(510)와,
    시스템이 각각의 오더에 대한 무선인터넷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무선인터넷페이지처리시스템(511)과,
    고객과 기사의 위도 경도 값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거리범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사를 강제매칭 처리하고, 일정시간 동안 해당기사의 응답이 없을 경우 차순위 기사를 매칭처리하는 기사-고객 매칭처리시스템(513)과,
    고객의 위치명을 사용하여 고객위치를 좌표화하고, 기사의 단말기를 위치추 적하여 기사위치를 좌표화하고, 고객이나 기사의 위치를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이미지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좌표 및 전자지도시스템(514)과,
    각종 처리결과를 Database에 저장하기 위한 Data Access 시스템(512)과, 기사관리와 고객관리, 수수료 정산 및 통계 등을 위한 정산 및 관리처리 시스템(515)과, 각종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DATA BASE(5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강제배차 시스템.
KR1020060130293A 2006-12-19 2006-12-19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80078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93A KR20080078927A (ko) 2006-12-19 2006-12-19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93A KR20080078927A (ko) 2006-12-19 2006-12-19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27A true KR20080078927A (ko) 2008-08-29

Family

ID=3988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293A KR20080078927A (ko) 2006-12-19 2006-12-19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892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30B1 (ko) * 2007-11-27 2010-04-20 주식회사 이루온 위치기반의 대리운전 고객 접수/처리 장치
WO2010053534A2 (en) * 2008-11-05 2010-05-14 Targeted Instan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celerate and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es through resource allocation
WO2012118763A2 (en) * 2011-02-28 2012-09-07 Ranger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vehicles in a fleet
KR101349693B1 (ko) * 2012-04-17 2014-02-13 주식회사 아이티맥스 위치기반의 출동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998862B1 (ko) * 2018-11-27 2019-07-10 이원호 택시/카풀 연동을 통한 승차 호출 중개 방법
KR102072174B1 (ko) 2018-12-18 2020-02-03 브이씨엔씨(주)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20200076653A (ko) 2020-01-23 2020-06-29 브이씨엔씨(주)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2296356B1 (ko) * 2020-09-21 2021-09-01 주식회사 알라딘모빌리티 펫 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30B1 (ko) * 2007-11-27 2010-04-20 주식회사 이루온 위치기반의 대리운전 고객 접수/처리 장치
WO2010053534A2 (en) * 2008-11-05 2010-05-14 Targeted Instan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celerate and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es through resource allocation
WO2010053534A3 (en) * 2008-11-05 2010-08-05 Targeted Instan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celerate and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es through resource allocation
CN102439618A (zh) * 2008-11-05 2012-05-02 定向即时通信有限公司 通过资源定位促进和改善业务处理的效率的方法和装置
US8498904B2 (en) 2008-11-05 2013-07-30 Targeted Instant Communications, Inc. Method, system,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efficient fulfillment of work assignments
WO2012118763A2 (en) * 2011-02-28 2012-09-07 Ranger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vehicles in a fleet
WO2012118763A3 (en) * 2011-02-28 2012-11-01 Ranger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vehicles in a fleet
KR101349693B1 (ko) * 2012-04-17 2014-02-13 주식회사 아이티맥스 위치기반의 출동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998862B1 (ko) * 2018-11-27 2019-07-10 이원호 택시/카풀 연동을 통한 승차 호출 중개 방법
KR102072174B1 (ko) 2018-12-18 2020-02-03 브이씨엔씨(주)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20200076653A (ko) 2020-01-23 2020-06-29 브이씨엔씨(주)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2296356B1 (ko) * 2020-09-21 2021-09-01 주식회사 알라딘모빌리티 펫 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741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派遣支援システム
US7248884B2 (en) Position data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mail communications
US6744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emergency calls from a data network
KR20080078927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20060034201A1 (en) Taxi dispatching system and dispatching method
US20060135134A1 (en) End user to mobile service provider message exchange system based on proximity
US20040203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dependent information download to a mobile telephone
US20050227704A1 (en) Facilitating entering location data
KR20120040478A (ko) 택시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택시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40330599A1 (en) Identifying Partial User-Entered Data
EP2347565B1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s and associated systems
KR20120039372A (ko) 콜택시 및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12774B1 (ko) 타인을 승객으로 지정한 콜택시 호출에 대한 택시배차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2016902B (zh) 呼叫服务的系统和方法、呼叫服务器和用户终端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CN103369492A (zh) 一种基于智能手机提供远程服务的方法和系统
KR20100010430A (ko) Gps 위치정보 및 자바 vm 기능을 이용한 대리운전, 퀵서비스용 무선통신망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KR20020061957A (ko) 택시위치정보를 이용한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4172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콜택시 호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20038441A (ko)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 제공시스템
US20050216286A1 (en) Transmitt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CN107277277B (zh) 一种呼叫中心交互系统及方法
JP2005018684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タクシー配車方法及び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
KR20090047565A (ko) 이용자별 택시운전자 지정호출 방법 및 시스템
CN114598774B (zh) 云手机通信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