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567A -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567A
KR20080077567A KR1020080014706A KR20080014706A KR20080077567A KR 20080077567 A KR20080077567 A KR 20080077567A KR 1020080014706 A KR1020080014706 A KR 1020080014706A KR 20080014706 A KR20080014706 A KR 20080014706A KR 20080077567 A KR20080077567 A KR 2008007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unit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501B1 (ko
Inventor
최병대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EP1001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278798A3/en
Priority to JP2009549536A priority patent/JP5102314B2/ja
Priority to US12/449,647 priority patent/US8297758B2/en
Priority to PCT/KR2008/000968 priority patent/WO2008102971A1/en
Priority to EP08723009.0A priority patent/EP2127367B1/en
Publication of KR2008007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501B1/ko
Priority to US13/626,800 priority patent/US870224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3Arrangements for projecting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13Plural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Control of light source other than position or intensity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1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 프로젝션부; 및 제2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 프로젝션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프로젝션부는 제1 프로젝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제1 광원부, 상기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제1 투사형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1 광변조 소자,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제1 프로젝션 렌즈부;를 구비한다. 제1 프로젝션부와 제2 프로젝션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의 광원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밝기를 증가시키거나, 디스플레이할 영상 데이터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증가시켜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프로젝션, 멀티미디어 콘텐츠, 초점, 프로젝션 렌즈

Description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본 발명은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번 사용시마다 광학계에 대한 별도의 설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항상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 개선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차로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제공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부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LCD와 같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들은 영상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되는데, 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반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프로젝션 기능을 추가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방안 중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56807호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한국실용등록번호 20-263336호는 "액정 프로젝터와 한 조가 된 영상 휴대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방안들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프로젝션 기능만을 추가한 기술 사상만을 제안한 것으로 주사화면크기 및 해상도를 제어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3-97087호는 "프로젝터 영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주사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돌출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프로젝터 영상을 주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방안들은 모두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황에 따라 항상 변경되므로, 영상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시킬 때 마다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영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광학계의 설정을 변경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한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로젝션 모듈들을 이용하여 매번 스크린상의 영상에 대한 초점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도 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매번 사용시마다 광학계에 대한 별도의 설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항상 선명한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번 사용시마다 별도의 광학계 설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항상 선명한 2개의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 키 입력 화면과 영상 출력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이면서 소비 전력이 작고, 서로 다른 2개의 투사 형 영상을 항상 선명하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2개의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1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 프로젝션부; 및
제2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 프로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젝션부는
제1 프로젝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제1 광원부;
상기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제1 투사형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1 광변조 소자;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제1 프로젝션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로젝션부는
제2 프로젝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2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2 구동부;
제2 광원부;
상기 제2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제2 투사형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2 광변조 소자;
상기 제2광변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제2프로젝션 렌즈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위치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초점 거리가 초기 설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변조 소자는 LCD 패널, DMD 소자, GLV 소자, Lcos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의 광원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밝기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할 영상 데이터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2개의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
단일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제1 편광파 및 제2 편광파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편광빔 분리기;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1 편광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편광파를 변조하여 제1 영상을 제공하는 제1 광변조 소자;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제1 프로젝션 렌즈부;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2 편광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편광파를 변조하 여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제2 광변조 소자;
상기 제2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제2 프로젝션 렌즈부;
를 구비하여, 단일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듀얼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들은 사전에 설정된 제1 및 제2 위치에 각각 결상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제1 및 제2 위치의 각각에 제1 및 제2 영상이 투사되도록 초점 거리가 초기 설정하며, 상기 광원부의 램프부는 적색(R), 청색(B), 녹색(G) LED들로 이루어지는 LED 어레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광변조 소자는 투과형 광변조 소자 또는 반사형 광변조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체 크기와는 무관하게 일정 크기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하우징부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를 스크린으로 사용함으로써, 항상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정해진 거리에 결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계를 초기에 한번 설정하여 초점을 맞추어 놓음으로써, 항상 선명한 투사 영상을 볼수 있게 되며, 매번 사용시마다 광학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단일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영상을 동시에 바닥면으로 투사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소비 전력이 작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휴대용이나 이동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스크린이 되는 바닥면의 색상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상보색을 강조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되며,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휴대용 플레이스테이션(Play Station Portable;'PSP')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에서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예시 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는 제1 프로젝션부(12) 및 제2 프로젝션부(1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로젝션부(12)는 제1 구동부(102), 제1 광원부(112), 제1 광변조 소자(122), 제1 프로젝션 렌즈부(13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로젝션부(14)는 제2 구동부(104), 제2 광원부(114), 제2 광변조 소자(124), 제2 프로젝션 렌즈부(134)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구성 요소들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한 것들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제1 프로젝션부와 제2 프로젝션부의 구성 및 동작은 유사하므로, 제1 프로젝션부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구동부(102)는 제1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하여 제1 프로젝션부(12)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광원부, 제1 광변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1 구동부는 소정의 제1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투사형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제1 광변조 소자로 제공한다.
제1 광원부(112)는 램프부 및 플라이아이렌즈 등과 같은 광균일화 광학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램프부는 LED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부는 적색 (R), 녹색(G), 청색(B) LED 모듈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청색, 녹색, 적색 LED 어레이(array)들로 이루어지는 3판식으로 구성되며, 각 LED 어레이들이 180 Hz 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R, G, B 색상의 광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원부(300)의 램프부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적색 LED와 청색 LED가 하나의 모듈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LED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녹색 LED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LED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2판식으로 구성되거나, 적색, 녹색, 청색 LED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LED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1판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광원부(112)의 램프부는 LED 어레이뿐만 아니라, OLED, LD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점광원 또는 면광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들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광변조 소자(122)는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소정의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는 LCD 패널, DMD 소자, GLV(Grating Light Valve) 소자, Lcos 등과 같은 투과형 또는 반사형 광변조 소자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젝션 렌즈부(132)는 상기 제1 광변조 소자(12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프로젝션 렌즈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은 하우징부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위치(도 2의 'a' 영역)에 결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하우징부가 배치된 바닥면을 스크린으로 사용함으로써, 프로 젝션 렌즈부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도 2의 'd')가 이격된 위치에 결상시키게 된다. 그 결과, 초기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광학계를 초기에 한번 설정하여 초점을 맞추게 되면, 매번 사용시마다 별도로 광학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항상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투사형 화면 중 하나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CMOS 카메라 및 적외선 레이저를 더 구비한다. CMOS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가상의 키보드에 대한 영상을 캡쳐하고 분석하여 손가락이 위치한 곳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바닥에 닿는 손가락의 레이저 빔의 반사를 감지하여 바닥 터치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CMOS 카메라와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제2 실시예는 단일의 광원부 및 편광빔 분리기를 이용하여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30)는, 단일의 광원부(300), 편광빔 분리기(Polarization Beam Splitter;'PBS':310), 제1 광변조 소자(320), 제1 프로젝션 렌즈부(330), 제2 광변조 소자(340), 제2 프로젝션 렌즈부(350) 및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3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원부(300), 제1 광변조 소자(320) 및 제2 광변조 소자(34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구동부는, 서로 다른 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하여, 제1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에 해당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제1 광변조 소자(320) 및 제2 광변조 소자(340)로 각각 제공한다.
단일의 광원부(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광원부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편광빔 분리기(PBS:310)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쇄교(orthogonal)하는 두 개의 편광파인 제1 편광파(예컨대, P파) 및 제2 편광파(예컨대, S파)로 분리하여, 제1 편광파 및 제2 편광파를 서로 다른 광경로를 따라 제공한다.
참고로, 빛은 파동으로 해석되며 파동은 일반적으로 2개의 쇄교하는 파동 성분인 P파와 S파가 합쳐서 이루어지는데, 'P파'는 파동의 진행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일치하는 종파를 칭하는 것이며, 'S파'는 파동의 진행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직각인 횡파를 칭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P파', 'S파'의 용어 및 그 의미는 자명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P파는 상기 편광빔 분리기(310)를 통과하여 광경로가 진행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변경되어 진행하게 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S파는 상기 편광빔 분리기(310)를 통과하여 광경로가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계속하여 진행하게 된다.
제1 광변조 소자(320)는,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1 편광파인 P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편광파를 변조하여 제1 영상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는 투과형 광변조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과형 광변조 소자로서는 투과형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제1 프로젝션 렌즈부(330)는 상기 제1 광변조 소자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게 된다.
제2 광변조 소자(340)는,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2 편광파인 S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편광파를 변조하여 제2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광변조 소자(340)는 반사형 광변조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형 광변조 소자로서는 LCoS, 반사형 LCD, DMD 소자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변조 소자가 반사형 LCoS 광변조 소자인 경우, 제2 프로젝션 렌즈부(350)는 상기 제2 광변조 소자에서 반사된 광이 PBS에서 재반사되어 출사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광변조 소자가 반사형 DMD 광변조 소자인 경우, 상기 제2 광변조 소자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고 광 경로상에 제2 프로젝션 렌즈부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소정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변조 소자를 투과형 광변조 소자로 구성하고, 제2 광변조 소자를 반사형 광변조 소자로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스크린 상('a' 및 'b')에 서로 다른 영상들을 결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제1 광변조 소자 및 제2 광변조 소자를 모두 투과형 광변조 소자로 구성하거나, 모두 반사형 광변조 소자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광변조 소자들에서 출사한 광의 경로를 반사미러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변환시켜 제1 투사형 영상과 제2 투사형 영상이 맺히는 상의 각도를 다양히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단일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서로 다른 위치에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듀얼 모드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제1 프로젝션 렌즈부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들은 하우징부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위치(도 3의 'a' 영역 및 'b' 영역)에 결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하우징부가 배치된 바닥면을 스크린으로 사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결상시키게 된다. 그 결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광학계를 초기에 한번 설정하여 초점을 맞추게 되면, 매번 사용시마다 별도로 광학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항상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단일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영상을 동시에 투사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소비 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이동형이나 휴대용 단말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하우징부가 배치된 바닥면을 스크린으로 사용함으로써, 광학계를 초기에 한번만 설정함에 따라 항상 선명한 투사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는 바닥면의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에 대한 상보색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보다 선명한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1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외에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 감지부는 색상을 감지 하는 컬러 센서로 구성되거나, CMOS 카메라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스크린이 될 바닥면의 색상을 감지하거나 CMOS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대한 영상을 캡쳐한다. 다음, 캡쳐된 영상이나 감지된 색상으로부터 바닥면의 색상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색을 구한 후, 평균색에 대한 보색을 결정한다. 예컨대, 바닥면의 평균색이 청록색인 경우, 이에 대한 보색인 빨간색을 결정하게 된다. 결정된 보색을 이용하여, R, G, B 의 각 광원 중 보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휘도는 증가시키고, 바닥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휘도는 감소시키는 보정을 한다. 이러한 광원의 밝기 보정 과정에 의해 영상에 대한 대비비 특성을 향상시켜, 스크린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예컨대, 바닥색이 청록색인 경우, R(Red) 광원의 밝기를 정해진 범위내에서 증가시키고, G(Green) 및 B(Blue) 광원의 밝기를 정해진 범위내에서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구동부는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외에, 디스플레이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영상 데이터 중 보색에 해당되는 영상 데이터는 증가시키고, 바닥색에 해당되는 영상 데이터는 감소시켜 신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신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바닥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제1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부의 램프부의 구성, 광변조 소자 등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MP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투사형 화면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2 : 제1 프로젝션부
14 : 제2 프로젝션부
102 : 제1 구동부 104 : 제2 구동부
112 : 제1 광원부
122 : 제1 광변조 소자
132 : 제1 프로젝션 렌즈부
104 : 제2 구동부
114 : 제2 광원부
124 : 제2 광변조 소자
134 : 제2 프로젝션 렌즈부

Claims (12)

  1. 2개의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1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 프로젝션부; 및
    제2 투사형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 프로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젝션부는
    제1 프로젝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제1 광원부;
    상기 제1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제1 투사형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1 광변조 소자;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제1 프로젝션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로젝션부는
    제2 프로젝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2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제2 구동부;
    제2 광원부;
    상기 제2 투사형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여 제2 투사형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2 광변조 소자;
    상기 제2광변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제2프로젝션 렌즈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위치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초점 거리가 초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변조 소자는 LCD 패널, DMD 소자, GLV 소자, LCoS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의 광원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할 영상 데이터들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6.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
    단일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제1 편광파 및 제2 편광파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편광빔 분리기;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1 편광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편광파를 변조하여 제1 영상을 제공하는 제1 광변조 소자;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제1 프로젝션 렌즈부;
    상기 편광빔 분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제2 편광파가 진행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편광파를 변조하여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제2 광변조 소자;
    상기 제2 광변조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제2 프로젝션 렌즈부;
    를 구비하여, 단일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듀얼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로부터 투사되는 영상들은 사전에 설정된 제1 및 제2 위치에 각각 결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션 렌즈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설정된 제1 및 제2 위치의 각각에 제1 및 제2 영상이 투사되도록 초점 거리가 초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부는 적색(R), 청색(B), 녹색(G) LED들로 이루어지는 LED 어레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변조 소자는 투과형 광변조 소자 또는 반사형 광변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변조 소자는 투과형 광변조 소자 또는 반사형 광변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상기 광원부의 광원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광원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의 색상을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의 보색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할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보색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1020080014706A 2007-02-20 2008-02-19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10093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13674A EP2278798A3 (en) 2007-02-20 2008-02-19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JP2009549536A JP5102314B2 (ja) 2007-02-20 2008-02-19 2つの投射型映像を提供する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
US12/449,647 US8297758B2 (en) 2007-02-20 2008-02-19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PCT/KR2008/000968 WO2008102971A1 (en) 2007-02-20 2008-02-19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EP08723009.0A EP2127367B1 (en) 2007-02-20 2008-02-19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2 projection images
US13/626,800 US8702244B2 (en) 2007-02-20 2012-09-25 Multimedia player displaying projectio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08 2007-02-20
KR20070017108 2007-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67A true KR20080077567A (ko) 2008-08-25
KR100939501B1 KR100939501B1 (ko) 2010-01-29

Family

ID=3988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706A KR100939501B1 (ko) 2007-02-20 2008-02-19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297758B2 (ko)
EP (2) EP2127367B1 (ko)
JP (1) JP5102314B2 (ko)
KR (1) KR100939501B1 (ko)
WO (1) WO20081029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20B1 (ko) * 2007-02-20 2009-11-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듀얼 모드 기능을 갖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0370B1 (ko) * 2012-06-04 2014-08-04 (주)구구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222B2 (en) 2007-10-10 2012-10-09 Gerard Dirk Smits Image projector with reflected light tracking
CN101896957B (zh) * 2008-10-15 2013-06-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投射装置
CN101778252A (zh) * 2009-01-08 2010-07-14 华通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移动多媒体的方法和装置
KR101169923B1 (ko) * 2010-07-14 2012-08-09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US8665286B2 (en) * 2010-08-12 2014-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osition of digital images for perceptibility thereof
US9946076B2 (en) 2010-10-04 2018-04-17 Gerard Dirk Smits System and method for 3-D projection and enhancements for interactivity
US8839134B2 (en) * 2010-12-24 2014-09-16 Intel Corporation Projection interface techniques
CN103543823B (zh) * 2012-07-13 2016-08-03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多重投影功能的可携式电子装置
US8711370B1 (en) 2012-10-04 2014-04-29 Gerard Dirk Smits Scanning optical positioning system with spatially triangulating receivers
US8971568B1 (en) 2012-10-08 2015-03-03 Gerard Dirk Smits Method, apparatus, and manufacture for document writing and annotation with virtual ink
JP6100080B2 (ja) * 2013-05-08 2017-03-22 株式会社東芝 プロジェクタ及び携帯端末
DE102013208625A1 (de) * 2013-05-10 2014-11-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ultiapertur-projektionsdisplay und einzelbilderzeuger für ein solches
KR101959003B1 (ko) 2013-07-22 2019-07-02 구글 엘엘씨 디바이스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광을 투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매체
JP6201519B2 (ja) * 2013-08-21 2017-09-27 株式会社リコー 座標検知装置、及び座標検知方法、及び電子情報ボードシステム
US9298076B2 (en) * 2014-01-05 2016-03-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Image projector
US9743054B2 (en) 2014-03-12 2017-08-22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jection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a polarization grating
US9810913B2 (en) 2014-03-28 2017-11-07 Gerard Dirk Smits Smart head-mounted projection system
CN204048340U (zh) 2014-04-28 2014-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穿戴式投影设备
US9377533B2 (en) 2014-08-11 2016-06-28 Gerard Dirk Smits Three-dimensional triangulation and time-of-flight base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CN107113949B (zh) 2014-12-26 2019-02-05 麦克赛尔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6161869A (ja) * 2015-03-04 2016-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6550821B2 (ja) * 2015-03-20 2019-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US10043282B2 (en) 2015-04-13 2018-08-07 Gerard Dirk Smits Machine vision for ego-motion, segmenting, and classifying objects
CN107615163A (zh) * 2015-04-16 2018-01-19 麦克赛尔株式会社 投射型影像显示装置以及投射型影像显示装置中的信息显示方法
CN105573434A (zh) * 2015-12-18 2016-05-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7106875A1 (en) 2015-12-18 2017-06-22 Gerard Dirk Smits Real time position sensing of objects
US9813673B2 (en) 2016-01-20 2017-11-07 Gerard Dirk Smits Holographic video capture and telepresence system
CN105975006A (zh) * 2016-04-29 2016-09-2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FR3053131B1 (fr) * 2016-06-27 2019-08-02 Santo Valvo Dispositif d'un pico-projecteur integre dans appareil mobile
US10067230B2 (en) 2016-10-31 2018-09-04 Gerard Dirk Smits Fast scanning LIDAR with dynamic voxel probing
WO2018125850A1 (en) 2016-12-27 2018-07-05 Gerard Dirk Smits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perception
EP3622333A4 (en) 2017-05-10 2021-06-23 Gerard Dirk Smits SCAN MIRROR METHODS AND SYSTEMS
KR102022599B1 (ko) * 2017-08-01 2019-09-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ES2708898A1 (es) * 2017-10-11 2019-04-11 Peces Ruben Rios Aparato Proyector Bidireccional de Imágenes Virtuales
WO2019079750A1 (en) 2017-10-19 2019-04-25 Gerard Dirk Smits METHODS AND SYSTEMS FOR NAVIGA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NEW MILITARY MARKER SYSTEM
US10379220B1 (en) 2018-01-29 2019-08-13 Gerard Dirk Smits Hyper-resolved, high bandwidth scanned LIDAR systems
DE112018006792B4 (de) 2018-02-09 2021-11-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nzeigesystem und Anzeigeverfahren
TW202001545A (zh) * 2018-06-29 2020-01-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計算機及輸入裝置
WO2020046296A1 (en) * 2018-08-29 2020-03-05 Peek-A-Pic, Llc Accessory for projecting a personalized ima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9765249U (zh) * 2019-05-24 2019-12-1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KR102100412B1 (ko) * 2019-09-09 2020-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EP3833016A1 (de) * 2019-12-02 2021-06-09 GIRA GIERSIEPEN GmbH & Co. KG Gebäudeautomationssystem mit einem einen projektor aufweisenden bediengerät
WO2021174227A1 (en) 2020-02-27 2021-09-02 Gerard Dirk Smits High resolution scanning of remote objects with fast sweeping laser beams and signal recovery by twitchy pixel array
CN111427228A (zh) * 2020-04-29 2020-07-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投影显示器及投影显示装置
CN111901574B (zh) * 2020-08-21 2022-07-05 北京浦泰锐迅技术有限公司 可变焦距电子观景望远镜液晶屏幕双模工作系统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9295A (en) * 1994-01-18 1995-11-21 Burke; Douglas Dual polarizing reflection filter three dimensional image creation and display system
US5428415A (en) * 1994-02-22 1995-06-27 Eastman Kodak Company Slide projector for front and rear projection
US5875013A (en) * 1994-07-20 1999-0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Reflection light absorbing plate and display panel for use in a display apparatus
US5669690A (en) * 1994-10-18 1997-09-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media field emission device projection system
JPH09185029A (ja) * 1996-01-08 1997-07-15 Nikon Corp 投写型表示装置
JPH09297361A (ja) 1996-05-09 1997-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立体表示装置
JPH10304284A (ja) * 1997-04-24 1998-11-13 Nikon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0241916A (ja) 1999-02-18 2000-09-08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型液晶投影光学系
KR100287722B1 (ko) 1999-02-26 2001-04-16 구자홍 멀티에어콘 시스템의 통신을 위한 초기화방법
KR100342651B1 (ko) 1999-12-10 2002-07-04 김순택 다중 스크린을 갖는 프로젝션 시스템
KR100625540B1 (ko) 1999-12-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AU2001231215A1 (en) 2000-02-03 2001-08-14 Vrex,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ry using a dual projector 3d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6771272B2 (en) * 2000-03-17 2004-08-03 Sun Microsystems, Inc. Graphics system having a super-sampled sample buffer with hot spot correction
KR100727905B1 (ko) * 2000-06-26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투사장치
KR20020024952A (ko) 2000-09-27 2002-04-03 조정남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WO2002043041A1 (en) 2000-11-20 2002-05-30 Displaytech, Inc. Dual mode near-eye and projection display system
WO2002080579A2 (en) 2001-03-28 2002-10-10 Dimensional Developments Aps Self-aligning autostereoscopic 3d display
WO2003005733A1 (en) * 2001-07-06 2003-01-16 Explay Ltd. An image projecting device and method
KR20030005512A (ko) 2001-07-09 2003-01-23 (주)브이알그래픽스 입체 영상 상영을 위한 듀얼 디브이디 플레이어 동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63336Y1 (ko) 2001-11-19 2002-02-04 김진경 액정프로젝터와 한 조가 된 영상휴대폰 장치
US6773114B2 (en) * 2001-12-07 2004-08-10 Nokia Corporation Portable multimode display device
AU2003214630A1 (en) 2002-04-15 2003-10-27 Yitzhak Weissma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with lcd projectors
JP2004085752A (ja) 2002-08-26 2004-03-18 Minolta Co Ltd 画像投影装置
DE10244017A1 (de) 2002-09-21 2004-04-01 Löwig, Michael Passive stereoskopische 3-dimensionale Visualisierung
US7173605B2 (en) 2003-07-18 2007-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jected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
WO2005043932A2 (en) * 2003-10-20 2005-05-12 Johns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 Inc. Portable multimedia projection system
KR100582363B1 (ko) 2003-12-26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프로젝터 영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주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09217A (ko) * 2004-05-14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판식 투사광학계 및 투사 방법
JP3925513B2 (ja) * 2004-06-23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自動フォーカス調整
JP4685386B2 (ja) * 2004-08-31 2011-05-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画像観察装置
JP4194548B2 (ja) * 2004-11-10 2008-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7232229B2 (en) * 2004-12-17 2007-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aser-based display with position sensitive detector
JP2006184568A (ja) * 2004-12-27 2006-07-13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映像表示装置
JP2006184591A (ja) * 2004-12-28 2006-07-13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KR20060091543A (ko) 2005-02-15 2006-08-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손실 편광형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35158A (ja) 2005-02-24 2006-09-0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4591150B2 (ja) * 2005-03-30 2010-12-0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6295779A (ja) * 2005-04-14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機器
JP2006330154A (ja) * 2005-05-24 2006-12-07 Yamaha Corp 照明光学系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WO2007056110A2 (en) * 2005-11-02 2007-05-18 Microvision, Inc. Image projector with selectable display modes
KR100925720B1 (ko) 2007-02-20 2009-11-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듀얼 모드 기능을 갖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20B1 (ko) * 2007-02-20 2009-11-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듀얼 모드 기능을 갖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0370B1 (ko) * 2012-06-04 2014-08-04 (주)구구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97758B2 (en) 2012-10-30
US20130201225A1 (en) 2013-08-08
US8702244B2 (en) 2014-04-22
EP2278798A3 (en) 2012-04-18
EP2127367A4 (en) 2010-07-21
KR100939501B1 (ko) 2010-01-29
US20100110385A1 (en) 2010-05-06
EP2127367A1 (en) 2009-12-02
JP2010519570A (ja) 2010-06-03
WO2008102971A1 (en) 2008-08-28
EP2278798A2 (en) 2011-01-26
EP2127367B1 (en) 2017-03-29
JP5102314B2 (ja)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501B1 (ko)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US10051209B2 (en) Combined visible and non-visible projection system
US899476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060197920A1 (en)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428378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通信システム
US20090059334A1 (en) Projection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0751724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JP2004514925A (ja) 覗き込みと投射ディスプレイのデュアルモードシステム
WO2022253336A1 (zh) 激光投影设备及投影图像的校正方法
JP2005192188A (ja) プロジェクタ
JP5509904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12068319A (ja) 表示装置
JP4590858B2 (ja) 書き込み可能プロジェクタおよび光ポインタ
KR100925720B1 (ko) 듀얼 모드 기능을 갖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1902717B2 (en) Projection method and projector
JP2012053227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916813B1 (ko) 듀얼 모드 기능을 갖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610180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030137743A1 (en) Polarization beam splitter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159775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726434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6101140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3127538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2006101481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080090931A (ko) 모바일 프로젝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