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923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923B1
KR101169923B1 KR1020100067665A KR20100067665A KR101169923B1 KR 101169923 B1 KR101169923 B1 KR 101169923B1 KR 1020100067665 A KR1020100067665 A KR 1020100067665A KR 20100067665 A KR20100067665 A KR 20100067665A KR 101169923 B1 KR101169923 B1 KR 10116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ation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01A (ko
Inventor
이광준
김정호
류홍근
양기정
최병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6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73Polarisers in the lamp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기술의 편광을 사용하는 경우, 편광으로 인해 광 이용 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대비 낮은 광 효율성으로 인해 버려지게 되는 광원의 양이 상당하며, 이렇게 버려진 광원은 활용 없이 그대로 손실되어버린다.
또한, 종래의 영상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하나의 화면만을 구성해주기 때문에, 듀얼 화면 구성을 통한 영상 응용에 이용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하여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영상 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영상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하는 제1편광분리기;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가 패널에서 반사되고, 액정을 통과하면서 제2파로 변형되어 제1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되는 제1액정화면표시장치;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제2편광분리기; 및 상기 제2편광분리기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가 패널에서 반사되고, 액정을 통과하면서 제1파로 변형되어 제2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되는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하는 제1편광분리기와,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2파로 변형하여 출력하는 제1액정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제2편광분리기와, 상기 제2편광분리기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1파로 변형하여 출력하는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상기 제1액정화면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제2파가 투사되어 제1화면을 표시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액정화면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제1파가 투사되어 제2화면을 표시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원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하여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영상 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영상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판을 설치한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듀얼 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동기화된 편광 신호(제1파, 제2파)를 2개의 액정화면표시장치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편광분리기로 빛이 입사될 때 편광 분리되어 분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광분리기(120) 및 제2편광분리기(150)를 포함하는 2개의 편광분리기(PBS: Polarizing Beam Splitter)와,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 및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를 포함하는 2개의 액정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제1편광분리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한다.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는,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반사시킨 제1파를 액정을 통과시켜 제2파로 변형하여 제1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한다.
제2편광분리기(150)는,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한다. 여기서, 제2편광분리기(150)가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이유는,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는 완전한 제2파 아닐 수 있으며, 제1파 성분도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는, 제2편광분리기(150)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반사시킨 제2파를 액정을 통과시켜 제1파로 변형하여 제2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한다.
위에서 언급한 제1파와 제2파 중 하나는 P파이고 나머지는 S파일 수 있다. 여기서, P파는 제1편광분리기(120) 또는 제2편광분리기(150)에서 대각선 경계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나아가는 빛이고, S파는 제1편광분리기(120) 또는 제2편광분리기(150)에서 대각선 경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아가는 빛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가 듀얼 화면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와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는,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입사광을 위한 광원(110)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 또는 레이저(Laser)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광원은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를 포함하는 RGB LED 광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 예로, 제1액정화면표시장치 및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패널과 액정을 포함하는 실리콘 액정(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빔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가 빔프로젝터 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에서 출력된 제2파는, 제1편광분리기(120)를 거쳐 수직으로 이동하여 제1스크린(140)에 투영되어 제1화면을 구성하고,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에서 출력된 제1파는 제2편광분리기(150)를 거쳐 수평을 이동하여 제2스크린(170)에 투영되어 제2화면을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편광분리기(120) 및 제2편광분리기(150)를 포함하는 2개의 편광분리기와,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 및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를 포함하는 2개의 액정화면표시장치 이외에도, 빛을 굴절시키거나 경로 등을 바꾸기 위하여, 빛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렌즈나 프리즘 등의 추가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빛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추가 구성을 더 구비하여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빛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빛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집광렌즈(210), 플라이아이즈 렌즈(Flyeyes Lens, 230), 제1포커싱렌즈(240), 제2포커싱렌즈(2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빛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터닝 프리즘(Turning Prism, 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입사광을 위한 광원(110)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 또는 레이저(Laser)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광원(110)은, 적색 LED(R), 녹색 LED(G) 및 청색 LED(B)를 포함하는 RGB LED 광원(200)이다. 여기서, RGB LED 광원(200)은, 적색 LED(R)에서 나온 적색 빛과, 녹색 LED(G)에서 나온 녹색 빛과, 청색 LED(B)에 나온 청색 빛 각각의 비율을 조정하여 특정 색을 갖는 빛을 입사광으로 내보내는 X-큐브(Cube)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선명한 듀얼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즉,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입사광, 제1파(편광) 및 제2파(편광) 중 하나 이상의 빛의 경로 상에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의 출력 측과, 제1편광분리기(120) 및 제2편광분리기(150) 사이와,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의 출력 측 등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편광판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판을 예시적으로 설치한 영상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 예로, 제1화면의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에서 출력된 제2파가 제1스크린(140)에 투영되기 전, 제2파의 편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편광분리기(120)와 제1포커싱렌즈(240) 사이에 편광판(31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화면의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가 제2편광분리기(150)로 들어가기 전, 제2파의 편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편광분리기(120) 및 제2편광분리기(150) 사이에 편광판(32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화면의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에서 출력된 제1파가 제2스크린(170)에 투영되기 전, 제1파의 편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편광분리기(150)와 제2포커싱렌즈(250) 사이에 편광판(330)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1편광분리기(120) 및 제2편광분리기(150)는, 영상 대비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듀얼 화면(=제1화면+제2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동기화된 편광 신호(제1파, 제2파)를 2개의 액정화면표시장치(130, 160)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화면과 제2화면을 포함하는 듀얼 화면을 투사하기 위하여, 광원 드라이버에 의해 공급되는 하나의 입사광(RGB 광원 또는 RGB 신호)에 대하여, 구동보드(420)의 신호동기화 모듈에 의하여, 동기화된 신호가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와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40) 각각의 패널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편광분리기로 빛이 입사될 때 편광 분리되어 분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편광분리기로 입사된 빛이 편광 분리되어 분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광분리기가 제1편광분리기(120)인 것으로 가정하고, 입사된 빛(L)이 입사광이고, 제1파가 P파이며, 제2파가 S파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편광분리기(120)는 입사된 입사광(L)을 P파(L1)와 S파(L2)로 편광 분리하고, P파(L1)는 대각선의 경계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나아가도록 하고, S파(L2)는 대각선의 경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아가도록 P파(L1)와 S파(L2)를 분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되어 분배된 P파(L1)은,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로 입사되어 패널(510)에서 반사가 된다. 반사된 P파(L1)은 액정(520)을 통과하면서 S파(L1')로 변형된다. 이렇게 변형된 S파(L1')는, 다시, 제1편광분리기(120)를 입사되어, 대각선의 경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아가도록 분배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하여 듀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영상 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영상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에서 출력된 제2파(예: S파)에 의해 구성된 제1화면과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에서 출력된 제1파(예: P파)에 의해 구성된 제2화면 중 하나는 출력하고자(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 화면이고 나머지 하나는 영상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일 수 있다.
전술한 제어화면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크린(제1스크린(140) 또는 제2스크린(170))에서 구성되고,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영상출력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상의 제어화면에 표시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터치 조작하면, 별도의 컴퓨터나 장치가 영상 출력 제어를 위한 터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출력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입사광은, 편광 분리 가능한 제1파 성분과 제2파 성분을 포함하는데, 제1파 성분과 제2파 성분 중 하나의 성분에는 영상출력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실리고 나머지 성분에는 제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실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6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600)은, 영상 표시 장치(100), 제1스크린(610) 및 제2스크린(620) 등을 포함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광원(110)으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하는 제1편광분리기(120)와,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반사시킨 제1파를 액정을 통과시켜 제2파로 변형하여 제1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하는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와, 제1편광분리기(120)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제2편광분리기(150)와, 제2편광분리기(150)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반사시킨 제2파를 액정을 통과시켜 제1파로 변형하여 제2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하는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를 포함한다.
제1스크린(610)은, 제1액정화면표시장치(130)에서 출력된 제2파가 투사되어 제1화면을 표시한다.
제2스크린(620)은, 제2액정화면표시장치(160)에서 출력된 제1파가 투사되어 제2화면을 표시한다.
전술한 제1스크린(610) 및 제2스크린(620) 중 하나 이상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화면과 제2화면 중 하나 이상은 가상의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원(110)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듀얼 화면(제1화면+제2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600)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원(110)에 대하여 버려지는 광원을 활용하여 듀얼 화면(제1화면+제2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영상 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여 영상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빔프로젝터 장치 등의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600)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하는 제1편광분리기;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2파로 변형하여 제1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하는 제1액정화면표시장치;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제2편광분리기; 및
    상기 제2편광분리기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1파로 변형하여 제2화면의 구성을 위해 출력하는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사광, 상기 제1파 및 상기 제2파 중 하나 이상의 빛의 경로 상에 하나 이상의 편광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와 상기 제2파 중 하나는 P파이고 나머지는 S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분리기 및 상기 제2편광분리기는, 편광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중 하나는 영상출력 화면이고 나머지는 상기 영상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이되,
    상기 하나의 입사광은, 편광 분리 가능한 제1파 성분과 제2파 성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파 성분과 상기 제2파 성분 중 하나의 성분에는 상기 영상출력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실리고 나머지 성분에는 상기 제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정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는,
    상기 하나의 입사광에 대하여 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입사광을 위한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 또는 레이저(Laser)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1액정화면표시장치 및 상기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패널과 액정을 포함하는 실리콘 액정(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빔프로젝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하나의 입사광을 제1파와 제2파로 편광 분리하는 제1편광분리기와,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1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2파로 변형하여 출력하는 제1액정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제1파와 제2파로 다시 편광 분리하는 제2편광분리기와, 상기 제2편광분리기에서 다시 편광 분리된 제2파를 패널에서 반사시키고 액정을 통과시켜 제1파로 변형하여 출력하는 제2액정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상기 제1액정화면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제2파가 투사되어 제1화면을 표시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액정화면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제1파가 투사되어 제2화면을 표시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는 상기 입사광, 상기 제1파 및 상기 제2파 중 하나 이상의 빛의 경로 상에 하나 이상의 편광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 중 하나 이상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KR1020100067665A 2010-07-14 2010-07-1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16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65A KR101169923B1 (ko) 2010-07-14 2010-07-1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65A KR101169923B1 (ko) 2010-07-14 2010-07-1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1A KR20120007101A (ko) 2012-01-20
KR101169923B1 true KR101169923B1 (ko) 2012-08-09

Family

ID=4561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665A KR101169923B1 (ko) 2010-07-14 2010-07-1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485A (ja) * 2012-09-28 2018-05-17 深▲せん▼市光峰光電技術有限公司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光源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投影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620B (zh) 2013-09-13 2016-03-1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屏幕显示装置
KR102214592B1 (ko) * 2015-12-17 2021-02-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치입력인식장치
KR102022599B1 (ko) * 2017-08-01 2019-09-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KR102100412B1 (ko) * 2019-09-09 2020-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284A (ja) * 1997-04-24 1998-11-13 Nikon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
KR100939501B1 (ko) * 2007-02-20 2010-01-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284A (ja) * 1997-04-24 1998-11-13 Nikon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
KR100939501B1 (ko) * 2007-02-20 2010-01-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의 투사형 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485A (ja) * 2012-09-28 2018-05-17 深▲せん▼市光峰光電技術有限公司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光源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投影システム
JP2019105850A (ja) * 2012-09-28 2019-06-27 深▲せん▼光峰科技股▲分▼有限公司 光源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投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1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204B2 (en) Light source apparatus used in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10051209B2 (en) Combined visible and non-visible projection system
US20080055550A1 (en) Microprojector
JP5360683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10116992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10204333A (ja) プロジェクター
US20160286183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100856598B1 (ko) 파장선택성 편광변환소자, 조명광학계, 투사표시광학계 및화상투사장치
JP4732089B2 (ja) 波長選択性偏光変換素子、投射表示光学系および画像投射装置
US8508677B2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projector
CN103855600A (zh) 激光模块和扫描投影仪
JPWO2016080114A1 (ja) 投影装置
US8827457B2 (en) Projector
JP2014153545A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眼鏡
JP2010243987A (ja) 光合波器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投影装置
JP2009229730A (ja) 偏光素子、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8300160B2 (en) Projector system
JP2015049272A (ja) 投射型表示装置
US8002412B2 (en) Projection system employing semiconductor diode
WO2021210410A1 (ja) プロジェクタ
US6831788B2 (en) Polarization beam splitter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030697A (ko) 파장선택성 편광변환소자, 투사 표시 광학계 및 화상투사장치
KR100763396B1 (ko) 조명 광학계
JP2006284648A (ja) 偏光変換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6502434A (ja) 透過型投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