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013A - 얀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 Google Patents

얀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013A
KR20080075013A KR1020087015941A KR20087015941A KR20080075013A KR 20080075013 A KR20080075013 A KR 20080075013A KR 1020087015941 A KR1020087015941 A KR 1020087015941A KR 20087015941 A KR20087015941 A KR 20087015941A KR 20080075013 A KR20080075013 A KR 2008007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d graphite
yarn
cutting
cylindrical mem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826B1 (ko
Inventor
다카히사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08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21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085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835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D04C1/04Carbonised or like l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20Packing materials therefor
    • F16J15/22Packing materials therefor shaped as strands, ropes, threads, ribbon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2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with radially or tangentially compressed pack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6Packings, gaskets,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Devi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기재로서의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을, 저렴하게 실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상태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얀의 제조방법을 실현하여 제공한다. 그 때문에, 섬유재(2)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진 상태에서 연속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연속해서 절단하는 세단공정(S)과, 이 세단공정(s)에 의해 작성되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4)를 상기 통형상부재(3) 내에 안내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공급충전공정(k)을 갖는다.
섬유재, 팽창흑연재, 세단공정, 공급충전공정, 팽창흑연시트, 글랜드 패킹

Description

얀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YARN AND GLAND PACKING}
본 발명은 얀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편조타입의 글랜드 패킹이나 끈 형상 가스켓, 내화직물 등에 이용되는 얀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들 제조장치나 제조방법에 의해서 작성되는 얀을 이용한 글랜드 패킹에 관한 것이다.
유체기구의 축봉(軸封)부 등에 이용하는 글랜드 패킹이나, 그것에 이용하는 얀(편사)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재로서 팽창흑연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특허문헌 1, 2에 있어서는, 글랜드 패킹용으로서의 얀을 섬유재의 편조(니트뜨기나 주머니뜨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장척(長尺)형상의 팽창흑연시트를 충전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얀을 복수개 이용해서의 비틀림가공 또는 편조(예: 8개의 편사에 의한 8타 각편(角編))에 의해 글랜드 패킹이 작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팽창흑연제 얀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은 팽창흑연기재의 외주를 보강선재(補强線材)로 니트뜨기 등 하여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얀을 편조하여 글랜드 패킹을 제조할 때에 각 얀에 생기는 인장력이나 비틀림힘에 대하여, 보강선재의 편조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가 이것에 대항하고, 그 통형상부재 내에 있는 팽창흑연기재의 파단이 방지되는 것을 기도(企圖)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얀을 만드는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3(도 1 참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통형상부재 내에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을 투입해간다는 제조방법 또는 수단으로서의 사고방식이 개시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실제로 어떻게 해서 효율 좋게 생산시키는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 소63-1863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공고 평6-27546호 공보
특허문헌 3: 특허 제256260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기재로서의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을, 저렴하게 실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상태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조방법이나 제조장치, 즉 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실현하여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 그 개선된 얀의 제조방법이나 제조장치에 의한 얀을 이용한 생산성 좋은 글랜드 패킹을 얻는 것도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은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진 상태에서 연속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절단하는 세단공정과, 이 세단공정에 의해서 작성되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공급충전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단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을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시트를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상기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충전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세단공정을 거쳐 공급되어 오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깔때기를 이용하여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낙하안내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충전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세단공정을 거쳐 공급되어 오는 상기 팽창흑연재를 그 공급 순으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낙하안내공급시킴으로써, 복수의 상기 팽창흑연재를 서로의 단부위치를 통형상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 위치가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단공정으로의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공급속도와,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절단작동부터 다음의 절단작동까지의 동안의 대기시간과의 적어도 한쪽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재의 폭치수 및 상기 단부위치의 어긋남 량의 적어도 한쪽을 가변조절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은 글랜드 패킹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얀의 복수개를 집속하여 비틀림가공 또는 편조하여 끈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은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팽창흑연시트를 연속공급 가능한 팽창흑연공급기구와, 상기 팽창흑연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세단기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서 반송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절단 자유로운 세단기구와, 상기 세단기구에 의해서 작성된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을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는 안내공급기구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공급기구는 띠 형상의 팽창흑연시트를 권회(감기)장비 자유로운 릴을 이것에 권회되는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풀림이 자유로운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팽창흑연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한 쌍의 롤러로 협지하는 동시에, 그들 양 롤러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 회전시키는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단기구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을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급기구는 상기 세단기구의 종단부에 대경의 상단개구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하방향 자세로 배치되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단부에 소경의 하단개구부가 배치되는 깔때기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급기구는 상기 세단기구에 의해서 작성된 팽창흑연재를 그 절단 순으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는 것이고, 복수의 상기 팽창흑연재가, 서로의 단부위치가 통형상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3에 관련되는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에 의한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반송속도, 및/또는 상기 세단기구에 있어서의 절단작동으로부터 다음의 절단작동까지의 동안의 대기시간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재의 폭치수, 및/또는 상기 단부위치의 어긋남 량을 가변조절 설정하는 조절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4에 관련되는 발명은 글랜드 패킹에 있어서, 청구항 7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얀의 복수개를 집속하여 비틀림가공 또는 편조하여 끈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안내공급기구에 의한 「어긋남 량」의 형성상황의 전체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도 3의 (a)∼(c)는 어긋남 량의 형성상황의 전반부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도 4의 (a), (b)는 어긋남 량의 형성상황의 후반부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도 5는 얀 내부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의 배열 상황을 타나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얀의 편조에 의한 글랜드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팽창흑연재의 단면형상 및 치수비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팽창흑연재의 폭/두께의 비율과 최소 구부림 반경과의 대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팽창흑연재의 폭/두께의 비율과 최소 구부림반경과의 관계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글랜드 패킹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얀의 종래품과 본 발명품과의 늘림에 관한 특성비교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반송기구 및 세단기구의 개략의 동작타임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얀 2: 섬유재
3: 통형상부재 4: 팽창흑연재
5: 글랜드 패킹 9: 팽창흑연시트
9a: 시트면 10: 릴
11, 12: 롤러 14: 절단날
17: 깔때기 17a: 상단개구부
17b: 하단개구부 a: 팽창흑연공급기구
b: 반송기구 c: 세단기구
d: 안내공급기구 k: 공급충전공정
s: 세단공정 A: 얀의 제조장치
T: 대기시간 V: 팽창흑연시트의 공급속도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얀의 제조방법, 그로 인한 설비인 얀의 제조장치,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얀, 및 그 얀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글랜드 패킹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얀의 제조장치와 그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각 도면이고, 도 5는 얀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의 배열상 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도 5의 얀을 이용하여 작성된 글랜드 패킹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팽창흑연재의 단면치수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 9는 팽창흑연재의 종횡비와 구부림 반경과의 관계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글랜드 패킹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각각의 얀의 늘어남에 관한 데이터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절단작동 등에 관한 타임챠트 도면이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얀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조장치(A)의 개략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제조장치(A)는 섬유재(2)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1)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팽창흑연시트(9)를 연속공급 가능한 팽창흑연공급기구(a)와, 팽창흑연공급기구(a)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세단기구(c)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기구(b)와, 반송기구(b)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소폭으로 절단 자유로운 세단기구(c)와, 세단기구(c)에 의해 작성된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4, 팽창흑연섬유)를 통형상부재(3) 내에 안내공급하는 안내공급기구(d)와, 복수의 섬유재(2)를 편조하여 통형상부재(3)를 작성해 가는 편물기(e)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팽창흑연공급기구(a)는 띠 형상의 팽창흑연시트(9)를 권회(감기)장비 자유로운 릴(10)을 축심(P) 둘레로 정역(正逆) 중 어느 한 방향으로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가방향으로의 릴(10)의 회전에 의해, 이것에 권회되는 팽창흑연시트(9)를 감기해제하여 꺼내어 연속공급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반송기구(b)는 팽창흑연공급기구(a)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상하 한 쌍의 롤러(11, 12)로 협지하는 동시에, 그들 양 롤러(11, 12) 중 적어도 한쪽(11)을 반송구동부(13)에 의해 구동회전시키는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팽창흑연시트(9)를 수평방향으로 횡(가로)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릴(10)은 반송기구(b)에 의한 팽창흑연시트(9)의 강제반송에 의해 추종 회전하고, 팽창흑연시트(9)를 감기해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세단기구(c)는 수평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14)과, 이것을 팽창흑연시트(9)의 시트면(9a)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세단구동부(15)와, 절단날(14)과 쌍을 이루는 받침대(16)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이나 도 4에 있어서의 '21, 22'는 팽창흑연시트(9)나 팽창흑연재(4)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받침대(16)와 쌍을 이루는 누름편이다. 절단날(14)은 시트면(9a)에 대하여 각도가 있는 날끝(14a)을 갖는 것(소위 기요틴 커터(guillotine cutter))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강이동하는 것에 의해 팽창흑연시트(9)를 폭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순차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날(14)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세단구동부(15)는 공지의 각각의 구조가 선택 설정되는 것이고, 그 상세한 것은 할애한다.
안내공급기구(d)는 세단기구(c)의 종단부에 대경의 상단개구부(17a)가 배치되고, 또한, 상하방향자세로 배치되는 통형상부재의 상단부에 소경의 하단개구부(17b)가 배치되는 상하방향자세의 깔때기(17)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안내공급기구(d)는 세단기구(c)에 의해서 작성된 소폭으로 단책형상인 팽창흑연 재(4)가 절구형상으로 경사진 깔때기 내면(17c)에 낙하하여 당접함으로써, 가로누움자세에서 상하방향자세로 자세변경되면서, 그 절단 순으로 통형상부재(3) 내에 안내공급되도록 작용하는 것이고, 복수의 팽창흑연재(4)가, 서로의 단부위치가 통형상부재(3)의 긴 쪽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소정량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통형상부재(3)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부재(3)는 편물기(e)에 의해서 편조되어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작성되는 것이고, 그 편물기(e)에 하단개구부(17b)가 삽입배비(配備)됨으로써, 순차작성되는 통형상부재(3) 내에 팽창흑연재(4)가 충전되어 얀(1)이 작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기구(b), 세단기구(c), 및 편물기(e)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8) 및, 팽창흑연재(4)의 폭치수를 설정하는 폭설정수단(19, 조절설정수단의 일례), 팽창흑연재(4)끼리의 단부의 어긋남 량을 설정하는 어긋남 량 설정수단(20, 조절설정수단의 일례)이 제어장치(18)를 설치하여 구동제어부(L)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조장치(A)에 의한 얀의 제조방법은 반송공정(h)과 세단공정(s)과 공급충전공정(k)을 거쳐서 얀(1)이 제조되게 되어 있다. 반송공정(h)은 반송구동부(13)를 구동시켜서 팽창흑연시트(9)를 협지하고 있는 한 쌍의 롤러(11, 12)를 구동회전시키고, 그것에 수반하여 릴(10)이 추종 회전하여 권회되고 있는 팽창흑연시트(9)가 감기해제되는 것이고, 롤러(11, 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세단기구(c)로의 팽창흑연시트(9)의 반송속도(V, 도 3 등을 참조)를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단공정(s)은 소정의 폭을 가진 상태에서 연속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연속하여 절단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세단구동부(15)를 구동하여 절단날(14)을 하강절단이동 및 상승복귀이동을 반복 실시하는 것(절단날(14)을 팽창흑연시트(9)의 시트면(9a)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9)를 소정의 소폭(w)을 가진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4)에 세단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절단된 팽창흑연재(4)는 직하에 배비되어 있는 깔때기(17) 내에 낙하해 가게 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소폭으로 절단」이란, 세단기구(c)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움직이는 것에 의해 절단날(14)로 순차 팽창흑연시트(9)를 세단한다는 뜻이고, 그 구동속도를 증감 변경함으로써 상기 소폭(w)을 임의로 증감할 수 있다. 이것은 세단기구(c)의 구조상, 절단되는 측인 팽창흑연시트(9)를 기준으로 하면, 「연속적으로 소폭으로 절단」이라는 말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충전공정(k)은 세단공정(s)에 의해 작성되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4)를 통형상부재(3) 내에 안내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단공정(s)을 거쳐서 낙하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재(4)를 깔때기 내면(17c)에서 받아내어 하단개구부(17b)로 안내함으로써, 가로누움자세를 상하방향자세로 바꾸고 나서 통형상부재(3)에 공급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공정이고, 그 공급 순으로 통형상부재(3) 내에 낙하안내공급시킴으로써 인접하는 팽창흑연재(4, 4)끼리에는 서로의 단부위치가 상하방향으로(통형상부재(3)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D)만큼 위치가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통형상부재(3) 내에 공급하 도록 이루어져 있다.
얀의 제조장치(A, 제조방법)에 의한 이상의 공정에 의해, 릴(10)에 권회되어 있는 팽창흑연시트(9)를 소폭이고 단책형상인 팽창흑연재(4)로 세단하고, 그 세단에 의해서 작성되는 다수의 팽창흑연재(4)를, 편물기(e)로 작성되는 임의의 통형상부재(3) 내에 깔때기(17)를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섬유재(2)의 편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1)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얀(1)의 실시예 및 제조장치(A)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14)이 상승하는 동시에 반송기구(b)의 구동이 재개되고, 그때까지 정지하고 있던 팽창흑연시트(9)가 속도(V, 단위: ㎜/초)로 반송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연폭설정수단(20)에 의해서 설정된 거리(w)만 반송되면, 반송기구(b)가 정지된다. 이때, 이미 세단되어 팽창흑연시트(9)의 선단에 존재하는 팽창흑연재(4a)는 속도(V)로써 수평방향으로 압출되어 튀기 시작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최초로 절단된 팽창흑연재(4)를 제 1 팽창흑연재(4a)부터 순차, 제 2, 제 3 팽창흑연재(4b, 4c)로 부르기로 하고, 또, 제 1 팽창흑연재(4a) 전에 이미 작성되어 있는 것은 제 0 팽창흑연재(4z)로 부르기로 한다. 또, 도 3, 4에 있어서, 롤러(11, 12)의 축부(11a, 12a)가 “○”로 그려져 있는 것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상태로 그려져 있는 것은 회전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기구(c)가 구동되고, 상승대 기위치에 있는 절단날(14)이 하강이동하여 팽창흑연시트(9)의 선단부를 폭(w)으로 세단(절단)하고, 다음의 팽창흑연재(4b)를 작성한다. 이때, 속도(V)로 튕겨나간 팽창흑연(4a)은 중력가속도(G)에 의해서 점점 하강하면서도 수평거리(W)분은 비산한 상태에 있다. 결국, 절단날(14)에 의한 절단으로부터 다음의 절단까지의 대기시간(타임 래그)을 T(단위: 초)라고 하면, 그동안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4a)의 비산거리(W)=VT이고, 이것이 팽창흑연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팽창흑연재(4a, 4b)끼리의 수평방향의 간격이다. 단, 절단날(14)에 의한 절단작용은 한순간(시간 0)에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검토하고 있다.
도 4의 (a)는 제 2 팽창흑연재(4b)의 팽창흑연시트(9)에 의한 압출이 완료하여 단독으로 튀어나가도록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팽창흑연재(4a)는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약간 이동하고 있고, 제 2 팽창흑연재(4b)와의 수평방향의 간격은 상기의 비산거리(W)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세단작용되어 제 3 팽창흑연재(4c)가 작성되었을 때에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팽창흑연재(4b)와 제 3 팽창흑연재(4c)와의 수평방향의 간격은 W이고, 그때 깔때기(17)의 내면(17c)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팽창흑연재(4a)와, 그 전에 이미 작성되어 있는 제 0 팽창흑연재(4z)와의 단부끼리의 「어긋남 량」은 D이고, D=αW(=αVT)이다.
α는 계수이고, 이 계수(α)는 수평방향의 간격(W)을 통형상부재(3) 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어긋남 량으로 환산하기 위한 것이며, 안내공급기구(d) 등의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서 결정되는 요소이다. 이 경우와 같이 수평방향의 거리(W)는 절단위치와 통형상부재(3)와의 높이에 따른 중력가속에 의한 간격의 증폭작용이나, 깔때기 내면(17c)을 슬라이딩 낙하하는 마찰저항 등 여러 가지의 요인에 의해서 계수(α)가 결정되는 것이지만,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할애한다. 실제 어긋남 량(D)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20∼30㎜나, 그것 이외의 값으로 설정된다.
인접하는 팽창흑연재끼리의 수평방향의 간격(W)은, 즉, 어긋남 량(D)은 팽창흑연시트(9)의 반송속도(V) 및 절단날(14)의 대기시간(T)[대략 도 3의 (b)의 상태에서 도 4의 (a)의 상태까지의 시간이고, 정확하게는 도 12를 참조]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반송속도(V)가 빠르고, 또한, 대기시간(T)이 긴 경우는 「어긋남 량(D)」은 커지고, 반송속도(V)가 늦고, 또한, 대기시간(V)이 짧은 경우는 「어긋남 량(D)」은 작아진다. 또, 반송속도(V)가 빠르고, 또한, 대기시간(T)이 짧은 경우나, 반송속도(V)가 늦고, 또한, 대기시간(T)이 긴 경우도 고려되며, 이들 양자의 조절 여하에 의해서 즉, 어긋남 량 설정수단(20)에 의해서 어긋남 량(D)을 임의로 가변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시간(T)의 개시직전의 시간대인 보냄시간(Th)[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도 3의 (b)의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고, 정확하게는 도 12를 참조]에 반송속도(V)를 곱한 것(VTh)이 팽창흑연재(4)의 폭(w)이고, 이 보냄시간(Th) 및 반송속도(V)가 폭설정수단(19)에 의해서 설정되고, 그것에 따라서 팽창흑연재(4)의 폭(w)이 결정되는 것이다. 단, 반송속도(V)는 폭설정수단(19)과 어긋남 량 설정수단(20)과의 쌍방으로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어느 하나 먼저 조작된 쪽의 설정속도가 우선설정되는 바와 같은 상태로 조건설정 해 두면 좋다.
참고로서, 도 12에 세단기구(c)에 의한 세단작용의 개략의 타임챠트를 나타내 둔다. 도 12에 있어서는 임의의 절단시를 기준으로 하여 반송기구(b)와 세단기구(c)의 구동 및 정지에 관한 작동순서를 경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작용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그리고 있다. 이 타임챠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송속도(V)를 고정한 경우, 팽창흑연재(4)의 폭(w)은 보냄시간(Th)에 의해서, 그리고 어긋남 량(D)은 대기시간(T)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어서, 상기한 얀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얀(1)의 형상이나 특성, 및 몇 가지의 실시예, 그리고 그 얀(1)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글랜드 패킹(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제조장치(A)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랜드 패킹용의 얀(편사)(1)은 도 1, 2,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재(2)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 내에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4)의 다수가, 서로의 단부위치를 팽창흑연재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D)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팽창흑연재(4)의 단면형상은 폭을 두께로 나눈 값인 종횡비(h)가 1∼5(1≤h≤5)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종횡비(h)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흑연재(4)의 단면수치에 있어서의 폭(w)을 두께(t)로 나눈 값(h=w/t)이다. 그리고, 팽창흑연재(4)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 긴 원형이나 타원지름 등,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통형상부재(3) 의 내부에, 단부위치가 D만큼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팽창흑연재(4)를 투입해 감으로써,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재(3) 내에 있어서, 서로의 단부위치가 D 어긋난 상태에서 다수의 팽창흑연재(4)가 충전되는 상태의 얀(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얀 긴 쪽 방향으로 인접하는 팽창흑연재(4)끼리의 사이인 도중 절단부(f)는 서로에게 D씩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얀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개소에 다수의 도중 절단부(f)가 집중하여 그 부분의 얀(1)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일이 생기기 어렵거나 또는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편의상, 도 5에 있어서는 도중 절단부(f)를 과장하여 그리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는, 팽창흑연재(4)의 두께(t)가 0.25㎜, 0.38㎜, 0.50㎜의 3종류에 대하여, 종횡비(h)가 1.5, 2, 3, 4, 5의 5종류의 합계 15가지 샘플(얀(1))에 대하여, 횡방향의 구부림 가능 반경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취한 것이다. 이 경우의 「구부림 가능 반경」이란, 팽창흑연재(4)의 절단, 깨짐, 외장섬유재(2)의 사이로부터의 비어져 나옴이 생기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최소지름의 것이다. 팽창흑연재(4)의 두께(t)가 0.25㎜인 것은 소경 글랜드 패킹용의 얀에, 0.38㎜인 것은 보급형 글랜드 패킹용 얀에, 그리고 0.50㎜인 것은 대경 글랜드 패킹용 얀에 각각 적합하다는 사용형태가 고려된다.
그리고 도 8의 표나, 도 9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흑연재(4)의 종횡비(h)가 5 이하가 되면 실용에 견딜 수 있는 최소 구부림 반경값이 얻어지는 것이고, 종횡비(h)가 3이하가 되면, 최소 구부림 반경이 극단적으로 작게 되는 것이 엿보인다. 따라서, 종횡비(h)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0∼3.0의 범위(1.0≤h≤3.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가 1이면, 두께가 0.25㎜인 경우에는 폭도 0.25㎜가 되고, 물리적으로 절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절단작업의 실정으로부터, 종횡비(h)의 하한을 1로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도 8, 9의 실험데이터로부터는 종횡비(h)가 1.5∼3.0의 범위의 얀(1)이 양호하다.
도 6에 나타내는 글랜드 패킹(5)은 상기의 얀(1)의 8개(복수개의 일례)를 심재(芯材)(S)의 둘레에(심재(S)가 없어도 좋다) 집속하여 비틀림 가공 또는 편조(8타 각편 등)하여 끈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것을 연속하여 둥글게 하여 압축 성형함으로써, 단면이 직사각형형이고 전체 형상이 도우넛형인 링형의 글랜드 패킹(G)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랜드 패킹(G)은 회전축(6)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는 상태로 패킹 박스(7)에 장비되고, 또한, 패킹덮개(8)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회전축(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밀봉작용하도록 이용된다.
[얀의 실시예 1]
실시예 1에 따른 얀은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섬유재(2)로서 직경 0.1㎜정도의 인코넬선(또는 스테인레스선 등)을 이용하여 편조(니트뜨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 내에 두께(t) 0.38㎜×폭(w) 1.0㎜의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또한, 길이가 200㎜ 전후인 팽창흑연재(4)의 다수를, 그들의 단부의 위치를 20㎜ 어긋나게 하면서 넣어 충전시키고, 단면형상이 원 형(환형)인 얀(1)으로 한다. 결국, 팽창흑연재(4, 4)끼리의 단부의 어긋남 량(D)=20㎜로 설정한 예이다. 이 실시예 1에 따른 제 1 얀(1)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4)의 종횡비(h)는 h=1.0/0.38≒2.63이고, 또, 중량은 5g/m였다.
도 3에 실시예 1의 얀(1)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글랜드 패킹(5)이 나타나 있다. 이 글랜드 패킹(5)은 실시예 1의 얀(1)을 8개 이용하여 편조(8타 각편 등)한 후에, 표면에 팽창흑연을 도포하고, 단면이 세로 8㎜이고, 가로 8㎜인 정방형을 나타내는 글랜드 패킹(5)을 제작했다.
[얀의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얀은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작성된다. 단면사이즈가 두께 0.38㎜로, 폭 1.0㎜, 길이 200㎜인 팽창흑연재(4)를, 그 단부를 30㎜씩 어긋나게 하면서 집속시켜서 장척품으로 하고, 그 외주를 선경(線俓) 0.1㎜인 인코넬선에 의한 섬유재(2)를 이용하여 니트뜨기하여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3)로 피복하고, 단면형상이 원형(환형)인 얀(1)을 제작했다. 결국, 팽창흑연재(4, 4)끼리의 단부의 어긋남 량(D)=30㎜로 설정한 예이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제 2 얀(1)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4)의 종횡비(h)는 h=1.0/0.38≒2.63이고, 또, 중량은 4g/m이었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얀(1)을 8개 이용하여 편조하고 나서, 표면에 팽창흑연을 도포하고, 단면이 세로 6.5㎜이고 가로 6.5㎜인 정사각형을 나타내는 글랜드 패킹(5)을 제작했다(도 3 참조).
도 11에 상기 실시예 1, 2의 얀과, 종래구조에 따른 종래품(1∼5)의 얀과의 특성비교표를 나타낸다. 종래품의 개략구성은 다음과 같다. 종래품(1)의 얀은 세폭의 팽창흑연시트의 복수장을 적층하여 그 외주를 섬유로 보강하는 구조의 것이다. 종래품(2)의 얀은 광폭의 팽창흑연 테이프를 절첩(折疊) 또는 가열하는 구조의 것이다. 종래품(4)의 얀은 종래품(3)의 얀의 외주를 추가로 섬유로 보강하는 구조의 것이다. 종래품(5)의 얀은 섬유로 형성된 통형상부재 내에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시트를 충전하는 구조의 것이다.
도 11의 특성비교표로부터 실시예 1, 2의 얀(1)의 늘어남은 종래품(1∼5)의 어느 것보다도 명확하게 우수하고, 레벨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늘어남의 대폭적인 개선에 의해 글랜드 패킹을 작성해야 할 복수의 얀(1)에 의한 편조시에, 팽창흑연재(4)가 구부림 상태에 추종할 수 없어 절단되어 버리는 불합리가 해소되기 때문에, 글랜드 패킹으로서의 밀봉성저하가 생기지 않고, 양호한 밀봉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품의 얀에서는 팽창흑연(팽창흑연시트, 팽창흑연 테이프)이 통형상부재 내에 랜덤하게 투입되어 충전되고 있기 때문에, 얀의 긴쪽 방향에 인접하는 팽창흑연끼리의 사이인 도중 절단부(도 5의 도중 절단부(f)를 참조)가 치우쳐서 존재하게 되고, 가운데에는 1개소에 도중 절단부가 집중 배치되어 버리는 등, 팽창흑연의 얀의 긴쪽 방향위치에 있어서의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그에 따라서 기계적인 늘어남도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얀을 비틀거나 구부렸을 경우에는 늘어남이 뒤떨어지는 부위에 있어서 비교적 용이하게 팽창흑연이 절단되어 버리는 불합리가 생기고 있었다고 고려된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 2에 따른 얀(1)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재(3) 내에 충전되는 다수의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균등하게 단부위치를 얀 긴쪽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중 절단부(f)의 개소가 얀(1)으로서의 긴쪽 방향으로(횡방향으로도) 균등하게 분산배치되게 되고, 통형상부재(3) 내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재(4)의 밀도가 가일층 균일화될 수 있다. 그 결과, 팽창흑연끼리의 슬라이딩에 의한 늘어남으로의 대응이 얀 긴 쪽 방향의 위치 여하에 관계없이 균일화되어 실질적으로 개선되게 되고(도 11 참조), 팽창흑연이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이 얀(1)의 비틀림 가공이나 편조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 2에 따른 얀(1), 및 그에 따른 글랜드 패킹(5)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1. 팽창흑연재의 집속 갯수를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굵기의 얀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팽창흑연재끼리의 슬라이딩이 양호하고, 그로 인해 팽창흑연이 절단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늘어남도 크다. 3. 섬유다발은 용이하게 단면이 변형되어 환형이 되기 때문에, 보강재와의 밀착성이 좋고, 또한, 구부리기 쉽다. 4. 장척의 재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하다. 5. 접착제 없이 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세단공정(s)을 실행하기 위한 세단기구(c)는, 요점은 팽창흑연시트(9)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절단하는 구조인 것이라면 좋고, 따라서 절단날(14)을 이용하는 도시의 구조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또, 반송공정(h)을 실행하기 위한 반송기 구(b)나, 공급충전공정(k)을 실행하기 위한 안내공급기구(d)는 도시한 것 이외의 구조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 팽창흑연공급기구(a), 반송기구(b), 안내공급기구(d)도 도면에 나타낸 것 이외의 구조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폭을 갖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소폭의 팽창흑연재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세단공정을 연속하는 것에 의해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연속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그 팽창흑연재를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공급충전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얀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량생산에 매우 적합한 얀의 제조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시트에 있어서는, 그 긴 쪽 방향보다 폭방향 쪽이 인장강도가 우수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팽창흑연시트를 그 긴 쪽 방향에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더욱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작성하여 통형상부재에 공급하는 방법보다도, 얀으로서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부가하여, 편조하는 등의 얀을 구부리는 것을 고려했을 경우, 팽창흑연은 늘어남을 거의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의 더욱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팽창흑연이 끊어지는 것으로 밖에 대응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재는 단책형상이기 때문에, 인접하는 것끼리가 어긋나서 움직임으로써 구부림 변형에 추종할 수 있고, 끊어져버리는 불합리는 우선 생기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 결과,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 에 기재로서의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을 그 기계적 특성에 유리한 것으로 하면서, 저렴하게 실사용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우수한 상태로 작성 가능한 얀의 제조방법을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와 같이, 세단공정에 있어서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이동에 의해서 세단하도록 하면, 절단날의 단순한 왕복 이동이면서, 팽창흑연시트로부터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절단하여 작성하는 동작을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고, 대량생산(量産)에 적합한 세단공정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작성된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깔때기를 이용하여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공급충전공정으로 하면, 세단되어 이루어지는 팽창흑연재가 낙하하는 거동만을 이용하여 효율 좋게 통형상부재 내에 충전할 수 있는 고효율이고 저렴한 제조방법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세단공정에 있어서의 절단 순으로 팽창흑연재가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단공정에 있어서의 절단작동과 그 다음의 절단작동과의 인터벌(간격)을 이용하여 통형상부재에 공급될 때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팽창흑연재끼리의 단부의 위치 어긋남 길이, 즉 어긋남 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용의 어긋남 량 설정공정을 별도 설치하는 대규모의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고, 간단하고 저렴한 안내충전공정으로 하면서 팽창흑연재를 소정량 위치 어긋나게 하면서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세단공정으로의 팽창흑연시트의 공급속도, 및/또 는 팽창흑연시트의 절단작동으로부터 다음의 절단작동까지의 동안의 대기시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팽창흑연재의 폭치수나 서로 인접하는 팽창흑연재 끼리의 단부위치의 어긋남 량 조절 설정공정을 별도 설치하는 대규모의 설비가 불필요하게 되고, 간단하고 저렴한 안내충전공정으로 하면서,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되는 팽창흑연재의 어긋남 량을 임의로 조절 설정할 수 있는 편하고 사용하기 쉬운 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5의 발명에 의한 어느 하나의 작용효과를 이루는 얀에 의해, 밀봉성이 우수한 글랜드 패킹을 작성하여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폭을 갖는 팽창흑연시트를 폭방향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소폭의 팽창흑연재를 형성시키는 수단이기 때문에, 반송기구 및 절단기구를 계속해서 움직이게 함으로써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연속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그 팽창흑연재를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함으로써 얀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다량생산에 적합한 얀의 제조장치로 할 수 있다.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시트에 있어서는, 그 긴 쪽 방향보다 폭방향 쪽이 인장강도가 우수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팽창흑연시트를 그 긴 쪽 방향에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더욱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작성하여 통형상부재에 공급하는 것 보다도, 얀으로서의 기계적강도가 우수한 것을 얻기 쉬운 이점이 있다.
부가하여, 편조하는 등의 얀을 구부리는 것을 고려했을 경우, 팽창흑연은 늘 어남을 거의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장척형상의 팽창흑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팽창흑연이 끊어지는 것으로 밖에 대응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재는 단책형상이기 때문에, 인접하는 것끼리가 어긋나 움직임으로써 구부림 변형에 추종할 수 있고, 끊어져버리는 불합리는 우선 생기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 결과,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기재로서의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을 그 기계적 특성에 유리한 것으로 하면서, 저렴하게 실사용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우수한 상태로 작성 가능한 얀의 제조방법을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과 같이, 회전 자유로운 릴에 권회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팽창흑연시트(9)를 릴의 감기해제회전에 의해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면, 팽창흑연시트를 대량으로 유지할 수 있어 량산에 적합한 동시에 비교적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팽창흑연공급기구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와 같이, 한 쌍의 롤러로 팽창흑연시트를 협지하여 적어도 한쪽의 롤러를 구동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반송기능이 얻어지는 반송기구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0과 같이,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이동에 의해 세단하는 구성으로 하면, 절단날의 단순한 왕복이동으로 팽창흑연시트로부터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세단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한 세단기구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작성된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깔때기를 이용하여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면, 세단되어 이루어지는 팽창흑연재가 낙하하는 거동만을 이 용하여 효율 좋게 통형상부재 내에 충전할 수 있는 고효율로 저렴한 안내공급기구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2와 같이, 세단기구에 있어서의 절단순으로 팽창흑연재를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면, 세단기구에 있어서의 절단작동과 그 다음의 절단작동과의 인터벌을 이용하여 통형상부재에 공급될 때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팽창흑연재 끼리의 단부의 위치 어긋남 길이, 즉 어긋남 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용의 어긋남 량 설정수단을 별도로 설치하는 대규모의 구성이 불필요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안내공급기구로 하면서, 팽창흑연부재를 조금씩 위치가 어긋나게하면서,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3과 같이, 반송기구와 세단기구와의 구성요건을 조절함으로써 팽창흑연재의 폭치수나 어긋남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서 편리한 동시에, 청구항 14와 같이, 청구항 7 내지 13의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로 제조되는 얀을 이용하여 밀봉성능이 좋은 글랜드 패킹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4)

  1.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진 상태에서 연속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절단하는 세단공정과, 이 세단공정에 의해서 작성되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공급충전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단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을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시트를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상기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충전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세단공정을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깔때기를 이용하여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낙하안내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충전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세단공정을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상기 팽창흑연재를 그 공급 순으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낙하안내 공급시킴으로써, 복수의 상기 팽창흑연재를, 서로의 단부위치를 통형상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생부재 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단공정으로의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공급속도와,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절단작동에서 다음의 절단작동까지의 동안의 대기시간과의 적어도 한쪽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재의 폭치수 및 상기 단부위치의 어긋남 량의 적어도 한쪽을 가변조절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얀의 복수개를 집속하여 비틀림가공 또는 편조하여 끈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 패킹.
  7.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재 내에 팽창흑연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팽창흑연시트를 연속공급 가능한 팽창흑연 공급기구와, 상 기 팽창흑연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세단기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해서 반송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그 폭방향을 따라서 소폭으로 절단 자유로운 세단기구와, 상기 세단기구에 의해서 작성된 단책형상의 팽창흑연재를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는 안내공급기구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 공급기구는 띠형상의 팽창흑연시트를 권회장비 자유로운 릴을, 이것에 권회되는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감기해제가 자유롭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9. 제 7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팽창흑연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팽창흑연시트를 한 쌍의 롤러로 협지하는 동시에, 그들 양 롤러 중의 적어도 한쪽을 구동회전시키는 구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단기구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날을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시트면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급기구는 상기 세단기구의 종단부에 대경의 상단 개구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하방향 자세로 배치되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단부에 소경의 하단개구부가 배치되는 깔때기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12. 제 7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급기구는 상기 세단기구에 의해 작성된 팽창흑연재를 그 절단 순으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안내공급하는 것이고, 복수의 상기 팽창흑연재가, 서로의 단부위치가 통형상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량 위치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재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에 의한 상기 팽창흑연시트의 반송속도 및/또는 상기 세단기구에 있어서의 절단작동에서 다음의 절단작동까지의 동안의 대기시간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상기 팽창흑연재의 폭치수 및/또는 상기 단부위치의 어긋남 량을 가변조절 설정하는 조절설정수단이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의 제조장치.
  14. 제 7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얀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얀의 복수개를 집속하여 비틀림가공 또는 편조하여 끈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드 패킹.
KR1020087015941A 2006-01-17 2006-12-28 얀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제조방법 KR101108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8565A JP4372106B2 (ja) 2006-01-17 2006-01-17 ヤーンの製造装置
JPJP-P-2006-00008565 2006-01-17
JP2006008564A JP4378351B2 (ja) 2006-01-17 2006-01-17 ヤーンの製造方法
JPJP-P-2006-00008564 2006-01-17
PCT/JP2006/326198 WO2007083507A1 (ja) 2006-01-17 2006-12-28 ヤーン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013A true KR20080075013A (ko) 2008-08-13
KR101108826B1 KR101108826B1 (ko) 2012-01-31

Family

ID=3828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941A KR101108826B1 (ko) 2006-01-17 2006-12-28 얀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5262B2 (ko)
EP (1) EP1980658B1 (ko)
KR (1) KR101108826B1 (ko)
CA (1) CA2636491C (ko)
WO (1) WO20070835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13B1 (ko) * 2020-09-07 2022-02-11 주식회사 대화테크 그랜드 패킹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0647B2 (ja) * 2005-11-16 2009-10-0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ES2969100T3 (es) * 2011-02-02 2024-05-16 Syntorr Inc Hilo y sutura de denier variable
US11116498B2 (en) 2011-02-02 2021-09-14 Syntorr Inc. Variable denier yarn and suture
PL2954199T3 (pl) * 2013-02-07 2020-02-28 Lm Wp Patent Holding A/S Wiotki podłużny element z odcinkowymi włóknami szklanymi
JP5853086B1 (ja) * 2014-11-18 2016-02-0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ヤーンの製造方法
US10100444B2 (en) 2014-11-18 2018-10-1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Yarn and gland packing
CN108019517B (zh) * 2016-10-31 2020-12-01 日本皮拉工业株式会社 密封材料组合物以及包含该密封材料组合物的压盖填料
CA3100959C (en) * 2018-06-14 2024-02-13 W. L. Gore &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n-device constraining mechanism construction
US10835708B2 (en) 2018-11-16 2020-11-17 Bearaby Inc. Layered yarn and weighted blanket for deep pressure therapy
CN111115624B (zh) * 2019-12-31 2021-04-13 河南四达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石墨条的自动化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5722B (it) * 1984-09-13 1987-07-15 Montedison Spa Dispositivo di taglio per la granulazione a caldo di polimeri termoplastici
US4639863A (en) 1985-06-04 1987-01-27 Plus Development Corporation Modular unitary disk file subsystem
JPS62120996A (ja) * 1985-11-21 1987-06-02 帝人製機株式会社 薄帯体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実施装置
JPS631863A (ja) 1986-06-18 1988-01-0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グランドパツキン
JP2562603B2 (ja) * 1987-06-10 1996-12-11 日本ピラー工業 株式会社 パッキン
JP2901671B2 (ja) * 1989-11-30 1999-06-07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膨脹黒鉛製グランドパッキンの製造方法
US5225262A (en) * 1991-04-29 1993-07-06 A. W. Chesterton Co. Braided high-temperature packing comprising a core of folded flexible graphite sheet
JP2834618B2 (ja) 1992-07-10 1998-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の原稿サイズ検出センサ
JP4340647B2 (ja) * 2005-11-16 2009-10-0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13B1 (ko) * 2020-09-07 2022-02-11 주식회사 대화테크 그랜드 패킹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6491C (en) 2011-03-29
US7845262B2 (en) 2010-12-07
WO2007083507A1 (ja) 2007-07-26
CA2636491A1 (en) 2007-07-26
KR101108826B1 (ko) 2012-01-31
EP1980658A4 (en) 2014-11-05
US20090000264A1 (en) 2009-01-01
EP1980658A1 (en) 2008-10-15
EP1980658B1 (en)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826B1 (ko) 얀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제조방법
US5662855A (en) Method of making near net shaped fibrous structures
JP4378351B2 (ja) ヤーンの製造方法
JP4372106B2 (ja) ヤーンの製造装置
KR101497245B1 (ko) 코일 스프링 제조 장치
CN107109785B (zh) 线及压盖填料
EP3222777B1 (en) Method for producing yarn
JP3944361B2 (ja) グランドパッキンの構成材
CA2343291A1 (en) Method for dispensing reinforcement fibers
CN111655914B (zh) 纱线以及压盖填料
JP3823205B2 (ja) 編組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5799568B2 (ja) ニードルパンチ加工装置
JP7482826B2 (ja) ヤーン、グランドパッキン、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32253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ression-bonding portion to continuous body of web member with fiber bu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