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118A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118A
KR20080073118A KR1020070011733A KR20070011733A KR20080073118A KR 20080073118 A KR20080073118 A KR 20080073118A KR 1020070011733 A KR1020070011733 A KR 1020070011733A KR 20070011733 A KR20070011733 A KR 20070011733A KR 20080073118 A KR20080073118 A KR 2008007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nlet
media
integrat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745B1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7001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7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매체(M)가 집적되는 집적공간(35)이 구비되며, 일측에 매체가 입출되는 입출구(41)가 형성되는 집적박스(33)와; 상기 집적박스(33)를 고객접근모듈에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박스이송모터(34)와; 상기 입출구(41)로 매체를 인입시키고, 상기 입출구(41)를 빠져나온 매체를 회수함으로 하강시키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와;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입출구(41)로 인입되는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35) 내부로 전달하는 인입롤러(52); 그리고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상기 집적공간(35)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41)로 내보내는 인출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적박스에 매체가 집적되자마자 바로 고객접근모듈로 이송준비가 완료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며, 매체의 이송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매체, 집적, 이송, 회수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A media transfer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and a media transfer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매체이송장치에서 매체의 집적모듈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매체이송장치에서 매체의 회수모듈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실시예에의 매체이송장치의 동력전달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전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향을 달리하는 경우의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딜리버리모듈 31: 매체이송장치
33: 집적박스 34: 박스이송모터
35: 집적공간 41: 입출구
43: 인입구 45: 인출구
47: 인입가이드 49: 인입안내면
52: 인입롤러 52': 회전축
53: 종동기어 53': 원웨이베어링
54: 인출롤러 54': 회전축
55: 종동기어 55': 원웨이베어링
61: 회수벨트 63,65: 회수풀리
70: 제1매체이송롤러 72: 제2매체이송롤러
80: 경로가이드휠 82: 진입가이드면
86: 회수가이드면 90: 회수함
M: 매체 E: 진입경로
F: 회수경로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를 집적박스로 공급하거나 고객이 미수취한 매체를 회수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08070호에는 매체자동지급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매체자동지급기는 딜리버 리모듈, 스태킹모듈 및 이송클램프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은 매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스태킹모듈은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전달된 매체를 다수장 모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클램프모듈은 상기 스태킹모듈에 모아진 매체를 한꺼번에 집어 고객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서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일단 스태킹모듈에서 스테킹플레이트에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매체가 집적된다. 그 후 이송클램프모듈의 클램프아암이 회전하여 클램프베이스에 밀착하면서, 양자 사이에 집적된 매체를 한꺼번에 집어낸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아암과 클램프베이스는 상기 스테킹플레이트와 수평되게 회전하며, 이러한 상태로 트레이이송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고객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종래기술에서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과정이 역순으로 진행되어 상기 클램프아암과 클램프베이스가 스태킹플레이트에 구비된 회수슬롯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수슬롯이 개방되고 클램프아암이 들어올려지면, 클램핑되어 있던 매체가 상기 회수슬롯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수함으로 자유낙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기술에서는 매체를 집적하는 스태킹모듈과 집적된 매체를 클램프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이송클램프모듈이 각각 구비되므로, 장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동력전달을 위한 구성도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태킹모듈에서 집적된 매체를 클램프아암과 클램프베이스가 집어서 고객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해야 한다. 따라서 장치 구동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매체의 이송 속도도 느리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매체 회수시에 매체가 상기 회수함을 향하여 자유낙하되는데, 매체가 클램프베이스에 걸려 회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의 이송에 필요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의 이송과정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회수가 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매체가 입출되는 입출구가 형성되는 집적박스와; 상기 집적박스를 고객접근모듈에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박스이송모터와; 상기 입출구로 매체를 인입시키고, 상기 입출구를 빠져나온 매체를 회수함으로 하강시키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와;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입출구로 인입되는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인입롤러; 그리고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내보내는 인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입출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를 매체가 들어가는 인입구와 매체가 빠져나가는 인출구로 분리하는 인입가이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는 상기 집적공간을 향하는 전면이 상기 인출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가이드의 인입안내면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공간에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지는 회수벨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수벨트는 상기 인출롤러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집적면에 안착된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집적박스는 일단부가 상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는 상기 집적박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타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매체의 진입경로와 회수경로를 안내하는 경로가이드휠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매체가 출입하는 입출구가 구비되며, 고객접근모듈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적박스와; 매체를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집적박스에 집적하는 집적모듈; 그리고 상기 집적박스에 남아있는 매체를 상기 입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적모듈은, 딜리버리모듈에서 이송되어온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전달 하는 제1매체이송롤러 및 제2매체이송롤러와, 상기 입출구로 유입되는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인입롤러와, 상기 입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인입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모듈은,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도록,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상면에 매체가 안착되는 회수벨트와; 상기 입출구를 빠져나온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집적모듈에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모듈에는 상기 회수벨트와 협력하여 상기 집적 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는 인출롤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가이드의 전면은 상기 회수풀리의 단부와 밀착되며, 상기 집적공간 내부의 매체가 상기 인입가이드의 전면을 밀어내면서 상기 인출구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인입가이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입가이드에서 상기 전면과 반대쪽에는 상기 인입구로 들어온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인입안내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매체의 진입방향과 회수방향을 안내하는 경로가이드휠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경로가이드휠의 일측면에는 딜리버리모듈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진입가이드면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인출구를 빠져나와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통과한 매체를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수함으로 안내하는 회수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입롤러는 상기 인입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웨이베어링에 의해 매체가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롤러는 상기 인출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웨이베어링에 의해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를 한번에 고객에게 전달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있어서,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전달된 매체를 집적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집적박스의 집적공간에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집적박스를 고객접근모듈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객접근모듈에서 미수취되어 상기 집적박스에 남아있던 매체를 상기 집적박스의 입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를 회수하는 단계에서, 상기 매체는 상기 집적박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진 회수벨트를 따라 상기 입출구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적박스에 매체가 집적되자마자 바로 고객접근모듈로 이송준비가 완료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며, 매체의 이송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이 미수취한 매체는 집적박스로부터 강제로 인출되어 회수함으로 이송되므로 그 회수가 정확하게 이루어 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매체이송장치에서 매체의 집적모듈을 보인 개략구성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매체이송장치에서 매체의 회수모듈을 보인 개략구성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의 매체이송장치의 동력전달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전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자동지급기에는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보관부에 보관된 매체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미도시)과 딜리버리모듈(30)이 구비된다.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0)에서의 매체의 이송은 다수개의 이송롤러와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중심으로 매체이송장치(31)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는 매체집적시의 매체 진입경로(E)와 매체회수시의 매체 회수경로(F)를 각각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매체이송장치(31)는 크게 상기 딜리버리모듈(30)을 통해 전달된 매체(M)를 집적하는 집적모듈과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함(90)으로 회수하는 회수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이송장치(31)의 일측에는 집적박스(33)가 구비된다. 상기 집적박스(33)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일단부가 상향경사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 기 집적박스(33)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상기 집적박스(33)가 좌측 단부로 이동되면 매체를 고객접근모듈로 제공하게 된다. 고객접근모듈은 고객이 상기 집적박스(33) 내부의 매체(M)를 꺼내거나 매체를 집적박스(33) 내부에 집어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적박스(33)의 이동을 위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집적박스(33)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집적박스(33)가 도 1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박스(33)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박스이송모터(34)가 제공한다. 상기 박스이송모터(34)는 상기 집적박스(33)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집적박스(33)의 내부에는 집적공간(35)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공간(35)에는 상기 딜리버리모듈(30)을 통해 공급된 매체(M)가 안착되어 적층된다. 상기 집적공간(35)의 바닥면은 상기 집적공간(35) 내부로 들어온 매체(M)가 안착되는 집적면(36)이다.
또한, 상기 집적박스(33)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집적공간(35)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취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구를 통해서 고객이 상기 집적공간(35) 내부에 집적된 매체(M)를 꺼내갈 수 있다. 상기 취출구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집적박스(33)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즉 선단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적박스(33)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는 상기 집적공간(35)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입출구(41)가 구비된다. 상기 입출구(41)를 통해서 매체(M)가 상기 집적공간(35)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집적공간(35)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입출구(41)는 상기 매체(M)가 인입되는 인입구(43)와, 상기 매체(M)가 인출되는 인출구(45)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구(43)로 들어간 매체(M)는 상기 집적공간(35)에 집적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구(45)를 빠져나온 매체(M)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함(90)에 모이게 된다.
상기 인입구(43)와 인출구(45) 사이에는 인입가이드(47)가 설치된다. 상기 인입가이드(47)는 상기 딜리버리모듈(30)을 통해 공급된 매체(M)를 상기 집적공간(35)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입가이드(47)는 그 종단면이 반달모양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집적공간(35)을 향하는 전면(48)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가이드(47)에서 상기 전면(48)의 반대쪽에 위치한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매체(M)의 인입을 안내하는 인입안내면(49)이다.
상기 인입안내면(49)은 상기 인입구(43)의 내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인입안내면(49)의 곡면 형상에 의하여, 상기 인입구(43)는 하부로 갈수록 확장된다. 상기 인입구(43)가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므로, 상기 인입구(43)를 통한 매체(M)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입된 매체(M)는 상기 인입안내면(49)을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인입롤러(52)로 안내된다. 상기 매체(M)가 인입될 때에, 도 2와 같이 상기 인입가이드(47)의 전면(48)의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회수풀리(65)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인출구(45)를 차폐한다. 상기 매체(M)가 인입될 때에, 상기 인출구(45)가 차폐되므로 상기 인출구(45)로 매체(M)가 잘못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47)는 그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며, 도 2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벨트(61)에 의해 인출되는 매체(M)는 상기 인출구(45)를 차폐하고 있던 인입가이드(47)의 전면(48)을 밀어내면서 상기 집적공간(35)을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 매체(M)가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인입가이드(47)가 우측으로 순간적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인출구(45)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입가이드(47)의 상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인입롤러(52)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입롤러(52)의 회전축(52')에는 종동기어(53)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53)는 후술할 제1매체이송롤러(70)의 회전축(70')에 설치된 구동기어(71))와 서로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2')에는 상기 인입롤러(52)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베어링(53')이 설치된다. 상기 원웨이베어링(53')은 상기 인입롤러(52)의 회전축(52')을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원웨이베어링(53')에 의하여 상기 인입롤러(52)는, 집적되는 매체가 상기 집적박스(33) 내부로 이송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방향은 실질적으로 도 2에서 반시계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인입롤러(52)는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한다.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상기 인입롤러(52)는 상기 매체(M)가 회수될 때 상기 집적공 간(35) 내에 남아있던 매체(M)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매체 집적시에는 제1매체이송롤러(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인입롤러(52)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매체 회수시에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원웨이베어링(35')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입롤러(52)는 정지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입롤러(52)의 하방에는 인출롤러(54)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롤러(54)는 상기 인입롤러(52)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매체집적시에는 상기 인출롤러(54)가 정지된 상태로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벨트(61)에 밀착되며, 회수벨트(61)의 상면에 안착된 매체(M)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롤러(54)가 지지하는 매체(M)는 상기 집적공간(35)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빠져나갈 수 없도록 되며, 집적공간(35) 내에서 적층된다. 한편, 매체 회수시에는 상기 인출롤러(54)가 상기 집적공간(35)에 집적된 매체(M)를 상기 인출구(45)로 내보낸다.
이하 상기 인출롤러(54)에의 동력전달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롤러(54)의 회전축(54')에는 종동기어(55)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55)는 후술할 제2매체이송롤러(72)의 회전축(72')에 설치된 구동기어(73)와 서로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4')에는 상기 인출롤러(54)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원웨이베어링(55')이 설치된다. 상기 원웨이베어링(55')은 상기 인출롤러(54)의 회 전축(54')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원웨이베어링(55')에 의하여 상기 인출롤러(54)는, 회수되는 매체가 상기 집적박스(33)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방향은 실질적으로 도 3에서 반시계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인출롤러(54)는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한다.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상기 인입롤러(52)는, 매체(M)가 집적될 때 상기 집적공간(35) 에 적층되는 매체(M)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좀 더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과 같이, 매체집적시에는 제2매체이송롤러(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원웨이베어링(55')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출롤러(54)는 정지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매체 회수시에는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인출롤러(54)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면(36)의 일부는 회수벨트(61)의 상면이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적면(36)에 적층된 매체(M)의 저면 일부는 상기 회수벨트(61)의 상면에 놓인다. 그리고 상기 회수벨트(61)는 상부회수풀리(63) 및 하부회수풀리(65)에 걸어감아져 상기 집적면(36)에 안착된 매체(M)를 아래에서 설명될 입출구(41)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회수풀리(63,65)와 회수벨트(61)는 상기 인출롤러(54)와 협력하여 매체(M)를 입출구(41)로 밀어낸다.
상기 상부 및 하부회수풀리(63,65)와 인출롤러(54)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인출롤러(54)의 동력을 상기 상부 및 하부회수풀리(63,65)가 전달받아 회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입출구(41)의 하부에는 제1매체이송롤러(70)와 제2매체이송롤러(72)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와 제2매체이송롤러(72) 사이로 매체(M)가 통과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는 도 1과 같이 딜리버리모듈(30)의 일부를 구성하는 롤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와 제2매체이송롤러(7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된다. 다시 말해, 매체(M)의 집적시에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매체(M)를 상기 인입구(43)로 전달한다. 반면, 매체(M)의 회수시에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인출구(45)를 빠져나온 매체(M)를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함(90)으로 전달한다. 물론,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의 하부에는 경로가이드휠(80)이 설치된다. 경로가이드휠(80)은 상기 매체(M)의 진입경로(E)와 회수경로(F)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진입경로(E)는 딜리버리모듈(30)에서 이송되어온 매체가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 사이로 이송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회수경로(F)는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를 통과한 매체가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함(90)으로 이송되는 방향이다.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의 일측에는 상기 딜리버리모듈(30)을 통해 공급되는 매체(M)를 상기 진입경로(E)로 안내하는 진입가이드면(82)이 형성된다. 상기 진입경로(F)로 안내되는 매체(M)는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 사이를 빠져나온 매체(M)를 회수경로(F)로 안내하는 회수가이드면(86)이 형성된다.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은 좌우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의 좌우 회동을 위한 동력은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제공한다. 매체집적시에는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이 도면상 우측으로 회동되어 매체(M)가 상기 진입가이드면(82)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를 통과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매체회수시에는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이 도면상 좌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를 빠져나온 매체(M)가 상기 회수가이드면(86)을 따라 회수함(90)으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의 하부에는 회수함(90)이 설치된다. 상기 회수함(90)은 그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여 모아두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의 이송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매체의 이송에는 매체를 집적박스에 집적시키는 것과, 집적박스에 남아있던 매체를 회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먼저, 매체가 집적박스(33)에 집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매체(M)의 집적시에는 제1매체이송롤러(70)와 인입롤러(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매체이송롤러(72)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70)와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인출롤러(54)는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원웨이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딜리버리모듈(30)에서 공급되는 매체(M)는 상기 경로가이드휠(80)의 진입가이드면(8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인입구(43)로 이송된다. 상기 인입구(43)에 도달한 매체(M)는 인입가이드(47)의 인입안내면(49)과 인입롤러(52)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상기 집적공간(35) 내부로 들어가며, 상기 집적면(36)에 안착되어 집적된다.
상기 매체(M)가 상기 집적면(36)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출롤러(54)가 정지한 상태로 상기 회수벨트(61)와 밀착되므로, 상기 매체(M)가 중력에 의해 상기 집적공간(35)을 빠져나오지 않도록 된다. 이러한 매체(M)의 집적과정은 고객이 원하는 액수의 매체(M)가 집적될 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으로,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모두 집적되면, 집적박스(33)의 일측에 설치된 박스이송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집적박스(33)가 고객접근모듈로 이동된다. 상기 집적박스(33)가 고객접근모듈에 도달하면, 고객은 상기 집적박스(33)의 취출구(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집적박스(33)에 집적된 매체(M)를 수취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는 여전히 상기 집적면(36)에 남아있게 된다.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는 회수함(90)으로 회수되어야한다. 이러한 회수과정을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고객이 회수하지 않은 매체(M)를 가지고 있는 상기 집적박스(33)가 상기 박스이송모터(34)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2매체이송롤러(7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매체이송롤러(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인출롤러(54)는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72)의 동력을 전달받아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참고로 이때, 인입롤러(52)는 제1매체이송롤러(7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원웨이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집적면(36)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수풀리(38,39)에 걸어감아진 회수벨트(6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수벨트(61)의 상면에 안착된 매체(M)를 상기 인출롤러(54)와 협력하여 상기 집적공간(35)의 외부로 밀어낸다.
상기 회수벨트(61)와 인출롤러(54)를 빠져나온 매체(M)는 상기 인입가이드(47)의 전면(48)을 밀면서 인출구(45)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입가이드(47)가 순간적으로 밀리면서 인출구(45)가 개방되고, 상기 인출구(45)를 빠져나온 매체(M)는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70,72)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로가이드휠(80)은 도면상 좌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인출구(45)를 빠져나온 매체(M)가 회수가이드면(86)을 따라 회수함(90)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객에게 매체가 전달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 다. 즉, 도 1에서는 집적박스(33)가 좌측 단부방향으로 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5에는 집적박스(33)의 우측 단부방향으로 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매체이송장치(31)를 구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박스(33)와 박스이송모터(34)를 도 1의 설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설치하면 된다. 즉, 상기 집적박스(33)가 우측 단부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인입롤러(52)의 회전축과 제2매체이송롤러(72)의 회전축 사이에 기어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인입롤러(52)는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만이 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인출롤러(54)의 회전축과 제1매체이송롤러(70)의 회전축 사이에 기어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인출롤러(54) 역시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만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로 매체가 상기 집적박스(33)에 집적되면 상기 집적박스(33)의 우측 단부로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매체가 집적되거나 회수된다. 즉, 매체의 집적과 회수가 모두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에 의해 이루 어진다. 따라서 매체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감소시켜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동작오류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체가 집적된 집적박스 자체가 곧바로 고객접근모듈로 이송된다. 즉, 종래와 같이 매체의 집적과 집적된 매체를 클램프하여 이송하는 것와 같이 분리된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되며, 매체이송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집적 후 이송전까지의 과정이 축소되므로 매체이송을 신속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매체회수시에 매체가 자유낙하에 의해 회수함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회수풀리 및 회수벨트 등에 의하여 강제로 집적박스로부터 인출되고, 제1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통과하여 회수함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매체가 집적박스에 걸려서 집적박스에 남아 있게 될 염려가 없고, 매체가 회수함 이외에 다른 공간에 떨어지게 되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집적박스를 뒤집어 설치하는 등의 간단한 변경으로 매체가 전달되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매체자동지급기의 모델인 전면형과 후면형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내부에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매체가 입출되는 입출구가 형성되는 집적박스와;
    상기 집적박스를 고객접근모듈에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박스이송모터와;
    상기 입출구로 매체를 인입시키고, 상기 입출구를 빠져나온 매체를 회수함으로 하강시키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와;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입출구로 인입되는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인입롤러; 그리고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동력만이 전달되고,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내보내는 인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를 매체가 들어가는 인입구와 매체가 빠져나가는 인출구로 분리하는 인입가이드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가이드는 상기 집적공간을 향하는 전면이 상기 인출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가이드의 인입안내면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공간에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지는 회수벨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수벨트는 상기 인출롤러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집적면에 안착된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박스는 일단부가 상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입출구는 상기 집적박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타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매체의 진입경로와 회수경로를 안내하는 경로가이드휠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7. 내부에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매체가 출입하는 입출 구가 구비되며, 고객접근모듈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적박스와;
    매체를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집적박스에 집적하는 집적모듈; 그리고
    상기 집적박스에 남아있는 매체를 상기 입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모듈은,
    딜리버리모듈에서 이송되어온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전달하는 제1매체이송롤러 및 제2매체이송롤러와,
    상기 입출구로 유입되는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인입롤러와,
    상기 입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인입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모듈은,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도록,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상면에 매체가 안착되는 회수벨트와;
    상기 입출구를 빠져나온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집적모듈에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모듈에는 상기 회수벨트와 협력하여 상기 집적 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는 인출롤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가이드의 전면은 상기 회수풀리의 단부와 밀착되며, 상기 집적공간 내부의 매체가 상기 인입가이드의 전면을 밀어내면서 상기 인출구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인입가이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가이드에서 상기 전면과 반대쪽에는 상기 인입구로 들어온 매체를 상기 인입롤러로 안내하는 인입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매체의 진입방향과 회수방향을 안내하는 경로가이드휠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경로가이드휠의 일측면에는 딜리버리모듈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진입가이드면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인출구를 빠져나와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를 통과한 매체를 상기 제1 및 제2매체이송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수함으로 안내하는 회수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롤러는 상기 인입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웨이베어링에 의해 매체가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전달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매체이송롤러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롤러는 상기 인출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웨이베어링에 의해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 적층된 매체를 상기 입출구로 밀어내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매체이송롤러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16.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를 한번에 고객에게 전달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있어서,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전달된 매체를 집적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집적박스의 집적공간에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집적박스를 고객접근모듈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접근모듈에서 미수취되어 상기 집적박스에 남아있던 매체를 상기 집적박스의 입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를 회수하는 단계에서, 상기 매체는 상기 집적박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수풀리에 걸어감아진 회수벨트를 따라 상기 입출구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방법.
KR1020070011733A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KR101266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33A KR101266745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33A KR101266745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18A true KR20080073118A (ko) 2008-08-08
KR101266745B1 KR101266745B1 (ko) 2013-05-22

Family

ID=3988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733A KR101266745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98A2 (ko) * 2009-07-24 2011-0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CN104821049A (zh) * 2014-02-04 2015-08-05 乐金信世股份有限公司 媒介处理装置及金融设备
KR20180051722A (ko) * 2016-11-08 2018-05-1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반송경로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98A2 (ko) * 2009-07-24 2011-0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WO2011010898A3 (ko) * 2009-07-24 2011-04-2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KR101052367B1 (ko) * 2009-07-24 2011-07-28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CN104821049A (zh) * 2014-02-04 2015-08-05 乐金信世股份有限公司 媒介处理装置及金融设备
KR20180051722A (ko) * 2016-11-08 2018-05-1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반송경로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745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1256B2 (ja)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KR20090087434A (ko) 동전 입출금기
KR101557733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40077439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JPWO2009095995A1 (ja) 硬貨繰出装置
KR20140084535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10126674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및 매체이송방법
JP5101831B2 (ja) 硬貨入出金機
US8393609B2 (en) Document handler
KR1010946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KR101405082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JP5851805B2 (ja) 硬貨取扱い装置
KR101266593B1 (ko) 매체출납장치
JP5988804B2 (ja) 硬貨処理装置
JP5101832B2 (ja) 硬貨繰出装置
JP6105889B2 (ja) 包装硬貨受渡装置
JP6534533B2 (ja) 硬貨処理装置
JP4936993B2 (ja) 棒金収納装置
JP5010979B2 (ja) 棒金収納装置
JP2010113534A (ja) 硬貨処理装置
JP3547541B2 (ja) 投出紙葉類補充装置を備えた紙葉類投出処理機
KR20140084534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950004414Y1 (ko) 현금 자동지급기의 지폐 정렬 장치
JP6678853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KR20060080085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