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976A -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976A
KR20080071976A KR1020087010393A KR20087010393A KR20080071976A KR 20080071976 A KR20080071976 A KR 20080071976A KR 1020087010393 A KR1020087010393 A KR 1020087010393A KR 20087010393 A KR20087010393 A KR 20087010393A KR 20080071976 A KR20080071976 A KR 20080071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arphone
mode
voice
m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165B1 (ko
Inventor
데츠타카 야부타
마사키 칸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CPU(1)는 텔레비전 시청 상태에서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한다. 동양으로,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텔레비전 기능 기동키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도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한다. CPU(1)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텔레비전 음성을 뮤트(MUTE)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과 무선에 의한 통화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전화 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 시청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 특개 2005-167909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와 같은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텔레비전(TV) 기능부와 휴대 전화 기능부가 거의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리가 나지 않도록 전화 매너 모드를 설정해 놓았다고 해도,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와 같은 방지 처리가 실행되어도 텔레비전 시청을 매우 쾌적하게 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기능부와 무선에 의한 통화를 행하는 무선 전화 기능부와, 이들 기능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음성 뮤트(mute)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는 매너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에서 매너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이 항에 있어서 제1 구성이라고 함).
상기 제1 구성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의 매너 모드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있어서 음성 뮤트 모드가 실행되므로,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에서 상기 매너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당해 제어가 이용자 설정으로 허가가 되어 있는 경우에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이하, 이 항에 있어서 제2 구성이라고 함).
상기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킬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막 표시는 당해 표시가 이용자 설정으로 허가가 되어 있을 때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킬 때에 자막 표시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를 이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아이콘 표시를 행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자막 표시 개소(箇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또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자막 표시가 행해지는 각 구성에 있어서, 또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상술한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각 구성에 있어서, 또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續行)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상기 구별 표시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또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하고, 이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할 경우에는 상기 구별을 생기게 하는 표시로부터 상기 구별을 생기지 않게 하는 표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 구성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 전화 기능부의 상기 매너 모드의 종료외에 독자적인 음성 뮤트 종료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도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는 동시에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발생한 상태를 음성 뮤트 발생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와 같은 방지 처리가 실행되었다고 해도 텔레비전 시청을 매우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TV 기능 장착 휴대 전화(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의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통상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자막 표시 영역의 테두리선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음성 뮤트시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자막 표시 영역의 테두리선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로서 TV 장착 휴대 전화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TV 장착 휴대 전화(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TV 장착 휴대 전화(1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와 전화 기능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화 기능부(30)는 무선 처리 회로(31)와, 신호 처리 회로(32)와, A/D(analog-to-digital)ㆍD/A(digital-to-analog) 변환부(33)와, 마이크(34)와, 스피커(35)를 구비한다. 무선 처리 회로(31)는 음성 및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의 소정의 프로토콜 처리(송신시 처리, 수신시 처리)를 행한다. 전화 처리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는 무선 처리 회로(31), 신호 처리 회로(32) 및 A/DㆍD/A 변환부(33)의 D/A 변환부를 통하여 스피커(35)에 전해지는 한편, 이용자가 낸 음성은 마이크(34)에서 음성 신호로 되고, 이 음성 신호는 A/DㆍD/A 변환부(33)의 A/D 변환부, 신호 처리 회로(32) 및 무선 처리 회로(31)를 거쳐 송출된다.
CPU(컨트롤러)(1)는 전화 기능부(30) 및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의 쌍방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화 기능부(30)에 대해서는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착신음이나 착신 멜로디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전화 매너 모드는 소리의 출력이 정지되는 모드이고, 진동 기능 등에 대해서는 실행해도 되고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전화 매너 모드는 이용자에 의해서 실행 지시를 받았을 때, 또는 미리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당해 시간대가 도래했을 때 등에 실행된다. 또, CPU(1)는 조작키부(2)의 텔레비전 기능 기동키가 온(ON) 조작되었을 때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 온 지령을 전해주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CPU(1)는 조작키부(2)의 텐 키가 조작되었을 때에, 그 번호를 채널 번호로 하 는 선국 지령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 전해주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 전원 회로(5)는 배터리(4)로부터 얻은 전력을 전화 기능부(30) 및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 대해 설명한다. 지상 안테나(21)는 수신한 신호를 지상파 디지털 튜너(22)에 전해준다. 각 지상파 디지털 튜너(22)는 영상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주파 디지털 변조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골라낸다. 또, 각 지상파 디지털 튜너(22)는 복조 회로, 역인터리브(deinterleave) 회로, 오류 정정 회로 등을 구비하고, 선택한 디지털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출력하고,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DEMUX)(23)에 전해준다.
디멀티플렉서(DEMUX)(23)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IEEE에 있어서 H.264 등의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자막 관련 데이터,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등으로 분리한다. 디멀티플렉서(3)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H.264 디코더(24)에 공급하고, PSI/SI(프로그램 정보)를 CPU(1)에 공급한다. CPU(1)는 프로그램 정보를 메모리(3)에 격납한다. 또한, 자막 관련 데이터는 자막 관리 데이터와 자막(문장)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 TR-B14에서는 자막 관리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는 스트림 중에 자막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자막 관리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가 수신된 후 자막문의 표시가 이루지는 것이 기본이지만, 자막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도, 자막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서 자막의 표시 가 가능하다. 물론, ARIB 규격 이외의 규격을 채용해도 된다.
H.264 디코더(24)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서 디코드를 행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구비한다. 비디오 디코더는 입력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여 양자화 계수나 움직임 벡터를 구하고, 역DCT(Discrete Cosine Transform)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는 움직임 보상제어 등을 실시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패널 등)(27)에 공급된다. 음성 데이터는 AAC(Advanced Audio Coding)디코더(28)에 의해서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이 음성 신호는 스피커(29)에 공급된다.
메모리(RAM, ROM, 플래쉬 메모리,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3)에는 각종 동작 프로그램, 상술한 프로그램 정보, 각종 설정 정보(예를 들어 전화 매너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 각종 선택 정보 등) 등이 격납된다.
또,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는 이어폰 장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이어폰 장착부(25)에 이어폰의 플러그를 꽂는 것으로, 음성 신호는 이어폰 장착부(25)를 통하여 상기 이어폰에 공급된다. 또, 상기 이어폰 장착부(25)는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끼어졌을 때에, 장착 검지 신호(소정의 전압치 등)를 CPU(1)에 전해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텔레비전 매너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1) CPU(1)는 텔레비전 시청 상태에서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한다. 동양(同樣)으로,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 는 상태에서 텔레비전 기능 기동키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도,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한다. 물론,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도 텔레비전 매너 모드로 하지 않는 설정을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화 매너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음의 출력이 정지되는 모드이다.
(2) CPU(1)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에 대해서 텔레비전의 음성 뮤트 처리를 실행시킨다. CPU(1)는 이 음성 뮤트 처리를 행할 때에는 음성 뮤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 또는 아이콘(픽토그래프(pictograph))을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상기 메세지에 대해서는 표시를 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에 소거해도 된다. 또한, 메세지나 아이콘의 표시는 도시하지 않은 OSD 회로(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3) CPU(1)는 상기 음성 뮤트의 처리에 더하여, 수신 방송에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자막 문자를 디스플레이(27)에 표시시킨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측의 설정에서 자막 문자 비표시의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도, 강제적으로 자막 문자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측의 설정으로 「자막 문자 비표시(텔레비전 매너 모드시에도 비표시)」의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자막 문자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물론,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측의 설정에서 「자막 문자 비표시(텔레비전 매너 모드시에는 표시)」의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자막 문자를 표시시킨다. 이러한 각종 설정은 메뉴 화면상에서 행할 수 있다. 또, CPU(1)는 자막 문자를 표시해도 되는지를 묻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하고 자막 문자를 표시해도 된다는 이용자의 의지 표시가 확인 가능했을 때에 자막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메세지는 일례로서 「자막을 표시하겠습니까? 예라면 「1」을, 아니오라면 「2」를 눌러 주세요.」와 같이 표시된다.
(4) 상기와 같이 자막 문자를 표시하는 경우, 통상(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아닌 경우) 동작에서의 자막 표시와 상기 텔레비전 매너 모드에 의한 자막 표시가 존재하게 된다. 이것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즉, 통상의 자막 표시인지 그렇지 않으면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전화 매너 모드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인지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이것들을 구별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막의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의 형태 등을 다르게 하거나 자막 영역의 배경색이나 자막 문자색을 바꾸는 것으로 상기 구별이 되도록 해도 된다.
(5) CPU(1)는 상기 장착 검지 신호(이어폰 장착부(25)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꽂혀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텔레비전 매너 모드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한다(자막 표시 영역은 소거됨). 또한, CPU(1)는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텔레비전 매너 모드를 종료하여) 음성 신호를 이어폰 장착부(25)에 공급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메뉴 화면을 열어 「자막 표시」의 항목에서 예를 선택하면, 자막 표시가 재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통상의 자막 표시로 한다. 또,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측의 설정에서 「이어폰이 장착되어도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한다」라고 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한다. 물론, 디지털 방송 수신부(20)측에서 「이어폰 장착시에는 자막 표시를 정지한다」라고 하는 설정이 선택되어 있을 때만 자막 표시를 정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CPU(1)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해도 되는지를 묻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하고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해도 된다는 이용자의 의지를 확인 가능했을 때에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하는 의지 표시의 경우, 통상의 자막 표시로서 속행하는 것으로 간주해도 된다. 이 경우, 자막 표시의 기본 설정 자체를 「텔레비전 방송에 자막이 존재할 경우에는 자막을 표시한다」의 설정으로 자동 변경해도 된다. 또, 상기 구별을 위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한 경우에는 당해 아이콘의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동양으로 통상의 자막 표시로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하는 경우, 상기 구별을 위해서 자막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의 형태 등을 다르게 했었다면, 자막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의 형태 등을 통상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가장자리의 색이나 선의 형태 등으로 되돌린다.
(6) CPU(1)는 음성 뮤트 모드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가 이어폰 장착에 의해 종료될 때, 상기 구별을 위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한 경우에는 당해 아이콘을 비표시로 한다.
(7) CPU(1)는 전화 매너 모드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도 종료한다. 물론, 텔레비전 매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 조작 등에 의해서 텔레비전 매너 모드 자체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CPU(1)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를 종 료할 때에는 텔레비전의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고, 텔레비전의 음성을 스피커(29)로부터 출력하는 동시에,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발생한 상태(텔레비전 매너 모드에 기인하여 발생한 상태)를 음성 뮤트 실행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이어폰 장착 상태에서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의 음성이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8)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자막 표시가 실행된 경우에 있어서,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CPU(1)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한다(자막 표시 영역을 소실시킴). 상기 구별을 위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한 경우에는 당해 아이콘을 비표시로 한다. CPU(1)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의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하고, 이용자의 허락이 있었을 경우에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2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에 있어서 자막 표시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1)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 텔레비전 매너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 매너 모드의 설정에 연동하여 설정된다.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CPU(1)는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하고,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CPU(1)는 자막 자동 표시 설정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단계 S2). 자막 자동 표시 설정이 유효하지 않으면, CPU(1)는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자막 자동 표시 설정이 유효하면, CPU(1)는 PMT(프로그램ㆍ맵ㆍ테이블)의 정보를 참조한다(단계 S3). 이어서, CPU(1)는 PMT 중에 자막에 대한 기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 상기 PMT 중에 자막에 대 한 기재가 존재하지 않으면, CPU(1)는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상기 PMT 중에 자막에 대한 기재가 존재하면, CPU(1)는 자막을 표시하는 것의 허락을 이용자에게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단계 S5), 이용자가 허락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 이용자가 허락하지 않은 경우에는 CPU(1)는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이용자가 허락한 경우에는 CPU(1)는 상기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 상기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CPU(1)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가 종료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8),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CPU(1)는 자막을 표시한다(단계 S9). 또한, 이 경우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는 CPU(1)는 자막의 자동 표시를 나타내는 아이콘(구별용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 상기 아이콘 표시에 대신해 또는 아이콘 표시와 함께 자막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 등을 변화시켜도 된다.
상기 단계 S7에 있어서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 CPU(1)는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의 허락을 이용자에게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단계 S10). 상기 구별용 아이콘을 표시한 경우, 상기 종료 허락 메세지의 표시를 행할 때에 상기 구별용 아이콘의 표시 상태가 종료되어도 된다. 그리고 CPU(1)는 이용자가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를 승낙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용자가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를 승낙하지 않으면 CPU(1)는 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2), 매너 모드가 해제되어 있지 않으면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한다(단계 S13). 이 경우의 자막 표시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 실행에 의한 자막 표시와 다르다고 하는 생각에 기초하여, 통상의 자막 표시 모드가 선택 되었다고 간주하여 자막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의 형태 등을 통상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계 S12에 있어서 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했다면, CPU(1)는 자막 표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 또, 단계 S11에 있어서 이용자가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를 승낙했을 때에는 CPU(1)는 자막 표시의 처리를 종료하고(단계 S19), 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다면, CPU(1)는 자막 표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 또한, 단계 S8에 있어서 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했을 때도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 있어서, 자막 표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CPU(1)는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자막 표시 상태라고 판단되었다면, CPU(1)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의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단계 S16). 상기 구별용 아이콘을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종료 허락 메세지의 표시를 행할 때에는 상기 구별용 아이콘의 표시를 정지해도 된다. 그리고 CPU(1)는 이용자가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를 승낙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이용자가 자막 표시 모드의 종료를 승낙하지 않은 때에는 CPU(1)는 자막을 계속 표시하고(단계 S18),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이 경우의 자막 표시는 텔레비전 매너 모드 실행에 의한 자막 표시와 다르다고 하는 생각에 기초하여, 통상의 자막 표시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간주하여 자막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색이나 선의 형태 등을 통상 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자막 종료에 대해 이용자의 허락이 있었을 경우에는 CPU(1)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고(단계 S20), 당해 자막 표시 제어를 종료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아날로그 TV방송을 수신하는 구성 또는 양방송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아날로그 TV방송에 대해서는 상술한 자막 표시에 관한 처리는 제외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TV 기능을 기동시킴으로 인해 소리가 나버렸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와 같은 방지 처리가 실행되어도 텔레비전 시청을 매우 쾌적하게 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기능부와, 무선에 의한 통화를 행하는 무선 전화 기능부와, 이들 기능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표시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음성 뮤트(mute)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는 매너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에서 매너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전화 기능부에서 상기 매너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당해 제어가 이용자 설정으로 허가가 되어 있는 경우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 행시킬 때에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막 표시는 당해 표시가 이용자 설정으로 허가가 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자막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상기 음성 뮤트를 실행시킬 때에 자막 표시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상기 방송 수신 기능부에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를 실행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를 이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아이콘 표시를 행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자막 표시 개소(箇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를 이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아이콘 표시를 행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는 자막 표시와 통상의 자막 표시에 있어서 자막 표시 개소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9. 청구항 3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 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추가로, 이어폰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이어폰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이어폰이 장착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채용된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허락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승낙하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종료하는 한편, 이용자가 승낙하지 않는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하고, 이 자막 표시의 모드를 속행할 때에는 상기 구별을 생기게 하는 표시로부터 상기 구별을 생기지 않게 하는 표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 전화 기능부의 상기 매너 모드의 종료외에 독자적인 음성 뮤트 종료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도 음성 뮤트의 모드를 종료하는 동시에 음성 뮤트에 기인하여 발생한 상태를 음성 뮤트 발생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KR1020087010393A 2005-11-29 2006-11-27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KR101016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4510A JP4486030B2 (ja) 2005-11-29 2005-11-29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JP-P-2005-00344510 200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976A true KR20080071976A (ko) 2008-08-05
KR101016165B1 KR101016165B1 (ko) 2011-02-17

Family

ID=3809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393A KR101016165B1 (ko) 2005-11-29 2006-11-27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24006B2 (ko)
JP (1) JP4486030B2 (ko)
KR (1) KR101016165B1 (ko)
CN (1) CN101317427B (ko)
WO (1) WO2007063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4862B2 (en) 2012-09-29 2016-09-13 Intel Corporation Dynamic media content output for mobile devices
US9424843B2 (en) * 2013-09-24 2016-08-23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 sharing to improve speech understanding
CN105553688A (zh) * 2015-10-29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置设备工作状态的方法、装置及系统
JP7348957B2 (ja) * 2019-05-02 2023-09-21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上でのコンテンツの可聴部分の自動キャプショニング
KR102082733B1 (ko) 2019-07-26 2020-02-28 주식회사 나이콤 다수의 도서 대출을 위한 도서 이동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388A (ja) * 2002-09-18 2004-04-08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装置
JP2004110338A (ja)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データ処理方法、画像形成方法、データ処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データ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131237B2 (ja) * 2003-12-24 2008-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453367B2 (ja) 2004-01-13 2010-04-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レビ放送受信装置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00364B2 (en) * 2005-04-26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b-program avoidance redirection for broadcast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1489A1 (en) 2009-09-17
WO2007063810A1 (ja) 2007-06-07
JP2007150899A (ja) 2007-06-14
US8024006B2 (en) 2011-09-20
KR101016165B1 (ko) 2011-02-17
CN101317427A (zh) 2008-12-03
CN101317427B (zh) 2013-04-10
JP4486030B2 (ja)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269B2 (ja) 受信装置、携帯通信端末、字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字幕表示制御方法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16165B1 (ko) 방송 수신 기능 장착 휴대 통신 단말
KR100689444B1 (ko)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JP4401803B2 (ja) 携帯端末、遠隔制御方法、及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1006771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JP4799182B2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4640773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1276833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JP4298478B2 (ja) 通信装置
JP4726473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076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표시방법
KR100469854B1 (ko) 지역별 채널검색을 통한 tv폰 예약 방송 방법
KR100809789B1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음성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505832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0138066Y1 (ko) 방송시청제어장치
KR200233492Y1 (ko) 전화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
KR20020028437A (ko) 화상전화기의 영상표시 텔레비젼 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JP2009272901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2006025277A (ja) テレビ視聴機能付き通信機器及びサーチ結果通信システム
JP200531805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00044043A (ko) 텔레비전의 음량조정 표시방법
JP2007228192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