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783A -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783A
KR20080071783A KR1020070010082A KR20070010082A KR20080071783A KR 20080071783 A KR20080071783 A KR 20080071783A KR 1020070010082 A KR1020070010082 A KR 1020070010082A KR 20070010082 A KR20070010082 A KR 20070010082A KR 20080071783 A KR20080071783 A KR 2008007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reless devices
information
display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783A/ko
Publication of KR2008007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이에 의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특별한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무선기기, 블루투스, 개수, 정보 창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providing the number of wireless device connectab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a 내지 4c는 도 3에 도시된 TV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TV 130 : 표시정보 생성부
150 : 블루투스 통신모듈 170 : 제어부
410 : 무선기기의 개수 420 : TV 동작정보 창
430 : 방송채널 정보 창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기기들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인 TV는 넓은 화면을 통해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홈네트워크의 중심 기기로 역할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를 통해 전체 홈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액세스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사용자의 원활한 홈네트워크 제어를 위해서는, TV가 화면을 통하여 홈네트워크의 상태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홈네트워크의 상태나 상황에 대한 정보는 홈네트워크를 제어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이기에,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특정 정보 창을 나타내어야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정보 창 내의 영역들 중 상기 특정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파워-온 된 경우 및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던 시점 이후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 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나타난 정보 창 내의 일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국한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 정보 창 내의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표시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TV(100), 프린터(210), 헤드셋(220), 모바일폰(230), MP3 플레이어(240), PC(Personal Computer)(250) 및 캠코더(260)가 상호간에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이에 따라, TV(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프린터(210)로 전송하여 프린터(210)에서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V(100)는 현재 선국된 방송에서 제공되는 음향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헤드셋(220)으로 전송하여 헤드셋(220)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V(100)는 모바일폰(230), MP3 플레이어(240), PC(250) 및 캠코더(260)로부터 영상 파일이나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TV(100) 외에 다른 기기들도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TV(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럭도이다.
TV(100)는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여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들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00)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표시정보 생성부(130), 출력부(140), 블루투스 통신모듈(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및 조작부(18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 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표시정보 생성부(13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정보를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하는데, 이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출력부(140)는 표시정보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표시정보가 부가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은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은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방송을 무선연결된 무선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은 무선연결된 무선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부(16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연결된 무선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방송 처리부(120)나 블루투스 통신모듈(1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조작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부(180)는 리모콘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수광소자로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을 이용하여 TV(100)와 무선 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들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100)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TV(100)가 파워-온 되면(S310-Y), 제어부(170)는 TV(100)의 주변에 위치하며 TV(100)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한다(S315).
S315단계를 위해,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을 이용하여 인콰이어리(Inquiry) 메세지를 브로드 캐스트하고, 블루투스 통신모듈(150)을 통해 주변의 무선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세지의 개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개수를 'TV(100)의 주변에 위치하며 TV(100)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이하, '무선기기의 개수'로 약칭.)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S315단계에서 판단된 무선기기의 개수가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20).
S32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무선기기의 개수가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20단계 수행에 의해 무선기기의 개수(410)가 나타난 디스플레이를 도 4a에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기기의 개수(410)는 디스플레이의 좌측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콘과 텍스트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선기기의 개수(410)에 나타난 텍스트들 중 "n"은 숫자로서 무선기기의 개 수를 나타낸다.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이 경과 되면(S325), 제어부(170)는 무선기기의 개수를 다시 판단하여 이를 갱신한다(S330).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무선기기의 개수에 변화가 발생 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330단계에서 판단된 무선기기의 개수가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320).
한편, 'TV 동작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S335-Y),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TV 동작정보 창'의 일 영역에 무선기기의 개수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40).
'TV 동작정보'는 TV(100)의 현재 동작내용과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로, 현재 수신되는 방송을 제공하는 소스, 현재 수신하고 있는 채널의 번호와 명칭, 현재 수신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제목과 방송시간, 해상도, 화면비, 음성정보, 등장인물 등이 포함된다. TV 동작정보는 'TV 동작정보 창' 내에 표시된다.
S34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될 TV 동작정보 창의 일 영역에 무선기기의 개수가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40단계에서 표시되는 무선기기의 개수는, TV 동작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가장 최근 시점에 판단된 것이다. 만약, TV 동작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된 시점까지 S330단계가 수행되지 않았다면, S340단계에서 표시되는 무선기기의 개수는 S315단계에서 판단된 무선기기의 개수이다. 또한, TV 동작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된 시점까지 S330단계가 수차례에 걸쳐 수행된 경우라면, S340단계에서 표시되는 무선기기의 개수는 가장 마지막에 S330단계를 통해 판단된 무선기기의 개수이다.
S340단계 수행에 의해 무선기기의 개수(410)가 표시된 TV 동작정보 창(420)이 나타난 디스플레이를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동작정보 창(420)에는 TV 동작정보 외에 무선기기의 개수(410)가 더 나타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선기기의 개수(410)는 방송채널 번호 아래의 빈 영역에 나타나 있다. 즉, 무선기기의 개수(410)는 TV 동작정보 창(420) 내의 영역들 중 TV 동작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나타나게 된다.
한편, 방송채널 변경명령이 입력되면(S345-Y),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방송채널 정보 창'의 일 영역에 무선기기의 개수가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350).
S35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될 방송채널 정보 창의 일 영역에 무선기기의 개수가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50단계에서 표시되는 무선기기의 개수는, 방송채널 변경명령이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가장 최근 시점에 판단된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S340단계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되기에 생략한다.
S350단계 수행에 의해 무선기기의 개수(410)가 표시된 방송채널 정보 창(430)이 나타난 디스플레이를 도 4c에 도시하였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채널 정보 창(430)에는 S345단계를 통해 변경명령된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방송채널 번호와 명칭 외에도 방송소스(DTV Cable), 방송프로그램의 제목과 방송시간, 해상도, 화면비, 음성정보 등이 나타나 있다.
또한, 방송채널 정보 창(430)에는 방송채널 정보 외에 무선기기의 개수(410)가 더 나타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선기기의 개수(410)는 방송채널 정보 창(430)의 우측 하부의 빈 영역에 나타나 있다. 즉, 무선기기의 개수(410)는 방송채널 정보 창(430) 내의 영역들 중 방송채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나타나게 된다.
지금까지, TV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들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기기의 개수는 아이콘과 텍스트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기기의 개수는 텍스트, 아이콘, 애니메이션 및 입체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서, 무선기기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 TV 동작정보 창 또는 방송채널 정보 창 내에 표시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 밖에 다른 영역이나 다른 정보 창 내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TV와 무선기기들이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통신가능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블루투스 이외의 다른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통신 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인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TV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의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특별한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그 특정 정보를 제공하면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부수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위한 명령이 있는 경우, 그 특정 동작의 실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부수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정 정보가 나타나는 정보 창이나 특정 동작의 실행결과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는 정보 창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부수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화면 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특정 정보 창을 나타내어야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정보 창 내의 영역들 중 상기 특정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파워-온 된 경우 및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던 시점 이후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 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 의 개수 알림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나타난 정보 창 내의 일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국한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 정보 창 내의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
  5.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표시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무선기기의 개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10082A 2007-01-31 2007-01-31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71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82A KR20080071783A (ko) 2007-01-31 2007-01-31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82A KR20080071783A (ko) 2007-01-31 2007-01-31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783A true KR20080071783A (ko) 2008-08-05

Family

ID=3988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82A KR20080071783A (ko) 2007-01-31 2007-01-31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4012B2 (en) 2012-01-31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4012B2 (en) 2012-01-31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1582273B2 (en) 2012-01-31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1895168B2 (en) 2012-01-31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18858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91485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113635A (zh) 在终端中显示未查看消息的装置和方法
US96000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152854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resour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71758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06845A (ko) Osd 아이템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291913A1 (en) Remote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phones
KR2018008139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5649861B2 (ja) 表示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18384A (ja) 音声入出力装置
KR20080071783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785688B2 (ja) シンジケーテッドデータフィード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3090081A (ja) 外部に接続された機器に割り込みを報知できる情報端末、情報端末への割り込みを報知できる電子機器、当該情報端末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有するシステム、情報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99254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
JP6059304B1 (ja) 通信端末、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393182B2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報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61501B1 (ja) 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の支援方法
JP590981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録画装置、チューナー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6256500B2 (ja) オーディオ機器
JP4856285B1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157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영상표시장치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
JP5271582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方法なら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共有システム
JPWO2019058712A1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30541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